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570A - 포털로 서비스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털로 서비스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570A
KR20010053570A KR1020017000788A KR20017000788A KR20010053570A KR 20010053570 A KR20010053570 A KR 20010053570A KR 1020017000788 A KR1020017000788 A KR 1020017000788A KR 20017000788 A KR20017000788 A KR 20017000788A KR 20010053570 A KR20010053570 A KR 20010053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guide
application
user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리스마이클디
토마스윌리암엘
크누드손에드워드비
하셀조엘쥐
이스터불룩케빈비
Original Assignee
암만 챨스 비.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241347&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5357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암만 챨스 비.,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filed Critical 암만 챨스 비.
Publication of KR2001005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05Electronic ba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동작사이의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안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에 일관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즐겨 찾기로써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 제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비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이면에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순간적인 집중을 요구하는 이벤트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검출될 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중지되고 사용자에게는 상기 검출된 이벤트가 위치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비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회복했는지 여부가 문의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털로 서비스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INTERACTIVE TELE VISION PROGRAM GUIDE SYSTEM THAT SERVES AS A PORTAL}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안내는 통상적으로 셋톱 박스에서 실행되고, 사용자가 그들의 홈 텔레비젼상에 텔레비젼 프로그램 목록을 뷰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인 프로그램 안내는 텔레비젼 프로그램과 채널 및 오디오 프로그램과 채널용 정보를 사용자가 뷰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프로그램 안내는 정규 텔레비젼 채널, 프리미엄 텔레비젼 채널, 뷰당 요금 텔레비젼 채널 및 음악 채널상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포멧이 통상적으로 제공된다. 예컨대, 프로그램 목록은 시간, 채널 및 카테고리(스포츠, 어린이 방송, 코메디, 영화 등)에 의해서 편성될 수 있다.
미래의 셋톱 박스 시스템은 주문형 비디오, 홈 쇼핑, 인터넷 웹 브라우징, 전자 메일, 뱅킹, 향상된 텔레비젼(대화식 프로그램), 데이터 서비스 및 서약 서비스 등 현재의 프로그램 안내에 의해 조금 제공되거나 전혀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에 액세스를 포함한다.
현재 생각하고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이러한 비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처럼 상기 동일한 셋톱 박스에 로드된 개별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것이다. 매뉴 구조 또는 다른 일반적인 인퍼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한 개를 개시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사이의 공유성은 없어질 것이다. 이것은 특히 컴퓨터에 박식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오버랩은 활용될 수 없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사이에서 반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른 어플리케이션용 포털로써 서비스하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시스템이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2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오버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를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할 때 포함된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부를 때 일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때 포함된 단계의 흐름도.
도 6은 상기 프로그램 목록과 관련되 대화식 구성 요소의 이용가능성을 지시하는 아이콘을 갖는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도시도.
도 7은 대화식 구성 요소의 이용가능성을 지시하는 아이콘이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텔레비젼 채널용 비디오의 상부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텔레비젼 스크린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시할 때 포함된 예시적인 단계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원격 제어의 블록도.
도 10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대화식 구송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버튼을 누름으로써 개시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 스크린 프롬프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불러오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a는 사용자가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튜닝되는 동안 정보 키를 누름으로써 소정의 프로그램상에 부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정보를 본 발명에 따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개시 버튼을 눌러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웹 브라우저)을 사용자가 개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b는 사용자가 다양한 프로그램 안내 옵션 및 본 발명에 따라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옵션을 포함하는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활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카테고리(스포츠)용 프로그램 안내 목록을 포함하고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온 스크린 핫 링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매뉴 옵션 및 프로그램 안내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15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불러서 선택가능한 옵션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에 인접하는 것을 도시하는 것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그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검색하기 위하여 지시하는 선택가능한 핫 링크를 특정 그리드 셀에 제공하는 프로그램 목록의 그리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주문형 비디오 프르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라 정상 프로그램 목록과 혼합된 주문형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라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목록 그리드의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18은 특정 카테고리 또는 제목에 대한 프로그램 목록을 보기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옵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본 발명에 따른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래밍에 관련있는 도 18의 예시적인 프로그램 제목의 예시도.
도 19a는 사용자가 상기 목록 중 한 개의 목록을 선택하면,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주문형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선택 목록과 관련된 오디오를 플레이하기 위하여 지향하는 본 발명의 선택가능한 주문형 오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라 텔레비젼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목록 또는 그 유사한 목록에 대하여 비디오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는 증권 시세 표시기 등의 데이터 서비스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웹 콘텐츠 또는 그 유사한 콘텐츠가 본 발명의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1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개시 키를 누를 때 이용가능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가능한 옵션의 목록을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1b는 본 발명에 따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텔레비젼 프로그램에 관련된 채팅 기간을 개시하기 위하여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핫 링크를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활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용 핫 링크를 이용할 때 포함된 예시적인 단계의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 메일(이 메일) 핫 링크를 이용할 때 포함된 예시 단계의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홈 쇼핑 핫 링크를 이용할 때 포함된 단계의 흐름도.
도 25a는 본 발명의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즐겨 찾기에 설정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모 제어를 설정하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25b는 본 발명의 뷰 즐겨 찾기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25c는 본 발명의 주문형 비디어 구입 권한 스크린의 예시도.
도 25d는 본 발명의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 목록 스크린의 예시도.
도 26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구매 특징이 본 발명의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중 한개사이에 공유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이면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이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포함된 단계의 흐름도.
도 28은 프로그램 안내 리마인더 오버레이를 웨 브라우저 등의 실행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상부에 제공하여 본 발명의 근간의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도.
도 29a는 본 발명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선택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메인 매뉴에 대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도.
도 29b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동시에 그 어플리케이션내의 관련 셋업 스크린을 각각 얻을 수 있는 선택가능한 옵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셋업 스크린의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안내 인터페이스를 갖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과 관련된 단계의 흐름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인증하는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의 액세스 권한을 결정할 때 포함된 단계의 흐름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안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2차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인터넷 서버 또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와 관련된 서버 등 다양한 위치에서 토대로 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용 포털로서 서비스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포털로 작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자원 다툼을 없애고, 각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필요한 코드 및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등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용 포털로써 서비스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임의의 적합한 플렛폼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개의 적합한 플랫폼은 셋톱 박스에 기초하거나 진일보한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등 셋톱 박스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이다. 다른 적합한 플랫폼은 서버 및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 기초한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쳐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숨긴 케이블 시스템 또는 다른 적합한 원격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와 협조로 동작한다. 상기 클라이언트-서버 배치로써, 대화식 프로그램 안내 및 다른 프랫폼상에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셋톱 박스상에서 전체적으로 실행되기 보다는 오히려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및 부분적으로 상기 서버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된다. 예컨대, 매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관련된 프로그램 안내 기능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 실행될 수 있는 반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거나 주문형 비디오 특성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서버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가 제공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안내 기능을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I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자원, 원격 제어 키 자원, 셋톱 박스 전면판 자원, 통신 채널 자원, 메모리 기능 자원 등의 플랫폼 자원(예컨대, 셋톱 박스 자원 및/또는 서버 자원)으로 상기 프로그램 안내 및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 API는 튜닝, 모 제어(parental controll), 즐겨 찾기(favorites), 사용자 프로파일, 그림, 강조(highlighting) 등의 프로그램 안내 기능과, 온 스크린 네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및 구매(purchasing)를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확실하게 공통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자원 다툼을 제거하며, 각 어플리케이션에 요구되는 코드 및 데이터 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API는 숨겨진 케이블 시스템 또는 인터넷상의 서버에서 서버에 위치한 어플리케이션 등의 셋톱 박스로부터 원격적으로 위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의 조정을 돕는다. 또한, 상기 API는 인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프로그램 안내 기능 등의 바람직한 기능으로 액세스하는데 확실하게 제공된다. 다른 액세스 권한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될 수 있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예컨대, 소정의 텔레비젼 프로그램, 텔레비젼 채널 또는 그 유사한 채널)과 관련되는 대화식 구성 요소의 형태로 대화식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스포츠 채널용 대화식 스포츠 콘텐츠 또는 홈 쇼핑 채널용 대화식 홈 쇼핑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화식 콘텐츠는 쇼핑 경험, 정보 서비스, 게임 형태로 될 수 있고, 또한, 소정의 텔레비젼 채널, 서비스, 프로그램, 프로그램 타입 또는 프로그램 목록과 관련된 적합한 대화식 콘텐츠의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소정의 채널에 대화식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그래밍에 따라 사용자의 셋톱 박스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화식 구성 요소의 출현으로 사용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 개의 적합한 지시기는 상기 현재의 텔레비젼 채널의 상부에 중첩하여 나타나는 아이콘이다. 다른 적합한 지시기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데 온 스크린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시(launch)" 원격 제어 버튼 등의 전용 버튼을 활성시킬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및 다른 대화식 콘텐츠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프로그램 목록에 직접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래밍은 주문형 어플리케이션으로써 사용자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선택가능한 주문형 프로그램 목록을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어진 주문형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할 때,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문형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주문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목록에 대한 비디오를 플레이하거나 상기 비디오의 전송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싱을 개시하기 위하여 지시할 수 있다.
주문형 오디오, 정보 서비스로 제공된 데이터, 웹 페이지, 쇼핑 정보, 경마 또는 다른 서약 등의 다른 대화식 콘텐츠 및 그 유사한 콘텐츠는 텔레비젼 프로그램 등의 상부에 중첩하는 특정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제공된 선택가능한 버튼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내에서 불려지고 현재의 텔레비젼 프로그램, 프로그램 목록, 서비스 등과 관련된 동작을 행하기 위하여 지시되는 선택가능한 옵션은 핫 링크로 불려진다.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택가능한 핫 링크는 현재의 텔레비젼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동작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지시하면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포츠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으로 핫 링크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면서 현재의 제품에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스포츠와 관련되는 사용자에게 지시 한다.
사용자는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즐겨 찾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지시할 때 한 목록안에 이렇게 선택된 즐겨 찾기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큰 목록내에서 사용자가 항해할 때 강조 영역을 상기 즐겨 찾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한하거나,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즐겨 찾기로서 지정하는 정보를 다른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모 제어 (Parental control)를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쇼핑 또는 주문형 비디오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잠글 수 있다. 뷰어는 규정된 사용자 선택 모 제어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다른 적합한 모 제어 잠금 해제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모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 또는 그 유사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특정 선전 세그먼트에 대한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리마인더들은 채팅 기간동안 설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그 이면에서 실행을 지속하는 반면, 다른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전면에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은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이벤트들이 즉시 참석할 필요가 있을 때를 결정한다. 예컨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이면에서 실행하여 사용자가 참석할 필요가 있는 원격 제어 키를 눌렀는지 여부 또는 사전에 설정된 리마인더 등 사전에 계획된 프로그램 안내 기능이 참석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면에서 실행하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중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중지하면,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회복하길 원하는지 여부 또는 그 검출된 이벤트(예컨대, 사용자 키 누름 또는 사전에 계획된 리마인더 또는 그와 유사한 것)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사용자용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그 성질 및 다양한 장점은 양호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30)은 도 1에 도시된다. 프로그램 목록, 프로그램 기술(program descriptions), 뷰당 지불 주문 정보(pay-per view ordering informatio) 및 그 유사물 등의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는 메인 설비(34)의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베이스932)에 기억될 수 있다. 메인 설비(34)는 통신 경로 (38) 등의 통신 경로를 통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를 복수의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로 분배한다.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는 방송 텔레비젼 설비, 숨겨진 케이블 시스템, 위성 분배 설비 또는 다른 적합한 텔레비젼 분배 설비가 될 수 있다. 한 개의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만이 도면을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의 이용에 관하여 1차적으로 토론될 것이다. 통신 경로(38)는 위성 링크, 케이블, 광섬유 링크, 전화기 링크, 인터넷 등 적합한 통신 경로가 될 것이다.
각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는 통신 경로(42) 중 한 개의 통신 경로를 경유하여 텔레비젼 분배 설비(36)에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를 각각 접속한 복수의 관련 사용자를 갖는다. 통신 경로(42)는 텔레비젼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적합한 종류의 링크가 될 수 있다. 예컨대, 텔레비젼 분배 설비(36)가 케이블 시스템이면, 통신 경로(42)는 케이블이 될 수 있다. 경로(42)는 텔레비젼 장비(40)를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 분배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 분배된 텔레비젼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또는 그 모든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경로(42)는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 분배하는데 이용된다. 데이터는 대역내(in-band) 또는 대역밖(out-of-band) 기술을 이용하여 분배되고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는 계속적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임펄스 뷰당 지불 구매 등의 기능 및 클라이언트 서버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경로(42)는 바람직하게는 양방향이다.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데이터는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에 관한 경로(42)를 걸쳐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는 선택적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46) 또는 기록 용량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 등의 다른 기억 장치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그 유사한 드라이드를 포함하는 장비 등의 디지털 기억 장치에 접속된 셋톱 박스(44)을 포함할 것이다. 셋톱 박스 (44)는 통신 경로(42)를 경유하여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로부터 텔레비젼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및 다양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셋톱 박스(44)상에서 실행된다.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로부터 텔레비젼 프로그래밍 및 셋톱 박스(44)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케이블 또는 회선이 될 수 있는 통신 경로(48)를 이용하여 비디어 카세트 레코더(46)에 제공될 수 있다. 적외선 링크 또는 다른 적합한 통신 경로가 될 수 있는 통신 경로(50)를 이용하는 셋톱 박스(44)로부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46)에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48)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로부터 텔레비젼 프로그래밍, 셋톱 박스(44)에 의해 발생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통신 경로(54)를 경유하여 비디오 카세트를 텔레비젼(52)으로 플레이시킴으로서 발생된 비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텔레비젼(52)상에 텔레비젼 프로그래밍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볼 수 있고, 음악 채널 또는 다른 오디오 프로그램에 목록화하기 위하여 텔레비젼(52)(또는 보조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셋톱 박스(44),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46) 및 텔레비젼(52)은 원격 제어(56) 또는 마우스, 트랙 볼, 무선 키보드, 음성 인식 시스템, 터치패드, 전용 키 등의 다른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원한다면,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젼(PC/TVS) 또는 진일보한 텔레비젼 수신기에 기초한 장비 등 다른 종류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는 셋톱 박스에 기초한 배치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셋톱 박스 배치에 관하여 1차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더욱더, 다른 배치는 통신 경로(42)로부터 개별적인 경로를 이용하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를 통과하지 않고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 프로그램 목록 및 다른 정보를 분배할 수 있는 배치 등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 데이터를 분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예시 데이터 분배 배치에 관하여 1차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는 비디오 서버(58)를 포함하여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써, 비디어 서버(58)상에 기억되는 비디오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는 통신 경로(4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재생될 수 있다. 서버(58)로부터 분리되거나 일체로 되는 서버(59)는 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쳐를 이용하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등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등의 어플리케이션은 임의의 적합한 플랫폼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개의 적합한 플랫폼은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이고, 이 장비는 셋톱 박스 또는 진일보한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등의 셋톱 박스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토대로 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플랫폼은 서버(59) 및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 기초한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쳐를 포함한다. 서버(59)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36) 또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로부터 다른 원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배치에 있어서,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는 서버(59)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고 주문시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 전달될 수 있다. 서버(59)에서 관리되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는 통신 링크(38)를 경유하여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베이스(32)로부터 그 데이터베이스용 서버(59)로 분배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배치에서, 대화식 프로그램 안내 및 상기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상에서 전체적으로 실행되기 보다는 오히려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고 서버(59)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된다. 예컨대, 메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관련된 ㅍ로그램 안내 기능은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반면, 텔레비젼 분배 설비(36)에서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것과 관련된기능은 서버(59)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고, 주문형 비디오 특징과 관련된 기능은 서버(58)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셋톱 박스(44)상에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인터넷(60)을 액세스 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예컨대, 모뎀 링크를 경유) 액세스하거나 텔레비젼 분배 설비(36)(예컨대, 케이블 모뎀 링크)를 경유하여 액세스 할 수 있다. 다른 설비 및 직접 액세스되거나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를 경유하여 액세스 될 수 있는 서비스는 뱅킹 서비스[뱅킹 설비(62)를 이용], 쇼핑 서비스[실행 설비(64)를 이용], 서약 또는 게임 서비스[게임 설비(66)를 이용] 및 정보와 다른 서비스[데이터 설비(68)를 이용]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은 관련된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72)를 갖고, 이 인터페이스는 주문형 오디오 어플리케이션(74),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76), 홈 뱅킹 어플리케이션(78),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80), 진일보한 텔레비젼 어플리케이션(82), 인터넷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84), 데이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86),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88) 및 게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90) 등의 비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포털로써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이 서비스할 수 있다. 프로그램 안내 API를 이용하는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은 Elli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9/145,23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원의 참조 문헌으로 포함된다. 예시용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의 일부를 도시하였더라도, 프로그램 안내 API(72)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의 일부 또는 어플리케이션(70)과 관련된 개별 어플리케이션(70) 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프로그램 안내 API(72)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고 서버(59) 등의 서버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거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안내 API(72)의 기능은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상에서 프로그램 안내 API(72)를 실행하는 배치 관계가 1차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더욱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과 관련된 바와 같이 본원에 API (72)를 1차적으로 설명하였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시스템에 적용한다. 본 발명을 특정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안내 API의 관계가 1차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 안내 API(72) 도움말의 사용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모든 액세스가 상기 프로그램 안내를 통하여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것은 사용자 대 마스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다.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 항해 페러다임을 배우거나 다른 데이터 프리젠테이션 포멧과 비슷하게 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한 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친숙할 필요가 있다.
프로그램 안내 API(72)는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특징(컬러, 폰트 등), 원격 제어 키(키 지정 및 그 유사한 지정), 전면 자원[사용자 텔레비젼 장비(40)상에 다양하게 전용된 버튼에 지정된 기능을 결정), 통신 채널 자원[예컨대, 셋톱 박스(22)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관련된 특징] 및 서버 자원 등의 플랫폼 자원(92)을 액세스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프로그램 안내 API(72)는 튜닝(셋톱 박스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 모 제어(특정 채널 또는 프로그램상에 패스워드 잠금과 관련된 특징), 즐겨 찾기(예컨대, 사용자가 지정한 즐겨 찾기 채널), 사용자 프로파일(예컨대, 소정의 셋톱 박스상에 프로그램 안내의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설정 프로파일 및 즐겨 찾기), 드로잉 기능, 강조 및 온 스크린 항해, 데이터베이스 액세스(예컨대, 셋톱 박스(44)의 메모리에 기억되고 메인 설비(34)의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베이스(32)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로), 구매 기능(예컨대, 충동 주문 뷰당 지불 이벤트),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이 옵션 등 프로그램 안내 자원(94)을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프로그램 안내 API(72) 도움말의 기능이 플랫폼 자원(92) 및 프로그램 안내 자원(94)으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액세스를 조정하기 때문에, 자원 다툼은 없어지고, 각 어플리케이션이 요청한 코드 및 데이터 량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양단의 공통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확실하게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번호 1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번호 2는 특징(96)에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중첩(96)에 의해 나타난 공유 코드 및 데이터는 셋톱 박스(44)의 메모리의 리마인더 이다. 중첩(96)은 셋톱 박스(44)상에서 이러한 특징과 관련된 오버헤드의 세이빙을 나타낸다.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을 이용하는 일예는 셋톱 박스(44)가 튜닝되는 채널을 변경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단계(98)에서, 사용자는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중 한 개에 의한 채널 변경을 요청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채널 변경을 개시할 수 있다(예컨대, 적합한 채널로 튜닝하는 튜너로 향하여 데이터를 수집). 사용자가 채널 변경을 요청하거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채널 변경을 개시한 후에,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70)은 단계(100)에서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70)이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모 제어, 즐겨 찾기 채널 등의 프로그램 안내 특성 및 인증과 구매 특성이 일정하게 제공되는 것이 확실하다. 이것은 일정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확실히 관리되는 것을 돕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각각의 특징이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각각 및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에서 거의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은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을 이용하는 일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한다. 일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하는데 포함된 단계는 도 5에 도시된다. 단계(102)에서,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거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다르게 불려진 후에,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은 단계(104)에서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 및 임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동안 일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04)에서 일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하는 임무는 보조 단계(106)에서 플랫폼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보조 단계(108)에서 프로그램 안내 자원으로 액세스를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단계(108)의 일예는 사용자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셋톱 박스(44)상에 채널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이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안내 튜닝 기능으로 액세스를 조정함으로써, 모 제어, 즐겨 찾기 채널 및 인증과 구매 기능이 모든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일정하게 한다.
일정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하는 임무의 다른 특징은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을 이용하여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모든 상당한 액세스가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을 통하여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단계 110). 예컨대, 단계(110)는 상당한 양 또는 최소의 양에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이용하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액세스를 허용하는 단계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에 의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동작 특성과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갖는다. 또한, 단계(110)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정상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에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임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이용가능한 제품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필요하다. 단계(108)는 드로잉 박스, 테이블 및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이용가능한 제품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사물에 적용되는 프로그램 안내 그래픽을 이용하여 포함할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 경로가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 경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정한 사용자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나타날 수 있다(즉,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상기 제품 목록은 상기 프로그램 안내 목록과 매우 동일하게 보인다).
일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피하기 위해서, 단계(110)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을 배치하거나 이용하여 상기 불일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액세스될 수 없게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 안내 내의 딥 (deep)으로부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수 있는 특정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 지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을 조장하는 다른 프로그램 안내 특징은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핫 링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관성을 조장하고 사용자가 본질적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수집보다는 오히려 한 개의 집적 시스템을 이용하는 표현을 만드는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몇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수동 오디오 또는 비디오 채널상에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대화식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대화식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텔레비젼 분배 설비(36)에 의해 분배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프로그래밍을 따라 셋톱 박스(44)에 전달될 수 있다.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은 특정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아이콘 등의 지시기를 제공(전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부분 스크린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인지 여부)하여 그 대화식 구성 요소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예컨대, 아이콘(1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내에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116)상에 특정 프로그램 목록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116)는 프로그램 목록 스크린이지만, 임의의 적합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대화식 콘텐츠의 아이콘(112) 또는 임의 다른 적합한 지시기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시기는 상기 쇼핑 채널이 이용가능한 대화식 구성 요소를 갖는 것을 지시하기 위하여 쇼핑 채널(120)의 상부에 오버레이로써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6 및 7의 지시기와 같은 지시기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대화식 콘텐츠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화식 콘텐츠가 제품 구입에 관한 것이라면, 상기 지시기는 돈 또는 현금 등록기의 아이콘이 될 수 있다. 상기 대화식 콘텐츠가 웹 사이트를 뷰하는 것에 관한 것이라면, 상기 지시기는 상기 인터넷의 대표적인 아이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시기는 예시적인 것들이다. 임의의 적합한 지시기 또는 아이콘은 바람직하게 대화식 콘텐츠의 출현을 지시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대화식 구성 요소를 갖는 지시기 또는 다른 정보는 상기 대화식 구성 요소가 관련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의 일부로써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분배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대화식 구성 요소상의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을 운반하는 채널의 측 밴드상에 제공되거나, 디지털 시스테멩서,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디지털 열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지시기는 데이터 열의 일부로서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분배될 수 있다[예컨대, 텔레비젼 분배 설비(36)를 통하여 메인 설비(34)로부터 셋톱 박스 (44)로 제공된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의 열),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기는 셋톱 박스 (44)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기 전에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시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대화식 콘텐츠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 지시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분배 기법은 단계(122)에 도시된다. 상기 지시기가 단계(122)의 프로그램 안내에 제공된 후에,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시기를 텔레비젼 프로그램 목록 스크린 등의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에 의해 발생된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단계(124)에서 오버레이로써 텔레비젼 프로그램의 상부에 직접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사용자에게 단계(124)에서 지시기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원격 제어(56)상에 키를 누름으로써 대화식 구성 요소를 사용자가 개시할 수 있다(도 1). 예컨대, 원격 제어(56)는 사용자에 의해 눌렀을 때 현재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대화식 구성 요소를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개시하게 하는 전용 "개시" 키(128)(도 9에 도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개시 키를 눌렀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목록과 관련된 지시기(예컨대, 아이콘)가 있으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지시기와 관련된 대화식 구성 요소를 생기게 한다.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목록과 관련된 대화식 구성 요소가 있지만 아이콘 또는 다른 지시기가 없으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주어진 프로그램 또는 목록과 관련된 대화식 구성 요소를 생기게 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그램(160)용 비디오를 뷰잉할 때, 상기 사용자는 개시 키(128)를 눌러 대화식 구성 요소 또는 상기 프로그램용 비디오와 관련되는 구성 요소를 직접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대화식 구성 요소로써 도시됨 162).
택일적으로, 사용자가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튜닝할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대화식 구성 요소를 개시하기 위하여 온 스크린 옵션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에 관한 이용가능한 정보에 따라). 이것은 도 11에 도시된다. 도 11의 일예로서, 사용자는 상기 쇼핑 채널(164)로 튜닝하여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생기게 하는 개시 키를 눌르기 위하여 사용자가 지시하는 텍스트 박스 (166)를 상기 프로그램 안내가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도 11의 낮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채널(164)의 상부에 홈 쇼핑 오버레이(168)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오버레이(168)는 쇼핑 채널(164)상에 선전되는 제품 및 다양한 옵션으로부터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위치될 수 있는 강조(170)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레이(168)에 도시된 예시 옵션은 사용자가 구매 스크린의 시퀀스를 개시할 수 있는 구매 옵션(172) 및 쇼핑 채널 (164)상에서 현재 선전되는 제품 등의 상품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전자 또는 프린팅 중 한 개)를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는 정보 옵션(17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대화식 구성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고 지시하는 정보는 사용자가 프로그램 또는 목록상의 정보를 요청한 후에 사용자에게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7)상에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격 제어 인포 키를 눌러 더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가 상기 인포 키가 눌러졌다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정보 윈도우(138) 등의 오버레이에서 현재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온 스크린 옵션을 제공하여 온 스크린 옵션 (140) 등 현재의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대화식 구성 요소를 개시한다. 도 12a의 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채널과 관련된 대화식 콘텐츠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가 개시 키를 누를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142)를 직접 검색한다. 도 12a의 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채널과 관련된 대화식 콘텐츠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다. 사용자가 개시 키를 누를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142)를 직접 검색한다.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현재의 프로그램(즉, 상기 인포 키를 사용자가 누를 때 채널(7)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12b에 도시되는 오버레이 또는 다른 온 스크린 옵션 영역을 이용하는 대화식 구성 요소를 개시할 수 있다. 초기에, 상기 사용자는 텔레비젼 디스플레이(143)상에 특정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또는 다른 적합한 원격 제어 버튼상에 OK 키를 누르거나 임의 다른 적합한 기법을 이용하여 옵션 영역(145)을 활성시킬 수 있다. 옵션 영역(145)은 리마인더를 설정하고 모 제어를 설정하는 등의 프로그램 안내 기능을 실행하는 옵션(14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옵션 영역(145)은 대화식 구성 요소를 개시하는 옵션(149 및 151) 등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옵션을 강조하여 선택하면, 상기 관련된 대화식 구성 요소는 상기 현재의 텔레비젼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개시하고 지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개시 웹 브라우저 옵션(149)을 선택하면, 상기 웹 브라우저는 상기 현재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웹 페이지(153)를 검색하기 위하여 개시되고 지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개시 전자 메일 옵션(151)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현재의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사전에 로딩된 어드레스로 개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전자 메일 메세징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Mckissick 등이 본원과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원에 참조용으로 포함된다.
사용자는 프로그램 또는 채널과 관련된 정보 스크린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것이다. 정보 스크린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은 Rudnick 등이 본원과 동시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변호사 문서 번호 UV-113) 본원에 참조용으로 포함된다.
대화식 텔레비젼을 갖는 경우, 네가 개시 버튼을 누를 수 있는 것과 같은 지시기, 아이콘 또는 메시지는 대화식 구성 요소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통지하길 원할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 의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공된 프로그램의 상부에 오버레이된 아이콘 등의 단일 지시기가 있을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사용자가 개시 키를 누를 때 상기 아이콘과 관련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한다. 도 6의 배치에서 소정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이 몇개 있을 때, 사용자는 제공된 프로그램 목록을 우선 선택한다(예컨대, 도 6의 강조 영역(115) 또는 다른 적합한 배치 등의 강조 영역을 이용). 강조 영역을 이용하면, 화살표 키(130)(도 9)는 사용자가 개시 키를 누르기 전에 원하는 프로그램 목록으로 상기 강조 영역을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OK" 키(132)(도 9)는 상기 모록에 대한 프로그램으로 튜닝하길 원할 때 한 목록을 선택하는 것과 같이 통상적인 프로그램 안내 기능을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 프로그램 목록이 강조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선택된 후에 개시 버튼을 누르는 것은(도 9) 상기 목록에 대한 아이콘 또는 다른 지시기와 관련되는 비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프로그램 안내가 개시하게 한다.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단계는 도 8의 단계(126)로써 도시된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다른 대화식 콘텐츠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프로그램 목록에 직접 포함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상기 프로그램 안내가 스포츠 목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176) 등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스포츠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다양한 스포츠 관련 웹 페이지를 뷰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76)상에 옵션(178) 등의 옵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3의 예에 있어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생기게 하는 상기 프로그램 목록 및 옵션은 특정 종류의 콘텐츠(스포츠)와 관련된다.
다른 예는 도 14에 도시된다. 이러한 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다양한 영화 프로그램 목록(182)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180)을 디스플레이한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옵션(184 및 186)은 영화 프로그램 목록(182)에 직접 내장된다. 사용자는 옵션(184 및 186) 중 한개를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거나 프로그램 목록(182) 중 한 개를 선택하여 화살표 키(130)를 이용하는 바람직한 엔트리의 상부에 다른 바람직한 지시기 또는 강조 영역(188)을 위치시키고 OK 키(132)를 누름으로써 상기 목록과 관련된 채널로 튜닝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도움말에 의해 제공된 프로그램 목록에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개시하는 통합된 옵션은 이음매 없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독려한다.
프로그램 목록을 갖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하여 옵션을 통합하는 다른 방법은 도 15에 도시된다. 도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관련 프로그램 목록의 타이틀(194 및 196)에 거의 인접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즉,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생기게 하는 옵션(190 및 192)을 디스플레이한다.
많은 주문형 비디오 기능은 도 2의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76) 등의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실제적으로 분리되는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서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래밍으로 사용자가 액세스를 준비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안내 프로그램 목록 스크린 및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 의헤 제공된 다른 프록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으로 액세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하다.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20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198)은 도 16에 도시된다. 사용자는 강조 영역(202) 등의 적합한 지시기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 목록(200) 중 한 개의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소정의 주문형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하는 것은 그 프로그램 안내가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76)을 개시하고(도 2)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76)을 안내하여 사용자를 위하여 목록화하는 선택 프로그램과 관련된 주문형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플레이한다. 사용자를 위하여 플레이되는 비디오는 적합한 기법을 이용하여 서버(58)로부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40)로 분배될 수 있다.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 필요한 프로그램 목록 데이터는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베이스(32)(도 1) 또는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76)[비디오 서버(58)를 이용하여 실행]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의 예로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198)은 주문형 비디오 목록에 전용된다. 바람직하게,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은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과 그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 이외의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통합될 수 있다(도 17a에 도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204)은 비 주문형 비디오 채널상에 있는 프로그램 목록(206 및 208)용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204)은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용 프로그램 목록 (21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화살표(212)에 지시된 스크린(204)의 프로그램 목록을 통하여 위 아래로 스크롤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강조 영역(214) 등의 지시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OK 키(132)를 누를 때(도 9),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76)을 개시하고(도 2),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76)을 안내하여 그 선택된 주문형 비디오 목록에 상기 영화(도 17a의 일예로서 터미네이터 2)를 제공한다.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주문형 비디오 목록을 포함하는 다른 적합한 포멧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목록의 2차원 목록 또는 그리드(이후에 집합하여 그리드로 언급)를 포함한다. 도 17b의 일예로서, 프로그램(3 및 4)은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이고, 상기 바람직한 선택의 상부에 강조 영역을 위치시키는 동시에 원격 제어 "OK" 버튼을 누름으로써 주문될 수 있다.
도 17a의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204)은 상기 "영화" 카테고리의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한다. 스크린(204) 등의 카테고리 특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도 18의 주제 매뉴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프로그램 안내 매뉴로부터 요청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강조 영역(218)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개의 주제는 주문형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형 비디오 옵션(220)을 선택하는 것은 도 16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98) 등의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를 안내한다. 매뉴(216)로부터 코메디 주문형 비디오 옵션(222)를 선택하는 것은 프로그램 안내 어프리케이션(70)을 안내하여 유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지만, 단지 코메디와 관련된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영화 주문형 비디오 옵션(224)을 선택하는 것은 영화와 관련된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를 안내한다. 바람직하게, 주제 특정 주문형 비디오 옵션은 다양한 프로그램 카테고리 분류 옵션에 이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 다른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은 프로그램 목록, 목록 스크린에 기초한 시간과 채널, 및 플립과 브라우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적합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포함될 수 있다.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하는 다양한 배치는 Ellis 등이 1999년 3월 4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제 09/262,87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원에 참조용으로 포함된다.
다른 대화식 콘텐츠는 주문형 비디오 콘텐츠로 유사하게 취급될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형 오디오 목록(226)(예컨대, 가라오케 목록)은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228)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공된 주문형 오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하는 것은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을 안내하여 주문형 오디오 어플리케이션(74)을 개시하고 (도 2), 상기 주문형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안내하여 상기 선택된 목록에 대한 오디오 트랙을 플레이한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는 비슷하게 처리될 수 있다. 도 19b의 예로서, 증권 시세 표시기(230)는 스크린(232)의 상부에 오버레이로서 프로그램 안내에 의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텔레비젼 프로그램용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 또는 다른 적합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콘텐츠는 다른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내장되거나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내장될 수 있다. 예컨대, 웹 콘텐츠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안내에 의해 제공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0의 예로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380)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380)은 프로그램 목록(382)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화살표 키를 이용하여 강조 영역(384)을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의 프로그램 목록을 강조할 때, 사용자는 상기 원격 제어상에 OK 키를 눌러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웹 콘텐츠(예컨대, 웹 브라우저)가 윈도우(386)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20의 배치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다른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내장된 콘텐츠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콘텐츠는 매뉴 스크린, 설정 스크린, 모 제어 스크린, 설정 리마인더 스크린, 뷰단 지불 주문 스크린, 프로그램 목록 스크린에 시간, 채널 및 장르 목록 스크린 등에 의해 내장될 수 있다. 더욱더,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등)으로부터 콘텐츠는 다른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관련 웹 콘텐츠를 갖는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하는 것은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을 안내하여 인터넷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84)을 개시할 수 있고(도 2),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84)을 안내하여 상기 관련된 웹 콘텐츠를 검색한다. 쇼핑 어플리케이션(80) 등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도 2), 즉, 게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90)과 관련된 콘텐츠는 비슷한 방법으로 취급될 수 있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대화식 구성 요소가 몇개 있다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사용자가 개시 키를 누를 때 팝업 매뉴(pop up menu) 또는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형태로 이것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1a의 예로서, 사용자가 개시 키를 누를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팝업 매뉴(144)를 디스플레이한다. 팝업 매뉴(144)는 사용자에 의해 팝업 매뉴(144)의 엔트리 중 한 개에 위치될 수 있다[원격 제어(144)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사용자가 팝업 매뉴(144)로부터 선택할 때 그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것이다.
팝업 매뉴(144) 또는 임의 다른 적합한 개시 배치를 이용하여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의 특정 콘텐츠와 관련되거나 셋톱 박스(44)의 상태에 관련된 동작을 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프로그램 안내가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텔레비젼 어플리케이션이 셋톱 박스(44)에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기초하거나 프로그램 목록 또는 매뉴 항목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안에서 강조되는 것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생성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상호 접속 형태는 핫 링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핫 링크는 웹 사이트 어드레스, 전자 메일 주소, 프로그램 타이틀 또는 셋톱 박스(44)의 프로그램 안내 또는 상태의 현재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전에 선택되는 다른 정보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정보를 갖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프로그램 목록을 보고, 프로그램의 기술을 보거나, 소정의 프로그램, 프로그램 목록, 프로그램 기술, 프로그램 종류(예컨대, 코메디, 스포트 등), 채널, 채널 목록, 채널 기술, 채널 종류(예컨대, 스포츠, 코메디, 날씨, 뷰당 지불, 프리미엄 등), 프로그래밍 패키지, 패키지 목록, 패키지 기술, 패키지 종류(시간 블록 패키지, 프리미엄 서비스 패키지, 코메디, 영화 등)와 관련된 프로그램 안내내의 다른 동작을 취한다. 사용자가 핫 링크를 활성화시키면, 관련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동작(즉, 사용자가 뷰잉하는 상기 프로그램, 목록, 설명 등과 관련된 동작)을 위하여 개시하고 안내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동작을 취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셋톱 박스의 다른 상태의 예에는 상기 모뎀이 사용되는지 여부, 키보드가 인에이블되는지 여부,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모뎀의 사용을 요청한다면,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그 모뎀이 사용중이라면 개시될 수 없다.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키보드의 사용을 요청하면(예컨대, 전자 메일 또는 채팅용),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그 키보드를 인에이블할 수 없으면 개시될 수 없다.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메모리 자원을 요청하면, 그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만 개시될 수 있다.
핫 링크는 전용 버튼, 개시 버튼, 메뉴 버튼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에 의해 활성될 수 있다. 예컨대, 원격 제어(5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버튼(154), 전용 전자 메일 버튼(156), 전용 쇼핑 버튼(158) 및 다른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유사한 버튼 등의 전용 웹 브라우저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공된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인터넷 버튼(154)을 누를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웹 브라우저를 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현재의 채널에 관련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를 안내한다. 사용자가 전자 메일 버튼(156)을 누를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전자 메일 프로그램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전자 메일 프로그램을 안내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캐릭터, 팬 클럽 또는 상기 ㅍ로그램 또는 채널과 관련된 다른 메세지 수신자로 전자 메일 메세지를 셋업한다. 사용자가 쇼핑 채널 버튼(158)을 누를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 또는 채널과 관련된 삼품을 사전에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를 안내한다.
도 21a의 예는 핫 링크의 사용을 도시한다. 시청자가 웹 브라우저 옵션(148)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고 디스플레이되는 현재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는 셋톱 박스(44)상에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 의해 유지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고, 상기 프로그램 자체로 상기 프로그램 안내로 전송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옵션(150)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150)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현재 프로그램의 특정한 캐스팅 멤버 또는 상기 현재 프로그램에 대한 팬 클럽으로 메세지를 개시하기 위하여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옵션(152)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현재의 프로그램 또는 채널에 관련되는 상품을 사전 설정하거나 존재하기 위하여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예는 도 21b에 도시된다. 도 21b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텔레비젼 프로그램(390)을 처음에 시청할 수 있다. 메세지(392)는 상기 현재의 텔레비젼 프로그램과 관련된 채팅 세션으로 핫 링크의 이용가능성을 지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생기게 할 때,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영역(394)안에 현재의 텔레비젼 프로그램과 관련된 채팅 세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현재의 텔레비젼 프로그램용 비디오는 윈도우(396)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프로그램용 프로그램 목록, 프로그램의 설명, 프로그램의 종류, 채널, 채널 목록, 채널의 설명, 채널의 종류 등에 링크될 수 있다.
예시적인 핫 링크 배치를 이용할 때 포함된 단계는 도 22 내지 24에 도시된다. 도 22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웹 브라우저, 채팅 어플리케이션 등)에 핫 링크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초기에, 사용자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프로그램 또는 채널에 대한 목록 또는 설명을 볼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단계(234)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웹 브라우저, 채팅 어플리케이션 등)을 개시하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하여 선택하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현재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능, 제공된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목록, 제공된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설명, 프로그램의 종류, 채널, 채널 목록, 채널 설명, 또는 채널의 종류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를 안내하면서 단계(236)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웹 브라우저이면, 상기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가 목록 또는 설명을 보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웹 브라우저를 안내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고, 상기 프로그램에 전송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제공되는 웹 어드레스에 상기 웹 브라우저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웹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안내하여 상기 현재의 프로그램 또는 채널상에 채팅 세션,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 목록 또는 채널 목록에 관련된 채팅 세션 또는 상기 선택된 설명과 관련된 채팅 세션을 개시한다. 단계(238)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 채널, 프로그램 목록, 채널 목록, 프로그램 설명 또는 채널 설명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한다. 예컨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브라우저이면,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웹 브라우저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셔는 그 현재의 프로그램상에 채팅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도 23은 전자 메일 메세징 특성에 핫 링크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초기에, 상기 사용자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프로그램에 대한 목록 또는 설명을 본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단계(240)에서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신하기 위한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개시를 선택하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단계(242)에서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것이다. 단계(244)에서, 사용자에게는 전자 메일 메세지를 캐스트 멤버, 팬 클럽 또는 사용자가 시청하거나 목록 또는 설명을 보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른 수령인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텔레비젼 전자 메일 메시징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Mckissick 등이 본원과 동시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호에 개시된다(변호사 문서 번호 UV-128). 사용자에게는 상기 현재 프로그램과 관련된 채팅 그룹을 결합하기 위한 기회가 제공된다. 또한, 예시적인 텔레비젼 채팅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Deweese 등이 본원과 동시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호에 개시되며(변호사 문서 번호 UV-101) 본원에 참조용으로 포함된다.
도 24는 홈 쇼핑 특징에 핫 링크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초기에, 상기 사용자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프로그램용 목록 또는 설명을 볼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단계(246)에서 사용자에게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의 개시를 선택하면,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단계(248)에서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250)에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한 제품 또는 사용자가 시청하거나 목록 또는 설명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이용가능한 제품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이용가능한 제품의 그래픽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사용자가 시청한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품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즐겨 찾기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254) 중 한 개의 상부에 다른 적합한 지시기 또는 강조 영역(252)을 위치시키고 "fav" 키(256)를 누르거나(도 9) 상기 강조된 엔트리의 선택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즐겨 찾기 지시기(258) 등의 지시기로써 즐겨 찾기로 선택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5a의 일예로서, 주문형 비디오, 홈 쇼핑 및 전자 메일은 즐겨 찾기로 설정된다.
즐겨 찾기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것은 이들 어플리케이션으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 능력을 향상시킨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의 즐겨 찾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안내를 지시할 수 있다. 즐겨 찾기로 설정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즐겨 찾기 모드" 를 켜고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볼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강조 영역 또는 다른 지시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즐겨 찾기 어플리케이션이 강조되거나 사용자의 주의가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목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적합한 즐겨 찾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일반적으로 즐겨 찾기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가 이용될 수 있다. 즐겨 찾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조하고 즐겨 찾기 키(256)를 누르거나 임의 다른 적합한 재선택 기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즐겨 찾기로서 다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모 제어 특성을 이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잠글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이전에 선택된 모 제어 패스워드을 제공하여(또는 동등한 모 제어 인증 기술을 이용) 상기 잠긴 어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안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기 전에 감긴 어플리케이션을 잠김 해제시킬 수 있다. 잠긴 어플리케이션의 생성을 시도할 때, 상기 사용자에게는 그 패스워드를 입력할 기회가 제공된다. 그 패스워드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상기 잠김 어플리케이션은 잠김 해제 및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조(예컨대, 도 25a에 도시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하고 잠김 키(260)을 누르거나(도 9) 다른 방법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잠글 수 있다. 도 25a의 일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주문형 비디오 및 뱅킹은 아이콘(262)을 잠금으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잠궈질 수 있다. 즐겨 찾기 지시기(258) 및 잠금 아이콘(262)는 더욱 도시된다. 임의 적합한 지시기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즐겨 찾기되거나 잠궈지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기를 시도할 때, 상기 프로그램 안내는 사용자에게 그 모 제어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하여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 등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근간의 이벤트에 대한 목록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나타날 수 있다.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계획된 근간의 세그먼트의 목록(332) 스크린(330)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세그먼트의 상부에 강조 영역(328) 등의 강조 영역을 이동하고 OK 키 등의 적합한 원격 제어 키를 눌러 그 세그먼트를 선택한다.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한 리마인더를 설정하기 싶은지 여부를 사용자가 요청하는 프롬프트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확실하게 응답하면,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 안내 또는 다른 적합한 시스템 구성 요소)은 상기 선택된 세그먼트용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 리마인더 아이콘(336) 등의 아이콘은 리마인더가 설정되는 세그먼트용 목록 근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세그먼트의 계획된 방송 시간전에, 리마인더는 상기 근간의 세그먼트의 사용자를 기억하는 사용자의 텔레비젼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홈 쇼핑 세그먼트에 대한 스케쥴 정보는 프로그램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일부 또는 개별 데이터로서 제공될 수 있다.
원한다면, 사용자는 특정 시간에 스케쥴이 없는 세그먼트 또는 제목에 대한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를 방송하기 전에, 리마인더는 상기 세그먼트의 사용자를 기억하는 사용자의 텔레비전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리마인더가 설정되는 콘텐츠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예컨대,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홈 쇼핑 정보)가 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되는 한 개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콘텐츠(예컨대,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으로 내장된 웹 페이지)가 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위치하고 이용할 때 도움주는 콘텐츠(예컨대, 홈 쇼핑 비디오 세그먼트)가 될 수 있다.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리마인더가 설정될 수 있는 관련된 콘텐츠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특정 경기 또는 경주용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다양한 경기 및 경주를 게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목록화하는 스크린으로부터 원하는 경기 또는 경주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특정 웹 이벤트 또는 웹에 기초하거나 케이블 시스템에 기초한 채팅 세션동안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은 구매 코드 또는 패스워드의 사용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의 구매 메커니즘(예컨대, 인증 절차 등)을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부모들이 아이들이 구매하는 것을 통제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매 메커니즘이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과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76)사이에 공유될 때,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사이에 다른 공유 특성과 관련된 오버랩(266)을 부가하여 상기 공유 구매 특성과 관련된 오버랩(264)이 있다. 상기 오버랩과 관련된 특징은 구매 스크린 특성, 구매 코드 특성, 신용 카드 주문 특성, 선적 주소 특성, 청구서 어드레스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면에서 실행되는 동안 상기 이면에서 한 개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70 등)이 실행할 때 포함된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68)에서,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수집 입력(27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 임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이 감시하는 원격 제어(56)상에(도 9)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이 사용자 동작을 감시하는 것과 관련된 임무를 취급할 수 있다.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일 때, 상기 감시되는 키는 안내 키 등의 키를 포함하여 사용자 키 누름 입력(27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프로그램 안내 목록 스크린을 생성하고 나가게 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선택 동작을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일 때, 상기 사용자 선택 동작은 프로그램 리마인더[리마인더 입력(274)으로 도시], 타이머[타이머 입력(276)으로 도시] 및 비디어 카세트 레코더에 기록될 스켈줄의 기록[사용자 입력(278)에 의해 스케쥴된 VCR 기록으로 도시]을 포함한다.
일시적인 집중을 요구하는 이벤트가 입력(270,272,274,276 또는 278) 중 한 개 또는 다른 그러한 입력에 따라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은 단계 (280)에서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중지하는 것에 의해(자체적으로 종료하거나 중지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이 중지될 때,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은 그 검출 이벤트가 위치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282)에서 메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도 28에 일 예들이 도시된다. 도 28의 예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면에서 실행하고, 프로그램 리마인더가 설정되는 프로그램 안내는 이면에서 실행한다. 스크린(3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마인더가 설정되는 프로그램의 스케쥴 방송 시간전에, 상기 웹 브라우저(316)의 동작은 중지되고, 리마인더 디스플레이(318)는 웹 브라우저(316)의 상부에 오버레이된다. 리마인더 디스플레이(318)는 상기 리마인더가 상기 프로그램의 타이틀 등이 설정되는 상기 프로그램상에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을 결정하면, 사용자는 튜닝 옵션(320)을 선택할 수 있다. 튜닝 옵션(320)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시스템에 지시하여 웹 브라우저(316)의 동작을 종료하고 그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322)로 튜닝한다. 사용자가 상기 리마인더를 무시하면, 사용자는 숨긴 리마인더 옵션(324)을 선택할 수 있다. 숨긴 리마인더 옵션(324)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프로그램 안내에 지시하여 리마인더 디스플레이(318)를 숨기고 그 이면에 남긴다.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웹 브라우저)은 스크린(3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회복한다.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은 사용자가 상기 매뉴로부터 직접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수 있는 댜앙한 프로그램 안내 매뉴에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그램 안내 매뉴(295)는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는 프로그램 목록 옵션(296)[강조 영역(298)에 의해 선택되는 것으로 보여짐], 주문형 비디오 어플리케이션를 개시하는 주문형 비디오 옵션(300),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홈 쇼핑 옵션(302) 및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전자 메일 옵션(304)를 포함하여 도 29a에 도시된다. 도 30에 도시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더욱 도시한다. 임의이 적합한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원하는 경우 프로그램 안내 매뉴 스크린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70)은 셋업 매뉴 스크린(306)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옵션(308)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 안내의 다양한 특성을 주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는프로그램 안내 셋업 옵션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옵션(310) 중 한 개를 선택하면, 관련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개시되는 동시에 그 셋업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하여 지시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옵션(310a)을 선택하면(전자 메일 셋업), 관련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은 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내에 셋업 스크린(312)을 취한다. 도 29b의 셋업 예는 더욱 예시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시 어플리케이션은 그것이 개시될 때 임의의 적합한 스크린 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자원으로 제어 액세스를 돕기 위하여 인증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자원 액세스를 조정할 때 포함된 예시적인 단계는 도 30에 도시된다. 단계(342)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자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 등록되는 것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메세지를 전송한다. 단계(344)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등록된 자원의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인증이 필요없으면, 상기 필요한 자원은 단계(346)에서 공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은 인증되고 어떤 점검된 자원으로 권한을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어플리케이션은 단계(348)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요청을 인증한다. 예컨대, 이것은 이전에 설정된 패스워드에 대하여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패스워드를 점검하거나 상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이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상에 있는지 여부를 점검함으로써 행하여 진다. 또한, 단계(350)는 상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요청한 자원을 액세스하기 위한 충분한 액세스 권한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이 단계(350)의 테스트를 통과하면, 상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은 단계(352)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바람직한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외의 위치에 남아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활동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354) 등의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360) 또는 다른 그러한 적합한 데이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또는 인터넷(360) 및 텔레비젼 분배 설비(362)를 경유하여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358)에 접속되는 서버(356)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서 서버(364) 또는 다른 적합한 장비상에 위치될 수 있다. 서버(364)가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358)보다 적은 메모리 크기 제한자를 가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은 한 개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상에 제공되는 것보다 많이 서버(364)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다른 뱅킹 어플리케이션은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364)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홈내에 다른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은 홈내의 통신 경로(예컨대, 홈내에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버스 또는 다른 경로)로써 사용자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 접속되는 홈내의 장비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368)은 통신 경로(372)에 의해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358)에 접속되는 2차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37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홈내의 장비에 위치한 어플리케이션은 원격 서버 또는 그 유사한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등의 홈을 떠나는 통신 경로로 사용자의 텔레비젼 장비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홈내의 네트워크 배치의 특징은 Ellis 등이 본원과 동시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호에 개시되며(변호사 문서 번호 UV-73) 본원에 참조 문헌으로 포함된다.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358)이외의 위치에서 모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358)상에 위치되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374) 및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376) 등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상호 작용하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378)는 상기 시스템에서 다양한 자원으로 액세스의 조정을 돕는다. 이것은 임의의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텔레비젼 방비(358)로부터 원격적으로 위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자원들에 액세스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378)로 메세지를 보내고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터 프로토콜(HTTP) 등의 프로토콜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P)로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자원을 공유하는 홈내의 배치에 대한 일예는 제1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상에 제1 프로그램 안내를 실행하는 배치 및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제2 프로그램 안내를 실행하는 배치이다.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홈내의 네트워크 또는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예컨대, 부모)는 상기 제1 프로그램 안내를 이용하여 모 제어 설정 또는 다른 프로그램 안내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그 조정된 설정은 상기 제2 프로그램 안내에 의해 이용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378)(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 중 한 개의 장치상에 실행될 수 있는)는 상기 시스템의 자원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의 액세스를 조정한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자원을 공유하는 홈내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는 한개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상에 프로그램 안내를 실행하는 배치이고,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상에 실행된다.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홈내의 네트워크 또는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378)(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 중 한 개에서 실행될 수 있는)는 상기 시스템의 자원에 프로그램 안내 및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의 액세스를 조정한다(예컨대, 프로그램 안내 자원 및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의 자원).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378)는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의 자원을 구매하기 위하여 액세스를 조정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6)

  1. 사용자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대화식 구성 요소를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에 제공하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화식 구성 요소를 액세하길 원할 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수단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온 스크린 옵션을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로써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 목록 중 한 목록안에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 스트린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매뉴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 스크린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은 특정 형태의 콘텐츠에 기여한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온 스크린 옵션을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수단은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핫 링크를 이용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를 갖는 웹 페이지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게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수단과,
    전자 메일을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어드레스로 어드레싱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제품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에게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에 기초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일관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액세스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고,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 플랫폼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고,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으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서버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에 의해 제공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비 프로그램 안내를 내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8. 사용자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화식 구성 요소를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에 제공하는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화식 구성 요소를 액세하길 원할 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온 스크린 옵션을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로써 주문형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 목록 중 한 목록안에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온 스트린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매뉴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온 스크린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특정 형태의 콘텐츠에 기여한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온 스크린 옵션을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단계는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핫 링크를 이용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를 갖는 웹 페이지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단계와,
    전자 메일을 사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어드레스로 어드레싱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제품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에 기초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일관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액세스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30. 제18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고,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 플랫폼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고,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으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서버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3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장비상에 프로그램 목록의 비 프로그램 안내를 내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35.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에 대화식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가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에게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갖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대화식 구성 요소를 액세스하길 원할 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온 스크린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장비상에 프로그램 목록의 한 목록에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매뉴 옵션으로 온 스크린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형태의 콘텐츠에 기여한 프로그램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온 스크린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핫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개시되고,
    상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때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를 가진 웹 페이지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개시되며,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때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테츠와 관련된 어드레스로 전자 메일을 어드레스하기 위하여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로부터 개시되며,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홈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때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와 관련된 제품을 나타내기 위하여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링크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어플리케이션 안내로부터 개시되며,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때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의 콘텐츠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일관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하면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7. 제35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고,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플랫폼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고,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으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4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서버상에 부분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5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5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적어도 한 개의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5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 사용자에게 즐겨 찾기로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가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에게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54. 제52항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55. 제52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폼 자원을 제공하는 수단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플랫폼 자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57.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갖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 사용자에게 즐겨 찾기로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가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에게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0. 제57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폼 자원을 제공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플랫폼 자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1.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2.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가 사용자에게 즐겨 찾기로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3. 제62항에 있어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가 사용자에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4. 제62항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되며, 상기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5. 제62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폼 자원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플랫폼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6.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7.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 제어를 설정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68. 제67항에 있어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가 사용자에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69. 제67항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70. 제67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폼 자원을 제공하는 수단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플랫폼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71. 제67항에 있어서, 어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모 제어에 의해 잠궈지는지를 지시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7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갖는 시스템의 이용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 제어를 설정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가 사용자에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74. 제72항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75. 제72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폼 자원을 제공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플랫폼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76. 제72항에 있어서, 어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모 제어에 의해 잠궈지는지를 지시하는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77.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가 사용자에게 즐겨 찾기로서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모 제어를 설정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8. 제77항에 있어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가 사용자에게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9. 제77항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되며, 상기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안내 자원을 액세스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0. 제77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폼 자원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플랫폼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1. 제77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어떤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모 제어에 의해 잠궈지는지에 대한 지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2. 사용자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에 한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전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배면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동작할 수 있는 수단과,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일시적인 집중을 요구하는 이벤트를 점검하는 수단과,
    상기 순간적인 집중을 요구하는 이벤트 중 한 개의 이벤트를 검출할 때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지하는 수단과,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그 검출된 이벤트가 위치하는지 여부 또는 그 소정의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회복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것을 중지할 때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점검하는 수단은 사용자 활동도를 점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도를 점검하는 수단은 사용자 키 누름을 점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85.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점검하는 수단은 사용자 선택 동작을 점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 동작을 점검하는 수단은 리마인더 (reminders)를 점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87. 사용자의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에 한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전면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배면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동작할 수 있는 단계와,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이면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일시적인 집중을 요구하는 이벤트를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순간적인 집중을 요구하는 이벤트 중 한 개의 이벤트를 검출할 때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그 검출된 이벤트가 위치하는지 여부 또는 그 소정의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회복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것을 중지할 때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점검하는 수단은 사용자 활동도를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도를 점검하는 단계는 사용자 키 누름을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
  90.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점검하는 단계는 사용자 선택 동작을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 동작을 점검하는 수단은 리마인더 (reminders)를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
  92.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고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에 한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전면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배면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며,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은 그 배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동작하고,
    상기 배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순간적인 집중을 요구하는 이벤트는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점검되고,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순간적인 집중을 요구하는 이벤트 중 한 개의 이벤트를 검출할 때 중지되고,
    메세지는 상기 검출된 이벤트가 위치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소정의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회복되는지 여부를 물을 때 상기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중지될 때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활동을 점검함으로써 상기 이벤트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키 누름을 점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활동을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95.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선택 동작을 점검함으로써 이벤트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는 리마인더를 점검함으로써 사용자 선택 동작을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97.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용 리마인더를 설정할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려뇐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용 리마인더를 설정할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99.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게는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용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0. 제99항에 있어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되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사용자에게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용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1.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용 리마인더를 설정할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용 리마인더를 설정할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103.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를 구비한 텔레비젼 분배 설비와,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로부터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고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자원을 가진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상에 실행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에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서 상기 서버상에 위치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6.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에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이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서 상기 서버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7.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를 갖고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수신하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 접속된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갖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및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108.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상에 실행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에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서 상기 서버상에 위치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110.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에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서 상기 서버상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이용 방법.
  111.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를 구비한 텔레비젼 분배 설비와,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로부터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및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자원을 가진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상에 실행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있고,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3. 제1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서 상기 서버상에 위치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4. 제1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기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서 상기 서버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5.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대화식 텔레비젼 포로그램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어플리케이션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자원을 갖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을 인증하여 상기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대화식 텔레비젼 포로그램 안내 시스템.
  116.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대화식 텔레비젼 포로그램 안내 시스템.
  117.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대화식 텔레비젼 포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어플리케이션 및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자원을 갖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을 인증하여 상기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대화식 텔레비젼 포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
  11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구비한 대화식 텔레비젼 포로그램 안내 시스템의 이용 방법.
  119. 자원을 갖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자원을 갖는 복수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가 상기 자원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을 인증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20. 제1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용 액세스 권한을 결정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121.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에서 적어도 한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과,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제공하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와,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로부터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수신하고 자원을 갖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및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2.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에서 적어도 한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텔레비젼 분배 설비에 제공하는 단계와,
    자원을 갖는 상기 텔레비젼 장비로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이용 방법.
  123. 적어도 한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인터넷상에 위치된 서버와,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제공하는 텔레비젼 분배 설비와,
    상기 텔레비젼 분배 설비로부터 텔레비젼 프로그래밍을 수신하고 자원을 갖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및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비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사이의 자원으로 액세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4. 사용자의 가정에 복수의 상호 접속된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가 있고 자원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상에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를 실행하는 수단과,
    상기 제1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에 접속되는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상에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 중 적어도 한 개의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액세스를 상기 자원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5. 사용자의 가정에 복수의 상호 접속된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가 있고 자원이 있는 시스템의 이용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상에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에 접속되는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상에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 중 적어도 한 개의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액세스를 상기 자원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의 이용 방법.
  126. 사용자의 가정에 복수의 상호 접속된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가 있고 자원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와,
    상기 제1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에 접속되고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텔레비젼 장비 장치 중 적어도 한 개의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상기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액세스를 상기 자원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17000788A 1998-07-23 1999-07-16 포털로 서비스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KR200100535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86598P 1998-07-23 1998-07-23
US60/093,865 1998-07-23
PCT/US1999/016131 WO2000005889A1 (en) 1998-07-23 1999-07-16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that serves as a port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570A true KR20010053570A (ko) 2001-06-25

Family

ID=2224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788A KR20010053570A (ko) 1998-07-23 1999-07-16 포털로 서비스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2268019A3 (ko)
JP (5) JP4851007B2 (ko)
KR (1) KR20010053570A (ko)
CN (1) CN1310921A (ko)
AU (1) AU748045B2 (ko)
BR (1) BR9912370A (ko)
CA (1) CA2337464C (ko)
WO (1) WO20000058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691B1 (ko) * 2005-06-20 2012-06-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101426124B1 (ko) * 2009-01-19 2014-08-07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애플리케이션 배치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9128B1 (en) 1995-06-07 2004-07-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data feed access
US8850477B2 (en) 1995-10-02 2014-09-30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television viewers with advertisers and broadcasters
US6732369B1 (en) 1995-10-02 2004-05-04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ly linking television program information
US6388714B1 (en) 1995-10-02 2002-05-14 Starsight Telecast Inc Interactive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6323911B1 (en) 1995-10-02 2001-11-27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6469753B1 (en) 1996-05-03 2002-10-22 Starsight Telecast, Inc. Information system
US9113122B2 (en) 1997-04-21 2015-08-18 Rovi Guid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shifting video and text in a text-enhanced television program
ATE235780T1 (de) 1997-07-21 2003-04-15 Guide E Inc Verfahren zum navigieren in einem fernsehprogrammführer mit werbung
US6665869B1 (en) 1997-09-05 2003-12-1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application interface system
US6604240B2 (en) 1997-10-06 2003-08-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with operator showcase
US7185355B1 (en) 1998-03-04 2007-02-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preference profiles
US20020095676A1 (en) 1998-05-15 2002-07-18 Robert A. Knee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for determining user values for demographic categories
US6442755B1 (en) 1998-07-07 2002-08-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using markup language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及其方法
DE69903438T2 (de) 1998-07-17 2003-08-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ktive fernsehprogrammführung mit mehreren geräten an einem ort
ES2567261T3 (es) 1998-07-17 2016-04-21 Rovi Guides, Inc. Sistema de televisión con búsqueda asistida de programas por el usuario
AR020608A1 (es) 1998-07-17 2002-05-2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n metodo y una disposicion para suministrar a un usuario acceso remoto a una guia de programacion interactiva por un enlace de acceso remoto
AR019458A1 (es) 1998-07-23 2002-02-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na disposicion de guia de programacion televisiva interactiva que sirve como entrada
US6898762B2 (en) 1998-08-21 2005-05-2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US7254823B2 (en) 1998-08-21 2007-08-0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ained selection of favorite channels
US7603685B2 (en) 1998-11-03 2009-10-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combination category search
US6865746B1 (en) 1998-12-03 2005-03-0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related-program search feature
ES2529301T3 (es) 1999-03-04 2015-02-18 Starsight Telecast, Inc. Sistema de múltiples guías electrónicas interactivas de programación y procedimientos
WO2001001689A1 (en) 1999-06-29 2001-01-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 video-on-demand-related interactive display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
US20050177850A1 (en) 1999-10-29 2005-08-1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with programming-related links
EP1232651A1 (en) 1999-11-23 2002-08-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targeted message system
AU4711601A (en) 1999-12-10 2001-07-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interactive and passive advertisement and merchandising opportunities
AU2001232087A1 (en) * 2000-02-11 2001-08-20 Dean Delamont Improvements relating to television systems
MXPA02009629A (es) 2000-03-31 2003-03-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istema y metodo para avisos publicitarios enlazados con metadatos.
US7934232B1 (en) 2000-05-04 2011-04-26 Jerding Dean F Navigation paradigm for access to television services
JP4906217B2 (ja) * 2000-05-23 2012-03-28 ユナイテッド ビデオ プロパティーズ インク 視聴リストを有する双方向テレビアプリケーション
US6918131B1 (en) 2000-07-10 2005-07-12 Nok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acterizing television preferences over a wireless network
JP2004505385A (ja) 2000-07-27 2004-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コンシューマ装置へのアクセ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機構
EP2293564A1 (en) * 2000-10-11 2011-03-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ing on-demand media
KR20030040527A (ko) 2000-10-11 2003-05-22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주문형 미디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캐시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KR20170128620A (ko) 2000-10-11 2017-11-22 로비 가이드스, 인크. 매체 콘텐츠 배달 시스템 및 방법
US7493646B2 (en) 2003-01-30 2009-0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US7984468B2 (en) 2003-11-06 2011-07-1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gram suggestions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US8161388B2 (en) 2004-01-21 2012-04-17 Rodriguez Arturo A Interactive discovery of display device characteristics
US9973817B1 (en) 2005-04-08 2018-05-15 Rovi Guid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ist of video-on-demand programs
US7490341B2 (en) 2005-06-07 2009-02-1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associated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rectional channel browsing of broadcast content
US7788266B2 (en) 2005-08-26 2010-08-31 Veve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mbiguous, multi-term search queries
US9113107B2 (en) 2005-11-08 2015-08-18 Rovi Guides, Inc. Interactive advertising and program promotion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KR100731359B1 (ko) * 2006-01-0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 표준 api를 지원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기능설정 방법
US8380726B2 (en) 2006-03-06 2013-02-19 Veve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content based on a comparison of preference signatures from multiple users
US8316394B2 (en) 2006-03-24 2012-11-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intelligent navigation and display features
DE102006043231A1 (de) * 2006-09-14 2008-03-27 Siemens Ag Österreich Informationssystem auf Basis von digitalem Fernsehen
EP2775701A1 (en) * 2006-09-29 2014-09-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modular media guidance dashboard application
US8832742B2 (en) 2006-10-06 2014-09-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categorizing and delivering media i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7801888B2 (en) 2007-03-09 2010-09-21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search results ranked by popularity
US20090133078A1 (en) 2007-11-16 2009-05-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purchasing and recording popular pay programs in an interactive media delivery system
US8453188B2 (en) 2008-01-22 2013-05-28 Avaya Inc.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set-top box (STB) personal profiles and communications applications
EP2083569A1 (en) * 2008-01-22 2009-07-29 Avaya Inc.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set-top box (STB) personal profiles and communications applications
US9215421B2 (en) 2008-03-18 2015-12-15 Avaya Inc.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OCAP) and set-top box (STB)-based bill notification and payment application
US8239903B1 (en) 2008-09-15 2012-08-07 Avaya Inc.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OCAP), set-top box (STB), next generation service application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US8786702B2 (en) 2009-08-31 2014-07-22 Behavioral Recognition Systems, Inc. Visualizing and updating long-term memory percept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US9166714B2 (en) 2009-09-11 2015-10-20 Veveo,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presenting enriched video viewing analytics
US8161071B2 (en) 2009-09-30 2012-04-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asset storage and management
WO2012094564A1 (en) 2011-01-06 2012-07-12 Veveo, Inc.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ent search based on environment sampling
KR101345187B1 (ko) * 2011-09-26 2013-12-30 애니포인트 미디어 그룹 수신기에서의 개인화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805418B2 (en) 2011-12-23 2014-08-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US20140196062A1 (en) 2013-01-10 2014-07-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prices in data driven media placement
US9848276B2 (en) 2013-03-11 2017-12-1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nfigur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content consumption material
US10080060B2 (en) 2013-09-10 2018-09-18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US20150074728A1 (en) * 2013-09-10 2015-03-12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US9288521B2 (en) 2014-05-28 2016-03-1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media asset data based on pause point in the media asset
CN110753194B (zh) * 2019-10-23 2022-1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双屏异显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892A (en) * 1993-09-09 1996-12-31 Knee; Robert A.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data feed access
CA2374730C (en) * 1995-10-02 2012-04-03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EP0798655A3 (en) * 1996-03-25 1999-05-19 Sun Microsystems, Inc. Internet-enable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toolbar icons having built-in links to world-wide web documents and an integrated web browser
IL118057A0 (en) * 1996-04-29 1996-09-12 Patir Research And Dev Limited Optical phase element
JP3162627B2 (ja) * 1996-06-25 2001-05-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送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マルチメディア蓄積表示装置
WO1998016028A1 (en) * 1996-10-09 1998-04-16 Multimedia Systems Corporation Interactive system for a closed cable network that includes high speed access to an on-line service and the internet
KR100489288B1 (ko) * 1996-10-16 2005-05-17 겜스타 디벨럽먼트 코포레이션 텔레비전 시스템을 통한 인터넷 데이터 액세스 장치 및 방법
US6163316A (en) * 1997-01-03 2000-12-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lectronic programming system and method
US6141003A (en) * 1997-03-18 2000-10-31 Microsoft Corporation Channel bar user interface for an entertainment system
US20030035007A1 (en) * 1998-01-05 2003-02-20 Theodore D. Wugofski Architecture for convergence systems
AU758868B2 (en) * 1998-05-07 2003-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ly accessible command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691B1 (ko) * 2005-06-20 2012-06-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101426124B1 (ko) * 2009-01-19 2014-08-07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애플리케이션 배치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0921A (zh) 2001-08-29
JP2002521929A (ja) 2002-07-16
BR9912370A (pt) 2001-04-17
JP2014033452A (ja) 2014-02-20
JP5852302B2 (ja) 2016-02-03
AU5000299A (en) 2000-02-14
CA2337464C (en) 2003-03-18
EP2268019A3 (en) 2012-05-30
JP2017108442A (ja) 2017-06-15
EP1097586A1 (en) 2001-05-09
JP2015216674A (ja) 2015-12-03
CA2337464A1 (en) 2000-02-03
JP4851007B2 (ja) 2012-01-11
EP2268019A2 (en) 2010-12-29
WO2000005889A1 (en) 2000-02-03
JP2011041297A (ja) 2011-02-24
AU748045B2 (en)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3848B2 (en) Interactive program guide system provid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for non-program guide applications
CA2337464C (e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that serves as a portal
AU756258B2 (en) Program guide with interactive information display screen
EP088085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JP2019062555A (ja) 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上で高度化したセットトップ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る機能
CA2763667C (en)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s and methods
EP1330125A2 (en) Parental control
AU2002300451B2 (e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That Serves as a Portal
AU7550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MXPA01000754A (es) Sistema de guia de p`rogramacion de television interactiva que sirve como un por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