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105A -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105A
KR20000020105A KR1019980038533A KR19980038533A KR20000020105A KR 20000020105 A KR20000020105 A KR 20000020105A KR 1019980038533 A KR1019980038533 A KR 1019980038533A KR 19980038533 A KR19980038533 A KR 19980038533A KR 20000020105 A KR20000020105 A KR 2000002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ash memory
area
ram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105A/ko
Publication of KR2000002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Management of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6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CPU)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기입/소거 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 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입/소거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가 업데이트될 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업데이트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을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될 데이터는 우선 상기 램의 제 1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 내의 데이터가 상기 램의 제 2 영역에 저장되고 나서,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 2 영역의 업데이트될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데이터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블록 영역에 기입된다. 그 결과, 메모리 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입/소거되는 플래시 메모리에/로부터 데이터를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기입/소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WITH FLASH MEMORY)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기입/소거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에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기입/소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카드(smart card)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표적인 것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RAM 등이 있다.
종래에는 스마트 카드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사이즈(size)가 크지 않았으며, 단일 어플리케이션(single application)에 국한되어 있었다. 최근에는 멀티 어플리케이션(multi-application)을 수용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JAVA-application)의 등장으로 대용량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런데, 스마트 카드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chip)의 패키지 타입(package type)은 COB 형태로 칩의 신뢰성 측면에서 칩 사이즈를 25mm2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 카드용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 제조회사들은 20mm2이하의 칩을 생산하고 있으며, 칩 조립의 신뢰성과 제조원가 측면에서 점차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비휘발성 메모리의 용량은 대용량으로 진행되고, 칩 사이즈는 소형화되는 추세에서 새롭게 대두된 것이 스마트 카드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EEPROM 대신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하는 것이다.
EEPROM은 2개의 트랜지스터로 하나의 기억 소자 셀(CELL)이 구성되는 반면에 플래시 메모리는 1개의 트랜지스터로 하나의 기억 소자 셀이 구성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가 EEPROM에 비해 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훨씬 작다. 그 결과, 스마트 카드용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대용량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게 되었다.
1 비트 또는 1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기입/소거(write/erase)할 수 있는 EEPROM과 달리 플래시 메모리는 블록(block) 단위로만 데이터를 기입/소거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카드에서는 1 비트(bit) 또는 1바이트(byte) 단위로 데이터를 기입/소거하는 동작이 많이 발생하므로, 스마트 카드용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에 플래시 메모리를 그대로 내장하면 많은 문제점들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플래시 메모리에/로부터 데이터를 1비트 또는 1 바이트 단위로 기입/소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램과 플래시 메모리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되는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 처리 장치 20 : 램
22 : I/O 포트 24 : 램 어레이
30 : 플래시 메모리 32 : 래치
34 :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전자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CPU)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기입/소거 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 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입/소거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가 업데이트(update)될 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업데이트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을 포함하되;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될 데이터는 상기 램의 제 1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 내의 데이터가 상기 램의 제 2 영역에 저장되고 나서,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 2 영역의 업데이트될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데이터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블록 영역에 기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램은 적어도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블록의 두 배의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중앙 처리 장치(CPU)와 램(RAM) 및 소거 단위의 메모리 블록들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기입(write) 방법은: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될 데이터를 상기 램의 제 1 영역에 기입하는 단계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 내의 데이터를 상기 램의 제 2 영역에 기입하는 단계와; 상기 램의 제 1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의 소정 영역에 재기입(rewrite)하는 단계 및; 상기 램의 제 2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블록 영역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전자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CPU)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기입/소거 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 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입/소거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가 업데이트될 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업데이트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을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될 데이터는 우선 상기 램의 제 1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 내의 데이터가 상기 램의 제 2 영역에 저장되고 나서,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 2 영역의 업데이트될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데이터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블록 영역에 기입된다. 그 결과, 메모리 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입/소거되는 플래시 메모리에/로부터 데이터를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기입/소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기입/소거해야 하는 전자 장치에 고용량, 소형의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 회로 구성을 블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카드(smart card)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10)와 램(Random Access Memory; RAM)(20)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30)를 포함한다. 상기 램(20)과 플래시 메모리(30)는 어드레스 버스와 각종 제어 라인(CS, RD, WR) 및 데이터 버스로 CPU와 연결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30)는 EEPROM과 달리 1 비트 또는 1 바이트 단위의 소거가 불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하나의 셀이 트랜지스터 1개로 구성되어 일괄 소거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플래시 메모리(30)의 한 블록의 크기의 2 배인 데이터 백-업(back-up)용 램(Read Only Memory; ROM)(20)을 구비한다. 상기 램(20)은 디-램(Dynamic RAM; DRAM)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30)는 중앙 처리 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기입/소거 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 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입/소거된다. 상기 램(20)은 상기 플래시 메모리(30)의 데이터가 업데이트(update)될 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30)의 업데이트될 영역을 포함하는 물리적 블록 영역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상기 램(20)은 적어도 상기 플래시 메모리(30)의 메모리 블록의 두 배의 크기를 갖는다. 이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30)의 업데이트될 영역을 포함하는 물리적 블록 영역의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램(20)과 플래시 메모리(3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로부터 인가되는 칩 선택 신호(Chip Select signal; CS)에 의해 선택되고, 기입/독출 신호(write/read signal) 즉, WR, RD 신호에 의해 기입/독출된다. 또한, 상기 램(20)과 플래시 메모리(3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로부터 8비트의 어드레스 신호(ADDRESS 0~7)를 인가받아, 8비트의 데이터 신호(DATA 0~7)를 기입/독출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램과 플래시 메모리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20)은 I/O 포트(Input/Output port)(22)와 램 어레이(24)를 포함한다. 상기 램 어레이(24)는 제 1 영역(24a)과 제 2 영역(24b)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 1 영역(24a)은 64 바이트(A0 ~ A63)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영역(24b)은 64 바이트(B0 ~ B63)로 구성된다. 플래시 메모리(30)는 래치(latch)(32)와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는 n 개의 메모리 블록들(BLOCK 0 ~ BLOCK 63)로 구성되고, 각 메모리 블록은 64 바이트(BYTE 0 ~BYTE 63)의 크기를 갖는다.
램 어레이(24)는 I/O 포트(22)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10)로부터 데이터와 어드레스를 인가받는다. 데이터 버스 a를 통해 상기 I/O 포트(22)로 인가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 b를 통해 램 어레이(24)의 제 1 영역(24a)에 기입(write)된다.
다음,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A)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BLOCK 1) 내의 데이터들이 데이터 버스 c를 통해 상기 램 어레이(24)의 제 2 영역(24b)에 기입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는 n 개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성되고, 각 메모리 블록은 64 바이트(BYTE 0 ~BYTE 63)의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램 어레이(24)의 제 2 영역(24b)은 적어도 64 바이트이어야 한다. 또한, I/O 포트(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의 메모리 블록의 크기와 같거나 작으므로, 상기 램 어레이(24)의 제 1 영역(24a)은 적어도 64 바이트이어야 한다. 즉, 상기 램 어레이(24)는 적어도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의 메모리 블록의 두 배의 크기(64 바이트 × 2)를 갖는다.
계속해서, 램 어레이(24)의 제 1 영역(24a)에 기입된 데이터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A)에 대응하는 램 어레이(24)의 제 2 영역(24b)에 기입된다(d). 램 어레이(24)의 제 2 영역(24b)에 기입된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 e, 래치(34), 그리고 데이터 버스 f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의 메모리 블록 영역(BLOCK 1)에 프로그램된다. 상기 래치(32)는 1 바이트에서 64 바이트까지 저장 가능하며, 상기 램 어레이(2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1 바이트씩 순차적으로 래치하여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에 프로그램하거나, 64 바이트를 저장한 후 하나의 기입 사이클(write cycle) 동안 프로그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의 A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하는데 있어서, 메모리 블록 영역(BLOCK 1)의 나머지 63 바이트 영역의 데이터는 원래의 데이터로 유지된다. 따라서, 블록 단위로 기입/소거되는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에 1 비트 또는 1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기입/소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되는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 S110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에 기입될 데이터를 램 어레이(24)의 제 1 영역(24a)에 기입한다. 다음 단계 S120에서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A)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BLOCK 1) 내의 데이터를 상기 램 어레이(24)의 제 2 영역(24b)에 기입한다.
계속해서, 단계 S130에서는, 상기 램 어레이(24)의 제 1 영역(24a)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A)에 대응하는 상기 램 어레이(24)의 제 2 영역(24b)의 소정 영역에 재기입(rewrite)한다.
단계 S140에서는, 상기 램 어레이(24)의 제 2 영역(24b)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의 메모리 블록 영역(BLOCK 1)에 프로그램한다. 이때, 램 어레이(24)의 제 2 영역(24b)으로부터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34)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래치(32)를 통해 입력되어 프로그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 블록단위로 기입/소거되는 플래시 메모리에/로부터 데이터를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기입/소거가 가능하다. 그 결과,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기입/소거해야 하는 전자 장치에 고용량, 소형의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CPU)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기입/소거 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 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입/소거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가 업데이트(update)될 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업데이트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을 포함하되;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될 데이터는 상기 램의 제 1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 내의 데이터가 상기 램의 제 2 영역에 저장되고 나서,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 2 영역의 업데이트될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데이터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블록 영역에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은 적어도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블록의 두 배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중앙 처리 장치(CPU)와 램(RAM) 및 소거 단위의 메모리 블록들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기입(write)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될 데이터를 상기 램의 제 1 영역에 기입하는 단계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 영역 내의 데이터를 상기 램의 제 2 영역에 기입하는 단계와;
    상기 램의 제 1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의 소정 영역에 재기입(rewrite)하는 단계 및;
    상기 램의 제 2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블록 영역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기입 방법.
KR1019980038533A 1998-09-17 1998-09-17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000020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533A KR20000020105A (ko) 1998-09-17 1998-09-17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533A KR20000020105A (ko) 1998-09-17 1998-09-17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105A true KR20000020105A (ko) 2000-04-15

Family

ID=1955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533A KR20000020105A (ko) 1998-09-17 1998-09-17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1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471B1 (ko) * 2001-09-26 2004-10-2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플래시 메모리 재기입 회로, ic 카드용 lsi,ic카드, 플래시 메모리 재기입 방법 및 플래시 메모리재기입 프로그램
KR100793203B1 (ko) * 2001-08-30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데이터 업데이트방법
KR100847021B1 (ko) * 2006-10-26 2008-07-17 한국과학기술원 데이터 저장 장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14237495A (zh) * 2021-11-29 2022-03-25 歌尔科技有限公司 数据更新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203B1 (ko) * 2001-08-30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데이터 업데이트방법
KR100453471B1 (ko) * 2001-09-26 2004-10-2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플래시 메모리 재기입 회로, ic 카드용 lsi,ic카드, 플래시 메모리 재기입 방법 및 플래시 메모리재기입 프로그램
KR100847021B1 (ko) * 2006-10-26 2008-07-17 한국과학기술원 데이터 저장 장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14237495A (zh) * 2021-11-29 2022-03-25 歌尔科技有限公司 数据更新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698B1 (ko) 메모리의 페이지 및/또는 블럭의 사이즈와 상이한사이즈를 구비하는 데이터 섹터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KR100375217B1 (ko)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는마이크로컨트롤러
US599119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data protection feature
US7102943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P1537483B1 (en) A memory circuit comprising a non-volatile ram and a ram
US6108236A (en) Smart card comprising integrated circuitry including EPROM and error check and correction system
JP3251968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4265162A (ja) 記憶装置およびアドレス管理方法
KR100285063B1 (ko) 동기형 램 장치와 시스템 버스를 공유하는 동기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소거 및 쓰기 방법
JP3310011B2 (ja) 半導体メモリ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半導体メモリボード
JPH0574178A (ja) 不揮発性icメモリ
KR19990029196A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데이터 관리 방법
JPH11203204A (ja) 読出しおよび/または書込み保護可能領域を含む電気的に消去再書込み可能な不揮発性メモリ、ならびにこのメモリを内蔵した電子システム
US5383161A (en) IC card with decoder for selective control for memory storage
CN100485810C (zh) 逻辑与非快闪存储器芯片存取方法及与非快闪存储器芯片
US6510083B1 (en)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memory that allows data update without prior erasure of the memory
KR100305033B1 (ko) 블럭 아키텍츄어 옵션 회로를 구비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4103197A (ja) オン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非揮発性メモリ及びオフ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非揮発性メモリを具えたチップ及びその形成方法とプログラム方法
KR20000020105A (ko)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6654311B2 (en) Synchronous flash memory command sequence
KR20000070274A (ko) 가변 페이지 사이즈를 갖는 리프로그래머블 메모리 장치
JPH07153284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5150913A (ja) フラツシユメモリを記憶媒体としたシリコンデイスク
KR20070024249A (ko) 배드 블럭 정보가 기록된 난드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
KR20030038320A (ko) 반도체 메모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