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243A -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 - Google Patents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243A
KR20010026243A KR1019990037467A KR19990037467A KR20010026243A KR 20010026243 A KR20010026243 A KR 20010026243A KR 1019990037467 A KR1019990037467 A KR 1019990037467A KR 19990037467 A KR19990037467 A KR 19990037467A KR 20010026243 A KR20010026243 A KR 20010026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hortcu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석
박정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243A/en
Publication of KR2001002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24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selec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rapidly select a wanted menu by registering frequently-used menus single menus. CONSTITUTION: A control unit(200) controls the whole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general, a microprocessor unit is embodied as the control unit(200). A display unit(210) displays characters and icons on a screen. A liquid crystal display is used as the display unit(210). A key input unit(220) includes selection keys, direction keys, function keys and menu keys, so that the user can input wanted data or control commands. In order to select a menu, the user inputs the menu key and the direction key. The first memory(230) temporarily stores and processes various data while power is applied. A RAM is employed as the first memory(230). Here, single menus are stored in the first memory(230). The second memory(240) stores contents even when power is not applied. The second memory(240) includes a control program and a data storage region. In general, an EEPROM is used as the second memory(240). A timer(250) counts a predetermined time, and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200). As a result, the frequently-used menus are registered as the single menus, so that the user can rapidly select and display the wanted menu.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How to select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주 사용되는 메뉴를 별도로 등록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이를 신속하게 표시 및 선택하는 단축 메뉴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lec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electing a shortcut menu for quickly displaying and selecting a menu frequently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함에 있어 구현된 여러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은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에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뉴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ing to efficiently select and implement various functions implemented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In recent yea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ble to select functions required by a user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hrough a menu method.

하지만,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 구현된 메뉴 선택 방식의 경우 트리 구조로서 이루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초기 메뉴 상태에서 원하는 기능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해당 기능의 선택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별도로 메뉴의 트리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해당 메뉴를 검색하여 선택함에 있어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였다. 이는 신속한 기능 수행에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낳도록 하였다.However, since the menu selection method implemented in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tree structure, the user sequentially searches for a desired function in the initial menu state to select the corresponding function. However, in this case, if you do not know the exact tree position of the menu separately, there is a delay in searching and selecting the menu. This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performing the quick function.

첨부된 도 1은 바로 기존에 있어 통상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다. 이의 참조로서 종래 기술의 문제를 살펴본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selection operation of a conventionally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eference there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100단계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메뉴키 입력 여부를 102단계에서 체크한다. 메뉴키 입력이 있는 경우, 104단계에서 제조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초기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커서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키의 이동을 행하는 경우를 106단계에서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108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의 해당 방향으로 커서의 이동을 이룬다. 상기 108단계의 동작을 통해 원하는 해당 메뉴의 검색이 이루어지고, 110단계에서 원하는 메뉴의 선택이 있으면 112단계에서 해당 메뉴의 동작 수행을 이루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106단계에서 숫자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는, 표시되는 메뉴에 있어 지정된 인덱스 숫자의 해당 숫자를 입력한 경우가 되므로, 이 경우에는, 107단계에서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메뉴의 선택을 이루고, 상기 112단계에서 선택된 메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in step 100, the user determines whether a user inputs a menu key in step 102. If there is a menu key input, the initial menu predetermined by the manufacturer is displayed in step 104 and the activation state of the cursor for selecting the displayed menu is maintained. In this state, it is determined in step 106 that the user moves the direction key, and in such a case, the cursor is mov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 key input in step 108. The search for the desired menu is performed through the operation of step 108, and if the desired menu is selected in step 110, the operation of the menu is performed in step 112. When the numeric key is input in step 106, the corresponding number of the designated index number is input in the displayed menu. In this case,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input in step 107 is selected.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selected in step 112 is performed.

상기 도 1에 따른 동작 흐름은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 구현된 메뉴선택 방식의 일 예가 되는 것이며, 그 외 다른 메뉴 선택 방법의 경우 별반 다르지 않게 되어 있다.The operation flow according to FIG. 1 is an example of a menu selection method implemented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the case of other menu selection methods, it is not much different.

그러나 앞서 지적하였듯이, 상기와 같은 메뉴 선택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트리 방식으로 검색하여 선택할 수밖에 없어 해당 기능의 수행에 있어 시간의 지연일 있을 수밖에 없다. 이는 결국 신속한 기능 수행을 요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주는 요소 가된다.However, as pointed out above, the above menu selection method has no choice but to search for and select a menu desired by the user in a tree manner, and there is a time delay in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is, in turn, becomes a factor that brings inconvenience to users who need to perform a quick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주 사용되는 메뉴를 별도로 등록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해당 메뉴를 신속하게 표시 및 선택하는 단축 메뉴 선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electing a shortcut menu for quickly displaying and selecting a menu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by separately registering a menu frequently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일정 시간 미만의 키 누름 시간을 갖는 메뉴키 입력에 있어서는, 미리 등록된 단축메뉴를 검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등록된 단축메뉴의 표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커서의 이동을 행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메뉴의 커서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해당 메뉴에 있어 지정된 기능의 수행을 이루는 과정과, 일정 시간 이상의 키 누름 시간을 갖는 메뉴키 입력에 있어서는, 초기 구현된 초기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 상태의 초기 메뉴에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 선택을 이룬 후, 미리 지정된 단축 메뉴 등록키의 선택 입력에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를 단축메뉴로 등록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메뉴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nu key input having a key press time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detects and displays a shortcut menu registered in advance, an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n the display state of the registered shortcut menu When the cursor is moved and the cursor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menu is performed accordingly,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designated function in the selected menu and the menu key input having the key press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re performed. A menu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lected menu as a shortcut menu when the menu is displayed, the corresponding menu selection is mad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the initial menu of the display state, and the selection menu inputs a predetermined shortcut menu registration key. Suggest a selection method.

도 1은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 구현된 메뉴 선택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selection operation implement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selectio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내부 저장 정보의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the internal memory storag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축 메뉴 선택에 있어 메모리 저장 정보의 선택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lection state of memory storage information in selecting a shortcut menu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 20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함, 통상 원칩마이크로프로세서인 MPU(Micro Processor Unit)로 구현되어 주변 하드웨어의 제어와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표시부 210은 화면에 소정의 문자 및 아이콘 등을 표시하며, 액정표시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메뉴는 상기 210을 통해 표시된다. 키입력부 220은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데이터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키와 방향키, 기능키, 메뉴키 등 다수의 키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상기 메뉴키의 입력과 방향키의 입력을 필요로 한다. 제1메모리 230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만 내용이 보존되는 기억매체로서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거나 처리되는 저장매체로서, 통상 램(RAM)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단축 메뉴로 등록된 메뉴가 상기 제1메모리 230으로 저장된다. 제2메모리 240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그 내용이 보존되는 기억매체로서, 제어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선택된 메뉴에 있어 해당 기능의 실해 프로그램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메모리 140은 통상 EEPROM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메모리 240에는 상기 제1메모리 230에 있어 저장되는 단축 메뉴로 등록된 메뉴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이는 이후 본 발명이 실시에 의해 독출되어 상기 제1메모리 230에 있어 저장될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4에 상기 제1메모리 230 및 제2메모리 240의 내부 정보 저장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도 4에 있어서는 상기 제1메모리 230으로서 구현되는 램에는 단축 메뉴의 등록 상태가 있으며, 상기 제2메모리 240으로 구현되는 롬에는 각 메뉴에 있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은 메뉴 선택이 있을 시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여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의 독출에 따라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된다. 타이머 250은 미리 정해진 시간의 카운트를 수행하고, 이는 상기 제어부 200의 제어하에 그 시작 및 종료가 결정된다. 이하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메뉴키 입력 누름 시간의 측정은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통해 이루어진다.The controller 20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typically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unit (MPU) which is a one-chip microprocessor to control and program peripheral hardware. 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predetermined characters and icons on the scree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Menus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layed via 210. The key input unit 220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such as a selection key, a direction key, a function key, and a menu key to enable a user to input a desired data or control command.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input of the menu key and input of a direction key are required. The first memory 230 is a storage medium whose contents are preserved only while power is supplied. The first memory 230 is a storage medium for temporarily storing or processing various data used when executing a program, and is typically implemented as a RA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nu registered as a shortcut menu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230. The second memory 240 is a storage medium whose contents are preserved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The second memory 240 includes a control program and a data storage area, and stores a performance program of a corresponding function in a selected menu. The second memory 140 is typically implemented as an EEPROM. In addition, a menu registered as a shortcut menu stored in the first memory 230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40. This will then be rea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d in the first memory 230. Meanwhile, an internal information storage state of the first memory 230 and the second memory 240 is shown in FIG. 4, which shows an information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RAM implemented as the first memory 230 has a registered state of a shortcut menu, and the ROM implemented as the second memory 240 stores a program executed in each menu. When a menu is selected, the program becomes a program to be executed according to reading of a predetermined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he timer 250 performs a count of a predetermined time, which is started and termin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he measurement of the menu key input pres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made through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selectio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310단계의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메뉴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312단계를 통해 판단한다. 상기 312단계에서 메뉴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314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메뉴키가 일정 시간(N) 이상 눌림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일정 시간의 판단은 상기 제어부 200의 제어하에 상기 타이머 250의 구동에 의한 카운트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314단계에서 상기 메뉴키의 입력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판단되면, 이 경우는 사용자가 단축 메뉴의 선택이 아니라 통상의 초기메뉴를 보고자 하는 경우가 되므로, 316단계에서 초기 메뉴의 표시를 이룬다. 317단계에서 방향키와 숫자키의 조작을 통해 해당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319단계에서는 상기 317단계를 수행한 후 사용자가 별도로 단축 메뉴 등록키의 입력을 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의 판단은 사용자가 상기 317단계에서 선택한 메뉴를 실행하고자 하는지, 아니면 이를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단축메뉴로 등록하기 위하여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단축 메뉴에 있어 등록되는 메뉴는 미리 제조자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정해지도록 함에 따른 동작을 행하기 때문이다. 상기 319단계에서 단축 메뉴 등록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는, 321단계에서 단축메뉴로 상기 317단계에서 선택된 메뉴를 등록한다. 그러나 만일 상기 선택한 메뉴가 이미 단축 메뉴로서 등록한 경우는, 이는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단축메뉴로부터 삭제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미 등록된 단축 메뉴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의 삭제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 319단계에서 단축 메뉴 등록키의 입력이 아닌 경우는, 324단계에서 선택된 메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해당 기능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제2메모리 240에 있어 저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이룬다. 한편, 상기 319단계의 단축 메뉴 등록키는 별도의 키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고 메뉴 선택 과정에 있어 임의의 새로운 메뉴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선택함으로 그의 동작이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3, in operation 310, it is determined whether a user inputs a menu key from a user in operation 31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2 that there is a menu key input, in step 31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menu key is in a pressed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N) or more. The determination of the predetermined time is made through a count of driving the timer 2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4 that the input time of the menu key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user wants to view a normal initial menu instead of selecting a shortcut menu, so that the initial menu is displayed in step 316. In operation 317, a menu is select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arrow keys and the numeric keys. In step 319, after performing step 31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nputs a shortcut menu registration key separately. This determina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tends to execute the menu selected in step 317 or to register it as a shortcu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menu registered in the shortcut menu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termined by the manufacturer in advance, but is performed by being selected and determined by the user. If there is an input of a shortcut menu registration key in step 319, the menu selected in step 317 is registered as a shortcut menu in step 321. However, if the selected menu has already been registered as a shortcut menu, it determines that the user wants to delete the menu from the shortcut menu, thereby deleting the selected menu from the already registered shortcut menu. However, if the shortcut menu registration key is not input in step 319,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selected in step 324 is performed. As mentioned above, the function is achieved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40. On the other hand, the shortcut menu registration key in step 319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key, otherwise it can be implemented as any new menu in the menu selec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menu.

그러나, 상기 314단계에서 메뉴키의 누름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 이하인 경우, 즉, 사용자가 메뉴키를 잠깐 누르고 뛴 경우, 이는 사용자가 단축 메뉴에 등록된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함에 따른 입력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316단계에서 이미 기 등록된 단축 메뉴를 검출하고, 318단계에서 이를 표시한다. 상기 등록 단축 메뉴는 상기 제1메모리 230에 있어 저장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2메모리 240에서 독출되는 정보가 된다. 320단계에서는 커서의 이동 또는 숫자키의 입력이 이루어지고, 322단계에서는 상기 숫자키 및 방향키의 입력을 통해 해당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324단계에서 선택된 해당 메뉴의 기능이 수행된다.However, if the pressing time of the menu ke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ime in step 314,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menu key for a shor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puts and executes a menu registered in the shortcut menu. . Therefore, a shortcut menu already registered in step 316 is detected, and it is displayed in step 318. The registration shortcut menu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230, which is information read from the second memory 240. In step 320, the cursor is moved or an input of a numeric key is performed. In step 322, a corresponding menu is selected through input of the numeric and direction keys.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selected in step 324 is performed.

즉,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메뉴키의 입력 상태로서 단축 메뉴의 표시 및 선택과 실행을 이루거나, 혹은 원하는 기능의 단축 메뉴로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 신속하게 기능 수행을 원하는 메뉴나, 혹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메뉴를 미리 단축 메뉴로 등록하여, 이를 간편하게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hortcut menu is displayed and selected and executed as the input state of the menu key, or whether the desired function is registered in the shortcut menu. In addition, a menu that a user wants to quickly perform a function or a menu of a frequently used function is registered as a shortcut menu in advance, so that it can be easily checked and selected.

첨부된 도 5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실제 이동통신단말기로 적용된 경우의 표시화면 상태 및 내부 제1메모리 230 및 제2메모리 240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display scre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pplied and the states of the internal first memory 230 and the second memory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축 메뉴 상태로 진입하여 1번의 A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제1메모리 230에 있어 1번 A기능에 해당하는 A프로그램의 호출을 이룬다. 그러면 상기 제2메모리 240에 있어 저장된 A기능의 해당 프로그램이 독출되어 실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당 기능의 수행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is, when the user enters the shortcut menu state and selects the first A function, the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first A function in the first memory 230 is called. Then, the corresponding program of the A function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40 is read and executed. Therefore, the function is performed quickly.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메뉴와, 신속하게 실행하기를 원하는 기능의 메뉴를 단축 메뉴로 등록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곧바로 표시하여 그의 선택을 이루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해당 메뉴 선택을 이룸에 있어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nu of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a user and a menu of functions desired to be executed quickly are registered as shortcut menus and displayed immediately on the user's request, thereby making their sel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horten the time to achieve the menu selection.

Claims (6)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에 있어서,In the menu sele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정 시간 미만의 키 누름 시간을 갖는 메뉴키 입력에 있어서는, 미리 등록된 단축메뉴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단축메뉴 표시과정과,In a menu key input having a key press time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a shortcut menu display proces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a shortcut menu registered in advance; 상기 단축메뉴의 표시 과정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 선택 커서의 이동을 행하고, 이동 결과에 해당하여 적절한 메뉴의 커서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해당 메뉴에 있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선택 방법.In the display process of the shortcut menu, the selection cursor is moved as required by the user, and if there is a cursor selection of an appropriate menu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result, the function is performed to perform a specified function in the selected menu. Short menu sele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미리 지정된 단축 메뉴 등록키의 선택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의 해당 기능을 호출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선택 방법.And if there is no selection input of the predetermined shortcut menu registration key, call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selected menu and executing the shortcut men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과정에서, 지정된 기능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signated function is 해당 메뉴에 대응하여 비휘발성 메모리로 저장되어 등록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선택 방법.A shortcut menu sele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menu is registered.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에 있어서,In the menu sele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정 시간 이상의 키 누름 시간을 갖는 메뉴키 입력에 있어서는, 초기 구현된 초기 메뉴를 표시하는 초기메뉴 표시 과정과,In the menu key input having a key press time of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 initial menu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an initial implemented initial menu, 상기 초기메뉴 표시 과정에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해당 메뉴 선택을 이룬 후, 연이어 미리 지정된 단축 메뉴 등록키의 선택 입력에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를 단축메뉴로 등록하는 단축메뉴 등록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선택 방법.In the initial menu display process, if a corresponding menu selection is mad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if there is a selection input of a predetermined shortcut menu registration key, the shortcut menu registration process registers the selected menu as a shortcut menu. A method of selecting a shortcut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메뉴의 등록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gistration of the shortcut menu is 동작 메모리로 동작하는 휘발성 메모리에 일정 순서로 저장되어 등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선택 방법.Method for selecting a shortcut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a predetermined order in the volatile memory operating as the operating memory.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에 있어서,In the menu sele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로부터의 메뉴키 입력 상태를 체크하여, 단축 메뉴 표시 혹은 단축 메뉴 모드로 진입하는 제1과정과,A first step of checking a menu key input state from a user and entering a shortcut menu display or a shortcut menu mode; 상기 제1과정에서, 단축 메뉴 표시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단축 메뉴의 표시와 표시된 단축 메뉴에 있어 선택 입력된 메뉴가 있는 경우 해당 메뉴의 대응 기능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제2과정과,In the first step, when entering the shortcut menu display mode, the second step of calling and execut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when there is a menu input in the display of the registered shortcut menu and the selected shortcut menu, and 상기 제1과정에서, 단축 메뉴 등록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에 있어 선택 입력된 메뉴를 단축 메뉴로 등록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선택 방법.In the first process, when entering the shortcut menu registration mode, a mobile communication comprising a third process of displaying a menu executable in the terminal and registering the selected input menu in the displayed menu as a shortcut menu How to select a shortcut menu on your device.
KR1019990037467A 1999-09-03 1999-09-03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 KR200100262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67A KR20010026243A (en) 1999-09-03 1999-09-03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67A KR20010026243A (en) 1999-09-03 1999-09-03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243A true KR20010026243A (en) 2001-04-06

Family

ID=1961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467A KR20010026243A (en) 1999-09-03 1999-09-03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243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876A (en) * 2001-11-26 2003-06-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menu according to the keypad loc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phone
KR20030056088A (en)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frequently accessed menu in mobile phone
KR20030056557A (en)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direct selection of a specific menu using shortcut keys
KR100390364B1 (en) * 2000-12-13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mobile station
KR100411892B1 (en) * 2001-04-09 2003-12-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pop menu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38904B1 (en) * 2001-09-07 2004-07-03 (주) 엘지텔레콤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nu in a mobile system
KR100464028B1 (en) * 2002-03-26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input mode change
KR100868311B1 (en) * 2002-10-24 2008-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enu display method
KR101221202B1 (en) * 2005-11-25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Multimedia Player with bookmarking function and Method of bookmarking in that
KR101233802B1 (en) * 2006-05-04 2013-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WO2013058533A3 (en) * 2011-10-19 2013-07-04 Jung Jae Lark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aus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be executed in the activ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364B1 (en) * 2000-12-13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mobile station
KR100411892B1 (en) * 2001-04-09 2003-12-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pop menu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38904B1 (en) * 2001-09-07 2004-07-03 (주) 엘지텔레콤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nu in a mobile system
KR20030042876A (en) * 2001-11-26 2003-06-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menu according to the keypad loc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phone
KR20030056088A (en)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frequently accessed menu in mobile phone
KR20030056557A (en)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direct selection of a specific menu using shortcut keys
KR100464028B1 (en) * 2002-03-26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input mode change
KR100868311B1 (en) * 2002-10-24 2008-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enu display method
KR101221202B1 (en) * 2005-11-25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Multimedia Player with bookmarking function and Method of bookmarking in that
KR101233802B1 (en) * 2006-05-04 2013-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US8831557B2 (en) 2011-10-19 2014-09-09 Ideazzan Company, Inc.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US9633373B2 (en) 2011-10-19 2017-04-25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WO2013058533A3 (en) * 2011-10-19 2013-07-04 Jung Jae Lark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aus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be executed in the activ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918074B2 (en) 2011-10-19 2014-12-23 Ideazzan Company, Inc.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ing medium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communiction terminal is activated
US9179298B2 (en) 2011-10-19 2015-11-03 Firstface Co., Ltd.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US9307396B2 (en) 2011-10-19 2016-04-05 Firstface Co., Ltd. System,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upon activ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3988443B (en) * 2011-10-19 2016-08-17 弗思特费斯有限公司 Metho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wh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tivates
CN103988443A (en) * 2011-10-19 2014-08-13 郑在落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du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tivation
US9639859B2 (en) 2011-10-19 2017-05-02 Firstface Co., Ltd. System,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upon activ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779419B2 (en) 2011-10-19 2017-10-03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9959555B2 (en) 2011-10-19 2018-05-01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9978082B1 (en) 2011-10-19 2018-05-22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939B1 (en) Man machine interface help search tool
US6782279B2 (en) Method for simplifying cellular phone menu selection
US95212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KR1004389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nu in a mobile system
KR20010026243A (en)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portable terminal phone
JP4818478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application software activation method
KR20040048897A (en) Intelligent search and selection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2730B1 (en) method for executing menu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KR101186211B1 (en)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verting method thereof
KR100312232B1 (en) User data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lephon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panel
KR20050082874A (en) Method for setting hot key of mi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93958B1 (en) Selection method of display menu in portable telephone
KR100607927B1 (en) Portable terminal for driving specific menu and method for driving menu
KR100584136B1 (en) An apparatus to set up the hot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7072B1 (en)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for icon moving in handheld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86831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enu display method
KR19990018115A (en) How to Set Shortcut Menu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17194B1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list in a mobile telephone
KR100425709B1 (en) Short cut set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239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icon in portable terminal
KR100424470B1 (en) Digital portable terminal equipment having specific function key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of
US2007006396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3872478B2 (en) Terminal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100479588B1 (en)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in terminal
KR20000056153A (en)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ing status of phonebook in digital portable phon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p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