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102A -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102A
KR20010098102A KR1020000022776A KR20000022776A KR20010098102A KR 20010098102 A KR20010098102 A KR 20010098102A KR 1020000022776 A KR1020000022776 A KR 1020000022776A KR 20000022776 A KR20000022776 A KR 20000022776A KR 20010098102 A KR20010098102 A KR 20010098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raw material
charging
lower variabl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국
양홍직
홍준
권영철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2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8102A/ko
Publication of KR2001009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2Positioning the charge involving positioning devices, e.g. buffers, buffer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M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OF THE CHARGES OR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 F27M2003/00Type of treatment of the charge
    • F27M2003/04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입슈트에서 소결기대차로 낙하장입되는 원료입자의 유동성이 최적화되도록 하부가변장입슈트의 위치를 가변하여 소결기대차상에서의 원료 낙하점을 분산시킴으로써 장입된 원료의 밀도를 줄이면서 원료적층이 상부에는 미분원료, 하부에는 조립원료가 적재장입되도록하는 편석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일반적으로 적층원료층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적층,붕괴, 적층현상(붕락현상)의 교대를 방지함으로써 소결광 생산성뿐만 아니라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원료낙하점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기 장입슈트(5)의 하부단근방에 위치이동가능하게 갖추어지는 하부가변장입슈트(110)와,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설치위치를 외력에 의해서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와 연결구성되는 작동부(120);를 포함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STATUS OF SINTERING MATERIALS}
본 발명은 소결배합원료를 장입슈트를 이용하여 소결기 대차에 장입할 때 효과적으로 장입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장입슈트에서 소결기대차로 낙하장입되는 원료입자의 유동성이 최적화되도록 하부가변장입슈트의 위치를 가변하여 소결기대차상에서의 원료 낙하점을 분산시킴으로써 장입된 원료의 밀도를 줄이면서 원료적층이 상부에는 미분원료, 하부에는 조립원료가 적재장입되도록하는 편석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일반적으로 적층원료층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적층,붕괴, 적층현상(붕락현상)의 교대를 방지함으로써 소결광 생산성뿐만 아니라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소결공장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분 철광석,석회석 및 연료인 코크스를 배합한 소결원료(1)를 만들어 소결원료 호퍼(2)에 장입하고, 이것을 드럼형 피더(4)의 회전에 의해서 호퍼게이트(3)를 거쳐 장입슈트(5)로 공급함으로써, 소결기대차(7)의 상부에는 작은 입자, 하부에는 큰 입자로 편석되도록 장입할수 있는 장입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소결원료의 표면을 점화로에서 점화하고, 불로워에 의해 원료층 상부에서 하부로 흡입하는 공기에 의하여 소결원료내에 포함되어 있는 코크스가 연소되면서 소결반응을 진행시켜 소결광을 제조한다.
이때, 소결기대차(7)에서 원료의 장입상태를 하부에는 큰입자, 상부에는 작은입자가 위치하도록(수직편석조장) 하여 연료인 코크스가 상부에 많도록 인위적으로 조장함으로써 소결기대차 상,하방향의 열량 불균일 현상을 억제하는 한편, 소결기대차(7)내 원료층에 유입되는 공기의 저항(통기저항)을 낮추어 소결광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가능하면 소결기대차(7) 폭방향으로도 원료의 장입밀도를 고르게 유지하는 것이 최상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소결원료의 장입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따르는 원료층의 적층,붕괴,적층현상이 교대되는 붕락현상의 방지 또는 발생빈도를 줄이는 것이 안정적인 소결조업에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입슈트(5)에서, 소결원료의 특성에 따라 입자의 유동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장입슈트(5)의 중심부근에 힌지축(6)을 설치하여 드럼형 피더(4)로부터 소결기대차(7)로 원료(1)를 장입안내하는 장입슈트(5)의 설치각도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대단위 설비인 장입슈트(5)의 각도변경이 기계적으로 용이하지 않으며,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입슈트(5)가 60°의 경우에 대비하여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입슈트(5)의 설치각도를 45°로 작게 경우, 원료입자의 공급위치에서 슈트면까지의 거리(D)가 길어져서 충돌에 의한 입자의 에너지 소모가 과다해지며, 특히 유효 경사면 길이(L)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반대로 도 1(c)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입슈트(5)의 설치각도를 70°로 크게 한 경우, 공급위치에서 슈트면까지의 거리(D)가 짧아지는 반면에, 최종 장입슈트이탈 원료입자의 수평방향 속도분배율이 적어 편석장입의 효과가 적어지며, 상대적으로 수직방향의 속도가 커져 장입밀도의 상승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 제안된 소결원료 장입장치중에서 일본특허 특개평 9-210566호에서는 경사판형의 장입슈트대신에 경사면 방향으로 와이어가 슬릿을 이루도록 여러개 설치한 모형을 제안하였는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여러 장점에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특히 장입원료의 높이제어에 있어서 신규의 제어방식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특허 JP-85543, 88240(1987)에서는 경사형 장입슈트의 하단에 여러개의 봉을 경사면에서의 원료의 흐름방향으로 설치하고, 각 봉을 한쪽 끝을 정점으로 한 깔대기형으로 회전시켜 원료낙하폭을 분산시키도록 한 장입장치를 제안하였으며, 원리상으로 그 장점이 크나 설비가 구조적으로 대단히 복잡하여 장기적인 조업에 따르는 정비나 안정성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는 등 문제점이 있는 것을 알려져 있다.
소결원료의 장입과정은 드럼형 피더(4)의 낙하원료 접면에서의 입자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장입슈트(5)에서 장입에 유효한 운동성분을 갖는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결기대차(7)에 장입하는 에너지의 변환과정으로 설명되는데, 즉 가능하면 초기 장입슈트(5)면에서의 원료입자 충돌에너지의 손실을 줄이고, 원료입자의 운동방향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유효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결기대차(7)에 장입함으로써 장입설비에서 편석능력을 강화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원료낙하점의 위치를 일정범위내에서 분산시켜 장입밀도의 저하를 유도할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붕락현상의 방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장입설비를 일부 보완하여 드럼형 피더로부터 불출되어 낙하되는 원료입자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편석장입능력을 강화하고, 장입밀도를 저하시키는 한편, 장입과정에 따른 적층원료층의 붕락현상을 사전에 방지할수 있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입제어 시스템을 일부 보완하여 사용함으로서 용이하게 적용할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설비가 간단하면서 작은규모로 되어 있어서 장기적 사용시 우려되는 기계적 장해의 위험이 극히 적은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b)(c)는 일반적인 소결원료 장입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2(a)(b)(c)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도 3과 4(a)(b)(c)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1실시예에서 하부가변장입슈트의 각도변경에 따른 유효 슬릿간격의 변화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1실시예에서 각도변경에 따른 원료장입특성 변화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4실시예에서 슈트부재의 각도변경에 따른 원료장입특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2실시예에서 슈트부재의 위치변경에 따른 원료장입특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3실시예에서 슈트부재의 위치변경에 따른 원료장입특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9(a)(b)(c)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1,2 및 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호퍼 4 ..... 드럼형 피더
5 .... 장입슈트 7 ..... 소결기대차
110 .... 하부가변장입슈트 111,112,113 .... 슈트부재
111a .... 힌지축 120 .... 작동부
121 .... 실린더부재 123 .... 래크기어
128 .... 블록형 대차 129 .... 활주레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상,하 2단 또는 분할수로 나누어져 구성된 장입슈트를 이용하여 원료를 소결기대차에 장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입슈트의 상부면으로 드럼형 피더로부터 원료를 불출하는 불출단계;와,
상기 장입슈트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소결기대차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원료낙하점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기 장입슈트로부터 연속되는 하부가변장입슈트의 설치위치를 변화시키는 가변단계; 및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의 최하단부로부터 이탈된 원료가 소결기대차상에 수직편석되는 장입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의 장입상태 제어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상기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상,하 2단 또는 분할수로 나누어져 구성된 장입슈트를 갖추어 원료를 소결기대차에 장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결기대차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원료낙하점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기 장입슈트의 하부단근방에 위치이동가능하게 갖추어지는 하부가변장입슈트와,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의 설치위치를 외력에 의해서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와 연결구성되는 작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b)(c)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불출, 가변 및 장입단계로 구성되는바, 상기 불출단계는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드럼형 피더(4)로부터 인접한 곳에 경사지게 항상 위치고정되는 장입슈트(5)의 상부면으로 원료호퍼(2)의 원료를 상기 드럼형 피더(4)로서 불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변단계는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소결기대차(7)상에서의 원료낙하점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기 장입슈트(5)로부터 연속설치된 하부가변 장입슈트(110)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입단계는 상기 장입슈트(5),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차례로 거쳐치면서 원료의 량의 조절되고, 낙하점이 변화된 원료를 소결기대차(7)에 수직편석되도록 장입하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 상기 가변단계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근방에서 상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선회방향(A)으로 상,하왕복선회시킴으로써,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거쳐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원료의 낙하점을 가변시킬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소결기대차(7)의 이동방향과 평행한수평방향(B)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거쳐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원료의 낙하점을 가변시킬수 있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장입슈트(5)와 같이 기울어진 경사방향(C)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장입슈트(5)를 거쳐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원료의 낙하점을 가변시킬수 있다.
도 9(a)(b)(c)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1,2 및 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는 드럼형 피더(4)로부터 불출된 원료가 1차로 안내되는 장입슈트(5)와 소결기대차(7)와의 사이에 갖추어져 2차로 원료를 낙하안내하는 하부가변장입슈트(110)와, 이를 동작시키는 작동부(120)로 구성되는바,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드럼형 피더(4)로부터 인접한 위치에 항상 경사지게 위치고정되는 장입슈트(5)에 대하여 상기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소결기대차(7)상에서의 원료낙하점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기 장입슈트(5)의 하부단근방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슈트부재로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작동부(120)는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설치위치를 외력에 의해서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에 연결구성되는 구동수단으로 갖추어지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다양한 이동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근방에 힌지축(111a)을 매개로 하여 상단부가 힌지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슈트부재(111)로 갖추어지고, 상기 슈트부재(111)의 하단과 연결되는 작동부(120)는 상기 슈트부재(111)를 상,하방향으로 상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왕복선회시킬수 있는 외력을 발생하는 실린더부재(121)와 같은 왕복구동수단으로 갖추어진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수평한 활주레일(129)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 블록형 대차(128)의 일측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슈트부재(112)로 갖추어지고, 상기 블록형 대차(128)의 후면과 연결되는 작동부(120)는 상기 슈트부재(112)를 소결기대차(7)와 나란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수 있는 외력을 발생하는 로드(127)를 갖는 폄심구동모터(122) 또는 실린더부재와 같은 왕복구동수단으로 갖추어진다.
또한, 도 9(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경사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슈트부재(113)로 갖추어지고, 상기 슈트부재(113)와 연결되는 작동부(120)는 상기 슈트부재(113)를 경사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수 있는 외력을 발생할수 있도록 상기 슈트부재(113)하부면에 형성된 래크기어(123)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124) 또는 실린더부재와 같은 왕복구동수단으로 갖추어진다.
여기서, 상기 슈트부재(111)(112)(113)는 장입슈트(5)를 거쳐 낙하하여 소결기대차(7)로 안내되는 장입원료가 하부로 통과할수 있는 슬릿을 형성할수 있도록 스틸와이어 또는 봉을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나열한 슬릿형 슈트구조로 갖추어질수도 있고, 낙하하는 장입원료의 통과가 곤란하도록 바닥면이 폐쇄된 슈트구조로갖추어질수도 있다.
한편, 도 3과 4(a)(b)(c)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1실시예에서 하부가변장입슈트의 각도변경에 따른 유효 슬릿간격의 변화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스틸와이어 또는 봉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슬릿형 슈트부재이며, H는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최상단으로부터 소결기대차(7)의 상부면사이의 수직높이이고, h는 힌지축(111a)으로부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최하단사이의 수직높이이며, y는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최하단으로부터 소결기대차(7)의 상부면사이의 수직높이이고, L은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최상단으로부터 최하단사이의 수평거리이며, α는 장입슈트(5)의 설치각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각도(θ)가 작아질수록 유효슬릿간격(W)은 슬릿간격(D)의 cos(θ)곱으로 커지게 되어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각도변화에 따라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에 형성된 유효슬릿간격(W)을 통하여 하부로 통과하는 원료의 량을 가변시킬수 있는 것이다.
즉, 드럼형 피더(4)를 작동시켜 원료를 장입슈트(5)측으로 불출하는 장입공정중에 소결기대차(7)상에 적재되는 원료의 장입상태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인 슬릿형 슈트부재(111)의 하부단에 연결구성된 왕복구동수단일 실린더부재(121)을 상승작동시키면, 상기 슈트부재(111)는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힌지축(111a)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선회하면서 각도(θ)가 작아지며, 각도가 작아질수록 각도변화에 해당하는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유효슬릿간격(w1 w2w3)은 점차 커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4(a)(b)(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장입슈트(5)를 거쳐 연속하여 슈트부재(111)의 상부를 흐르는 원료속도의 수평속도분배율(Vh)은 수직속도분배율(Vv)보다 커지게 되고, 슈트부재(111)의 수평거리(L)와 슈트부재(111)의 최하단부에서 소결기대차(7)의 원료 적층표면까지의 수직높이(y)가 커지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릿형 슈트부재(111)의 각도(θ)가 작아질수록 유효슬릿간격(W)이 커져 이를 통하여 작은입자가 하부로 유출될 확률은 상대적으로 커지며, 최종적으로 슈트부재(111)의 최하단부를 이탈하는 원료입자속도의 수평속도분배율이 커지면서 원료입자의 낙하점이 소결기대차(7)상의 전방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원료적층표면까지의 수직높이(y)가 커지기 때문에, 원료의 특성에 따라 슈트부재(111)의 각도를 왕복구동수단으로서 적절히 변경하면 원료의 장입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1실시예에서 각도변경에 따른 원료장입특성 변화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장입슈트(5)의 하단부근방에 힌지축(111a)을 선회축으로 하여 상,하왕복선회가능하게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인 슈트부재(111)를 설치하면, 상기 슈트부재(111)의 각도변화에 따라 수평거리(L), 수직높이(y)를 가변시켜 상기 슈트부재(111)상을 흐르면서 소결기대차(7)상으로 적재되는 원료의 유동상태를 변경함과 동시에 원료의 낙하점을 가변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4실시예에서 슈트부재의 각도변경에 따른 원료장입특성을 도시한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인 슈트부재(111)에 설치되는 힌지축(111a)을 상기 슈트부재(111)의 중심부에 설치함으로서, 원료장입공정중 상기 슈트부재(111)의 각도변경에 따라 그 상부를 흐르는 원료입자의 유동상태를 효과적으로 변경할수 있다. 이는 도 5에 비하여 슈트부재(111)의 최하단에서 원료적층높이까지의 거리(y)의 변화가 적은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2실시예에서 슈트부재의 위치변경에 따른 원료장입특성을 도시한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인 슈트부재(112)의 설치각도를 45°로 설정하고, 장입슈트(5)를 통하여 슈트부재(112)측으로 원료를 장입함과 동시에, 슈트부재(112)를 수평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슈트부재(112)에 연결된 왕복구동수단의 외력을 이용하여 블록형 대차(128)를 수평방향으로 후진시키면, 장입슈트(5)로부터 낙하된 원료가 슈트부재(112)에 처음 접하는 접점위치(P)에서 원료적층표면까지의 수직높이(y)는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접점위치(P)에서 슈트부재(112)의 최하단까지의 수평거리(L)도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슈트부재(112)의 최하단을 통과하여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낙하점이 분산가변됨을 알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슈트부재(112)를 간단하게 수평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슈트부재(112)상을 흘러 소결기대차(7)의 상부면으로 낙하하는 원료입자의 유동상태를 가변함과 동시에 원료낙하점을 분산시킬수 있기 때문에 원료의 장입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의 제 3실시예에서 슈트부재의 위치변경에 따른 원료장입특성을 도시한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인 슈트부재(113)의 설치각도를 그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장입슈트(5)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장입슈트(5)를 통하여 슈트부재(113)측으로 원료를 장입함과 동시에, 상기 슈트부재(113)를 경사방향으로 하강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슈트부재(113)의 래크기어(123)에 기어물림된 피니언기어(124)를 일방향 회전구동시켜 상기 슈트부재(113)를 경사방향으로 상승이동시키면, 장입슈트(5)로부터 낙하된 원료가 슈트부재(113)에 처음 접하는 접점위치(P)에서 원료적층표면까지의 수직높이(y)는 일정한 반면에, 상기 접점위치(P)에서 슈트부재(112)의 최하단까지의 수평거리(L)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슈트부재(113)의 최하단을 통과하여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낙하점이 가변됨을 알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슈트부재(113)를 간단하게 경사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슈트부재(113)상을 흘러 소결기대차(7)의 상부면으로 낙하하는 원료입자의 유동상태를 가변함과 동시에 원료낙하점을 분산시킬수 있기 때문에 소결기대차(7)상에 적층되는 원료의 장입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드럼형 피더(4)를 이용한 원료호퍼(2)로부터 장입슈트(5), 하부가변장입슈트(110)로의 장입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힌지축(111a)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폭으로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인 슈트부재(111)를 주기적으로 선회왕복작동시켜 설치각도를 변경하면, 상기 슈트부재(111)의 최하단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는 원료입자의 궤적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결기대차(7)상부면에 적층되는 원료입자의 분산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기 때문에, 편석장입성능을 확대하고, 특히 적층된 원료의 적층-붕괴-적층현상이 반복되는 붕락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어 원료의 장입상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수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구성된 하부가변장입슈트인(110)인 슈트부재(112)를 소결기대차(7)와 나란한 수평방향 또는 또다른 슈트부재(113)를 그 경사면과 평행한 경사방향으로 일정한 이동폭으로 주기적으로 변경하면, 상기 슈트부재(112)(113)의 최하단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는 원료입자의 궤적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결기대차(7)상부면에 적층되는 원료입자의 분산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편석장입성능을 확대하고, 특히 적층된 원료의 적층-붕괴-적층현상이 반복되는 붕락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어 원료의 장입상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 장입설비를 일부 보완하여 효과적으로 낙하되는 원료입자를 분산시켜 편석장입 능력뿐만 아니라 장입밀도를 저하시키고 장입과정에 따른 적층원료층의 붕락현상을 방지할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편석능력의 향상에 의하여 소결기대차에서 수직방향의 소성상태를 균일화하여 에너지 이용율을 향상하면서 더불어 자연적으로 부원료의 편석에 의하여 장입밀도가 저하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장입과정에서 따르는 붕락현상의 발생빈도를 줄일수 있어 소결조업을 안정되게 유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장입제어시스템을 일부 보완하여 사용할수 있어 발명의 장치를 용이하게 적용할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설비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작은 규모로 되어 있어서 장기적 사용시 우려되는 기계적인 장애위험이 극히 적은 특성이 있다.

Claims (10)

  1. 상,하 2단 또는 분할수로 나누어져 구성된 장입슈트(5)를 이용하여 원료를 소결기대차(7)에 장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입슈트(5)의 상부면으로 드럼형 피더(4)로부터 원료를 불출하는 불출단계;와,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원료낙하점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기 장입슈트(5)로부터 연속되는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설치위치를 변화시키는 가변단계; 및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최하단부로부터 이탈된 원료가 소결기대차(7)상에 수직편석되는 장입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의 장입상태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단계는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근방에서 상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선회방향(A)으로 상,하왕복선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단계는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소결기대차(7)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수평방향(B)으로 왕복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단계는 상기 장입슈트(5)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를 상기 장입슈트(5)와 같이 기울어진 경사방향(C)으로 왕복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5. 상,하 2단 또는 분할수로 나누어져 구성된 장입슈트(5)를 갖추어 원료를 소결기대차(7)에 장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결기대차(7)상으로 낙하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고, 원료낙하점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기 장입슈트(5)의 하부단근방에 위치이동가능하게 갖추어지는 하부가변장입슈트(110)와,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설치위치를 외력에 의해서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와 연결구성되는 작동부(1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힌지축(111a)을 매개로 하여 상단부가 힌지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슈트부재(111)로 갖추어지고, 상기 슈트부재(111)의 하단과연결되는 작동부(120)는 상기 슈트부재(111)를 상,하방향으로 상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왕복선회시킬수 있는 외력을 발생하는 왕복구동수단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수평한 활주레일(129)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 블록형 대차(128)의 일측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슈트부재(112)로 갖추어지고, 상기 블록형 대차(128)의 후면과 연결되는 작동부(120)는 상기 슈트부재(112)를 소결기대차(7)와 나란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수 있는 외력을 발생하는 왕복구동수단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경사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슈트부재(113)로 갖추어지고, 상기 슈트부재(113)와 연결되는 작동부(120)는 상기 슈트부재(113)를 경사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수 있는 외력을 발생하는 왕복구동수단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
  9. 제 6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의 슈트부재(111)(112)(113)는 스틸와이어 또는 봉을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나열한 슬릿형 슈트구조로 갖추어지거나, 낙하하는 장입원료의 통과가 곤란하도록 바닥면이 폐쇄된 슈트구조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
  10. 제 6항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변장입슈트(110)는 각각 그 최하단부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는 원료입자의 궤적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부(120)에 의해서 슈트부재(110)의 설치각도를 주기적으로 변경시키거나, 슈트부재(112)(113)의 설치위치를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일정폭 주기적으로 변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장치.
KR1020000022776A 2000-04-28 2000-04-28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10098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776A KR20010098102A (ko) 2000-04-28 2000-04-28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776A KR20010098102A (ko) 2000-04-28 2000-04-28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102A true KR20010098102A (ko) 2001-11-08

Family

ID=1966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776A KR20010098102A (ko) 2000-04-28 2000-04-28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810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17B1 (ko) * 2003-10-17 2011-01-14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혼합기 장입슈트의 부착광 방지장치
KR20160038118A (ko) * 2014-09-29 2016-04-0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방법
KR20160132253A (ko) * 2015-05-08 2016-11-1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 장치
KR20180047299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20180047300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20200120418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3088A (en) * 1987-07-17 1989-01-25 Nippon Steel Corp Gra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terial packed layer
JPH02251086A (ja) * 1989-03-22 1990-10-08 Nippon Steel Corp 焼結原料層の通気性調整装置
JPH10238960A (ja) * 1997-02-28 1998-09-11 Kawasaki Steel Corp 焼結原料の装入方法
KR20010058259A (ko) * 1999-12-27 2001-07-05 이구택 소결원료 장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다중 롤형슈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3088A (en) * 1987-07-17 1989-01-25 Nippon Steel Corp Gra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terial packed layer
JPH02251086A (ja) * 1989-03-22 1990-10-08 Nippon Steel Corp 焼結原料層の通気性調整装置
JPH10238960A (ja) * 1997-02-28 1998-09-11 Kawasaki Steel Corp 焼結原料の装入方法
KR20010058259A (ko) * 1999-12-27 2001-07-05 이구택 소결원료 장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다중 롤형슈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17B1 (ko) * 2003-10-17 2011-01-14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혼합기 장입슈트의 부착광 방지장치
KR20160038118A (ko) * 2014-09-29 2016-04-0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방법
KR20160132253A (ko) * 2015-05-08 2016-11-1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 장치
KR20180047299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20180047300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20200120418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8179B2 (ja) 焼結機への原料装入装置
KR100411280B1 (ko) 소결원료의 장입장치
CN107309170A (zh) 多粒级分级机
KR20010098102A (ko)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CN203155557U (zh) 一种茶叶通用风选机
KR100435474B1 (ko) 소결원료 장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다중 롤형슈트장치
KR100544434B1 (ko) 소결원료장입장치
CN109201308A (zh) 一种基于脉动水流的选矿装置
CN202803629U (zh) 一种灰屑提升及均匀喂料装置
CN116099643A (zh) 镜像连选式干选装置
CN1899133B (zh) 利用惯性对烟草物料风选的设备
CN2871016Y (zh) 煤炭干法分级装置
KR101723447B1 (ko)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처리설비
JP2005226113A (ja) 焼結原料の装入方法
KR101964289B1 (ko)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KR101193878B1 (ko) 소결원료 장입장치
CN201106987Y (zh) 用于转底炉回转台的进料与布料装置
CN108499714B (zh) 一种连续式碓土方法
CN112138860A (zh) 一种智能矿物分选装置
JP2947052B2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CN210012140U (zh) 一种导轨式防离析装置
CN220641800U (zh) 一种便于进料的磁选机
CN202123686U (zh) 一种向冲床投料的震动器
CN201871416U (zh) 床式横流皮带选矿机
CN102029219B (zh) 床式横流皮带选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