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599Y1 - A discharge handle bar equipment - Google Patents

A discharge handle ba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99Y1
KR200188599Y1 KR2020000003494U KR20000003494U KR200188599Y1 KR 200188599 Y1 KR200188599 Y1 KR 200188599Y1 KR 2020000003494 U KR2020000003494 U KR 2020000003494U KR 20000003494 U KR20000003494 U KR 20000003494U KR 200188599 Y1 KR200188599 Y1 KR 200188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ush button
casing
hoo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4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스오 호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99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Weather or dirt protection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들장치를 문에 부착시킬 때 핸들장치의 케이싱과 문 사이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수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1)과, 선단이 케이싱(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우는 기복(起伏)가능한 핸들(2)과, 문(t)의 내면측에 배치되는 고정판(52)을 구비한다. 케이싱(1)에 배전반 박스 등의 문(t)의 외면측에 배치되는 플랜지(15)를 설치하고, 플랜지(15)의 하면과 고정판(52) 사이에서 문(t)을 클램프한다. 플랜지(15)의 하면과 문(t)의 외면측 사이에 패킹(16)를 배치하고, 플랜지(15)의 하면에 돌출부(17)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17)에 의해 플랜지(15)의 하면의 다른 부분보다도 패킹(16)이 강하게 압축되어 수밀성이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handle device for improving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casing of the handle device and the door when attaching the handle device to the door, so that the casing (1) and the tip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 It is provided with the up-and-down handle 2 which can be stood, and the fixing plate 52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The casing 1 is provided with the flange 15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such as a switchboard box, and clamps the door t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and the fixing plate 52. The packing 16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and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and the protrusion part 17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s 17 compress the packing 16 more strongly than oth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thereby improving watertightness.

Description

방수용 핸들장치{a discharge handle bar equipment}Waterproof handle device {a discharge handle bar equipment}

본 고안은 배전반의 수납케이스의 문 등을 개폐할때의 손잡이가 되는 개폐용 핸들로서, 특히 방수성을 향상시킨 방수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andl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storage case of the switchboard,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waterproof handle device for improved waterproof.

종래부터 이 종류의 핸들은 배전반의 수납케이스의 문의 전면 등에 부착되는 손잡이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고, 평상시에는 문의 전면 등과 대략 면일하게 배치되고, 개폐시에 핸들을 세워 손잡이로서 사용된다.Conventionally, this kind of handle has been widely used as a handle attached to the front of a door of a storage case of a switchboard, and is usually disposed almost identically to the front of a door, and used as a handle to raise a handle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이 종류의 핸들은 배전반 내부의 전기기기에 물이 들어가면 좋지 않기 때문에 핸들의 부착부분으로부터 수납케이스 내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이유로 케이싱에 설치된 플랜지의 하면에 패킹을 배치하여 문과의 사이의 수밀성을 높이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단순히 패킹을 배치하는 것 만으로는 수밀성이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더욱 수밀성을 향상시킨 핸들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Since this type of handle does not need water to enter the electrical equipment inside the switchboard, it is desirable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storage case from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handle. For this reason, the packing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rovided in the casing, and the watertightness with a door is improved. 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the watertightness is not sufficiently exerted simply by arranging the packing.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the handle apparatus which improved the water tightness further is calculated | required.

한편 이 개폐용 핸들에는 간단한 손잡이로서 이용되는 것, 손잡이로서의 기능에 덧붙여서 문과 케이스 등의 문지지체와의 걸어맞춤을 걸거나 벗겨 문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 또 문을 닫힌 상태로 잠그는 기능을 구비한 것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 closing handle is used as a simple handle, and in addition to its function as a handle, it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engaging or peeling the door support body such as a door and a case to fix the door in a closed state, and the door is closed. And a locking function.

이들 개폐용 핸들에는 선단측이 케이싱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우는 기복가능한 핸들을 갖고, 누름버튼을 누름으로써 핸들과 케이싱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있다.These opening / closing handles have a swivelable handle that has its tip side rais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asing, and the latching state of the handle and the casing is releas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그리고 이 누름버튼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 3032362호와 같이 케이싱측에 설치된 것과, 일본국 실공평 6-36200호나 일본국 특개평 8-232512호 등과 같이 핸들측에 설치된 것이 있다.The push button is provided at the casing side, for example, in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32362, and at the handle side, such as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6-36200,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8-232512, and the like.

이들 어떤 경우라도 개폐용 핸들장치는 핸들을 잡고 당긴다는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전체의 크기는 매우 소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y of these cases, it is desi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device be made extremely small in size so long as the function of holding and pulling the handle is not impaired.

이 점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 3032362호와 같이 누름버튼을 케이싱측에 설치하는 것 보다도 일본국 실공평 6-36200호나 일본국 특개평 8-232512호와 같이 누름버튼을 핸들측에 설치하는 편이 유리하다. 즉 양자의 케이싱의 길이가 같다고 하면 누름버튼을 핸들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핸들의 전체길이는 누름버튼을 포함한 길이로 할 수 있다. 한편, 누름버튼을 케이싱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누름버튼의 길이만큼 핸들의 전체길이가 짧아지고, 핸들을 잡고 당기는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전체길이를 확보하기가 곤란하다.In this regard, it is more advantageous to install the push button on the handle side than in Japanese Utility Model No. 6-36200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232512 than to install the push button on the casing side as in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32362. Do. In other words, if the lengths of the casings are the same, the total length of the handle can be the length including the push button when the push button is provided on the handle 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ush button is provided on the casing side, the overall length of the handle is shortened by the length of the push button,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total length of the handle holding and pulling function.

그리고 일본국 실공평 6-36200호와 일본국 특개평 8-232512호를 비교하면 일본국 실공평 6-36200호는 잠금기구가 케이싱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대하여, 일본국 특개평 8-232512호는 잠금기구도 핸들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케이싱 전체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핸들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In comparison with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6-36200 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8-23251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6-36200 has a locking mechanism installed on the casing side. The locking mechanism is also provided on the handle sid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entire casing can be downsized and the handle length can be increased.

이 일본국 특개평 8-232512호는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a)와 잠금기구(b)가 핸들(c)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 누름버튼(a)은 핸들(c)의 선단측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누름버튼(a)을 누름으로서 누름버튼(a)이 회전운동하여 그 하단의 후크(d)와 케이싱(e)에 설치된 걸림부(f)의 걸어맞춤이 빠져 핸들(c)이 세워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232512, as shown in Figs. 11 and 12, a push button (a) and a locking mechanism (b) are provided on a handle (c), and this push button (a) is a handle. It is axially supported by the front end side of (c) so that rotation movement is possible. Then, by pressing the push button (a), the push button (a) is rotated so that the hook (d) of the lower end and the engaging portion (f) installed on the casing (e) is released and the handle (c) is raised. It becomes a state.

그런데 이 일본국 특개평 8-232512호에서는 누름버튼(a)이 핸들(c)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는 결과, 누름버튼(a)의 선단(g)과 케이싱(e)의 간격(m1)을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즉 누름버튼(a)이 회전운동축(h)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결과, 누름버튼(a)의 선단(g)은 원운동을 하고, 도 12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누른 상태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낸 원래의 상태보다 선단측(도 12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이동을 허용하는 만큼인 간격(m1)을 누름버튼(a)의 선단(g)과 케이싱(e) 사이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232512, the push button a is axially supported by the handle c so as to be rotatable, and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g of the push button a and the casing e ( m1) needs to be taken large. That is, as the push button a rotates about the rotational axis h, the tip g of the push button a makes a circular motion, and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It moves to the front end side (left side in FIG. 12) rather than the original state shown by FI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terval m1 as much as to allow this movement between the tip g of the pushbutton a and the casing e.

이 간격(m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c)의 다른 부분과 케이싱(e) 사이의 간격(m2)보다 커서 핸들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것이다.This spacing m1 is larger than the spacing m2 between the other part of the handle c and the casing e as shown in FIG. 11, which hinders the miniaturization of the entire handle device.

물론 핸들(c)은 그 기단측(도 11에서는 상측)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기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복시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만큼의 간격을 누름버튼(a)의 선단(g)과 케이싱(e) 사이에 설치해 둘 필요가 있지만, 누름버튼(a)의 선단(g)과 핸들(c)의 기복용 회전운동축 사이의 거리는 누름버튼(a)의 선단(g)과 그 회전운동축(h)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수배의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c) 전체의 기복시의 회전운동만을 생각하면 누름버튼(a)의 선단(g)과 케이싱(e) 사이의 간격(m1)은 그 수분의 1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since the handle c rotates about its proximal side (upper side in FIG. 11) and ups and downs, the front end g of the push button a and the casing ( e),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g of the pushbutton a and the up and down rotation axis of the handle c is equal to the tip g of the pushbutton a and the axis of rotation thereof ( It is several times as long as the distance between h). Therefore, considering only the rotational movement during the ups and downs of the handle c as a whole, the distance m1 between the tip g of the pushbutton a and the casing e can be reduced to one of its moisture.

더구나 이와 같은 큰 간격(m1)이 있으면 그 부분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못된 장난을 할 우려가 높아져서 보안상으로도 불안감을 남긴다.Moreover, if there is such a large interval (m1), there is a high risk of mischief by inserting a driver or the like in the portion, leaving anxiety even in security.

그런데 누름버튼과 같은 작은 부품은 핀에 의해 핸들이나 케이싱등의 큰 부품에 부착시키는 것이 부착공정상 유리하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 8-232512호에서도 누름버튼을 회전운동식으로 한 이유의 하나로 상기 이점을 들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 핀으로 부착하면 누름버튼이 회전운동하는 구조가 되어버려 상술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특히 누름버튼을 핸들의 최선단에 설치하는 경우 등에서는 누름버튼의 선단측은 개방되어 있고, 전체 둘레로부터 누름버튼을 안내할 수 없기 때문에 누름버튼이 회전운동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가 매우 곤란하다.However, it is advantageous in the attachment process to attach small parts such as pushbuttons to large parts such as handles and casings by pins.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232512 also considers the above advantages 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push button being a rotary motion type, but when it is attached with a pin, the push button becomes a rotary motion structure, which caus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 In particular, when the push button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handle, the front end of the push button is open, and it is very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ush button rotates because the push button cannot be guided from the entire circumference.

본 출원의 제 1, 제 2 고안은 문과 핸들장치의 케이싱과의 사이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1st, 2nd invention of this application aims at improving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door and the casing of a handle apparatus.

본 출원의 제 3, 제 4 고안은 상기의 목적과 함께 선단이 케이싱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우는 기복가능한 핸들을 갖고, 핸들에 설치된 누름버튼을 누름으로써 핸들과 케이싱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누름버 튼 주변의 빈틈을 작게 하여 핸들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과 아울러, 못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용 핸들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an ups and downs handle which is set so that the tip protrudes upwardly from the casing with the above object, and the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andle and the casing is releas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handle. In a device, a pus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lebar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at can reduce the gap around the tongue to reduce the size of the handlebar device and to prevent mischief.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용 핸들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same

도 3은 동 중앙종단면도Figure 3 is a centr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도 4는 도 2의 IV-IV선 절단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도 5는 동 개폐용 핸들장치의 요부저면도Figure 5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me.

도 6은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의 핸들 및 케이싱의 선단측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end view of the handle and the casing without pressing a button;

도 7은 버튼을 누른 상태의 핸들 및 케이싱의 선단측 단면도7 is a front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handle and the casing while the button is pressed;

도 8은 잠금상태의 핸들 및 케이싱의 선단측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end view of the handle and the casing in a locked state;

도 9는 핸들의 선단측 사시도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잠금상태의 핸들 및 케이싱의 선단측 단면도10 is a front end side sectional view of a handle and a casing in a lock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은 종래의 개폐용 핸들장치의 정면도1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opening and closing handle device

도 12는 동 요부단면도12 is a main sectional view of the same par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케이싱 2 : 핸들1: casing 2: handle

6 : 잠금장치 7 : 누름버튼6: locking device 7: push button

8 : 후크 11 : 수납오목부8: hook 11: storage recess

12 : 걸림부 15 : 플랜지12: engaging portion 15: flange

16 : 패킹 17 : 돌출부16: packing 17: protrusion

21 : 버튼수납부 22a, 22b : 맞닿음부21: button storage portion 22a, 22b: abutting portion

52 : 고정판 53 : 고정부52: fixing plate 53: fixing part

72a, 72b : 슬라이드부 74 : 부착부재72a, 72b: slide portion 74: attachment member

t : 문t: door

따라서 본 출원의 제 1의 고안은 케이싱(1)과, 선단이 케이싱(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우는 기복가능한 핸들(2)과, 문(t)의 내면측에 배치되는 고정판(52)을 구비하고, 이 케이싱(1)이 배전반 박스등의 문(t)의 외면측에 배치되는 플랜지(15)를 구비하고, 플랜지(15)의 하면과 고정판(52) 사이에서 문(t)을 클램프함으로써, 문(t)에 케이싱(1)가 고정되는 개폐용의 핸들장치에 있어서, 플랜지(15)의 하면과 문(t)의 외면측 사이에 패킹(16)이 배치되고, 플랜지(15)의 하면에 돌출부(17)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17)가 플랜지(15) 하면의 다른 부분보다도 패킹(16)를 강하게 압축한 상태로 문(t)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핸들장치를 제공한다.Thus, the first desig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asing 1, a swivelable handle 2 which the tip is rais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 and a fixed plate 52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 The casing (1) is provided with a flange (15)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such as a switchboard box, the door (t)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and the fixed plate (52) In the handl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in which the casing 1 is fixed to the door t, the packing 16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and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15. A projection 17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15, and the projection 17 is attached to the door t in a state where the packing 16 is strongly compressed than oth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Provide a handle mechanism.

본 출원의 제 2의 고안은 제 1의 고안에 관한 방수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2) 또는 케이싱(1)에 누름버튼(7)이 설치되고, 이 누름버튼(7)을 누름으로써 핸들(2)과 케이싱(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핸들(2)이 세워지는 것이며, 상기 플랜지(15)가 케이싱(1)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돌출부(17)가 플랜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 돌조(17)이고, 이 돌조(17)를 포함하는 플랜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패킹(16)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waterproof h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the push button 7 is installed on the handle 2 or the casing 1, and the push button 7 is pressed to release the handle ( 2)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casing (1) is released, the handle (2) is erected, the flange (15)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asing (1), the projection (17) of the flange (15) It is provided that the protrusions 17 are continuously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the packing 16 is dispos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15 including the protrusions 17.

본 출원의 제 3 고안에서는 제 2 고안에 관한 방수용 핸들장치에서 상기 케이싱(1)이 누운 상태의 핸들(2)을 수납하는 수납오목부(11)와, 이 수납오목부(11)에 설치되어 누운 상태의 핸들(2)을 거는 걸림부(12)를 구비하며, 핸들(2)이 그 선단측의 상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버튼(7)과, 상기 걸림부(12)에 거는 것에 의해 핸들(2)이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8)와, 누름버튼(7)의 동작을 후크(8)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누름버튼(7)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출몰하는 것이며, 전달기구가 누름버튼(7)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버튼(7)을 하방으로 움직이는 동작방향을 변경하여 후크(8)에 전달함으로써 후크(8)를 걸림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케이싱(1)에 설치된 걸림부(12)와 후크(8)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In the third desig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waterproof h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design, the housing recess 11 for accommodating the handle 2 in a state where the casing 1 is laid down and the storage recess 11 are provided. It is provided with the locking part 12 which hangs the handle 2 in the lying state, and it hangs on the push part 7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side, and the locking part 12 and the locking part 12. A hook 8 for preventing the handle 2 from protruding upward,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7 to the hook 8, and the push button 7 slides up and dow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direction of moving the hook 8 away from the locking portion 12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ush button 7 downward by the pushing action of the push button 7 and transferring it to the hook 8. To release the engaging portion 12 and the hook (8) installed in the casing (1) To provide.

본 출원의 제 4 고안에서는 상기 제 3 고안에 관한 개폐용 핸들장치에서 후크(8)가 횡방향으로 후퇴하여 케이싱(1)의 걸림부(12)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이며, 전달기구가 구배를 이용함으로써 누름버튼(7)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버튼(7)이 하방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가로방향의 동작으로 바꾸어 후크(8)에 전달하는 것이며, 핸들(2)이 시정장치(6)를 구비하여 이 시정장치(6)의 고정부(63)에 의해 전진상태의 후크(8)를 후퇴불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후크(8)와 걸림부(12)가 걸린 상태로 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In the fourth design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ook 8 is retracted laterally in the handl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third design so that engagement with the locking portion 12 of the casing 1 is released,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is gradient By using the push button 7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7 to move the downward movemen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ransfer to the hook (8), the handle (2) the correcting device (6)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8 and the locking portion 12 is locked in a locked state by fixing the hook 8 in a forward state without retreating by the fixing portion 63 of the locking device 6. to provide.

또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가로의 관계는 상대적인 위치관계만을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가로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뿐만아니라 전후라도 상관없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 down, and lateral is merely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and does not specify an absolute position. In addition, horizontal means the direction which crosses with respect to an up-down direction, and it may be back and forth as well as right and left.

( 실시예 )(Example)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용 핸들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동측면도이고, 도 3은 동 중앙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IV선 절단단면도이고, 도 5는 동 개폐용 핸들장치의 요부배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의 좌측을 선단측, 우측을 기단측, 상측을 상방, 하측을 하방으로 하여 설명한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ame, Figure 3 is a centr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V-IV line of Figure 2, Figure 5 Is a main rear view of the handl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m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ft side of Fig. 3 will be described as the front end side, the right side as the proximal side, the upper side a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the lower side.

우선 이 핸들장치는 손잡이로서의 기능에 덧붙여, 핸들장치가 부착된 문과, 케이스 등의 문지지체와의 걸어맞춤을 걸거나 벗겨 문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기능과, 또 문을 닫힌 상태로 잠그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as a handle, the handle mechanism can be used to lock the door in a closed state by engaging or peeling the door with the handle device and a door support such as a case and locking the door in the closed state. It is equipped.

이 핸들장치는 케이싱(1)과, 핸들(2)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것이고, 케이싱(1)의 수납오목부(11)에 핸들(2)이 기복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핸들(2)은 선단측이 케이싱(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체(3)(도 3에 도시)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이 탄성체(3)의 작용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지는 것이다.The handle device is composed of a casing 1 and two parts of the handle 2, and the handle 2 is undulated in the storage recess 11 of the casing 1. The handle 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3 (shown in FIG. 3) such that the tip side thereof projects upward from the casing 1, and as shown in FIG. 2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body 3. It is built.

이 핸들(2)은 세워진 상태에서 사람의 손으로 대략 좌우방향(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켜짐으로써 핸들장치가 부착된 문 등(도시생략)과, 케이스 등의 문지지체(도시생략)와의 걸어맞춤을 걸거나 벗기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1)의 기단측(도 3의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자(4)에 핸들(2)의 기단측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41이 핸들(2)을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회전운동축이다. 따라서 핸들(2)은 회전운동축(4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기복하고, 세워진 상태에서 회전자(4)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좌우방향의 회전에 따라 회전자(4)의 하단측에 고정된 회전체(42)가 회전하여 케이스 등의 문지지체(도시생략)와의 걸어맞춤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행해진다.The handle 2 is rotated in the standing s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FIG. 1) with a human hand, so that a door device (not shown) with a handle device is attached (not shown), and a door support body such as a case (not shown). Is engaged or removed). Specifically, the base end side of the handle 2 is axially supported on the rotor 4 rotatably attached to the base end side (right side in FIG. 3) of the casing 1 so as to be rotatable. 41, which is shown in FIG. 3, is a rotary shaft for supporting the handle 2 in a rotatable manner. Therefore, the handle 2 is rotated around the axis of rotation axis 41 to undulate,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4 in the standing state. The rotary body 42 fix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rotor 4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engagement with a door support body (not shown) such as a case is performed directly or indirectly.

이 핸들장치를 문(t)에 부착하는 것은 케이싱(1)의 하면중앙에 설치된 나사(51)와 고정판(52)으로 부착된다. 특히 이 핸들장치는 수밀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의 부착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우선 케이싱(1)의 상부의 바깥둘레에는 플랜지(15)가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케이싱(1)에서의 플랜지(15)가 문(t)의 외측에 배치되고, 플랜지(15)보다 아래부분이 문(t)에 설치된 부착구멍(t1)으로부터 문(t)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고정판(5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51)의 삽입구멍(53)을 구비한 부착부(54)와, 이 부착부(54)로부터 전방(도 4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설치부(55)와, 연장설치부의 전방에서 플랜지(15)에 따라 설치된 누름부(56)를 구비한다. 그리고 문(t)의 외측에 배치된 플랜지(15)와, 문의 안쪽에 배치된 누름부(56) 사이에 문(t)을 클램프하여 나사(51)를 조임으로써 케이싱(1)을 문(t)에 고정한다. 그 때 플랜지(15)의 하면(도 4의 하면)에는 수밀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패킹(16)이 배치되고, 이 패킹(16)에 의해 플랜지(15)와 문(t)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서는 플랜지(15)의 하면에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7)는 플랜지(15)의 하면의 다른 부분보다 하방(도 4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51)가 조여져서 플랜지(15)와 누름부(56) 사이에 문(t)과의 사이에서 패킹(16)이 압축될 때 플랜지(15)의 하면의 다른 부분보다도 강하게 압축되어 그 만큼 수밀성이 향상된다.The handle device is attached to the door t by a screw 51 and a fixing plate 5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ing 1. In particular, the handle unit adopts the following attachment structure for enhancing watertightness. First, the flange 15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eriphery of the casing 1. The flange 15 in the casing 1 is disposed outside the door t, and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1 is inserted into the door t from the attachment hole t1 provided in the door t. . The fixing plate 52 has an attachment portion 54 having an insertion hole 53 of the screw 51 as shown in FIG. 4, and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attachment portion 54 to the front (upward in FIG. 4). The installation part 55 and the pressing part 56 provided along the flange 15 in front of the extension installation part are provided. Then, the casing 1 is closed by tightening the screw 51 by clamping the door t between the flange 15 disposed outside the door t and the pressing portion 56 disposed inside the door. ). At this time, a packing 16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FIG. 4) of the flange 15, and the flange 15 and the door () are formed by the packing 16. Ensure water tightness between 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17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17 protrudes downward (downward in FIG. 4) than the oth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the screw 51 is tightened to form a door t between the flange 15 and the pressing portion 56. When the packing 16 is compressed between), the packing 16 is compressed more strongly than other part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so that the watertightness is improved.

이 돌출부(17)는 플랜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되는 돌조로서 형성되고, 이 돌조(돌출부(17))를 포함하는 플랜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패킹(16)이 배치됨으로써 케이싱(1)의 전체 둘레에 걸쳐 뛰어난 수밀성이 확보되는 것이다.The protrusion 17 is formed as a protrusion extending continuousl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15, and the packing 16 is dispos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including the protrusion (projection 17) so that the casing ( Excellent watertightness is secur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1).

플랜지(15)와 문(t)이 평면이면 패킹(16)은 면으로 눌려지므로 누름력이 분산되는 데 대하여, 돌출부(17)를 설치함으로써 돌출부(17)에서의 누름력이 높아져 높은 수밀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부(17)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단속적에 설치하거나 소돌기를 점선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돌조(돌출부(17))는 복수라인(복수개)을 병렬하여 전체 둘레에 형성하고, 2중 혹은 그 이상의 수로 수밀성이 높은 부분을 형성해도 된다.If the flange 15 and the door t are flat, the packing 16 is pressed to the surface, so that the pressing force is dispersed. By providing the protrusion 17, the pressing force at the protrusion 17 is increased to obtain high watertightness. Can b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17 is most preferably provided continuousl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but the watertightness can be improved by intermittently installing or by installing the small protrusions in a dotted line shape. In addition, the protrusions (projections 17) may be formed in the entire circumference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lines (plural), and may form portions having high water tightness in a double or more number.

다음으로 핸들(2)의 선단측에는 잠금장치(6)와, 누름버튼(7)이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누름버튼(7)은 핸들(2)의 최선단에 설치되고, 그 기단측에 잠금장치(6)가 설치된다. 이들의 잠금장치(6)와 누름버튼(7)을 설치하기 위해 핸들(2)의 선단측의 상하두께는 핸들(2)의 중앙부근의 상하두께보다 크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핸들(2)을 잡을 때는 이 잠금장치(6)와 누름버튼(7)을 포함하는 핸들(2) 전체를 잡을 수 있으며, 이들 부재(6, 7)를 포함하여 세운 상태에서 케이싱(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전체가 핸들(2)의 잡는 부분을 구성하게 된다.Next, the locking device 6 and the push button 7 are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handle 2. In this example, the push button 7 is installed at the extreme end of the handle 2, and the locking device 6 is provided at the proximal end thereof. In order to install these locking devices 6 and pushbuttons 7,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at the tip side of the handle 2 are larger than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near the center of the handle 2 and protrude downward, but the handle 2 ), The entire handle (2) including the lock (6) and the push button (7) can be grasped,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2) in an upright position including these members (6, 7). The whole of the part to be used constitutes the holding part of the handle 2.

이 잠금장치(6)와 누름버튼(7)을 도 6 내지 도 9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의 핸들 및 케이싱의 선단측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버튼을 누른 상태의 핸들 및 케이싱의 선단측 단면도이고, 도 8은 잠금상태의 핸들 및 케이싱의 선단측 단면도이다. 도 9는 핸들의 선단측 사시도이다.The locking device 6 and the push button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mainly.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handle and the casing without pressing the button, FIG. 7 is a front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handle and the casing while the button is pressed, and FIG. .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누름버튼(7)은 핸들(2)의 선단측의 상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누름버튼(7)의 하방측에는 후크(8)가 배치되어 있다. 이 후크(8)는 케이싱(1)의 수납오목부(11) 선단의 내면에 설치된 걸림부(12)에 걸림으로써 핸들을 케이싱(1)의 수납오목부(11)내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평상시에는 탄성체(81)에 의한 탄성지지에 의해 돌출상태로 되어 걸림부(12)와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예에서는 탄성체(81)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였으나, 판스프링 등의 다른 탄성체를 이용해도 되고, 또 탄성체(81)에 의한 탄성지지 외에 자석을 이용한 자력에 의한 탄성지지라도 되고, 탄성지지를 행하지 않고 수동으로 거는 구성을 부가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이 예에서는 케이싱(1)측의 걸림부(12)를 오목부로 하여, 후크(8)에 이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볼록부(82)를 형성하였지만, 볼록부를 케이싱측의 걸림부(12)에 설치하고, 오목부를 후크(8)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어떤 방법으로 해도 부착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것이면 그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The push button 7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handle 2 so that it can be sunk. And the hook 8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push button 7. The hook 8 is locked to the locking portion 12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of the storage recess 11 of the casing 1 to fix the handle in the storage recess 11 of the casing 1. It is in a protruding state by the elastic support by the elastic body 81, and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art 12.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compression coil spring is used for the elastic body 81, but another elastic body such as a leaf spring may be used, or may be elastic paper by magnetic force using a magnet other than the elastic support by the elastic body 81. You may add and implement the structure to hang manually. Moreover, in this example, although the convex part 82 which engages in this recessed part was formed in the hook 8 by making the locking part 12 of the casing 1 side into a recessed part, the convex part was latched part 12 of the casing side. The recess may be provided on the hook 8 side, and the shap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the recess can be detachably engaged by any method.

누름버튼(7)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며, 이 누름버튼(7)의 누름동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후크(8)가 횡방향(이 예에서는 기단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후퇴한다. 이 예에서는 걸림부(12)를 후크(8)의 선단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후크(8)는 횡방향 내에서도 기단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후퇴하도록 하였지만, 걸림부(12)를 후크의 좌우측에 설치하면 후크(8)는 횡방향 내에서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후퇴하도록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말하는 횡방향이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push button 7 slid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hook 8 slides back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base end direction in this example) by moving downward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7. In this example, since the locking portion 12 is install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hook 8, the hook 8 slides in the proximal direction eve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owever, when the locking portion 12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k, the hook (8) can be implemented by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retreating ev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lateral direction as used herein means the direction which intersects with an up-down direction.

이와 같이, 누름버튼(7)의 누름동작에 의한 하방으로의 누름버튼의 동작은 그 방향이 변경되어 후크(8)에 전달되는 것이지만, 이 전달기구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누름버튼(7)과 후크(8)의 맞닿음면에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즉 누름버튼(7)과 후크(8)의 쌍방에 경사면(71, 83)을 형성한 것이지만, 양자(7, 8) 중에서 어느 한쪽에만 구배(경사면)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양자(7, 8)를 직접접속하지 않고 캠 등의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접속하고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힘을 전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downward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7 is changed in the direction thereof and transmitted to the hook 8, but in this embodiment as the transmission mechanism, the push button 7 and the hook It carried out by forming the gradient in the contact surface of (8). In other words, the inclined surfaces 71 and 83 are formed on both the push button 7 and the hook 8, but a gradient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ly on either one of the seven or eight.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via the other members such as cams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he two, 7, 8,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to transfer the force.

이 누름버튼(7)은 핸들(2)의 선단측에 설치한 버튼수납부(21)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누름버튼(7)이 핸들(2)의 최선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수납부(21)는 선단면이 개방된 오목부로 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이 오목부는 기단측의 벽면(22)(도 6 참조)과, 그 좌우양측의 벽면(23, 23)(도 9 참조)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부착시에는 누름버튼(7)을 이 선단면으로부터 버튼수납부(21) 내에 수납할 수 있어 부착작업이 능률적이다. 특히 이 예에서는 누름버튼(7)이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24)(도 6 참조), (25, 25)(도 9 참조)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누름버튼(7)을 버튼수납부(21)내에 수납하는 것은 곤란하고, 선단면으로부터 버튼수납부(21) 내에 수납하는 편이 능률적이다. 또 이 이탈방지(24, 25, 25)는 단부측의 벽면(22)(도 6 참조)와, 그 좌우양측의 벽면(23, 23)(도 9 참조)에 설치하였지만 그 중 어느 1개소라도 되고,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면 되고, 또 설치하지않고 실시할 수도 있다.This push button 7 is accommodated in the button storage part 21 provided in the front end side of the handle 2. In this example, since the push button 7 is provided at the top end of the handle 2, the button storing portion 21 is a concave portion whose tip end surface is opened. In detail, the concave portion is provided with a wall surface 22 (see FIG. 6) on the proximal end and wall surfaces 23 and 23 (see FIG. 9)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In this way, when the tip end surface is opened, the push button 7 can be stored in the button storage part 21 from this tip end face at the time of attachment, and the attachment work is efficient. In particular, in this example, the release buttons 24 (see Fig. 6) and (25, 25) (see Fig. 9) are provided to prevent the push button 7 from falling upward. It is difficult to store it in the button storage part 21, and it is more efficient to receive it in the button storage part 21 from a front end surface. The separation preventions 24, 25, and 25 are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22 (see Fig. 6) on the end side and the wall surfaces 23 and 23 (see Fig. 9)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but any one of them is provided. This may be done at an appropriate location or may be performed without installation.

이와 같이 버튼수납부(21)의 하나의 면(선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누름버튼(7)을 확실히 지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다음 형태를 채용하였다. 이 버튼수납부(21)의 하나의 벽면(이 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기단측의 벽면(22))에 누름버튼(7)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면서 맞닿는 맞닿음부(22a, 22b)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누름버튼(7)에 상기 맞닿음부(22a, 22b)와 맞닿는 슬라이드부(72a, 72b)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부(72a, 72b)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구멍(73)을 설치하였다. 또 이 예에서는 상술한 이탈방지(24)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맞닿음부(22a)와 맞닿음부(22b)를, 또 슬라이드부(72a)와 슬라이드부(72b)를 각각 상하 2개소에 전후 위치를 달리하여 현격한 차이로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하나의 연속한 면으로 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대로 3개 이상의 부분으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어떤 방법으로 하여도 누름버튼(7)이 버튼수납부(21)의 벽면을 따라 평행이동할 수 있는 맞닿는 관계에 있으면 된다.Thus, in the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front end surface) of the button storage part 21 is open, the following form was employ | adopted as the structure which slides to the up-down direction, reliably supporting the pushbutton 7. On one wall surface of the button storage portion 21 (in this example, the wall surface 22 on the proximal side shown in Fig. 6), abutting portions 22a and 22b are provided which allow the slide of the push button 7 to contact. It was. And the push part 7 provided the slide parts 72a and 72b which contact the said contact parts 22a and 22b, and the long hole 73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se slide parts 72a and 72b was provided. . In this example, since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prevention 24 is provided, the abutting portion 22a and the abutting portion 22b, and the slide portion 72a and the slide portion 72b are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at the two upper and lower positions, respectively. Although the example which forms with a wide difference by different is shown, it can also form as one continuous surface and can also implement as three or more parts on the contrary. In any case, the push button 7 may be in an abutting relationship in which the push button 7 can be moved in parallel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button storage portion 21.

긴 구멍(73)에는 그 내부에 부착부재로서 축(74)이 긴 구멍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 축(74)은 버튼수납부(21)의 좌우양측의 벽면(23, 23)(도 9 참조)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시에는 누름버튼(7)을 이 선단면으로부터 버튼수납부(21) 내에 수납한 후, 축(74)을 좌우 한쪽의 벽면(23)으로부터 다른쪽 벽면(23)에 걸어 삽입하는 것 만으로 충분하다. 이와 같이 축(74)을 긴 구멍(73)내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는 누름버튼(7)의 상하운동시에 개방한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운동할 우려가 있지만, 이 예에서는 맞닿음부(22a, 22b)와 슬라이드부(72a, 72b)의 맞닿음에 의해 이 회전운동의 동작을 규제하여 상하로 슬라이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규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축(74)의 중심을 끼워 상하 2개소에서 맞닿음부(22a, 22b)와 슬라이드부(72a, 72b)를 맞닿게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축(74)의 중심을 끼워 상하 어느 한쪽으로 밖에 맞닿지 않는 경우에는 단부를 형성하여 회전운동의 동작을 규제하도록 해도 되고, 이들 규제수단을 병용해도 된다. 또 축(74)을 상하로 복수개 삽입하거나 축(74)을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단면직사각형 등의 형태로 실시함으로써 규제수단으로 해도 된다. 단 이 경우 상하방향의 길이가 커진다는 결점이 있다.The long hole 73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as the attachment member therein. Both ends of this shaft 74 are supported by the wall surfaces 23 and 23 (refer FIG. 9)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tton storage part 21. As shown in FIG. Therefore, at the time of attachment, the push button 7 is accommodated in the button storage portion 21 from the front end surface, and then the shaft 74 is simply inserted from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23 to the other wall surface 23. Suffice. Thus, only by inserting the shaft 74 into the elongate hole 73,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rotate rotationally so that it may protrude from the front end surface opened at the time of the up-down movement of the pushbutton 7, In this example, the contact part 22a, The contact of 22b) and the slide portions 72a and 72b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is rotational movement so as to slide up and down. As a preferable form of this regulation, the form which abuts the contact part 22a, 22b and the slide part 72a, 72b in two plac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by pinching the center of the shaft 74 is mentioned. When the center of the shaft 74 is fitted and onl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brought into contact, an end portion may be formed to regulate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al movement, or these restriction mea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Further, the plurality of shafts 74 may be inserted up and down, or the shafts 7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ross-sectional rectangle or the like that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however,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creased.

이상과 같이 누름버튼(2)은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것이기 때문에 누름버튼(2)과 케이싱(1)의 수납오목부(11)의 선단측의 내벽면과의 간격 s를 종래의 누름버튼(2)을 회전운동시켜 걸림을 해제하는 것에 비하여 수분의 1로 작게 할 수 있다.Since the push button 2 slides up and down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ush button 2 is used to determine the distance s between the push button 2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ip side of the storage recess 11 of the casing 1. It can be reduced to one of the moisture as compared to releasing the jam by rotating the movement.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버튼수납부(21)의 선단면을 개방하여 실시하였지만, 선단면을 잠궈 핸들(2)의 상면에서 보면 주위가 닫힌 구멍으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누름버튼(2)은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것이기 때문에 누름버튼(2)과 버튼수납부(21)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어 못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버튼수납부(21)의 하면에 열림구를 설치하거나 상술한 이탈방지를 없애어 축(74)만으로 누름버튼(7)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의 수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누름버튼(7)을 핸들(2)측에 설치한 핸들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누름버튼(7)의 상하의 슬라이드 구성에 대해서는 누름버튼(7)을 케이싱(1)측에 설치한 핸들장치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was carried out by opening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button storage unit 21. However, the front end surface may be locked to be a closed hole when view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handle 2. Even in this case, since the push button 2 slides up and down, the interval between the push button 2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tton storage portion 21 can be reduced, thereby preventing mischief. In this case, however, an opening opening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storage unit 21, or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prevention may be eliminated to prevent the push button 7 from escaping upward by only the shaft 74. There is a need. In addition, although the handl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push button 7 in the handle 2 side was demonstrated in this Example, about the slide structure of the push button 7 upper and lower sides, the push button 7 is attached to the casing 1 side. This can also be done for the installed handle unit.

다음으로 잠금장치(6)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장치(6)의 본체(61)는 상면에 열쇠삽입구멍(62)을 갖고, 내부에 잠금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장치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잠금장치 본체(61)의 하부에 잠금해제동작에 의해 원호운동에 의한 전진후퇴를 하는 작동부(62)를 구비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부(62)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고정부(63)를 작동부(62)에 접속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그것을 위한 구체적 구성으로서 이 고정부(63)는 버튼수납부(21)의 좌우 내벽면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동작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작동부(62)와 걸어맞추어져 있는 접속용 구멍(64)을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하여 작동부(62)가 원호운동에 의해 전진후퇴할 때 작동부(62)가 접속용 구멍(64)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고정부(63)를 전진후퇴시키도록 하고 있다.Next, the locking device 6 will be described. The main body 61 of the locking device 6 has a key insertion hole 62 on its upper surface, and a conventional device having a locking mechanism therein can be suitably used. In this example, the lower part of the locking device main body 61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art 62 which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circular motion by the unlocking operation. And the fixed part 63 which is movable back and forth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art 62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rt 62.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xing portion 63 is guided by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 surfaces of the button storage portion 21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is engaged with the operation portion 62. By extending the connecting hole 6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moving part 62 moves left and right in the connecting hole 64 while the operating part 62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an arc motion. 63) i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이 고정부(63)는 해제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8)로부터 이반되어 후크(8)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잠금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8)에 근접하여(보다 구체적으로는 후크(8)의 후단을 눌러), 후크(8)의 후퇴를 허용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후크(8)가 상술한 수납오목부(11)에 설치된 걸림부(12)에 걸어맞춘 상태로 고정되고, 핸들(2)이 세워지지 않는 상태에서 잠긴다. 또 이 예에서는 고정부(63)를 직선이동하는 것으로 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잠금장치 본체(61)에 설치된 회전하는 작동부에 아암을 설치하여, 이 아암을 후크(8)에 접근 이반시켜 잠금해제를 행하도록 하는 등, 그 구체적 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In the released state, the fixing portion 63 is separated from the hook 8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hook 8 as shown in FIG. 6. In the locked state, as shown in FIG. 8, the hook 8 is close to (more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hook 8 is pressed), and the hook 8 is not allowed to retreat. In other words, the hook 8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it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12 provided in the storage recess 11 described above, and locked in a state where the handle 2 is not raised. In this example, the fixed portion 63 is moved in a straight line. However, the arm is provided in a rotating op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cking device main body 61, and the arm is separated from the hook 8 to unlock it. The specific configuration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또 이 예에서는 후크(8)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81)(압축코일스프링)를 고정부(63)와 후크(8) 사이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고정부(63)와 후크(8)에 끼워맞추는 요철을 설치하여, 이 요철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고정부(63)와 후크(8) 모두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혹은 요철을 설치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또 후크(8)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81)를 후크(8)과 버튼수납부(21)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배치하는 등, 고정부(63) 등의 잠금장치(6)와는 관계없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예에서는 잠금장치(6)를 핸들(2)측에 설치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케이싱(1)측에 설치한 것으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xample, an elastic body 81 (compression coil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ok 8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63 and the hook 8. And the concave-convex fitting to the fixing part 63 and the hook 8 is provided, and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prevents the position shift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by this unevenness, but it recesses in both the fixing part 63 and the hook 8, The part or convex part may be provided, or you may implement without providing an unevenness | corrugation. Moreover, the elastic body 81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hook 8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hook 8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tton storage part 21, and it is related with the locking device 6, such as the fixing part 63,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without. In this example, the locking device 6 is provided on the handle 2 side. However, the locking device 6 may be mounted on the casing 1 side.

이상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 핸들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잠금상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후크(8)가 수납오목부(11)의 걸림부(12)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고정부(63)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잠겨 있다(도 8 참조). 다음으로 키에 의해 해제함으로써 고정부(63)가 후퇴하여 후크(8)는 이동가능해지지만, 탄성체(81)에 의한 탄성지지에 의해 후크(8)가 걸림부(12)에 걸어맞춘 상태가 유지되어 핸들(2)이 세워지는 일은 없다(도 6 참조). 그 때문에 잠금동작완료후에, 곧 핸들(2)이 세워지면 핸들(2)에 의해 손을 다치는 일이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은 없다. 다음으로, 누름버튼(7)을 누름으로써 후크(8)가 걸림부(12)로부터 이반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핸들(2)은 자유상태로 되어 탄성체(3)(도 3에 도시)에의한 탄성지지에 의해 선단측이 케이싱(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핸들(2)을 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42)가 회전하여 케이스 등의 문지지체(도시생략)와의 걸어맞춤이 빠져 문(도시생략)을 열 수 있다. 문을 닫을 때는 반대의 순서로 하면 되지만, 핸들(2)을 눕히는 것 만으로 후크(8)와 걸림부(12)가 걸어맞추어지도록 후크(8) 선단의 하면이나 걸림부(12)의 상방에는 경사면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Based on the above structure, the operation state of this handle apparatus is demonstrated. First, in the locked state, the hook 8 is locked in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portion 63 in a state where the hook 8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12 of the storage recess 11 (see FIG. 8). Next, by releasing by the key, the fixing portion 63 retreats and the hook 8 is movable, but the state in which the hook 8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12 by the elastic support by the elastic body 81 is maintained. The handle 2 is not raised (see FIG. 6). Therefore, if the handle 2 is raised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locking operation, the hand may be injured by the handle 2, but this is not the case. Next, the hook 8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12 by pressing the push button 7 (see FIG. 7). As a result, the handle 2 is in a free state, and the front end side is rais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asing 1 by the elastic support by the elastic body 3 (shown in FIG. 3), and the state shown in FIG. Next, by rotating the handle 2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rotating body 42 is rotated so that engagement with a door support body (not shown) such as a case can be released, thereby opening a door (not shown). When the door is closed, the reverse order may be used. However, the inclined surface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ip of the hook 8 or above the locking portion 12 so that the hook 8 and the locking portion 12 are engaged by simply laying the handle 2 down. It is preferable to form a.

마지막으로, 회전체(42)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이 예에서는 회전체(42) 전체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회전체(42)에는 직접적으로 문과 문의 지지체와의 걸어맞춤을 위해 이용되는 결합부(43)가 형성되는 동시에, 간접적으로 문과 문의 지지체와의 걸어맞춤수단으로서 작동막대(도시생략)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44, 44)가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44, 44)는 회전체(42)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45, 45)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45, 45)는 회전체(42)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각도규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케이싱(1)의 하부에는 회전자(4)의 바깥둘레부를 덮는 바깥둘레벽(13)이 설치되고 있고, 그 바깥둘레벽(13)에 돌출부(45, 45)와 걸어맞추어 회전체(4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규제용 걸어맞춤부(14)가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회전규제용 걸어맞춤부(14)는 바깥둘레벽(1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돌출부(45, 45)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회전체(42)의 회전각도는 양 돌출부(45, 45) 사이의 각도내에 규제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45, 45)는 회전체(42)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각도규제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구비한 것이므로 이 실시예의 회전체(42)는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한 각도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또 염가로 제작할 수 있고, 부착도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Finally, the rotor 42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this example, the entire rotor 42 is form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 5, the rotating body 42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43 which is used to directly engage the door and the support of the door, and indirectly operates as an engagement means of the door and the support of the door. Connection parts 44 and 44 for connecting a rod (not shown) are formed in two places. These connecting portions 44 and 44 are formed on two protruding portions 45 and 45 extending outwardly of the rotating body 42. The protrusions 45 and 45 have a function as an angle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body 42. In detail, the outer periphery wall 13 which covers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or 4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1, and it engages with the protrusions 45 and 45 on the outer periphery wall 13, and the rotor ( A rotation control engagement portion 14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42 is provided. In this example, the engaging portion 14 for regulating rotat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3 to be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s 45 and 45,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body 42 is the two projections 45. , Within 45 degrees. Thus, since the protrusions 45 and 45 also have a function as an angle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body 42, the rotating body 42 of this embodiment enables a reliable angle adjustment with a simple structure,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produced at low cost and is easy to attach.

다음으로, 도 10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앞에서의 예에서는 버튼수납부(21)와 누름버튼(7)에 관해서 맞닿음부(22a)와 맞닿음부(22b)를, 또 슬라이드부(72a)와 슬라이드부(72b)를, 각각 상하 2개소에 전후 위치를 달리하여 현격한 차이로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 예에서는 하나의 연속된 면으로서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이 도 10은 잠금상태(앞에서의 도 8의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앞에서의 예와 마찬가지로 작동한다. 또 도면중의 부호에 대해서는 앞서의 예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앞서의 예와 실질적으로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시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앞서의 것과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Next, 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In the above example, the abutting portion 22a and the abutting portion 22b with respect to the button storage portion 21 and the push button 7 are further shown.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72a) and the slide part 72b were formed in a noticeable difference by changing back and forth positions in two places, respectively, is shown, this example shows the example formed as one continuous surface. 10 shows a locked state (state of FIG. 8 in the foregoing), but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vious example. In addition, about the code | symbol in draw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part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vious example, using the same thing as the previous example. In addition,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 can be employ | adopted for parts other than an illustration.

이 도 10의 예에서는 맞닿음부(22a, 22b)와 슬라이드부(72a, 72b)를 연속한 하나의 면에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버튼수납부(21)의 선단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버튼(7)의 상하동작시에 누름버튼(7)이 개방한 선단면에서 돌출되도록 누름버튼(7)이 회전운동할 우려가 있지만, 이 예에서는 축(74)의 중심을 끼워 상하 2개소에서 맞닿음부(22a, 22b)와 슬라이드부(72a, 72b)가 맞닿기 때문에 누름버튼(7)이 회전운동하는 일은 없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예에서도 누름버튼(7)의 좌우에 이탈방지용 단부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앞서의 예에서는 누름버튼(7)과 후크(8) 쌍방에 경사면(71, 83)을 형성하였지만, 이 예에 서는 양자(7, 8) 중의 어느 한쪽에만(도 10에서는 버튼(7)측에만) 구배(경사면)를 형성한 것으로 하여 실시하고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0, the contact parts 22a and 22b and the slide parts 72a and 72b are formed in one continuous surface. Since the front end face of the button housing 21 is open, the push button 7 may rotate in such a manner that the push button 7 protrudes from the open end face when the push button 7 moves up and down. In this example, since the contact portions 22a and 22b and the slide portions 72a and 72b abut o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with the center of the shaft 74 in place, the push button 7 does not rotat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separation prevention end part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ushbutton 7 also in this example. In the above example, the inclined surfaces 71 and 83 are formed on both the push button 7 and the hook 8, but in this example, In this case, a gradient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only one of the two (7, 8) (only the button 7 side in Fig. 10).

본 출원의 제 1의 고안은, 문에 부착되어 이용되는 방수용 핸들장치로서 패킹에 대한 압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pressure on the packing as a waterproof handle device attached to the door.

본 출원의 제 2의 고안은, 핸들장치의 전체 둘레에 걸쳐 패킹에 대한 압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수밀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further improve the watertightness by provid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pressure on the packing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handle device.

본 출원의 제 3, 제 4의 고안은 선단이 케이싱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세우는 기복가능한 핸들을 갖고, 핸들에 설치된 누름버튼을 누름으로써 핸들과 케이싱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누름버튼 주변의 간격을 작게 하여 핸들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못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device having a swivelable handle that the tip is raised so as to protrude upwardly from the casing,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handle and the casing is released by pressing a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hand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device that can reduce the gap around the push button to reduce the size of the handle devic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mischief.

특히 제 4의 고안은 구배를 이용한 전달기구에 의해 누름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버튼이 하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가로방향의 움직임으로 바꾸어 후크에 전달하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서도 확실한 힘의 전달과 방향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더구나 핸들이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이 잠금장치의 고정부에 의해 전진상태의 후크를 후퇴불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후크와 걸림부가 걸린 상태로 잠기기 때문에 잠금장치 부분도 핸들의 손잡이부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 작은 공간에서도 확실한 잠금에 의한 고정이 가능해진 것이다.In particular, the fourth design transmits the force to the hook by changing the movement of the push button downward to the horizontal movement by pushing the push button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using the gradient, so that the force transmission and the change of direction can be secured even in a small space. I can do it. Furthermore, since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and the hook of the locking device is locked in a locked state by reversibly fixing the hook in the forward state by the fixing part of the locking device, the locking device can also be used as the handle of the handle. It is possible to fix with a secure lock even in a small space.

Claims (4)

케이싱(1)과, 선단이 케이싱(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우는 기복가능한 핸들(2)과, 문(t)의 내면측에 배치되는 고정판(52)을 구비하고, 이 케이싱(1)이 배전반 박스등의 문(t)의 외면측에 배치되는 플랜지(15)를 구비하고, 플랜지(15)의 하면과 고정판(52) 사이에서 문(t)을 클램프함으로써, 문(t)에 케이싱(1)가 고정되는 개폐용의 핸들장치에 있어서, 플랜지(15)의 하면과 문(t)의 외면측 사이에 패킹(16)가 배위되어, 플랜지(15)의 하면에 돌출부(17)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17)가 플랜지(15) 하면의 다른 부분보다도 패킹(16)를 강하게 압축한 상태로 문(t)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핸들장치.And a casing (1), a swivelable handle (2) which is set so that the tip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 and a fixing plate (52)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such as a switchboard box, and the door t is clamped by clamping the door t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and the fixing plate 52. In the handl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in which the casing 1 is fixed, the packing 16 is coordin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and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door t, and the protrusion 17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And a protrusion (17) is attached to the door (t) in a state where the packing (16) is compressed more strongly than oth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5).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핸들(2) 또는 케이싱(1)에 누름버튼(7)이 설치되고, 이 누름버튼(7)을 누름으로써 핸들(2)와 케이싱(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핸들(2)이 세워지는 것이며, 상기 플랜지(15)가 케이싱(1)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돌출부(17)가 플랜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 돌조(17)이고, 이 돌조(17)를 포함하는 플랜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패킹(16)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핸들장치.The push button 7 is installed in the handle 2 or the casing 1, an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7,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handle 2 and the casing 1 is released and the handle 2 is raised. The flange 15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asing 1, the projection 17 is a protrusion 17 formed continuousl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15, the protrusion 17 Waterproof hand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16 is dispos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15) comprising.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핸들(2)의 선단측의 상면에 출몰가능하게 누름버튼(7)이 설치되고, 이 누름버튼을 누름으로써 핸들(2)과 케이싱(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며, 케이싱(1)이 누운 상태의 핸들(2)을 수납하는 수납오목부(11)와, 이 수납오목부(11)에 설치되어 누운 상태의 핸들(2)을 거는 걸림부(12)를 구비하며, 핸들(2)이 상기 걸림부(12)에 거는 것에 의해 핸들(2)이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8)와, 누름버튼(7)의 동작을 후크(8)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누름버튼(7)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출몰하는 것이며, 전달기구가 누름버튼(7)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버튼(7)을 하방으로 움직이는 동작방향을 변경하여 후크(8)에 전달함으로써 후크(8)를 걸림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케이싱(1)에 설치된 걸림부(12)와 후크(8)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핸들장치.The push button 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handle 2 so that the push button 7 is released and the latching state between the handle 2 and the casing 1 is releas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A storage recess 11 for accommodating the handle 2 in a lying state, and a catching portion 12 for hanging the handle 2 in a state of lying down, which is installed in the storage recess 11, and the handle 2 is provided. A hook 8 for preventing the handle 2 from protruding upward by hanging on the locking portion 12,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7 to the hook 8, and pressing The button 7 slides up and down to move in and out, and the transfer mechanism changes the operation direction of moving the push button 7 downward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7 and transmits the hook to the hook 8. 8) t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ocking portion 12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locking portion 12 and the hook (8) installed in the casing (1) For water-proofing handle apparatus characterized b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후크(8)가 횡방향으로 후퇴하여 케이싱(1)의 걸림부(12)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이며, 전달기구가 구배를 이용함으로써 누름버튼(7)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버튼(7)이 하방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가로방향의 동작으로 바꾸어 후크(8)에 전달하는 것이며, 핸들(2)이 시정장치(6)를 구비하여 이 시정장치(6)의 고정부(63)에 의해 전진상태의 후크(8)를 후퇴불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후크(8)와 걸림부(12)가 걸린 상태로 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핸들장치.The hook 8 is retracted laterally so that the engagement with the engaging portion 12 of the casing 1 is released, and the push button 7 is pushed by the push button 7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using a gradient. The downward movement is transferr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ransmitted to the hook 8, and the handle 2 is provided with the correcting device 6, and is moved forward by the fixing part 63 of the correcting device 6; Waterproof hand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8) and the locking portion (12) is fixed in the locked state by fixing the hook (8) of the retractable.
KR2020000003494U 1999-05-07 2000-02-10 A discharge handle bar equipment KR200188599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109 1999-05-07
JP1999003109U JP3063694U (en) 1999-05-07 1999-05-07 Waterproof hand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99Y1 true KR200188599Y1 (en) 2000-07-15

Family

ID=1154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494U KR200188599Y1 (en) 1999-05-07 2000-02-10 A discharge handle bar equipmen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63694U (en)
KR (1) KR200188599Y1 (en)
CN (1) CN2431352Y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8798C (en) * 2002-05-09 2008-08-06 星本股份有限公司 Door handle
JP4659073B2 (en) * 2008-07-04 2011-03-3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Handle device
JP2011094363A (en) * 2009-10-29 2011-05-12 Takigen Mfg Co Ltd Simple lock member and handle device having the same
CN107100462A (en) * 2016-02-23 2017-08-29 星本股份有限公司 Door handle
CN110284761A (en) * 2019-06-15 2019-09-27 赵俊锋 A kind of rotatable intelligent lock panel
CN114033250B (en) * 2021-09-24 2023-03-28 东莞怡合达自动化股份有限公司 Handle lock
TWI827428B (en) * 2022-12-30 2023-12-21 金石門企業股份有限公司 Sealed switch box door handle lock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63694U (en) 1999-11-16
CN2431352Y (en) 200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5463E (en) Sash lock
US5680926A (en) Mechanical interlock mechanism for switched electrical connector
CA2359842C (en) Lever handle controller for mortise lock
KR200188599Y1 (en) A discharge handle bar equipment
KR100907641B1 (en) Mortise locking device
CA243719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locking a standard plug to a standard receptacle
WO2013104950A2 (en) Computer security lock for trapezoidal security slot
US4598182A (en) Lock inhibitor for toggle switch actuator
KR20140148049A (en) Assembly for activation in both side
FI105423B (en) Mounting element for installation ducts
US4363226A (en) Latching system for luggage articles
JPH02501100A (en) connection device
KR20100044934A (en) The dead bolt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with forcibly unlocking means
KR200488839Y1 (en) The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abinet door
JP2000145215A (en) Handle for opening or closing and slide mechanism of push button thereof
KR200169262Y1 (en) Lock for windows of balcony
KR200152351Y1 (en) Safety device of lever lock to cylinder type
JPS6230755Y2 (en)
KR20000075381A (en) Door lock equipment for strengthening glass door
KR200496291Y1 (en) Doorlock Locking Device
CA1194056A (en) Latching system for luggage articles
JPH059413Y2 (en)
KR200146377Y1 (en) Flat handling device for door
KR200226293Y1 (en) a locking device for slide door
KR950006044Y1 (en)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