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477Y1 - 우산손잡이 - Google Patents

우산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477Y1
KR200167477Y1 KR2019990017102U KR19990017102U KR200167477Y1 KR 200167477 Y1 KR200167477 Y1 KR 200167477Y1 KR 2019990017102 U KR2019990017102 U KR 2019990017102U KR 19990017102 U KR19990017102 U KR 19990017102U KR 200167477 Y1 KR200167477 Y1 KR 200167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mbrella
button
umbrella handle
oper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옥희
Original Assignee
채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옥희 filed Critical 채옥희
Priority to KR2019990017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과 작동버튼이 일체를 이루는 우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2)의 소정위치에 하우징(2)을 관통하는 버튼 형성영역(3)을 마련하여 버튼 형성영역(3)내에 작동버튼(4)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작동버튼(4)은 보강살(5)에 의해 하우징(2)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여 그 저부에는 길이방향의 요홈(4a)을 형성하여 우산손잡이(1)를 구성한 것이며;
한 벌의 금형에 의해 하우징(2)과 작동버튼(4)을 동시에 사출성형할 수 있으며, 작동버튼(4)과 하우징(2)이 일체를 이루고 있어 우산손잡이(1)와 우산대(7)의 조립을 매우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산손잡이{handle for 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버튼작동식 자동우산의 손잡이에 있어 작동버튼과 하우징이 일체를 이루게끔 하여 한 벌의 금형에 의해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우산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작동버튼에 의해 우산살이 자동으로 펼쳐지는 통상의 자동우산용 손잡이는 캡(cap)형태를 이루도록 성형되는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단턱을 구비하는 버튼결합공을 천공하고, 상기 버튼결합공내에 별도로 성형되는 작동버튼을 내삽시켜 작동버튼의 외연에 돌설된 돌기가 버튼결합공의 단턱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하우징에 마련되는 우산대결합공에 우산대를 결합시켜 우산대내에 탄력설치된 걸림편의 압지부재가 작동버튼의 저부에 밀착되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한 종래 우산손잡이는 하우징과 작동버튼을 별도로 성형하여 조립할 수밖에 없는 구성인바 각각의 부품제조에 따른 별도의 금형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우산대와 우산손잡이의 조립과정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우산대의 조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험을 갖춘 숙련자를 요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어 왔으며, 상기 폐단은 우산손잡이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우산손잡이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우산손잡이의 하우징상에 작동버튼이 일체를 이루며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한 벌의 금형으로 하우징과 작동버튼을 동시에 사출성형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우산손잡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우산손잡이
2: 하우징
3: 버튼 형성영역
4: 작동버튼
4a: 요홈
5: 보강살
6: 우산대 결합공
7: 우산대
8: 걸림편
9: 압지부재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우산손잡이(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우산손잡이(1)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우산손잡이(1)의 평단면도 등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정 두께를 갖는 캡(cap)형태의 하우징(2)과 우산대결합공(6)을 구비하는 우산손잡이(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그 소정위치에 하우징(2)을 관통하는 버튼 형성영역(3)을 마련하고, 상기 버튼 형성영역(3)내에 작동버튼(4)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작동버튼(4)은 그 외연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보강살(5)에 의해 하우징(2)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작동버튼(4)의 저부에는 우산손잡이(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4a)을 마련한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우산손잡이(1)는 그 소재로서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등을 선택하여 보강살(5)에 의해 하우징(2)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작동버튼(4)이 소재의 탄성에 의한 원복력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 결합공(6)에 우산대(7)를 압착 등의 방법으로 삽입시켜 우산대(7)에 설치된 걸림편(8)의 압지부재(9)가 작동버튼(4)의 요홈(4a)내로 인입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인바, 우산손잡이(1)의 하우징(2)과 작동버튼(4)이 일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우산대(7)의 압지부재(9) 위치를 작동버튼(4)의 저부에 맞춘 상태에서 우산대 결합공(6)에 축삽입하는 간략한 공정만으로 우산손잡이(1)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우산손잡이(1)는 작동버튼(4)이 보강살(5)에 의해 하우징(2)과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한벌의 금형에 의해 우산손잡이(1)를 양산가능하게 한 것으로 그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버튼(4)과 하우징(2)이 일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우산손잡이(1)와 우산대(7)의 조립을 매우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우산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다대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우산대 결합공(6)과 소정두께를 갖는 캡(cap)형태의 하우징(2)으로 구성되는 우산손잡이(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의 소정위치에 하우징(2)을 관통하는 버튼 형성영역(3)을 마련하여 버튼 형성영역(3)내에 작동버튼(4)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작동버튼(4)은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보강살(5)에 의해 하우징(2)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작동버튼(4)의 저부에 길이방향의 요홈(4a)을 형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우산손잡이.
KR2019990017102U 1999-08-14 1999-08-14 우산손잡이 KR200167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02U KR200167477Y1 (ko) 1999-08-14 1999-08-14 우산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02U KR200167477Y1 (ko) 1999-08-14 1999-08-14 우산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477Y1 true KR200167477Y1 (ko) 2000-02-15

Family

ID=1958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102U KR200167477Y1 (ko) 1999-08-14 1999-08-14 우산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4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3517A1 (en) Door shutter
RU2442731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навесной крышкой для бутылок и тому подобных с систем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крывания крышки
JP2003080554A (ja) 多部品成型を容易にするインサート及び成型方法
KR100440370B1 (ko) 2중 사출에 의한 밀폐용기 뚜껑
CN102743142A (zh) 用于家用器具的器具门和家用器具
KR200167477Y1 (ko) 우산손잡이
USD454686S1 (en) Eyeglass case
KR200470170Y1 (ko) 좌우 클릭형 단 조작수단을 갖는 수도밸브 카트리지
KR0128506Y1 (ko) 안경 케이스
KR200484625Y1 (ko) 도어락의 케이스 구조체
JPH11333193A (ja) 洗濯機
USD535180S1 (en) Insert stud for molded plastic components
USD519217S1 (en) Moulding
KR200348520Y1 (ko) 악세사리용 소자의 구조
KR200148095Y1 (ko) 사출성형 외함 장착용 버튼
JPH0134828Y2 (ko)
USD451213S1 (en) Extruded plastic window shutter L-frame
JP2007509819A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ヘッド、および、そうしたヘッドの製造方法
KR200414779Y1 (ko) 세대 통합 단자함용 도어
USD569224S1 (en) Core housing for lock/key assembly
KR200186227Y1 (ko) 열쇠고리
KR200313222Y1 (ko) 전자칩 고정을 위한 테이프 권취용 보빈
CN207486199U (zh) 一种生产简单化的配重把手
KR100650514B1 (ko) 키 프레임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60232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