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750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750A
KR20010051750A KR1020000068311A KR20000068311A KR20010051750A KR 20010051750 A KR20010051750 A KR 20010051750A KR 1020000068311 A KR1020000068311 A KR 1020000068311A KR 20000068311 A KR20000068311 A KR 20000068311A KR 20010051750 A KR20010051750 A KR 2001005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preventing
preventing wall
folded
absorbent artic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044B1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타무라타츠야
노다유키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5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종전의 흡수성 물품의 누설 방지벽은 피부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흡수 영역 측으로 쓰러지기 쉽고, 그 결과 액체 흡수 능력이 저하되기 쉬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누설 방지벽(5)이 표면(2a)으로부터 기립된 측벽부(15)와, 피부에 맞닿는 피부 접촉부(1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측벽부(15)에는 절곡 유도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부 접촉부(16)가 압력을 받으면 접어 넣기 유도부(17)가 외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측벽부(15)가 절첩된다. 따라서 피부 접촉부(16)가 흡수성 코어(12) 측으로 크게 쓰러져, 액체 수용 면적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ABSORPTIVE ARTICLES}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의 폭 방향 양측에 누설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는 표면에서 폭 방향의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예컨대 일본 특개평 8-21524호 공보에는 상기 누설 방지벽으로서 기계 가공을 가함으로서 비평면 형상으로 변형시킨 웹을 이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웹에 의해 형성된 누설 방지벽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띠 형상의 탄성편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표평 9-503934호 공보에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양측에 탄성 플리츠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 플리츠는 피부 측으로 평면이 향해지고, 장착했을때에 상기 탄성 플리츠가 피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 플리츠는 전체적으로 Z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는 비평면 형상으로 변형된 웹이나 탄성 플리츠로 형성된 누설 방지벽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의 누설 방지벽은 흡수성 물품의 표면으로부터 기립시키기 위해서 또는 흡수성 물품을 만곡시키기 위해서, 그 자체가 탄성체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평면 형상 또는 플리츠 형상으로 되는 요철 형상중의 요(凹)부에 체액이 체류하기 쉽고, 누설 방지벽 자체에 체액으로 의한 오물이 남기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본 특개평 8-215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비평면 형상의 웹으로 형성된 누설 방지벽이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자의 피부에 상기 누설 방지벽이 맞닿았을 때 이 누설 방지벽이 쓰러지기 쉽다. 이 때 누설 방지벽이 표면의 중심 측으로 쓰러지면 상기 누설 방지벽으로 표면의 흡수 영역을 막게 되어 실질적인 액체 흡수 면적이 좁아져서 전체적으로 액체 흡수 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일본 특표평 9-50393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탄성 플리츠가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플리츠의 요부에 부착된 체액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 측으로 흘러 내리기 어려워 상기 요부에 체류하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어느 누설 방지벽도 그 자체가 탄성력을 갖도록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누설 방지벽 자체의 강성이 낮아서, 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표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설치했을 때 누설 방지벽 자체의 좌굴 강도를 그다지 높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입체 형상의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고자 했을 때 상기 입체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설 방지벽이 장착자의 피부에 맞닿았을 때 누설 방지벽이 액체 흡수 영역을 덮는 위치로 쓰러지기 어렵게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서의 흡수 면적을 저하시키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설 방지벽에 부착된 체액이 누설 방지벽의 요철 형상의 요부에 체류하기 어렵게 만든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설 방지벽 자체의 강성이 높고 좌굴 강도를 높게 하여 피부의 압력에 의해 쓰러지기 어렵고, 누설 방지벽이 입체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IV-IV 선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 선의 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 3에 해당하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는 시트 성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도 3의 VIII-VIII 선의 단면 사시도
도 8b는 도 8a를 CD 방향의 절단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수성 물품
2 : 중앙부
2a : 표면
3 : 전방부
4 : 후방부
5 : 누설 방지벽
6 : 자유단
7a, 7b, 7c, 7d, 26a, 26b, 26c, 26d : 탄성 부재
11 : 이면 시트
12 : 흡수성 코어
13 : 표면 시트
15, 27 : 측벽부
16, 28 : 피부 접촉부
17 : 접어 넣기 유도부
20 : 시트
20a : 꼭대기부
20b : 하부
20c : 중간부
본 발명은 표면에 설치된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액체 투과성 이면 시트, 상기 양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층 및 상기 표면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누설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벽은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립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피부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측벽부의 높이 방향 중간 부분에 접어 넣기 유도부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부 접촉부가 상기 표면에서 눌러졌을 때에,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가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측벽부가 접어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서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가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해진 상태로 상기 측벽부가 절첩되고, 이 절첩된 측벽부의 상부에 상기 피부 접촉부가 중첩된 상태로 상기 누설 방지벽이 상기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 유도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피부 접촉부가 장착자의 피부에 맞닿아 누설 방지벽이 표면 측에서 눌러졌을 때 누설 방지벽이 표면의 폭 방향 양측 부분에서 절첩되게 되어 누설 방지벽이 표면의 중심 측으로 쓰러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표면에서의 액체 흡수 면적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서 누설 방지벽이 꺾어 접혀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세로 방향으로 만곡하여 세로 방향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누설 방지벽이 용이하게 기립된다.
또한 누설 방지벽이 용이하게 기립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 및 상기 피부 접촉부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벽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파동 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에서는 상기 파동의 꼭대기부와 하부가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립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부 접촉부에서는 상기 파동의 꼭대기부와 하부가 폭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형된 부직포로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면, 상기 측벽부의 좌굴 강도가 높아지고, 표면 방향으로의 피부 압력에 의해 누설 방지벽이 쓰러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의 부분 밀도가 상기 측벽부의 다른 부분의 밀도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피부 접촉부의 폭 방향 양측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한 쪽의 밀도가 상기 누설 방지벽의 다른 부분의 밀도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접어 넣기 유도부의 밀도를 다른 부분의 밀도와 상이하게 하면, 누설 방지벽이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를 경계로 하여 용이하게 절첩된다. 또한, 피부 접촉부의 폭 방향 가장 자리부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피부 접촉부가 피부에 맞닿기 쉬운 방향으로 용이하게 굽혀지며, 또한 피부 접촉부의 자유단측의 가장자리에서 부직포가 두 개로 용이하게 접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설치된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투과성 이면 시트와, 상기 양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층과, 상기 표면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누설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벽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절단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파동 형상의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상기 파동의 꼭대기부와 하부의 밀도가 상기 꼭대기부와 하부의 중간 부분의 밀도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설 방지벽은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동의 꼭대기부와 하부의 밀도는 0.1 g/cm3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도의 상한은 1.0 g/cm3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파동 꼭대기부와 하부의 밀도를 증가시키면, 누설 방지벽의 좌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설 방지벽에 부착된 체액이 상기 밀도가 높은 부분을 따라 누설 방지벽의 경사에 따라 흡수성 물품의 표면 측으로 용이하게 흐른다.
예컨대, 상기 누설 방지벽은 상기 부직포가 상기 누설 방지벽의 꼭대기부에서 절곡되어 두 개로 접혀진 구조이며, 두 개로 접혀진 부직포 사이에 파동의 내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틈을 설치함으로써 누설 방지벽의 액체 투과 능력을 저하시켜 누설 방지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또한 피부에 맞닿았을 때의 감촉이 부드러워져 착용감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 두 개로 접혀진 부직포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이 탄성 부재는 두 개로 접혀진 각각의 부직포 파동의 하부에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서는 탄성 부재의 탄성 수축력을 과대하게 하지 않더라도, 누설 방지벽에 세로 방향의 수축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용 냅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IV-IV 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 선의 단면도이다.
도시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1)은 X 방향이 폭 방향, Y 방향이 세로 방향이다. 세로 방향의 중간 영역에 중앙부(2)가 있으며, 상기 중앙부(2)를 사이에 둔 영역이 전방부(3) 및 후방부(4)이다.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누설 방지벽(5, 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누설 방지벽(5, 5)은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이 탄성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이 세로 방향(Y 방향)을 향하여 만곡해 있으며, 또한 주로 상기 중앙부(2)에서 양측 누설 방지벽(5, 5)이 표면(2a)으로부터 입체 형상으로 기립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11) 위에 흡수성 코어(12)가 겹쳐지며, 그 위에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3)가 겹쳐져 있다. 상기 흡수성 코어(12)는 흡수성 물품(1)의 중앙부(2)에서 상기 전방부(3)와 후방부(4)의 일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면 시트(11)와 표면 시트(13)는 상기 흡수성 코어(12)보다도 외측의 외주 영역에서 서로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또는 열 엠보스에 의해 융착 접합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코어(12)는 분쇄 펄프와 SAP가 혼합된 것으로, 액체 투과성의 종이로 둘러 싸여진 것, 또는 바인더 처리로 시트화된 에어 레이드 펄프, 또는 흡수지 혹은 친수성 섬유를 주체로 한 부직포 등이다. 상기 이면 시트(11)는 액체 불투과성이며, 투습성 수지필름, 또는 부직포, 혹은 수지 필름과 부직포가 접합된 것이다. 상기 표면 시트(13)는 액체 투과성이며,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 또는 개구 부직포, 개구 플라스틱 필름, 혹은 개구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설 방지벽(5)은 통기성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멜트 블로우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등의 부직포,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시트와 부직포를 라미네이트한 시트 등으로 형성된다. 어느것이든 소수성 또는 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발수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또는 PE/PP 또는 PE/PET 등의 복합 섬유, 즉 외장 코어형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등으로 형성된다.
누설 방지벽(5)을 형성하는 시트는 도 1에서 주름 형상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열 프레스되어 파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열 프레스 공정의 설명도이며, 도 8a는 열 프레스된 시트를 도시한 도면 3의 VIII-VIII 선의 단면도, 도 8b는 상기 도면8(A)에서 파동 형상의 꼭대기부 부분에서 CD 방향의 절단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설 방지벽(5)을 형성하기 위한 시트(20)는 표면에 선 형상의 압형(21, 22)이 형성된 롤 사이에 끼워져 열 프레스된다. 예컨대 상기 시트(20)는 섬유의 굵기가 1.1∼4.4 dtex의 PE/PP 외장 코어형 섬유로 형성된 스펀 본드 부직포이며, 평량은 15∼40 g/㎥이다. 상기 시트(20)가 도 7에 도시한 선 형상의 압형(21, 22)에 의해 열 프레스되는데, 이 때의 압형 온도는 8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시트(20)를 상기 온도로 예열하고 나서 상기 선 형상의 압형(21, 22)으로 프레스해도 좋다. 또한 압형(21, 22)에 의한 가압력은 10∼30 N(뉴튼)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 형상의 압형(21, 22)에 의해 시트(20)가 가압되면, 상기 시트(20)는 꼭대기부(20a)와 하부(20b)에서 섬유가 강하게 압축되고, 중간부(20c)에서 섬유가 가볍게 압축된다. 상기 선 형상의 압형(21, 22)을 통과한 시트(20)는 꼭대기부(20a)와 하부(20b) 및 중간부(20c)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로 반복하여 연속되는 파동 형상이 된다. 또한 꼭대기부(20a)와 하부(20b)의 밀도가 중간부(20c)의 밀도보다도 높아진다. 상기 꼭대기부(20a) 및 하부(20b)에서의 밀도는 0.1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의 상한은 1.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20)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동 형상이기 때문에 파동이 늘어선 방향(MD)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또한 꼭대기부(20a) 및 하부(20b)가 연장되는 방향(CD)에서는 자립성이 풍부하고 좌굴 강도가 높아진다.
파동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20)의 꼭대기부(20a)의 중간 점과 인접하는 꼭대기부(20a)의 중간 점 사이의 거리 W는 0.5∼3.0 mm, 꼭대기부(20a) 및 하부(20b) 에서 중간부(20c)보다도 밀도가 높은 영역의 폭 치수 t는 0.1∼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꼭대기부(20a)에서의 시트 표면과 하부(20b)에서의 시트 이면 사이의 높이 치수 H는 0.1∼0.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동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20)를 파동이 늘어선 방향(MD)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신장율은 1.2∼2.0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D의 파단 강도는 1 inch 폭 당 18∼45 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설 방지벽(5)에서는 상기한 파동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20)가 자유단(6)(도 3 참조)에서 CD를 향해 두 개로 접혀 사용된다. 그리고 두 개로 접혀진 시트 사이에 탄성 부재(7a, 7b, 7c, 7d)가 끼워진다. 각 탄성 부재(7a, 7b, 7c, 7d)는 두 개로 접혀져 대면하는 2장의 시트(20) 사이에 핫 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7a, 7b, 7c, 7d)는 폴리우레탄 탄성실, SEBS를 주체로 한 성형 필름, 실 형상의 발포체나 천연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탄성 스펀 본드 부직포나 탄성 멜트 블로우 부직포 등을 띠 형상으로 슬릿을 형성시킨 것이 사용된다.
예컨대, 상기 파동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20)를 파동이 늘어선 방향(MD)으로 2배 연장시키고, 각 탄성 부재(7a, 7b, 7c, 7d)를 1.3배 연장시킨 상태에서 두 개로 접혀진 각각의 상기 시트(20)로 탄성 부재(7a, 7b, 7c, 7d)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시트(20)와 탄성 부재(7a, 7b, 7c, 7d)를 접착한다. 1 개의 탄성 부재를 1.3배 연장시켰을 때의 탄성 수축력을 98 mN이라고 하면, 4 개의 탄성 부재 전부로는 392 mN이 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탄성 부재(7a, 7b, 7c, 7d)를 시트(20)에 접합하고, 탄성 부재를 1.3배 신장시켰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 및 시트에 주어지는 탄성 수축력은 196∼1470 mN인 것이 바람직하며, 294∼784 m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중앙부에서의 상기 누설 방지벽 (5)의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유단(6)에서 파동 형상의 시트(20)가 두 개로 접혀지고, 두 개로 접혀진 시트(20)의 한쪽 단부(20A)가 상기 흡수성 코어(1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표면 시트(13)상에 핫 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두 개로 접혀진 시트(20)의 다른 쪽 단부(20B)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X 방향) 양측의 플랩 부분에서 이면 시트(11) 상에 직접 또는 보강 시트 등을 통해 핫 멜트 접착제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20)의 한쪽 단부(20A)가 흡수성코어(12) 위에서 표면 시트(13) 위로 접합되어 누설 방지벽(5)이 상기 흡수성코어(12)의 위에서 기립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도 3에 있어서 누설 방지벽(5)은 표면(2a)으로부터 기립된 측벽부(15)와, 이 측벽부(15)의 상단에서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서 표면(2a)과 거의 평행하게 향해진 피부 접촉부(16)를 갖고 있다. 누설 방지벽(5)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시트(20)의 꼭대기부(20a) 및 하부(20b)가 연장되는 방향(CD)은 상기 측벽부(15)에 있어서 기립된 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피부 접촉부(16)에서는 폭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측벽부(15)에서는 표면(2a)의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좌굴 강도가 높아지고, 누설 방지벽(5)이 쉽게 찌부러지기 어렵고, 입체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20)의 파동이 늘어선 방향(MD)이 누설 방지벽(5)의 세로 방향(Y 방향)으로 향해져 있기 때문에 누설 방지벽(5)의 상기 세로 방향(Y 방향)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다.
또한, 피부 접촉부(16)는 표면(2a)과 거의 평행이기 때문에 장착자의 피부에 밀착하기 쉽고, 누설 방지벽(5)이 피부로부터 멀어지기 어렵다. 또한 피부 접촉부(16)에서는 시트(20)의 파동이 늘어선 방향(MD)이 세로 방향(Y 방향)으로 향해져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Y 방향으로 만곡됨에 따라서 상기 피부 접촉부(16)가 용이하게 만곡될 뿐만 아니라, 또한 피부 접촉부(16)가 장착자의 체형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설 방지벽(5)의 상기 측벽부(15)에서는 그 높이 방향의 중간에 접어 넣기 유도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어 넣기 유도부(17)는 흡수성 물품(1)의 상기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7a)는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17)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7b)는 측벽부(15)와 피부 접촉부(16)와의 경계 절곡부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7d)는 상기 자유단(6)에서의 시트(20)가 두 개로 접혀진 부분에 위치해 있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17)에서는, (i)로 도시한 범위에서 시트(20)에 파동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i) 영역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7a)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양측 시트(20)가 가압되어 파동 형상이 찌부러져 있다. 또한 (i) 영역에서 시트(20)가 가압됨으로써, 이 부분의 시트(20)의 섬유 밀도가 파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른 영역(ii)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접어 넣기 유도부(17)에서 (i) 범위에서 시트(20)의 밀도가 높아짐으로서 피부 접촉부(16)에 피부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17)가 외측으로 향하여 용이하게 절곡된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7b)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 및 자유단(6)의 탄성 부재(7d)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피부 접촉부(16)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있어서도 탄성 부재(7b) 또는 탄성부재(7d)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시트(20)와 시트(20)가 가압되어 파동 형상이 찌부러져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7b) 또는 탄성부재(7d)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시트(20)의 밀도가 파동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는 부분의 밀도보다도 높게되어 있다.
따라서 피부 접촉부(16)가 측벽부(15)로부터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유단(6)에서는 시트(20)가 탄성 부재(7d)를 사이에 끼워 두 개로 접혀진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 1 개의 탄성 부재(7c)는 피부 접촉부(16)의 폭 방향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탄성 부재(7c)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시트(20)가 파동형상으로 부형된 상태이며, 시트(20)의 복수 파동 형상 각각의 하부(20b)의 이면에만 상기 탄성 부재(7c)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7c)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서 피부 접촉부(16)의 시트(20)가 파동이 늘어선 방향(MD)으로 수축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탄성 부재(7d)나 다른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에서 시트(20)에 파동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 부재(7d) 등이 시트(20)의 파동 형상의 하부(20b)의 이면에만 접착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8b에 도시한 탄성 부재(7a)가 설치된 (i) 영역 및 상기 탄성 부재(7b) 또는 탄성 부재(7d)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에서, 시트(20)의 밀도가 다른 부분의 밀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더라도, 접어 넣기 유도부(17) 부분에서 측벽부(15)가 절곡되기 쉽고, 또한 탄성 부재(7b)가 설치된 부분에서 피부 접촉부(16)와 측벽부(15)가 쉽게 굴곡된다. 또한 탄성 부재(7d)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시트(20)를 두 개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벽(5)에서는 두 개로 접혀진 시트(20)와 시트(20) 사이에 파동 형상을 형성함으로서 틈이 형성된다. 이 틈을 설치함으로서 체액이 누설 방지벽(5)을 투과하기 어렵게 되어 누설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착자의 피부에 닿는 접촉 감촉이 부드럽고, 장착 감촉이 좋다.
도 4는 흡수성 물품(1)의 전방부(3) 및 후방부(4)에서의 상기 누설 방지벽(5)의 절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전방부(3) 및 후방부(4)에서는 누설 방지벽(5)이 절첩된 상태로 표면(표면 시트 13 위)에 접착되거나 혹은 융착되어 있다. 이 부분에서는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17)의 부분이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해진 상태로 측벽부(15)가 두 개로 접혀져 있으며, 또한 그 위에 피부 접촉부(16)가 겹쳐져서, 그 결과 누설 방지벽(5)은 세 개로 접혀진 상태로 되어 표면(2a) 측에 고정된다.
전방부(3) 및 후방부(4)에 있어서 누설 방지벽(5)의 세로 방향 양단부가 도 4에 도시한 상태로 절첩되어 접합되어 있으면, 자유 상태에서의 흡수성 물품(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7a, 7b, 7c, 7d)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서 세로 방향으로 만곡된 상태가 되어, 그 결과 중앙부(2)에서는 접어 넣기 유도부(17)가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해져 누설 방지벽(5)이 Σ 형상으로 기립된다.
이와 같이, 누설 방지벽(5)의 측벽부(15) 높이 방향의 중간에 있어서,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해진 접어 넣기 유도부(1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접촉부(16)가 장착자의 피부에 닿아서 피부 접촉부(16)에 표면(2a)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했을 때 측벽부(15)는 접어 넣기 유도부(17)를 경계로 하여 절첩된다. 따라서 측벽부(15)의 상단 부분이나 피부 접촉부(16)가 흡수성 물품(1)의 표면(2a)의 폭 방향의 중앙부 측으로 크게 쓰러져 들어가는 일이 없게 되며 표면(2a)의 액체 흡수 영역의 면적을 좁게 하는 일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액체 흡수 능력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피부 접촉부(16)에 하중이 작용했을 때 상기 측벽부(15)가 접어 넣기 유도부(17)를 경계로 확실하게 절첩되기 위해서는 측벽부(15)를 높이 방향으로 수직 평면이 되도록 기립시켰을 때의 높이 치수가 5∼3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10∼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수보다도 짧으면, 측벽부(15)가 두 개로 접혀진 형상이 되기 어려워지며, 상기 치수를 초과하면 누설 방지벽(5)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누설 방지벽(5)이 입체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피부 접촉부(16)의 폭 치수는 5∼25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10∼15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수보다도 짧으면 피부 접촉부(16)와 피부의 밀착성이 떨어지며, 상기 치수보다도 길면, 장착자의 피부에 상기 피부 접촉부(16)가 맞닿음으로서 위화감을 느끼게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누설 방지벽(5)을 도 3에 도시한 입체 형상 및 도 4에 도시한 절첩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누설 방지벽(5)의 자유단(6) 및 접어 넣기 유도부(17) 부분에서만 누설 방지벽(5)을 형성하는 시트(20)에 상기 파동 형상을 형성하지 않는 것,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어 넣기 유도부(17)에서 시트(20)에 다른 부분과의 밀도 차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같은 입체 형상으로 기립해 있는 누설 방지벽(5)에서는 접어 넣기 유도부(17)보다 아래쪽 영역(15a)이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2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누설 방지벽(5)은 파동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20)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설 방지벽(5)에 체액이 부착되더라도 그 부착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누설 방지벽(5)에 오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영역(15a)에 체액이 부착된 경우에는 이 체액은 밀도가 높은 꼭대기부(20a) 및 하부(20b)에 침투하기 어렵고, 이 꼭대기부(20a) 및 하부(20b)를 통하여 경사를 따라 표면 시트(13) 측으로 용이하게 흐른다. 따라서, 체액이 누설 방지벽(5)에 부착되기 어려워지며, 또한 옆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흡수성 물품(1)의 중앙부(2)에서의 누설 방지벽(25)의 기립 입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 누설 방지벽(25)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파동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20)를 두 개로 접어서 그 사이에 4 개의 탄성 부재(26a, 26b, 26c, 26d)를 개재시키고, 각 탄성 부재는 두 개로 접혀진 각 시트(20)의 하부(20b)에 접합되어 있다.
누설 방지벽(25)은 측벽부(27)가 흡수성 코어(12)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의 측방으로부터 비스듬하게 기립하고, 그 꼭대기부로부터 피부 접촉부(28)가 폭 방향 양측으로 향함에 따라 표면(2a)으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피부 접촉면(28)에 주어진 체액은 파동 형상의 시트(20) 표면을 따라서 표면(2a) 측으로 흘러 내려 흡수성 코어(12) 측으로 주어져 흡수성 코어(12)에 흡수되기 쉽게 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도 탄성 부재(26a)와 탄성 부재(26d)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시트(20)가 찌부러지는 등으로 인해 이 부분의 시트(20) 밀도가 다른 부분의 밀도보다도 높게 되거나 혹은 상기 부분의 시트(20) 밀도가 다른 부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부(27)와 피부 접촉부(28)가 상기 탄성 부재(26a)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경계로 굴곡되기 쉽게 되어 있고, 또한 탄성 부재(26d)가 설치된 자유단에서 시트(20)가 두 개로 접혀진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다른 탄성 부재(26b, 26c)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시트(20)가 파동 형상이며, 상기 탄성 부재(26b, 26c)는 파동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의 파동 하부(20b)의 이면에만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26b, 26c)에 의해서 피부 접촉부(28)의 시트를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수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동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20)를 이용하여 누설 방지벽(5) 또는 누설 방지벽(25)을 형성함으로써, 누설 방지벽의 파동 형상의 꼭대기부(20a, 20b)에 따라 체액이 흡수 코어 측으로 흐르기쉽고, 또한 누설 방지벽(5) 또는 누설 방지벽(25)을 형성하고 있는 시트(20)가 파동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20c)에서는 밀도가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체액을 흡수할 수도 있으며, 게다가 두 개로 접혀진 시트(20)와 시트(20) 사이에는 파동 형상으로 인한 틈도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이 누설 방지벽으로 용이하게 차폐되어 누설 방지벽으로부터 밖으로 체액이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각 누설 방지벽(5, 25)은 측벽부(15, 27)가 표면(2a)으로부터 기립하는 방향과, 파동의 꼭대기부 및 하부가 연장되는 방향(CD)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누설 방지벽이 입체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피부 접촉부(16, 28)의 표면은 파동 형상이기 때문에 피부에의 접촉이 부드럽고, 장착 감촉이 양호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누설 방지벽이 표면 측으로 쓰러지기 어렵고, 장착시에 액체 흡수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누설 방지벽이 체액으로 더러워지기 어렵고, 또한 누설 방지벽에 부착된 체액이 표면으로 용이하게 유도된다.
또한, 파동 형상으로 형성한 시트로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고, 파동의 꼭대기부 및 하부가 연장되는 방향(CD)을 측벽부에서는 표면으로부터 기립된 방향으로, 피부 접촉부에서는 폭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누설 방지벽이 입체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또한 피부에의 접촉이 부드러워진다.

Claims (10)

  1. 표면에 설치된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투과성 이면 시트와, 상기 양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층과, 상기 표면의 폭 방향 양측에서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벽은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립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부 접촉부를 지니며, 상기 측벽부의 높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접어 넣기 유도부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며, 상기 피부 접촉부가 상기 표면에 눌러졌을 때,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가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측벽부가 접어 넣어지는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서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가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해진 상태로 상기 측벽부가 절첩되고, 이 절첩된 측벽부의 위에 상기 피부 접촉부가 중첩된 상태로 상기 누설 방지벽이 상기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 및 상기 피부 접촉부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벽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파동 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에서는 상기 파동의 꼭대기부와 하부가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부 접촉부에서는 상기 파동의 꼭대기부와 하부가 폭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 넣기 유도부의 부분 밀도가 상기 측벽부의 다른 부분 밀도와 상이한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 밀도가 상기 누설 방지벽의 다른 부분의 밀도와 다른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7. 표면에 설치된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투과성 이면 시트와, 상기 양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층과, 상기 표면의 폭 방향 양측에서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벽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파동 형상의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파동의 꼭대기부와 하부의 밀도가 상기 꼭대기부와 하부의 중간 부분의 밀도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설 방지벽은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 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의 꼭대기부와 하부에서의 밀도가 0.1 g/㎤ 이상 인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벽은 상기 부직포가 상기 누설 방지벽의 꼭대기부에서 절곡되어 두 개로 접혀진 구조이며, 두 개로 접혀진 부직포 사이에 파동 내부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로 접혀진 부직포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이 탄성 부재는 두 개로 접혀진 각각의 부직포 파동의 하부에 고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흡수성 물품.
KR1020000068311A 1999-11-19 2000-11-17 흡수성 물품 KR100706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928399A JP3748023B2 (ja) 1999-11-19 1999-11-19 吸収性物品
JP???11-329283 199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50A true KR20010051750A (ko) 2001-06-25
KR100706044B1 KR100706044B1 (ko) 2007-04-13

Family

ID=1821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311A KR100706044B1 (ko) 1999-11-19 2000-11-1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569140B1 (ko)
EP (2) EP1698312B1 (ko)
JP (1) JP3748023B2 (ko)
KR (1) KR100706044B1 (ko)
CN (2) CN1275583C (ko)
AT (1) ATE383133T1 (ko)
AU (1) AU772862B2 (ko)
BR (1) BR0005452B1 (ko)
CA (1) CA2325668C (ko)
DE (1) DE60037709T2 (ko)
ES (1) ES2298121T3 (ko)
MY (1) MY125303A (ko)
SG (1) SG93910A1 (ko)
TW (1) TW47130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9420B2 (ja) 2000-03-13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748813B2 (ja) * 2001-01-29 2006-02-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19638B2 (ja) 2001-12-20 2007-05-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40002690A1 (en) * 2002-07-01 2004-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outer leg cuff
SE0300715D0 (sv) * 2003-03-14 2003-03-14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JP4476611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421222B2 (ja) * 2003-06-09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21223B2 (ja) * 2003-06-20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WO2004112672A1 (ja) * 2003-06-20 2004-12-29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421224B2 (ja) 2003-06-20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20050113790A1 (en) * 2003-11-21 2005-05-26 Minako Suzuki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ized barrier cuffs
JP4312113B2 (ja) * 2004-07-09 2009-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5102438B2 (ja) * 2005-03-14 2012-1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352027B2 (ja) * 2005-06-13 2009-10-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70073259A1 (en) * 2005-09-29 2007-03-29 Erdman Edward P Absorbent article with dual gather leg cuff assemblies
JP4619253B2 (ja) * 2005-09-29 2011-01-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10478B2 (ja) * 2005-11-02 2012-08-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602005025905D1 (de) * 2005-12-28 2011-02-24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Artikel mit elastischen komfortablen Laminaten
ATE494869T1 (de) * 2005-12-28 2011-01-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artikel mit elastischen komfortabelen laminaten
JP4749284B2 (ja) * 2006-09-04 2011-08-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76499B2 (ja) * 2006-10-30 2011-09-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52993B2 (ja) * 2007-08-20 2012-10-1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4657317B2 (ja) * 2008-04-28 2011-03-2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633821B2 (ja) 2008-05-30 2011-02-1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771250B2 (en) * 2009-10-29 2014-07-08 Sca Hygiene Products Ab Inverse standing gathers for an absorbent article
US8795250B2 (en) 2010-03-30 2014-08-05 First Quality Baby Products, Llc Absorbent article having leg cuffs
CN101862242A (zh) * 2010-06-29 2010-10-20 覃叙钧 一种全面防漏的纸尿裤
CN101862238A (zh) * 2010-06-29 2010-10-20 覃叙钧 一种新型弹性腰围纸尿裤
CN101862240A (zh) * 2010-06-29 2010-10-20 覃叙钧 一种弹性腰围装配在背面的纸尿裤
CN101862241A (zh) * 2010-06-29 2010-10-20 覃叙钧 一种具有防前后漏吸水层的纸尿裤
CN101862239B (zh) * 2010-06-29 2013-06-12 覃叙钧 具有防前后漏立体护围的纸尿裤
WO2012119353A1 (zh) * 2011-03-09 2012-09-13 小护士(天津)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弹力防侧漏卫生巾
CN106943239B (zh) 2011-04-29 2020-04-10 宝洁公司 具有腿衬垫箍的吸收制品
WO2012177400A1 (en) 2011-06-21 2012-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having contraction
US20120330264A1 (en) 2011-06-21 2012-12-27 Kathleen Marie Lawson Absorbent Article With A Waistband And Leg Cuff Having Gathers
JP2015515921A (ja) 2012-05-15 2015-06-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有利な伸長及び製造性特性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パンツ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6037660B2 (ja) * 2012-05-28 2016-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651437C2 (ru) 2013-03-22 2018-04-19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WO2016149591A1 (en) 2015-03-18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US10588790B2 (en) 2015-03-18 2020-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US10716716B2 (en) 2015-03-18 2020-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CN107405243B (zh) 2015-03-18 2020-11-27 宝洁公司 带有腿箍的吸收制品
JP6518782B2 (ja) 2015-03-18 2019-05-2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腰部ガスケット要素及びレッグカフを備える吸収性物品
WO2016149596A1 (en) 2015-03-18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US10792198B2 (en) 2015-03-18 2020-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US10603226B2 (en) 2015-03-18 2020-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EP3270849B1 (en) 2015-03-18 2018-1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US10524962B2 (en) 2015-03-18 2020-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JP7028894B2 (ja) * 2017-12-22 2022-03-0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12118817B (zh) * 2018-05-18 2022-06-03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吸收性物品
US11259840B2 (en) 2019-06-21 2022-03-01 Covidien Lp Valve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CN114948448A (zh) * 2021-02-23 2022-08-30 康那香企业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996A (en) * 1971-08-11 1977-05-31 Saveker David R Sinusoidal structural element
US5681303A (en) * 1991-10-01 1997-10-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FR2683994B1 (fr) * 1991-11-22 1999-03-05 Peaudouce Article d'hygiene absorbant jetable tel que couche-culotte, a effet de barriere laterale ameliore
US5324426A (en) * 1992-03-20 1994-06-28 Kontes Glass Corp. Chromatography column
AT396919B (de) * 1992-03-27 1993-12-27 Hochgatterer Josef Wasseraufbereitungsgerät
CA2090797A1 (en) * 1992-12-02 1994-06-03 Mary Anne Bruemmer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barrier means
JPH09503934A (ja) 1993-09-29 1997-04-22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弾性プリーツを持つ吸収体物品
US5624424A (en) * 1994-02-25 1997-04-29 New Oji Paper Co., Ltd. Disposable diaper
JP3217582B2 (ja) * 1994-03-24 2001-10-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182040B2 (ja) * 1994-04-07 2001-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3596033B2 (ja) 1994-07-11 2004-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US5730738A (en) * 1995-12-04 1998-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ngled band structural elastic-like film cuffs
AU1117897A (en) * 1995-12-11 1997-07-03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void volume containment flaps
US5624426A (en) * 1996-05-03 1997-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n improved leg cuff
US5810800A (en) * 1996-06-27 1998-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ure resistant elasticized cuffs
US6102892A (en) * 1996-12-23 2000-08-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aper with pleats for containment of liquid and solid waste
US6383431B1 (en) * 1997-04-04 2002-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odifying a nonwoven fibrous web for use as component of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3441976B2 (ja) * 1998-08-05 2003-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05452A (pt) 2001-07-03
MY125303A (en) 2006-07-31
EP1698312B1 (en) 2012-12-12
CA2325668A1 (en) 2001-05-19
JP2001145667A (ja) 2001-05-29
ES2298121T3 (es) 2008-05-16
JP3748023B2 (ja) 2006-02-22
DE60037709D1 (de) 2008-02-21
EP1698312A2 (en) 2006-09-06
EP1698312A3 (en) 2010-10-20
ATE383133T1 (de) 2008-01-15
CN1550227A (zh) 2004-12-01
EP1101476A3 (en) 2005-08-17
AU772862B2 (en) 2004-05-13
BR0005452B1 (pt) 2009-01-13
CN1175790C (zh) 2004-11-17
KR100706044B1 (ko) 2007-04-13
DE60037709T2 (de) 2009-01-08
CN1275583C (zh) 2006-09-20
CA2325668C (en) 2007-04-10
CN1296807A (zh) 2001-05-30
AU7163900A (en) 2001-05-24
TW471309U (en) 2002-01-01
US6569140B1 (en) 2003-05-27
EP1101476B1 (en) 2008-01-09
EP1101476A2 (en) 2001-05-23
SG93910A1 (en) 200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044B1 (ko) 흡수성 물품
US7335810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extended cushion layer with corrugated topsheet
JP4352027B2 (ja) 吸収性物品
JP4323786B2 (ja)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392936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1088257B1 (ko)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100804562B1 (ko) 생리대
WO2010117015A1 (ja) 吸収性物品
KR100678429B1 (ko) 흡수성 물품
EP1275359A2 (en) Sanitary napkin
KR1006481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KR19990083328A (ko) 흡수성물품
US6592563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leakage preventing sidewalls on latitudinal sides of the liquid receiving side
KR100906705B1 (ko) 생리대
JP4392937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942342B2 (ja) 吸収性物品
JP3865565B2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KR19980081545A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CN219595003U (zh) 吸收用品
JP4145692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