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226Y1 -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226Y1
KR200172226Y1 KR2019990021405U KR19990021405U KR200172226Y1 KR 200172226 Y1 KR200172226 Y1 KR 200172226Y1 KR 2019990021405 U KR2019990021405 U KR 2019990021405U KR 19990021405 U KR19990021405 U KR 19990021405U KR 200172226 Y1 KR200172226 Y1 KR 200172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ing
square frame
core dri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우
Original Assignee
정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우 filed Critical 정명우
Priority to KR2019990021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06Making holes, e.g. by drilling, punching, flame-cu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4Way of locomotion or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6Guiding or measuring means, e.g. for alignment, canting, stepwise propa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코아드릴을 수직상태로 고정시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서, 원하는 위치에 볼트구멍을 수직으로 정확히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레일 위에 놓여지고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코아드릴을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부와, 이동부를 작업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Device for holding core drill in railway}
본 고안은 철도의 레일 고정용 앵커볼트를 설비바닥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구멍 가공 작업에 사용되는 드릴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릴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요한 곳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된 드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에 사용되는 레일은 궤간을 정확히 유지하는 동시에 레일에 가해지는 열차의 하중을 노상을 통해 지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침목 위에 놓여져 클립 등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침목은 목제, 콘크리트제 또는 철제가 사용되며, 주로 사용되는 목제 침목은 노화에 따른 교체작업에 드는 비용이나 강도상의 잇점이 콘크리트제 침목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현재는 목제 침목 대신 콘크리트제 침목를 많이 설치하며, 이미 설치되어 있는 목제 침목은 콘크리트제 침목으로 교체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교체작업을 위해서는 먼저 레일이 고정되는 침목과 침목 사이의 노면을 고르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 노면 위에 침목 고정용 앵커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심공용 드릴을 사용하여 볼트구멍을 수직으로 가공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볼트구멍 가공을 위해서 작업자가 드릴을 들고 직접 구멍을 뚫음에 따라 작업자가 무거운 드릴을 계속 들고 작업해야 하므로 힘이 들고, 작업자의 육안에 의해 드릴 선단을 볼트구멍 가공위치에 맞추기 때문에 정밀한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드릴을 정확히 수직상태로 세우서 작업하기 어려우므로, 가공된 볼트구멍이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기울어지게 되어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드릴은 콘크리트를 심공함에 따라 다량의 먼지가 발생하게 되는 데, 바닥에 가라앉은 먼지가 전동차 운행시 부유되면서 승객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드릴을 수직상태로 고정시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서, 원하는 위치에 볼트구멍을 수직으로 정확히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a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드릴 작업위치 마킹용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대차 12 : 사각프레임
14 : 연결프레임 16 : 고정판
20 : 레일바퀴 30 : 레버
32 : 회전핸들 34 : 조절나사
36 : 탄성스프링 40 : 베이스판
42 : 수직바 44 : 랙기어
46 : 이동부재 50 : 회전손잡이
60 : 고정판 62,82 : 관통홀
66 : 체결바 70 : 조임나사
72 : 나사축 74 : 핸들
76 : 받침대 78 : 캐스터
80 : 브라켓 84 : 레일바퀴
90 : 핀 92 : 플레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이동부와, 이 이동부에 드릴을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레일(100) 위에 놓여져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이동부와, 콘크리트 바닥면에 볼트구멍을 수직으로 뚫을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에 드릴(110)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장착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드릴은 드릴의 내부가 개공되어 있는 코어드릴(100)을 사용하는 데, 드릴(100)에 의해 절삭된 콘크리트 가루는 드릴(100) 내부에 축적되게 되어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는 레일(100) 위에 놓여져 구르는 레일바퀴(20)가 장착된 대차(10)와, 이동되는 대차(10)를 작업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대차(10)는 프레임구조물로, 레일바퀴(20)가 축결합되는 사각프레임(12)과, 한 쌍의 레일(100)에 각각 놓여지는 사각프레임(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 상기 사각프레임(12) 외측과 연결프레임(14) 상부에 부착설치되고 드릴(110)이 놓여지는 고정판(1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레일바퀴(20)는 사각프레임(12) 전,후측에 각각 한 개씩 설치하고, 바퀴(20)의 재질은 절연체나 부도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양 레일(100)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사각프레임(1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레일(100)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레버(30)와, 이 레버(30) 선단을 밀어주기 위해 사각프레임(12)에 나사결합되고 외측선단에 회전핸들(32)이 부착된 조절나사(34), 상기 레버(30)와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어 레버(30)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다.
도 2a와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는 중앙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위가 사각프레임(12)과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수직부분은 조절나사(34)까지 연장되는 한편, 수평부분은 그 선단이 레일(100) 측면으로 하향 절곡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3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 하향 절곡된 선단이 레일(100)측면을 가압하여 레일(100)을 프레임(12)에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8)는 사각프레임(12)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너트부재로 상기 조절나사(34)가 치합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는 베이스판(40)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44)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바(42)와, 내부에 수직바(42)의 랙기어(44)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설치되어 수직바(42)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46), 상기 이동부재(46)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50), 이동부재(46)에 드릴(110) 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52)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40)와 이동부의 고정판(16)에 각각 형성된 볼트체결홀(54)을 통해 볼트로 베이스판(40)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손잡이(50)를 돌려주게 되면 이동부재(46)에 수직으로 설치된 드릴(110)이 수직바(42)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바닥에 볼트구멍을 뚫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장치가 레일(100)을 따라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이동부와, 이동부에 드릴(110)을 수직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부가 한 쌍의 레일(100) 중 한 레일(100)에만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의 구성도로서, 드릴(110) 장착부가 설치되는 고정판(60)의 일측선단에는 레일(100)을 따라 고정판(60)을 이동시키고 레일(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설치되고, 고정판(60)의 타측선단은 별도의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여 고정판(60)을 바닥에 지지시키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고정판(60) 선단 양쪽에서 레일(100) 위로 절곡되어 소정길이 돌출되고 표면에 관통홀(62)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바(66)와, 고정판(60)에 설치되어 레일(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가이드롤(68), 레일(100)의 반대쪽에서 레일(100) 측면에 밀착되고 상부는 레일(100) 위로 절곡되어 상기 체결바(66) 측면에 접하며 표면에 상기 체결바(66)의 관통홀(62)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82)이 형성된 브라켓(80)과, 브라켓(80)을 연결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레일(100) 위에 안착되는 레일바퀴(84) 및, 상기 체결바(66)와 브라켓(80)의 관통홀(62,82)을 관통하여 체결바(66)와 브라켓(80)을 결합시키기 위한 핀(90)과 작업위치에서 고정판(60)을 레일(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80)은 레일(100) 측면의 리브에 밀착되도록 내측면이 레일단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체결바(66)와 브라켓(80)에 두 개의 관통홀(62)을 형성하며, 핀(90)은 한 개를 U자형으로 절곡하여 선단이 관통홀(62,8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체결바(66)와 브라켓(80)의 관통홀(62)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핀(90)을 끼워주게 되면 두 부재가 결합되어 고정판(60)의 일측을 지지하면서 브라켓(80)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바퀴(84)에 의해 고정판(60)을 작업위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좌,우 체결바(66)에 연결부착된 연결빔(68)에 나사결합되어 레일(100)의 측면 리브를 가압하기 위한 조임나사(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고정판(60)의 선단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는 나사축(72)과 나사축(72)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핸들(74)과, 받침대(76)로 이루어진다.
한편,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고정판(60) 하단에 캐스터(78)를 장착하여 레일바퀴(84)와 캐스터(78)에 양단이 지지되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위치에 고정판(60)을 위치시키고 핸들(74)을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축(72)이 고정판(60)에 대해 잠기고 풀리면서 고정판(6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어 고정판(60)을 정확히 수평으로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가 대차(10) 형태로 되어 양 레일(100)에 놓여지는 것은 고정판(16)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고, 일측 레일(100)에만 설치되는 것은 고정판(60)의 수평상태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나 대차(10) 형태보다 구조가 간편하고 부피가 적은 장점이 있다.
도 4은 볼트가공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기 위한 마킹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중앙부는 레일(100) 위쪽으로 상승절곡되고, 양 선단은 침목과 침목 사이의 바닥에 놓여지도록 된 플레이트(92)로, 중앙에는 플레이트(92)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94)가 구비되고 양 선단에는 볼트구멍 가공위치에 마킹을 위한 홀(9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92)의 폭은 침목과 침목 사이 간격과 일치시켜 플레이트(92)의 유동을 방지하고, 마킹위치가 동일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일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확한 볼트구멍 가공위치를 콘크리트 바닥면에 표시해야 하는 데, 이를 위해 마킹수단인 플레이트(92)에 설치된 손잡이(94)를 이용하여 플레이트(92)를 레일(100)의 침목과 침목 사이에 놓게 되면 플레이트(92)가 침목 사이에 안착되면서 플레이트(92)에 형성되어 있는 홀(96)이 볼트구멍 형성위치를 나타내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 홀(96)을 통해 바닥에 붉은 색 페인트 등으로 칠을 하고 플레이트(92)를 제거하면 정확한 볼트구멍 가공위치가 바닥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볼트구멍 표시를 한 후에는 레일(100) 상에 본 지지장치의 레일바퀴(20)를 올려놓아 레일(100)을 따라 대차(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각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핸들(32)을 돌려 사각프레임(12)에 대해 조절나사(34)를 최대한 풀어줌으로서, 대차(1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대차(10)의 고정판(16)에는 드릴(110)이 장착된 베이스판(40)를 위치시켜 베이스판(40)에 형성된 홀을 통해 고정판(16)의 볼트체결홀(54)에 볼트를 체결하여 베이스판(40)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대차(10)를 밀게 되면 사각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바퀴(20)에 의해 대차(1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원하는 작업위치에 드릴(110)이 다다르게 되면 사각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핸들(32)을 잠금방향으로 돌려 프레임(12)을 고정시킨다.
즉, 회전핸들(32)을 돌려주게 되면 조절나사(34)가 사각프레임(12)의 너트부재(34)에 잠기면서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사각프레임(12)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는 레버(30)의 선단을 밀게 된다. 레버(30)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레버(30) 하부 선단이 레일(100)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30) 하부 선단과 사각프레임(12) 측면 사이에 레일(100)이 밀착되면서 대차(10)의 사각프레임(12)이 레일(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대차(10)가 레일(100)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고정판(16) 위에 설치되어 있는 드릴(110) 장착부의 회전손잡이(50)를 돌려 드릴(110)을 하강시켜 마킹된 곳에 볼트구멍을 가공하게 된다.
작업자가 회전손잡이(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동부재(46)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수직바(42)에 형성된 랙기어(44)를 따라 이동부재(46)를 밑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6)에 장착되어 있는 드릴(110)이 바닥으로 하강하면서 마킹된 곳에 구멍을 뚫어 주게 되는 것이다.
구멍뚫기 작업이 끝나면 회전손잡이(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부재(46)와 이동부재(46)에 설치된 드릴(110)을 수직바(42)에 대해 상승시키고, 사각프레임(12)을 고정하고 있는 레버(30)를 잠금해제시킨 후 다음 작업 위치로 대차(1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사각프레임(12)의 고정 해제는 사각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핸들(32)을 회전시켜줌으로서 이루어지는 데, 회전핸들(32)을 회전시켜 조절나사(34)를 풀어주게 되면 조절나사(34)에 의해 밀려있던 레버(30)가 레버(30)와 사각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36)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레일(100)의 측면을 가압하고 있는 레버(30)의 선단이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일(100)을 가압하고 있던 레버(30)가 밀려나가면서 레일(100)에 대해 대차(10)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대차(10)를 밀게 되면 사각프레임(12)에 설치된 레일바퀴(20)가 구르면서 대차(10)를 다음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드릴 지지장치에 의하면, 드릴을 수직으로 받쳐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레일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작업에 소모되는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을 뿐아니라 정확한 볼트구멍을 가공할 수 있게 되어 설치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Claims (7)

  1. 레일 위에 놓여지고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드릴을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부와, 이동부를 작업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레일에 놓여지는 레일바퀴가 축결합되는 사각프레임과, 한 쌍의 레일에 각각 놓여진 사각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사각프레임 측면과 상기 연결프레임 상부에 부착설치되고 드릴이 수직으로 장착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중앙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위가 사각프레임 내측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수직부분은 사각프레임 상부까지 연장되며 수평부분은 그 선단이 레일 측면으로 하향 절곡된 레버와, 상기 레버 수직부분을 밀어주기 위해 사각프레임에 나사결합되고 외측선단에 회전핸들이 부착된 조절나사 및, 상기 레버와 사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레버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한 레일에만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판의 일측선단에는 레일을 따라 고정판을 이동/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설치되고, 고정판의 타측선단에는 고정판을 바닥에 지지시키면서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판 선단 양쪽에서 레일 위로 절곡되어 소정길이 돌출되고 표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바와, 레일의 반대쪽 측면에 밀착되고 상부는 레일 위로 절곡되어 상기 체결바 측면에 접하며 표면에 상기 체결바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브라켓을 연결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레일 위에 안착되는 레일바퀴 및, 상기 체결바와 브라켓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핀과, 체결바 사이에 연결부착된 연결빔에 나사결합되어 레일의 측면 리브를 가압하기 위한 조임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고정판의 선단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는 나사축과, 나사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핸들과, 받침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 하부에 고정판 이동용 캐스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는 레일 위쪽으로 상승절곡되고, 양 선단은 침목과 침목 사이의 바닥에 놓여지도록 된 플레이트와,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 양 선단에 형성되어 볼트구멍 가공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홀로 이루어진 마킹수단이 더욱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KR2019990021405U 1999-10-06 1999-10-06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KR200172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405U KR200172226Y1 (ko) 1999-10-06 1999-10-06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405U KR200172226Y1 (ko) 1999-10-06 1999-10-06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226Y1 true KR200172226Y1 (ko) 2000-03-15

Family

ID=1959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405U KR200172226Y1 (ko) 1999-10-06 1999-10-06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22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436B1 (ko) * 2017-07-24 2018-01-05 김광문 철도용 체결장치 보수보강방법
WO2018008993A1 (ko) * 2016-07-07 2018-01-11 매그스위치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 레일 천공 장치
US20210170501A1 (en) * 2018-04-23 2021-06-10 Cembre S.P.A. A drill for drilling railway sleepers
CN114738064A (zh) * 2022-04-19 2022-07-12 中国航发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气涡壳定位调节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993A1 (ko) * 2016-07-07 2018-01-11 매그스위치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 레일 천공 장치
KR101815436B1 (ko) * 2017-07-24 2018-01-05 김광문 철도용 체결장치 보수보강방법
US20210170501A1 (en) * 2018-04-23 2021-06-10 Cembre S.P.A. A drill for drilling railway sleepers
CN114738064A (zh) * 2022-04-19 2022-07-12 中国航发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气涡壳定位调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72717B1 (ko)
US5622340A (en) Rail switch point assist apparatus
KR200172226Y1 (ko)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CN212357844U (zh) 一种多功能铁路铁轨更换装置
JP3065557B2 (ja) 軌条支承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道床軌道の敷設工法
JPH08109602A (ja) レール扛上用ジャッキ
CN111188232A (zh) 一种轨排自动精调机、精调***
KR101884361B1 (ko)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JP2006045832A (ja) 埋込栓補修台車
KR200481447Y1 (ko)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KR20150110442A (ko)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CN207597371U (zh) 一种曲面道路结构层钻芯取样车
KR19990064863A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CN221113900U (zh) 一种野外高速动车组拖车转向架
CN216771100U (zh) 用于施工现场的岩芯取样设备
CN215830438U (zh) 一种用于公路桥梁施工的钻孔平台
JP4583661B2 (ja) 移動式パネルのキャスタ高さ調整装置
CN116556121B (zh) 高速铁路无砟轨道板纵向加固车
CN211714532U (zh) 一种可调节的脚手架
CN219637590U (zh) 一种移动设备升降机构及铁路扫石砟设备
CN216339037U (zh) 一种市政道桥施工用支撑结构
DE69605022T2 (de) Schienenelement, insbesondere für u-bahn-, strassenbahn- und eisenbahngleise
CN220168775U (zh) 风管安装用钢结构支撑架
CN219364195U (zh) 一种轨道安装辅助装置
CN214240779U (zh) 一种地铁车辆检修用假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