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429A - Folder type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Folder type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429A
KR20010056429A KR1019990057884A KR19990057884A KR20010056429A KR 20010056429 A KR20010056429 A KR 20010056429A KR 1019990057884 A KR1019990057884 A KR 1019990057884A KR 19990057884 A KR19990057884 A KR 19990057884A KR 20010056429 A KR20010056429 A KR 20010056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ear piece
call
diaphragm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출
안수호
송병섭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6429A/en
Publication of KR20010056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42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out opening or closing a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ON: The first ear-piece(404) is mounted in a determined location of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plate(401). The second ear-piece is mounted in a determined loca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401). A lower plate(402) is connected with the upper plate(401) as a hinge structure, and prepares a mike(403) in a determined location. In a state that a folder is closed, a voice of an other party is delivered through the first ear-piece(404). In a state that the folder is opened,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is delivered through the second ear-piece.

Description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Folder type mobile station}Folder type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 단말기의 폴더를 열거나 닫는 조작없이 현재의 단말기 폴더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 folder capable of making a call in the current terminal folder state without an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a folder of the terminal when a telephone is received. It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오늘날,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 및 편리성으로 인하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등록, 일정 관리 기능 등이 있어서, 전화 통화를 위한 수단을 넘어서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변화되고 있다.Tod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 necessity of life due to the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portable, and are used by many peo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hone book registration,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etc., and has been changed to a means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beyond the means for phone calls.

도 1의 (a), (b)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2의 (a), (b)는 도 1의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다.1 (a) and (b) are a plan view and a left sid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conventional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and FIGS. 2 (a) and (b) are folders of the terminal of FIG. It is the top view and left side view which showed the open state, respectively.

도 1의 (a), (b) 및 도 2의 (a), (b)를 참조하면,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면부의 소정의 위치에 이어 피스(ear-piece)(104)가 마련된 상판(101)과, 그 상판(101)과 힌지 구조로 결합되며 내면부의 소정의 위치에 마이크(mike)(103)가 마련된 하판(10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1 and (a) and (b) of FIG. 2, a conventional folding mobile terminal has an ear-piece 104 follow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n inner surface thereof. The upper plate 101 is provided, and the lower plate 102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01 and the hinge structure and provided with a microphone 10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한편, 도 3은 도 1의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reception process using the terminal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평상시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되는 신호 또는 수신되는 전화가 있는지 체크하며 대기 상태에 있다(단계 301). 이와 같이, 대기 상태를 유지하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수신되면(단계 302) 폴더가 열리는 지를 체크한다(단계 303).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rmally in a waiting state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signal or an incoming call (step 301). In this w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been in the waiting state checks whether the folder is opened (step 302) when a call is received (step 302).

이때,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전화를 통화하기 위해서는 폴더를 열고 통화해야 한다. 이는, 상기 이어 피스(104)가 단말기 상판(101) 내면부의 소정의 위치에만 마련됨으로써, 단말기의 폴더가 열리지 않으면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단말기 설계 시에, 단말기 폴더를 열어야 통화가 연결되게 설계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열리지 않는 경우에는 통화가 불가능하게 된다(단계 304).At this time, in order to make a call using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ust open a folder and make a call. This is because the ear piece 104 is provided on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top plate 101, so tha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cannot be heard unless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opened. Because it is designed. Therefore, when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opened, the call is impossible (step 304).

한편, 상기 단계 303에서 폴더가 열리면, 상기 단말기는 통화 상태가 되어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단계 305).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를 마친 후 상기 단말기의 폴더를 닫음으로써 통화를 종료시키고, 상기 단말기는 다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단계 306).On the other hand, if the folder is opened in step 303, the terminal is in a call state and the user can talk to the other party (step 305). Accordingly, the user ends the call by closing the folder of the terminal after finishing the call, and the terminal maintains the standby state again (step 306).

그런데, 이상과 같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 폴더를 열어야 통화를 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전화를 통화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폴더를 열다가 조작상의 실수로 인하여 단말기의 폴더가 닫히게 되는 경우에는 통화가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described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onvenient to make a call when the folder is opened.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a cal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ll is disconnected when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closed due to an operation mistake while opening a folder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 단말기의 폴더를 열거나 닫는 조작없이 현재의 단말기 폴더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aking a call in a current terminal folder state without an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a folder of a terminal when a telephone is received. There is this.

도 1의 (a), (b)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및 좌측면도.1 (a) and (b) are a plan view and a left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losed state of a folder of a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의 (a), (b)는 도 1의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및 좌측면도.2 (a) and 2 (b) are a plan view and a left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the terminal of FIG. 1 is opened;

도 3은 도 1의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reception process using the terminal of FIG. 1.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및 좌측면도.Figure 4 (a), (b) is a plan view and a left sid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older of 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5의 (a), (b) 및 (c)는 도 4의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좌측면도 및 저면도.Figures 5 (a), (b) and (c) are a plan view, a left side view and a bottom view respective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r of the terminal of FIG. 4 is opened.

도 6은 도 4의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reception process using the terminal of FIG. 4.

도 7은 도 4의 단말기의 이어 피스를 이용한 양방향 음향 송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idirectional sound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earpiece of the terminal of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양방향으로 음향 송출이 가능한 이어 피스의 개략적인 구성도.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ar piece capable of sound transmission in both directions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이어 피스를 이용한 양방향 음향 송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FIG.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idirectional sound delivery system using the ear piece of FIG. 8;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401... 상판 102, 402... 하판101, 401 ... top 102, 402 ... bottom

103, 403... 마이크 104, 800, 905... 이어 피스103, 403 ... Mic 104, 800, 905 ... Earpiece

404, 703... 제 1 이어 피스 405, 704... 제 2 이어 피스404, 703 ... first earpiece 405, 704 ... second earpiece

701, 901... 제어부 702, 902... 스위치 부701, 901 ... control part 702, 902 ... switch part

801... 자석 802... 제 1 진동판801 ... Magnet 802 ... First diaphragm

803... 제 1 보이스 코일 804, 903... 제 1 스피커803 ... first voice coil 804, 903 ... first speaker

805... 제 2 진동판 806... 제 2 보이스 코일805 ... 2nd diaphragm 806 ... 2nd voice coil

807, 904... 제 2 스피커807, 904 ... Second Speak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외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제 1 이어 피스가 마련되고, 내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제 2 이어 피스가 마련된 상판과;An upper plate provided with a first ear pie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ear piec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상기 상판과 힌지 구조로 결합되며, 소정의 위치에 마이크가 마련된 하판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The upper plate and the hing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plate provided with a microphon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여기서, 특히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 단말기의 임의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통화 연결이 되며, 이때 폴더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이어 피스를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송출되고, 폴더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2이어 피스를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송출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n particular, when a call is received, a call is connected by operating any button of the terminal. In this state, when the folder is closed, the voice of the call counterpart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ear piece, and the folder is opened. In this state, the voice of the call counterpar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ear piece.

또한, 상기 제 1 이어 피스 및 제 2 이어 피스는 양방향 송출이 가능하게 일체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으며, 상기 제 1 이어 피스는, 자석과,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1 진동판 및 상기 제 1 진동판에 연결되며, 상기 자석과 인/척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 1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1 보이스 코일 (voice coil)을 갖는 제 1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이어 피스는, 상기 자석과,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2 진동판 및 상기 제 2 진동판에 연결되며, 상기 자석과 인/척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 2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 보이스 코일을 가지며, 상기 제 1 스피커의 음향 송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음향을 송출하는 제 2 스피커를 구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ar piece and the second ear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way transmission is integrally configured, the first ear piece, a magnet, a first diaphragm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on and A first speaker connected to the first diaphragm, the first speaker having a first voice coil to generate vibrations to the first diaphragm by acting with the magnet and / or repulsive force; The piece has a magnet, a second diaphragm that generates sound by vibration, and a second diaphragm, and has a second voice coil in which the magnet and the repulsive force are applied to generate the vibration in the second diaphragm. And a second speaker for transmitting sou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ound transmitting direction of the first speak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열거나 닫는 조작없이 현재의 단말기 폴더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is received, there is a convenience that a call can be made in a current terminal folder state without an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a folder of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5의 (a), (b) 및 (c)는 도 4의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좌측면도 및 저면도이다.4 (a) and 4 (b) are a plan view and a left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losed state of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 5 (b) and 5 (c) are FIGS. 4 is a plan view, a left side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older of the terminal 4 is opened, respectively.

도 4의 (a), (b) 및 도 5의 (a), (b), (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제 1 이어 피스(404)가 마련되고, 내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제 2 이어 피스(405)가 마련된 상판(401)과, 상기 상판(401)과 힌지 구조로 결합되며, 소정의 위치에 마이크(403)가 마련된 하판(40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A, 4B, and 5A, 5B, and 5C,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ar pie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n outer surface thereof. 404 is provided, the upper plate 401 having the second ear piece 405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the upper plate 401 is coupled to the hinge structure, the lower plate provided with a microphone 40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402.

한편, 도 6은 도 4의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reception process using the terminal of FIG. 4.

도 6을 참조하면, 평상시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되는 신호 또는 수신되는 전화가 있는지 체크하며 대기 상태에 있다(단계 601). 이와 같이, 대기 상태를 유지하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수신되면(단계 602) 폴더가 열려있는 지를 확인한다(단계 603).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rmally in a waiting state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signal or an incoming call (step 601). In this w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in the standby state, checks whether the folder is open (step 602) when a call is received (step 602).

이때,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폴더가 열리는 지가 체크된다(단계 604). 상기 단계에서 체크 결과, 폴더가 열리면 상기 제 2 이어 피스(405)가 작동되고(단계 605),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단계 606).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종료 여부를 확인하며, 통화가 종료되면 다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단계 607).At this time, if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closed, it is checked whether the folder is opened (step 604). As a result of the check in the step, when the folder is opened, the second ear piece 405 is activated (step 605), through which the user can talk to the other party (step 606).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all is terminated, and maintains the standby state again when the call ends (step 607).

한편, 상기 단계 604에서 폴더가 열리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버튼 입력 신호가 있는지 체크한다(단계 608). 이때 외부 버튼 입력 신호가 있으면, 상기 제 1 이어 피스(404)가 작동되고(단계 609),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단계 606).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는 통화 종료 여부를 확인하며, 통화가 종료되면 다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단계 607). 또한, 상기 단계 608에서 외부 버튼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통화는 연결되지 않는다(단계 610).On the other hand, if the folder is not opened in step 60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re is an external button input signal (step 608). At this time, if there is an external button input signal, the first ear piece 404 is activated (step 609), through which the user can talk to the other party (step 606). Accordingly,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all is terminated and maintains the standby state again when the call ends (step 607). If there is no external button input signal in step 608, the call is not connected (step 610).

한편, 상기 단계 604에서 폴더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이어 피스(405)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단계 605에서 단계 607의 통화 과정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lder is opened in step 604, the second ear piece 405 is activated, thereby performing the call process of step 607 in step 605.

또한, 상기 단계 603에서 폴더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는 외부 버튼 입력 신호가 있는지 체크한다(단계 611). 이때, 외부 버튼 입력 신호가 없으면 통화는 연결되지 않으며(단계 610), 외부 버튼 입력 신호가 있으면 상기 제 2 이어 피스 (405)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단계 605에서 단계 607의 통화 과정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folder is open in step 603,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re is an external button input signal (step 611). At this time, if there is no external button input signal, the call is not connected (step 610), and if there is an external button input signal, the second ear piece 405 is activated, and accordingly, the call process of step 607 is performed in step 605. .

한편, 도 7은 도 4의 단말기의 이어 피스를 이용한 양방향 음향 송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wo-way sound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ear piece of the terminal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양방향으로 음향 송출이 가능한 시스템은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701)와, 상기 제어부(701)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 받아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스위치 부(702)와, 상기 스위치 부(702)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변화시키는 제 1 이어 피스(703) 및 제 2 이어 피스(704)가 마련되어 음향을 송출시킨다.Referring to FIG. 7,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sound in both directions includes a control unit 701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 switch unit 702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701, and distributing an audio signal, and the switch. A first ear piece 703 and a second ear piece 704 for converting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it 702 into sound are provided to transmit the sound.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701)는 음향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이어 피스(703)(704)에 오디오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 부(702)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 부(702)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이어 피스(703)(704)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행 과정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이어 피스(703) 또는 제 2 이어 피스(704)가 작동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In such a system, the control unit 701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unit 702 so that an audio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ear pieces 703 and 704 to generate sound, and thus the switch. The unit 702 selects ear pieces 703 and 704 into which an audio signal is input. Through this process, the first ear piece 703 or the second ear piece 7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so that the user can talk to the other party.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양방향으로 음향 송출이 가능한 이어 피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ar piece capable of sound transmission in both directions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양방향으로 음향 송출이 가능한 이어 피스(800)는, 자석(801)과,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1 진동판(802) 및 상기 제 1 진동판(802)에 연결되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서, 상기 자석(801)과 인/척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 1 진동판(802)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1 보이스 코일 (voice coil)(803)이 마련되어 음향을 송출하는 제 1 스피커(804)와, 상기 자석(801)과,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2 진동판(805) 및 상기 제 2 진동판(805)에 연결되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서, 상기 자석(801)과 인/척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 2 진동판(805)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 보이스 코일 (806)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스피커(804)의 음향 송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음향을 송출하는 제 2 스피커(80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an ear piece 800 capable of sound transmission in both directions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gnet 801, a first diaphragm 802 that generates sound by vibration, and the first vibration plate 802. A first voice coil 803 connected to the first diaphragm 802 and generating a vibration in the first diaphragm 802 by acting with the magnet 801 and a repulsive force in response to the input audio signal. ) Is provided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804 for transmitting sound, the magnet 801, the second diaphragm 805 and the second diaphragm 805 to generate sound by vibration, and input audio In response to the signal, a second voice coil 806 is provided to induce vibration of the second diaphragm 805 by acting with the magnet 801 to reverse the sound output direction of the first speaker 804. And a second speaker 807 for transmitting sound in the direction.

이와 같이, 양방향으로 음향 송출이 가능한 이어 피스(800)를 채용하면, 하나의 이어 피스를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ear piece 800 capable of sound transmission in both directions is adopted, the size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by using one ear piece.

한편, 도 9는 도 8의 이어 피스를 이용한 양방향 음향 송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wo-way sound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ear piece of FIG.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으로 음향 송출이 가능한 시스템은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901)와, 상기 제어부(901)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 받아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스위치 부(902)와, 상기 스위치 부(902)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변화시키는 제 1 스피커(903) 및 제 2 스피커(904)가 마련되어 음향을 송출시키는 이어 피스(905)를 포함한다.9,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sound in both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901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a switch unit 902 for receiving a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901 and distributing an audio signal. And an ear piece 905 which is provided with a first speaker 903 and a second speaker 904 for converting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witch unit 902 into sound.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901)는 음향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스피커 (903)(904)에 오디오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 부(902)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 부(902)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스피커(903) (904)를 선택하게 된다.In such a system, the control unit 901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unit 902 so that an audio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speaker 903 and 904 to generate sound, and thus the switch unit 902 selects the speakers 903 and 904 to which audio signals are input.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상기 스위치 부(902)를 제거하고, 각각의 스피커 (903)(904)에 오디오 신호를 바로 입력시킴으로서, 동시에 양방향으로 음향이 송출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switch unit 902 in such a system, and by directly inputting an audio signal to each speaker (903) 904,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ound in both directions at the same tim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열거나 닫는 조작없이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venience of making a call in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lder state without an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a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telephone is received.

Claims (4)

외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제 1 이어 피스(ear-piece)가 마련되고, 내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제 2 이어 피스가 마련된 상판과;An upper plate provided with a first ear pie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ear piec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상기 상판과 힌지 구조로 결합되며, 소정의 위치에 마이크(mike)가 마련된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Coupl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hinge structure, and a folding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lower plate provided with a microphone (mik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 단말기의 임의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통화 연결이 되며,When a call is received, the call is connected by operating any button on the terminal, 이때 폴더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이어 피스를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송출되고,At this time, when the folder is closed, the voice of the call counterpart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ear piece, 폴더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이어 피스를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of the call counterpar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ear piece in the open sta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이어 피스 및 제 2 이어 피스는 양방향 송출이 가능하게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ear piece and the second ear piece is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configured to enable bidirectional transmiss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이어 피스는, 자석과,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1 진동판 및 상기 제 1 진동판에 연결되며, 상기 자석과 인/척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 1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1 보이스 코일(voice coil)을 갖는 제 1 스피커 (speaker)를 구비하고;The first ear piece is connected to a magnet, a first diaphragm that generates sound by vibration, and the first diaphragm, and a first voice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first diaphragm by acting with the magnet. A first speaker having a voice coil; 상기 제 2 이어 피스는, 상기 자석과,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2 진동판 및 상기 제 2 진동판에 연결되며, 상기 자석과 인/척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 2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 보이스 코일을 가지며, 상기 제 1 스피커의 음향 송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음향을 송출하는 제 2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second ear piece is connected to the magnet, a second diaphragm that generates sound by vibration, and the second diaphragm, and a second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second diaphragm by acting with the magnet. And a second speaker having a voice coil and transmitting sou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ound transmitting direction of the first speaker.
KR1019990057884A 1999-12-15 1999-12-15 Folder type mobile station KR200100564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884A KR20010056429A (en) 1999-12-15 1999-12-15 Folder type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884A KR20010056429A (en) 1999-12-15 1999-12-15 Folder type mobil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429A true KR20010056429A (en) 2001-07-04

Family

ID=1962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884A KR20010056429A (en) 1999-12-15 1999-12-15 Folder type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642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84A (en) * 2000-08-23 2002-03-02 구자홍 Response mode permission method of portable telephone
KR20040026203A (en) * 2002-09-23 2004-03-30 주식회사 인터큐브 Portable phone for folder
KR100724874B1 (en) * 2001-07-1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f incoming call in folded portable mobile terminal
KR100792234B1 (en) * 2001-07-12 2008-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eiving c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530A (en) * 1997-08-12 1999-03-25 가네꼬 히사시 Functional Folding Mobile Radio
KR20000009725A (en) * 1998-07-28 2000-02-15 윤종용 Apparatus for using flip-up or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out opening flip or folder
KR20010003486A (en) * 1999-06-23 2001-01-15 윤종용 Portable terminal with lcd covering means
KR20010035637A (en) * 1999-10-01 2001-05-07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in the hand helded phone of folder ty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530A (en) * 1997-08-12 1999-03-25 가네꼬 히사시 Functional Folding Mobile Radio
KR20000009725A (en) * 1998-07-28 2000-02-15 윤종용 Apparatus for using flip-up or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out opening flip or folder
KR20010003486A (en) * 1999-06-23 2001-01-15 윤종용 Portable terminal with lcd covering means
KR20010035637A (en) * 1999-10-01 2001-05-07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in the hand helded phone of folder typ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84A (en) * 2000-08-23 2002-03-02 구자홍 Response mode permission method of portable telephone
KR100792234B1 (en) * 2001-07-12 2008-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eiving call
KR100724874B1 (en) * 2001-07-1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f incoming call in folded portable mobile terminal
KR20040026203A (en) * 2002-09-23 2004-03-30 주식회사 인터큐브 Portable phone for f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970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WO2003105450A1 (en) Foldable mobile phone
GB2381989A (en) Folding radiotelephone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voice sounds when closed
CN1186917C (en) Reconfigurable headset switch
JPH0773387B2 (en) Mobile phone device
KR20010056429A (en) Folder type mobile station
JP2003018267A (en) Mobile telephone set
KR100692773B1 (en) Receiver-loud part integrating speaker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KR100669613B1 (en) Earphone for call control in a mobile station
KR100559039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799409B2 (en) Mobile phone
JPH1117609A (en) Composite radio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0548398B1 (en) Speaker apparatus in mobile phone
KR100317272B1 (en) Mobile Terminal having Speaker Phone Function
KR100413537B1 (en) hands free phone
KR200252094Y1 (en) hands free phone
JP2002330201A (en) Foldable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20020061732A1 (en) Oscillation prevention circuit
KR100392063B1 (en) Remocon for portable phones
JP2002111825A (en) Portable telephone
JP2590458Y2 (en) Cordless telephone
JPH03262239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245218Y1 (en) Internetphone Speaker
JPH01128647A (en) Hand-free telephone system
JP3444293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