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443Y1 - Supporter for a chamber-pot - Google Patents

Supporter for a chamb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443Y1
KR200187443Y1 KR2020000003158U KR20000003158U KR200187443Y1 KR 200187443 Y1 KR200187443 Y1 KR 200187443Y1 KR 2020000003158 U KR2020000003158 U KR 2020000003158U KR 20000003158 U KR20000003158 U KR 20000003158U KR 200187443 Y1 KR200187443 Y1 KR 200187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oilet seat
toilet
extending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1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해준
Original Assignee
박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준 filed Critical 박해준
Priority to KR2020000003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44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44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좌변기에 결합되는 결착부와 팔걸이부를 구비함으로써, 환자, 노약자 또는 임산부등이 양변기를 사용할 때의 앉고 일어서는 불편함을 해소시켜서 스스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는 좌변기용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받침대는 제 1 파이프, 제 1 파이프의 양단에서 배면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되는 제 2 파이프, 제 2 파이프의 연장부에서 제 1 파이프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3 파이프, 제 3 파이프의 연장부에서 일체로 부착되어 배면측으로 연장되는 제 4 파이프 및 제 4 파이프의 끝단에서 일체로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5 파이프를 구비한다. 제 5 파이프의 끝단 인접위치에는 다수의 제 1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5 파이프들사이에는 제 6 파이프가 장착된다. 제 6 파이프에는 좌변기에 밀착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가 장착된다.By providing a binding portion and an armrest portion coupled to the toilet seat, a toilet seat for a toilet seat that allows a patient, an elderly person, or a pregnant woman to use the toilet seat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sitting and standing, and to view the toilet by themselves. The toilet seat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pipe, a second pipe extending radially wider from the both ends of the first pipe to the rear side, the first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of the second pipe to the first pipe side with a predetermined slope A third pipe, a fourth pipe integrally attached at the extension of the third pipe and extending to the rear side, and a fifth pip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the ends of the fourth pip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end of the fifth pipe. Then, a sixth pipe is mounted between the fifth pipes. The sixth pip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arts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toilet.

Description

좌변기용 받침대{Supporter for a chamber-pot}Left toilet seat {Supporter for a chamber-pot}

본 고안은 좌변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에 결합되는 결착부와 팔걸이부를 구비함으로써, 환자, 노약자 또는 임산부등이 양변기를 사용할 때의 앉고 일어서는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는 좌변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for the toilet seat,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binding portion and armrests coupled to the toilet seat, the patient, the elderly or pregnant women, etc. to eliminate the discomfort of sitting and standing when using the toilet, and the toilet in a comfortable position It relates to a toilet seat pedestal so that you can see.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좌변기는 좌대가 변기의 받침대위에 뚜껑과 함께 접철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변기의 배면에는 받침대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받이통이 설치된다. 한편, 물받이통에는 물받이통 내부에 설치된 배수구마개를 들어올려 변기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하는 물내림스위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toilet seat used in the home is hingedly hinged with the lid on the pedestal of the toilet seat, the bottom of the toilet is provided with a reservoir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pedestal. On the other hand, the drip tray is provided with a water lowering switch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toilet by lifting the drain plug installed in the drip tray.

그런데, 이와같은 구조의 기존 좌변기는 자신의 몸을 스스로 가눌 수 없는 노약자나 환자들이 용변을 볼 때 스스로 변기에 앉거나 일어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부축을 받아야만 하였다.However, the existing toilet seat of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elderly or patients who can not control their own body when sitting on the toilet by themselves or sitting on the toilet. Therefore, in order to see the toilet, they had to be supported by oth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공공건물 및 병원등의 화장실에는 장애인 및 노약자등을 위한 화장실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화장실에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손잡이들이 부착되어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oilets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re mainly provided in toilets such as public buildings and hospitals. Such toilets are attached to handles having various shapes.

그러나, 전술한 손잡이들은 좌변기 주변의 바닥면 및 벽면상에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많이투입되며, 일반가정의 화장실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handles are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 wall around the toilet seat, a lot of construction cost is inpu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a bathroom of a general home.

또한, 손잡이는 변기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팔을 걸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장애인 및 노약자는 상반신이 앞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없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is mount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il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m can not be worn. As a result,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ere unable to see the toilet in a comfortable position because the upper body was inclined forwar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좌변기에 결합되는 결착부와 팔걸이부를 구비함으로써, 환자, 노약자 또는 임산부등이 양변기를 사용할 때의 앉고 일어서는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는 좌변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ing portion and armrests coupled to the toilet seat, the patient, the elderly or pregnant women, such as sitting and standing up when using the toilet bowl It is to provide a toilet seat support to eliminate the box and to view the toilet in a comfortable posi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받침대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for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착부의 일부분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binding portion shown in FIG. 1, an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대가 양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shown in Figure 1 is mounted on the toilet.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받침대 110 : 바닥부100: pedestal 110: bottom

120 : 지지부 130 : 팔걸이부120: support 130: armrest

140 : 결착부 150 : 고정부140: binding portion 150: fixed portion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수평하게 연장된 제 1 파이프 및 제 1 파이프의 양단에서 배면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파이프가 일체로 부착된 바닥부;A bottom portion integrally attached with a horizontally extending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which is bent and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ipe to the rear surface;

제 2 파이프의 연장부에서 제 1 파이프쪽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제 3 파이프가 일체로 부착된 지지부;A support having an integrally attached third pipe extending at an angle from the extension of the second pipe toward the first pipe;

제 3 파이프의 타단에서 일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제 4 파이프, 제 4 파이프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5 파이프, 제 3 파이프와 제 4 파이프의 연결부위에는 충격흡수력 및 내열성을 가지는 제 1 손잡이가 끼워진 팔걸이부;A fourth pipe having one end integrally connect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pe, a fifth pip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ourth pipe,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hird pipe and the fourth pipe having a shock absorbing force and heat resistance 1 armrest with a handle;

제 5 파이프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 6 파이프, 제 6 파이프의 양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기의내측에는 제 6 파이프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결착부; 그리고A coupling part having male thread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xth pipe and the sixth pipe disposed between the fifth pipes,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sixth pipe at an inner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제 2 관통공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몸체, 몸체의 하단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후크, 후크에 끼워지는 이탈방지재 및 몸체의 상단에 끼워지는 제 2 손잡이가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좌변기용 받침대를 제공한다.A body vertically penetrating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through hole to the top, the bottom of the body includes a vertically bent hook, a release part fitted to the hook, and a fixing part provided with a second handle fitted to the top of the body Provide a toilet sea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좌변기에 결합되는 결착부와 팔걸이부를 구비함으로써, 환자, 노약자 또는 임산부등이 양변기를 사용할 때의 앉고, 일어서는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inding portion and the armrest portion coupled to the toilet seat, the patient, the elderly or pregnant women when sitting on the toilet, eliminate discomfort and stand up to see the toilet in a comfortable position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받침대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for the toilet seat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착부의 일부분을 단면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for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binding portion shown in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받침대(100)는 스테인레스강을 주재료로하여 일체로 제작된 바닥부(110), 지지부(120), 팔걸이부(130) 및 결착부(140)를 구비한다.1 and 2, the seat 100 for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ttom portion 110, the support portion 120, the armrest portion 130 and the binding portion 140 made integrally made of stainless steel as a main material ).

먼저, 바닥부(110)는 수평하게 연장된 제 1 파이프(112) 및 제 1 파이프(112)의 바닥면에 부착된 다수의 미끄럼방지재(116)을 구비한다. 제 1 파이프(112)의 양단에는 제 2 파이프(114)의 일단이 각각 일체로 연결된다. 각각의 제 2 파이프(114)는 제 1 파이프(112)의 배면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 2 파이프(114)의 바닥면에는 고무재로 제작된 다수의 미끄럼방지재(116)가 부착된다.First, the bottom 110 includes a horizontally extending first pipe 112 and a plurality of non-slip material 116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ipe 112. One end of the second pipe 114 is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pipe 112. Each second pipe 114 is bent and extend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ipe 112 and a plurality of non-slip materials 116 made of rubber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ipe 114.

제 1 파이프(112)와 제 2 파이프(114)에 바닥면에 부착된 미끄럼방지재(116)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단면상에 환형의 제 1 요홈(117)이 형성된다. 제 1 요홈(117)은 미끄럼방지재(116)의 상단면을 가로질러서 연장되고, 제 1 요홈(117)에는 제 1 파이프(112)와 제 2 파이프(114)의 방사상 일면에 끼워진다. 이러한 미끄럼방지재(116)는 바닥부(110)와 화장실의 바닥면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청소를 용이하게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부착된 타일의 손상을 방지한다.The non-slip material 116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ipe 112 and the second pipe 114 has a hexahedron shape and an annular first groove 117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 first groove 117 extends across the top surface of the non-slip material 116, and fits into the radial one surface of the first pipe 112 and the second pipe 114 in the first groove 117. The anti-slip material 116 forms a constant space between the bottom 110 and the floor of the bathroom to facilitate cleaning and prevent damage to the tiles attached to the floor.

지지부(120)는 제 2 파이프(114)의 타단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제 3 파이프(122)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 3 파이프(122)는 제 2 파이프(114)의 연장부에서 제 1 파이프(112)쪽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된다.The support part 120 includes a third pipe 12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pe 114. Each third pipe 122 extends at an angle from the extension of the second pipe 114 to the first pipe 112 at an angle.

팔걸이부(130)는 제 3 파이프(122)의 타단에 일단부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제 4 파이프(132)를 구비한다. 제 4 파이프(132)는 제 3 파이프(122)의 연장부에서 배면측으로 연장된다. 일체로 형성된 제 3 파이프(122)와 제 4 파이프(132)의 연결부위에는 제 1 손잡이(138)가 끼워진다. 제 1 손잡이(138)는 충격흡수력 및 내열성을 가지는 스폰지로 제작된다.The armrest part 130 includes a fourth pipe 132,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pe 122. The fourth pipe 132 extends from the extension of the third pipe 122 to the rear side. The first handle 138 is fit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hird pipe 122 and the fourth pipe 132 integrally formed. The first handle 138 is made of a sponge having a shock absorbing power and heat resistance.

한편, 제 4 파이프(132)의 끝단에는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5 파이프(134)가 연결된다. 각각의 제 5 파이프(134)의 끝단 인접위치에는 다수의 제 1 관통공(136)이 제 5 파이프(134)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Meanwhile, a fifth pipe 134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ourth pipe 132.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36 ar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fifth pipe 134 at the end adjacent position of each fifth pipe 134.

결착부(140)는 각각의 제 5 파이프(134) 사이에 배치되는 제 6 파이프(142), 제 6 파이프(142)에 장착되는 고정부(150) 및 이탈방지재(156)를 구비하다.The binding unit 140 includes a sixth pipe 142 disposed between each fifth pipe 134, a fixing unit 150 mounted on the sixth pipe 142, and a release preventing member 156.

제 6 파이프(142)의 양단에는 제 1 관통공(136)을 관통하는 결합돌기(144)가 형성된다. 각각의 결합돌기(144)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결합돌기(144) 내측에는 제 2 관통공(146)이 제 6 파이프(142)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 각각의 제 2 관통공(146)에는 고정부(150)가 장착된다.Coupling protrusions 144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36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xth pipe 142. Male threads are formed in each coupling protrusion 144, and a second through hole 146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ixth pipe 142 in the coupling protrusion 144. The fixing part 150 is mounted in each second through hole 146.

각각의 고정부(150)는 몸체(152) 및 몸체(152)의 상단에 끼워지는 제 2 손잡이(158)를 구비한다.Each fixing portion 150 has a body 152 and a second handle 158 fitted to the top of the body 152.

몸체(152)는 수직하게 형성되어 제 2 관통공(146)의 하단에서 상단측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몸체(152)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몸체(152)의 하단에는 몸체(152)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된 후크(154)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각각의 후크(154)의 상단면상에는 이탈방지재(156)가 배치된다.The body 152 is formed vertically and penetrat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6 to the upper end side. The body 152 is formed with a male screw. The lower end of the body 152 is formed with a hook 154 bent perpendicularly to the body 152. The separation prevention material 156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each of the hooks 154 formed as described above.

이탈방지재(156)는 육면체형상을 가지는 고무재로 제작된다. 이탈방지재 (156)에는 제 2 요홈(156a) 및 제 3 요홈(156b)이 형성된다. 제 3 요홈(156b)은 이탈방지재(156)의 상단면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연장된다. 제 2 요홈(156a)은 후크(154)가 용이하게 끼워질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제 3 요홈(156b)과 제 2 요홈(156a)은 서로 교차되는 형상을 가진다.The release preventing material 156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hexahedral shap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56 is provided with a second recess 156a and a third recess 156b. The third recess 156b extends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top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56 to the other side surface. The second recess 156a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the hook 154 can be easily fitted. The third groove 156b and the second groove 156a have a shape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한편, 제 2 손잡이(158)는 제 2 관통공(146)의 상단으로 연장된 몸체(152)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 2 손잡이(158)의 내측에는 몸체(152)에 형성된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관통공(146)의 상단면과 제 2 손잡이(158)의 하단사이에는 와셔(160)가 결합된다.Meanwhile, the second handle 158 is coupled to the body 152 exte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6. The inside of the second handle 158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formed on the body 152. In addition, the washer 160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6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andle 158.

각각의 고정부(150)의 일측에는 밀착재(162)가 부착된다. 각각의 밀착재(162)는 육면체형상을 가지며 상단면상에는 제 4 요홈(163)이 형성된다. 제 4 요홈(163)에는 제 6 파이프(142)의 방사상 하면이 끼워진다.One side of each fixing part 15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162. Each contact member 162 has a hexahedral shape and the fourth groove 163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 radial bottom surface of the sixth pipe 142 is fitted into the fourth recess 163.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좌변기용 받침대가 좌변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following briefly describes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toilet seat.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대가 양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shown in Figure 1 is mounted on the toilet.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받침대(100)를 좌변기(A)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결착부(140)의 제 6 파이프(142)를 제 5 파이프(134) 사이에 장착시킨다. 이때, 제 6 파이프(142)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44)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1 관통공(136)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이런 상태하에서 사용자는 결합돌기(144)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C)를 이용하여 제 6 파이프(142)를 제 5 파이프(134) 사이에 고정시킨다.Referring to FIG. 3, in order to mount the pedestal 100 for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oilet seat A, first, the sixth pipe 142 of the binding unit 140 is mounted between the fifth pipe 134. .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s 144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xth pipe 142 extend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136 form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Under this condition, the user fixes the sixth pipe 142 between the fifth pipe 134 by using a nut C formed with a f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 of the coupling protrusion 144.

이렇게 제 6 파이프(142)가 제 5 파이프(134) 사이에 장착되면, 받침대(100)를 좌변기(A)에 장착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고정부(150)에 형성된 후크(154)의 상단면상에 제 2 요홈(156a)이 위치하도록 이탈방지재(156)를 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제 2 손잡이(158)를 회전시키면 이탈방지재(156)가 부착된 후크(154) 및 몸체(152)가 상측으로 이송되며 이탈방지재(156)의 제 3 요홈(156b)에는 좌변기(A)에 형성된 돌출부(B)가 압축 밀착 고정된다. 이때, 제 6 파이프(142)에 부착된 각각의 밀착재(162)의 하단은 돌출부(B)에 대응하는 수평면상에 밀착된다. 이렇게 밀착된 이탈방지부(156)와 밀착재(162)는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좌변기(A)에서 받침대(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sixth pipe 142 is mounted between the fifth pipe 134 in this way, the pedestal 100 is mounted on the toilet seat A. At this time, the user attaches the release preventing material 156 so that the second groove 156a is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ook 154 formed on the fixing part 150. 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handle 158 is rotated, the hook 154 and the body 152 to which the release preventing material 156 is attached are transferred upwards, and the toilet seat is disposed in the third recess 156b of the release preventing material 156. The protruding portion B formed in (A) is compress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each contact member 162 attached to the sixth pipe 1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lan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B). The close prevention unit 156 and the close contact member 162 in this manne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oilet seat A by receiving a forc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받침대(100)는 좌변기(A)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결착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좌변기(A) 주변의 바닥면 및 벽면에 시공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고, 일반가정의 좌변기(A)에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ilet seat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inding portion 140 that can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A), to prevent the closed end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and wall around the toilet seat (A).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toilet seat (A) of the general home.

또한, 용변을 보는 동안 사용자가 팔을 걸치수 있는 팔걸이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상반신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팔걸이부(130)가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양손으로 팔걸이부(130)를 잡고 용이하게 좌변기(A)에 앉고 일어설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armrest portion 130 that allows the user to wear the arm while viewing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body from tilting forward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That is, the armrest 130 is installed on both sid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it on the toilet seat A by holding the armrest 130 with both hands.

한편, 바닥부(110)에 미끄럼방지재(116)를 부착함으로써, 받침대(100)를 제거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청소를 할 수 있고 화장실 바닥 타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attaching the non-slip material 116 to the bottom portion 110,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without removing the pedestal 100 can prevent damage to the bathroom floor til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Claims (5)

수평하게 연장된 제 1 파이프(112) 및 상기 제 1 파이프(112)의 양단에서 배면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파이프(114)가 일체로 부착된 바닥부(110);A bottom portion 110 to which a horizontally extending first pipe 112 and a second pipe 114 bent and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ipe 112 to the rear surface are integrally attached; 상기 제 2 파이프(114)의 연장부에서 상기 제 1 파이프(112)쪽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제 3 파이프(122)가 일체로 부착된 지지부(120);A support 120 to which the third pipe 122 extending integrally at an angle from the extension of the second pipe 114 to the first pipe 112 is integrally attached; 상기 제 3 파이프(122)의 타단에서 일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제 4 파이프(132), 상기 제 4 파이프(132)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5 파이프(134) 및 상기 제 3 파이프(122)와 상기 제 4 파이프(132)의 연결부위에 끼워진 제 1 손잡이(138)를 구비하는 팔걸이부(130);A fourth pipe 132 having one end integrally connect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pe 122, a fifth pipe 134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ourth pipe 132, and the third pipe Armrest unit 130 having a first handle 138 fit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122 and the fourth pipe 132; 상기 제 5 파이프(134)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 6 파이프(142)를 구비하고, 상기 제 6 파이프(142)의 양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돌기(14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44)의 내측에는 상기 제 6 파이프(142)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 2 관통공(146)이 형성된 결착부(140); 그리고The sixth pipe 142 is disposed between the fifth pipes 134, and both ends of the sixth pipe 142 are provided with coupling protrusions 144 having male thread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44. A binding unit 140 formed therein with a second through hole 146 vertically penetrating the sixth pipe 142; And 상기 제 2 관통공(146)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몸체(152), 상기 몸체(152)의 하단에 수직하게 절곡된 후크(154), 상기 후크(154)에 끼워지는 이탈방지재(156) 및 상기 몸체(152)의 상단에 끼워지는 제 2 손잡이(158)가 구비된 고정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받침대.The body 152 vertically penetrat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6 to the upper end, the hook 154 bent vertically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52, the separation prevention material fitted to the hook 154 And a fixing part (150) having a second handle (158) fitted to the top of the body (152) and the body (15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112)와 상기 제 2 파이프(114)의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재(116)가 부착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재(116)의 상단면상에는 상기 제 1 파이프(112)와 상기 제 2 파이프(114)의 방사상 일면에 끼워지는 환형의 제 1 요홈(117)이 가로질러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받침대.The non-slip material 116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pipe 112 and the second pipe 114, and the first pipe on the top surface of the non-slip material 116. (112) and the first toilet 117 of the annular fitting fitted to the radial one surface of the second pipe 114,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across the r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파이프(134)의 끝단 인접위치에는 다수의 제 1 관통공(136)이 상기 제 5 파이프(134)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공(136)에는 상기 결합돌기(144)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받침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36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fth pipe 134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end of the fifth pipe 134, the first through holes 136 The pedestal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44 is inserted 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50)의 일측에는 밀착재(162)가 부착되며, 상기 밀착재(162)의 상단면상에는 상기 제 6 파이프(142)의 방사상 하면이 끼워지는 제 4 요홈(1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받침대.The fourth recess of claim 1, wherein an adhesive member 162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50, and a radial bottom surface of the sixth pipe 142 is fitted on an upper end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162. The toilet seat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163)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재(156)는 고무재로 제작되며, 상단면상에는 좌변기(A)에 형성된 돌출부(B)가 압착 밀착 고정되는 제 3 요홈(156b)이 가로질러서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재(156) 하단면상에는 반구형의 제 2 요홈(156a)이 상기 제 3 요홈(156b)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받침대.According to claim 1, The release preventing material 156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upper surface is formed by the third groove (156b) in which the protrusion (B) formed on the toilet seat (A) is pressed tightly fixed, The restraint member (156)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mispherical second groove (156a) formed to cross the third groove (156b).
KR2020000003158U 2000-02-07 2000-02-07 Supporter for a chamber-pot KR2001874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158U KR200187443Y1 (en) 2000-02-07 2000-02-07 Supporter for a chamb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158U KR200187443Y1 (en) 2000-02-07 2000-02-07 Supporter for a chamber-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443Y1 true KR200187443Y1 (en) 2000-07-01

Family

ID=1964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158U KR200187443Y1 (en) 2000-02-07 2000-02-07 Supporter for a chamb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44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19B1 (en) * 2007-09-12 2009-03-17 김종범 Safety support for stool
KR100965556B1 (en) * 2009-06-18 2010-06-23 이성현 Safety handle for water clos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19B1 (en) * 2007-09-12 2009-03-17 김종범 Safety support for stool
KR100965556B1 (en) * 2009-06-18 2010-06-23 이성현 Safety handle for water clo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236A (en) Toilet seat with multiple handles
DK147224B (en) HYGIENE ROOM FOR THE DISABLED AND AGED
KR200187443Y1 (en) Supporter for a chamber-pot
US5704075A (en) Stay-dry toilet seat
JP2958874B2 (en) Bathtub for seniors
KR200425324Y1 (en) The fold type stool for bathroom
US5860169A (en) Stay-dry toilet seat with adjustable hinged support pads
JPH09192053A (en) Hand rail
CN210713113U (en) Toilet bowl
JP7461657B2 (en) Tilt prevention device
AU2020327867B2 (en) A support device for showering or toileting
JPH0753585Y2 (en) Bath chair
KR100496701B1 (en) A chamber pot cover with pollution preventing and the back of a chair function
KR200320382Y1 (en) Bowel Evacuator Having Multi-use for Children
KR101574477B1 (en) Safety toilet seat installed handle for a disabled person
JP3080603U (en) Chair in bathtub
JP2000279336A (en) Seat attachable bathtub and bathtub seat
JP2023062852A (en) Assistive handrail
JP4443000B2 (en) Toilet bowl
JP4324950B2 (en) Bathroom counter
JP5576600B2 (en) Wash basin
JPS591578Y2 (en) Washroom vanity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KR200263502Y1 (en) Automatic seat for toilet bowl
JPH0720972U (en) Bath
KR200451699Y1 (en) attached bathroom with a shower head features a chair sitting through balbatd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