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897Y1 - 납골안치단 - Google Patents

납골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897Y1
KR200146897Y1 KR2019960025087U KR19960025087U KR200146897Y1 KR 200146897 Y1 KR200146897 Y1 KR 200146897Y1 KR 2019960025087 U KR2019960025087 U KR 2019960025087U KR 19960025087 U KR19960025087 U KR 19960025087U KR 200146897 Y1 KR200146897 Y1 KR 200146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pening
locker
storage box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773U (ko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김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일 filed Critical 김경일
Priority to KR2019960025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897Y1/ko
Publication of KR960034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단지는 물론 고인의 위패와 유품을 함께 모실 수 있도록 하고 제시시 등에 필요한 제기의 수납기능을 갖춘 납골 안치단을 제공코져 한 것으로서, 안치단(1) 내부 상하에 위패 봉안실(9)과 납골단지 안치실(5)과, 상기 안치실(5)과 봉안실(9) 사이에 보관함(18)이 구성되며, 안치실(5)내부에는 안치판(7,7')가 전면에는 록커(6a)를 가지는 개폐문(6)이 착설되며, 봉안실(9) 하측 베이스골조(11)상에는 위패단(12)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록커(13a)를 가지는 개폐문(13)이 착설되며 일단에는 통상의 접점스위치(S)가 장설되어 이의 개폐작동에 따라 봉안실(9) 내측 조명등(10)이 자동으로 점멸작동되고, 개폐문(13) 상측에는 상판 부재(3)와 장식부재(17) 및 연결골조(16)와 연결결합된 문양판(14)이 결합되며 양측에는 측면장식부재(15)가 착설되고, 봉안실(9)과 안치실(5)간에는 보관함(18)의 양측 가이드홈(19)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20)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함(18) 상측에는 내부 수납실(21)을 개폐하는 뚜껑판(22,22')이 전후로 분리착설되어 양단 핀축(23,23')을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며, 전면에는 장식부(25)와 손잡이간(26)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스토퍼(24)가 고정결합된 것임.

Description

납골 안치단
일반적으로 고안의 유골 또는 유물을 모시는 납골단지는 주로 납골당의 안치단에 안치되어 제사시 등에 위패를 모시는 것으로서, 이하 종래 안치단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격자상으로 다수개의 함실을 구성하여서 된 통상적인 납골 안치단은 단순히 납골단지의 보존기능에 지나지 않는 극히 일반적인 것이며, 다층의 영단을 형성하여 제단을 구성한 공동묘당(국내 실용신안공보 제90-6869호)은 다수의 묘실을 실내에 형성하여 유효 묘터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공기 정화기가 설치되어 위생적인 묘실제공의 잇점이 따르는 것이었으나, 이는 다수의 묘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동묘당이 비교적 규모가 큰 구조물(건축물)로 제작될 수 밖에 없게 되므로서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웠고, 또한 가족묘지용 석분묘(국내 실용신안공보 제90-9207호)는 다수의 유골을 수용하면서 유골의 납골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설치면적을 작게 차지하는 장점을 보장하는 것이었으나, 주로 석재를 이용하여 건조되므로서 제작비가 고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고 납골당의 안치단과 같이 납골단지를 용이하게 안장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1996년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15207호는 납골묘를 조립식으로 제공하여 주로 가족단위로 납골단지를 모시도록 한 것이었으나, 이는 일반적인 공동 납골묘당과 같이 적용하여 납골단지를 모시는 용도로는 이용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주로 납골당에 다수 설치하여 비교적 가족단위로 납골단지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며, 위패를 함께 모실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제사시 등에 필요한 제기등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비교적 저가로서 고품위의 장식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납골 안치단을 제공코져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구성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치단 2,2' : 측판부재
3 : 상판부재 4 : 후면부재
5 : 안치실(납골단지) 6 : 개폐문
6a : 록커 7,7' : 안치판
8,8a : 지지프레임 9 : 봉안실(위패)
10 : 조명등 11 : 베이스골조
12 : 위패판 13 : 개폐문
13a : 록커 14 : 문양판
15 : 측면장식부재 16 : 연결골조
17 : 장식부재 18 : 보관함
19 : 가이드홈 20 : 가이드레일
21 : 수납실 22,22' : 뚜껑판
23,23' : 핀축 24 : 스토퍼
25 : 장식부 26 : 손잡이간
27 : 록커 28 : 납골단지
29 : 위패 32 : 제기
S : 접점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주로 납골당내에 설치하여 비교적 가족단위로서 납골단지(28)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안치실(5)을 제공하고, 한편으로 위패(29)를 모실 수 있는 위패봉안실(9)을 제공함과 아울러 고인의 유품이나 각종의 제기(32)를 함께 수납,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18) 등을 하나의 안치단(1)에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안치단(1)은 주로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좌우 측판 부재(2,2') 및 상판 부재(3), 후면 부재(4)로 조립구성되고,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위패 봉안실(9)과 납골단지 안치실(5)이 각각 분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안실(9)과 안치실(5) 사이에는 보관함(18)이 슬라이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관함(18)에는 주로 고인의 유품이나 제기(32) 등이 수납된다.
먼저, 상기 납골단지 안치실(5)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안치단(1)의 하부에 납골단지(28)를 모실 수 있는 안치실(5)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실(5) 내측에는 납골단지(28)가 계단상으로 안치될 수 있는 대략형의 안치판(7,7')이 다단으로 설치되고, 전방측에는 통상의 여닫이식 개폐문(6)이 착설되며 개폐문(6)에는 록커(6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치실(5) 전방, 개폐문(6)의 상하단에는 지지프레임(8)(8a)이 각각 고정설치된다.
상기 안치판(7,7')은 2단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안치판(7,7')을 2단 이상의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안치실(5) 상부에는 위패 봉안실(9)이 구성되는 바, 상기 위패 봉안실(9)에는 하단에 베이스골조(11)가 설치되어 이의 상측으로 위패(29)가 안치되는 대략형의 계단형 위패단(12)이 고정배치되며, 봉안실(9) 상측에는 조명등(10)이 설치되고, 전방에는 봉안실(9)을 개폐하는 여닫이식 개폐문(13)이 착설되고 록커(27)가 설치되는 바, 상기 개폐문(13) 상단에는 다양한 문양이 배시된 석재등으로 된 문양판(14)이 결합되며 개폐문(13) 일측에는 상기 조명등(10)과 연결되어 개폐문(13)의 개폐작동에 따라 조명등(10)이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도록 통상의 접점스위치(S)가 착설된다.
상기 개폐문(13)의 좌우 측면에는 상부 연결골조(16)와 연결결합된 측면장식부재(15)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골조(16)는 상판부재(3)와 역시 다양한 문양을 가지는 장식부재(17)와 연결결합된다.
한편, 상부 위패 봉안실(9)과 하부 납골단지 안치실(5)사이에는 보관함(18)이 슬라이드설치되는 바, 상기 보관함(18)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관함(18)은, 좌우 측면상으로 가이드홈(19)이 형성되어 상기 봉안실(9)의 베이스골조(11) 하측과 안치실(5) 상측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0)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전면 하단에는 상기 보관함(18)을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손잡이간(26)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간(26) 즉, 보관함(18) 정면에는 주로 비문을 새겨넣거나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할 수 있는 석재등의 장식부(25)가 끼움결합되며, 보관함(18) 내부 수납실(21) 상단에는 뚜껑판(22,22')이 착설되는 바, 상기 뚜껑판(22,22')은 전후측으로 분리구성되고 전후단이 핀축(23,23')에 회동축설되어 이의 분리부를 상방으로 회동개방하므로서 보관함(18)의 수납실(21)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관함(18) 후단에는 슬라이드 인출시 보관함(18)이 안치단(1)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스토퍼(24)가 형성되고, 전방 하단에는 상기 안치실(5)내측 상부로 보관함(18)의 인출작동을 록킹할 수 있는 록커(27)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안치실(5)과 봉안실(9)의 각 개폐문(13)상에는 개폐단속을 위한 록커(27)가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관함(18)의 록커(27)는 안치실(5) 내부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당연히 안치실(5)을 개방한 후, 보관함(18)의 록커(27)를 해제, 록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관함(18)과 측면장식부재(15) 및 연결골조(16), 장식부재(17)등은 주로 알루미늄 압출재등으로 구성하여 경량성과 양호한 조립성을 보장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촛대, 31은 병풍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납골당등에 설치되어 주로 가족 납골 안치단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인 바, 상부 봉안실(9)에는 고인의 위패(29)를 모시게 되고, 하부 안치실(5)에는 납골단지(28)를 모시게 되며, 중앙부 보관함(18)에는 고인의 유품이나 제사시 등에 필요한 제기(32)등을 수납보관케 되는 것이다.
하부 안치실(5)에는 계단상의 안치판(7,7')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고인의 유품이나 유골이 수납된 납골단지(28)를 서열에 따라 안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안치판(7,7')이 계단상으로 다단 구성되어 상기 안치판(7,7')상에 다수의 납골단지(28)를 비교적 서열별로 안치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안치실(5)의 개폐문(6)에는 록커(6a)가 착설되어 임의로 해제, 록킹할 수 있게 되므로서 내부의 납골단지(28)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봉안실(9)에는 역시 위패단(12)이 형성되어 상기 위패단(12)에 고인의 위패(29)를 모실 수 있게 됨은 물론 위패(29)가 모셔지는 위패단(12) 전방에는 촛대(30)를 배치하고 위패단(12) 후측단에는 병풍(31)을 배치하므로서 고인에 대한 품위있는 경건함과 엄숙함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봉안실(9)과 안치실(5)사이의 보관함(18)에는 고인의 유품이나 제기(32)등을 수납,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서 납골당을 방문한 가족등이 제사 등의 제례행상에 보다 충실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고인의 유품이 함께 보관되어 가족들이 고인의 유품을 항시 접할 수 있게 되므로서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더욱 돈독히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보관함(18)은 하측 안치실(5) 내부에 록커(27)가 설치되어 안치실(5)의 록커(6a)를 해제하여야만 보관함(18)의 록커(27)를 해제시키고 이의 인출이 가능한 2중의 록킹구조로 되어 보관함(18) 내부의 유품 등을 불의의 분실이나 도난의 우려없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록커(27)를 해제되면 전면 손잡이간(26)을 잡고 전방으로 당겨서 양 가이드홈(19)이 내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게 하므로서 보관함(18)을 인출하게되며, 상기 인출된 보관함(18)은 다시 상측 뚜껑판(22,22')을 전후단의 핀축(23,23')을 중심으로 중앙 분리부로 부터 회동시켜 수납실(21)을 개방하므로서 상기 수납실(21)내의 고인 유품 또는 제기(32)등을 수납, 인출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관함(18)은 고인의 유품이나 제기(32)를 안치실(5) 내부의 록커(27)에 의하여 분실 및 도난의 우려없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유품 및 제기(32)등을 납골단지(28)는 물론 위패(29)와 함께 효율적으로 보관케 되는 잇점을 득하게 된다.
또, 상기 봉안실(9)에는 개폐문(13)상에 설치된 접점스위치(S)가 개폐문(13)의 개폐작동에 따라 봉안실(9) 내부의 조명등(10)을 자동으로 점멸하므로서 위패(29)를 모시는 봉안실(9)을 경건하고 엄숙하게 함과 동시에 쾌적한 분위기로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봉안실(9)의 전면에 구성된 장식부재(17)는 안치단(1)의 장식성을 더욱 품위있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주로 납골당 등에 설치되어 납골단지(28)를 가족단위로 모실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납골단지(28)와 함께 위패(29) 및 고인의 유품은 물론 제기(32)등을 동시에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가족 단위의 납골 안치단(1)으로서, 고인의 서열에 따라 납골단지(28)와 위패(28)를 모실 수 있게 되는 잇점과 함께 비교적 저렴한 설치비로서 경건하고 엄숙하면서도 고품위의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장식성이 제공되고, 관리상의 효율성과 납골단지(28)를 모시는 안치단(1)으로서의 사용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기대되는 것으로서, 기대치 이상의 효과가 예상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납골당의 납골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이 수납되는 납골단지와 위패를 함께 모실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인의 유품과 제기드등을 함께 수납, 보관할 수 있게 하며, 특히 가족단위 납골 안치단으로서, 서열에 따른 납골단지의 안장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좌우 측판 부재(2,2') 및 상판과 후면 부재(4)로 조립구성된 안치단(1) 내부 상하로 위패 봉안실(9)과 납골단지 안치실(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안치실(5)과 봉안실(9) 사이에는 보관함(18)을 슬라이드 구성하되, 상기 안치실(5) 내부에는 납골단지(28)를 계단상으로 안치할 수 있는 안치판(7,7')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록커(6a)를 가지는 개폐문(6)이 착설되며, 상기 봉안실(9) 하측 베이스골조(11)상에는 위패(29)를 안치하는 위패단(12)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록커(13a)를 가지는 개폐문(13)이 착설되며 일단에는 통상의 접점스위치(S)가 장설되어 이의 개폐작동에 따라 봉안실(9) 내측 조명등(10)이 자동으로 점멸작동되고, 상기 개폐문(13) 상측에는 상판 부재(3)와 장식부재(17) 및 연결골조(16)와 연결결합된 문양판(14)이 결합되며 양측에는 측면장식부재(15)가 착설되고, 상기 봉안실(9)과 안치실(5)간에는 보관함(18)의 양측 가이드홈(19)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20)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함(18) 상측에는 내부 수납실(21)을 개폐하는 뚜껑판(22,22')이 전후로 분리 착설되어 양단 핀축(23,23')을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며, 전면에는 장식부(25)와 손잡이간(26)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스토퍼(24)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보관함(18)의 록커(27)는 전면 하단에 설치되어 안치실(5) 내부에서 록킹, 해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안치단.
KR2019960025087U 1996-08-14 1996-08-14 납골안치단 KR200146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087U KR200146897Y1 (ko) 1996-08-14 1996-08-14 납골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087U KR200146897Y1 (ko) 1996-08-14 1996-08-14 납골안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73U KR960034773U (ko) 1996-11-21
KR200146897Y1 true KR200146897Y1 (ko) 1999-06-15

Family

ID=1946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087U KR200146897Y1 (ko) 1996-08-14 1996-08-14 납골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8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04B1 (ko) * 2008-07-01 2011-03-17 윤규대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04B1 (ko) * 2008-07-01 2011-03-17 윤규대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73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216B2 (en) Lamp
US10596055B1 (en) Reusable transparent casket assembly
CA1114137A (en) Combination burial vault and casket and funeral and burial method or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090174205A1 (en) Funeral car
KR200146897Y1 (ko) 납골안치단
US7343653B2 (en) Funerary article having lighted ornament
US7251869B1 (en) Burial device
US20060163896A1 (en) Funeral vehicles
JP3174680U (ja) 納骨壇
KR200214920Y1 (ko) 납골안치단
JPH08128235A (ja) 自動搬送霊廟礼拝装置
BE901806A (fr) Cercueil gaine.
JP3775676B2 (ja)
JP4880949B2 (ja) 仏壇
DE19812217A1 (de) Leichentransport- und -aufbewahrungsanordnung und zugehöriger Sarg sowie Überführungsfahrzeug zum Transport des Sarges
KR200146896Y1 (ko) 부부 납골 안치단
US20050166375A1 (en) Casket having lighted corners
JP3225590U (ja) 納骨壇
DE102019000098A1 (de) Anordnung zur temporären Gestaltung einer in einem Kolumbarium integrierten Umenkammer
CN2140735Y (zh) 灵骨箱
CN210460148U (zh) 一种楼房式公墓结构
USD467700S1 (en) Burial columbarium
CN2220849Y (zh) 孝道手提推、送、抬折合式棺木
DE202019000087U1 (de) Anordnung zur temporären Gestaltung einer in einem Kolumbarium integrierten Urnenkammer
JP3035847U (ja) 仏 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