KR20020001293A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293A
KR20020001293A KR1020000035777A KR20000035777A KR20020001293A KR 20020001293 A KR20020001293 A KR 20020001293A KR 1020000035777 A KR1020000035777 A KR 1020000035777A KR 20000035777 A KR20000035777 A KR 20000035777A KR 20020001293 A KR20020001293 A KR 20020001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wheelchair
fixed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 본 구
Original Assignee
탁 본 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 본 구 filed Critical 탁 본 구
Priority to KR102000003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1293A/ko
Priority to KR2020000018367U priority patent/KR200205018Y1/ko
Priority to KR2020000018366U priority patent/KR200205017Y1/ko
Publication of KR2002000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이를 위하여 구조 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좌석 및 등받이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여 바닥에 근접될 때 까지 내려 앉을 수 있으며, 특히 좌석은 전후방향으로 기동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방바닥이나 차량 등으로 쉽게 자리를 옮기도록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좌석에는 그 가운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용변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성은, 바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직립 프레임과; 상기 고정 직립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며, 제 1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직립 프레임상에 연동되는 좌석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 지지 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의 저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발판과;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수단과; 상기 승강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좌석 판재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좌석 이송장치가 더욱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Wheelchair can be modulated its structure}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형상 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자립하여 움직이기 곤란한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을 위하여 휠체어가 제공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휠체어에 의지하는 환자 등은 보호자의 도움에 의해서만 방바닥, 침대 또는 차량으로 옮겨 탈 수 있는 정형적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용변시에도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편이를 위해 전동식 휠체어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기동성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어 왔던 휠체어는 환자 또는 장애자의 기초적 활동의 편이를 위한 세밀한 배려는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다. 즉, 휠체어에 올라 타는 문제, 또는 휠체어로부터 내려 특정 장소로 몸을 이동시키는 문제 또는 용변문제 등과 같은 세밀한 배려가 요구된다 하겠다.
위와 같은 요구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 사용자의 활동범위를 넓힘에 의해 사용자 및 보호자의 편이에 기여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바닥, 차량으로부터 또는 그 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휠체어에 탄 상태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체어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바람직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체어 특히 전동휠체어 사용자의 활동범위를 넓힘에 의해 사용자 및 보호자의 편이에 기여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승강장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배면 구성도.
도 3은 좌석의 전후방 이송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휠체어의 개략적 저면도.
도 4는 등받이와 좌석이 서로 접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a는 좌석만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좌석의 용변 구멍의 다른 방식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직립 고정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제 1,2 블럭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직립 고정 프레임(8)과 등받이 프레임(12)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2의 C-C선의 따라 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a,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존 변경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의 측부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구적 구성을 도시하는 간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평면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108 ; 하부 프레임 8 ; 직립 고정 프레임
12 ; 등받이 프레임 16, 112 ; 좌석 지지 프레임
20 ; 팔걸이 22 ; 스위치
24 ; 팔걸이 프레임 26, 58a, 58b, 124 ; 나사축
28, 56,120 ; 전동모터 30, 60a,60b ; 나사축과 나사 결합하는 제 1, 2블럭 42 ; 브레이크 레버
44 ; 배터리 48 ; 발판
64, 64' 용변 구멍 66, 66' ; 용변 구멍 개폐 뚜껑
116 ; 후방 지지 프레임 118 ; 전방 지지 프레임
122 ; 변속장치 126 ; 소켓
127 ; 연결대 128 ; 모터 고정 파이프
위와 같은 목적은, 기본적으로 좌석, 등받이 및 바퀴를 가지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고정 프레임과; 상기 직립 고정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며, 제 1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직립 프레임상에 연동되는 좌석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 지지 프레임과; 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의 저부에 연결되는 발판과;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수단과; 상기 승강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제 2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좌석 판재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좌석 이송장치가 더욱 포함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좌석은 그의 가운데에 용변 구멍이 형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승강장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배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좌석이 승강장치 및 젖후방 이송장치에 의해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쌍의 바퀴(2,4)가 하부프레임(6)에 장착된다. 전방에 고정되는 바퀴(2)는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회전 롤러방식 또는 캐스터 방식을 취한다. 후방에 고정되는 바퀴(4)는 완충기능과 하중 지지기능을 위하여 타이어 형식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바퀴에는 구동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휠체어 사용자는 보호자의 도움으로 기동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 스스로도 휠체어를 기동하기 위한 공지의 보조 핸들이 부착되는 방식일 수 있다.
직립 고정 프레임(8)은 하부 프레임(6)의 후방 상부에 안착되어 상방향을 향해 직립한다. 하부 프레임(6)과 직립 고정 프레임(8)의 연결 구조는 사용자의 몸무게 전체를 지지하는 구조이어야 하므로, 그의 설계는 이와 같은 취지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직립 고정 프레임(8)은 후방으로 비스듬히 설치되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하부 프레임(6)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다. 보호자로 하여금 휠체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0)가 직립 고정 프레임(8)의 상단에 제공된다.
등받이 프레임(12)은 직립 고정 프레임(8)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승강장치에 의해 화살표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기동이 가능하다. 등받이 프레임(12)과 직립 고정 프레임(8)은 지지 롤러(14, 도 9 참조)를 매개수단으로 하여 마모 또는 소음이 없는 유연한 상대적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롤러(14)는 등받이 프레임(12)과 일체로 제공되어 그의 상하 운동에 의해 직립 고정 프레임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도 9는 직립 고정 프레임(8)과 등받이 프레임(12)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2의 C-C선의 따라 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플라스틱재인 2개의 롤러(14)는 등받이 프레임(12)를 구성하는 횡프레임(12a)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롤러(14)는 등받이 프레임(12)이 그의 축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직립 고정 프레임(8)과 레일 방식으로 구름 접촉을 한다.
등받이 프레임(12)의 중간 지점에는 좌석(15)을 지지하는 좌석 지지 프레임(16)이 등받이 프레임(12)과 일정한 각도(90°- 110°)로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좌석 지지 프레임은 승강장치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과 함께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등받이 프레임(12)과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연결부(18)는 힌지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좌석 지지 프레임(16)이 연결부(18)를 중심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각각의 프레임 및 등받이와 좌석이 상호 접혀질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팔걸이(20)가 더욱 제공된다. 팔걸이(20)는 일반적인 암체어(Armchair)와 유사한 위치에 제공되며, 그의 전방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 및 이송장치를 제어할 할 수 있는 스위치수단(22)이 제공된다. 팔걸이(20)는 좌석 지지 프레임(16)과 일체되도록 팔걸이 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팔걸이(20)는 좌석 지지 프레임(12)과 함께 상하이동될 수 있으며, 좌석 지지 프레임(16)과 함께 들어 올려짐으로써 등받이 프레임(12)을 향해 접혀질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도 2를 참조하면, 승강장치는 직립 고정 프레임(8)의 중간 지점 세로 방향으로 고정된 센터 나사축(26)과, 상기 센터 나사축(26)을 회전시키는 제 1 전동 모터(28)와, 상기 나사축(26)을 따라 상하 운동되는 제 1 블럭(30)으로 구성된다. 제 1 전동모터(29)는 그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감속장치(29)에 의해 증가된 회전력을 나사축(26)에 전달하게 된다.
제 1 블럭(30)은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중앙부(32)는 나사축(26)과 나사 결합되며, 양측부(34a,34b)는 역시 직립 고정 프레임(8)에 세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봉(36a,36b)의 외주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도 8 참조).
제 1 블럭(30)은 등받이 프레임(12)을 구성하는 횡프레임(38) 내지 등받이(40)에 견고히 체결됨으로써, 등받이 프레임(12) 및 좌석 지지 프레임(16)을 동시에 상하강시키게 하는 것으로서, 승강장치와의 연결지점이다. 사용자의 몸무게 전체를 능히 지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제 1 블럭(30)과 등받이 프레임(12)의 결합은 용접 등에 의해 충분히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 1 전동 모터(28)의 회전 운동은 등받이 프레임(12) 및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제 1 블럭(30)의 측부에는 리미트 스위치(74)가 장착되어 제 1 블럭(30)의 상하 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제 1블럭(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손잡이(10) 부분까지 이르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74)는 이를 감지하여 제 1 전동모터(28)를 정지하도록 하며, 최하지점까지 이동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 1 전동모터(28)를 정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은 최소 60cm까지 상승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서있는 상대방과 편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하고 있다.
직립 고정 프레임(8)의 근지점에는 승강장치를 기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42)가 설치된다. 브레이크는 승용차의 파킹(parking)브레이크와 같이 휠체어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동방식이며, 그에 관한 상세 설명 내지 도시는 이를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장치를 구동하는 원동력은 차량에 쓰이는 것과 같은 충전식 배터리(44)이지만, 단지 이에 구속되지 아니하고 외부의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배터리(44)는 하부 프레임(6)에 고정설치되는 배터리함(46)에 안착되며, 밴드(도시생략)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발판(48)은 그를 지지하는 프레임(50)에 의해 좌석(15)의 전방 하부 적정한 위치에 설치된다(도 1 참조). 발판 지지 프레임(50)은 힌지 연결된 2곳의연결부(52,54)에 의해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저부에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발판(48)의 위치를 특정 위치(펼쳐지거나 접혀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도시생략)이 각각의 연결부(52,54)에 제공된다.
발판(48)의 위와 같은 접철식 구조는 좌석(15)이 하방으로 기동되거나 또는 전방으로 기동될 때를 위해서 제공된다.
도 3은 좌석(15)의 전후방 이송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휠체어의 개략적 저면도이다. 특히, 발판(48)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52,54)를 회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다.
좌석 전후방 이송장치(이하, 이송장치라 한다)는 전술한 승강장치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기동된다. 좌석(15) 저부에는 상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하여 그를 지지하는 좌석 지지 프레임(16)이 등받이 프레임(도시생략)과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제 2 전동 모터(56)가 좌석 지지 프레임(16) 후방에 고정 설치된다. 제 2 전동모터(56)의 회전은 나사축(58a,58b)에 전달되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는 제 2 블럭(60a,60b)은 좌석(15)의 저면에 고정된다. 이에 의하면, 나사축(58a,58b)의 축회전에 의해 제 2 블럭(60a,60b) 및 좌석(15)은 함께 전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전동모터(56)는 변속장치(62a,62b) 및 동력 케이블(64,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와이어 형태)에 의해 각각의 나사축(58a,58b)에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 2 전동모터(56), 기어박스인 변속장치(62a,62b)는 좌석 지지 프레임(16)을 구성하는 고정프레임(16a)에 고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변속장치(62)는 브래킷(61)에 의해 좌석의 저부에 고정된다.
도 3의 점선은 좌석(15)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 즉 좌석 프레임(16)으로부터 이탈하여 전방을 향하여 전진된 상태를 간략하게 표시한다. 좌석과 좌석 프레임의 마찰은 그 사이에 롤러 또는 베어링과 같은 구름수단(도시생략)의 설치에 의해 감소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휠체어는 차량의 트렁크에 보관될 수도 있는 등 이동성이 우수하게 된다.
도 4a,b는 휠체어가 분리된 상태 및 등받이와 좌석이 서로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석 지지 프레임(16)은 등받이 프레임(12)과의 연결부 일 곳(18)을 중심으로 하여 들어 올려짐으로써 도 4a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b와 같이 하부 프레임(6)은 좌석 및 등받이을 포함하는 상부와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프레임(6)과 요크 방식으로 결합하는 2개의 요크(71)가 제공된다. 요크(71)는 직립 고정 프레임(8)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회전 파이프(7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회전 파이프(70)는 그의 일측에 고정되는 레버(72, 도 1 참조)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요크(71)는 휠체어 상부가 하부 프레임(6)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휠체어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레버를 당겨 요크(71)의 개방된 부위가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오도록 하고 휠체어의 상부 전체를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상호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소정의 공지 수단, 예를 들면 벨트 또는 나사와 나비너트 등은 그의 도시 및 설명이 생략되지만, 능히 구비될 수 있는 사항임은 자명하다.
직립 고정 프레임(8)과 하부 프레임(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방식을 가진다. 즉, 직립 고정 프레임(8)과 하부 프레임(6)은 지게 및 지게 받침대와 유사한 결합방식을 가지므로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휠체어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이동 또는 보관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 방식은 좌석이 등받이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에도 적용된다. 즉, 등받이 프레임(12)을 구성하는 횡프레임(12a)의 양단과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절곡부(16b)에 위와 같은 결합방식이 채용된다(도 1 참조).
위와 같은 일련의 구동수단에 의해 휠체어의 좌석이 최대한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 10에 도시된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방바닥 등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방바닥으로부터 휠체어에 올라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에서 발판은 완전히 좌석을 향하여 접힌 상태이므로 도시되지 않았다. 좌석 및 좌석 지지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하방향으로 향하여 만곡되어 있으므로 좌석의 전방은 방바닥까지 닿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용변을 위한 배려가 제공된다.
도 5a는 좌석(15)만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1개의 넓직한 용변 구멍(64)이 좌석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용변 구멍은 사용의 편이를 위해 적당한 크기로 형성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평상시에는 판자와 같은 뚜껑(66)에 의해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의 구체적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 가운데 하나는 구멍(64)의 테두리 부분에 단턱을 형성하고 그에 안착되는 방식의 뚜껑(66)을 씌우거나 열거나 하는 방식일 수 있다(도 6b 참조). 뚜껑(66)의 중간부에는 옴폭 패인 형식의 손잡이(68)가 제공된다.
도 6은 좌석의 용변 구멍의 다른 방식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미닫이식 뚜껑(68')은 좌석(15)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측방으로 열려지거나 닫혀지게 된다. 용변시 사용자는 몸을 일측으로 기울이고 손잡이(68')를 측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용변 구멍(64')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때에 따라서, 미닫이식 뚜껑의 개폐방향은 도시된 바와는 다른 방향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시 및 설명은 생략되지만, 용변 구멍(64,64')의 저부, 즉 좌석(15)의 저부에는 용변을 받을 수 있는 적당한 형상의 용변 용기(도시 생략)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위의 용변 용기는 외부에서 별도로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발판(48)을 소정의 각도로 위치 고정함으로써, 용변 용기의 받침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도 1 참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특히 전동 휠체어에 적용되는 사항을 도시하며, 이하 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a,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존 변경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의 측부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구적 움직임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평면적인 구성도로서 구성의 명확성을 위해 제공된다. 이해의 편이를 위해 공지의 구동장치에 관한 도면과 설명은 그를 최소화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전동장치 또는 엔진 등 일반적인 구동장치(102)를 구비하는 휠체어로서, 이하에서는 전동 휠체어라고 통칭된다.
바퀴(104,106)는 하부 프레임(108)의 전후방에 각각 분배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에 설치되는 바퀴(106)는 캐스터로서 방향회전을 용이하게 하며, 후방에 설치되는 바퀴(104)는 구동휠이 된다. 일반적으로 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102)는 하부 프레임(108)의 후방에 안착되는 것이 안정적이며, 이는 널리 사용되는 배치 방식이다.
본 발명은 하부 프레임(108) 상부로부터 적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좌석(110, 등받이(111) 및 팔걸이(113)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 또는 시트의 높낮이를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기본적인 원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행사변형과 같은 4절 기구로부터 유도된다.
하부의 고정단(L1)은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108)에 해당되며, 회전 상단(L2)은 좌석이 얹혀져 고정되는 좌석 프레임(112)에 해당된다. 각 힌지 연결된 노드에 의해 회전 상단(L2)은 L2' 및 L2"의 위치로 이동되며 내려 앉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운동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방 지지대(116)는 전후방향으로(도면상으로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하부 프레임(108)의 후방에 연결된다.
연결부는 하부 프레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과, 베어링을 매개로 그 구멍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지지대와 직각방향으로 고정된 축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고정된 하부 프레임(108)에 대하여 지지대는 일방향으로 회전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후술되는 회전 유동이 가능한 여러 부위의 연결방식은 이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방 지지대(118)는 전후방향으로 회전 유동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하부 프레임(108)의 전방에 연결된다.
후방 지지대(116)와 전방 지지대(118)는 그의 직립된 높이가 동일하도록 제공되며, 그들의 타단에는 좌석 지지 프레임(112)이 회전 유동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에 의해, 후방지지대(116)와 전방 지지대(118)는 항시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며, 즉 평행사변형을 이루며 전후방향으로 운동될 수 있게 된다.
후방 지지대(116)를 기동시키기 위한 기동력은 하부 프레임(108)과 일체된 고정 프레임(11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동 모터(120), 변속 장치(122), 나사축(124) 및 후방 지지대(116)의 상단에 연결되는 소켓(126)에 의해 달성된다.
전동 모터(120)는 하부 프레임(108)에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에 끼워져 회전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파이프(128) 상에 고정 설치된다. 전동 모터의 전원은 구동장치에 제공되는 배터리(도시생략)로부터 얻을 수 있다. 전동 모터의 회전속도및 방향은 파이프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변속 장치(122a,122b)에 의해 조정된다. 회전 나사축(124a,124b)은 변속장치(122a,122b)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저속 회전하게 되며 좌석(11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소켓(126a,126b)은 일측이 상기 나사축(124a,124b)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타측은 후방 지지대의 상단부 또는 좌석 지지 프레임의 저부 후방에 연결된다. 소켓의 타단은 좌석의 위치 변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전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함이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다(도시생략).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정부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휠체어의 팔걸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타 조작이 용이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휠체어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점으로 좌석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즉, 전동 모터(120)의 회전에 따라 소켓(126)은 전후방지지대(116,118) 및 이에 부속된 좌석(110)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때 전동 모터, 변속 장치 및 나사축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각도 변경을 겪게 된다. 도 13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좌석(110) 및 소켓(126)은 도 11b에 해당되는 휠체어의 저면도이다.
나사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소켓(126)은 다시 변속장치(122)를 향하여 나사축(124)을 따라 이동되고 전후방 지지대(116,118) 및 이에 부속된 좌석(110) 또한 원래의 높이 및 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급 승용차에 적용되어 왔던 좌석 조정시스템이 더욱 제공된다. 즉, 좌석의 시트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시트를 등받이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더욱 제공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한 구성은 공지의 것이 응용될 수 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휠체어의 사용자는 휠체어로부터 이탈하여 자동차 또는 방, 소파 또는 바닥으로 이동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즉, 스위치를 작동하여 좌석을 하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방바닥과 같은 저지점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역도 마찬가지가 된다. 또한, 차량에 탑승시에 좌석을 전진 이동시키게 되면(도 1 또는 도 3 참조), 자동차의 도어 휀더에 걸리지 않고 차량 시트에 보다 인접한 상태까지 접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휠체어 탑승자는 보다 용이하게 차량에 오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역도 마찬가지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에 마련되는 용변 구멍에 의해 휠체어를 이탈하지 아니하고도 용변을 볼 수 있게 되어 거동이 거의 불가한 중환자 등에게 상당히 바람직하며, 보호자의 힘겨운 도움 없이도 용변을 볼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Claims (4)

  1. 좌석(15), 등받이(40) 및 바퀴(2,4)를 가지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6)과;
    상기 하부 프레임(6)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고정 프레임(8)과;
    상기 직립 고정 프레임(6) 상에 세로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나사축(26) 및 가이드 봉(36a,36b)과; 상기 나사축(26)과는 나사결합하며 상기 가이드 봉과는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1 블럭(32)과; 상기 나사축(26)으로 하여금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전동 모터(28)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블럭(3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등받이 프레임(12) 및 좌석 지지 프레임(16)과;
    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저부에 좌석 저부를 향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판 지지 프레임(50) 및 그의 상면에 고정되는 발판(48)과;
    상기 제 1 전동 모터(2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4)와;
    상기 승강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저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나사축(58a,58b)과; 상기 나사축(58a,58b)을 회전시키는 제 2 전동 모터(56)와;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좌석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블럭(60a,60b)을 포함하는 좌석 이송장치와;
    상기 좌석 이송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15)은 그의 가운데에 용변을 위한 용변 구멍(64) 및 그에 개폐되는 뚜껑(6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4. 기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 구동장치가 후방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108)과;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8)의 후방 상부에 연결되는 후방 지지대(116)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연결되는 전방 지지대(118)와;
    상기 전방 지지대(116)와 상기 후방 지지대(118)가 평행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는 좌석 지지프레임(112)과;
    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좌석(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동 모터 고정 파이프(128)와;
    상기 파이프(128) 상에 회전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동 모터(120) 및 변속 장치(122a,122b)와; 상기 변속 장치(122a,122b)의 출력부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 나사축(124a,124b)과;
    일측은 상기 회전 나사축(122a,122b)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후방 지지대(116)의 상단에 회전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켓(126a,126b)과;
    상기 전동 모터(12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경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20000035777A 2000-06-27 2000-06-27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KR20020001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777A KR20020001293A (ko) 2000-06-27 2000-06-27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KR2020000018367U KR200205018Y1 (ko) 2000-06-27 2000-06-28 구조변경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2020000018366U KR200205017Y1 (ko) 2000-06-27 2000-06-28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777A KR20020001293A (ko) 2000-06-27 2000-06-27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367U Division KR200205018Y1 (ko) 2000-06-27 2000-06-28 구조변경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2020000018366U Division KR200205017Y1 (ko) 2000-06-27 2000-06-28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293A true KR20020001293A (ko) 2002-01-09

Family

ID=1967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777A KR20020001293A (ko) 2000-06-27 2000-06-27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129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21B1 (ko) * 2008-08-08 2009-02-11 주식회사 세광테크 전동 휠체어
KR100979464B1 (ko) * 2008-05-08 2010-09-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KR101012734B1 (ko) * 2008-10-23 2011-02-09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KR101708123B1 (ko) * 2015-09-03 2017-02-22 송훈민 휠체어
KR20210032870A (ko) 2019-09-17 2021-03-25 토도웍스 주식회사 휠체어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64B1 (ko) * 2008-05-08 2010-09-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KR100883421B1 (ko) * 2008-08-08 2009-02-11 주식회사 세광테크 전동 휠체어
KR101012734B1 (ko) * 2008-10-23 2011-02-09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KR101708123B1 (ko) * 2015-09-03 2017-02-22 송훈민 휠체어
KR20210032870A (ko) 2019-09-17 2021-03-25 토도웍스 주식회사 휠체어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252B1 (en) Passenger standing platform on a powered wheelchair
US4483653A (en) Wheelchairs
US7905306B2 (en) Home care equipment system
KR102269093B1 (ko)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JP2013530740A (ja) 移動支援機器
JP2748227B2 (ja) 電動式車椅子
KR20160142548A (ko)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ES2266914T3 (es) Unidad de pedal regulable para el vehiculo a motor.
GB2069969A (en) Wheelchairs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US4542917A (en) Wheelchairs
EP1951180B1 (en) Wheelchair
JP2004321630A (ja) 電動車椅子
KR102107236B1 (ko)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20020001293A (ko)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CN112137809A (zh) 多功能室内助老椅
US5875501A (en) Patient lift
KR200205017Y1 (ko)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CN213311003U (zh) 一种轮椅
JP2001070350A (ja) 車椅子
JP2003334216A (ja) 車椅子
KR200205018Y1 (ko) 구조변경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200372818Y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휠체어
JP3613795B2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