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774A - Sheet shape switch - Google Patents

Sheet shape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774A
KR20010062774A KR1020000082904A KR20000082904A KR20010062774A KR 20010062774 A KR20010062774 A KR 20010062774A KR 1020000082904 A KR1020000082904 A KR 1020000082904A KR 20000082904 A KR20000082904 A KR 20000082904A KR 20010062774 A KR20010062774 A KR 2001006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ard
conductive pattern
movable contact
airway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97114B1 (en
Inventor
오바가츠이치
혼마사치코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6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11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small-sized and thin sheet shape witch characterized by stacking of wiring boards. CONSTITUTION: The switch comprises fixed contacts 13 consisting of a first fixed contact 13a and a second fixed contact 13b; a first wiring board 10 having first conductive patterns 14, 15;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40 which are made of a metallic diaphragm, disposed on the respective fixed contacts 13, and makes the first fixed contact 13a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13b conducting/non-conducting to each other; a second wiring board 20 having openings 22 exposing the movable contacts 40,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23 conducting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14, 15; and a holding sheet 30 holding the movable contacts 40 and attached to the second wiring board 20.

Description

시트형상 스위치{SHEET SHAPE SWITCH}Sheet Shape Switch {SHEET SHAPE SWITCH}

본 발명은 차량탑재용 또는 가정용 전기기기 등의 박형 패널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시트형상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 함)부착의 시트형상 스위치에 적합하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et-shaped switch for use in a thin panel switch or the like for vehicle-mounted or household electrical equipment,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 sheet-shaped switch with a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D).

종래의 시트형상 스위치를 LED부착 패널스위치를 예로 하여 그 평면도인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A conventional sheet-shaped switch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14, which is a plan view of the panel switch with LED as an example.

종래의 시트형상 스위치는 주로 복수개의 가동접점(110)과, 이 가동접점 (110)이 각각 얹어 놓여지는 복수개의 고정접점(101)을 가지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선기판(10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배선기판(100)의 동일 평면상에는 고정접점(101)과 가동접점(110)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용 스위치배선과, LED(120)를 조광시키기 위한 LED 조광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각 배선은 모두 도전패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sheet-shaped switch is mainly composed of a wiring board 100 having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110 and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lurality of fixed contacts 101 on which the movable contacts 110 are placed. On the same plane of the wiring board 100, switch wirings for the fixed contact 101 and the movable contact 110 and LED dimming wiring for dimming the LED 120 are formed. It is comprised by a pattern.

상기 배선기판(100)은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가동접점(110)과 상시 접촉하는 C자 형상의 제 2 고정접점과, 이 제 2 고정접점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고정접점(도시 생략)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접점(101)과, 고정접점(101)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용 도전패턴(102)과, LED(120)에 접속되어 있는 LED용 도전패턴(103)과, 고정접점(101) 및 LED(120)의 어느 것에도 접속되는 공통패턴(104)이 동일평면상에 은페이스트에 의해 스크린인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용 도전패턴(102)과 공통패턴(104)으로 스위치배선을 구성하고 있다.The wiring board 100 is made of an insulating substrate having flexibility such as a polyester film, and the C-shaped second fixed contact which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110 on the surface thereof, The fixed contact 101 which consists of a 1st fixed contact (not shown) located in the center, 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02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101, and the LED conductive connected to the LED 120 The pattern 103 and the common pattern 104 connected to all of the stationary contact 101 and the LED 120 are formed by screen printing on the same plane by silver paste. The switch wiring is constituted by 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02 and the common pattern 104.

또 배선기판(100)상에 있는 LED용 도전패턴(103)과 공통패턴(104)으로 LED 조광배선을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LED dimming wiring is formed by the conductive pattern 103 for LED and the common pattern 104 on the wiring board 100.

가동접점(110)은 금속제 다이어프램으로 구성되고, 이 종래예에서는 변형가능한 스프링성을 가지는 돔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제 2 고정접점과 상시 접촉하도록 고정접점(101)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110)의 정점부가 제 1 고정접점과 이간되어 대향상태로 되어 있다.The movable contact 110 is composed of a metal diaphragm. In this conventional example, the movable contact 110 is made of a domed metal plate having a deformable spring property, and is disposed on the fixed contact 101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second fixed contact. The vertex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ed contact and is in an opposing state.

LED(120)는 고정접점(101) 근방에 도전성 접착제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0)이 배치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배선기판(100)상에 고정되고, 배선기판(100)상에서 한쪽의 단자가 LED용 도전패턴(103)에, 다른쪽의 단자가 공통패턴(10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The LED 120 is fixed on the wiring board 100 similar to the one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110 is arranged by appropriate means such as a conductive adhesive near the fixed contact 101, and on one side of the wiring board 100.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103 for LEDs,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mmon pattern 104, respectively.

그리고 배선기판(100)의 표면에는 고정접점(1)이나 LED(120)의 부착위치 등을 제외하고 레지스트(도시 생략)가 형성되며, 또한 레지스트상에는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지시트(도시 생략)가 적층되어 있고, 가동접점(101)의 상면이 유지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A resist (not show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iring board 100 except for the fixed contact point 1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D 120, and the resist film is formed of a polyester film or the like coated with an adhesive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holding sheet (not shown) is lamina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101 is bonded by the holding sheet.

종래의 시트형 스위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조작자가 키톱(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가동접점(110)을 위쪽으로부터 가압하면 가동접점(110)이 반전하여 제 1 고정접점 및 제 2 고정접점이 도통하여 고정접점(101)과 가동접점(110)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가 온이 된다. 또한 고정접점(101)의 근방에 위치하는 LED(120)는 가동접점(110)상에 배치되는 키톱(도시 생략)을 조광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conventional sheet-type swit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movable contact 110 from the upper side through a key top (not shown), the movable contact 110 is inverted to conduct the first fixed contact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The switch consisting of the fixed contact 101 and the movable contact 110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LED 120 located near the fixed contact 101 is for dimming a key top (not shown) disposed on the movable contact 110.

그러나 종래의 시트형상 스위치는 1매의 배선기판(100)의 동일 평면상에 고정접점(101)과, 스위치배선인 스위치용 도전패턴(102)과, LED(120)용 조광배선인 도전패턴(103)을 설치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고, 그 때문에 스위치 [고정접점 (101)]등의 증가에 의해 패턴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1매의 배선기판으로는 배선기판(100)이 매우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소형화가 요구되는 비디오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휴대전화기나, 차량탑재용 기기에 있어서 이 문제는 큰 과제로 되어 있었다. 반대로 배선기판(100)의 크기에 제한이 있을 때에는 가동접점 (110) 및 LED(120)의 수를 늘릴 수 없고 고기능화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eet-shaped switch has a fixed contact 101 on the same plane of one wiring board 100, a switch conductive pattern 102 which is a switch wiring, and a conductive pattern which is a dimming wiring for the LED 120 ( 103), and therefore the number of patterns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switch [fixed contact point 101], etc., which causes the wiring board 100 to become very large with one wiring board. There was. In particular, this problem has been a major problem in mobile phones such as video cameras and mobile phones, and vehicle-mounted devices that require miniaturiza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size of the wiring board 100 is limited, the number of the movable contacts 110 and the LEDs 120 cannot be increased and there is a case that high functionality cannot be coped with.

이 경우, 단순히 배선기판을 2층으로 하여 위의 배선기판에 가동접점(110)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시트형 스위치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한다.In this case, it is conceivable to simply install the movable contact 110 on the wiring board with the wiring board as two layers, but a problem arises that the thickness of the sheet-type switch becomes thick.

또한 고정접점(101) 및 가동접점(110)이 설치된 배선기판과 동일한 배선기판에 LED(120)를 설치하면 고정접점(101)이 접속되는 스위치용 도전패턴(102)과 LED (120)가 접속되는 도전패턴(103)(특히 LED의 접속용 랜드부)과 간극(여유)이 필요하므로 가동접점(110)을 가압하는 키톱 등의 조광용으로서 LED(120)를 사용한 경우에 키톱 자체가 커져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가 대형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LED 120 is installed on the same wiring board as the wiring board on which the fixed contact 101 and the movable contact 110 are installed, 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02 and the LED 120 to which the fixed contact 101 is connected are connected. Since the conductive pattern 103 (particularly, the land portion for connecting the LED) and the gap (free space) are required, the key top itself becomes large when the LED 120 is used for dimming, such as a key top that presses the movable contact 110.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tire apparatus became large.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선기판의 적층에 특징을 설치하여 소형이고 박형인 시트형 스위치를 제공하고, 또한 스위치(고정접점)와 LED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더 한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act and thin sheet-type switch by installing a feature on the stacking of the wiring board, and further aims to further miniaturize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witch (fixed contact) and the LED. It is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eet-shaped swit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sheet-shaped swit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를 기기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2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in a state where the sheet-shaped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apparatus;

도 4는 도 2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시트형상 스위치에 관한 제 1 배선기판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first wiring board according to a sheet-shaped switch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시트형상 스위치에 관한 제 1 배선기판의 이면도,6 is a rear view of the first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시트형상 스위치에 관한 제 2 배선기판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second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시트형상 스위치에 관한 제 2 배선기판의 이면도,8 is a rear view of a second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시트형상 스위치에 관한 제 1 배선기판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의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to a first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시트형상 스위치에 관한 제 1 배선기판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의 설명도,1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to a first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a sheet-shaped swit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12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heet-shaped switc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13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heet-shaped switc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종래의 시트형상 스위치의 평면도이다.14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sheet-shaped switch.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제 1 배선기판 11 : 기판본체10: first wiring board 11: substrate body

12 : 인출부 13 : 고정접점12: lead out portion 13: fixed contact

13a : 제 1 고정접점 13b : 제 2 고정접점13a: 1st fixed contact 13b: 2nd fixed contact

14 : 스위치용 도전패턴 15 : 제 1 LED용 도전패턴14 conductive pattern for switch 15 conductive pattern for first LED

16, 24 : 관통구멍 20 : 제 2 배선기판16, 24: through hole 20: second wiring board

21 : 기판본체 22 : 개구부21 substrate body 22 opening

23 : 제 2 LED용 도전패턴 30 : 유지시트23: conductive pattern for the second LED 30: holding sheet

34 : 슬릿 40 : 가동접점34: slit 40: movable contact

41 : 접착제 42 : 기도부41: adhesive 42: airway

43 : 기도구 50 : LED43: prayer tool 50: L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수단으로서, 제 1 고정접점 및 제 2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세트의 고정접점과, 제 1 도전패턴을 가지는 제 1 배선기판과, 상기 각 고정접점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고정접점과 제 2 고정접점을 도통/비도통시키는 금속제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과, 상기 제 1 배선기판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가동접점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제 1 도전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도통하는 제 2 도전패턴을 가지는 제 2 배선기판과, 상기가동접점을 유지하고 상기 제 2 배선기판에 부착되는 유지시트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 first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sets of fixed contacts comprising a first fixed contact point and a second fixed contact point, a first wiring board having a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respective fixed contacts A movable contact made of a metal diaphragm for conducting / non-conducting the first fixed contact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an opening for exposing the movable contact by being laminated on the first wiring boar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 second wiring board having a second conductive pattern to conduct with, and a holding sheet holding the movable contact and attached to the second wiring board, were constructed.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배선기판과 제 2 배선기판은, 그 적층 사이에 접착제 등이 설치되어 이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되어 적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 second solution, the first wiring board and the second wiring board are provid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between the laminations, and are integrated and laminated by the adhesive.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에는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이 관통구멍내에는 도전재가 도포되며, 이 도전재에 의해 상기 제 1 도전패턴과 제 2 도전패턴이 도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 third solution,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formed by the conductive material. This configuration was conducted.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배선기판에는 인출부가 형성되고, 이 인출부에 상기 제 1 도전패턴이 도출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 fourth solution, a lead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is drawn out of the lead portion.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개구부 근방의 제 2 배선기판형상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이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제 2 도전패턴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 fifth solution, a light emitting diode is provided on a second wiring board shape near the opening,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은 그 사이의 상기 접착제 등이 존재하지 않는 기도부(氣道部)가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이 기도부는 이 기도부에 연접하여 외부로 연통하는 기도구(氣道口)를 가지며, 상기 기도부로부터 기도구에 걸쳐 상기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 sixth solution means,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are provided with an airway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or the like is not present,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portion. The air flow port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air in the said movable contact is made accessible from the said airway part to the airway port.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도구는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의 바깥 둘레끝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 seventh solution, the airway tool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an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or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도부는 상기 제 2 배선기판의 복수개의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여 상기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n eighth solution, the airway portion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the openings of the second wiring board to allow air in the movable contact to enter and exit.

제 9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유지시트에는 상기 가동접점을 유지하는 부분에 노치가 설치되고, 이 노치로부터 상기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As a ninth solution, the holding sheet is provided with a notch at a portion for holding the movable contact, and the air in the movable contact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notch.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를 자동차 네비게이션의 모니터등의 패널스위치를 예로 하여, 그 분해 사시도인 도 1과, 평면도인 도 2와, 도 2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인 도 3과, 도 2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인 도 4와, 제 1 배선기판의 평면도인 도 5와, 제 1 배선기판의 이면도인 도 6과, 제 2 배선기판의 평면도인 도 7과, 제 2 배선기판의 이면도인 도 8과, 제 1 배선기판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의 설명도인 도 9,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있어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레지스트층에 의해 덮이는 각 패턴을 실선으로 하고, 레지스트층은 그 형상(외형)만을 나타내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를 그 평면도인 도 11과, 그 시트형상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인 도 12,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Fig. 1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2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the sectional drawing in the AA line of FIG. 3, FIG. 4 which is a sectional view on the BB line of FIG. 2, FIG. 5 which is a top view of a 1st wiring board, FIG. 6 which is a back view of a 1st wiring board, and FIG. 7 which is a top view of a 2nd wiring board. FIG. 8 is a back view of the second wiring board, and FIGS. 9 and 10 are explanatory views of a state where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wiring board. In addition, in FIG. 5 thru | or FIG. 8, in order to understand easily, each pattern covered by the resist layer was made into the solid line, and the resist layer showed only the shape (outer shape). Moreover, the sheet-shaped switch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11 which is its top view, and FIG. 12 and FIG. 13 which is a partial plan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is sheet-shaped switch.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형상 스위치는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가동접점(40)과, 이 가동접점 (40)이 각각 얹어 놓여지는 복수세트의 고정접점(13)을 가지는 평판형상의 제 1 배선기판(10)과, 그 위에 적층되는 평판형상의 제 2 배선기판(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배선기판(10)에는 제 1 도전패턴인 스위치용 배선과 제 1 LED 조광배선이 설치됨과 더불어, 제 2 배선기판(20)에는 제 2 도전패턴인 제 2 LED 조광배선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heet-shaped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40 (thre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ovable contacts 40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flat first wiring board 10 having a plurality of sets of fixed contacts 13 and a second flat wiring board 20 stacked thereon. The first wiring substrate 10 is provided with a switch wiring as a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a first LED dimming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substrate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LED dimming wiring as a second conductive pattern. .

상기 제 1 배선기판(10)은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지는 L 자 형상의 기판본체(11)와, 기판본체(11)상에 설치된 제 1 고정접점(13a)과 제 2 고정접점(13b)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접점(13)과, 이들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배선용 인쇄패턴인 스위치용 도전패턴(14)과, 제 1 LED 조광배선용 인쇄패턴인 제 1 LED용 도전패턴(15)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rst wiring board 10 includes an L-shaped substrate body 11 made of a flat insulating substrate and a first fixed contact 13a provided on the substrate body 11. ) And a second fixed contact 13b, a fixed contact 13, a switch conductive pattern 14, which is a printing pattern for switch wiring connected thereto, and a first LED conductive, a printing pattern for a first LED dimming wiring. The pattern 15 is mainly comprised.

제 1 배선기판(10)은 기판본체가 상기한 바와 같이 L 자 형상으로 가공된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지고, 기판본체(11)의 한쪽 끝에 직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인출부(12)와, 기판본체(11)의 옆 가장자리 근방에 복수개 형성된 관통구멍(18)을 가지고 있다. 인출부(12)는 그 선단에 뒤에서 설명하는 단자부(12a)를 가지고 있다.The first wiring board 10 is made of an insulated substrate having flexibility, such as a polyester film processed into an L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bstrate body 11 by bending at a right angle. It has the lead-out part 12 and the through-hole 18 form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vicinity of the side edge of the board | substrate main body 11. As shown in FIG. The lead portion 12 has a terminal portion 12a described later at its tip.

복수세트 설치된 고정접점(13)중, 제 1 고정접점(13a)은 은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배선기판(10)의 표면에 복수개 은페이스트에 의해 스크린인쇄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접점(13b)은 고리형상의 은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제 1 고정접점(13a)의 주위에 은페이스트에 의해 스크린인쇄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용 도전패턴(14)은 띠형상의 가늘고 긴 은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배선기판 (10)의 표리양면에 은페이스트에 의해 스크린인쇄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이 관통구멍(16)을 개재하여 표리면에 접속되며, 고정접점(13)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측의 스위치용 도전패턴(14)이 인출부(12)에 도출되어 있다.Of the plurality of fixed contacts 13 provided, the first fixed contacts 13a are formed of silver patterns, and are formed by screen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by a plurality of silver pastes. The second fixed contact 13b is formed of a ring-shaped silver pattern, and is formed by screen printing around the first fixed contact 13a by silver paste. 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4 is formed of a strip-shaped elongated silver pattern, and is formed by screen printing on both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by silver paste, and each of which interposes the through hole 16.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nd 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4 on the surface side where the fixed contact point 13 is formed is led to the lead portion 12.

그리고 스위치용 도전패턴(14)은 제 1 배선기판(10)의 표면에서 제 2 고정접점(13b)과 접속되고, 그 이면에서 관통구멍(16)을 거쳐 제 1 고정접점(13a)과 접속되어 스위치배선을 구성하고 있다.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contact 13b on the surfac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contact 13a on the rear surface thereof through the through hole 16. The switch wiring is configured.

제 1 LED용 도전패턴(15)은 제 1 배선기판(10)의 표면에 형성된 엽전형상의 제 1 접속부(15a)를 가지며, 이 제1 접속부(15a)로부터 제 1 배선기판(10)의 표면에 또는 관통구멍(16)을 개재하여 이면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LED용 도전패턴(15)은 은페이스트에 의해 스크린인쇄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측의 제 1 LED 용 도전패턴(15)이 인출부(12)에 도출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LED용 도전패턴(15)으로 제 1 LED 조광배선을 구성하고 있다.The first conductive pattern 15 for LEDs has a leaf-shaped first connecting portion 15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5a. It is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side via the through-hole 16. In addition, the first LED conductive pattern 15 is formed by screen printing by silver paste, and the first LED conductive pattern 15 on the surface side is led to the lead-out portion 12. The first LED dimming wiring is formed by the first LED conductive pattern 15.

관통구멍(16)내에는 은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전재(17)가 도포(충전)되어 있고, 표리면의 스위치용 도전패턴(1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함과 동시에 표리면의 제 1 LED용 도전패턴(15)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In the through-hole 16, a first conductive material 17 made of silver paste is coated (charged), and the conductive pattern 14 for switching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and back surfaces. The conductive pattern 15 for LEDs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nducting.

제 1 배선기판(10)의 표면에는 고정접점(13)과 제 1 접속부(15a)와 인출부 (12)의 선단 등을 제외하고, 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레지스트층(19)이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레지스트층(19)이 제외된 부분, 즉 인출부 (12)의 선단에는 스위치용 도전패턴(14)과 제 1 LED용 도전패턴(15)의 끝부가 노출된 단자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부(12a)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본체 등의 외부기기에 커텍터를 개재하여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A resist layer 19 made of thermoplastic resin such as vinyl chloride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except for the tip of the fixed contact 13,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5a, the lead portion 12, and the like. It is formed by. A terminal portion 12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resist layer 19 is excluded, that is, at the tip of the lead portion 12, where 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4 and the ends of the first LED conductive pattern 15 are exposed. This terminal portion 12a is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ar navigation body via a connector.

제 2 고정접점(13b)에는 그 일부를 덮도록 절연페이스트에 의해 오버 코팅(13c)이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버코팅(13c)은 은 또는 카본 등의 도전페이스트에 의해 인쇄에 의해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The overcoating 13c is formed in the second stationary contact 13b by printing with an insulating paste so as to cover a part thereof. The overcoat 13c may be formed by printing with a conductive paste such as silver or carbon.

한편, 제 1 배선기판(10)의 이면에는 인출부(12)를 제외한 전면(全面)에 레지스트층(19)이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resist layer 19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by the entire surface except for the lead portion 12 by printing.

고정접점(13)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 1 고정접점(13a)과 제 2 고정접점 (13b)을 도통/비도통시키는 가동접점(40)은 금속제 다이어프램으로 구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인레스나 인청동 등의 변형가능한 스프링성을 가지는 돔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고정접점(13b)에 상시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오버코팅(13c)에 의해 약간 기울어져 반전동작이 하기 쉽게 되어 있다. 가동접점(40)은 상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정점부가 반전하여 그 정점부가 제 1 고정접점(13a)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제 1 고정접점(13a)과 제 2 고정접점(13b)을 도통시킴과 동시에 고정접점을 온으로 한다. 그리고 온신호가 스위치용 도전패턴(14)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Arranged on the fixed contact 13, the movable contact 40 which conducts / non-conducts the first fixed contact 13a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13b is composed of a metal diaphragm. It consists of a dome-shaped metal plate which has deformable spring property, such as phosphor bronze, and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2nd fixed contact 13b. The inversion operation is easily inclined slightly by the overcoating 13c. The movable contact 40 has a vertex inverted by pressurization from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vertex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contact 13a, and conducts the first fixed contact 13a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13b. At the same time, turn on the fixed contact. The on signal is input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14 for switching.

제 1 배선기판(10)의 표면측에 형성된 레지스트층(19)상에 적층된 접착제 (41)는 염화비닐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에서 설명하는 기도부(42)와 접점노출부 (43)를 제외한 부분에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adhesive 41 laminated on the resist layer 19 form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is made of a thermoplastic adhesive mainly composed of a copolymer of vinyl chloride and vinyl acetate, as shown in FIG. 9. The portions except for the airway portion 42 and the contact exposure portion 43 described later are formed by printing.

기도부(42)는 접착제(41)가 존재하지 않는 레지스트층(19)이 노출하여 형성된 가늘고 긴 띠체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원형상의 접점노출부(43)와 연달아 접속하고 있다. 또 제 2 배선기판(20)의 개구부(22)와 연통함과 더불어 제 1 배선기판(10)의 바깥 둘레끝 가장자리와 관통구멍(18)에 위치하는 기도구(44)와 연통하고 있다. 접점노출부(43)에는 고정접점(13)이 노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도부(42)는 인출부(12)측의 바깥 둘레끝 가장자리[제 2 배선기판(20)의 바깥 둘레끝 가장자리상당]에 위치하는 기도구(44)와 연통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기도구(44)는 관통구멍(18)과 한쪽의 배선기판의 바깥 둘레끝 가장자리와의 쌍방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1개소에서 외기와 통하게 되어 있으면 한 쪽에만 기도구(44)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기도부(42)는 복수의 접점노출부(43)[개구부(22)]와 연통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접점노출부(43)에 대응시켜 각각 기도부(42)와 기도구(44)를 설치하여도 좋다.The airway portion 42 is formed of an elongated strip formed by exposing the resist layer 19 in which the adhesive agent 41 does not exist, and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ircular contact exposing portions 43 in succession. In addition to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22 of the second wiring board 20,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the airway 44 located in the through hole 18 are also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fixed contact 13 is exposed to the contact exposing portion 43. 10, the airway part 42 communicates with the airway tool 44 located in the outer periphery edge (equivalent to the outer periphery edge of the 2nd wiring board 20) by the lead-out part 12 side. It may be. In addition, the airway port 44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at both the through-hole 18 and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one wiring board, and the airway port 44 is provided only at one side if i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at least at one place. You may also do it. In addition, the airway part 42 does not ne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contact exposure parts 43 (opening part 22), and the airway part 42 and the airway tool 44 correspond to the contact exposure part 43, respectively. May be installed.

상기 제 2 배선기판(20)은 제 1 배선기판(10)에 적층되는 것으로,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기판본체(21)에 복수개 형성되어 가동접점(40)을 수납하는 개구부(22)와, 기판본체(21)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LED 조광배선용 인쇄패턴인 제 2 LED용 도전패턴(23)으로 주로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wiring board 20 is stacked on the first wiring board 10. As shown in FIGS. 7 and 8, a plurality of second wiring boards 20 are formed in the strip-shaped substrate body 21 to accommodate the movable contacts 40. It is mainly formed from the opening part 22 and the 2nd LED conductive pattern 23 which is the 2nd LED dimming wiring printing pattern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board | substrate main body 21. As shown in FIG.

제 2 배선기판(20)은 제 1 배선기판(10)과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띠형상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지고, 고정접점(13)보다 약간 큰 관통구멍으로 기판본체(21)에 복수개 형성된 개구부(22)와, 옆 가장자리 근방에 복수개 형성된 관통구멍(26)을 가지고 있다.Like the first wiring board 10, the second wiring board 20 is made of a band-shaped substantially rectangular insulating board having flexibility, such as a polyester film, and has a through hole slightly larger than the fixed contact 13. The main body 21 has a plurality of openings 22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side edge.

제 2 LED용 도전패턴(23)은 제 2 배선기판(20)의 표면에 형성된 엽전형상의 제 2 접속부(23a)와, 이 제 2 접속부(23a)에 연결하여 제 2 LED용 도전패턴(23)의 선단에 설치된 LED용 랜드부(23b)를 가지며, 이 랜드부(23b)는 은페이스트에 의해 개구부(22)의 근방에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속부(23)의 대략 중앙에는 엽전(긴 구멍)형상의 관통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LED 용 도전패턴 (23)으로 제 2 LED 조광배선을 구성하고 있다.The conductive pattern 23 for the second LE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3a having a leaf shap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wiring board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3a to connect the conductive pattern 23 for the second LED. The land part 23b for LED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of () is formed by printing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part 22 by silver paste. In addition, a through hole 24 having a shape of a leaf (long hole)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3, and the second LED dimming wiring is formed by the conductive pattern 23 for the second LED.

그리고 제 2 LED용 도전패턴(23)[랜드부(23b)]는 제 2 배선기판(2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배선기판(10)상의 제 2 고정접점(13b)의 근방에 설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고정접점(13b) 사이에 간극(여유)이 불필요하게 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선기판(10)에 형성된 제 2 고정접점(13b)과, 제 2 LED 용 도전패턴(23)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있다. 즉, 제 2 고정접점(13b)보다도 개구부(22)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LED(50)를 고정접점(13)에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second LED conductive pattern 23 (land portion 23b) is provided on the second wiring board 20, it is provided near the second fixed contact 13b on the first wiring board 10. In comparison with the case, a gap (free space) is unnecessary between the second fixed contacts 13b, and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fixed contacts 13b formed on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the second LEDs are electrically conductive. The distance between the patterns 23 is shortened. That is, since the opening part 22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2nd fixed contact 13b, it becomes possible to arrange | position the LED 50 near the fixed contact 13.

제 2 배선기판(20)의 표면에는 랜드부(23b)의 근방주변과 제 2 접속부(23a) 등을 제외하고 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레지스트층(27)이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한쪽 이면에는 제 2 접점부(23a)에 대응하는 부분(이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레지스트층(23)이 전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On the surface of the second wiring board 20, a resist layer 27 made of thermoplastic resin such as vinyl chloride is formed by printing except for the vicinity of the land portion 23b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3a. The resist layer 23 is similar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by printing except for the part (part corresponding to back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2nd contact part 23a.

LED 조광배선인 제 2 LED용 도전패턴(23)에 접속되는 LED(50)는 칩형상으로 이루어져 랜드부(23b)에 얹어 놓여져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ED(50)는 개구부(22)의 근방에 위치하는 랜드부(23b)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 도전성 접착제 (51)에 의해 랜드부(23b)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고정됨과 동시에, 아크릴수지계가 투명한 자외선 경화형의 보강용 수지(52)에 의해 랜드부(23b)와 함께 피복되어 보호되고 있다.The LED 50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23 for the second LED, which is the LED dimming wiring, has a chip shape and is placed on the land portion 23b. As shown in FIG. 3, the LED 50 is fixed in the st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nd part 23b by the conductive adhesive 51 formed by printing in the land part 23b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part 22. As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the acrylic resin system is covered with the land portion 23b and protected by the transparent UV-curable reinforcing resin 52.

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LED(50)가 얹어 놓여진 제 2 배선기판(20)은 제 1 배선기판(10) 사이에 설치된 접착제(41)에 의해 개구부(22)와 고정접점(13)이 대향하여 관통구멍(18)과 관통구멍(26)이 겹치도록 제 1 배선기판(10)에 맞붙여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40)이 개구부(22)에 수납되고, 또한 노출된 상태로 됨과 동시에 제 1 배선기판(10), 제 2 배선기판(20) 사이에 설치된 기도부(42)가 접점노출부(43)를 개재하여 개구부(22)와 연통된 상태로 되어 있다.The second wiring board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having the LED 50 mounted thereon faces the opening 22 and the fixed contact 13 by the adhesive agent 41 provided between the first wiring boards 10. The through-holes 18 and the through-holes 26 are integrally joined to the first wiring board 10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the movable contact 40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22 and exp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airway part 42 provided between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the second wiring board 20. )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portion 22 via the contact exposing portion 43.

또한 접착제(41)는 제 2 배선기판(20)의 하면(이면)측에 도포하여도 좋고, 또 개구를 가지는 양면테이프를 양 배선기판(10, 20)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 개구와 외부로 통하는 기도부(42)를 양면테이프를 부분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구성하여 서로 맞붙이는 것이어도 좋다. 기도부(42)는 제 2 배선기판(20)에 도포한 접착제(41)의 비도포영역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적어도 제 1 배선기판(10), 제 2 배선기판(20)중 어느 하나의 바깥 둘레끝 가장자리 또는 어느 하나의 관통구멍(18, 26)에 위치하는 기도구(44)와 연통하고 있으면 된다.The adhesive agent 41 may be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lower surface) side of the second wiring board 20, and a double-sided tape having an opening is provided between the wiring boards 10 and 20 so as to be extended from the opening to the outside. The airway part 42 which communicates may be comprised without providing a double-sided tape, and may be mutually joined. The airway part 42 may be formed by the non-coating area of the adhesive agent 41 applied to the second wiring board 20,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the second wiring board 20.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mmunicate with the airway tool 44 located in the outer periphery edge or the one of the through holes 18 and 26.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LED용 도전패턴(23)의 제 2 접속부(23a)에 형성된 관통구멍(24)내에 은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전재(25)가 도포(충전)됨으로써, 제 2 접속부(23a)가 제 1 접속부(15a)와 도통상태가 되고, 이에 의하여 제 2 LED용 도전패턴(23)과 제 1 배선기판(10)에 설치된 제 1 LED용 도전패턴 (15)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conductive material 25 made of silver paste is applied (filled) in the through hole 24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3a of the conductive pattern 23 for the second LE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3a is brought into a conductive state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5a, whereby the second LED conductive pattern 23 and the first LED conductive pattern 15 provided on the first wiring board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Is connected and is conducting.

상기 유지시트(30)는 띠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2 배선기판(2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하면 전체에는 주로 가동접점(40)을 유지하기 위한 점착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The retaining sheet 30 is formed in a band shape and attached to the second wiring board 20, and an adhesive (not shown) for maintaining the movable contact 40 is mainly provid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유지시트(30)는 제 2 배선기판(20)과 대략 동일한 형상인 띠형상의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이루어지고, LED(50)보다 약간 큰 관통구멍인 복수개의 개구부(31)와, 옆 가장자리 근방에 형성된 관통구멍(32)을 가지고 있다. 하면 전면에는 아크릴계의 점착제(도시 생략)가 도포되어 있다.The retaining sheet 30 is made of a strip-shaped polyester film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wiring board 2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s 31, which are through holes slightly larger than the LED 50, and near the side edges. It has a through hole 32 formed therein. An acrylic adhesive (not shown) is applied to the entire lower surface.

이와 같은 형태의 유지시트(30)는 점착제에 의해 제 2 배선기판(20)의 표면에 개구부(31)와 제 2 LED용 도전패턴(23)의 랜드부(23b)가 대향함과 더불어, 관통구멍(32과 26)이 겹치도록 부착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31)로부터 보강용 수지(52)에 덮힌 LED(50)가 돌출함과 동시에 점착제가 가동접점 (40)의 정점부를 접착하여 이것을 유지하고 있다.The holding sheet 30 of this type penetrates the opening 31 and the land portion 23b of the conductive pattern 23 for the second L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wiring board 20 b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holes 32 and 26 are attached to overlap. And as shown in FIG. 3, the LED 50 covered by the resin 52 for reinforcement protrudes from the opening part 31, and the adhesive adhere | attaches the apex part of the movable contact 40, and hold | maintains this.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시트(30)는 제 2 배선기판(20)에 설치되어 제 2 도전재(25)가 도포(충전)되어 있는 관통구멍(24)을 덮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holding sheet 30 is provided on the second wiring board 20 to cover the through hole 24 to which the second conductive material 25 is coated (filled).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다음으로, 자동차 네비게이션의 모니터 등의 패널스위치로서 사용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는 고정판(60)에 점착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설치된 상태로 케이스(61)내에 수납되고, 케이스(6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게 부착된 키톱(62)에 의해 가동접점(40)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 생략한 전원에 의해 LED(50)가 발광하여 키톱(62)을 조광하도록 되어 있다.The sheet-shaped switch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and next, the state used as a panel switch, such as a monitor of automobile navigation,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The movable contact 40 is pressurized by the key top 62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61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by appropriate means such as adhesion, and is attached to the case 61 so as to be pressuriz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D 50 emits light by the power supply (not shown) to illuminate the key top 62.

고정판(60)은 판두께 0.2 내지 0.3 mm 정도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가 얹어 놓여져 있다. 케이스(61)는 불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인 보스(도시 생략)를 가지며, 이 보스는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의 관통구멍(32, 26, 18)에 삽통되고, 또 고정판(60)에 형성된 삽입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이 열코킹(열용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가 고정판(60)과 케이스(61)에 고정된다. 키톱(62)은 유백색을 띤 반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지고, 바닥부에 플랜지(64)를 가지는 박형 직사각형상 또는 원형상의 기초부(63)와, 이 기초부(63)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6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키톱(62)은 플랜지(64)가 케이스(61)에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돌기(65)의 선단이 가동접점(40)의 정점부에 위치하는 유지시트(30)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The stationary plate 60 is made of a steel sheet having a plate thickness of about 0.2 to 0.3 mm, and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surface thereof. The case 61 has a boss (not shown) which is a projection made of an opaque synthetic resin and formed to protrude, and the boss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32, 26, and 18 of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xing plate (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60. The front end of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xed plate 60 and the case 61 by thermal caulking (heat welding). The key top 62 is made of a milky white translucent resin, and has a thin rectangular or circular base 63 having a flange 64 at the bottom thereof, and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base 63. Has 65. The key top 62 is in a state where the flange 64 is engaged with the case 61 and the tip of the projection 65 is in contact with the holding sheet 30 positioned at the apex of the movable contact 40. The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패널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작자가 키톱(62)을 위쪽으로부터 가압하면 그것에 따른 돌기(65)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가동접점(40)을 가압하고, 가동접점(40)이 반전함으로써 그 정점부가 제 1 고정접점(13a)에 접촉하여 제 1 고정접점(13a)과 제 2 고정접점(13b)이 온(도통)상태가 된다. LED(50)는 그 발광에 의해 반투명한 키톱(62)을 조광하여 어두운 곳에 있어서 조작자가 키톱(6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anel switch,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key top 62 from above, the projection 65 corresponding thereto moves downward to press the movable contact 40, and the movable contact 40 is inverted so that the top The first fixed contact 13a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13b are turned on (conducted) by contacting the additional first fixed contact 13a. The LED 50 illuminates the semi-transparent key top 62 by the light emission, and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position of the key top 62 in a dark place.

또 기도부(42)가 기도구(44)에 연접하여 외부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가동접점(40)이 반전하면 돔형상내의 공기가 기도부(42)로부터 각 복수의 기도구(44)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 가동접점(40)의 반전, 복귀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way portion 42 is in contact with the airway port 44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It is possible to smoothly invert and return the movable contact 40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way tools 4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의 제 1 배선기판(10)과 제 2 배선기판 (20)과 유지시트(30)의 제조공정 및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도 1, 도 3, 도 4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1st wiring board 10, the 2nd wiring board 20, and the holding sheet 30 of the sheet-shaped switch of this invention,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heet-shaped switch of this invention are FIG. 1, FIG.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 1 배선기판(10)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연기판에 프레스에 의해 관통구멍(16)의 뚫기 가공을 행하고 이 관통구멍(16)내로 절연기판의 양면으로부터 제 1 도전재(17)를 스크린인쇄에 의해 도포(충전)하여 흘려 넣어 소성(건조)시킨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will be described. The through hole 16 is punched into a flat plate-shaped insulating substrate by pressing, and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from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ubstrate into the through hole 16. (17) is applied (filled) by screen printing, and then flowed into it (firing).

다음으로 절연기판의 표면에 은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여 소성함으로써, 고정접점(13)과 스위치용 도전패턴(14) 및 제 1 LED용 도전패턴(15)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면에도 마찬가지로 스위치용 도전패턴(14) 및 제 1 LED용 도전패턴(15)을동시에 형성한다.Next, the silver paste is screen-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baked to simultaneously form the fixed contact 13, 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4, and the first LED conductive pattern 15. Similarly, the switch conductive pattern 14 and the first LED conductive pattern 15 are formed at the same time.

다음으로 제 2 고정접점(13b)의 일부에 걸려지도록 오버코팅(13c)을 인쇄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설치하고, 또 절연기판의 양면에 염화비닐 등을 스크린인쇄하여 가열함으로써 레지스트층(19)을 형성한다.Next, the overcoat 13c is printed and dried so as to be caught by a part of the second fixed contact 13b, and the resist layer 19 is formed by screen printing and heating vinyl chloride or the like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ubstrate. .

그 후 프레스에 의해 절연기판을 L 자 형상으로 외형가공하여 관통구멍(18)을 동시에 펀칭한다.Thereafter, the insulating substrate is externally processed into an L shape by pressing to punch the through holes 18 simultaneously.

제 2 배선기판(20)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연기판 표면에 은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여 소성함으로써 제 2 LED용 도전패턴 (23)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절연기판의 양면에 염화비닐 등을 스크린인쇄하여 가열함으로써 레지스트층(27)을 형성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 wiring board 20 will be described. The conductive pattern 23 for the second LED is formed by screen printing and baking silver paste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board having a flat plate shape. Next, the resist layer 27 is formed by screen-printing and heating vinyl chloride etc. on both surfaces of an insulated substrate.

그 후 프레스에 의해 절연기판을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외형가공하여 개구부(22)와 관통구멍(24)과 관통구멍(26)을 동시에 펀칭한다.After that, by pressing, the insulating substrate is externally processed into an elongated,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opening 22, the through hole 24, and the through hole 26 are simultaneously punched.

그리고 제 1, 제 2 배선기판(10, 20) 사이에 접착제(41)를 설치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배선기판(10)의 표면에 기도부(42)를 설치하도록, 구체적으로는 도 9 또는 도 10에 해칭을 실시한 형상으로 접착제(41)를 인쇄에 의해 형성하고, 이 접착제(41)를 개재하여 제 1 배선기판(10), 제 2 배선기판(20)을 맞붙인다. 그리고 이 접착제(41)를 가열함으로써 경화시켜 제 1 배선기판(10), 제 2 배선기판 (20)을 일체화한다.Then, the adhesive agent 4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ing boards 10 and 20.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41 is formed by printing in a shape hatched in FIG. 9 or FIG. 10 so that the airway portion 42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the second wiring board 20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the adhesive agent 41. The adhesive 41 is cured by heating to integrate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the second wiring board 20.

다음으로 제 2 배선기판(20)의 표면으로부터 은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함으로써 관통구멍(24)내에 제 2 도전재(25)를 도포(충전)하고, 이 제 2 도전재(25)가 제1 LED용 도전패턴(15)[제 1 접속부(15a)]까지 도달함으로써, 제 2 LED용 도전패턴 (23)과 제 1 LED용 도전패턴(15)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 동시에 랜드부 (23b)상에도 은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접착제(51)를 도포해 둔다. 그리고 이 도전성 접착제(51)상에 LED(50)를 마운트하여 가열함으로써 은페이스트[도전성접착제(51) 및 제 2 도전제(25)]를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LED(50)를 덮도록 보강용 수지(52)를 도포하여 자외선을 쪼여 경화시킨다.Next, by screen printing silver paste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wiring board 20, the second conductive material 25 is applied (charged) into the through holes 24, and the second conductive material 25 is the first LED. By reaching up to the conductive pattern 15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5a), the second LED conductive pattern 23 and the first LED conductive pattern 1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51 which consists of silver paste is apply | coated also on the land part 23b. The silver paste (the conductive adhesive 51 and the second conductive agent 25) is dried by mounting and heating the LED 50 on the conductive adhesive 51. Next, the reinforcing resin 52 is applied to cover the LED 50, and the ultraviolet rays are split to cure.

마지막으로 미리 외형가공되어 하면에 도포된 점착제에 의해 가동접점(40)이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유지시트(30)를, 가동접점(40)이 개구부(22)내에 수납되도록 제 2 배선기판(20)에 부착한다.Finally, the second wiring board is formed so that the movable contact 40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portion 22 by the adhesive sheet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in advance, so that the movable contact 40 is hel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Attached to (20).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배선기판(10)에 인출부(12)를 설치하고, 또 제 1 LED용 도전패턴(15)과 제 2 LED용 도전패턴(23)을 접속하는 관통구멍(24)을 제 2 배선기판(20)에만 설치하는 외에, 제 1 배선기판(10) 및 제 2 배선기판(20)의 양쪽에도 이것을 설치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ead-out part 12 is provided in the 1st wiring board 10, and the through-hole 24 which connects the 1st LED conductive pattern 15 and the 2nd LED conductive pattern 23 is provided. In addition to being installed only on the second wiring board 20, this is also provided on both the first wiring board 10 and the second wiring board 20. FIG.

그러나 제 2 배선기판(20)측에 인출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LED용 도전패턴은 제 2 배선기판의 표면에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LED용 배선끼리의 접속를 위한 관통구멍은 필요로 하지 않으나, 고정접점(13a, 13b)의 각각 도통하는 스위치용 도전패턴을 제 2 배선기판(20) 표면의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야 하며, 그 때문에 관통구멍이 제 2 배선기판(20)이나 제 1 배선기판(10)에 필요하게 된다. 또 제 2 배선기판(20)에 설치한 인출부의 이면측[LED(50)을 설치하지 않은 면측]에 각 도전패턴을 도출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용 도전패턴을 제 1 배선기판(10)으로부터 제 2 배선기판(20)으로 유도하기 위한 관통구멍은 제 1 배선기판(10)에만 설치하면 된다. 이 경우 관통구멍으로의 도전재의 도포는 제 1 배선기판(10)의 이면측에서 행하게 된다. 또한 각 패턴 등을 연구하면 이외의 형태이더라도 상관없다. 또 기도부(43)는 복수개 있어도 좋음은 물론이다.However, a lead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wiring board 20 side. In this case, since the LED conductive pattern only needs to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wiring board, the through-hole for connecting the LED wirings is not required, but the conductive patterns for the switches conducting the conductive contacts 13a and 13b respectively. The second wiring board 20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ttern on the surface, so that a through hole is required in the second wiring board 20 or the first wiring board 10.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patterns are drawn out on the back side of the lead-out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wiring board 20 (th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LED 50 is not provided), the conductive pattern for the switch is formed from the first wiring board 10. 2 The through holes for guiding the wiring board 20 need only be provided in the first wiring board 10.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to the through holes is perform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first wiring board 10. In addition, when studying each pattern etc., it may be another form. Moreover, of course, there may be more than one airway part 43, of cours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를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품과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시트형상 스위치는 제 1 배선기판(10)과 제 2 배선기판 (20)이 기도부(42)를 가지지 않은 접착제(41)에 의해 맞붙여지고, 유지시트(30)에 노치인 슬릿(34)을 설치함으로써 가동접점(40)의 돔형상내의 공기를 배출되게 한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umbers for the same parts as the parts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sheet-shaped switch has a first wiring board ( 10) and the second wiring board 20 are joined together by an adhesive agent 41 having no airway portion 42, and the slit 34 which is notched in the holding sheet 30 is attached to the movable contact 40. Allow the air in the dome to be discharged.

유지시트(30)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면, 이 유지시트(30)는 제 2 배선기판 (20)과 대략 동일한 형상인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개구부(31)와 관통구멍 (32)을 가지며, 하면에는 점착제(도시 생략)가 도포되어 있다. 개구부(31)의 근방에는 짧은쪽 방향에 연장되는 2개의 슬릿(34)이 설치되어 개구부(31)의 수와 동일한 세트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시트(30)는 제 2 배선기판(20)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부착되고, 슬릿(34)에 의해 가동접점(40)의 끝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The holding sheet 30 will be described again. The holding sheet 30 is formed in a band shap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wiring board 20, and has a plurality of openings 31 and through holes 32. The lower surface is coated with an adhesive (not shown).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31, two slits 34 extending in the shorter direction are provided, and the number of sets equal to the number of the openings 31 is provided. The holding sheet 30 is attached to the second wiring board 2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end of the movable contact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slit 34.

이와 같은 구성인 제 2 실시형태의 시트형상 스위치를 패널스위치로서 사용하면 키톱(62)의 돌기(65)에 의해 가동접점(40)이 반전하여 돔형상내의 공기가 직접 슬릿(34)으로부터 외부로 빠져 가동접점(40)의 움직임이 유지시트(30)에 의해제약을 받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가동접점(40)의 반전, 복귀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When the sheet switch of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as the panel switch, the movable contact 40 is inverted by the projection 65 of the key top 62 so that the air in the dome shape is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slit 34 to the outside. Sinc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ontact 40 is prevented from being restricted by the holding sheet 30, the movable contact 40 can be smoothly reversed and returned.

또 슬릿(34)은 개구부(31)와 관통구멍(32)과 함께 프레스에 의해 뚫린다.In addition, the slit 34 is drilled together with the opening 31 and the through hole 32 by a press.

또한 노치인 슬릿(34)은 가동접점(40)을 접착하는 부분의 유지시트(30)와 그 주위의 유지시트(30)를 연결하는 부분이 적어지도록 설치하면, 가동접점이 움직이기 쉽게 되어 좋으므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34)은 1개이더라도 좋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34)을 대신하여 원형의 관통구멍(35)을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notch slit 34 is installed so that the portion connecting the retaining sheet 30 to the movable contact 40 and the retaining sheet 30 around it is small, the movable contact may be easily mov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one slit 34 may be sufficient, and the circular through hole 35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slit 34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는 제 1 고정접점 및 제 2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세트의 고정접점과, 제 1 도전패턴을 가지는 제 1 배선기판과, 제 1 고정접점과 제 2 고정접점을 도통/비도통시키는 금속제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과, 개구부와 제 1 도전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도통하는 제 2 도전패턴을 가지는 제 2 배선기판과, 가동접점을 유지하여 제 2 배선기판에 부착되는 유지시트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별개의 배선기판에 제 1 도전패턴과 제 2 도전패턴을 설치하였으므로 스위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스위치의 크기에 제한이 있더라도 도전패턴을 고밀도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고기능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s / disconnects a plurality of sets of fixed contacts composed of a first fixed contact point and a second fixed contact point, a first wiring board having a first conductive pattern, a first fixed contact point, and a second fixed contact point. A second wiring board having a movable contact made of a conductive metal diaphragm, a second conductive pattern conducting with an opening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a holding sheet holding the movable contact and attached to the second wiring board. Since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provided on separate wiring boards, the switch can be made compact. In addition, even if the size of the switch is limited, the conductive pattern can be installed at a high density, and it can cope with high functionality.

또한 제 2 배선기판의 개구부에 가동접점을 수납할 수 있고, 다층기판으로 하여도 제 2 배선기판과 가동접점이 두께방향으로 오버랩되기 때문에 박형화를 할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contact can be stored in the opening of the second wiring board, and even when the multilayer board is used, the second wiring board and the movable contact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또 상기 제 1 배선기판, 제 2 배선기판은 그 적층 사이에 접착제 등이 설치되어 일체화되어 적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 1 배선기판, 제 2 배선기판을 일체화한 후에 고정접점과 제 2 배선기판의 개구부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wiring board and the second wiring board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or the like is integrated between the stacks to form a stack, the fixed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board are integrated after the first wiring board and the second wiring board are integrated. The positional shift with the opening of the can be prevented.

또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에는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이 관통구멍내에는 도전재가 도포되어 이 도전재에 의해 상기 제 1 도전패턴과 제 2 도전패턴이 도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한 쪽의 배선기판으로부터 어느 한쪽의 도전패턴을 도출하면 되고, 한쪽의 배선기판에 인출부가 불필요하게 되어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시트형상 스위치 단체로 제 1 도전패턴, 제 2 도전패턴의 도통을 완결할 수 있어 스위치 외부에서의 배선이 간단해진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in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conducted by the conductive material. Therefore, any one conductive pattern may be derived from one wiring board, and the lead-out portion is unnecessary on one wiring board, thereby miniaturizing. In addition, the sheet-shaped switch alone can complete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thereby simplifying the wiring outside the switch.

또 제 1 배선기판에는 인출부가 형성되고, 이 인출부에 제 1 도전패턴이 도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패턴의 끝부와 인출부의 선단부(단자부)가 동일한 부분에 있으므로 간단한 배선, 구조 등으로 본 발명의 시트형상 스위치를 전기기기 등에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lead-out part is form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is derived from the lead-out part, the end of the pattern and the tip (terminal part) of the lead-out part are in the same part. The sheet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attached to an electric device or the like.

또 개구부 근방의 제 2 배선기판상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이 발광다이오드가 제 2 도전패턴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단순히 LED를 제 1 배선기판에 부착시킨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제 2 고정접점과 LED용 도전패턴(LED 부착용 랜드부)의 간극(여유)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LED를 매우 고정접점측에 근접시킬 수 있어 시트형상 스위치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diode is provided on the second wiring substrate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the second fixed contact which is required when the LED is simply attached to the first wiring substrate. Since the gap between the conductive pattern for LED and the land portion for LED attachment can be narrowed, the LED can be very close to the stationary contact side, and the entire sheet-shaped switch can be miniaturized.

그리고 이 LED를 가동접점상에 배치되는 키톱부의 조광용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키톱의 소형화가 도모된다.When the LED is used for dimming the key top portion arranged on the movable contact, the key top can be miniaturized.

또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은 그 사이에 접착제 등이 존재하지않는 기도부가 개구부와 연통하여 설치되고, 이 기도부는 이 기도부에 연달아 접속하여 외부와 연통하는 기도구를 가지며, 기도부로부터 기도구에 걸쳐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가동접점의 클릭감촉이 양호하게된다. 또 유지시트가 가동접점을 완전히 덮을 수 있기 때문에 먼지나 정전기에 강한 시트형상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are provided with an airway portion in which an adhesive or the like is not present therebetween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portion, and the airway portion has an airway tool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by successively connecting the airway portion, Since the air in the movable contact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airway to the airway, the air in the movable contact is released to the outside, whereby the click feel of the movable contact is good. In addition, since the holding sheet can completely cover the movable conta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eet-shaped switch resistant to dust and static electricity.

또 기도구는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의 바깥 둘레끝 가장자리 또는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기도구를 새롭게 배선기판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위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uction tool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or th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the air conduction tool is newly installed on the wiring board. Since there is no need, the size of the switch can be reduced.

또 기도부는 제 2 배선기판의 복수개의 개구부와 연통하여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독립된 기도부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시트형상 스위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In addition, since the airway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second wiring board to allow air in the movable contact to enter and exit, the number of independent airway portions can be reduced, and the sheet-shaped switch can be miniaturized.

또 유지시트에는 가동접점을 유지하는 부분에 노치가 설치되고, 이 노치로부터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가동접점의 움직임이 유지시트에 의해 제약받기 어렵게 되므로, 가동접점이 반전하기 쉬워져 확실한 클릭감촉을 얻을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notch is provided in the part which holds a movable contact, and the air | atmosphere in a movable contact is made accessible from this notch, since the movement of a movable contact becomes hard to be restricted by a holding sheet, a movable contact It becomes easy to invert and can obtain sure click feeling.

Claims (9)

제 1 고정접점 및 제 2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세트의 고정접점과, 제 1 도전패턴을 가지는 제 1 배선기판과,A plurality of sets of fixed contacts comprising a first fixed contact point and a second fixed contact point, a first wiring board having a first conductive pattern, 상기 각 고정접점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고정접점과 제 2 고정접점을 도통/비도통시키는 금속제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과,A movable contact disposed on each of the fixed contacts, the movable contact comprising a metal diaphragm for conducting / non-conducting the first fixed contact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상기 제 1 배선기판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가동접점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제 1 도전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도통하는 제 2 도전패턴을 가지는 제 2 배선기판과,A second wiring board stacked on the first wiring board, the second wiring board having an opening exposing the movable contact and a second conductive pattern condu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상기 가동접점을 유지하고 상기 제 2 배선기판에 부착되는 유지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And a holding sheet attached to the second wiring board to hold the movable contac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배선기판과 제 2 배선기판은 그 적층 사이에 접착제 등이 설치되어 이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되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The sheet-shaped switch of the first wiring board and the second wiring board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between the laminations, and is integrally laminated by the adhesiv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에는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이 관통구멍내에는 도전재가 도포되며, 이 도전재에 의해 상기 제 1 도전패턴과 제 2 도전패턴이 도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conducted by the conductive material. Sheet-shaped switch.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배선기판에는 인출부가 형성되고, 이 인출부에 상기 제 1 도전패턴이 도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A lead-type switch is form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is led to the lead-out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개구부 근방의 제 2 배선기판형상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이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제 2 도전패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A light-emitting diode is provided on a second wiring board shape near the opening, and the light-emitting di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은 그 사이의 상기 접착제 등이 존재하지 않는 기도부가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도부는 이 기도부에 연접하여 외부로 연통하는 기도구를 가지고, 상기 기도부로부터 기도구에 걸쳐 상기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may be provided with an airway unit in which the adhesive or the like is not present therein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and the airway unit having an airway tool connected to the airway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 sheet-shaped switch formed by allowing air in the movable contact to enter and exit from the airway portion to the airway por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기도구는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의 바깥 둘레끝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 1 배선기판 및/또는 제 2 배선기판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And the airway tool is positioned at an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or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first wiring board and / or the second wiring boar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기도부는 상기 제 2 배선기판의 복수개의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여 상기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And the airway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second wiring board to allow air in the movable contact to enter and exit.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유지시트에는 상기 가동접점을 유지하는 부분에 노치가 설치되고, 이 노치로부터 상기 가동접점내의 공기가 출입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상 스위치.The holding sheet is provided with a notch in a portion holding the movable contact, and the air in the movable contact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notch.
KR10-2000-0082904A 1999-12-28 2000-12-27 Sheet shape switch KR1003971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73415 1999-12-28
JP37341599A JP2001184987A (en) 1999-12-28 1999-12-28 Sheet shape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774A true KR20010062774A (en) 2001-07-07
KR100397114B1 KR100397114B1 (en) 2003-09-06

Family

ID=1850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904A KR100397114B1 (en) 1999-12-28 2000-12-27 Sheet shape switc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84987A (en)
KR (1) KR1003971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6139B2 (en) 2015-12-22 2019-03-19 Hyundai Motor Company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742B1 (en) 2005-05-13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Keypad having light guide layer and keypad assembly
JP2007220528A (en) * 2006-02-17 2007-08-30 Fujikura Ltd Movable contact structure, and push-button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8647A (en) * 1992-11-27 1994-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mbrane switch
JP3988203B2 (en) * 1996-10-22 2007-10-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Movable contact for panel switch
JPH11306914A (en) * 1998-04-16 1999-11-05 Fujikura Ltd Mounting membrane switch and its manufacture
JPH11345541A (en) * 1998-06-01 1999-12-14 Fujikura Ltd Membrane switch its manufacture and manufacturing device
DE29818451U1 (en) * 1998-10-15 1999-02-11 Chicony Electronics Co One-touch touch trigge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6139B2 (en) 2015-12-22 2019-03-19 Hyundai Motor Company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114B1 (en) 2003-09-06
JP2001184987A (en)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9923A (en) Backlit tactile keyboard with improved tactil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US5138119A (en) Backlit tactile keyboard with improved tactil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JP3808073B2 (en) Key sheet module
KR200319458Y1 (en) Light illuminating type switch
JPH0935571A (en) Lighted switch unit
US8809709B2 (en) Push switch
US6960733B2 (en) Lighted switch sheet and lighted switch unit using the same
KR100330755B1 (en) Keypad for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6552289B2 (en) Dome switch
JP2005071808A (en) Key sheet module
KR100397114B1 (en) Sheet shape switch
JP2002279849A (en) Illumination unit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7679016B2 (en) Panel switch
US20060289285A1 (en) Movable cont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3234037A (en) Dome switch
JPH0630098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392349B1 (en) Push-button type switch
JPH0743891Y2 (en) Illuminated membrane switch
KR20080059838A (en) The key panel of planer light wave circuit sheet having a actuator
KR20030031119A (en) El element and illumination unit comprising it
JPH10106754A (en) Distributed electroluminescent element wiring board and illuminating switch unit using it
KR200374556Y1 (en) Key Panel Lamp Switch
KR100838543B1 (en) Switch device
KR200374558Y1 (en) Key Panel Lamp Switch With Metal Dome
KR101307643B1 (en) Tact switch for electronic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