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5021A -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5021A
KR20000025021A KR1019980041894A KR19980041894A KR20000025021A KR 20000025021 A KR20000025021 A KR 20000025021A KR 1019980041894 A KR1019980041894 A KR 1019980041894A KR 19980041894 A KR19980041894 A KR 19980041894A KR 20000025021 A KR20000025021 A KR 2000002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number
zone
recording
data
physical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344B1 (ko
Inventor
정규화
강동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344B1/ko
Priority to US09/219,118 priority patent/US6385736B1/en
Publication of KR2000002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재기록 가능한 광기록 매체 시스템에서 유저 데이터에만 부여되는 논리적 섹터 번호(LSN)로부터 실제 광 기록 매체에 부여되는 물리적 섹터 번호(PSN)를 찾는 광기록 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의 기록/재생이 필요하면 데이터에 부여된 LSN을 전송하는 호스트로부터 LSN이 입력되면 LSN에 해당하는 존을 찾기 위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LSN이 속하는 존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한 존에 해당하는 옵셋[존]을 각 존과 존 사이의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섹터 개수를 기록한 옵셋 테이블에 적용하여 구하는 단계와, 상기 LSN에 데이터 영역의 시작 PSN을 더한 후 상기 단계에서 구한 옵셋[존]을 더하여 임시 PSN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PSN이 속한 존 내에서 상기 임시 PSN보다 작은 값의 등록된 결함 섹터의 개수를 구하여 상기 임시 PSN에 더하여 최종 PSN을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호스트에서 전송하는 LSN에 해당하는 PSN을 정확히 찾음으로써, 잘못된 위치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광기록 매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저 데이터에만 부여되는 논리적 섹터 번호(Logical sector number ; LSN)로부터 실제 광 기록 매체에 부여되는 물리적 섹터 번호(Physical sector number ; PSN)를 찾는 광기록 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기록 매체는 반복 기록의 가능여부에 따라 읽기 전용의 롬(ROM)형과, 1회 기록 가능한 웜(WORM)형 및 반복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형 등으로 크게 3종류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롬형 광기록 매체는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 CD-ROM)과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롬(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 DVD-ROM) 등이 있으며, 웜형 광기록매체는 1회 기록가능한 컴펙트 디스크(Recordable Compact Disc ; CD-R)와 1회 기록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Recordable Digital Versatile Disc ; DVD-R) 등이 있다.
또한,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로는 재기록 가능한 컴펙트 디스크(Rewritable Compact Disc ; CD-RW)와 재기록 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Rewritable Digital Versatile Disc ; DVD-RAM, DVD-RW) 등이 있다.
한편, 재기록 가능형 광기록 매체의 경우, 그 사용 특성상 정보의 기록/재생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데, 이로 인해 광기록 매체에 정보 기록을 위해 형성된 기록층을 구성하는 혼합물의 혼합 비율이 초기의 혼합 비율과 달라지게 되어 그 특성을 잃어 버림으로써 정보의 기록/재생시 오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을 열화라고 하는데, 이 열화된 영역은 광기록매체의 포맷, 기록, 재생 명령 수행시 결함 영역(Defect Area)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재기록 가능형 광기록매체의 결함 영역은 상기의 열화 현상 이외에도 표면의 긁힘, 먼지 등의 미진, 제작시의 오류 등에 의해 발생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형성된 결함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결함 영역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재기록 가능한 광 기록 매체 즉,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lead-in area)과 리드-아웃 영역(lead-out area)에 결함 관리 영역(Defect Management Area ; 이하 DMA라 함)을 두어 광기록매체의 결함 영역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존별로 나누어 관리하는데, 각 존은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 영역과 상기 유저 영역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이용하기 위한 스페어(Spare)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존과 존 사이에는 이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보호 영역(guard area)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DMA에는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를 의미하는 PDL(Primary Defect List)과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를 의미하는 SDL(Secondary Defect List)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PDL은 디스크 제작 과정에서 생긴 결함 그리고, 디스크를 포맷 즉, 최초 포맷팅(Initialize)과 재포맷팅(Re-initialize)시 확인되는 모든 결함 섹터들의 엔트리들(entries)을 저장한다. 또한, SDL은 블록 단위로 리스트되는데, 포맷 후에 발생하는 결함 영역들이나 포맷동안 PDL에 저장할 수 없는 결함 영역들의 엔트리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광 디스크에서는 각 섹터마다 LSN과 PSN을 가지고 있는데, LSN은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유저 영역에만 부여된 값이고 PSN은 디스크 제조 과정에서 디스크의 각 섹터마다 부여한 디스크 상의 물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다.
그러므로, 데이터 영역 내에 결함이 전혀 없다면 도 3a와 같이 PSN은 모든 영역에 걸쳐 부여되지만 LSN은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 영역에만 부여된다.
한편, 데이터 영역 내에 결함이 있으면 상기 데이터 영역내의 결함 영역들(즉, 결함 섹터 또는 결함 블록)은 정상적인 영역으로 대체되어지는데, 대체 방법으로는 통상 슬리핑 대체(slipping replacement) 방법과 리니어 대체(linear replacement) 방법이 있다.
상기 슬리핑 대체방법은 결함 영역이 PDL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 영역(user area)에 PDL에 리스트된 결함 섹터가 존재하면 그 결함 섹터를 건너뛰고 대신에 그 결함 섹터 다음에 오는 정상 섹터로 대체되어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때, 상기 PDL에 리스트된 결함 섹터에 PSN은 그대로 있지만 상기 결함 섹터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지 않으므로 LSN은 없으며, 대신 결함 섹터의 수만큼 스페어 영역에 LSN이 할당된다. 여기서, LSN이 부여되는 스페어 영역은 포맷팅에 의해 유저 영역이 된다.
또한, 리니어 대체 방법은 결함 영역이 SDL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영역이나 스페어 영역에 SDL에 리스트된 결함 블록(defect block)이 존재하면 스페어 영역에 할당된 블록 단위의 대체(replacement) 영역으로 대체되어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때, 상기 결함 블록의 각 섹터들에 할당된 PSN은 그대로 존재하지만 LSN은 데이터와 함께 대체 블록으로 함께 이동한다.
도 4는 일반적인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광픽업, 상기 광 픽업을 이송시키는 픽업 이송부,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광 픽업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 인터페이스,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콤 등으로 구성되고,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인터페이스에는 호스트(host)가 연결되어 상호간에 명령어와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는 일종의 PC(Personal computer)로서, 광 디스크 기록장치가 상기 PC의 지원을 받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 4에서 기록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되면 호스트는 기록 명령을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보낸다. 상기 기록 명령은 기록 위치를 지정하는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Logical Block Address ; LBA)와 데이터의 크기를 알려주는 전송 길이(transfer length)를 포함한다. 이어서, 호스트는 기록할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로 보낸다. 여기서, 상기 LBA는 LSN과 같은 의미이다.
상기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는 호스트로부터 광디스크에 기록할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시작 LBA로부터 해당 시작 PSN을 찾아 전송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이는 상기 LBA가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에만 부여되는 값이지 디스크 상의 실제 위치는 아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는 광디스크의 결함을 표시하는 정보인 PDL과 SDL을 이용하여 결함이 있는 영역에는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다.
즉, PDL에 기록된 물리적 섹터(physical sector)는 건너뛰면서 기록하고, SDL에 기록된 물리적 블록(physical block)은 스페어 영역에 할당된 대체(replacement) 블록으로 대체해 가면서 기록하게 된다.
또한, 기록이나 재생시에 SDL에 리스트되어 있지 않은 결함 블록 또는 에러 소지가 많은 블록이 있으면 데이터 보호를 위해 이 블록을 결함 블록으로 간주하고, 스페어 영역의 대체 블록을 찾아 상기 결함 블록의 데이터를 재기록한 후 상기 결함 블록의 위치 정보를 SDL 엔트리에 등록한다.
이와같이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시에 결함 영역이 있으면 그 위치에는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으므로 그 결함 영역에는 LSN이 할당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호스트에서 전송하는 LBA에 해당하는 정확한 PSN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만일 정확한 PSN을 찾지 못하면 잘못된 위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게 된다.
그런데,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그 결함이 있는 위치에는 LSN이 없으므로 시작 LBA에 해당하는 실제의 시작 PSN을 찾기가 어렵다. 특히, 스페어 영역이 존별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에는 더욱 어렵게 된다. 이는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도 LSN이 할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을 이용하여 호스트가 전송하는 LSN에 해당하는 PSN을 정확하게 찾도록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영역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는 결함이 없을 때의 PSN과 LSN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일반적인 슬리핑 대체 방법과 이때의 PSN과 LSN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c는 일반적인 리니어 대체 방법과 이때의 PSN과 LSN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에서 물리적 존 영역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에서 시작 LSN이 속한 존을 찾기 위한 테이블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에서 PSN을 찾기 위한 옵셋 테이블
도 9a는 일반적인 데이터 유니트 1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9b는 도 9a의 데이터 ID의 구조를 보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은, 데이터의 기록/재생이 필요하면 데이터에 부여된 LSN을 전송하는 호스트로부터 LSN이 입력되면 상기 LSN이 속하는 존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한 존에 해당하는 옵셋[존]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LSN에 데이터 영역의 시작 PSN을 더한 후 상기 단계에서 구한 옵셋[존]을 더하여 임시 PSN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PSN이 속한 존 내에서 상기 임시 PSN보다 작은 값의 등록된 결함 섹터의 개수를 구하여 상기 임시 PSN에 더하여 최종 PSN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된 LSN이 시작 LSN이면서 ECC 블록 단위의 배수가 아니면 상기 시작 LSN을 ECC 블록 단위의 배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존을 찾는 단계는 LSN에 따라 각 존을 구별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미리 맵핑시킨 후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LSN이 속한 존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옵셋[존]을 구하는 단계는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섹터 개수를 각 존별로 테이블에 맵핑시킨 후 상기 테이블에 상기 단계에서 찾은 존을 적용하여 옵셋[존]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종 물리적 섹터 번호를 구하는 단계는 시작 PSN이 PDL에 등록된 결함 섹터 번호라면 상기 시작 PSN을 하나 증가시켜 최종 시작 PSN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가 전송한 시작 LBA에 해당하는 시작 PSN을 찾기 위하여 도 6 내지 도 8과 같은 테이블을 미리 맵핑시킨다.
예를 들어, 물리적 존을 나타내는 PSN이 도 2에서와 같이 A,C,F,...라고 하고, 각 존의 유저 영역을 A,D,G,...라고 가정할 때, 도 6은 물리적 존을 구별하기 위한 테이블이고, 도 7은 시작 LBA가 속한 존을 찾기위한 테이블이며, 도 8은 각 존과 존 사이의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섹터 개수를 존별로 기록한 옵셋 테이블이다. 여기서, 규격에 의해 광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의 시작 PSN은 31000h이므로, 결함이 없다면 도 2의 A 위치가 PSN 31000h, LSN 00000h가 된다.
도 5는 이러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를 찾는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로서, 광 디스크에 기록할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또는 기록된 내용을 재생할 때 호스트는 먼저, 시작 LBA를 기록 또는 재생 명령에 포함시켜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501).
상기 호스트로부터 시작 LBA가 입력되면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는 상기 시작 LBA가 16의 배수인지를 판별한다(단계 502). 만일, 시작 LBA가 16의 배수이면 바로 단계 504로 진행하고, 시작 LBA가 16의 배수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시작 LBA보다 크지않은 16의 배수로 시작 LBA를 변환한 후 단계 504로 진행한다(단계 503). 예를 들어, 시작 LBA가 33이라면 32로 변환한다.
이는 광 디스크에의 기록/재생은 에러정정코드(Error Correction Code ; ECC) 블록단위 즉, 16섹터 단위로 이루어지는데 호스트는 이를 모르고 시작 LBA를 발생하므로 시작 LBA를 ECC 블록의 첫 번째 섹터 번호와 매칭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 단계 504에서는 16의 배수가 되는 시작 LBA를 도 7과 같은 테이블에 적용하여 상기 시작 LBA가 속한 존을 찾는다.
즉, 시작 LBA(=LSN)가 0과 L_존[0] 사이에 있으면 시작 LBA는 존 0에 속한다고 판별하고, 시작 LBA(=LSN)가 L_존[0]과 L_존[1]사이에 있으면 시작 LBA는 존 1에 속한다고 판별한다.
상기된 과정에 의해 시작 LBA가 속한 존이 판별되면 상기 존을 도 8의 테이블에 적용하여 옵셋[존]을 찾는다(단계 505). 이는 각 존과 존 사이에 있는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도 LSN이 부여되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상기 단계 504에서 판별된 존이 존 1이라고 판별되면 도 8의 테이블에서 존 1에 해당하는 옵셋 값을 읽어오면 된다. 상기 옵셋[존] 값은 존과 존 사이에 있는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섹터의 개수이다.
상기 단계 505에서 해당 존의 옵셋 값이 결정되면 각 섹터마다 부여되는 데이터 필드 번호(Data field Number ; DFN)을 구한다(단계 506). 즉, DFN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FN = 시작 LBA + X
여기서, X는 데이터 영역의 시작 PSN 값으로서, 결함이 없다면 데이터 영역의 시작 PSN은 31000h가 된다.
즉, 각 섹터는 헤더 필드(header field), 미러 필드(mirror field), 기록 필드(recoding field)로 구분되고, 상기 기록 필드에는 데이터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신호 처리의 단계에 따라 데이터 유니트 1, 데이터 유니트 2, 데이터 유니트 3로 칭한다. 이 중 데이터 유니트 1의 구성을 보면, 도 9a와 같이 데이터 ID 영역과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ID의 구성은 도 9b와 같이 데이터 필드 정보와 DFN으로 구성된다. 상기 DFN은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LSN + 데이터 영역의 시작 PSN 값이 되는데, LSN과 마찬가지로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는 부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DFN이 실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할 시작 PSN은 아니다. 즉, DFN이 할당되지 않은 해당 존의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의 섹터 개수를 고려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단계 507에서는 상기 DFN에 상기 단계 505에서 구한 해당 존의 옵셋 값을 더하여 임시 시작 PSN(Pre_PSN)을 구한다.
그리고나서, 옵셋_PDL을 구하는데(단계 508), 옵셋_PDL은 PDL 리스트 중에서 도 6의 테이블에 의한 해당 존 내에 있는 결함 중 Pre_PSN보다 작은 값의 개수가 된다. 예를 들어, Pre_PSN이 존 1에 해당하고 그 값이 45000h이며, PDL에 리스트된 결함 섹터의 수가 존 1에서 10개인데, 존 1의 영역 내에서 45000h보다 작은 결함 섹터의 수가 5라면 옵셋_PDL은 5가 된다. 만일, 45000h보다 작은 존 1의 영역에서 PDL에 리스트된 결함 섹터의 수가 없다면 옵셋_PDL은 0이 된다. 즉, PDL에 리스트된 결함 섹터에 LSN은 부여되지 않으나 PSN은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옵셋_PDL도 시작 PSN에 고려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단계 509에서는 Pre_PSN에 상기 옵셋_PDL을 더하여 시작 PSN을 구한다. 그리고, 시작 PSN이 PDL에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510).
이때, 시작 PSN이 PDL에 없으면 상기 단계 509에서 구한 시작 PSN이 실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려는 최종 시작 PSN이 되고, 시작 PSN이 PDL에 있으면 이 부분에는 데이터를 쓰거나 읽을 수 없으므로 시작 PSN에 1을 더하여 최종적인 시작 PSN으로 한다(단계 511). 만일, 1 증가된 위치의 시작 PSN도 PDL에 있다면 다시 시작 PSN을 1 증가시키며 이 과정을 시작 PSN이 PDL에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에 의하면, 시작 LSN에 해당하는 존을 찾기 위한 테이블과 각 존과 존 사이의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섹터 개수를 기록한 옵셋 테이블을 미리 맵핑한 후 상기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호스트에서 전송하는 시작 LSN에 해당하는 시작 PSN을 정확히 찾음으로써, 잘못된 위치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존 별로 스페어 영역이 할당되어 있어도 테이블에 의해 편리하게 PSN을 찾을 수 있게된다.

Claims (6)

  1. 데이터의 기록/재생이 필요하면 데이터에 부여된 논리적 섹터 번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송하는 논리적 섹터 번호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번호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를 이용한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섹터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논리적 섹터 번호가 속하는 존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한 존에 해당하는 옵셋[존]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논리적 섹터 번호에 데이터 영역의 시작 물리적 섹터 번호를 더한 후 상기 단계에서 구한 옵셋[존]을 더하여 임시 물리적 섹터 번호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물리적 섹터 번호가 속한 존 내에서 상기 임시 물리적 섹터 번호보다 작은 값의 등록된 결함 섹터의 개수를 구하여 상기 임시 물리적 섹터 번호에 더하여 최종 물리적 섹터 번호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논리적 섹터 번호가 시작 논리적 섹터 번호이면서 ECC 블록 단위의 배수가 아니면 상기 시작 논리적 섹터 번호를 ECC 블록 단위의 배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존을 찾는 단계는
    논리적 섹터 번호에 따라 각 존을 구별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미리 맵핑시킨 후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논리적 섹터 번호가 속한 존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존]을 구하는 단계는
    스페어 영역과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섹터 개수를 각 존별로 테이블에 맵핑시킨 후 상기 테이블에 상기 단계에서 찾은 존을 적용하여 옵셋[존]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물리적 섹터 번호를 구하는 단계는
    시작 물리적 섹터 번호가 등록된 결함 섹터 번호라면 상기 시작 물리적 섹터 번호를 하나 증가시켜 최종 시작 물리적 섹터 번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섹터는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에 저장된 결함 섹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KR1019980041894A 1997-12-23 1998-10-07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KR10028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894A KR100282344B1 (ko) 1998-10-07 1998-10-07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US09/219,118 US6385736B1 (en) 1997-12-23 1998-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areas of recording medium using sector number comparison techniqu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894A KR100282344B1 (ko) 1998-10-07 1998-10-07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021A true KR20000025021A (ko) 2000-05-06
KR100282344B1 KR100282344B1 (ko) 2001-04-02

Family

ID=1955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894A KR100282344B1 (ko) 1997-12-23 1998-10-07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3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344B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845B1 (ko) 광기록매체및광기록매체의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442236B1 (ko) 광기록매체및그의사용가능한대체블럭서치방법
JP4191853B2 (ja) 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
US7539103B2 (en) Method for real time recording/playback of data to/fro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aging files thereof
JP2004234859A (ja) 光記録媒体における欠陥管理情報のデータ構造
JP2007052925A (ja)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媒体のフォーマット方法
KR100429179B1 (ko) 광기록매체의결함영역관리장치및그방법
KR20010046919A (ko) 광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539509B1 (ko) 데이터기록/재생시의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459148B1 (ko) 광 기록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을 관리하는 방법및 장치
KR100689577B1 (ko) 기록매체 및 기록재생 방법
KR100282344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위치 검출방법
KR100418871B1 (ko) 광기록매체의실시간기록/재생및파일관리방법
KR100609856B1 (ko) 광기록매체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20000026784A (ko) 광기록매체의 결함 영역 관리 및 포맷팅 방법
KR100672543B1 (ko) 광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KR100421844B1 (ko) 정보기록매체의결함영역관리방법
KR20010063164A (ko) 광기록재생기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KR100606977B1 (ko) 광기록매체의포맷팅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418870B1 (ko) 광기록매체및실시간데이터기록/재생방법과파일관리방법
KR100546570B1 (ko) 광기록매체와이의포맷팅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648352B1 (ko) 광기록재생기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KR100546569B1 (ko) 광기록매체와이의포맷팅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447157B1 (ko) 광기록매체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20040075824A (ko) 광기록매체 및 결함 영역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