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817A - 접착제-강화되고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통기성 필름 - Google Patents

접착제-강화되고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통기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817A
KR20000023817A KR1019997000303A KR19997000303A KR20000023817A KR 20000023817 A KR20000023817 A KR 20000023817A KR 1019997000303 A KR1019997000303 A KR 1019997000303A KR 19997000303 A KR19997000303 A KR 19997000303A KR 20000023817 A KR20000023817 A KR 20000023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film layer
add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 루이스 맥코맥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Publication of KR2000002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8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61F13/51462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being defined by a value or par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544Perme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에 접착 영역 패턴 또는 네트워크를 부가하여 필름의 내구성 및 강도를 개선시킨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연신 박화된)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인용 흡수 용품을 비롯한 안락함, 액체 불투과성 및 통기성이 요구되고 필요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접착제-강화되고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통기성 필름 {Adhesively-Reinforced, Oriented, Low Gauge, Breathable Film}
본 출원은 1996년 7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021,73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필름 재료는 기저귀, 배변 훈련용팬티, 실금자용 의류, 여성용 생 용품, 생리대, 상처용 드레싱, 붕대 등과 같은 개인용 흡수 용품에 사용하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그러한 필름 재료는 소비자 및 산업용 포장에서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개인용 흡수 용품 분야에서,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그러한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저가 재료의 개발에 중점을 두어왔다. 외부 커버로서 사용되는 필름 재료의 경우에서, 그러한 물질은 신체 배출물 (액체 및 다른 노폐물)의 통과를 유효하게 차단시키는 동시에 촉감과 같은 충분한 미적 및 촉각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만족할 만한 저가의 필름 재료를 성취하기 위한 시도에 사용되는 한 가지 기술은 훨씬 낮은 게이지 또는 두께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보다 얇은 필름은 대체로 비용이 보다 낮고, 감소된 게이지에 기인하여 종종 증가된 부드러움을 가지며 사용시에 보다 조용하다. 또한, 그러한 보다 낮은 게이지의 필름은 보다 쉽게 통기성 또는 다공성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한 얇은 필름은 0.6 mil 이하의 유효 게이지 또는 두께 및 25.0 g/㎡ 이하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그러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예를 들어 기계 방향으로 드로우잉 또는 연신시켜 얻는 경우에, 드로우잉 또는 연신은 필름내 중합체 분자의 분자 구조를 연신 방향으로 배향시켜 기계 방향에서의 필름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동일한 기계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은 인장 강도 및 트랩 인열 특성면에서 횡방향에서는 약화된다.
그와 같은 단일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에서의 구조적 약화를 보상하기 위해, 섬유상 부직 웹과 같은 지지층 (또는 복수 지지층)을 필름층에 적층시켜 다른 특성 보다도 특히 증가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라미네이트를 형성시킨다. 게이지가 낮은 또는 연신 박화(薄化) 필름 및 부직포의 라미네이트는 열 라미네이팅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하여 왔는데, 여기서 가열 패턴롤 및 초음파를 사용하여 열 및 압력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한 열 라미네이팅에는 필름층에 원하지 않는 구멍 또는 국소적 필름 손상을 초래하고(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뻣뻣한 라미네이트를 만드는 수준의 열 및 압력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한 열 라미네이팅 필름-부직포 라미네이트는 몇몇 경우에, 특히 개인용 흡수 용품을 위한 외부 커버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불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나타내어, 그러한 흡수 용품을 사용할 때 라미네이트 필름층이 상당히 인열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그러한 열 라미네이팅 필름-부직포 라미네이트에서, 열 라미네이팅 필름-부직포 라미네이트의 인열 파손이 필름 및 부직포층이 함께 결합되어 있는 열결합점 또는 영역으로부터 전파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특히 횡방향에서 향상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개선된 일축 (즉, 기계 방향)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이 요구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에 접착 영역 패턴 또는 네트워크를 부가함으로써 향상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개선된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상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며, 통기성이 큰 개선된 저가의 접착제 강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은 제1 표면을 갖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의 상기 제1 표면에 부가된 접착 영역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층은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0.6 mil 이하의 유효 게이지를 갖고, 필름층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 내지 약 70 %의 폴리올레핀 중합체, 약 70 % 내지 약 30 %의 충전재 및 약 0 % 내지 약 20 %의 제2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배합물로부터 제조되고, 약 300 g/㎡/24시간 이상의 수증기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접착 영역 패턴은 상기 필름층의 상기 제1 표면에 부가되며, 약 0.1 내지 약 20 g/㎡의 첨가량, 상기 필름층의 상기 표면 단위 면적 당 약 5% 내지 약 50 % 이하의 결합 면적 비율 및 약 2.54 ㎝ (1.0 인치) 이하의 상기 연신 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의 접착 영역들 사이의 최대 간격을 갖는 청구의 범위 제1항의 접착제 강화 필름 재료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측면 및 상세 사항은 청구의 범위 종속항, 명세서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명세서의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을 일반적인 용어로 정의하기 위한 비제한적인 최초의 접근으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필름층의 표면에 부가된 멜트블로운 접착 섬유의 랜덤 패턴의 정면도로서, 필름층의 연신 방향은 x-x로서 나타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필름층의 표면에 부가된 인쇄된 착색 접착 영역의 립 (rib)형 패턴의 정면도로서, 필름층의 연신 방향은 x-x로서 나타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필름층의 표면에 부가된 인쇄된 착색 접착 영역의 구름 무늬 패턴의 정면도로서, 필름층의 연신 방향은 x-x로서 나타냈다.
본 발명은 개선되고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필름층의 표면에 부가된 접착 영역 패턴 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일축 기계 방향 연신 필름의 내구성 및 강도를 개선시킨다. 도1은 본 발명의 접착제 강화 필름 재료의 실시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접착제 강화 필름 재료는 표면 (14)을 갖는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층 (12)를 포함하고, 그위에 접착 섬유, 필라멘트, 라인 또는 영역 (18) 패턴 또는 네트워크가 가된다. 접착 영역 (18)은 필름 (12)의 표면 (14)의 단위 면적 당 약 5 % 내지 약 50 %의 결합 면적율을 가지며, 연신 방향 (배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의 접착 영역 (18)들 사이의 최대 간격이 약 25.4 ㎜ (약 1.0 인치) 이하이다. 접착 영역 (18)을 필름층 (12)의 표면 (14)에 약 0.1 내지 약 20 g/㎡ 범위의 첨가량으로 부가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층"은 단수로 사용되는 경우에 단일 요소 또는 다수의 요소로 이중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기계 방향" 또는 MD (machine direction)는 제조되는 제품의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용어 "횡방향" 또는 CD (cross machine direction)는 제품의 폭, 즉 기계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필름층 (12)은 2개의 기본 성분, 즉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주로 선형인 폴리올레핀 중합체 및 충전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을 함께 혼합하고 가열한 다음, 필름 제조 분야의 통상의 숙련인들에게 공지된 다양한 필름 제조 방법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필름층으로 압출시킨다. 그러한 필름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엠보싱된 캐스트, 냉각 및 편평 캐스트 및 블로운 필름 공정을 포함한다. 다른 첨가제 및 성분을 필름층 (12)에 가할 수 있는데, 단 그들이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기능에 대한 필름층의 능력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필름의 총중량을 기준으로하여 건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필름층 (12)은 약 30 내지 약 70 중량%의 폴리올레핀 중합체 및 약 30 내지 약 70 중량%의 충전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태양에 있어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또다른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약 0 내지 약 20 중량%의 첨가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적절량의 충전재와 배합되는 경우에 필름 기재로서 양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져 왔으나, 임의의 적절한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본 발명의 필름층 (12)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고, 이롭게는 임의의 주로 선형인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본 발명의 필름층 (12)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및 C3-C12와 같은 고급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의 중합체 및 그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ASTM D-1238 방법 D로 측정할 때 약 0.5 내지 약 10 (g/10 분, 190 ℃에서)의 용융 지수 (MI)를 갖는다. "주로 선형"은 중합체 주쇄가 에틸렌 1000 단위 당 긴 분지쇄를 약 5개 미만으로 갖는 정도로 선형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긴 분지쇄는 C12보다 큰 탄소쇄를 포함한다. 주로 선형인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비신축성이므로, 공단량체를 포함하는데 기인한 짧은 분지쇄 (C3-C12)는 엘라스토머인 중합체용으로 대체로 에틸렌 1000 단위 당 20개 미만의 단쇄로 제한될 것이다. 주로 선형인 폴리올레핀 중합체의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틴, 4-메틸-펜텐, 1-헥센, 1-옥텐 및 고급 올레핀으로 부터 제조된 중합체뿐만 아니라, 전술한 것의 공중합체 및 터폴리머를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에틸렌 및 부텐, 4-메틸-펜텐, 헥센, 헵텐, 옥텐, 데센 등을 포함하는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도 주로 선형인 폴리올레핀 중합체의 예이다.
필름층 (12)은 폴리올레핀 중합체외에도 충전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충전재"는 필름 중합체 압출 배합물에 가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는 압출된 필름을 방해하지 하지 않으나 필름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물질의 미립자 및 다른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충전재는 미립자 형태일 것이고, 약 0.1 내지 약 7 미크론 범위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구형 또는 구형이 아닌 형태일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충전재를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시키는데, 단 그들은 필름 제조 방법 또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기능에 대한 필름층의 능력을 방해하지 않는다. 적절한 충전재의 예로는 탄산칼슘 (CaCO3), 여러 종류의 점토, 실리카 (SiO2), 알루미나, 탄산바륨, 탄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활석,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이산화티타늄 (TiO2), 제올라이트, 셀룰로오스형 분말, 카올린, 운모, 탄소,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펄프 분말, 목재 분말, 셀룰로오스 유도체, 키틴 및 키틴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필름층 (12)은 필름 제조와 유사한 것으로 공지된 통상의 방법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중합체 및 충전재를 본 명세서에 기술된 범주로 주어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다음, 가열하여 필름으로 압출시킨다. 필름의 수증기 투과에 의해 반영되는 균일한 통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충전재를 중합체 배합물 전체에, 이어서 전체 필름층에 균일하게 분산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필름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될 때 약 300 g/㎡/24시간 이상의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경우에는 "통기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일단 제조되면 약 80 g/㎡ 미만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가지며, 연신 및 박화 후에는 단위 면적 당 중량이 약 12 내지 약 25 g/㎡일 것이다.
하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필름층은 단층 필름이지만, 다층 필름과 같은 다른 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단 제조 기술은 충전 필름과 상용적이어야 한다. 초기에 제조된 필름은 진탕할 때 "래틀링(rattling)" 소리를 내려는 경향때문에 원하는 것보다 일반적으로 두껍고 소음이 난다. 더우기, 그 필름은 수증기 투과율에 의해 측정되는 통기도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필름을 폴리올레핀 중합체의 융점보다 약 5 ℃ 이하로 낮은 온도로 가열한 다음, 인-라인 (in-line) 기계 방향 연신 (MOD) 유니트를 사용하여 원래 길이의 약 2배 (2x)이상으로 연신시켜 다공성으로 만든다. 필름층 (12)을 원래 길이의 약 3배 (3X), 약 4배 (4X) 이상으로 추가로 연신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필름층 (12)을 제조하는 것과 관련하여 고려된다.
연신하여 얇게 만든 후에 필름층 (12)은 약 0.2 mil 내지 약 0.6 mil의 "유효" 필름 게이지 또는 두께를 가져야 한다. 유효 게이지는 통기성 필름층내에서 공극 또는 공기 공간을 고려하는데 사용한다. 통상의 충전되지 않은 비통기성 필름에 있어서, 필름의 실제 게이지 및 유효 게이지는 대체로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충전된 필름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신 박화되었으며, 필름의 두께도 또한 공기 공간을 포함할 것이다. 가해진 부피를 무시하기 위해, 유효 두께를 본 명세서에 기재한 시험 방법에 따라 계산한다.
연신 박화 방법의 추가의 특성은 필름 재료의 불투명도의 변화이다. 제조했을 때 필름은 비교적 투명하지만, 필름을 연신시킨 후에는 불투명해진다. 게다가, 필름은 연신 박화 공정중에 연신되는 한편, 보다 부드러워 지며 "래틀링" 정도가 감소된다.
그러한 일축 기계 방향 연신 필름은 대체로 횡방향에서 양호한 강도 특성을 갖지 않으며, 기계 방향 (연신 방향)을 따라 쉽게 인열되거나 갈라지는 필름이 제조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접착 영역 네트워크 또는 패턴을 그러한 필름의 표면에 부가함으로써 필름 재료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접착제"는 본 발명의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접착 영역 패턴 또는 네트워크에 부가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고온 용융된 물 또는 용매 기재 접착제를 언급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적절한 접착제로는 통상의 고온 용융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및 반응성 접착제 (즉, 폴리우레탄)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 공중합체형 구조 접착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기재 접착제 (예를 들면, 18 내지 30 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결정질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터폴리머 기재 접착제가 본 발명의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제조하는데 양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한 모든 접착제 형태는 왁스 및 접착성 부여제를 함유하도록 제조되어 공정 또는 강력한 점착성 또는 부드러움을 개선시킨다.
사용되는 접착제 부가 방법은 사용되는 특정 형태의 접착제에 적절해야 하고, 특정 목적 용도를 위해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이 의도된다. 접착제는 예를 들면, 교차 패턴 또는 네트워크에 무작위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접착 섬유로 부가할 수 있다. 그러한 멜트블로운 접착 섬유는 대체로 약 5 미크론 내지 약 50 미크론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멜트블로운 접착 섬유"는 비연속 또는 연속 접착 섬유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멜트블로운 섬유를 움직이는 물품의 표면상에 부가하는 방법은 그의 개시가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720,252호 (Appel et al.)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접착제를 필름층 (12)에 부가하는 다른 적절한 방법은 예를 들면, 고온 용융물을 접착 영역에 분무 또는 스월링(swirling)하는 것 및 접착 영역을 스크린 또는 그라비어 인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용융물 분무 및 접착제 인쇄 방법은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본 명세서에는 기재하지 않았다. 그러한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제, 특히 착색 접착제를 부가하는 것은 종종 추가의 미적 이점을 제공하는데, 접착제 패턴은 기하학적이거나 기하학적이 아니며 반복적이거나 반복적이지 않은 형태,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인 선, 장식적이거나 임의적인 고안, 상징이나 구상 또는 문장이나 낱말의 형태일 수 있다. 도2 및 3에 나타낸 접착제 패턴은 그러한 인쇄된 접착제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스크린 인쇄와 같은 특정 인쇄 방법은 스크린 및 인쇄할 물품 사이의 직접 접촉을 필요로 한다.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특정 접착제 형태를 인쇄하여 주위 온도에서의 접착제의 높은 점착 또는 부착 수준에 기인한 문제를 시험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접착제를 이형지와 같은 적절한 이형 표면상에 인쇄한 다음, 인쇄된 접착제를 필름층 (12)으로부터 이형 표면으로 전달함으로써 스크린 인쇄로 성취할 수 있다.
필름층 (12)의 표면 (14)에 접착제 (18)를 부가하는 접착제 부가 방법은 필름층 강화를 위해 이용가능한 접착제의 양 및 접착제 부가 패턴을 유효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우기, 접착제 (18)의 부가는 필름층 (12)의 길이 및 폭으로 실질적으로 동연하여 접착제 강화된 필름의 강도 및 내구성을 균일하게 하도록 해야 한다.
접착 영역의 제1 기능은 본 발명의 낮은 게이지 또는 연신 박화 필름층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언급한 바와 같이, 기계 방향 (MD)으로 고도로 (2X 이상) 연신된 필름은 횡방향 (CD) 인장력을 받을 때 "갈라지려는" 경향을 보인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필름에 사용되는 멜트블로운 접착 영역의 무작위로 분산된 교차 네트워크가 필름에 사용된 횡방향 인장 하중을 분배시키고, 그러한 기계 방향 연신된 필름의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그러한 필름에 대해 "립 스톱 (rip-stop)"을 제공하는데 특히 양호하게 작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작위로 분산된 교차 멜트블로운 접착 영역의 네트워크는 기계 방향으로 "밀접하게 배치된" 개별적인 멜트블로운 접착 섬유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밀접하게 배치된 접착 영역"은 연신 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개별 접착 영역들 사이가 약 25.4 ㎜ (약 1.0 인치), 구체적으로는 6.35 ㎜ (0.25 인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3.18 ㎜ (0.125 인치)의 최대 거리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접착 영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연신 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한"은 접착 영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선이 연신 방향의 선과 이루는 내각이 3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개별 접착 영역 사이의 최대 간격을 필름층 연신 방향, 예를 들면 기계 방향으로 특정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필름층 (12)에서의 구멍 또는 인열의 발생 및 전파가 감소되며, 필름층 (12)이 갈라지거나 인열되기 전에 신장될 수 있는 횡방향에서의 신장량이 증가된다. 달리 언급하면, 접착제 패턴 또는 네트워크내에서 개별 접착 영역의 인접 및 근접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필름층 (12)의 분열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무작위로 분산되었더라도 멜트블로운 접착 섬유와 같은 접착 영역의 네트워크를 증가시키는 것은 본 명세서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다른 접착제 부가 패턴 및 방법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연신되고, 필름층 (12)의 표면 (14)상에 본 명세서에서의 특정 범위내의 첨가량 및 결합 면적 비율로 인쇄된, 일반적으로 평행한 연속적이고(이거나) 비연속적인 접착제 선은 필름층 (12)에 대해 강도 및 내구성을 원하는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적절한 접착제 부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되는 접착제 첨가량, 접착 영역의 결합 면적 비율 및 연신 방향 (MD)에서의 개별 접착 영역들 사이의 최대 거리를 조절하는 능력에 의해 제한된다. 접착제 첨가량은 약 0.1 내지 20 g/㎡, 특히 약 0.25 내지 약 5.0 g/㎡,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1.5 g/㎡ 범위이어야 한다. 첨가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의 제조 비용을 낮추며, 필름층의 통기성을 저하시키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대조적으로, 접착제를 보다 많이 첨가하여 보다 내구적인 필름 재료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접착 영역의 패턴 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접착제의 연속적 코팅과 비교할 때, 예를 들면 필름 재료의 미세다공성 또는 통기성이 상당히 감소되지는 않는다. 접착 영역 (18)이 사용되는 필름층 (12) 표면 (14)의 총면적의 비율을 결합 면적 비율로서 표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결합 면적 비율"은 접착 영적 (18)에 의해 점유된 필름층 (12)의 표면 (14)의 총 평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결합 면적 비율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미지 분석을 포함하는 통상의 여러 기술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접착 영역의 결합 면적 비율을 접착 영역이 부가되는 필름층 (12)의 표면 (14)의 단위 면적 당 약 5 내지 약 50 % 범위로 제한하고, 접착 영역 부가의 최대 면적뿐만 아니라 접착제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게이지가 낮은 연신 박화된 통기성 충전 필름의 접착제 강화를 필름 재료의 통기성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으면서 성취할 수 있다.
접착 영역 (18)의 제1 기능이 본 발명의 게이지가 낮거나 연신 박화된 필름층 (12)을 강화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사용되는 접착제 형태를 대략적으로 선택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에 대해 추가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충분한 개방 시간, 즉 접착 영역 (18)이 필름층 (12)의 표면 (14)을 부직 웹또는 부직포과 같은 인접층의 표면에도 또한 결합시키도록 하는 충분한 시간 동안 점착성이 유지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부직웹" 또는 "부직포"는 편물 또는 직물 패브릭에서와 같이 확인할 수 있고 반복되는 방식이 아닌 엉켜있는 개별 섬유 또는 필라멘트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부직웹은 스펀본딩, 에어레잉, 멜트불로우잉을 포함하는 공지된 여러 제조 방법 또는 본디드 카디드 웹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필름층 (12)의 표면 (14)이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는 적절한 인접층의 다른 예는 부직 및(또는) 편물 패브릭 및 발포체 또는 티슈층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접착제 강화된 필름 재료가 본 명세서에 일축 연신 또는 배향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이익 및 이점은 이축 연신 또는 배향 필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접착 영역 (18)을 마찬가지로 필름층 (12)의 표면 (14)에 부가하는 것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접착 영역을 필름층 (12)의 표면 (14)의 반대 표면에도 또한 부가할 수 있고, 필름층 (12)의 반대 표면상의 접착 영역은 첨가량, 결합 면적 비율 및 연신 방향에서의 최대 간격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을 기재하여 일련의 접착제 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 시료를 제조하여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한다. 이러한 시험의 결과 및 사용되는 시험 방법을 기재한다.
시험 과정
다음 시험 과정을 본 명세서에 기술한 시료 재료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유효 게이지
필름 재료의 유효 게이지는 필름의 기본 중량을 필름을 형성하는 중합체(들) 및 충전재의 밀도로 나눔으로써 계산하였다. 인치 단위로 필름 재료의 유효 게이지를 수득하기 위해서 온스/야드2(osy)로 측정된 단위 면적 당 중량에 0.001334 (영국식 미터법 전환 계수)를 곱하고, 이를 g/cm3(g/cc)의 중합체 제제의 밀도로 나누었다.
인장 강도 및 신장 시험
인장 강도 및 신장을 위한 스트립 시험 방법으로 재료의 파단 전에 파괴 하중 및 신장율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재료를 일정한 팽창 속도에서 단일 방향으로 하중을 연속적으로 증가시켜서 수행한다.
각 시료 필름 재료로, 3 개의 시료를 76 mm (3 인치) 폭 정밀 커터로 잘라 긴 게이지가 시험 및 힘 적용의 방향과 평행인, 각각 76 mm (3 인치)의 폭 및 152 mm (6 인치)의 길이로 만들었다. 각 시료의 전체 폭을 일정한 팽창 속도의 시험기 (예를 들면, 신테크 시스템 2 컴퓨터 인티그레이티드 테스팅 시스템 (Sintech System 2 Computer integrated Testing System), MTS 시스템 코포레이션 (Systems Corporation) 제조, Eden Prairie, Minnesota 소재)의 클램프내에 놓았다. 각 시료의 길이 또는 긴 게이지를 힘 적용의 방향에 가능한한 거의 평행하게 고정하였다. 시료가 파단될 때까지 연속 하중을 300 mm/분으로 고정된 크로스헤드 속도로 시료에 적용하였다. 각 시료의 파단 바로 전의 피크 하중 및 피크 스트레인을 측정하고,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수증기 투과율
시료 재료에 대한 수증기 투과율 (WVTR)은 ASTM 표준 E96-80에 따라 계산하였다. 직경 7.62 ㎝ (3 인치)로 측정된 원형 시료을 각 시험 재료 및 미국 뉴저지주 섬머빌 소재 훽스트 셀라니즈 코포레이션 (Hoechst Celanese Corporation)에서 제조한 셀가드 (CELGARD) (상표명) 2500 필름의 한 조각인 대조 재료로부터 잘랐다. 셀가드 (상표명) 2500 필름은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3 개의 시료을 각 재료용으로 제조하였다. 시험 디쉬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 트윙-알버트 인스트루먼트 캄파니 (Thwing-Albert Instrument Company)에서 시판하는 60-1 베이포미터 팬 (Vapometer pan)이었다. 증류수 100 ml를 각 베이포미터 팬에 붓고, 시험 재료의 각 시료 및 대조 재료를 각각의 팬의 열린 상단에 교차하게 놓았다. 스크류-온 (screw-on) 플랜지를 조여서 각 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하여 (밀봉성 그리즈를 사용하지 않음), 관계된 시험 재료 또는 대조 재료를 약 33.17 cm2의 노출 면적을 갖는 6.5 cm 직경 원형 상의 주변 대기에 노출시켰다. 팬의 무게를 달고, 37 ℃의 온도로 고정된 강제 공기 오븐에 놓았다. 이 오븐은 수증기가 내부에 모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오븐을 통해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정온 오븐이었다. 적절한 강제 공기 오븐은, 예를 들면, 미국 일리노이주 블루 아일랜드 소재 블루 엠 일렉트릭 컴퍼니 (Blue M Electric Company)에서 시판하는 블루 엠 파워-오-매릭 (Blue M Power-O-Matic) 60 오븐이다. 24 시간 후, 팬을 오븐으로부터 제거하고, 다시 무게를 달았다. 예비 시험 수증기 투과율 값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시험 WVTR (g/m2/24 시간) = (24 시간에 따른 중량 손실, g) × 315.5
오븐내의 상대 습도를 특별하게 조절하지 않았다.
32 ℃ (100 ℉) 및 주변 상대 습도의 미리결정한 세트 조건하에서, 셀가드 (상표명) 2500 필름 대조용 WVTR을 24 시간 동안 5000 g/m2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대조 시료로 각 시험을 수행하고, 예비 시험 값을 다음 식을 사용하여 세트 조건으로 수정하였다:
WVTR (g/m2/24 시간) = (시험 WVTR/대조 WVTR) × 5000 g/m2/24 시간
접착제 결합 영역 시험/최대 간격 시험
접착성 결합 영역 시험으로 접착 영역 패턴이 부가된 필름층 표면의 단위 면적의 일부를 측정한다. 최대 간격 시험으로 필름의 연신 방향에서 접착 영역 사이의 최대 자유 거리 게이지를 측정한다.
32-39 cm2(5-6 인치2)의 4 내지 6 개의 시료를 시험되는 각 시료 재료로부터 잘랐다. 각 시료를 작은 깡통에 놓고, 약 3.785 ℓ(1 갤런)의 액체 부피를 갖는 유리 데시케이터내에 16 시간 동안 시료를 놓아서 사산화오스뮴 (OsO4) 증기로 착색시켰다. 사산화오스뮴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딩 소재 테드 펠라 인크. (Ted Pella, Inc)에 의해 공급되었다. 사산화오스뮴은 물에 용해되지 않았다.
착색된 라미네이트를 손으로 박리하여 각 라미네이트의 필름층 표면 상에 착색된 접착제를 남겼다. 사산화오스뮴은 접착제의 제거 및 접착제의 가교-결합 (강화)으로, 필름 및 부직물층의 엽렬을 용이하게 한다.
착색된 접착제는 미국 일리노이주 소재 레이카 디어필드 (Leica of Deerfield)에서 제조한 포스텍 파이버 옵틱 링라이트 (FOSTEC fiber Optic ringlight)를 장착한 와일드 (Wild) M420 마크로 인스트루먼트 (Macro Instrument)를 사용하여 반사광중에 이미징하였다. 이미지를 미국 인디애나주 미시간시티 소재 데이지 (Dage) MTI 에서 제조한 모델 CCD-72 단색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얻어,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톤 소재 프린스톤 감마 테크 (Princeton Gamma Tech) 이미지스트 시스템 (ImagistTMsystem)에 직접 넣었다. 수동 조절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동 획득 조절 보정에 기인한 화상 밀도에 변형을 없앴다. 이 이미지를 프린스톤 감마 테크 화상 분석 소프트웨어 (Princeton Gamma Tech image analysis software)를 사용하여 역치시키고, 이원화시키고 분석하였다. 생성된 이미지를 휴렛 팩커드 페인트제트 (Hewlett Packard Paintjet) (상표명) 프린터로 프린트하였다. 실시예 1 내지의 필름 재료에 대한 결합 면적 비율의 평균값 및 연신 방향에서의 접착 영역들간의 최대 간격을 본 명세서에 기록하였다.
총 5 개의 접착제-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하기에 기술한다. 접착제-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 시료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태양을 나타내고,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자들에게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교시하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층은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총중량%를 기준으로 2.3의 용융 지수 (190 ℃에서의 10분 당 g수) 및 0.917 g/cm3의 밀도를 갖는 50 % 다우렉스 (Dowlex) (상표명) NG3347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2.0의 용융 지수 (190 ℃에서 10 분 당 g 수) 및 0.922 g/cc의 밀도를 갖는 5 % 다우 (Dow) (상표명) 640 분지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였다.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블렌드는 1.85의 용융 지수 (190 ℃에서의 10분 당 g수) 및 1.452 g/cc의 밀도를 가졌다. 다우렉스 (상표명) 및 다우 (상표명) 중합체는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 다우 케미칼 유에스에이 (Dow Chemical U.S.A,)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필름층은 1 마이크론 평균 입도 및 7 마이크론의 탑 커트를 갖는 1 % 스테아르산으로 코팅된 45 중량 %의 잉글리쉬 차이나 슈퍼코우트 (English China Supercoat) (상표명) 탄산칼슘 (CaCO3)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탄산칼슘은 ECCA 칼슘 프로덕츠 인크 (Calcium Products, Inc., Sylacauga, Alabama, a division of ECC International)로부터 수득하였다. 필름 배합물을 168 ℃ (333 ℉)의 용융 온도에서 단층 필름으로 블로우잉하여 약 1.5 mils (약 54 gsm)의 초기 비연신 게이지를 갖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을 약 160 ℉(71 ℃)로 가열하고, 이 필름을 500 feet/분 (152 m/분)의 라인 속도로 작동하는 미국 로드아일랜드 프로피던스 소재 마쉘 & 윌리엄스 (Marshall & Williams)에서 제조한 기계 방향 (MDO) 유니트, 모델 No. 7200을 사용하여 약 0.46 mil (약 18 gsm)의 유효 게이지로 그의 원래 길이의 약 4.0 배로 연신-박화하였다. 필름을 215 ℉ (103 ℃)의 온도로 어닐링하였다. 필름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WVTR 데이터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성이었다.
접착 영역 패턴 또는 네트워크를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라 필름의 표면에 부가하였다. 접착제는 렉스타크 (Rextac) (상표명) RT2730로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 소재 렉센 코포레이션 (Rexene Corp.)에서 시판되는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의 부텐 공중합체였다. 접착제를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4,720,25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멜트블로운 장치를 사용하여 무작위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접착제 섬유 형태로 필름층에 부가하였다. 접착제를 약 177 ℃ (350 ℉)로 가열하고, 약 221 ℃ (430 ℉)의 공기 온도, 약 20 psig (1.41 kg/cm2)의 공기 압력, 약 76.2 mm (3.0 인치)의 성형 길이 및 약 91 m/분 (300 feet/분)의 라인 속도로 필름에 부가하였다. 접착제 첨가량은 약 1.5 gsm이고, 필름층의 연신 방향에서 접착 영역의 최대 간격은 약 12.7 mm (0.5 인치)였다. 평균 결합 면적 비율은 약 18 %였다.
<비교예 1>
이 필름층은 접착 영역을 부가하지 않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층은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총중량%를 기준으로 45 %의 다우렉스 (상표명) NG3347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55 %의 잉글리쉬 차이나 슈퍼코우트 (상표명) 탄산칼슘 (CaCO3) (두 개 모두 상기한 실시예 1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필름 배합물을 360 ℉ (182 ℃)의 용융 온도에서 단층 필름으로 캐스팅하여 약 1.5 mils (약 54 gsm)의 초기 비연신 게이지를 갖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을 약 71 ℃ (160 ℉)로 가열하고, 이 필름을 152 m/분 (500 피트/분)의 라인 속도로 작동하는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MDO 유니트를 사용하여 약 0.46 mil (약 18 gsm)의 유효 게이지로 그의 원래 길이의 약 4.7 배로 연신-박화하였다. 필름을 93 ℃ (200 ℉)의 온도로 어닐링하였다. 필름은 하기 표 I에 나타낸 WVTR 데이터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성이었다.
접착제 영역 패턴 또는 네트워크를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라 필름의 표면에 부가하였다. 접착제는 디스포멜트 (Dispomelt) (상표명) NS34-5610으로 미국 뉴저지주 브릿지워터 소재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션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에서 시판되는 착색된 블록 공중합체 감압성 접착제였다. 접착제를 우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불투명 패턴으로 적절한 이형지에 인쇄한 후, 접착제를 통상적인 스크린 인쇄 및 전사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층 표면에 전사하여, 필름층에 접착제를 부가하였다. 접착제를 약 7.6-15.2 m/분 (25-50 피트/분)의 라인 속도로 이형지에 부가하고, 접착제를 91 m/분 (300 피트/분)의 라인 속도로 필름층에 전사하였다. 접착제 첨가량은 약 9.0 gsm이고, 필름층의 연신 방향에서 접착 영역의 최대 간격은 약 25.4 mm (1.0 인치)였다. 평균 결합 면적 비율은 약 12 %였다.
<비교예 2>
이 필름층은 접착 영역을 부가하지 않은,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이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필름층 및 접착제는 상기 실시예 2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였다. 접착제를 우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진 패턴으로 적절한 이형지에 인쇄한 후, 접착제를 실시예 2에 기술한 바와 같이 필름층 표면으로 전사하여, 필름층에 접착제를 부가하였다. 접착제를 약 7.6-15.2 m/분 (25-50 피트/분)의 라인 속도로 이형지에 부가하고, 접착제를 91 m/분 (300 피트/분)의 라인 속도로 필름층에 전사하였다. 접착제 첨가량은 약 17.0 gsm이고, 필름층의 연신 방향에서 접착 영역의 최대 간격은 약 6.35 mm (0.25 인치)였다. 평균 결합 면적 비율은 약 22 %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강화되고 일축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필름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필름 및 잡착제는 접착제가 착색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실시예 2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였다. 접착제는 미터드 컨트롤 코아 어플리케이터 (Metered Control Core Applicator) (상표명)로 미국 조지아주 노르크로스 소재 노르슨 코포레이션 (Nordson Corp.)에서 시판되는 컨트롤 코우트 (Control Coat) (상표명) 분무 접착제 패턴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필름층에 부가하였다. 접착제를 약 177 ℃ (350 ℉)로 가열하고, 약 193 ℃ (380 ℉)의 공기 온도, 약 80 psig (5.63 kg/cm2)의 공기 압력, 약 25.4 mm (1.0 인치)의 성형 높이 및 약 120 m/분 (400 피트/분)의 라인 속도로 필름에 부가하였다. 접착제 첨가량은 약 2.0 gsm이고, 필름층의 연신 방향에서 접착 영역의 최대 간격은 약 2.54 mm (0.1 인치)였다. 평균 결합 면적 비율은 약 15 %였다.
<비교예 3>
이 비통기성 필름층은 하기스 울트라트림 기저귀 (Huggies Ultratrim diaper) (상표명)로서 본 발명의 양수인인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Kimberly-Clark Corporation)에서 시판되는 1회용 기저귀의 필름-부직물 라미네이트 외부 커버로부터 얻었다. 이 필름층에는 접착제를 부가하지 않았다. 이 필름층은 약 0.41 mil의 유효 게이지를 가졌다.
MD 인장 강도(g) MD 파단 신장율 (%) D 인장 강도(g) CD 파단 신장율 (%) WVTR(G/m2/24 시간)
비교예 1 4860 150 830 500 1240
실시예 1 6300 162 870 550
비교예 2 8444 135 698 265 3800
실시예 2 6212 101 525 323 3471
실시예 3 6800 114 669 427 3827
실시예 4 5448 96 585 517 3631
비교예 3 2500 180 840 450 70
표 1의 데이터는 필름층 만의 강도 및 인성 또는 내구성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접착 영역의 효과 적용을 명확하게 예시한다. 특히, 기계 방향으로 일축 신된 필름이 전형적으로 우수한 인성 또는 내구성을 갖지 않는 횡방향에 있어서의, 원 필름과 접착 영역이 부가된 동일한 필름 사이에서의 파단 신장율 값의 증가는 접착 영역의 강화 작용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비교예 3의 데이타는 본 발명의 필름-부직물 라미네이트에 혼합된 접착제-강화 필름층이 강도 및 인성에 있어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필름층과 적어도 상용성이라는 사실을 확립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강화 필름-부직물 라미네이트가 당업계 통상의 숙련자들에 의해 재단되고 조정되어 실제 사용 중 부여될 것이 요구되는 다양한 수준의 성능에 맞추어 질것이라는 사실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특정 실시 태양 및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은 그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른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응용을 포함하며, 본 발명이 포함하고 첨부된 청구 범위내에서 당업계의 공지되거나 통상적인 실시에서의 그러한 이탈을 포함한다.

Claims (13)

  1. 제1 표면을 갖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의 상기 제1 표면에 부가된 접착 영역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층은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0.6 mil 이하의 유효 게이지를 갖고, 필름층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 내지 약 70 %의 폴리올레핀 중합체, 약 70 % 내지 약 30 %의 충전재 및 약 0 % 내지 약 20 %의 제2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배합물로부터 제조되고, 약 300 g/㎡/24시간 이상의 수증기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접착 영역 패턴은 상기 필름층의 상기 제1 표면에 부가되며, 약 0.1 내지 약 20 g/㎡의 첨가량, 상기 필름층의 상기 표면 단위 면적 당 약 5% 내지 약 50 % 이하의 결합 면적 비율 및 약 2.54 ㎝ (1.0 인치) 이하의 상기 연신 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의 접착 영역들 사이의 최대 간격을 갖는 접착제 강화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870 g 이상의 횡방향 인장 강도를 갖는 접착제 강화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약 300 % 이상의 횡방향 파단 신장률을 갖는 접착제 강화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약 1000 g/㎡/24시간 이상의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접착제 강화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의 상기 접착 영역들 사이의 상기 최대 간격이 약 0.636 ㎝ (0.25 인치) 이하인 접착제 강화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의 상기 접착 영역들 사이의 상기 최대 간격이 약 0.318 ㎝ (0.125 인치) 이하인 접착제 강화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첨가량이 약 0.25 내지 약 5.0 g/㎡인 접착제 강화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첨가량이 약 0.5 내지 약 1.5 g/㎡인 접착제 강화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표면을 갖는 인접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접층이 상기 필름층의 상기 표면에 접착 결합되어 있는 접착제 강화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중합체가 주로 선형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 강화 필름.
  1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로 선형인 폴리올레핀 중합체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접착제 강화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면적 비율이 약 5 내지 약 35 %인 접착제 강화 필름.
  13. 라이너, 배면 쉬이트, 상기 라이너 및 상기 배면 쉬이트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 쉬이트는 제1항의 접착제 강화 필름으로 이루어진 흡수 용품.
KR1019997000303A 1996-07-15 1999-01-15 접착제-강화되고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통기성 필름 KR20000023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73296P 1996-07-15 1996-07-15
US88209197A 1997-06-25 1997-06-25
US60/021,732 1997-06-25
US8/882,091 1997-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17A true KR20000023817A (ko) 2000-04-25

Family

ID=2669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303A KR20000023817A (ko) 1996-07-15 1999-01-15 접착제-강화되고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통기성 필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912787A1 (ko)
JP (1) JP2002515926A (ko)
KR (1) KR20000023817A (ko)
CN (1) CN1230234A (ko)
AU (1) AU3668697A (ko)
BR (1) BR9710480A (ko)
CA (1) CA2260793A1 (ko)
PE (1) PE96098A1 (ko)
PL (1) PL331172A1 (ko)
WO (1) WO1998002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9736B1 (en) * 1994-12-20 2001-10-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w gauge films and film/nonwoven laminates
US6080818A (en) * 1997-03-24 2000-06-27 Huntsman Polymers Corporation Polyolefin blends used for non-woven applications
AU9200898A (en) * 1997-08-21 1999-03-08 Tredegar Corporation Perforated contoured film for use in a bandage
FR2821741A1 (fr) * 2001-03-08 2002-09-13 Catherine Simone Marthe Piquet Couche culotte adulte amelioree
US20040241399A1 (en) * 2003-03-21 2004-12-02 Marmon Samuel E. Pattern bonded nonwoven fabrics
AU2005336447B2 (en) 2005-09-13 2011-12-0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s and laminates containing a bonding pattern
EP2740451A1 (en) * 2012-12-10 2014-06-11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CN106948091B (zh) * 2017-04-19 2023-06-20 广东必得福医卫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单向拉伸弹性无纺布生产设备
JP7447018B2 (ja) * 2018-05-03 2024-03-11 エイブリィ・デニソン・コーポレイション 接着積層体及び接着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5027B1 (en) * 1991-03-22 1996-11-06 Kappler Safety Group Breathable composite barrier fabric
CA2097630A1 (en) * 1992-12-29 1994-06-30 Ann Louise Mccormack Stretch-pillowed, bulked laminate
CA2116081C (en) *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CA2123330C (en) * 1993-12-23 2004-08-31 Ruth Lisa Levy Ribbed clothlike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A2148392A1 (en) * 1994-06-06 1995-12-07 Ann Louise Mccormack Stretch-thinned film and nonwoven laminate
ZA9510307B (en) * 1994-12-20 1996-06-11 Kimberly Clark Co Mechanically compatibilized film/non-woven lamin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2787A1 (en) 1999-05-06
WO1998002609A1 (en) 1998-01-22
CA2260793A1 (en) 1998-01-22
BR9710480A (pt) 2002-03-12
CN1230234A (zh) 1999-09-29
PL331172A1 (en) 1999-06-21
PE96098A1 (es) 1999-01-11
AU3668697A (en) 1998-02-09
JP2002515926A (ja) 200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3057A (en) Film-nonwoven laminate containing an adhesively-reinforced stretch-thinned film
KR100375470B1 (ko) 통기성직물유사필름/부직포복합체
US6096014A (en) Stable and breathable films of improved toughnes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U738609B2 (en) Breathable film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KR100753313B1 (ko) 소량의 횡방향 신장에 의해 유발된 높은 통기성을 갖는 필름
EP1015513B1 (en) Stable breathable elastic articles
EP1218181B1 (en) Breathable multilayer films with breakable skin layers
EP0948558B1 (en) Stable and breathable films of improved toughnes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50094831A (ko) 2성분 단일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통기성의 신장성 필름
ZA200304406B (en) Biaxially extendible material.
KR20040111595A (ko) 통기성 용품
KR20000023817A (ko) 접착제-강화되고 연신된 게이지가 낮은 통기성 필름
RU2160801C2 (ru) Усиленный адгезией пленочный нетканый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KR20010033760A (ko) 일회용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접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