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222A -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222A
KR20010077222A KR1020000004878A KR20000004878A KR20010077222A KR 20010077222 A KR20010077222 A KR 20010077222A KR 1020000004878 A KR1020000004878 A KR 1020000004878A KR 20000004878 A KR20000004878 A KR 20000004878A KR 20010077222 A KR20010077222 A KR 20010077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lens care
care solution
molecular weight
multi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606B1 (ko
Inventor
정재영
이상헌
박종우
Original Assignee
최현식
주식회사 중외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식, 주식회사 중외제약 filed Critical 최현식
Priority to KR102000000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606B1/ko
Priority to AU32382/01A priority patent/AU3238201A/en
Priority to PCT/KR2001/000141 priority patent/WO2001057172A1/ko
Publication of KR2001007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8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12/14Organic compounds not covered by groups A61L12/10 or A61L12/12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8Compositions for cleaning contact lenses, spectacles or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효소인 단백질 제거제로서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 0.005∼10 중량%;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0.01∼10 중량%; 및 고분자성 보존제 0.00001∼1 중량%를 포함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은 별도의 기기나 장치 없이도 콘택트 렌즈의 세척, 소독, 보존 및 단백질 제거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고 관리 용액 잔여물에 의한 부작용이 없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Composition of multi-purpose solution for treating contact lens}
본 발명은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효소인 단백질 제거제로서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 0.005∼10 중량%;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0.01∼10 중량%; 및 고분자성 보존제 0.00001∼1 중량%를 포함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는 시력의 보정 능력뿐만 아니라 미관상 안경보다 선호되기 때문에 그 사용 빈도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콘택트 렌즈는 그 재질의 특성상 마스카라, 헤어 스프레이 등의 외적 요인은 물론 눈물 (tear solution) 속의 단백질, 점액질, 지방성 분비물 등의 내적 요인에 의해 표면에 침착물이 생기기 쉽다. 콘택트 렌즈에 침착물이 생기면 렌즈 수명의 단축은 물론 착용 시간의 단축, 시야의 흐림, 눈의 염증으로 인한 결막염 등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므로, 콘택트 렌즈는 일정 시간 사용하고 나면 렌즈에 부착된 오염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세척 및 소독을 해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렌즈의 세척, 소독 및 보존을 각각 별도의 작업으로 실시해야 했는데, 그 과정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렌즈 사용자들의 불편이 컸다. 이에 최근에는 렌즈의 세척, 소독, 보존 및 단백질 제거를 한번에 실시할 수 있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Multi-Purpose Solution)이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며 그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콘택트 렌즈는 그 재질의 특성에 따라서 하드 콘택트 렌즈 (hard contact lens), 소프트 콘택트 렌즈 (soft contact lens) 및 RGP 콘택트 렌즈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로 구분되며, 특히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재질의 함수량 및 이온성 여부에 따라 다시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그룹 Ⅰ은 렌즈의 표면에 이온성이 없으며 함수율이 50% 미만인 것이고, 그룹 Ⅱ는 비이온성이면서 함수율이 50% 이상인 것, 그룹 Ⅲ은 렌즈의 표면에 이온성을 가지고 있으며 함수율이 50% 미만인 것, 그리고 그룹 Ⅳ는 이온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함수율이 50% 이상인 것이다. 이러한 각기 다른 재질의 특성에 따라서 렌즈 착용시 오염 물질 (예, 단백질)이 침착, 결합되는 정도나 양 또는 세정 후 렌즈의 청결도 등이 달라진다. 특히 그룹 Ⅳ의 경우에는 렌즈 표면의 이온성으로 인하여 단백질의 침착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의 결합력이 강하여 세척시 단백질이 잘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L. Minariket al.,CLAO J, 15(3), (1989), 185∼188; G.E. Minnoet al.,Optom. and Vis. Sci., 68(11),(1991) 865∼872).
한편 렌즈에 붙는 침착물 중에서 지방 성분들은 일반적인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으로도 쉽게 제거되지만 단백질 성분은 콘택트 렌즈의 재질 성분과 강하게 결합하여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 특히 단백질 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많기 때문에 렌즈에 부착된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물 (tear solution) 속에 함유된 주요 단백질 성분은 라이소자임 (lysozyme), 알부민 (albumin), 락토페린 (lactoferrin), 글리코프로테인 (glycoprotein), 뮤신 (mucin) 등으로, 라이소자임은 일반적인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에 의해서도 쉽게 제거되는 반면 알부민, 락토페린 등은 그 특성상 일반적인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으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L. Minariket al.,CLAO J, 15(3), (1989) 185∼188; J. Junget al.,CLAO J, 19(1), (1993) 47∼49). 따라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단백질 제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라이소자임은 물론 알부민, 락토페린 등과 같은 단백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가 개발되었다. 미국 특허 제5,785,767호에서는 단백질 분해 효소와 다가 알콜, 예를 들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시하였으며, 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렌즈의 소독 및 단백질 제거를 매우 빠른 시간 (약 5분) 내에 완료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은 그 사용의 특성상 소독 및 보존 과정에서 짧게는 4시간, 길게는 8시간 동안 렌즈를 용액 속에 담가 두어야 하기 때문에 이 시간 동안에 용액의 성분들이 렌즈에 흡착 또는 침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렌즈 재 착용시 그 성분들이 서서히 방출되어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렌즈 관리 용액의 성분을 선택하는 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단백질 분해 효소를 함유하는 제품일 경우, 세척 후 단백질 분해 효소가 렌즈 표면에 소량이라도 남아 있으면 렌즈 착용시 안구에 치명적인 해를 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별도의 헹굼액으로 렌즈를 철저히 헹구어야 한다. 따라서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단백질 제거능을 나타내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시판 중인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지 않은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은 일반적으로 저분자성인 첨가제, 예를 들어 저분자성의 보존제 (preservatives), 저분자성의 소독제 (disinfectant), 저분자성의 계면 활성제 (surfactant)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저분자성 물질은 렌즈의 표면이나 공극에 흡착되어 렌즈를 변형시키거나 변색시켜 렌즈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눈을 자극하고 이물감을 유발시켜 착용감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상기 물질들로 인해 눈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기로 한다 (B. J. Tripathiet al.,Lens and Eye Toxic. Res., 3(4&4), (1992), 361∼375).
미국 특허 제4,820,352호는 보존제로서 염화벤잘코늄, 소르빈산, 치메로살 등을 사용한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을 공시하고 있는데, 이들 성분들은 모두 렌즈 표면에 쉽게 흡착되어 렌즈 착용시 사용자의 눈에 자극을 유발하고 렌즈를 변색시켜 렌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B.J. Tripathi, et al.,Lens and Eye Toxic. Res., 3(4&4), (1992), 361 ∼ 375). 또한 통상적으로 렌즈 관리 용액에는 단백질 제거제로서 폴록사민 (poloxamin)이라는 고분자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데, 이 성분은 단백질 제거능이 미약하여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 특허 제5,370,744호는 콘택트 렌즈에 오염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성분으로서 분자량 90∼600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polycarboxylate), 폴리술포네이트 (polysulfonate) 및 폴리포스페이트 (polyphosphate)를 사용하고 있으며, 구연산염 (citrate), 주석산염 (tartrate), 호박산염 (succinate) 등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염들은 혼용시 복합체를 이루기 때문에 신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렌즈의 관리 용액에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2nd Ed., 1994,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또한 상기 특허의 조성물은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에 요구되는 적절한 점도를 갖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미국 특허 제5,451,303호는 전기화학적 전위차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산화제와 환원제를 각각 젤 (gel)에 녹인 후 콘택트 렌즈의 한쪽 표면에 산화젤 혹은 환원젤을 코팅하고 용매에 녹인 다른 젤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는 렌즈를 코팅해야 하고 80℃ 이상으로 가온해야만 세척 효과가 나타나며 별도의 용기에 산화젤과 환원젤을 따로 담아 두어야 하는 등 편리성 및 비용 두 가지 면에서 모두 비효율적이다.
미국 특허 제5,858,937호는 단백질 제거제로서 포스포네이트 (phosphonate)를 사용한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시하며 하드 렌즈, 소프트 렌즈 및 RGP 렌즈의 세척, 소독, 보존 및 헹굼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단백질 제거능이 미약하고, 특히 소프트 렌즈에 있어서 함수율이 높거나 이온성의 특징을 가지는 그룹에 대해서 단백질 제거능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특허 제5,897,833호에서는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용액과 과산화수소의 분해가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각각 별도의 용기에 담아, 먼저 과산화수소 용액을 이용해 렌즈를 소독하고 다음으로는 과산화수소 분해 물질 용액을 사용해 렌즈에 남아 있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한 자극감, 부종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별도의 용기에 각기 다른 용액을 보관해야 하고 두 단계의 세척 작업이 필요하므로 번거롭고 비용면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이다.
국제 특허 공개번호 제95/01414호에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사암모늄 인산 에스테르 (quaternary ammonium phosphate ester)를 포함하는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때 사용되는 폴록사머 (Poloxamer; polyoxypropylene-polyoxyethylene copolymer)는 비단백질 성분의 침착물, 예를 들면 지질이나 무기 물질들에 대한 세정력은 우수하지만 콘택트 렌즈의 관리상 가장 문제가 되는 단백질의 제거능은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시판 중인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제품들은 다량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단백질 제거능이 전혀 없거나 있더라도 미약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렌즈에 침착된 비단백질 성분 뿐만 아니라 단백질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확실한 안전성이 확보되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 방법이 간편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단백질 제거제로서 비효소인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를 사용하고, 고분자성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분자성 보존제를 포함시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조성물이 상기 언급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에 침착된 오염 물질, 특히 단백질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안전성이 확보된 새로운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백질 제거제로서 비효소인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 (polysaccharide)를 사용하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분자성 보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효소인 단백질 제거제로서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 0.005∼10 중량%;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0.01∼10 중량%; 및 고분자성 보존제 0.00001∼1 중량%를 포함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은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 0.005∼10 중량%;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0.01∼10 중량%; 및 고분자성 보존제 0.00001∼1 중량% 이외에도, 콘택트 렌즈 관리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완충 용액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단백질 제거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백질 제거제는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로서,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1→3)-O-(β-glucuronic acid)-(1→4)-O-(2- acetamido-2-deoxy-β-D-glucose)), 히아루론산 나트륨 (sodium hyaluronate)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chondroitin sulfat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당류는 생체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히아루론산 및 그 나트륨 염은 D-글루쿠론산 (D-glucuronic acid)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 (N-acetyl-D-glucosamine)의 이당류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다당류이다. 상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에는 콘드로이틴-4-설페이트 [(1→4)-O-(β-D-glucopyranosyl uronic acid)-(1→3)-O-(2-N-acetamido-2-deoxy-β-D-galctopyranosyl-4-sulfate]와 콘드로이틴-6-설페이트 [(1→4)-O-(β-D-glucopyranosyl uronic acid)-(1→3)-O-(2-N-acetamido-2-deoxy-β-D-galactopyranosyl-6-sulfate] 등이 있는데, 이들은 β-D-글루쿠로닉 유론산 (β-D-glucuronic uronic acid)과 α-D-N-아세틸-갈락토사민 (α-D-N-acetyl-galactosamine)이 교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당류의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이면 단백질 제거 효과가 미흡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용액을 제조하기 어렵고 사용자가 다루기에도 불편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당류 성분의 단백질 제거제는 0.005∼10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0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당류는 비효소인 단백질 제거제로서, 렌즈의 표면에 흡착되어 시야를 흐리고 각막을 충혈시키며 이물감을 유발시키는 누액 유래의 단백질인 라이소자임(lysozyme), 알부민 (albumin), 뮤신 (mucin) 등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사용시 렌즈에 흡착되지 않으므로 렌즈의 변형을 유발시키지 않고, 또한 생체에서 유래한 물질이므로 안점막 자극 등의 부작용이 없다. 또한 상기 다당류들은 비뉴톤성 점성을 가지고 있으며 안구 건조증이나 관절의 윤활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어 소프트 콘택트 렌즈 뿐만 아니라 렌즈의 재질 특성상 함수율이 낮아 눈에 부담을 주기 쉬운 하드 콘택트 렌즈, RGP 콘택트 렌즈 등의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으로도 적합하다 (E. Guraet al.,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59, (1998), 297∼302).
2)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분자량 5,000 이상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poly-ethylene oxide-co- polypropylene oxide) 및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 공중합체 (tetra-[polyoxyethylene-co-polyoxypropylene] ethylenediamine blockcopolymer)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는 평균 분자량이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82.0 중량%; 폴록사머 188), 12,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73.0 중량%; 폴록사머 338) 및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83.0 중량%; 폴록사머 407)인 물질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에틸렌디아민 블록 공중합체는 평균 분자량이 6,7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60.0 중량%; 테트로닉 904),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70.0 중량%; 테트로닉 1107) 및 2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60.0 중량 %; 테트로닉 908)인 물질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량이 0.01% 미만이면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는 작용이 미약하고 거품 발생 정도나 렌즈의 사용감 등이 불량하게 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용액의 제조가 어렵고 사용자가 다루기에도 불편하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0.01∼10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절한 거품을 발생시키며 지질 및 무기질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언급된 물질들은 모두 눈에 대해 저자극성이고 수용성이며, 조성물의 다른 첨가제들과 상호 작용을 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3) 고분자성 보존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고분자성 보존제는 렌즈를 소독 및 보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가수화된 콜라젠 유도체 또는 수용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가수화 라우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콜라젠 (lauryl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collagen), 가수화 코코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콜라젠 (coco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collagen), 가수화 스테아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콜라젠 (stearyl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collagen),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이미노)에틸렌(디메틸이미노)에틸렌디클로라이드] (poly[oxyethylene(dimethylimino)ethylene(dimethylimino)ethylene dichloride]), 폴리아미노프로필디구아나이드 (polyaminopropyl diguanide) 및 폴리쿼터늄-16 (polyquaternium-16)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성 보존제의 함량이 0.00001 중량% 이하이면 소독 및 보존 효과가 미약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안점막의 자극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고분자성 보존제는 0.00001∼1.0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001∼0.1 중량%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렌즈 관리 용액에서 보존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소르빈산 (sorbic acid), 치메로살 (thimerosal), 염화벤잘코늄 (benzalkonium chloride) 등의 물질은 렌즈 내에 흡착되어 안점막을 자극하거나 렌즈를 변색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분자성 보존제는 렌즈를 변색시키거나 안점막을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강력한 소독 및 보존 효과를 나타낸다.
4)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단백질 제거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고분자성 보존제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완충 용액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안정화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초산 이수소디나트륨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disodium), 에틸렌디아민 테드라초산 수소트리나트륨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trisodium) 및 에틸렌디아민 테드라초산 테트라나트륨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tetrasodium)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0.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는 주성분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보존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정화제의 함량이 0.01 중량 % 미만이면 안정화제로서의 작용이 미약하며, 0.5 중량% 이상이면 안점막 자극 유발 등의 문제점이 있다.
완충 용액은 붕산염 완충용액, 인산염 완충용액 및 탄산염 완충 용액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완충 용액은 pH가 6.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을 등장성 용액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은 소프트 콘택트 렌즈, 하드 콘택트 렌즈 및 RGP 콘택트 렌즈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콘택트 렌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콘택트 렌즈의 세척, 헹굼, 소독, 보존 및 단백질 제거를 포함하는 다목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제조 1
인산수소이나트륨 0.058 g, 인산수소칼륨 0.055 g, 염화나트륨 0.90 g 및 안정화제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초산 이수소 디나트륨 0.125 g을 증류수에 완전히 녹인 후 (용액의 pH = 6.90), 보존제인 폴리아미노프로필디구아나이드 0.0001 g를 첨가하여 녹였다. 이 용액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82.0 중량 %: 폴록사머 188) 1.0 g을 서서히 가하여 완전히 녹인 뒤 단백질 제거제인 히아루론산 나트륨 0.02 g을 첨가하고 교반시키면서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0.2 ㎛ 여과지로 여과하여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제조 2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82.0 중량 %: 폴록사머 188)를 2.0 g 사용하고 단백질 제거제인 히아루론산 나트륨을 0.1 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제조 3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평균 분자량;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82.0 중량 %: 폴록사머 188)를 1.0 g 사용하고 단백질 제거제로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0.02 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제조 4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82.0 중량 %: 폴록사머 188)를 2.0 g 사용하고 단백질 제거제로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0.1 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제조 5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70 중량 %: 테트로닉 1107)를 1.0 g 사용하고 단백질 제거제로서 히아루론산 나트륨을 0.02 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제조 6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70 중량 %: 테트로닉 1107)를 2.0 g 사용하고 단백질 제거제로서 히아루론산 나트륨을 0.1 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제조 7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70 중량 %: 테트로닉 1107)를 1.0 g 사용하고 단백질 제거제로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0.02 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제조 8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70 중량 %: 테트로닉 1107)를 2.0 g 사용하고 단백질 제거제로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0.1 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조성을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조성
성분 및 함량 (전체 100g에 대해)
단백질제거제 계면 활성제 보존제 안정화제 완충 용액 NaCl
실시예 1 히아루론산나트륨0.02g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82.0 중량%: 폴록사머 188) 1.0g 폴리아미노프로필디구아나이드0.0001g 에칠렌디아민 테트라초산 이수소 디나트륨0.125g 인산수소이나트륨0.058g+인산수소칼륨0.055g 0.90g
실시예 2 히아루론산나트륨0.1g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82.0 중량%: 폴록사머 188) 2.0g
실시예 3 콘드로이틴설페이트0.02g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82.0 중량%: 폴록사머 188) 1.0g
실시예 4 콘드로이틴설페이트0.1g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82.0 중량%: 폴록사머 188) 2.0g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조성
성분 및 함량 (전체 100g에 대해)
단백질제거제 계면 활성제 보존제 안정화제 완충 용액 NaCl
실시예 5 히아루론산나트륨0.02g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70 중량%: 테트로닉 1107) 1.0g 폴리아미노프로필디구아나이드0.0001g 에칠렌디아민 테트라초산 이수소 디나트륨0.125g 인산수소이나트륨0.058g+인산수소칼륨0.055g 0.90g
실시예 6 히아루론산나트륨0.1g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70 중량%: 테트로닉 1107) 2.0g
실시예 7 콘드로이틴설페이트0.02g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70 중량%: 테트로닉 1107) 1.0g
실시예 8 콘드로이틴설페이트0.1g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70 중량%: 테트로닉 1107) 2.0g
<제조예> 인공 누액의 제조
인산염 완충 용액을 0.45 ㎛ 막 필터 (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37℃에서 60분간 숙성시킨 후, 이 용액 100 ㎖에 염화칼슘 이수화물 3.6 mg을 가하여 녹을 때까지 교반하고 37℃에서 45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라이소자임 200 mg을 서서히 가하여 30분간 숙성시키고, 이어서 100 mg의 뮤신을 서서히 가해 5분간 방치시켰다. 끝으로 이 용액에 17.47 mg의 알부민을 가해 녹이고 pH를 7.2로 조절하여 인공 누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소프트 콘택트 렌즈 그룹 Ⅰ에 대한 단백질 제거 효과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단백질 제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프트 콘택트 렌즈 그룹 I (EDGERⅢ, 함수율 35%, Ocular Sciences)을 사용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새 콘택트 렌즈를 제조예의 인공 누액 2 ㎖에 담그고 37℃의 교반 수조에서 60 rpm으로 24시간 진탕하여 렌즈에 단백질을 침착시켰다. 렌즈를 꺼내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실시예 1∼실시예 8의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을 6 방울씩 떨어뜨린 후 중지를 이용해 렌즈의 앞뒷면을 각각 10회씩 문질러 닦았다. 렌즈를 헹군 뒤 다시 상기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에 담가 8시간 동안 보존하였다.
8시간 뒤 렌즈를 꺼내어 닌히드린 (ninhydrin) 방법으로 렌즈에 남아 있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하기수학식 1에 의해 단백질 제거율 (%)을 계산하였다.
한편 비교예로는 단백질 제거제로서 포스포네이트 (phosphonate)를 사용한 기존 시판품 (미국 특허 제5,858,937호)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 그룹 I에 대한 단백질 제거율
렌즈 관리 용액 세척 전 단백질의 양(㎍) 세척 후 단백질의 양(㎍) 단백질 제거율a(%)
실시예 1 1.71±0.20 0.66±0.25 61.4
실시예 2 1.75±0.20 0.61±0.15 65.1
실시예 3 1.70±0.21 0.69±0.16 59.3
실시예 4 1.76±0.13 0.70±0.10 60.5
실시예 5 1.73±0.15 0.71±0.24 58.9
실시예 6 1.75±0.20 0.72±0.10 58.7
실시예 7 1.70±0.21 0.64±0.17 62.1
실시예 8 1.76±0.13 0.75±0.22 57.5
기존 시판품 1.71±0.20 1.39±0.41 18.7
a : 15회 반복 실험한 결과의 평균
상기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 시판품의 단백질 제거율이 18.7%인데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단백질 제거율은 58%∼65%를 나타내, 단백질 제거능이 훨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소프트 콘택트 렌즈 그룹 Ⅳ에 대한 단백질 제거 효과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단백질 제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프트 콘택트 렌즈 그룹 Ⅳ (ScustomTM, 함수율 55%, Specialty Ultravision Inc.)를 사용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용액 및 실험 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같으며, 비교예로는 단백질 제거제로 포스포네이트 (phosphonate)를 함유한 기존 시판품 (미국 특허 제5,858,937호) 및 단백질 제거제로 단백질 분해 효소인 서브틸리신 (subtilisin)을 함유한 단백질 분해 제제 (CompleteR, Allergan)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 그룹 Ⅳ에 대한 단백질 제거율
렌즈 관리 용액 세척 전 단백질의 양(㎍) 세척 후 단백질의 양(㎍) 단백질 제거율a(%)
실시예 1 1648.80±268.16 1077.07±34.68 34.68
실시예 2 1648.80±268.16 1217.33±72.09 26.17
실시예 3 1648.80±268.16 1172.00±140.81 28.92
실시예 4 1648.80±268.16 1097.33±120.31 33.45
실시예 5 1648.80±268.16 1044.53±99.27 36.65
실시예 6 1648.80±268.16 1112.28±92.32 32.54
실시예 7 1648.80±268.16 1150.04±111.36 30.25
실시예 8 1648.80±268.16 1111.62±98.57 32.58
기존 시판품 1648.80±268.16 1576.27±198.01 4.40
효소 제제 시판품 1648.80±268.16 1441.05±120.38 12.60
a : 15번 반복 실험한 결과의 평균
상기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콘택트 렌즈의 세척을 목적으로 한 기존 시판품의 경우 단백질 제거율이 약 4%에 불과하였으며 단백질 제거를 주목적으로 하는기존 효소 제제 시판품의 경우에도 단백질 제거율이 12.6%에 불과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은 30% 이상, 36%까지의 단백질 제거율을 나타내어, 그룹 Ⅳ의 소프트 렌즈에 대해서도 단백질 제거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RGP 콘택트 렌즈에 대한 단백질 제거 효과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단백질 제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RGP 콘택트 렌즈 (RGP specialty, Specialty Ultravision Inc.)를 사용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용액 및 실험 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같으며, 비교예로는 단백질 제거제로 포스포네이트 (phosphonate)를 함유한 기존 시판품 (미국 특허 제5,858,937호)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표 4에 나타내었다.
RGP 콘택트 렌즈 대한 단백질 제거율
렌즈 관리 용액 세척 전 단백질의 양(㎍) 세척 후 단백질의 양(㎍) 단백질 제거율a(%)
실시예 1 4.73±2.05 2.99±0.35 36.79
실시예 2 4.73±2.05 3.19±0.56 32.65
실시예 3 4.73±2.05 3.14±0.28 33.68
실시예 4 4.73±2.05 3.06±0.69 35.24
실시예 5 4.73±2.05 3.14±0.35 33.67
실시예 6 4.73±2.05 3.17±0.78 32.98
실시예 7 4.73±2.05 3.02±0.26 36.21
실시예 8 4.73±2.05 3.03±0.33 35.98
기존 시판품 4.73±2.05 3.32±1.09 29.81
a : 15번 반복 실험한 결과의 평균
상기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단백질 제거제로 포스포네이트를 함유한 기존 시판품의 경우 RGP 콘택트 렌즈에 대한 단백질 제거율이 29.8%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경우 단백질 제거율이 30% 이상, 최고 36.2%에 이르러 기존 제품에 비해 단백질 제거 효과가 10% 가량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소독 및 보존 효과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소독력 및 보존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3M 페트리 필름 플레이트 (PetrifilmTMplate)를 이용하여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페트리 필름 플레이트의 상부 필름을 걷어올린 후 하부 필름의 중앙부에 준비된 시료를 약 1 ㎖을 수직으로 접종하고, 상부 필름을 덮은 다음 누름 판으로 살짝 눌러 겔화시켰다. 일반 세균용 페트리 필름은 32℃의 배양기에서 48시간, 곰팡이 및 효모용 페트리 필름은 25℃의 배양기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미생물의 수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목적 렌즈 관리 용액의 소독력 및 보존력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관리 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표 5에 나타내었다.
소독 및 보존 효과
렌즈 관리 용액 일반 세균 곰팡이, 효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증류수 +++ +++
균이 없을 때 ; -균이 10개 미만일 때 ; +균이 100개 미만일 때 ; ++균이 100개 이상일 때 ; +++
상기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 증류수에서는 미생물이 다량 증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관리 용액에서는 미생물이 전혀 증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은 렌즈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살균하여 소독하는 효과 및 비교적 장기간 동안 렌즈를 소독된 상태로 보존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안점막 자극 시험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 보건 안전 연구원에서 고시한 지침을 표준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안점막 자극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전에 육안 및 검안경으로 안구를 검사하여 이상이 없는 토끼 (New Zealand White, 2.5±0.5 kg)만을 골라 9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각 시험 물질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을 좌측 안구에 100 ㎕씩 점안하였다. 9마리 중 6마리는 그대로 두었고 나머지 3마리는 점안한 지 20∼30초 지난 후에 생리식염수로 약 1분 동안 세안해 주었다. 시험 물질을 점안하지 않은 우측 안구를 대조군으로 하여, 점안 시점으로부터 1, 2, 3, 4, 6, 24, 48 및 72시간 후에 육안 관찰, 손전등 조사관찰 및 검안경 관찰에 의해 좌측 안구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6에 나타내었다.
안점막 자극 시험 결과
렌즈관리 용액 경과 시간 (시간)
1 2 3 4 6 24 48 72
실시예 1 T.S. 0 0 0 0 0 0 0 0
M.O.I. 0 0 0 0 0 0 0 0
실시예 2 T.S. 0 0 0 0 0 0 0 0
M.O.I. 0 0 0 0 0 0 0 0
실시예 3 T.S. 0 0 0 0 0 0 0 0
M.O.I. 0 0 0 0 0 0 0 0
실시예 4 T.S. 0 0 0 0 0 0 0 0
M.O.I. 0 0 0 0 0 0 0 0
실시예 5 T.S. 0 0 0 0 0 0 0 0
M.O.I. 0 0 0 0 0 0 0 0
실시예 6 T.S. 0 0 0 0 0 0 0 0
M.O.I. 0 0 0 0 0 0 0 0
실시예 7 T.S. 0 0 0 0 0 0 0 0
M.O.I. 0 0 0 0 0 0 0 0
실시예 8 T.S. 0 0 0 0 0 0 0 0
M.O.I. 0 0 0 0 0 0 0 0
T.S. : 총안점막 자극 지수M.O.I. : 평균 안점막 자극 지수
상기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은 모두 점안한 지 72시간 지난 후까지도 안점막을 자극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은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의한 렌즈의 변색 또는 변형을 유발하지 않고 누액 성분으로부터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렌즈에 대해 장기간 동안 지속적인 소독 및 보존 효과를 나타내므로, 렌즈의 착용 시간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 포스포네이트, 과산화수소 등 눈을 자극하는 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자극성인 저분자성 첨가제, 예를 들어 저분자성인 보존제, 소독제, 계면 활성제 등도 포함하지 않으므로, 눈을 자극하지 않아 사용에 안전하며 렌즈 및 렌즈 관리 용액으로 인한 안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은 소프트 콘택트 렌즈뿐만 아니라 재질의 특성상 함수율이 낮아 눈에 부담을 주기 쉬운 하드 콘택트 렌즈, RGP 콘택트 렌즈 등 모든 종류의 콘택트 렌즈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별도의 기구나 장치 없이도 렌즈의 세척, 헹굼, 소독, 보존 및 단백질 제거를 한번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렌즈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비효소인 단백질 제거제로서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 (polysaccharide) 0.005∼10 중량%;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0.01∼10 중량%; 및 고분자성 보존제 0.00001∼1 중량%를 포함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에 더하여 안정화제 또는 완충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5,000 이상인 다당류는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히아루론산 나트륨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chondroitin sulfat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분자량 5,000 이상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에틸렌디아민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는 평균 분자량이 8,35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82.0 중량%; 폴록사머 188), 12,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73.0 중량%; 폴록사머 338) 및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83.0 중량%; 폴록사머 407)인 물질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에틸렌디아민 블록 공중합체는 평균 분자량이 6,7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60.0 중량%; 테트로닉 904), 1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70.0 중량%; 테트로닉 1107) 및 25,000 (에틸렌옥사이드 함량 : 60.0 중량 %; 테트로닉 908)인 물질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성 보존제는 가수화 라우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콜라젠, 가수화 코코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콜라젠, 가수화 스테아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콜라젠,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이미노)에틸렌(디메틸이미노)에틸렌디클로라이드], 폴리아미노프로필디구아나이드 및 폴리쿼터늄-16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초산 이수소디나트륨, 에틸렌디아민 테드라초산 수소트리나트륨 및 에틸렌디아민 테드라초산 테트라나트륨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를 0.01∼0.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용액은 붕산염 완충용액, 인산염 완충용액 및 탄산염 완충 용액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용액은 pH가 6.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은 소프트 콘택트 렌즈, 하드 콘택트 렌즈 및 RGP 콘택트 렌즈의 세척, 소독, 보존 및 단백질 제거를 포함하는 다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KR1020000004878A 2000-02-01 2000-02-01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KR10035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878A KR100354606B1 (ko) 2000-02-01 2000-02-01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AU32382/01A AU3238201A (en) 2000-02-01 2001-02-01 Composition of multi-purpose solution for treating contact lens
PCT/KR2001/000141 WO2001057172A1 (ko) 2000-02-01 2001-02-01 Composition of multi-purpose solution for treating contact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878A KR100354606B1 (ko) 2000-02-01 2000-02-01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222A true KR20010077222A (ko) 2001-08-17
KR100354606B1 KR100354606B1 (ko) 2002-09-30

Family

ID=1964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878A KR100354606B1 (ko) 2000-02-01 2000-02-01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54606B1 (ko)
AU (1) AU3238201A (ko)
WO (1) WO20010571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0532B2 (en) 2008-12-31 2013-09-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Hydrogel contact lenses having improved wetta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2937B2 (en) 2004-05-19 2007-03-20 Bausch & Lomb Incorporated Oligosaccharide-contain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20060100173A1 (en) * 2004-11-09 2006-05-11 Powell Charles H Ophthalmic solution
US8569367B2 (en) 2004-11-16 2013-10-29 Allergan, Inc. Ophthalm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eyes
US20080141628A1 (en) * 2006-12-15 2008-06-19 Bausch & Lomb Incorporated Packaging Solutions
US9579341B2 (en) 2007-05-16 2017-02-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reserved composi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or a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and related methods
US8759321B2 (en) 2007-06-13 2014-06-24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composition with hyaluronic acid and polymeric biguanide
US8119112B2 (en) 2008-01-31 2012-02-21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compositions with an amphoteric surfactant and hyaluronic acid
US8283463B2 (en) 2010-02-09 2012-10-09 Bausch & Lomb Incorporated Sterile hyaluronic acid solutions
US9907826B2 (en) 2011-12-07 2018-03-06 Allergan, Inc. Efficient lipid delivery to human tear film using a salt-sensitive emulsion system
CA2883399C (en) 2012-10-08 2020-10-13 Bausch & Lomb Incorporated Minimizing biological lipid deposits on contact lens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3314A (ja) * 1988-05-20 1989-11-27 Daicel Chem Ind Ltd コンタクトレンズ用洗浄剤
WO1992007056A1 (en) * 1990-10-22 1992-04-30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and composition for cleaning contact lenses
KR950007718B1 (ko) * 1992-09-14 1995-07-14 이무걸 콘택트렌즈 세척제 조성물
JPH08253419A (ja) * 1995-03-17 1996-10-01 Hoya Corp Hiv感染予防用コンタクトレンズ用剤
KR0154371B1 (ko) * 1995-08-01 1998-11-16 이병언 콘텍트렌즈 세정액조성물
BR9806123A (pt) * 1997-07-29 1999-08-31 Alcon Lab Inc Soluções condicionantes para cuidado de lente de contato dura
ES2180213T3 (es) * 1997-11-12 2003-02-01 Bausch & Lomb Tratamiento de lentes de contacto con la ayuda de una solucion acuosa que comprende un carbonato alcalino.
JP2000109892A (ja) * 1998-10-02 2000-04-18 Rohto Pharmaceut Co Ltd 多糖含有コンタクトレンズ用液剤
JP2000239696A (ja) * 1999-02-22 2000-09-05 Nof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用処理溶液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0532B2 (en) 2008-12-31 2013-09-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Hydrogel contact lenses having improved wett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238201A (en) 2001-08-14
KR100354606B1 (ko) 2002-09-30
WO2001057172A1 (ko) 200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4607T3 (es) Composiciones oftálmicas con un tensioactivo anfótero y ácido hialurónico.
US8759321B2 (en) Ophthalmic composition with hyaluronic acid and polymeric biguanide
EP2178571B1 (en) Oph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a carboxyl-modified fructan or a salt thereof
US9096819B2 (en) Ophthalmic compositions with an amphoteric surfactant and an anionic biopolymer
MXPA02009826A (es) Metodo para tratamiento de sequedad del ojo.
KR102225415B1 (ko) 천연 왁스의 폴리(질소/아민) 유도체 및 안과용 조성물
US20110046033A1 (en) Multipurpose Lens Care Solution with Benefits to Corneal Epithelial Barrier Function
KR100354606B1 (ko) 다목적 콘택트 렌즈 관리 용액 조성물
CN1390606A (zh) 一种用于处理隐形眼镜的组合物及其应用
Jones et al. Soft contact lens solutions review part 1: Components of modern care regimens
EP1845405A1 (en) Liquid agent composition for contact lens
KR20050089980A (ko) 키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콘택트렌즈 케어 조성물
KR101726029B1 (ko) 알콕실화된 천연 왁스를 갖는 안과용 조성물
WO2020140365A1 (zh) 一种含有黄原胶的保湿润滑组合物及其应用
ES2428496T3 (es) Composiciones oftálmicas con biguanida y ésteres de PEG-glicerol
HU209538B (en) Set and cleaning composition for treating contactlenses
JP2003057610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液剤組成物
KR0154371B1 (ko) 콘텍트렌즈 세정액조성물
JP3408760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ケア用剤
EP0175490A2 (en) Contact lens treatment compositions and their uses
KR20230156747A (ko) 무방부제 콘택트 렌즈 처리 용액
JP2000347141A (ja) 含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用処理液
JP2000356738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溶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