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52Y1 -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52Y1
KR200193152Y1 KR2020000006799U KR20000006799U KR200193152Y1 KR 200193152 Y1 KR200193152 Y1 KR 200193152Y1 KR 2020000006799 U KR2020000006799 U KR 2020000006799U KR 20000006799 U KR20000006799 U KR 20000006799U KR 200193152 Y1 KR200193152 Y1 KR 200193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tex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7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정준
Original Assignee
한화전자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08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22413B1/en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전자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전자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6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5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52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0Scan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캐너의 기능을 구비하여 입력된 문자를 인식한 후 원하는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a function of a scanner and recognizes an input text and converts it into a desired voice or text data.

문서를 읽어들이는 스캐닝부; 상기 스캐닝부의 동작에 의해 입력된 문서에 포함된 문자의 찌그러짐 등을 보정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팩스 데이터 등으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사용자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 및 수신자를 결정하는 다이얼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스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자의 상태를 인식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canning unit for reading a document;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haracter by correcting distortion of a character included in a document input by an operation of the scanning unit; A dat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text data recognized by the text recognition unit into voice data, text data, fax data, and the lik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data converted by the data converter;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by a user and a dial signal for determining a receiver; A microcomput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recognizing the state of the receiver; And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 {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A text process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너의 기능을 구비하여 입력된 문자를 인식한 후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a function of a scanner to recognize an input character and convert it into a desired form. It is about.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이용계층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는 휴대가 간편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원하는 상대자와 통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신속한 정보전달이 필요한 계층에서는 그 사용이 더욱더 늘어나고 있다.Rece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use class has been widening regardless of gender.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easy to carry and can talk with a desired partner without regard to time and place. Therefore,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in a layer requiring rapid information transf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품질의 개선측면에서는 상당한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특정분야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추가분야에는 큰 발전이 없는 형편이다. 예를 들어, 청각 장애인이나 농아 장애인의 통화를 위한 기능의 추가가 없으며, 사용자의 이동 중 신속한 문서의 송신을 위한 기능의 추가에 대한 연구가 없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veloped with considerable technology in terms of improving call quality.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 additional field of functions that can be used for a specific field. For example, there is no addition of a function for a call of a deaf or deaf person, and there is no research on the addition of a function for a quick document transmission while a user moves.

결국,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만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특정 장애인들은 사용이 불가능하여 그 사용계층이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문자 데이터의 전송은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신속한 문서의 송신이 필요한 사용자들에게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mply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data, so that specific handicapped people cannot use it, so the use layer is limited, and text data cannot be transmitted. There is a problem that inconvenience in use occurs for these users.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가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만이 가능하여 컴퓨터 및 팩스와는 연결이 안되어 그 기능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only a call with a telephon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a normal home or off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is limited because it is not connected to a computer and a fax.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문자인식을 위한 스캐너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계층의 구분없이 모든 사람의 통화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add a scanner function for text recogn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xt data can be made quickly without any distinction of the user lay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x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s a human call.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수신자에게 알맞은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컴퓨터, 팩스, 가정용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송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x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verting the input text data into a form of voice data or text data suitable for a receiver and transmitting it to a computer, a fax machine, a home teleph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To provid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xt data processing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tex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캐닝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한 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orm in which a scan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는 본 고안을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notebook comput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스캐닝부 20 : 문자인식부10: scanning unit 20: character recognition unit

30 : 데이터 변환부 40 : 메모리부30: data conversion section 40: memory section

50 : 키입력부 60 : 마이컴50: key input unit 60: microcomputer

70 : 송수신부 80 : 디스플레이부70: transceiver 80: displa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문서를 읽어들이는 스캐닝부; 상기 스캐닝부의 동작에 의해 입력된 문서에 포함된 문자의 찌그러짐 등을 보정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팩스 데이터 등으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사용자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 및 수신자를 결정하는 다이얼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스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자의 상태를 인식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canning unit for reading a document;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haracter by correcting distortion of a character included in a document input by an operation of the scanning unit; A dat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text data recognized by the text recognition unit into voice data, text data, fax data, and the lik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data converted by the data converter;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by a user and a dial signal for determining a receiver; A microcomput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recognizing the state of the receiver; And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이때,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전화기용 음성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용 음성 데이터, 컴퓨터용 문자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용 문자 데이터, 팩스용 문자 데이터 중 어느 형태로 변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이터 형태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may convert the text data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into voice data for a telephone, voice dat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xt data for a compu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data type selection means for determining which type of character data or fax character data to convert.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캐닝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한 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을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xt data processing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processing tex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canning unit is coupl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notebook computer.

상기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일반적으로 그 구성 및 기능이 널리 알려진 문서를 읽어들이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된 스캐닝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스캐닝부(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reference numeral 10 generally has a function of reading a document whose structure and function are well known, and indicates a scanning unit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for easy portability. In this case, the scanning unit 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A) of FIG. 3, and a separate connector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B) of FIG. Detachable through can be formed in a detachable form.

또한, 참조번호 20은 상기 스캐닝부(10)의 동작에 의해 입력된 문서에 포함된 문자의 찌그러짐 등을 보정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를 나타내고, 30은 상기 문자 인식부(20)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팩스 데이터 등으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를 나타내고, 40은 상기 데이터 변환부(30)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나타내고, 50은 사용자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 및 수신자를 결정하는 다이얼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를 나타낸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character recognizer that recognizes a character by correcting distortion of characters included in a document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scanning unit 10, and 30 denotes a character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zer 20. A dat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ext data into voice data, text data, fax data, and the like, 40 denotes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converted by the data conversion unit 30, and 50 denotes an external control signal by a user and A key input section for inputting a dial signal for determining the receiver.

또한, 참조번호 60은 상기 키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스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자의 상태를 인식하는 마이컴을 나타내고, 70은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나타내고, 80은 시스템의 동작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50, and recognizes the status of the receiver, and 70 denotes a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perfor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ignal, and 80 denot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progress state of the system.

이때, 상기 키입력부(50)는 상기 문자 인식부(20)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30)에서 전화기용 음성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용 음성 데이터, 컴퓨터용 문자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용 문자 데이터, 팩스용 문자 데이터 중 어느 형태로 변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이터 형태 선택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key input unit 50 converts the text data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0 into the voice data for the telephone, the voice dat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xt data for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ata type selection means (not shown) for determining which type of character data or fax character data to conver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ure 2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상기 스캐닝부(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서를 읽어들이면(S1 참조), 상기 문자 인식부(20)에서는 문자를 인식하게 된다.(S2 참조) 이때, 상기 문자 인식부(20)에는 문자 보정회로가 구비되어 있어서, 문서 작성자에 의한 글씨체에 관계없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되며, 여러 라인의 문자를 동시에 스캐닝하여 동일한 라인이 다수회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라인을 1회만 인식하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된다.First, when a user reads a document using the scanning unit 10 (see S1),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0 recognizes a character. (See S2) In this case,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0 A character correction circuit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function for recognizing a document regardless of a font by a document creator, and scanning a character of several lines at the same time so as to recognize the line only once when the same line is input multiple times. Function is included.

그후, 상기 문자 인식부(20)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30)에서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킨다.(S3 참조) 이때,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화기용 음성 데이터, 개인이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음성 데이터, 차량에 부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음성 데이터,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용 문자 데이터, 개인이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문자 데이터, 차량에 부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문자 데이터, 팩스용 문자 데이터 등 수신이 가능한 장치에 대응하는 모든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text data recognized by the text recognition unit 20 is converted into voice data or text data by the data conversion unit 30 (see S3). The voice dat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oice dat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ed to the vehicle, the text data for the desktop or notebook computer, the text dat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individual, the text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ed to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he data into any form corresponding to a device that can receive data such as text data for fax.

상기와 같은 데이터 변환 과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각각의 형태로 변환된 데이터들은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부(40)에 저장된다.(S4 참조)When the data convers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the data converted into the respective forms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4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see S4).

그후,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50)를 통해 수신자의 번호를 입력시키면 즉, 수신자를 결정하면(S5 참조), 상기 마이컴(60)에서는 상기 메모리부(40)로부터 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데이터를 호출하여 송수신부(70)를 통해 송신한다.(S6 참조)Then, when the user inputs the recipient's numb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50, that is, determines the recipient (see S5), the microcomputer 60 receives data of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from the memory unit 40. Call and transmit via the transceiver 70 (see S6).

이때, 사용자가 수신자 즉,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팩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부(40)에서 호출할 송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이컴(60)에 수신자를 먼저 호출한 후 수신자가 컴퓨터인지, 이동통신 단말기인지, 팩스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자동으로 상기 메모리부(40)로부터 수신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호출하여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one of a receiver, that is, a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ax to determine whether data to be transmitted is voice data or text data, and determine transmission data to be called in the memory unit 40. . However, the microcomputer 60 includes a function of confirming whether the receiver is a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fax machine after calling the receiver first, and automatically call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from the memory unit 40.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he data.

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부(80)에서는 동작의 진행상태가 표시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ile the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the display unit 80 displays a progress state of the operation, and displays text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operation.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can grow up easily.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이 가능한데,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닝부를 제외한 부가적인 기능 즉, 문자인식 기능, 데이터 변환 기능, 메모리 기능 등은 모두 노트북 컴퓨터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notebook computer, but additional functions except for the scanning unit, that is,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a data conversion function, The memory functions can all be performed on the notebook computer.

또한, 일반적인 컴퓨터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마우스에 스캐너의 기능을 추가하여 본 고안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dding a scanner function to a mouse that is connected to a general compu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스캐너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신속한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획기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x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the breakthrough information transmission by adding a scanner fun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quickly transmit and receive text data.

또한, 본 고안은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수신자에게 알맞은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청각 장애인 또는 농아 장애인의 통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rt the input text data into a form of voice data or text data suitable for the receiver and transmit the text data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ke a call of a deaf or handicapped person possible.

또한, 본 고안은 차량용 및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여 이동중에도 신속한 업무의 전달이 가능하고, 문자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문서를 별도로 타이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vehicle and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quickly transfer the work on the go, and to eliminate the hassle of having to type the document separately when converting the text data to the desktop or notebook compu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Claims (2)

문서를 읽어들이는 스캐닝부; 상기 스캐닝부의 동작에 의해 입력된 문서에 포함된 문자의 찌그러짐 등을 보정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팩스 데이터 등으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사용자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 및 수신자를 결정하는 다이얼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스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자의 상태를 인식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A scanning unit for reading a document;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haracter by correcting distortion of a character included in a document input by an operation of the scanning unit; A dat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text data recognized by the text recognition unit into voice data, text data, fax data, and the lik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data converted by the data converter;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by a user and a dial signal for determining a receiver; A microcomput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recognizing the state of the receiver; And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전화기용 음성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용 음성 데이터, 컴퓨터용 문자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용 문자 데이터, 팩스용 문자 데이터 중 어느 형태로 변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이터 형태 선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The key input unit may convert the text data recognized by the text recognition unit into any one of voice data for a telephone, voice dat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xt data for a computer, text dat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ext data for a fax. Character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 type selec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convert.
KR2020000006799U 2000-03-04 2000-03-10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KR2001931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799U KR200193152Y1 (en) 2000-03-04 2000-03-10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857A KR100322413B1 (en) 2000-03-04 2000-03-04 A processing module and the method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KR2020000006799U KR200193152Y1 (en) 2000-03-04 2000-03-10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857A Division KR100322413B1 (en) 2000-03-04 2000-03-04 A processing module and the method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52Y1 true KR200193152Y1 (en) 2000-08-16

Family

ID=2663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799U KR200193152Y1 (en) 2000-03-04 2000-03-10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52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516A (en) * 2001-03-29 2002-10-11 한종순 Portable Phone Having Image Scanner
KR100399016B1 (en) * 2000-12-28 2003-09-22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IMT-2000 utilization a document cognition/a voice recitation means
KR20030081741A (en) * 2002-04-12 200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ersonal hand-held terminal and image cognition method thereof
KR20030094708A (en)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Character awareness administration method to use camera
KR100413274B1 (en) * 2001-11-05 2004-01-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for executing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n mou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016B1 (en) * 2000-12-28 2003-09-22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IMT-2000 utilization a document cognition/a voice recitation means
KR20020076516A (en) * 2001-03-29 2002-10-11 한종순 Portable Phone Having Image Scanner
KR100413274B1 (en) * 2001-11-05 2004-01-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for executing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n mouse
KR20030081741A (en) * 2002-04-12 200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ersonal hand-held terminal and image cognition method thereof
KR20030094708A (en)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Character awareness administration method to use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12769B (en) Computers integrated with a cordless telephone
KR100207710B1 (en) Printing apparatus for pda and method therefor
US20040073432A1 (en) Webpad for the disabled
KR10036586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200193152Y1 (en) A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KR100322414B1 (en) A transmission system of letter data using mobile phone
KR100346745B1 (en) A input module and the method of letter data using electronic pen for mobile phone
KR100322413B1 (en) A processing module and the method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JP2004015250A (en) Mobile terminal
KR200600055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 in a terminal with a keypad
KR100603809B1 (en) Input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electronic pen
KR200277255Y1 (en)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JP2007114582A (e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49439B1 (en) Processing module of letter data for mobile phone
KR20060060191A (en) Method for inputting text by recognizing voice in mobile phone
EP1265428A2 (en) Method of processing an outgoing call and transmitting digit code in a telephone
KR100632142B1 (en) Scan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0282990A (en) Method of text input and device therefor
JP5010302B2 (en) Key telephone of button telephone apparatus and display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0501896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to Input/Output Braille
KR10067515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ternet bank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7430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ctionary using mobile phone
JP2004080396A (en) Information transfer system
KR200190021Y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by use of dial-tone
KR100689815B1 (en) Method for short message transmission using substitue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