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096Y1 - 경박형 전화기 - Google Patents

경박형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096Y1
KR200171096Y1 KR2019990018515U KR19990018515U KR200171096Y1 KR 200171096 Y1 KR200171096 Y1 KR 200171096Y1 KR 2019990018515 U KR2019990018515 U KR 2019990018515U KR 19990018515 U KR19990018515 U KR 19990018515U KR 200171096 Y1 KR200171096 Y1 KR 200171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ring
handset
hooking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채일
이일성
Original Assignee
반채일
이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채일, 이일성 filed Critical 반채일
Priority to KR2019990018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096Y1/ko
Priority to KR2019990023521U priority patent/KR2002474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송화기 및 수화기와 훅킹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화기 장치와; 다수의 전압 분배용 저항 및 저항들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들로 구성되어, 스위치들의 구동상태에 대응하는 전압을 제공하는 다이얼링 장치와; 콘센트를 통하여 전화국의 팁선과 링선과 연결되는 팁 단자 및 링 단자와, 팁 단자 및 링 단자와 연결되는 정류 회로와, 정류 회로로부터의 제공 전압으로 작동하며, 다이얼링 장치로부터의 제공 전압에 따른 DTMF 신호를 출력하고, 훅킹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훅킹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와, 팁선과 링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링음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링음 발생 장치와, 훅킹 신호에 따라 훅킹 온/오프되어 송수화기 장치와 팁 및 링 단자간에 사용자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 회로를 구비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전화기의 구성 장치들중 사용자의 비사용 장치들을 전화기의 플러그내에 내장시키므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화기내의 장치만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어 전화기의 사용 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박형 전화기{TELEPHONE}
본 고안은 전화기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기의 팁(tip) 및 링(ring)선과 연결되는 전화 플러그내에 전화기 회로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므로써 송수화기 및 다이얼패드만을 외부에 노출시킨 경박형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전 및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하여 각종 전자 기기들은 소형, 경량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전화기 역시 소형, 경량화되어 전화기의 핸드셋내에 전화기의 모든 회로를 구성한 전화기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하여 사용하는 전화기 부분은 음성을 입력, 전달하기 위한 송화기, 전화국으로부터의 음성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수화기, 통화자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 패드 그리고 전화기를 훅킹 오프시키기 위한 훅킹 스위치 부분(이하, 이 부분을 사용자 사용 장치라 함)이며, 이외의 전화기 구성 부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송화기, 수화기, 다이얼 패드 및 훅킹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전화국과 협조하여 전화 통화를 가능케 하는 전화기의 하드웨어적 구성 부분(이하, 이 부분을 사용자 비사용 장치라 함)이다. 따라서, 이들 부분은 굳이 외부에 설치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즉, 전화기의 사용자 사용 장치만을 외부에 노출, 구성하고, 이 부분을 제외한 사용자 비사용 장치들만을 모아서 은폐된 장소에 설치하면 전화기의 사용자 사용 장치만을 모아 소형화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전화기의 사용자 비사용 장치는 전화기의 플러그 즉, 전화국의 팁선 및 링선을 전화기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접속 장치내에 구성하므로써 외부로부터 충분히 은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전화기의 사용자 사용 장치만을 선택 구성하므로써 소형화하고, 전화기의 사용자 비 사용 장치들은 전화국의 팁선 및 링선과 접속되는 전화기의 플러그내에 구성한 경박형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화기에 있어서, 송화기 및 수화기와 훅킹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화기 장치와; 다수의 전압 분배용 저항 및 저항들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들로 구성되어, 스위치들의 구동상태에 대응하는 전압을 제공하는 다이얼링 장치와; 콘센트를 통하여 전화국의 팁선과 링선과 연결되는 팁 단자 및 링 단자와, 팁 단자 및 링 단자와 연결되는 정류 회로와, 정류 회로로부터의 제공 전압으로 작동하며, 다이얼링 장치로부터의 전압에 따른 DTMF 신호를 출력하고, 훅킹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훅킹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와, 팁선과 링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링음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링음 발생 장치와, 훅킹 신호에 따라 훅킹 온/오프되어 송수화기 장치와 상기 팁 및 링 단자간에 사용자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 회로로 구성되는 플러그를 구비한다.
도 1은 플러그를 이용하여 종래의 전화기가 콘센트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박형 전화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박형 전화기의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박형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를 마우스 패드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박형 전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센트 20 : 전화기
30 : 플러그 31 : 정류 회로
32 : 제어 장치 33 : 링음 발생 장치
34 : 통화 회로 40 : 다이얼링 장치
41 : 스피커 42 : 홀드 스위치
50 : 송수화기 장치 51 : 훅킹 스위치
52 : 송화기 53 : 수화기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호(10)는 전화기 콘센트를 의미한다. 전화기 콘센트(10)는 전화기(20)와 전화국간을 연결을 간단히 수행하기 위하여 건축물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화기 콘센트(10)에는 전화국의 팁선과 링선이 연결되어 있다. 전화기(20)에는 플러그(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플러그(30)의 팁 및 링 단자(T, R)를 콘센트(10)의 팁 및 링 단자(T, R)와 접속시키므로써 전화기(20)는 전화국의 팁선 및 링선과 연결된다. 도면에서 플러그(30)의 단자는 총 4개가 구성되나, 이들중 두 개만이 팁 및 링 단자(T, R)임은 본 고안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것이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경박형 전화기의 개략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화기는 콘센트(10)와 연결되는 플러그(30) 및 다이얼링 장치(40) 그리고 훅킹 스위치(51), 송화기(52) 및 수화기(53)가 일체로 구성되는 핸드 프리 형태의 송수화기 장치(50)가 각각 분할 구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개략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내에는 상술한 전화기의 사용자 비사용 장치들 즉, 팁 및 링 단자(T, R), 정류 회로(31), 제어 장치(32), 링음 발생 장치(33) 및 통화 회로(34)가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30)내의 제어 장치(32)는 다이얼링 장치(40)와 연결되어 있으며, 통화 회로(34)는 송수화기 장치(5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사용자 사용 장치는 다이얼링 장치(50)와 송수화기 장치(60)로 각기 구성되며, 이들 장치는 사용자 비사용 장치가 구성된 플러그(30)와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플러그(30)에 구성되는 정류 회로(31)는 팁 단자(T) 및 링 단자(R)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화국의 전압을 정류하여 제어 장치(32)에 공급한다. 여기서, 전화 통화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팁 단자(T)와 링 단자(R)간에는 -48V의 직류 전압이 제공되므로 정류 회로(31)가 필요없으나, 전화국으로부터 링 신호가 제공되거나, 전화 통화가 형성되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교류 성분이 포함되는 직류 전압이 제공되므로 정류 회로(31)가 사용되어야 함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어 장치(32)는 정류 회로(31)로부터의 제공 전압에 의하여 작동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수화기 장치(50)내의 훅킹 스위치(51)의 작동 여부를 감시하여 훅킹 신호를 통화 회로(34)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 장치(32)는 내부에 아날로그/디지탈 변화부 및 DTMF 발생 수단을 구비하여, 다이얼링 장치(40)로부터의 전압을 디지탈 신호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디지탈 신호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통화 회로(34)에 제공한다. 즉, 다이얼링 장치(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압 분배용 저항(R1-R13) 및 스위치(SW1-SW12)들로 구성되어 있어 온 상태가 된 스위치((SW1-SW12)에 대응하는 전압을 제어 장치(32)에 제공한다. 여기서, 스위치((SW1-SW12))들은 0부터 9 그리고, 전화기의 # 및 *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32)는 다이얼링 장치(40)로부터의 전압이 어느 스위치(SW1-SW12) 즉, 숫자 0 - 9 또는 * 또는 #들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지를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통화 회로(34)에 제공하는 것이다. 다이얼링 장치(40)내의 스위치 및 저항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음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스위치(SW1-SW12)들을 멤브레인 스위치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통화 회로(34)는 팁 단자(T) 및 링 단자(R)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32)로부터의 훅킹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훅킹 온/오프 상태로 토클된다. 즉, 통화 회로(34)는 훅킹 온 상태에서 훅킹 신호가 제공되면 훅킹 오프되어 팁선 및 링선을 통하여 통화 가능 상태로 전환되나, 훅킹 오프 상태에서 훅킹 신호가 제공되면 훅킹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훅킹 오프 상태에서 통화 회로(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국과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제어 장치(32)로부터의 DTMF 신호를 전화국으로 제공하며, 전화국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송수화기 장치(50)의 수화기(53)로 제공하고, 송화기(52)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전화국에 제공한다.
플러그(30)의 팁 및 링 단자(T, R)와 연결되어 있는 링음 발생 장치(33)는 팁 및 링 단자(T, R)를 통하여 링 신호가 제공되는가를 판단하고, 링 신호가 제공되면 다이얼링 장치(40)내에 구성되어 있는 스피커(41)를 통하여 소정의 링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41)를 다이얼링 장치(40)내에 구성한 것으로 도시및 설명하였으나, 스피커(41)의 구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송수화기 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30)의 통화 회로(34)와 연결되어 있는 송화기(52) 및 수화기(53) 그리고 훅킹 스위치(51)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훅킹 스위치(51)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 회로(34)를 훅킹 오프/온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송화기(52) 및 수화기(53)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화기 장치(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화기(52) 및 수화기(53)가 일체로 구성되는 핸드 프리(Hand Free)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전화국으로부터 링 신호가 제공되면, 링음 발생 장치(33)는 이 링 신호를 검출하여 다이얼링 장치(40)내의 스피커(41)를 통하여 링음을 출력하므로써 사용자에게 전화가 왔음을 통지한다. 사용자가 링음에 응답하여 전화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송수화기 장치(50)내의 훅킹 스위치(51)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플러그(30)내의 제어 장치(32)는 통화 회로(34)에 훅킹 신호를 제공한다. 통화 회로(34)는 현 상태가 훅킹 온 상태이므로(상술한 설명에서 전화국으로부터 링음이 제공된다는 것은 통화 회로(34)가 훅킹 온 모드로 작동중임을 의미한다.) 훅킹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송수화기(50)의 송화기(52) 및 수화기(53)를 통하여 전화 통화를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상황과는 반대로 사용자가 전화를 걸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송수화기 장치(50)의 훅킹 스위치(51)를 작동시키므로서 통화 회로(34)를 훅킹 오프시켜 전화국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다이얼링 장치(40)의 스위치(SW1-SW12)를 선택하여 작동시키므로써 전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다이얼링 장치(40)는 입력된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순차적으로 제어 장치(32)에 제공하며, 제어 장치(32)는 이 입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통화 회로(34)에 제공한다. 이때, 통화 회로(34)는 훅킹 오프 상태이므로 제어 장치(32)의 DTMF 신호를 전화국에 제공하고, 전화국은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상대방을 호출한다. 상대방이 이 호출에 응답하면 본 고안의 전화기와 상대방의 전화기간에는 전화국을 통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므로 전화 통화가 가능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전화기는 일반 전화기와 동일한 작동을 행함을 알 수 있다. 다만, 다이얼링 장치(40)의 스위치(SW1-SW12)들중 작동 스위치를 검색하기 위하여 저항(R1-R13)을 이용한 분배 전압차를 이용한다는 것이 종래의 전화기와 상이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비사용 장치들을 플러그(30)내에 구성하므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은 단지 다이얼링 장치(40) 및 송수화기 장치(50)에 국한됨을 알 수 있다. 즉, 전화기의 주 구성 부분들은 플러그(30)내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하여야 하는 다이얼링 장치(40) 및 송수화기 장치(50)를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이얼링 장치(50)를 상술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패드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이 다이얼링 장치(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마우스(70)가 사용되는 마우스 패드로도 이용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공간을 차지하는 구성 부분은 송수화기 장치(50)에 국한됨을 알 수 있다. 이 송수화기 장치(50) 역시 송화기(52), 수화기(53) 및 훅킹 스위치(51)만으로 구성되므로 극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핸드 프리형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그 필요 공간이 극히 작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링 장치(40)를 마우스 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이얼링 장치(70)를 멤브레인 스위치 등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마우스 패드로 이용하면 다이얼링 장치(40)내의 스위치(SW1-SW12)들은 마우스(70)의 이동에 따라 온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화 통화중에 즉, 통화 회로(34)가 훅킹 오프 모드로 작동중에 마우스(70)를 본 고안의 다이얼링 장치(40)상에서 사용하면, 다이얼링 장치(40)내의 스위치(SW1-SW12)들이 온되어 제어 장치(32)는 해당 DTMF 신호를 통화 회로(34)에 제공한다. 따라서, 전화 통화 상대방에게 이 DTMF 신호가 그대로 전달되므로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링 장치(40)내에 홀드 스위치(42)를 구성하고, 제어 장치(32)가 다음과 같이 동작하도록 구성하므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2)는 홀드 스위치(42)가 온 상태인 경우에 다이얼링 장치(40)의 제공 전압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통화 회로에 제공하나, 홀드 스위치(42)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다이얼링 장치(40)로부터의 제공 전압에 관계없이 DTMF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화 통화중에 다이얼링 장치(40)를 마우스 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홀드 스위치(42)를 오프시키므로써 다이얼링 장치(40)내의 스위치(SW1-SW12)가 온되는 경우에도 해당 DTMF 신호가 상대편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전화기의 구성 장치들중 사용자의 비사용 장치들을 전화기의 플러그내에 내장시키므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화기내의 장치만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어 전화기의 사용 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화기에 있어서,
    송화기 및 수화기와 훅킹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화기 장치와;
    다수의 전압 분배용 저항 및 상기 저항들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들로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들의 구동상태에 대응하는 전압을 제공하는 다이얼링 장치와;
    콘센트를 통하여 전화국의 팁선과 링선과 연결되는 팁 단자 및 링 단자와, 상기 팁 단자 및 링 단자와 연결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로부터의 제공 전압으로 작동하며, 상기 다이얼링 장치로부터의 전압에 따른 DTM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훅킹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훅킹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팁선과 링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링음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링음 발생 장치와, 상기 훅킹 신호에 따라 훅킹 온/오프되어 상기 송수화기 장치와 상기 팁 및 링 단자간에 사용자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 회로를 구비하는 플러그로 구성되는 경박형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다이얼링 장치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박형 전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링 장치는 멤브레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박형 전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링 장치는 패드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박형 전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홀드 스위치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홀드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다이얼링 장치의 전압에 따른 DTMF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경박형 전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스위치는 상기 다이얼링 장치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박형 전화기.
KR2019990018515U 1999-09-02 1999-09-02 경박형 전화기 KR200171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15U KR200171096Y1 (ko) 1999-09-02 1999-09-02 경박형 전화기
KR2019990023521U KR200247488Y1 (ko) 1999-09-02 1999-10-29 경박형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15U KR200171096Y1 (ko) 1999-09-02 1999-09-02 경박형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096Y1 true KR200171096Y1 (ko) 2000-03-15

Family

ID=195871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515U KR200171096Y1 (ko) 1999-09-02 1999-09-02 경박형 전화기
KR2019990023521U KR200247488Y1 (ko) 1999-09-02 1999-10-29 경박형 전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521U KR200247488Y1 (ko) 1999-09-02 1999-10-29 경박형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10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488Y1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980B2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erminal in at least two communication modes
US6681117B2 (en) Switching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cellular phone calls to fixed-network telephone
US20010012285A1 (en) Internet-telephone interface system
US4756021A (en) Telephone set
JPH0588599B2 (ko)
KR200171096Y1 (ko) 경박형 전화기
KR100233097B1 (ko)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JPS61212990A (ja) 内線電話機呼出方式
JPS62200852A (ja) ボタン電話装置の停電電話機
JP2003289365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機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KR200299965Y1 (ko) 전화기용 이어셋 연결장치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JPH11341179A (ja) 電話機および信号切替装置
JP2002135436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249802B2 (ja) ノーリンギング通信装置
KR930002581B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 통화회로
JPH0259676B2 (ko)
JPH0311855A (ja) 電話機
KR19980073728A (ko) 선로단선 체크기능을 갖는 교환기 시스템
KR20010025182A (ko) 직결형 어댑터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
JPH04242355A (ja) 電話機
JPS62298298A (ja) 電話装置
JPH0544239B2 (ko)
JPH08205216A (ja) 単独電話機を収容する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