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824A -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 Google Patents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824A
KR20000006824A KR1019990049008A KR19990049008A KR20000006824A KR 20000006824 A KR20000006824 A KR 20000006824A KR 1019990049008 A KR1019990049008 A KR 1019990049008A KR 19990049008 A KR19990049008 A KR 19990049008A KR 20000006824 A KR20000006824 A KR 2000000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ean water
filter
moisture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연준
Original Assignee
안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연준 filed Critical 안연준
Priority to KR101999004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824A/ko
Publication of KR2000000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824A/ko
Priority to AU46232/00A priority patent/AU4623200A/en
Priority to PCT/KR2000/000532 priority patent/WO2001016028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72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81Feeding the steam or the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28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humi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조와, 펌프와, 다중 여과기와, 다중 가습용 진동판 및, 누름콕을 구비하여, 지속적인 습기 발생이 가능하고, 음용수가 부족한 선박, 추락한 비행기, 고장난 자동차와 같이 물이 부족한 곳에서 청정수를 음용할 수 있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냉매를 이용하는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실내기(200)의 증발기(207)에서 발생하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도록, 증발기(207)의 하부에 결합된 직사각형 용기형상의 수집용기(220)와, 수집용기(220)의 하향에 배관된 일자형 제1여과기(230)와, 제1여과기(230)의 하향에 배관되어서, 일차 여과된 응결수를 초음파 진동시키므로써, 습기를 발생시키는 제1, 제2습기발생기(240, 241)들과, 제2습기발생기(241)와 저수조(270)에 배관된 직사각 용기형상으로 형성된 응결수통(250)과, 응결수통(250)의 일차 여과된 응결수를 펌프(260)로 가압송시킬 수 있도록 배관된 제2여과기(231)와, 제2여과기(231)에서 여과된 청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저수조(270)에 공급하게 수로를 변경시키도록, 실내기(200)의 정면으로 돌출되게 고정된 누름콕(210)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Cooling apparatus for making drinkable water}
본 발명은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방장치에 장착된 열교환기와 대기와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청정수로 재생하여 음용수로 마실 수 있거나, 건조하게 냉방된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증발할 때에 주위 공기와 열교환하고, 이때 냉각하는 공기를 실내 공간에 공급하여서, 실내 공간을 냉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냉방작용 이외에도, 제습작용을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냉방장치는 오랜 시간 동안 가동되는 환경 속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냉방병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냉방장치의 제습작용에 의해서 공기중의 습도가 저하되고, 공기중의 먼지, 세균, 곰팡이 등을 걸러주는 면역체계인 인후와 비강의 점막이 건조하게 되므로써 발생한다.
또한, 냉방장치는 대기중의 공기를 냉각시킬 때, 상대적 온도차이가 나타나는 열교환기에서 응결수를 필연적으로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응결수는 온도에 따른 수분의 포화도의 차이에 의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공기중 수분에서 응결이 일어나고, 그러므로써, 응결된 공기중 수분이 변환된 이슬과 같은 물을 의미한다.
이렇게 냉방장치의 가동에 따라 생성된 응결수는 필요 없는 냉각부산물로 간주되고, 물 배수구 또는 물 배수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내부의 냉기를 이용하여 증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의 공기 방출 및 물 배수장치는 1992년 미국 특허 제5,117,653호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증발기의 하부에서 응결수를 모을 수 있는 용기형상의 냉각팬조립체(pan assembly)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냉각팬조립체에는 공기 방출 덕트에 일체로 형성된 물 배수부와 댐퍼 개폐 조정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한 냉방장치의 공기 방출 및 물 배수장치는 댐퍼 개폐 조정장치의 개폐 댐퍼를 열어 냉기를 공기 방출 덕트쪽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모아진 응결수를 흘려보내므로써, 응결수를 증발시킨다.
그러나, 일반적인 냉방장치용 공기 방출 및 물 배수장치는 응결된 물을 방출 또는 제거하는 것으로서, 응결된 물을 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현재 각국에서는 환경문제에 대해 많은 관심과 함께, 냉방장치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단순히 응결된 물을 외부로 방출하지 않고 재사용하는 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999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제11451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한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자동차 덕트(1) 상의 증발기(2)에서 발생하는 응결수를 가습덕트(3)로 받아 진동발생기(4)에서 증기를 발생하고 다시 덕트(1)의 하류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런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에서 진동발생기(4)는 에어컨 스위치(5) 및 블로어 스위치(6)가 모두 온(ON) 되면, 통전되어 초음파 진동하므로써, 습기를 발생시킨다. 미설명 부호 7은 블로어, 8은 수집조, 9는 압축기이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증발기를 소정시간 작동한 후에 미미한 정도의 수분을 이용하여 습기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초기 작동시에 바로 습기를 발생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가습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응결수를 처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제습작동과 가습작동을 구분하여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여과하지 않은 응결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증기발생기에서 적당량의 습기를 발생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한정되게 발생되는 응결수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습기를 발생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은 지속적으로 습기를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증기발생기와 같은 주요 구성 부품에 무리가 가거나,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은 냉방장치에서 발생하는 응결수를 재 사용하는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인 결과, 1997년 실용신안등록 제156725호의 에어컨 기능이 일체로 설치된 냉장고의 응결수 처리장치를 고안한 바 있다.
또한, 그 이후로 본 발명인은 응결수의 재사용과 함께 효율적인 냉방장치 개발을 위한 실험과 연구를 기울인 결과, 1999년, 특허출원 제99-36475호의 냉각장치에서 발생되는 응결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와, 동년 특허출원 제99-44225호의 냉풍기를 이용한 청정수의 제조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인은 실제품의 개발 상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보안하고, 응결수를 실제로 음용이 가능한 청정수로 제조할 수 있는 연구를 계속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조와, 펌프와, 다중 여과기와, 다중 가습용 진동판 및, 누름콕을 구비하여, 지속적인 습기 발생이 가능하고, 음용수가 부족한 선박, 추락한 비행기, 고장난 자동차와 같이 물이 부족한 곳에서 청정수를 음용할 수 있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기능을 지니는 에어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선 A-A'로 절단한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청정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냉방장치의 중요부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사시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중요부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선 B-B'로 절단한 단면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청정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냉장방치의 중요부위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선 B-B'로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배선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1과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외기 200 : 실내기
207 : 증발기 210 : 누름콕
220 : 수집용기 230, 231 : 여과기
240, 241 : 습기발생기 250 : 응결수통
270 : 저수조 260 : 펌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이용하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구비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에 있어서, 실내기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도록, 증발기의 하부에 결합된 직사각형 용기형상의 수집용기와, 수집용기의 하향에 배관된 일자형 제1여과기와, 제1여과기의 하향에 배관되어서, 일차 여과된 응결수를 초음파 진동시키므로써, 습기를 발생시키는 제1, 제2습기발생기들과, 제2습기발생기와 저수조에 배관된 직사각 용기형상으로 형성된 응결수통과, 응결수통의 일차 여과된 응결수를 펌프로 가압송시킬 수 있도록 배관된 제2여과기와, 제2여과기에서 여과된 청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저수조에 공급하게 수로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실내기의 정면으로 돌출되게 고정된 누름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기들은 커버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일자형 용기의 내부에 여과용 스펀지 패드로 구분한 다수의 필터용 재료들을 충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습기발생기에는 제2습기발생기와 제1습기발생기를 상반되게 온/오프(ON/OFF) 작동시키도록, 제어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수위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응결수통의 물이 아래에서 위로 유동하므로써, 다수의 필터용 재료들이 각종 오물, 유기물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펌프의 상향에 제2여과기가 배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의 외표면에는 응결수의 생성을 돕도록, 실리콘 코팅처리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용기의 출수구멍에는 수위조절용 끈이 달린 부레에 의해서 개폐작동하는 덮게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조는 실내기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접혀졌다 펼쳐지므로써, 내부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조에는 응결수통에 배관된 연장파이프와 청정수 전달 파이프에 각각 원터치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퀵 커플러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제2습기발생기들은 분기관을 구비한 습기파이프와 배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습기파이프의 끝단에는 실내기의 배기구의 하단에 고정된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콕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작동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굴곡형 출수파이프를 구비하고, "T"자 형상의 조립식 연결구에 의해서 청정수 전달 파이프에 배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콕의 출수파이프의 안쪽 끝단면은 사각형 플랜지 형상으로 막혀있고, 테두리에 턱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작동시 출수파이프가 조립식 연결구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콕에는 펌프의 작동을 단속하는 누름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파이프의 출수부쪽에는 응결수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펌프의 작동을 단속하는 제3수위 검출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용기는 차량용 증발기의 크기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제1여과기와, 펌프와, 제2여과기 및 누름콕을 차례로 연결하는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과 배관되어 있으므로써, 부가적으로 자동차에서 음용가능한 청정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조는 부가적으로 차량의 트렁크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에 배관된 응축기에는 겨울철에 응결수가 발생될 수 있도록, 부가적인 열선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고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고, 창고의 안쪽에서 청정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창고의 벽에 형성된 덕트 구멍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굴곡형 케이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용기와, 제1여과기와, 펌프와, 제2여과기과, 누름콕 및 저수조를 연결한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은 창고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를 갖는 선박과 비행기에 장착되어서, 음용가능한 청정수를 제조하여 저수조에 저장하고, 유사시에 저수조를 분리하여 식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선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와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청정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냉방장치의 중요부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중요부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선 B-B'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청정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냉장방치의 중요부위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선 B-B'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배선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장착한 실외기(100)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실외기(100)의 응축기에서 저온의 냉매를 공급받아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내부에 장착한 실내기(200)를 갖는다.
그러한 본 발명의 실내기(200)는 콘솔형식으로서, 사무실과, 가정의 일측에 세울 수 있는 사각형 상자형상의 케이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케이싱의 정면 상부에는 냉기 및 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날개들로 냉기의 수로를 조정가능한 배기구(2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배기구(201)의 하향에는 실내기(2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는 전원스위치와, 냉방스위치, 가습 및 제습스위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2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2)의 배면에는 제어회로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02)의 하향에는 사용자가 청정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누름콕(210)이 실내기(200)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런 누름콕(210)의 하향에는 배출되는 청정수를 담아 사용하는 컵을 지지하는 컵 홀더(2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컵 홀더(205)의 하향에는 실내기(200)의 작동시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구(204)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실내기(200)의 내부의 공기를 배기구(201)쪽으로 보낼 수 있도록, 냉각팬(206)을 장착하고 있다. 또한, 실내기(200)의 중앙에는 냉각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지만 많은 양의 응결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증발 면적을 갖는 증발기(207)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증발기(207)의 외표면은 응결수의 생성을 돕도록, 실리콘 코팅(siliconized coating)처리 되어 있다.
이런 증발기(207)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응결수를 이용하여 청정수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실내기(200)는 수집용기(220)와, 두 개의 여과기(230, 231)들과, 두 개의 습기발생기(240, 241)들과, 응결수통(250)과, 펌프(260) 및, 저수조(270) 및 제어회로(도시 안됨)를 장착하고 있다.
먼저, 수집용기(220)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용기로서, 증발기(207)의 폭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수집용기(220)는 증발기(207)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도록, 케이싱에 고정되어 있다. 이런 수집용기(220)의 출수구멍에는 수위조절용 끈이 달린 부레(221)에 의해서 개폐작동하는 덮게(222)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런 부레(221)와 덮게(222)는 평상시에 출수구멍을 폐쇄하고 있다가, 수위조절용 끈의 길이만큼 소정량의 응결수가 수집용기(220)에 모아질 경우 출수구멍을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두 개의 여과기(230, 231)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정수용 필터를 갖는 제1여과기(230)와, 3단 정수용 필터를 갖는 제2여과기(231)이다. 여기에서,
도 4a에 보이는 바와 같은 제1여과기(2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집용기(220)의 하면에서 응결수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배관되어 있다. 그러한 제1여과기(230)는 커버(236)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일자형 용기(232)의 내부에 여과용 스펀지 패드(233)로 구분하여서 오물 및 분진을 여과하기 위한 활성탄(234)과, 유기물을 여과하기 위한 제올라이트(235 ; zeolite)와 같은 필터용 재료를 충진한 것이다. 따라서, 제1여과기(230)는 중력에 의해서 유동하는 응결수에서 오물과 분진 및 유기물들을 제거하므로써, 청정한 습기의 발생에 필요하게 응결수의 수질을 깨끗하게 한다.
도 4b에 보이는 바와 같은 제2여과기(231)는 상술한 바와 같은 펌프(260)에 의해서 가압송되는 응결수통(250)의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용할 수 있도록, 제1여과기와 동일한 형상의 일자형 용기(237)의 내부에 여과용 스펀지 패드(233')들로 구분하여서, 활성탄(234')과 제올라이트(235') 및 초산 셀룰로우즈 멤브레인 필터(238 ; nitric cellulous membrane filter)와 같은 필터용 재료를 충진한 것이다. 여기에서, 초산 셀룰로우즈 멤브레인 필터는 0.22 마이크로미터의 조밀도의 막조직을 갖고, 미생물, 세균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습기발생기(240, 241)들은 응결수통(25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1습기발생기(240)와, 이런 제1습기발생기(240)의 하부에 배치되어서 응결수통(250)의 안쪽에 고정된 제2습기발생기(241)이다. 이런 두 개의 습기발생기(240, 241)들은 압전현상에 의해서 초음파로 진동하는 진동판을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하여 습기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그러한 두 개의 습기발생기(240, 241)들에는 일반적인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와 같은 수위 검출 스위치(243, 244)들이 각각 장착되어있다. 특히, 제1수위 검출 스위치(243)는 제1습기발생기(240)의 수분의 유무에 따라 제1릴레이와 제2릴레이를 동작시키므로써, 제1습기발생기(240)의 드레인(242)을 개방 및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제1수위 검출 스위치(243)는 제2습기발생기(241)와 제1습기발생기(240)를 상반되게 온/오프(ON/OFF)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수위 검출 스위치(244)는 제2습기발생기(241)의 수분의 유무에 따라서 제2릴레이를 동작시키므로써, 제2습기발생기(241)의 입수구(244)를 개방 및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각각의 습기발생기(240, 241)들은 분기관을 구비한 습기파이프(245)에 배관되어 있다. 이런 습기파이프(245)에서 습기가 빠져나가는 노즐(246)은 실내기(200)의 배기구(201)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응결수통(250)은 여과된 응결수의 임시저장용기로 사용되도록, 직사각형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내기(200)의 케이싱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한 응결수통(250)의 일측은 제2습기발생기(241)의 드레인(242)과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저수조(270)의 연장파이프(271)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장파이프(271)의 출수부쪽에는 제3수위 검출 스위치(274)가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장착된 제3수위 검출 스위치는 응결수통(250)의 수위를 감지하여 펌프(260)의 작동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펌프(260)는 응결수통(250)의 소정크기의 수압으로 일차 여과된 물을 제2여과기(231) 쪽으로 가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펌프(260)의 상향에는 제2여과기(231)가 배관되어 있다. 이는 응결수통(250)의 물이 아래에서 위로 유동하므로써, 다수의 필터용 재료(234, 235, 234', 235', 238)들이 각종 오물, 유기물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여과기(231)는 청정수 전달 파이프(272)로 배관되어 있다. 그리고, 제2여과기(231)에 의해 두 번 여과되어 음용가능한 청정수는 저수조(270)에 저장된다.
또한, 저수조(270)는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를 설치한 선박이나, 고장난 자동차, 추락한 비행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환경에서,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중요한 식수를 저장하고 이동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착탈식으로 접혀다 펼쳐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저수조(270)는 실내기(200)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접혀졌다 펼쳐질 수 있게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저수조(270)의 내부에 청정수가 많이 공급되면 펼쳐져서 내부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저수조(270)는 평상시에 실내기(200)가 차지하는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청정수가 많이 저장될 경우에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수조(270)의 하부와 상부에는 연장파이프(271)와 청정수 전달 파이프(272)에 원터치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일반적인 퀵 커플러(27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런 퀵 커플러(237)는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서 파이프(271, 272)들이 삽입되었을 경우, 수로를 개방하고, 파이프(271, 272)들이 이탈할 경우, 수로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저수조(270)는 실내기(200)의 작동시 음용가능한 청정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퀵 커플러(237)에 의해 분리되고, 물을 필요로 하는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다.
아래에서, 제조된 청정수를 음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누름콕(210)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콕(210)은 청정수 전달 파이프(272)에 배관되어서 공급되는 청정수의 수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누름콕(210)은 "T"자 형상의 조립식 연결구(211)의 돌출부 쪽에 결합된 굴곡형 출수파이프(212)를 갖는다. 여기에서, 조립식 연결구(211)와 출수파이프(212)의 결합부위는 사각단면을 갖는다. 또한, 출수파이프(212)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누름 버튼(203)이 부착되어 있다.
도 6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누름콕(210)의 출수파이프(212)의 하면에는 스프링(214)의 장력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작동(p)시 원래의 위치로 귀환될 수 있도록, 지지턱(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스프링 지지턱(213)은 일체형의 돌출바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스프링 지지턱(213)의 돌출바(215)는 조립식 연결구(211)의 누름스위치(216)를 단속하도록 스프링 장착부(218)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출수파이프(212)의 안쪽 끝단면은 사각형 플랜지 형상으로 막혀있고, 테두리에 턱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작동(p)시 출수파이프(212)가 조립식 연결구(2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런 출수파이프(212)의 안쪽 끝단면의 외부에는 충격완충용 고무 블록(219)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출수파이프(212)의 안쪽 끝단부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사각형 플랜지 형상의 끝단면의 안쪽에는 고무재질의 사각형 밀봉링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조립식 연결구(211)는 테두리에 플랜지를 형성한 상단과 하단이 볼트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조립식 연결구(211)의 돌출부쪽의 내경에 슬라이딩작동(p)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217)들을 장착하고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누름콕(210)의 출수파이프(212)는 누름 버튼(203)을 사용자가 수평한 방향(c)으로 누를 경우, 조립식 연결구(211)의 내부로 슬라이딩 작동한다. 이런 출수파이프(212)는 충격완충용 고무 블록(219)을 조립식 연결구(211)의 내면에 접촉시키므로써 정지한다. 이때, 출수파이프(212)는 청정수(d)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조립식 연결구(211)와 연통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 지지턱(213)에 형성된 돌출바(215)의 끝단은 누름스위치(216)에 접촉하고, 누름스위치(216)에 접속된 펌프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펌프에 의해 가압된 청정수(d)는 청정수 전달 파이프(272)를 따라 유동하다가 출수파이프(212)쪽으로 수로가 변경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누름 버튼(203)에 가한 힘을 제거한 경우, 출수파이프(212)는 스프링(214)의 장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청정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냉방장치의 회로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부는 실내기의 전원부(209)에 병렬로 연결된 회선의 일측을 단속하는 마그네틱 커넥터(28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런 마그네틱 커넥터(281)에는 작동상 이상이 있음을 보여주는 적색표시등(282)이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마그네틱 커넥터(281)와 적색표시등(282)이 접속된 회선에는 모터의 이상 발생시 수위의 넘침 방지용 수위 검출 스위치(29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기계전기(283, 284, 285, 287)는 습기발생기와 연장파이프의 수위 검출 스위치(243, 244, 274)들의 수분 감지와, 누름콕의 슬라이딩 작동시 누름스위치(216)의 온/오프(ON/OFF)작동으로 인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선택적으로 스위칭 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또한, 녹색 표시등(286)으로서 펌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가습스위치(288)는 가습발생기들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가습스위치(288)를 온(ON)하면, 제1습기발생기쪽의 제1수위 검출 스위치(243)의 위치(좌측 또는 우측)에 따라 제1, 제2전기계전기(283, 284)들이 작동한다. 이때, 제1습기발생기에 물이 없을 경우, 제2습기발생기는 동작하고, 또한, 제2습기발생기에도 물이 없으면 모든 습기발생기들은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스위치(216)는 접점될 경우, 펌프를 동작시킨다. 이때, 응결수통에 물이 없으면 제3수위 검출 스위치(274)의 첫 번째 단자 "s"에 의해 펌프가 정지되고, 응결수통에 물이 많으면 제3수위 검출 스위치(274)의 두 번째 단자 "t"에 의해 펌프가 동작한다. 또한, 펌프에 이상 발생시에는 동작이 안되므로 물넘침 방지 스위치(294)에 의해 에어컨과 습기발생기들과 펌프 및 가습기들의 동작이 정지하고, 적색 표시등(282)에 불이 들어온다. 또한, 녹색 표시등(286)은 펌프의 작동시에만 불이 들어온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청정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냉방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의 전원을 온(ON)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습스위치(도시 안됨)를 온(ON) 한다. 그런 경우, 실외기(100)에서는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서 냉매를 저온의 상태로 만든다. 이런 냉매는 가 실내기(200)의 증발기(207)쪽으로 전달된다. 또한 냉각팬(206)이 회전하므로써, 실내기(200)의 흡입구(204)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07)에서 열교환하여 차가운 온도를 갖고, 실내기(200)의 배기구(201)로 배출된다.
이때, 증발기(207)의 주위를 지나는 공기중의 수분은 상대적인 온도차이에 의해서 응결되어서 이슬과 같은 응결수가 된다. 이런 응결수는 증발기(207)의 하향으로 흘러내려서 수집용기(220)로 모아진다. 수집용기(220)의 응결수는 끈이 달린 부레(221)에 의해서 개폐작동하는 덮게(222)에 의해서 소정량이 저장된다. 이렇게 소정량의 응결수가 저장될 경우에만 부레(221)에 의해서 덮게(222)가 열리고, 응결수는 수집용기(220)의 출수구멍을 따라 제1여과기(230)로 유입된다. 제2여과기(230)는 깨끗한 습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정도로 응결수를 여과한다. 이렇게 여과된 응결수는 제1습기발생기(240)로 유입된다. 이때, 제1습기발생기(240)의 제1수위 검출 스위치(243)는 물의 차오름에 따라 드레인(242)을 폐쇄하고, 제1습기발생기(24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제1습기발생기(240)에서는 깨끗한 습기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깨끗한 습기는 습기파이프(245)를 통해서 실내기(200)의 배기구(201)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습기는 차가운 응결수를 진동하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배기구(201)를 통과하는 냉기와 합쳐져서, 거의 응결되지 않는 상태로 가정 또는 사무실의 실내 공간으로 공급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의 작동중에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제습시킬 목적으로, 사용자가 가습스위치를 오프(OFF)할 경우, 제1습기발생기(240)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계속해서 차오르는 여과된 응결수가 제1습기발생기(240)의 내부에서 최고수위에 도달할 경우, 제1수위 검출 스위치(243)는 드레인(242)을 개방한다. 따라서, 여과된 응결수는 응결수통(250)으로 유동한다. 또한, 제2수위 검출 스위치(244)는 제1수위 검출 스위치(243)와 반대로 작동하여, 여과된 응결수가 제2습기발생기(241)의 전원을 오프(OFF)한다. 그리고, 응결수통(250)의 여과된 응결수를 감지한 제3수위 검출 스위치(274)는 펌프(26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펌프(260)에 의해서 가압된 여과된 응결수는 제2여과기(231)를 통하여 음용할 수 있는 청정수가 된다. 이런 청정수는 펌프(260)의 수압에 의해서 계속해서 상향으로 이동하고, 저수조(270)에 채워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평한 방향(c)으로 누름콕(210)의 출수파이프(212)를 누를 경우, 청정한 물이 배출되어서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저수조(270)는 누름콕(210)의 비사용시에 공급되는 청정수에 의해서 확장되면서 다량의 청정수를 보관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의 작동중에 실내 공간의 공기를 가습시킬 목적으로, 사용자가 가습스위치를 온(ON)한다. 이때, 증발기(207)에서 발생되는 응결수의 양이 작아서 제1습기발생기(240)와 응결수통(250)에 물이 없을 경우, 제2수위 검출 스위치(244)와 제3수위 검출 스위치(274)의 작동으로 제2습기발생기(241)의 전원을 온(ON)함과 동시에, 저수조(270)의 물이 응결수통(250)과 제2습기발생기(241)로 유입된다. 따라서, 습기는 제2습기발생기(241)에서 발생되고, 습기파이프(245)를 통해서 실내기(200)의 배기구(201)쪽으로 이동한다.
아래에서, 도 11과 도 12의 사용상태도를 참조하여,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응용분야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트럭, 버스, 중장비와 같은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차량의 기본 냉각시스템(101)의 증발기(307)에 대응한 크기를 갖는 수집용기(322)를 이용하고, 제1여과기(330)과 펌프(360) 및 제2여과기(331)를 배관한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372)을 조수석쪽의 계기 패널을 통과하게 하며, 조수석 계기 패널의 정면으로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372)에 연결된 누름콕(310)을 돌출시키므로써,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차량에서 응용가능한 청정수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청정수는 퀵 커플러(373)로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372)과 착탈가능하고, 차량의 트렁크에 장착된 접이식의 저수조(370)로 채워진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선박의 소형 에어컨과, 비행기의 내부의 증발기가 장착된 부분에 응용되어서, 음용가능한 청정수를 제조하고, 또한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선박의 난파 및 추락시에 승객의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청정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일반적인 창고용 냉방 시스템(102)에 적용된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창고용 냉방 시스템(102)은 압축기(103)에서 압축한 냉매를 응축기(104)에서 응축하여 사용하고, 블로어(408)의 공기공급을 이용하여 고온의 냉매를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하고 있다.
특히, 창고용으로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응축기(104)에 부가적인 코일형 열선(405)을 장착하고 있다. 이는 겨울철에 응축기(405)를 따뜻하게 하므로써, 증발기(407)에서 응결수가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냉각팬(406)에 의해 외부 공기를 증발기(407)에서 열교환하고, 창고(400)의 내부로 열교환하여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창고(400)의 벽(40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벽(401)의 외부에 지지브래킷(403)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의 케이싱(402)은 창고(400)의 벽(401)에 형성된 덕트 구멍(409)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도록, 굴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케이싱(402)에는 증발기(407)에서 발생하는 응결수를 모아 청정수를 제조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집용기(422)와, 제1여과기(430)와, 펌프(460)와, 제2여과기(231) 및, 누름콕(410)을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472)에 배관하고 있다. 이런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472)은 창고(400)의 내부로 연장되어서, 접이식의 저수조(470)에 퀵 커플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고용으로 적용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여름철에는 냉방기능과 청정수제조기능을 갖지만, 겨울철에는 응축기(405)를 열선(405)으로 가열하므로써, 증발기(407)에서 응결수를 만들어 청정수를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두 개의 습기발생기와 다수의 수위 검출 스위치들 및 저수조를 소정시간 작동한 후에도 다량의 습기를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동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가습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응결수를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이중으로 여과하는 여과기와 누름콕을 사용하여 깨끗한 습기발생이 가능하고 응용할 수 있는 청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초기 작동시에도 제1습기발생기를 통해 신속하게 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가습스위치를 이용하여 제습작동과 가습작동을 구분하여 수행할 수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는 수위 검출 스위치들의 작동으로 습기발생기들과 같은 주요 구성 부품에 무리가 없으며, 습기발생기들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0)

  1. 냉매를 이용하는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를 구비한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200)의 증발기(207)에서 발생하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도록, 증발기(207)의 하부에 결합된 직사각형 용기형상의 수집용기(220)와,
    상기 수집용기(220)의 하향에 배관된 일자형 제1여과기(230)와,
    상기 제1여과기(230)의 하향에 배관되어서, 일차 여과된 응결수를 초음파 진동시키므로써, 습기를 발생시키는 제1, 제2습기발생기(240, 241)들과,
    상기 제2습기발생기(241)와 저수조(270)에 배관된 직사각 용기형상으로 형성된 응결수통(250)과,
    상기 응결수통(250)의 일차 여과된 응결수를 펌프(260)로 가압송시킬 수 있도록 배관된 제2여과기(231)와,
    상기 제2여과기(231)에서 여과된 청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저수조(270)에 공급하게 수로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실내기(200)의 정면으로 돌출되게 고정된 누름콕(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230, 231)들은 커버(236, 236')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일자형 용기(232, 237)의 내부에 여과용 스펀지 패드(233, 233')로 구분한 다수의 필터용 재료(234, 235, 234', 235', 238)들을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습기발생기(240)에는 상기 제2습기발생기(241)와 상기 제1습기발생기(240)를 상반되게 온/오프(ON/OFF) 작동시키도록, 제어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수위 검출 스위치(2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수통(250)의 물이 아래에서 위로 유동하므로써, 상기 다수의 필터용 재료(234, 235, 234', 235', 238)들이 각종 오물, 유기물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펌프(260)의 상향에 제2여과기(231)가 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7)의 외표면에는 응결수의 생성을 돕도록, 실리콘 코팅처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220)의 출수구멍에는 수위조절용 끈이 달린 부레(221)에 의해서 개폐작동하는 덮게(222)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70)는 실내기(200)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접혀졌다 펼쳐지므로써, 내부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70)에는 상기 응결수통(250)에 배관된 연장파이프(271)와 청정수 전달 파이프(272)에 각각 원터치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퀵 커플러(273)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습기발생기(240, 241)들은 분기관을 구비한 습기파이프(245)와 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파이프(245)의 끝단에는 상기 실내기(200)의 배기구(201)의 하단에 고정된 노즐(24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콕(210)은 스프링(21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작동(p)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굴곡형 출수파이프(212)를 구비하고, "T"자 형상의 조립식 연결구(211)에 의해서 상기 청정수 전달 파이프(272)에 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콕(210)의 출수파이프(212)의 안쪽 끝단면은 사각형 플랜지 형상으로 막혀있고, 테두리에 턱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작동(p)시 상기 출수파이프(212)가 조립식 연결구(211)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콕(210)에는 상기 펌프(260)의 작동을 단속하는 누름스위치(216)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파이프(271)의 출수부쪽에는 상기 응결수통(250)의 수위를 감지하여 펌프(260)의 작동을 단속하는 제3수위 검출 스위치(274)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320)는 차량용 증발기(307)의 크기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여과기(330)와, 상기 펌프(360)와, 상기 제2여과기(331) 및 누름콕(310)을 차례로 연결하는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372)과 배관되어 있으므로써, 부가적으로 자동차에서 음용가능한 청정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6.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370)는 부가적으로 차량의 트렁크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407)에 배관된 응축기(104)에는 겨울철에 응결수가 발생될 수 있도록, 부가적인 열선(405)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8.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400)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고, 창고의 안쪽에서 청정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창고(400)의 벽(401)에 형성된 덕트 구멍(409)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굴곡형 케이싱(40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422)와, 상기 제1여과기(430)와, 상기 펌프(460)와, 상기 제2여과기(231) 및, 상기 누름콕(410) 및 상기 저수조(470)를 연결한 상기 청정수 공급 파이프라인(472)은 창고(40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를 갖는 선박과 비행기에 장착되어서, 음용가능한 청정수를 제조하여 상기 저수조에 저장하고, 유사시에 상기 저수조를 분리하여 식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KR1019990049008A 1999-08-31 1999-11-05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KR20000006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008A KR20000006824A (ko) 1999-08-31 1999-11-05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AU46232/00A AU4623200A (en) 1999-08-31 2000-05-25 Cooling apparatus for making drinkable water
PCT/KR2000/000532 WO2001016028A1 (en) 1999-08-31 2000-05-25 Cooling apparatus for making drinkable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36475 1999-08-31
KR1019990036475 1999-08-31
KR19990044225 1999-10-13
KR1019990044225 1999-10-13
KR1019990049008A KR20000006824A (ko) 1999-08-31 1999-11-05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24A true KR20000006824A (ko) 2000-02-07

Family

ID=2735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008A KR20000006824A (ko) 1999-08-31 1999-11-05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00006824A (ko)
AU (1) AU4623200A (ko)
WO (1) WO200101602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566B1 (ko) * 2005-08-18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100937906B1 (ko) * 2009-08-24 2010-01-21 박광 에너지절감형 복합 식수제조장치
CN105369854A (zh) * 2015-11-20 2016-03-02 中山联昌电器有限公司 一种造水机及其造水方法
CN105698290A (zh) * 2016-03-16 2016-06-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利用冷凝水加湿的空调***
CN111211393A (zh) * 2020-02-10 2020-05-29 上海融德亦村机电有限公司 一种耦合器用水冷装置
WO2020168825A1 (zh) * 2019-02-22 2020-08-27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微型空调器
CN113503637A (zh) * 2021-07-26 2021-10-15 山东财源和信节能工程有限公司 一种空调机组运维辅助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4725A2 (en) * 2001-05-25 2002-11-28 Aditya Shyam Sunder Goenka A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y of water from the atmospheric air
ES2215427B1 (es) * 2001-05-29 2006-01-16 Victor Julian Calero Gomez Unidad interior enfriadora de aire equipada con un equipo de evaporacion por ultrasonidos del agua condensada.
DE10223578A1 (de) * 2002-05-27 2003-12-24 Hubert Hamm Vorrichtung zur Brauchwassergewinnung
WO2005054763A1 (fr) * 2003-12-02 2005-06-16 Jianmin Li Dispositif de refrigeration combine
EP1906106A1 (en) * 2006-09-29 2008-04-02 Kuei-Tang Chang Nebulization fan
ES2349985B1 (es) * 2007-11-30 2011-08-09 Francisco Javie Santana Leon Sistema automatico de evaporacion y control de humedad.
CN101812857B (zh) * 2010-04-30 2013-08-21 徐弘� 一种空气造水机
US10752519B2 (en) 2010-04-30 2020-08-25 Hong Xu Fresh water generator utilizing air
CN103919465B (zh) * 2014-04-28 2015-12-30 重庆大学 一种节能的加湿饮水机
CN104481001A (zh) * 2014-12-19 2015-04-01 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 从干燥空气中取水的方法及装置
CN104563209A (zh) * 2014-12-24 2015-04-29 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 一种空气取水装置
CN104563210A (zh) * 2014-12-24 2015-04-29 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 一种节能空气取水装置
CN104594448A (zh) * 2014-12-24 2015-05-06 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 太阳能空气取水***
WO2016190675A1 (en) * 2015-05-27 2016-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midifying apparatus
KR20170009044A (ko) * 2015-07-15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CN105823194B (zh) * 2016-05-18 2018-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热泵空调及其冷凝水回收装置
CN106049610A (zh) * 2016-07-26 2016-10-26 吳達鎔 一种空气提纯冷凝制水***
CN107151065B (zh) * 2017-06-22 2020-07-24 华北电力大学 一种可自动进水持续喷雾的净水加湿一体装置及其制作方法
DE102021119777A1 (de) 2021-07-29 2023-02-02 Kautex Textron Gmbh & Co. Kg Filter mit filtereffizienz verbessernder ventilvorrichtung
CN113932285A (zh) * 2021-09-28 2022-01-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内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5937A (en) * 1978-11-22 1981-03-17 Richard Ehrlich Atmospheric water collector
US5149446A (en) * 1991-01-30 1992-09-22 Reidy James J Potable water generator
US5106512A (en) * 1991-01-30 1992-04-21 Reidy James J Portable air-water generator
IL103729A (en) * 1992-11-12 1995-03-30 Karniel Ishai Device for collecting drinking water from the atmospher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566B1 (ko) * 2005-08-18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100937906B1 (ko) * 2009-08-24 2010-01-21 박광 에너지절감형 복합 식수제조장치
WO2011025196A2 (ko) * 2009-08-24 2011-03-03 Park Kwang 에너지절감형 복합 식수제조장치
WO2011025196A3 (ko) * 2009-08-24 2011-07-07 Park Kwang 에너지절감형 복합 식수제조장치
CN105369854A (zh) * 2015-11-20 2016-03-02 中山联昌电器有限公司 一种造水机及其造水方法
CN105698290A (zh) * 2016-03-16 2016-06-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利用冷凝水加湿的空调***
WO2020168825A1 (zh) * 2019-02-22 2020-08-27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微型空调器
CN111211393A (zh) * 2020-02-10 2020-05-29 上海融德亦村机电有限公司 一种耦合器用水冷装置
CN113503637A (zh) * 2021-07-26 2021-10-15 山东财源和信节能工程有限公司 一种空调机组运维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623200A (en) 2001-03-26
WO2001016028A1 (en) 200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6824A (ko) 청정수제조용 냉방장치
US5301516A (en) Potable water collection apparatus
US20130199221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cover and dispense potable water
US20030230196A1 (en) Oxygen supply device
US790069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28212B1 (ko) 공기청정시스템
KR101130814B1 (ko) 냉온수 정수 기능과 항습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공조기
KR20150075749A (ko) 제습기
WO2019091422A1 (zh) 基于蒸汽冷凝吸附原理的空气净化器及具有其的空调设备
WO1997027929A1 (en) Liquid spray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8033131B2 (en)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KR20000014834A (ko) 물 생성장치
EP1239232A1 (en) Air treatment unit
CN210027418U (zh) 一种除湿型地铁车辆空调机组
JPH11300145A (ja) 除湿機
CA2681513C (en)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CN212431075U (zh) 空调器室内机
GB2349687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561531Y2 (ja) エアコンプレッサに於ける除菌装置
CN218646940U (zh) 一种汽车空调***湿度检测、除湿及消毒装置
JP3126253B2 (ja) 加湿機能付空気調和機
CN218096331U (zh) 空气除湿净水制冰装置及空气调节设备
JP2001259349A (ja) 除湿機
CN219962781U (zh) 多功能清洁基站及清洁***
KR200235682Y1 (ko)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