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428A -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428A
KR20000067428A KR1019990015232A KR19990015232A KR20000067428A KR 20000067428 A KR20000067428 A KR 20000067428A KR 1019990015232 A KR1019990015232 A KR 1019990015232A KR 19990015232 A KR19990015232 A KR 19990015232A KR 20000067428 A KR20000067428 A KR 20000067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oam
air
filter
resin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중
Original Assignee
이충중
주식회사 신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중, 주식회사 신창테크 filed Critical 이충중
Priority to KR101999001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7428A/ko
Publication of KR2000006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4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를 위하여 자동차 내연기관 등에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을 여과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여과용 필터는, 통상의 부직포의 표면에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활성탄,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제올라이트 및 가교제 등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득된 에멀젼액을 공기로 블로잉가공하여 수득된 수지거품을 코팅하고, 건조시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거품에서의 거품의 크기 및 안정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높은 공기투과도와 높은 여과효율을 갖는 우수한 공기여과용 필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Fil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연소를 위하여 자동차 내연기관 등에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을 여과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에서의 필터의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내연기관은 실린더내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료와 연료의 연소를 위한 공기가 혼합되어 실린더내에서 연소되고, 이때의 연소에너지로 피스톤을 밀어 구동휠을 회전시켜 차량을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린더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고도로 청정하여야 하며, 먼지 등 불순물이 많은 겨우, 이 불순물들이 실린더의 내벽과 피스톤 사이에 끼여 정상적인 동작을 곤란하게 하고, 내연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며, 미소량의 먼지만 들어가도 내연기관에서의 윤활유 등을 오염시켜, 역시 내연기관의 정상적인 동작을 곤란하게 하고, 내연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내연기관들에는 청정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필터를 채용하고 있으며, 도 1에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필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통상의 필터는 실질적으로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11)와 이를 고정시키는 필터케이스(12) 및 이 필터케이스(12)의 외주면에 취부되어 필터케이스(12)가 취부되는 필터하우징(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도시하지 않음) 간의 기밀을 유지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패킹(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필터 그 자체로서, 이 필터는 통상의 부직포(?? 종래의 자동차용 필터에 관한 자료가 있으시면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로 이루어진다.
통상, 부직포라 함은 천연섬유나 인조섬유 SF나 또는 합성 필라멘트가 접착제, 용융섬유 등에 의한 접착방법 또는 기계적 방법(예를 들면, 니들펀치(needle punch)법 또는 스티치(stitch)법) 등에 의하여 접합된 포상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잘 늘어나고, 힘없는 직물들을 보강하고, 그 외에 특수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특히, 부직포는 도 2에 전자현미경사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를 이루는 섬유들 사이에 틈(기공)이 무수하게 존재하는 형태를 가지며, 이들 기공들 사이로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여과용 필터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필터는 기공의 형성에 제한이 많아 개개 기공의 크기를 작게하면 먼지의 여과효율은 높아지나 단위시간 당 내연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하여 불완전연소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었으며, 기공의 크기를 작게하면 내연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반대로 먼지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여과효율과 공기공급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필터의 개발이 필요하였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공급량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미세한 먼지까지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여과용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용 공기의 여과와 동시에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등으로 유해가스를 흡착하고, 산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공기여과용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여과용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여과용 필터에 사용되는 원단으로서의 필터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표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사진(배율 100배)이다.
도 3은 도 2의 부직포를 본 발명에 따라 수용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거품코팅한 필터의 표면을 배율 150배로 촬영한 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도 2의 부직포를 본 발명에 따라 거품코팅된 필터의 표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사진(도 4는 배율 50배, 도 5는 배율 100배, 도 6은 배율 400배 및 도 7은 배율 1,000배)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코팅된 필터에 먼지를 적용시킨 후, 필터표면(도 8), 필터단면(도 9) 및 필터이면(도 10)에 잔류하는 먼지의 분포를 촬영한 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코팅된 필터에 먼지를 적용시킨 후, 필터표면에 잔류하는 먼지의 분포를 배율 1,000배로 확대하여 촬영한 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코팅된 필터(①, ②)종래의 기술의 하나인 라미네이션공법에 따라 코팅된 필터(③)의 평균기공크기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필터 12 : 필터케이스
13 : 패킹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여과용 필터는, 통상의 부직포의 표면에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활성탄,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제올라이트 및 가교제 등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득된 에멀젼액을 공기로 블로잉가공하여 수득된 수지거품을 코팅하고, 건조시켜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여과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활성탄,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제올라이트 및 가교제들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에멀젼액준비단계; 상기 에멀젼액을 거품발생기에 투입하고, 공기를 블로잉하여 수지거품을 발생시키는 수지거품준비단계; 상기에서 수득된 수지거품을 거품코팅기에 공급하고, 통상의 부직포의 표면에 거품상태를 유지하도록 코팅하는 수지거품코팅단계; 및 상기 거품코팅된 부직포를 90 내지 170℃의 온도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승온되도록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여과용 필터는 부직포의 표면에 수지거품을 코팅시키고, 코팅된 수지거품을 열처리 등에 의하여 경화시켜 거품구조가 그대로 다공성의 수지층을 이루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여과용 필터는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활성탄,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제올라이트 및 가교제 등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득된 에멀젼액을 공기로 블로잉가공하여 수지거품을 수득한 후, 이를 통상의 부직포의 표면에 코팅하고, 건조시켜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성수지는 통상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는 합성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 및 실리콘수지 등의 에멀젼화제 등과 같은 저중합도의 합성수지로서,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용성수지에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및 가교제 등을 가하고 균질하게 혼합하여 수지베이스를 형성하므로써, 거품제와 계면활성제 등의 작용에 의하여 수지거품이 잘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일단 발생된 수지거품은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등의 작용에 의하여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며, 증점제에 의하여 수지거품이 부직포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수지거품층이 부직포의 표면 상에 잘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수지거품의 형성은 수지베이스내로 공기를 불어넣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거품발생기 역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가교제의 첨가에 의하여 부직포상의 수지거품층의 거품의 표면경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기충진제와 함께 기계적성질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및 가교제 등은 모두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거품의 형성을 위한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가교제들의 혼합비 역시 수득하고자 하는 수지거품과 그에 따른 필터의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에서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는 모두 다수의 기공들을 포함하는 것들로서 일반적으로 비표면적이 크고, 높은 흡착성을 보이는 물질들이다. 활성탄은 전자수용체로서 할로겐 또는 할로겐화물을 잘 흡착하며, 대기중의 할로겐화물 등의 유해가스를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제올라이트 역시 기공의 크기에 기인하는 선택성에 의하여 분리기능과 촉매기능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상기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들은 모두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상용화된 것을 구입하여 촉매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들이다.
특히 상기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들은 모두 담체로 사용되어 백금, 팔라듐 또는 바나듐 등의 전이금속을 코팅하거나 이온교환법으로 함침시키는 것에 의하여 높은 산화촉매 및 산소활성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거품의 형성을 위한 에멀젼액에 포함되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들은 그대로 또는 전이금속을 코팅하거나 이온교환법으로 함침시켜 촉매활성을 증가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전이금속의 코팅이나 함침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연기관의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산소활성화 효과를 위하여는 백금이 코팅되거나 함침된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는 두가지 모두 동시에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한가지만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활성탄,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사용량은 촉매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의 양으로 한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지거품의 형성을 위한 에멀젼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5중량부 미만의 함량으로는 충분한 촉매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것은 수지거품의 형성이나 코팅에 적절한 물성의 수지거품을 수득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수지거품의 형성을 위한 에멀젼액 자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 등에 의하여 또는 통상적인 다른 방법 등에 의하여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될 수 있는 수지거품을 부직포의 표면에 거품이 유지된 상태대로 적용시켜 이들 수지거품의 경화에 의하여 부직포의 표면에 거품구조에 기인하는 3차원적인 망상구조의 수지거품층을 형성시키므로써 이 수지거품층내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들이 부직포 중의 기공들과 함께 필터로 작용토록 하여 미세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여과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에멀젼액준비단계에서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가교제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에멀젼액을 준비하고, 수지거품준비단계에서 상기 에멀젼액을 거품발생기에 투입하고, 공기를 블로잉하여 수지거품을 발생시킨 후, 수지거품코팅단계에서 수득된 수지거품을 거품코팅기에 공급하고, 통상의 부직포의 표면에 거품상태를 유지하도록 코팅한 다음 열처리단계에서 상기 거품코팅된 부직포를 90 내지 170℃의 온도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승온되도록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멀젼액준비단계에서는 부직포 상에 코팅될 수지거품을 형성하기 위한 기본작업으로 수지거품을 형성할 에멀젼액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가교제들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지거품준비단계에서는 수득된 상기 에멀젼액을 거품발생기에 투입하고, 공기를 블로잉하여 수지거품을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에서의 거품발생기는 역시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지베이스내로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가 수지베이스를 통하여 방출되면서 거품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지거품준비단계에서는 수지베이스에 가해지는 공기의 공급속도가 거품의 크기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로서, 공기가 분출되는 믹싱헤드에서의 공기공급속도가 1 내지 3l/min이 범위가 바람직함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상기 공기공급속도가 1l/min 미만이 되는 경우, 발생되는 거품의 크기가 매우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거품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3l/min을 초과하는 경우, 생성되는 거품의 크기가 너무 커지게 되어 이러한 수지거품층이 코팅된 부직포로 된 필터는 필터로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되어 적정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지거품코팅단계에서는 상기 수지거품준비단계에서 수득된 수지거품을 통상의 거품코팅기에 공급하고, 통상의 부직포의 표면에 거품상태를 유지하도록 코팅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여기에서는 일단 생성된 수지거품을 거품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대로 부직포의 표면에 적용시켜 부직포 표면 상에 수지거품이 그대로 망상구조(network structure)로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거품코팅기 역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서, 수지거품이 부직포의 표면에 0.1 내지 0.3mm의 두께로 적층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후속되는 열처리단계에서는 상기 거품코팅된 부직포를 90 내지 170℃의 온도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승온되도록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수지거품층을 이루는 수지거품이 건조되고, 경화되어 거품형상 그대로 단단하게 굳어져서 수지거품층을 이루게 되며, 이들 거품형상에 의하여 자연히 이 수지거품층에는 다수의 균일한 기공들이 형성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두께 1mm의, 300 내지 600g/m2의 부직포(폴리에스터, 나일론 소재)의 표면에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아크릴에멀젼과 우레탄에멀젼의 1 : 1 혼합물로 된 수용성수지와 통상의 아크릴수지 주제의 증점제, 알킬술폰산화물로 된 거품제, 암모늄스테아레이트로 된 거품안정제, 탄소수 12 이상의 알킬술폰산나트륨을 주제의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로서의 분말상의 탈크 및 아크릴모노머를 함유하는 가교제, 80메쉬의 입경을 갖는 활성탄 등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에멀젼액을 준비하고, 이를 통상의 거품발생기에서 2l/min의 속도로 공기를 정량적으로 공급하면서 혼합속도 300 내지 500rpm, 거품발생비율(blow rate) 2 : 1 내지 5 : 1로 조절하여 거품안정성을 유지시키면서 미세한 수지거품을 발생시켰다. 계속해서, 수득된 수지거품은 통상의 거품코팅기에 공급하고, 상기 수지거품이 거품의 적용속도를 조절하는 스크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스크류의 회전속도를 20 내지 100rpm으로 조절하면서 수지거품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부직포의 표면에 근접시켜 4.5 내지 15m/min의 속도로 이송되는 부직포의 표면에 수지거품을 분사하여 부직포의 표면에 수지거품이 0.1 내지 0.3mm의 두께로 코팅되도록 코팅하였다.
수지거품이 코팅된 부직포는 예열된 건조로에 투입하고, 90 내지 170℃의 온도범위 이내에서 서서히 승온되도록 가온하여 수지거품을 건조시켰다. 수득된 필터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배율을 달리하면서 촬영하여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배율은 도 4는 배율 50배, 도 5는 배율 100배, 도 6은 배율 400배 및 도 7은 배율 1,000배이다.
실시예 2
수용성수지를 아크릴에멀젼과 우레탄에멀젼의 혼합물 대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에멀젼과 폴리페닐렌술피드(PPS)의 에멀젼의 1 : 1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필터를 제조하였으며, 후공정으로서 전자선조사와 700 내지 900℃에서의 가스신징 및 250 내지 350℃에서의 고온캘린더링 가공을 더 수행하여 표면경화를 수행하여 내열, 내화학성을 부가시켰다. 수득된 필터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배율 150배로 촬영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경우, 먼지의 여과 후의 필터의 전자현미경사진을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터의 표면(도 8)에만 먼지가 포집되고, 단면(도 9) 및 이면(도 10)에는 전혀 포집된 먼지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먼지가 필터의 표면에서만 포집되고, 그에 따라 이러한 먼지들은 쉽게 탈진될 수 있으며, 여과능을 쉽게 회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도 11의 전자현미경사진(배율 1,000배)의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먼지 적용후의 표면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지의 입경에 불문하고 매우 미세한 먼지들까지도 효과적으로 집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집진능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평균기공크기분포(①, ②)가 매우 좁고 크게 나타나 미세하고, 균일한 기공들이 형성되었음을 보여주는 반면에, 종래의 필터의 평균기공크기분포(③)가 비교적 넓게 나타나 기공의 크기가 일정치 않고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필터가 50 내지 100㎛의 평균입경의 먼지들을 제거할 수 있음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최소 14㎛의 입경의 먼지들까지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극히 미세한 먼지들까지 제거하여 매우 깨끗한 연소용 공기가 내연기관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내연기관의 수명과 내연기관용 윤활유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 및 시험들을 종합한 결과,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필터는 3차원 망상구조의 일종인 허니컴구조(벌집형상)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높은 공기투과도와 높은 여과효율을 나타내어 고효율의 집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수득된 필터 역시 높은 공기투과도와 높은 여과효율을 나타내어 고효율의 집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거품층을 이루는 수지거품에서의 거품의 크기 및 안정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다수의 기공을 갖는 수지거품층을 부직포의 표면에 형성시켜 미세한 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필터의 제조가 가능하며, 수득된 필터는 9 내지 107cm3/cm2/sec 정도의 통기도를 가지며, 3차원적인 미세한 다공질 구조가 형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거품에서의 거품의 크기 및 안정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높은 공기투과도와 높은 여과효율을 갖는 우수한 공기여과용 필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통상의 부직포의 표면에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 및 실리콘수지 등의 에멀젼화제 등과 같은 저중합도의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활성탄,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제올라이트 및 가교제 등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득된 에멀젼액을 공기로 블로잉가공하여 수득된 수지거품을 코팅하고, 건조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용 필터.
  2. 수용성수지, 아크릴계 증점제, 거품제, 거품안정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진제, 1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는 활성탄,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들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에멀젼액준비단계;
    상기 에멀젼액을 거품발생기에 투입하고, 공기를 블로잉하여 수지거품을 발생시키는 수지거품준비단계;
    상기에서 수득된 수지거품을 거품코팅기에 공급하고, 통상의 부직포의 표면에 거품상태를 유지하도록 코팅하는 수지거품코팅단계; 및
    상기 거품코팅된 부직포를 90 내지 170℃의 온도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승온되도록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열처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용 필터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거품준비단계에서 공기공급속도가 1 내지 3l/min이 범위 이내로 되도록 하여 수지베이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공기여과용 필터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거품코팅단계에서 수지거품이 부직포의 표면에 0.1 내지 0.3mm의 두께로 적층되도록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공기여과용 필터의 제조방법.
KR1019990015232A 1999-04-28 1999-04-28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7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232A KR20000067428A (ko) 1999-04-28 1999-04-28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232A KR20000067428A (ko) 1999-04-28 1999-04-28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428A true KR20000067428A (ko) 2000-11-15

Family

ID=1958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232A KR20000067428A (ko) 1999-04-28 1999-04-28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742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749A (ko) * 1999-09-29 2001-06-15 이충중 탈취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356411B1 (ko) * 1999-12-17 2002-10-19 한국바이린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용 공기청정기 필터여재와 그 제조방법
KR20030067870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신창테크 삼차원 초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09329B1 (ko) * 2002-05-30 2005-08-23 주식회사 현우기술연구 탁주찌꺼기가 붙지 않는 가스 배출용 부직포필터와 그 제조방법
KR100807499B1 (ko) * 2001-03-30 2008-02-25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케미컬필터
KR100807465B1 (ko) * 2007-01-02 2008-02-25 신동호 미세분진 여과용 방염 집진필터의 제조방법
KR100934699B1 (ko) * 2006-12-28 2009-12-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거품코팅을 이용한 중·고온 배가스 처리용 여과체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과체
WO2016028061A1 (ko) * 2014-08-18 2016-02-25 주식회사 엘지전자 포집판 제조 방법 및 부유 미생물 측정장치
WO2022025523A1 (ko) * 2020-07-31 2022-02-03 현성춘 활성탄이 코팅된 담체를 포함하는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749A (ko) * 1999-09-29 2001-06-15 이충중 탈취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356411B1 (ko) * 1999-12-17 2002-10-19 한국바이린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용 공기청정기 필터여재와 그 제조방법
KR100807499B1 (ko) * 2001-03-30 2008-02-25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케미컬필터
KR20030067870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신창테크 삼차원 초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09329B1 (ko) * 2002-05-30 2005-08-23 주식회사 현우기술연구 탁주찌꺼기가 붙지 않는 가스 배출용 부직포필터와 그 제조방법
KR100934699B1 (ko) * 2006-12-28 2009-12-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거품코팅을 이용한 중·고온 배가스 처리용 여과체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과체
US8431187B2 (en) 2006-12-28 2013-04-30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Manufacturing method of filter media available at medium and high temperature exhaust gas using foam coating technology and filter media manufactured thereby
KR100807465B1 (ko) * 2007-01-02 2008-02-25 신동호 미세분진 여과용 방염 집진필터의 제조방법
WO2016028061A1 (ko) * 2014-08-18 2016-02-25 주식회사 엘지전자 포집판 제조 방법 및 부유 미생물 측정장치
WO2022025523A1 (ko) * 2020-07-31 2022-02-03 현성춘 활성탄이 코팅된 담체를 포함하는 필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582B1 (ko) 환경 정화재
US5582865A (en) Non-woven filter composite
US20030084788A1 (en) Foam coated air filtration media
US20060207234A1 (en) Coalescing filter elements comprising self-sustaining, bonded fiber structures
JP2004508447A5 (ko)
JP2009526635A (ja) ファインファイバーと反応性、吸着性または吸収性微粒子とを含むウェブ
EP0800863A1 (en) Adsorbent article with dust collecting function
US20040250683A1 (en) Advanced filtration devices and methods
KR20040049279A (ko) 다층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필터
KR20000067428A (ko) 공기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9502542A (ja) 触媒フィルタ材料
KR19990085106A (ko) 미세분진 여과용 집진필터 및 그 제조방법
EP0418285B1 (en) Coated textile materials
KR20130075514A (ko) 비대칭 다공성 시트,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공조용 에어필터
KR101041505B1 (ko) 적층형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적층형 세라믹 필터
KR101061566B1 (ko) 다공성 탈취 필터의 제조방법
KR20000000187A (ko) 탈취필터 및 그 제조방법
WO2021243160A1 (en) Filter media comprising adsorptive particles
JP2007083163A (ja) 焼却システム用成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30847A (ko) 필터 및 필터의 제조 방법
KR100900818B1 (ko) 3차원 미세기공을 갖는 공조용 프리필터
US6440266B1 (en) Production of reactive material containing webs
KR102369829B1 (ko) 절곡가능한 자동차용 콤비필터의 여재
JP4030146B2 (ja) 光反応性有害物除去材
KR101013158B1 (ko) 필터용 여과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