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531A - 광물 분말이 포함된 합성섬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물 분말이 포함된 합성섬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531A
KR20000049531A KR1020000017775A KR20000017775A KR20000049531A KR 20000049531 A KR20000049531 A KR 20000049531A KR 1020000017775 A KR1020000017775 A KR 1020000017775A KR 20000017775 A KR20000017775 A KR 20000017775A KR 20000049531 A KR20000049531 A KR 2000004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weight
composition
powder
miner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미수
Original Assignee
석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미수 filed Critical 석미수
Priority to KR1020000017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9531A/ko
Publication of KR2000004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531A/ko
Priority to KR10-2001-0007699A priority patent/KR100451574B1/ko
Priority to DE10115941A priority patent/DE10115941B4/de
Priority to SE0101185A priority patent/SE521257C2/sv
Priority to ZA200102726A priority patent/ZA200102726B/xx
Priority to AU33405/01A priority patent/AU3340501A/en
Priority to GB0108299A priority patent/GB2361007B/en
Priority to IT2001MI000715A priority patent/ITMI20010715A1/it
Priority to JP2001105149A priority patent/JP3631440B2/ja
Priority to SG200102256A priority patent/SG94807A1/en
Priority to CA002343500A priority patent/CA2343500A1/en
Priority to NO20011666A priority patent/NO20011666L/no
Priority to BR0101313-0A priority patent/BR0101313A/pt
Priority to CNB011178612A priority patent/CN1164806C/zh
Priority to FR0104613A priority patent/FR2807031A1/fr
Priority to US09/825,593 priority patent/US6669882B2/en
Priority to IDP20010296D priority patent/ID29741A/id
Priority to MXPA01003456A priority patent/MXPA01003456A/es
Priority to ES200100795A priority patent/ES2194579B1/es
Priority to HK01108474A priority patent/HK1037695A1/xx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04L12/2861Point-to-multipoint connection from the data network to the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 분말을 화학수지와 혼합하여 방사함에 있어서 설비(부속)를 마모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원사의 표층이 미끈하며, 부드럽고, 유연성이 있는 섬유를 생산할 수 있도록 기능성이 있고 광물의 결정형이 탁상으로 되어 있으며, 비늘상 또는 판상이 있고 미끄러운 필로규산염 광물(층상 구조형)들을 미분말로 조성하여 화학수지와 혼합하여 방사하므로서 각종 기능성을 섬유가 보유하면서 사질이 우수한 합성 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광물 분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물 분말이 포함된 합성섬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광물 분말을 이용하여 화학수지와 혼합하여 원사를 방사하였을 때 원사의 표층이 매끄럽고, 유연성이 있으며, 원활한 원사 생산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 등 각종 다기능의 효과를 낼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물의 종류는 표1과 같다.
[표1]
원소 광물, 황화 광물, 할로겐 광물, 산화 광물, 수산화 광물, 질산염 광물, 탄산염 광물, 붕산염 광물, 황산염 광물, 크롬산 광물, 텅스텐산염 광물, 몰리브덴산염 광물, 인산염 광물, 비산염 광물, 바나듐산염 광물, 규산염 광물(기소규산염, 소로규산염, 싸이클로규산염, 이노규산염, 필로규산염, 텍토규산염), 유기염 광물, 인공합성 광물.
상기 광물들은 천연자연 광물들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인공 합성 광물들이다. 특히 상기 광물 분말을 첨가하여 합성 섬유를 생산할 때 유의할 점은 의생활 소재로 사용시 광물이 유독성 물질이 없고 인체에 전혀 유해 물질이 없어야 하며, 방사능 또는 방사능훈이 없어야 한다.
종래에는 상기 광물 분말을 화학수지에 일정량 첨가하여 방사, 연신, 가연, 컷팅, 방적, 재직을 하는 일련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화학수지에 첨가된 광물의 분말이 설비의 부속 즉 쇠붙이(종강, 롤러, 가이드, 바디)등에 마찰되어 부속을 마모시키며, 원사의 표층이 균일하지 않고 사절이 빈번하여 정상적인 섬유를 생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반 화학 섬유에 비해 부드럽고 유연성이 있는 섬유를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표1의 광물 그룹 중에서 선택한 결정형이 탁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는 판상이 있고 비늘상이며, 광물의 분말이 미끄러운 광물들을 미분말로 조성하여 첨가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미 오래전부터 합성 섬유에 첨가해 오던 광물들은 일본에서 많이 사용하던 인공 합성 광물 분말을 비롯하여 은(Ag), 인산칼슘계, 제올라이트 등 무기항균제, 게르마늄, 맥반석, 옥석류, 토르마린, 탄소 등을 합성 섬유에 첨가하여, 항균, 소취, 원적외선, 전자파 차단, 자회선 차단, 흡착, 흡습, 음이온 방출 등 다기능 효과가 있어 오랜 기간 연구 개발을 하여 방사 하였으나 광물의 특징(결정)이 다변화로 이루어져 있어 원활한 방사 효과를 얻을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2와 같이 기능이 있는 광물의 결정형이 탁상 또는 판상, 비늘상이고 경도가 낮은 광물 중에서 1종이상과 또는 상기 표 1의 광물 중에서 1종이상을 각각 선택한 후 소성온도 800℃∼1300℃로 소성한 후 정밀 분쇄하여 분말의 입경이 10미크론 이하가 되게 하는 단계와 또는 1미크론 이하가 되게 하는 단계로 분쇄하여 혼합한 조성물을 화학수지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비스코우스레이온, 아세테이트 레이온 중에서 각각 선택한 후 혼합하여 3데니어 이하의 원사 생산에 있어서 1미크론 이하의 광물 분말 1∼3중량% 화학수지 97∼99중량%, 3데니어 이상의 원사 생산에 있어서는 방사시 원사 섬도의 1/3이하의 광물 3∼10중량% 화학수지 90∼97중량%로 광물 분말 조성물을 화학수지에 첨가하여 방사하였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조성물을 화학수지와 혼합하여 방사하면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흡습성, 항균, 소취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섬유를 생산하게 됨은 물론이고 일련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설비의 부속을 마모 시키지 않으면서 사질이 우수한 원사를 방사 할수 있다.
[표2]
◎ 필로규산염(phyllosilicates)광물 (층상구조형)
① 파이로필라이트(pyrophyllite)-Al2Si4O10(OH)2,
② 활석
◆ 백운모(白雲母)군:dioctahedral
①파라고나이트(paragonite)-NaAl2(Al,Si3)O10(OH)2,
②백운모(白雲母)(muscovite)-KAl2(AlSi3)O10(OH)2,
③해록석(海綠石)(glauconite)-(K,Na)(Al,Fe3+Mg)2(Al,Si)4O10(OH)2,
④셀라도나이트(celadonite)-K(Mg,Fe)(Fe3+,Al)Si4O10(OH)2,
⑤마아가라이트(margarite)-CaAl2(Al2Si2)O10(OH)2,
⑥운모편암(micaschist),
⑦철운모(lepidomelane)-KFeALSio(OH,F)
⑧일라이트
◆ 흑운모(黑雲母)군
①금운모(金雲母)(phlogopite)-KMg3(AlSi3)O10(F,OH),
②홍운모(lepidolite)-K(Li,Al)3(Si,Al)4O10(F,OH)2,
③진왈다이트(zinnwaldite)-KLiFe+2Al(Al,Si3)O10(F,OH)2,
④스틸프노멜레인(stilpnomelane)-K(Fe+2,Fe+3,Al)10Si22O30(OH)12
⑤레피돌라이트(lepidolite)-K(Li,Al)3(Si,Al)4O10(F,OH)2
◆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군
①베이델라이트(beidellite)-(Na,Ca/2)0.03Al2(Al,Si)4O10(OH)2ㆍnH2O,
②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Na,Ca)0.33(Al,Mg)2Si4O10(OH)2ㆍnH2O,
③논트로나이트(nontronite)-Na0.33Fe2+3(Al,Si)4O10(OH)2ㆍnH2O,
④사포나이트(sponite)-(Ca/2,Na)0.33(Mg,Fe)3(Si,Al)4O10(OH)2ㆍ4H2O,
⑤버미큘라이트(vermiculite)-(Mg,Fe,Al)3(Al,Si)4O10(OH)2ㆍ4H2O
◆ 녹니석(綠泥石)(chlorite)군
①페니나이트(penninite),
②단사녹니석(單斜綠泥石)(clinochlore)-(Mg,Fe2+)5Al(Si,Al)4O10(OH)8,
③프로클로라이트(prochlorite)=리피돌라이트(ripidolite)-(Mg,Fe,Al)6(Si,Al)4O10(OH)8,
④차모사이트(chamosite)-(Fe2+,Mg,Fe3+)5Al(Si3Al)O10(OH,O)8,
⑤투링자이트(thuringite)
◆ 캐올리나이트 - 사문석(kaolinite-serpentine)군
①캐올리나이트(kaolinite)-Al2Si2O5(OH)4,
②앤티고라이트(antigorite)-(Mg,Fe)3Si2O5(OH)4,
③온석면(溫石綿)(chrysotile)-Mg3Si2O5(OH)4,
④아메싸이트(amesite)-(Mg2Al)(AlSi)O5(OH)4,
⑤크론스텟타이트(cronstedtite),
⑥할로이사이트(halloysite)-Al2Si2O5(OH)4ㆍ2H2O 탈수에 의하여 Al2Si2O5(OH)4로 됨,
⑦팔리고스카이트(palygorskite)(=attapulgite)-(Mg,Al)2Si4O10(OH)ㆍ4H2O]
광물 분말이 첨가된 화학섬유에 있어서 문제점이었던 설비를 마모시키는 주된 원인은 금속광물의 결정형(벽개모양)이 피라미드상, 주상, 능면체상, 육면체상, 팔면체상, 십이면체상 등의 다변화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인하여 불규칙적으로 원사 표층에 나와 있어 마찰에 의한 쇠붙이는 마모됨은 물론이고 방사 설비가 고가이므로, 그 동안 정상적인 생산을 하기에는 불가능하여 실패를 거듭하였다. 또한 방사시에는 사절 발생이 빈번하여 방사가 어려웠고 정상적인 사질의 원사를 생산할수 없었다. 그러므로 광물 분말을 첨가한 합성섬유가 정상적으로 생산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섬유 표층면이 미끄러워야 하므로 결정형이 탁상 또는 판상, 비늘상 이며, 기능이 있는 파이로필라이트, 캐올리나이트(사문석)군, 몬모릴로나이트군, 녹니석군, 백운모군, 흑운모군 등의 광물 분말을 조성하여 화학수지에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룰수 있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표1 그룹에서 선택된 광물 분말 조성물 10∼80중량%와 표2 그룹에서 선택된 광물 분말 조성물 20∼90중량%를 혼합한 다음 은(銀)이온 첨가 무기 항균제 분말 조성물 10∼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만든다. 이때 광물 분말의 입경이 방사시 원사 섬도의 1/3이하가 되게하고 특히 3데니어 이하의 원사에는 1미크론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입경으로 만들어진 광물 분말을 화학 수지에 혼합할 때 그 혼합 비율은 3데니어 이하의 원사에는 광물 분말 1∼3중량%로 첨가하고 3데니어 이상 원사의 경우 광물 분말 3∼10중량%로 첨가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구체적인 예시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실시 예 1)
필로규산염 광물 중에서 선택한 백운모, 흑운모, 금운모를 옥석, 무기 항균제와 소성 온도 800℃∼1,300℃에서 소성한 후 미립자로 정밀 분쇄하여 10미크론 이하가 되게하고 운모 분말 70중량%와 옥석 분말 15중량%를 혼합한 후 무기 항균제 15중량%로 혼합 분말을 조성하였다.
(실시 예 2)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분말의 입경이 1미크론 이하가 되게 정밀 분쇄하여 혼합 분말을 조성하였다.
(실시 예 3)
표 2의 광물 그룹에서 선택한 금운모와 은이온 첨가 무기 항균제를 325메시로 분쇄하고 소성온도 800℃∼1,300℃에서 소성한 후 광물 분말의 입경이 1미크론 이하가 되게 분쇄한 광물 분말을 금운모 분말 90중량%와 무기 항균제 10중량%로 혼합 분말을 조성하였다.
(실시 예 4)
토르마린, 맥반석, 게르마늄, 탄소, 무기 항균제와 판상이 있는 광물 셀라도나이트의 광물을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하여 소성, 분쇄하고 혼합비율이 셀라도나이트 50중량%, 토르마린 15중량%, 맥반석 10중량%, 게르마늄 5중량%, 탄소 10중량%, 무기 항균제 10중량%로 혼합 분말을 조성하였다.
본 발명은 기능이 있는 광물 분말을 화학 수지와 혼합하여 원사를 생산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섬유에 복합 기능을 부여하여 줌은 물론 통상의 섬유보다 비중이 가볍고, 부드러우며, 미끄럽고, 유연성이 있는 섬유를 생산할 수 있으며 방사, 연신, 가연, 컷팅, 방적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원적외선 방출, 항균, 소취, 전자파 방지, 자외선 차단, 음이온 방출, 흡착성, 흡습성, 쾌적성, 보온, 온열 효과가 있는 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광물 분말이 포함된 조성물을 제공해 준다.

Claims (2)

  1. a) 결정형이 탁상, 판상, 비늘상인 필로규산염 광물(층상 구조형)그룹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의 광물을 소성하는 단계와,
    ㅇ 분쇄기에 의하여 325메시로 분쇄하는 단계와,
    ㅇ 분쇄기에 의하여 10미크론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와,
    ㅇ 분쇄기에 의하여 1미크론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와,
    b) 무기항균제, 은(Ag), 제올라이트, 인산칼슘계 그룹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의 무기항균제를
    ㅇ 분쇄기에 의하여 10미크론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와,
    ㅇ 분쇄기에 의하여 1미크론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와,
    c) 상기 분쇄된 광물 분말의 입경이 섬유 섬도의 1/3 이하인 필로규산염 광물 분말 70∼90중량%와,
    은(Ag), 무기 항균제 분말 10∼30중량%를 혼합한 분말 조성물을 화학수지 90∼99중량%에 광물 분말 조성물 1∼10중량%를 혼합하여 원사를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용 광물 분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광물 분말 조성물과 기능이 있는 천연 자연 광물 또는 인공 합성 광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제 1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용 광물 분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00017775A 2000-04-04 2000-04-04 광물 분말이 포함된 합성섬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9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775A KR20000049531A (ko) 2000-04-04 2000-04-04 광물 분말이 포함된 합성섬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0007699A KR100451574B1 (ko) 2000-04-04 2001-02-16 광물 분말이 첨가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섬유
DE10115941A DE10115941B4 (de) 2000-04-04 2001-03-30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sern mit funktionellem Mineralpulver und damit hergestellte Fasern
NO20011666A NO20011666L (no) 2000-04-04 2001-04-03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fiber som har funksjonelt mineralpulver og fiber fremstilt derfra
JP2001105149A JP3631440B2 (ja) 2000-04-04 2001-04-03 鉱物粉末が添加された繊維の製造方法及びこれから製造される繊維
ZA200102726A ZA200102726B (en) 2000-04-04 2001-04-03 Method of producing fiber having functional mineral powder and fiber produced therefrom.
AU33405/01A AU3340501A (en) 2000-04-04 2001-04-03 Method of producing fiber having functional mineral powder and fiber produced therefrom
GB0108299A GB2361007B (en) 2000-04-04 2001-04-03 Method of producing fiber having functional mineral powder and fiber produced therefrom
IT2001MI000715A ITMI20010715A1 (it) 2000-04-04 2001-04-03 Metodo per la produzione di una fibra avente polveri di minerali funzionali e fibra prodotta da queste
SE0101185A SE521257C2 (sv) 2000-04-04 2001-04-03 Metod för framställning av fiber med funktionellt mineralpulver, samt fiber som framställts därav
SG200102256A SG94807A1 (en) 2000-04-04 2001-04-03 Method of producing fiber having functional mineral powder and fiber produced therefrom
CA002343500A CA2343500A1 (en) 2000-04-04 2001-04-03 Method of producing fiber having functional mineral powder and fiber produced therefrom
ES200100795A ES2194579B1 (es) 2000-04-04 2001-04-04 Metodo de produccion de fibra que tiene polvo mineral funcional y fibra producida a partir del mismo.
BR0101313-0A BR0101313A (pt) 2000-04-04 2001-04-04 Processo para produzir fibra tendo pó mineral funcional e fibra produzida por meio dele
CNB011178612A CN1164806C (zh) 2000-04-04 2001-04-04 含功能性矿物粉末纤维的制法及由此制备的纤维
FR0104613A FR2807031A1 (fr) 2000-04-04 2001-04-04 Procede de preparation d'une fibre contenant de la poudre de mineral fonctionnel et fibre preparee a partir de celui-ci
US09/825,593 US6669882B2 (en) 2000-04-04 2001-04-04 Process of making fiber having functional mineral powder
IDP20010296D ID29741A (id) 2000-04-04 2001-04-04 Metoda pembuatan serat yang mengandung bubuk mineral fungsional dan serat yang dihasilkannya
MXPA01003456A MXPA01003456A (es) 2000-04-04 2001-04-04 Metodo para producir fibras que contienen polvo mineral funcional y las fibras producidas por ese metodo.
HK01108474A HK1037695A1 (en) 2000-04-04 2001-12-03 Method of producing fiber having functional mineral powder and fiber produc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775A KR20000049531A (ko) 2000-04-04 2000-04-04 광물 분말이 포함된 합성섬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531A true KR20000049531A (ko) 2000-08-05

Family

ID=1966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775A KR20000049531A (ko) 2000-04-04 2000-04-04 광물 분말이 포함된 합성섬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00049531A (ko)
ZA (1) ZA20010272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307A (ko) * 2000-12-08 2002-06-19 석미수 혼합 무기이온항균제와 광물의 혼합물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복합 기능성 제품의 제조 방법과 그것으로부터제조된 복합 기능성 제품
KR20020083540A (ko) * 2001-04-26 2002-11-04 서재균 원적외선 방사 수지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307A (ko) * 2000-12-08 2002-06-19 석미수 혼합 무기이온항균제와 광물의 혼합물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복합 기능성 제품의 제조 방법과 그것으로부터제조된 복합 기능성 제품
KR20020083540A (ko) * 2001-04-26 2002-11-04 서재균 원적외선 방사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102726B (en) 200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1440B2 (ja) 鉱物粉末が添加された繊維の製造方法及びこれから製造される繊維
CN104607039B (zh) 抗菌净化功能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EP2183193B1 (de) Einphasiges hydraulisches bindemittel, herstellungsverfahren und damit hergestellter baustoff
KR102001779B1 (ko) 다공성 세라믹 분말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 방법
Muriith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talcite from South African Coal fly ash
KR101559392B1 (ko) 나노 입자의 일라이트와 복합 기능성 광물이 함유된 섬유 제조 방법
EP2948502A2 (de) Modifizierter karbonisierter rotschlamm
KR100956759B1 (ko) 항균성, 소취성, 원적외선 방사율이 뛰어난 메모리 폼
KR20000049531A (ko) 광물 분말이 포함된 합성섬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112008000202T5 (de) Sauerstoff generierende Zusammensetzung
Sboui et al. Synthesis,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silicate apatites: Effect of synthetic methods on apatite structure and dye removal
Rajagopalachar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late like high surface area MgO nanoparticles for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MTCC 430) and Pseudomonas aeruginosa (MTCC 424) bacterias
Ibrahim et al. Fabricated CeO2/ZrO2 nanocomposite to improve thermal resistance, mechanical characteristics, microstructure and gamma radiation shielding of OPC composite cement pastes
Mohsen et al. Evaluating the role of magnesium aluminate nano spinel in phase composition, meso-porosity, compressiv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of alkali-activated slag
CN103483878B (zh) 一种白云石质凹凸棒石复合增强阻燃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51501A (ko) 스코리아를 이용한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스코리아를 이용한 항균필터 그리고 스코리아를 이용한 항균필터모듈
KR100451574B1 (ko) 광물 분말이 첨가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섬유
KR101362471B1 (ko) 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브러쉬용 모노필라멘트의 제조방법
Rohmawati et al. Identification of phase CaCO3/MgO in Bangkalan dolomite sand as an antibacterial substance
KR100354862B1 (ko) 광물을 첨가한 기능성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섬유
CN1557513A (zh) 一种产生远红外及负离子的多功能保健垫
Amin et al. Impact of electron-beam and gamma-ray on the compressive strength, surface features and phase composition of β-Ni (OH) 2-impregnating-geopolymer pastes
KR101306652B1 (ko) 고분산 무기질 분말을 함유하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Vieira et al. Rice husk ash as a raw material to produce willemite pigments
Tamashiro et al. Doping engineering for controlled hyd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Portland cement mortar with ultra-low ZnO concen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