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959A - 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959A
KR20000022959A KR1019990037921A KR19990037921A KR20000022959A KR 20000022959 A KR20000022959 A KR 20000022959A KR 1019990037921 A KR1019990037921 A KR 1019990037921A KR 19990037921 A KR19990037921 A KR 19990037921A KR 20000022959 A KR20000022959 A KR 2000002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ellan gum
acid
carboxyvinyl polymer
reasonabl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베고지
미야하라레이지
사카이데츠야
난바도미유키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0002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B) 젤란(gellan) 검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용 조성물{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본 발명은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정성과 사용감이 개선되면서 외용 조성물의 점성도가 유지되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외용 조성물, 대표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을 평가하는 중요 인자는 안정성과 사용감이다. 특히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공지된 전형적인 방법은 조성물 중으로 유의적인 양의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의적인 양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은 대부분의 경우 사용감에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최근 안정성과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외용품에 배합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감소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감이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와 같은 수용성 중합체 및 젤란 검과 같은 중합체 다당류를 배합하는 시도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와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는 내염성이 낮기 때문에 염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와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배합시의 문제가 있다. 젤란 검의 경우, 외용 조성물에 혼합하면 특별한 고유의 유용성이 제공될 수 있지만, 젤란 검을 단독으로 배합하는 경우 외용 조성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JP-A-9-2064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젤란 검이 양이온의 존재하에 겔화되더라도 이 겔은 한천과 유사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겔란 검이 조성물에 배합되는 경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조성물은 예컨대 식품 분야에는 사용될 수 있지만, 예컨대 화장품 분야에는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조성물과 같은 외용 조성물에 젤란 검의 배합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염성을 개선시키면서 젤란 검의 사용감이나 고유 유용성을 나타내는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A)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B) 젤란(gellan) 검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즉,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외용 조성물"이란 용어는 광범위하게는 의약법의 규제를 받고 있는 특효 제품에 관계없이 각종 외측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조성물, 보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약물, 유사약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
본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점에 대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실시한 결과, (A)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B) 젤란(gellan) 검의 복합물을 배합시킨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이 조성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조성물에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지 않고도, 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도 배합된 성분 (A) 및 (B)의 복합 작용에 의해, 총 조성물의 점성도가 증가되고 사용감이 매우 개선된 안정한 외용 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작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젤란 검은 미국에 있는 켈코 컴패니 리미티드에서 개발되어 다이니뽄 야쿠힝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용이하며, 주 성분으로 글루코스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서 슈도모나스 엘로데아(Pseudomonas Elodea)에 의해 생성되는, 글루코스, 글루쿠론산 및 람노즈(글루코스:글루쿠론산:람노즈 = 2:1:1)를 함유하는 이종다당류로 주로 구성된다. 이 젤란 검은 분자량이 약 670,000 내지 920,000이며, 완전한 생산 통제하에 산업적으로 생성되는 고순도의 공업 제품이다. 다음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젤란 검은 1,3-결합성 글루코스, 1,4-결합성 글루쿠론산, 1,4-결합성 글루코스 및 1,4-결합성 람노즈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선형의 중합체 다당류이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젤란 검의 배합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5 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0.02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양이 0.01 중량% 미만이면, 전체 조성물의 점성도가 목적하는 정도로 충분히 증가하기가 실질적으로 어렵게되어 좋지 않다. 이와 반대로, 그 양이 1.5 중량% 보다 많으면, 이 시스템에 중합체 특이적인 막이 형성되어, 우수한 사용감이 손상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젤란 검이 상기 농도보다 많은 양으로 조성물에 배합되면 전체 조성물은 한천과 유사한 상태가 되고, 이것은 외용 조성물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성질의 조성물을 만드는 경향이 있다.
젤란 검과 함께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는 주성분으로 아크릴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산성 중합체이고, 그 예로서 Hivis Wako 103, 104 및 105(일본에 있는 와코 준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Carbopol 제품(비.에프. 굳리치 컴패니 리미티드 제품), Aqupec 제품(일본에 있는 스미토모 세이카 사부시키가이샤 제품), Junlon PW 제품(일본에 있는 니혼 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과 같은 시판용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젤란 검과 함께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는 주로 알킬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중합체로서 시판되는 제품이다. 이와 같은 제품의 예로는 Carbopol 1342, Pemulen TR-1, Pemulen TR-2(비에프 굳리치 컴패니 리미티드 제품)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서 젤란 검은 전술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와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중 하나 또는 두가지 모두의 조합물과 함께 사용된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좋다.
이 배합 양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겔란 검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조성물의 점성도가 목적하는 정도까지 증가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반대로, 배합 양이 3.0 중량% 보다 많아지면, 목적하는 효과의 증가가 배합 양의 증가에 부합하지 않아,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가 충분히 달성되기 어려워 좋지 않다.
또한, (B) 젤란 검 대 (A)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의 배합 비는 본 발명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의 제품 형태의 타입과 전술한 배합 양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150:1,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1인 것이 좋다. 이 배합비가 비교적 다량의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의 사용으로 인해 전술한 바람직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를 낭비하게 되고,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도 충분히 달성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젤란 검의 양이 비교적 많은 경우, 중합체 특이적인 막이 조성물에 형성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게 되고 전체 조성물은 한천과 같은 상태가 되어 외용 조성물로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화장품 조성물에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와 함께 젤란 검을 배합하면 염의 존재 또는 부재에 관계없이 높은 점성도를 보유하면서 사용감이 매우 향상된 안정한 외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은 전술한 필수 성분외에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약물 조성물의 기타 다른 공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의 예로는 액체 파라핀, 스쿠알렌, 바셀린과 같은 탄화수소류; 마카다미아 너트유, 올리브유, 라놀린, 요요바 오일과 같은 오일과 지방; 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와 같은 왁스류;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실록산과 같은 실리콘류; 카프릴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과 같은 고급 알코올류; 카프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라놀린 지방산, 리놀레산, 리놀렌산과 같은 고급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1,3-부틸렌 글리콜, 에리쓰리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멀티톨, 뮤코폴리사카라이드, 히알우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키틴, 키토산과 같은 습윤제;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부틸히드록시 톨루엔, 토코페롤, 피신과 같은 산화방지제; 벤조산, 살리시클산, 소르브산, p-옥시벤조산 알킬 에스테르, 헥사클로로펜과 같은 항생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타우린, 아르기닌, 히스티딘 및 알칼리 금속 염과 같은 아미노산 및 이의 염산염; 아실 사르코시네이트(예, 나트륨 N-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글루타치온, 구연산, 말산, 주석산, 젖산과 같은 유기산; 비타민 A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B6 염산염, 비타민 B6 트리팔미테이트, 비타민 B6 디옥타노에이트, 비타민 B2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B12, 비타민 B15 및 이의 유도체와 같은 비타민 B류;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황산염 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 디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 C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비타민 E 아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 E류; 비타민 D류; 비타민 H, 판토텐산, 판테틴과 같은 기타 다른 비타민류; 니코틴산 아미드, 니코틴산 벤질, γ-오리자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즈산(염), 글리시레트산 및 이의 유도체, 히노키티올, 비사볼드, 유칼립톤, 티몰, 이노시톨, 사포닌, 예컨대 시호근 사포닌, 인삼 사포닌, 루파 실린드리카 사포닌, 판토테닐 에틸 에테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트라넥삼산, 알부틴, 세파란틴, 태좌 식물의 추출물과 같은 각종 약물 또는 제제를 포함한다.
또한, 루멕스 크리스푸스(rumex crispus), 사포라 플라베슨스(saphora flavescens), 누파 자포니컴(nuphar japonicum), 오렌지,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아킬레아 알피나(achillea alphin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스워티아 자포니카(swertia japonica), 혼도엔시스(hondoensis), 티머스 서필럼 엘.(thymus serpyllum L.), 아우젤리카 아큐틸로바(augelica acutiloba), 시트러스 아우란티엄 엘.(citrus aurantium L.), 버쓰(birth) 추출물, 에퀴세텀 아르벤스(equisetum arvens), 루파 실린드리카(luffa cylindrica), 에스컬러스 히포카스타넘(aesculus hippocastanum), 색시프레지 스톨로니페라 미어버그(saxifrage stolonifera meerburg),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백합, 아르테미시아 프린셉스(artemisia princeps), 파에오니아 락티플로라(paeonia lactiflora), 알로에, 가르데니아 자스미노이데스(gardenia jasminoides), 카마에시파리스 피시페라(chamaecyparis pisifera)의 천연 추출물 또는 유기 용매 추출물; 중화제; 산화방지제; 염료; 방향제; 정제수 등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안정한 바, 외용 조성물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외용 조성물에 계면활성제를 특별히 첨가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따라서 다른 목적을 위해 계면활성제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경우에 따라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다른 목적으로 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면활성제의 예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2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로일디에탄올 아미드, 지방산 디프로판올아미드, 말티톨 히드록시 지방산 에테르, 알킬화된 다당류, 알킬글루코사이드, 당 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변형된 실리콘 등과 같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라우릴아민 옥사이드 등과 같은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나트륨 팔미테이트, 나트륨 라우레이트, 나트륨 라우릴설페이트, 칼륨 라우릴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설페이트, 아실메틸 타우린 염등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이 채택할 수 있는 형태의 타입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용액 타입, 가용화계, 유탁화계, 분말 분산계, 수유(water-oil) 이층계, 수유분말(water-oil-powder) 3층계 등과 같은 모든 외용 조성물 형태가 본 발명에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전술한 필수 성분 외에도, 물, 알코올, 분말, 보존제, 습윤제, 오일, 완충제, 킬레이트제, 착색제, 방향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기타 증점제, 노화방지제, 미백제, 피부 거칠어짐 개량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양은 별다른 표시가 없는한 중량%이다.
제조예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대해 사용된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사용감의 관능 검사
각 시료는 60명의 구성원(즉, 남성 30명 및 여성 30명)으로 구성된 패널의 사용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기준하에 평가하였다.
++ : 40명 이상의 구성원이 우수하게 평가됨
+ : 20명 내지 40명 미만의 구성원이 우수하게 평가됨
±: 10명 내지 20명 미만의 구성원이 우수하게 평가됨
- : 10명 미만의 구성원만이 우수하게 평가됨
2. 점성도 측정(내염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의 점성도는 제조 후 1시간째 염화나트륨을 첨가 및 첨가하지 않은 상태하에 25 ℃의 온도에서 B형 점성도계(로터 번호 3 rpm, 6 rp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를 정제수에 용해한 다음 수산화칼륨으로 중화시킨 후, 염화나트륨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실시예 1 : 밀크 로션
성분 함량(중량%)
(1) 1,3-부틸렌 글리콜 5.0
(2) 카르복시비닐 중합체(Hivis Wako 104) 0.1
(3) 젤란 검 0.2
(4)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0.5
(5) 폴리옥시에틸렌(10) 모노올레산에스테르 0.5
(6) 액체 파라핀 5.0
(7) 수산화칼륨 0.1
(8) 보존제 0.1
(9) 킬레이트제 적당량
(10) 산화방지제 적당량
(11) 방향제 적당량
(12) 정제수 잔여량
실시예 2 : 밀크 로션
성분 함량(중량%)
(1) 1,3-부틸렌 글리콜 5.0
(2) 알킬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PEMULEN TR-1) 0.2
(3) 젤란 검 0.2
(4) 액체 파라핀 5.0
(5) 수산화칼륨 0.1
(6) 보존제 0.1
(7) 킬레이트제 적당량
(8) 산화방지제 적당량
(9) 방향제 적당량
(10) 정제수 잔여량
실시예 3 : 밀크 로션
성분 함량(중량%)
(1) 1,3-부틸렌 글리콜 5.0
(2) 카르복시비닐 중합체(Hivis Wako 104) 0.1
(3) 젤란 검 0.2
(4) 알킬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PEMULEN TR-1) 0.2
(5) 액체 파라핀 5.0
(6) 수산화칼륨 0.1
(7) 보존제 0.1
(8) 킬레이트제 적당량
(9) 산화방지제 적당량
(10) 방향제 적당량
(11) 정제수 잔여량
비교예 1 : 밀크 로션
성분 함량(중량%)
(1) 1,3-부틸렌 글리콜 5.0
(2) 카르복시비닐 중합체(Hivis Wako 104) 0.1
(3)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0.5
(4) 폴리옥시에틸렌(10) 모노올레이트 0.5
(5) 액체 파라핀 5.0
(6) 수산화칼륨 0.1
(7) 보존제 0.1
(8) 킬레이트제 적당량
(9) 산화방지제 적당량
(10) 방향제 적당량
(11) 정제수 잔여량
비교예 2 : 밀크 로션
성분 함량(중량%)
(1) 1,3-부틸렌 글리콜 5.0
(2) 젤란 검 0.2
(3)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0.5
(4) 폴리옥시에틸렌(10) 모노올레이트 0.5
(5) 액체 파라핀 5.0
(6) 수산화칼륨 0.1
(7) 보존제 0.1
(8) 킬레이트제 적당량
(9) 산화방지제 적당량
(10) 방향제 적당량
(11) 정제수 잔여량
비교예 3: 밀크 로션
성분 함량(중량%)
(1) 1,3-부틸렌 글리콜 5.0
(2) 알킬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PEMULEN TR-1) 0.2
(3) 액체 파라핀 5.0
(4) 수산화칼륨 0.1
(5) 보존제 0.1
(6) 킬레이트제 적당량
(7) 산화방지제 적당량
(8) 방향제 적당량
(9) 정제수 잔여량
제조 방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시험 시료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습윤제, 킬레이트제, 젤란 검(젤란 검이 포함되는 경우)을 첨가하고 80 ℃로 가열하여 수성상을 제조하였다. 한편, 액체 파라핀, 보존제, 방향제 등을 첨가하여 80 ℃에서 가열하면서 혼합하였다. 이것을 전술한 수성상에 첨가한 뒤 예비유탁화시켰다. 이 예비유탁화된 생성물에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이 유탁액 중에 존재하는 유탁화된 입자를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한 뒤, 탈기, 여과 및 냉각시켜 시험 시료를 얻었다.
이와 같이 제조한 각 실시예와 각 비교예의 밀크 로션을 사용시의 적용감과 점성도 측정(내염성)을 위해 전술한 관능검사 시험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즉, 사용시의 적용감에 대한 관능검사) 및 표 2(즉, 내염성 시험)에 기재하였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사용감 ++ ++ ++ ± + -
이 결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젤란 검과 함께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가 조성물 중에 단독으로 사용되는 비교예에 비해 사용시의 적용감이 매우 향상된 효과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NaCl 무첨가 5210 4750 5300 3420 1500 2580
NaCl 첨가 5500 4860 5900 150 2100 120
이 결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또는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젤란 검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그 점성도가 젤란 검과의 배합으로 인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염의 존재 및 부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내염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의 각종 타입에 대하여 이하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의 외용 조성물에 대하여 전술한 2가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젤란검만이 배합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이 실시예의 사용시 적용감과 내염성은 매우 우수하였다.
실시예 4 : 크림
성분 함량(중량%)
(1) 1,3-부틸렌 글리콜 8.0
(2) 카르복시비닐 중합체(Hivis Wako 104와 105의 혼합물) 0.1
(3) 젤란 검 0.1
(4) 폴리옥시에틸렌(10)모노올레이트 1.0
(5)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0
(6) 세틸 알코올 1.0
(7) 밀납 0.5
(8) 바셀린 2.0
(9) 스쿠알렌 6.0
(10) 디메틸 폴리실록산 2.0
(11) 수산화칼륨 0.1
(12) 보존제 적당량
(13) 착색제 적당량
(14) 킬레이트제 적당량
(15) 방향제 적당량
(16) 정제수 잔여량
제조 방법
정제수에 보존제, 착색제, 젤란 검을 첨가하고 80 ℃로 가열하여 수성상을 제조하였다. 한편, 오일 성분에 계면활성제, 보존제를 첨가하고 70 ℃로 가열하여 오일 성분을 제조하고, 이것을 전술한 수성상에 첨가한 뒤 예비유탁화시켰다. 이 예비유탁화된 생성물에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를 첨가하고 이 유탁액 중에 존재하는 유탁화된 입자를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한 뒤, 탈기, 여과 및 냉각시켜 목적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5 : 크림
성분 함량(중량%)
(수성상)
(1) 1,3-부틸렌 글리콜 6.0
(2)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4.0
(3) 젤란 검 0.4
(4)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1.0
(5) 알킬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PEMULEN TR-1) 0.1
(6) 정제수 잔여량
(유성상)
(7) 스테아릴 알코올 3.0
(8) 수소첨가된 라놀린 3.0
(9) 스쿠알렌 5.0
(10) 옥틸도데칸올 8.0
(11) 보존제 적당량
(12) 산화방지제 적당량
(13) 방향제 적당량
제조 방법
정제수에 보존제, 젤란 검 및 알킬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를 첨가하고 80 ℃로 가열하여 수성상을 제조하였다. 한편, 오일 성분을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보존제, 산화방지제 및 방향제를 첨가한 뒤 80 ℃로 가열하여 유성상을 제조하였다. 이 유성상을 전술한 수성상에 첨가한 뒤 유탁화된 입자를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한 뒤, 탈기, 여과 및 냉각시켜 목적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6 : 화장수
성분 함량(중량%)
(1) 디프로필렌 글리콜 10.0
(2)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5.0
(3) 알킬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 1342) 0.1
(4) 젤란 검 0.05
(5) 폴리옥시에틸렌(20)올레일 알코올 에테르 0.5
(6) 에탄올 5.0
(7) 수산화칼륨 0.1
(8) 방향제 적당량
(9) 착색화제 적당량
(10) 보존제 적당량
(11) 킬레이트제 적당량
(12) 페이딩 방지제 적당량
(13) 정제수 잔여량
제조 방법
정제수 일부에 킬레이트제를 용해시키고,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젤란 검과 교반하에 혼합하였다. 나머지 정제수에 보존제, 페이딩 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킨 뒤,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수용액을 얻었다. 한편, 에탄올에 보존제, 계면활성제 및 방향제를 첨가하여 알코올성 용액을 만들고 이를 상기 수용액에 첨가 혼합하여 가용화시켰다. 그 다음 색을 조정하기 위하여 착색제를 첨가한 뒤, 여과하여 목적하는 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7 : 팩
성분 함량(중량%)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5.0
(2) 디프로필렌 글리콜 5.0
(3) 소르비톨 5.0
(4) 카르복시비닐 중합체(Hivis Wako 103) 1.0
(5) 젤란 검 1.0
(6) 폴리옥시에틸렌(9) 라우릴 알코올 에테르 1.0
(7) 에탄올 5.0
(8) 수산화칼륨 0.5
(9) 방향제 적당량
(10) 보존제 적당량
(11) 정제수 잔여량
제조 방법
정제수 일부에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와 젤란 검을 첨가한 뒤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한편, 에탄올에 방향제, 보존제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을 상기 수성상에 첨가하여 가용화시켰다. 마지막으로, 나머지 정제수에 수산화칼륨을 용해시킨 다음, 상기 가용화된 생성물에 첨가하고, 중화, 탈기 및 여과하여 목적하는 팩을 얻었다.
실시예 8 : 선스크린제
성분 함량(중량%)
(수성상)
(1) 디프로필렌글리콜 6.0
(2)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 ETD2020) 0.1
(3) 젤란검 0.5
(4) 수산화칼륨 0.1
(5) 정제수 잔여량
(유성상)
(6) 옥틸 p-메톡시신나메이트 6.0
(7) 글리세릴옥틸 디 p-메톡시신나메이트 2.0
(8)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0
(9) 옥시벤존 3.0
(10) 올레일 올레이트 5.0
(11) 디메틸 폴리실록산 3.0
(12) 바셀린 0.5
(13) 세틸 알코올 1.0
(14)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15) 폴리옥시에틸렌(20) 올레일 알코올 에테르 1.2
(16) 산화방지제 적당량
(17) 보존제 적당량
(18) 방향제 적당량
제조 방법
유성상과 수성상을 각각 80 ℃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그 다음, 유성상을 수성상에 첨가하고 균질기를 사용하여 유탁화시켰다. 얻어지는 유탁화된 생성물을 가열 교반기를 사용하여 냉각시키고 목적하는 선스크린제를 얻었다.
실시예 9 : 미용액
성분 함량(중량%)
(1) 이온교환수 잔여량
(2) 에탄올 5
(3) 젤란검 0.3
(4) 크산탄검 0.1
(5)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0.5
(6) 1,3-부틸렌 글리콜 5
(7) 다이나마이트 글리세롤 3
(8) 스쿠알렌 0.3
(9) 글리세릴 트리 2-에틸헥사노에이트 0.1
(1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0.8
(11)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0.4
(12) 구연산 0.02
(13) 구연산나트륨 0.13
(14) 킬레이트제 적당량
(15) 착색제 적당량
(16) 방향제 적당량
(17) 보존제 적당량
제조 방법
목적하는 미용액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 밀크 로션
성분 함량(중량%)
(1) 이온교환수 잔여량
(2) 에탄올 5
(3) 젤란검 0.2
(4) 알킬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1
(5) 크산탄검 0.05
(6)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0.5
(7) 1,3-부틸렌 글리콜 5
(8) 다이나마이트 글리세롤 5
(9) 데카메틸 시클로폴리실록산 5
(10) 디메틸 폴리실록산 5
(11) 액체 파라핀 2
(12) 수산화칼륨 0.1
(13) 구연산 0.01
(14) 구연산나트륨 0.09
(15) 킬레이트제 적당량
(16) 착색제 적당량
(17) 방향제 적당량
(18) 보존제 적당량
제조 방법
목적하는 밀크로션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 밀크 로션
성분 함량(중량%)
(1) 이온교환수 잔여량
(2) 에탄올 0.2
(3) 젤란검 0.05
(4) 크산탄검 0.5
(5) 1,3-부틸렌 글리콜 5
(6) 다이나마이트 글리세롤 5
(7) 스쿠알렌 0.5
(8)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 2-에틸헥사노에이트 0.5
(9) 디메틸 폴리실록산 2
(10) 바셀린 0.5
(11) 폴리옥시에틸렌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0.3
(12) 구연산 0.01
(13) 구연산나트륨 0.09
(14) 킬레이트제 적당량
(15) 착색제 적당량
(16) 방향제 적당량
(17) 보존제 적당량
제조 방법
목적하는 밀크로션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시 적용감이 현저히 개선되고 내염성이 매우 우수한 외용 조성물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Claims (6)

  1. (A)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알킬 변형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B) 젤란 검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A)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1 내지 3 중량%인 것이 특징인 외용 조성물.
  3. 제1항에있어서, 성분(B)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1 내지 1.5 중량%인 것이 특징인 외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성분(B) 대 성분(A)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50:1인 것이 특징인 외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성분(B) 대 성분(A)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50:1인 것이 특징인 외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외용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의 계면활성제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외용 조성물.
KR1019990037921A 1998-09-08 1999-09-07 외용 조성물 KR200000229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59098 1998-09-08
JP98-272590 1998-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959A true KR20000022959A (ko) 2000-04-25

Family

ID=1751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921A KR20000022959A (ko) 1998-09-08 1999-09-07 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85410A1 (ko)
KR (1) KR20000022959A (ko)
TW (1) TW5708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98A (ko) * 2003-08-28 2005-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4062B4 (de) * 2000-08-31 2004-10-07 Coty B.V. Hochviskoses kosmetisches Produkt
FR2862222B1 (fr) * 2003-11-18 2008-10-1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 gomme de gellane ou un de ses derives, un compose solide et un sel monovalent, procedes mettant en oeuvre cette composition et utilisations
US8399001B2 (en) 2003-11-18 2013-03-1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gellan gum or derivative thereof, at least one monovalent salt, and at least one suspension compound, processes using this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8246940B2 (en) 2003-11-18 2012-08-21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ellan gum or a derivative thereof, a fixing polymer, a monovalent salt and an alcohol, process of using the same
FR2862220B1 (fr) * 2003-11-18 2006-05-2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 gomme de gellane ou un de ses derives, un polymere fixant, un sel monovalent et un alcool, procedes mettant en oeuvre cette composition et utilisations.
FR2862221B1 (fr) * 2003-11-18 2008-10-1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 gomme de gellane ou un derive, un sel monovalent et un compose en suspension, procedes mettant en oeuvre cette composition et utilisations
DE102004040849A1 (de) 2004-08-23 2006-03-02 Henkel Kgaa Klares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Fließgrenze
DK2014305T3 (en) * 2006-04-21 2017-10-16 Toko Yakuhin Kogyo Kk SPRAYABLE GEL-SHAPED SKIN / MOSPHONE ADHESIVE AND ADMINISTRATIVE SYSTEM FOR USING THE PREPARATION
JP7284092B2 (ja) * 2017-10-31 2023-05-3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固形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470A (en) * 1985-11-27 1987-03-03 Merck & Co., Inc. Low-acetyl gellan gum blends
US5523078A (en) * 1995-02-03 1996-06-04 Michael E. Baylin Method of preparing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air and scalp
JP3828946B2 (ja) * 1995-07-07 2006-10-0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基材組成物
FR2772599B1 (fr) * 1997-12-19 2000-01-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 ses utilis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98A (ko) * 2003-08-28 2005-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0809B (en) 2004-01-11
EP0985410A1 (en)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623B1 (ko) 분말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1337811B1 (ko)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JP2008007442A (ja) 化粧料
JPH11152207A (ja) 化粧料
WO2014132784A1 (ja) 皮膚用ジェル状組成物
KR20000022959A (ko) 외용 조성물
KR20090057044A (ko) 사용감이 좋은 유화 조성물
JP2007070304A (ja) 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2125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5840838B2 (ja) 増粘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3072070A1 (ja) シリコーンオイル配合化粧料組成物の安定化方法
JP2013006836A (ja) 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JP4902212B2 (ja) 化粧料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098655A (ja) 皮膚外用組成物
CN109890361B (zh) 含有亚油酸的组合物
JP3559688B2 (ja) 化粧料
JP2005132828A (ja) 外用組成物
JP2008230994A (ja) 化粧料
JP2001131016A (ja) 外用組成物
JP2008230995A (ja) 化粧料
JP4370595B2 (ja) ゲル状組成物、芳香剤、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2000143436A (ja) 外用組成物
JPH0710338B2 (ja)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4307414A (ja) W/o/wエマルション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45719A (ja) 乳化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