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408A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408A
KR19990072408A KR1019990003672A KR19990003672A KR19990072408A KR 19990072408 A KR19990072408 A KR 19990072408A KR 1019990003672 A KR1019990003672 A KR 1019990003672A KR 19990003672 A KR19990003672 A KR 19990003672A KR 19990072408 A KR19990072408 A KR 1999007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trip
trip device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589B1 (ko
Inventor
가와시마요시아키
사토가즈히코
하세가와기요시
아오키다다히사
오가사와라마코토
Original Assignee
다쯔타 도키오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쯔타 도키오,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쯔타 도키오
Publication of KR1999007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01H71/125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characterised by sensing elements, e.g. 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4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e.g. for differential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01H71/0271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 H01H2071/0278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with at least one of juxtaposed casings dedicated to an auxiliary device, e.g. for undervoltage or shunt 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를 대상으로 그 내부의 조립 구조를 개량하여 로봇 도입에 의한 자동 조립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동 접촉자(5), 핸들(19), 래치(22), 개폐 스프링(33)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 및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10)를 이 트립 장치에 연계한 트립 바, 래치 받침을 일괄해서 공통 유닛 케이스(32)에 내장하여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을 구성하고, 몰드 용기의 케이스(1)에 대하여 각 유닛을 각각 상방으로부터 소정의 조립 위치에 삽입하며, 조립의 최종 공정에서 케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각 유닛을 상방으로부터 눌러서 정위치에 유지시킨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를 대상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그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3상 회로용 누전 차단기를 예시한 종래의 회로 차단기의 구조를 도 15에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회로 차단기를 구성하는 각부의 부품은 모두 케이스(1)와 커버(2)로 이루어지는 몰드 용기(수지 성형품) 내에 조립되어 있고, 차단기 내부의 전류 경로는 전원측 단자(3)와 일체의 고정 접촉자(4), 고정 접촉자(4)의 고정 접점(4a), 가동 접점(5a)을 통해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5), 가동 접촉자(5)에 일단이 스폿 용접에 의해 접속된 가요성(可撓性)의 리드선(6), 리드선(6)의 타단이 스폿 용접에 의해 접속된 리드판(7), 리드판(7)이 나사(8)로 조여진 중계판(9), 중계판(9)에 일단이 납땜에 의해 접속된 과전류 트립 장치(10)의 코일(11), 코일(11)의 타단이 납땜에 의해 접속된 부하측 단자(1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극의 리드선(6)은 영상(零相) 변류기(ZCT)(13)를 관통하며, 누전이 발생하면 ZCT(13)에 2차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 2차 출력을 증폭하여 트립 신호를 출력하는 누전 검출 회로는 프린트판(14)에 탑재되고, 그 전원선(15)은 리드선(6)과 함께 리드판(7)에 스폿 용접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5)는 도면의 우측단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접촉 스프링(압축 스프링)(16)의 탄성력으로 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만, 개폐 기구(17)에 의해 내리 눌려지고, 고정 접촉자(4)에 압압(押壓)된다. 개폐 기구(17)는 스핀들(18)을 통해 케이스(1)에 축받이된 핸들(19), 상기 핸들(19)의 레버 아암(19a) 일단이 연결된 링크(20), 링크(2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가동 접촉자(5)에 접촉함과 동시에 케이스(1)의 홈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안내된 압봉(21), 스핀들(18)에 일단이 연결된 래치(22), 래치(22)와 링크(20)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23) 등의 조립체로서 이루어진다. 또, 19b는 핸들(19)의 손잡이이다.
더욱이, 도시된 ON 상태에서는 접촉 스프링(16)의 작용에 의해, 링크(20)는 압봉(21)을 통해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고, 동시에 래치(22)는 링크(23)를 통해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고 있지만, 선단이 트립 바(24)의 손톱(24a)으로 로킹되어 회전 운동을 저지받고 있다. 트립 바(24)는 각 극에 걸쳐 절연 바(24b)를 통해 케이스(1)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10)에 대응하여 트립 아암(24c)이 설치되어 있다. 또, 손톱(24a)은 중앙극의 트립 아암(24c)의 반대측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과전류 트립 장치(10)는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형의 자성 요크(25)의 한쪽 다리에, 코일(11)을 삽입 관통하는 오일 대시 폿(26)이 요크(25)를 관통하여 납땜에 의해 결합되고, 또한 다른쪽 다리의 선단에 전기자(armature)(27)가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전기자(27)는 요크(25) 사이에 걸린 복귀 스프링(28)에 의해 도시 자세로 유지되고, 오일 대시 폿(26)의 헤드부의 전자극(29)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코일(11)의 일단은 요크(25)를 관통하여 중계판(9)에 납땜되고, 또한 타단은 부하측 단자(12)에 납땜되어 있다. 또, 오일 대시 폿(26)은 주지와 같이 트립 동작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오일을 충전한 비자성 실린더 내에 제동 스프링과 함께 플런저가 봉입된 구조이다.
상기 회로 차단기의 주회로 부분의 조립은 다음에 기재된 바와 같이 행해진다. 먼저, 케이스(1)에 고정 접촉자(4) 및 프린트판(14)을 내장한다. 이어서, 가동 접촉자(5)에 리드선(6)을 접속하고, 상기 리드선(6)을 ZCT(13)에 통과시킨 후, 타단에 리드판(7) 및 전원선(15)을 접속한 조립체를 케이스(1)에 삽입하여 가동 접촉자(5)를 케이스의 베어링에 축받이하며, 이 위치에서 리드판(7)을 케이스(1)에 형성한 홈에 끼워맞춰 유지한다. 이어서, 과전류 트립 장치(10)의 중계판(9)을 리드판(7) 위에 겹치게 하여, 리드판(7)과 중계판(9) 사이를 나사(8)로 체결한다. 또, 나사(8)의 조임은 케이스(1)의 저면에 개구한 구멍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행한 후, 전원선(15)의 타단을 프린트판(14)에 납땜한다. 그 후에, 압봉(21), 래치(22), 링크(23)로 이루어지는 개구 기구 부품 및 핸들(19)을 케이스(1)에 차례로 내장하고, 최후에 케이스(1) 위에 커버(2)를 씌워 나사 체결한다.
상기 구성이 되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동작은 주지된 것이며, 도 15의 ON 상태로부터 핸들(19)의 손잡이(19b)를 수동 조작으로 점선 위치로 회전 운동하면, 링크(20)를 통하여 압봉(21)이 끌어 올려지고, 가동 접촉자(5)는 접촉 스프링(16)의 작용으로 점선 위치까지 개구한다(OFF 조작). 한편, 주회로 전류가 과전류 상태가 되어 과전류 트립 장치(10)가 작동하고, 전기자(27)가 전자극(29)으로 흡인되면, 트립 바(24)가 트립 아암(21c)을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손톱(21a)에 의한 래치(22)의 로킹이 해제되어 래치(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 결과, 링크(23)는 점선 위치까지 변위하고, 동시에 압봉(21)도 끌어올려져 가동 접촉자(5)가 개구한다(트립 동작). 또한, 누전의 발생에 의해 주회로 전류에 불평형이 생기면, ZCT(13)의 2차 출력을 취입한 누전 검출 회로로부터 트립 신호가 출력하며, 이 신호로 상기 과전류 트립 장치와는 별개로 설치한 누전 트립 코일 유닛을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과전류 트립 동작과 동일하게 트립 바(24)가 구동되어 트립 동작한다.
또, 배선용 차단기는 상기 누전 차단기로부터 누전 검출용 ZCT(13), 프린트판(14)을 제거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다.
전술한 회로 차단기를 대량 생산 체제로 제조하는 데 있어서는, 제품의 품질, 신뢰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더욱 더 저비용화를 추구하는 것이 중요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회로 차단기의 생산 라인을 FA화 하고, 조립 로봇에 의한 자동 조립 방식을 채용하여 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런데, 회로 차단기의 제품을 조립 로봇을 도입한 자동화 라인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회로 차단기 자체의 조립 구조에 대해서도 재평가하고, 제조 라인에 도입하는 조립 로봇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즉, 자동 조립 라인으로 이용하는 조립 로봇은 설비비, 유지 관리의 면에서도 가능한 한 간단한 고정 시퀀스 로봇(예컨대, 직각 좌표형 1축 로봇)의 채용이 요망되고, 이것에 맞추어 회로 차단기도 로봇 핸드의 직선적인 움직임만으로 각종 부품의 조립이 가능한 조립 구조가 요구된다.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몰드 용기의 케이스(1)에 각종 구성 부품을 개별로 내장하여 축받이, 또는 나사식 고정하도록 하고 있고, 그 조립 방향도 부품에 따라 다양하고, 또한 부품에 따라서는 나사 체결을 케이스의 하면측으로부터 행하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이 복잡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단순한 조립 로봇으로는 대응할 수 없고, 따라서 종래 구조의 상태로는 수작업에 의한 의존도가 큰 나머지, 로봇에 의한 조립의 완전 자동화의 달성이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앞서 기재한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를 대상으로, 회로 차단기의 구성 부품을 기능별로 유닛화하고, 차단기의 케이스에 대하여 각 유닛을 동일 방향,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의 상측으로부터 단순히 밀어 넣기만 해도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조립, 유지할 수 있도록 조립 구조를 개량하여 로봇에 의한 자동 조립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케이스와,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과,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조립도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커버를 벗긴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구성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조립도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커버를 벗긴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의 가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래치에 가동 접촉자를 연결하는 순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연결 조작 도중의 상태, (b)는 연결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유닛 케이스를 나타내는 외형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유닛 케이스를 반대측에서 본 트립 바, 래치 받침의 내장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트립 바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유닛 케이스로의 과전류 트립 장치의 내장 순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유닛 케이스에 오일 대시 폿(oil dash pot)을 장착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 (b)는 각각 오일 대시 폿의 정상부, 리브부에 대응한 도면.
도 12는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을 케이스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 고정하기 위한 개량 실시예를 도시하고, (a), (b), (c)는 각각 유닛 케이스의 평면도, 측단면도, 일부 단면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유닛 케이스를 몰드 용기의 케이스에 내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b), (c)는 각각 평면도, 측단면도. 일부 단면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도로서, (a)는 커버 장착전, (b)는 커버 장착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회로 차단기의 종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의 과전류 트립 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1a: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의 베어링부
1b: 유닛 케이스의 지지 돌기
1c: 유닛 케이스의 지지좌면(支持座面)
1d: 받침 홈
2: 커버
4: 고정 접촉자
5: 가동 접촉자
10: 과전류 트립 장치
13: ZCT (영상 변류기)
14: 누전 검출 회로의 프린트판
19: 핸들
22: 래치
24: 트립 바
26: 오일 대시 폿
32: 유닛 케이스
32c: 연결편
32d: 돌기편
32e: 걸어맞춤 구멍
32f: 압입(壓入) 벽부
33: 개폐 스프링
34: 래치 받침
50: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
60: 트립 장치 조립 유닛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와 상부 커버를 조합한 몰드 용기에 전원측 및 부하측의 접속 단자와, 고정 및 가동 접촉자와, 핸들에 연계한 접촉자 개폐 기구 및 트립 수단으로서 과전류 트립 장치 또는 과전류 트립 장치와 누전 트립 장치를 내장하여 구성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 접촉자 개폐 기구의 래치, 개폐 스프링 및 핸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과,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 상기 트립 장치에 연계한 트립 바, 래치 받침을 일괄해서 공통 유닛 케이스 내에 내장한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각 유닛은 몰드 용기의 케이스에 대하여 각각 상방으로부터 소정의 조립 위치에 삽입되며,
상기 각 유닛은 케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눌러서 정위치에 유지하도록 한다.(청구범위 제1항).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은 다음의 기재와 같은 구체적 양태로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1) 트립 장치 조립 유닛에 대하여, 그 유닛 케이스의 상부측에 주회로 도체 및 누전 차단기에 적용하는 누전 검출용 ZCT, 프린트판을 얹어 놓는다(청구범위 제2항).
(2)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위치 결정 고정 수단으로서, 유닛 케이스에 구멍 뚫린 연결편 및 좌우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팽창한 귀형의 돌기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몰드 용기의 케이스측에는 상기 구멍 뚫린 연결편을 갖는 돌기가 달린 지지좌면(支持座面) 및 돌기편이 끼워 넣어지는 받침 홈을 형성하고, 케이스에 내장한 유닛 케이스의 상기 돌기편을 케이스에 씌운 커버로 눌러서 유지하도록 한다.(청구범위 제3항).
(3) 상기항 (2)에 있어서,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유닛 케이스에 대하여, 좌우 한 쌍의 구멍 뚫린 연결편을 몰드 용기의 케이스에 내장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과 마주 보는 쪽에 설치한다(청구범위 제4항).
(4) 상기항 (2)에 있어서,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유닛 케이스의 전후 단면에, 이것과 마주 보는 케이스측의 유닛 삽입부의 벽면에 겹치는 압입 벽부를 형성한다(청구범위 제5항).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 차단기의 주요 부품을 기능별로 유닛화하고, 이들 유닛을 포함해서 각종 부품을 같은 방향으로부터 몰드 용기의 케이스 내에 삽입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조립을 수작업에서 조립 로봇의 도입에 의한 자동 조립으로 대신하여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특히,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 상기 트립 장치에 연계한 트립 바, 래치 받침을 일괄해서 공통 유닛 케이스내에 내장하여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각 부품을 따로따로 차단기 케이스 내에 내장한 구성과 비교하여 공정수의 삭감, 작업 능률의 향상과 아울러 높은 조립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어 차단기의 트립 특성이 안정된다.
또한, 이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유닛 케이스를 활용하여 그 상부측에 주회로 도체 및 누전 차단기에 적용하는 누전 검출용 ZCT, 프린트판을 배치함으로써, 누전 차단기 사양의 회로 차단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위치 결정 고정 수단으로서, 상기 (2) 내지 (4)항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케이스(회로 차단기의 몰드 용기)에 대하여 유닛 케이스가 트립 동작에 따른 하중 등의 영향을 받아 소정의 조립 위치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고, 이것에 의해 유닛 케이스에 내장한 래치 받침과 이것에 대향하는 접촉자 개폐 기구부의 래치와의 상대 위치 관계를 적정히 유지하여 안정된 트립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 종래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2의 (a), (b)에 배선용 차단기의 사양, 도 3의 (a), (b)에 누전 차단기의 사양이 되는 3극 회로 차단기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다. 즉, 회로 차단기는 케이스(1)와 커버(2)로 이루어지는 몰드 용기 내에 개폐 기구부나 과전류 트립 장치가 수용되어 구성되어 있고, 그 전류 경로는 다음과 같다. 즉, 도 2의 (a), (b)의 배선용 차단기에서는, 일단에 전원측 단자(3)가 일체 형성된 고정 접촉자(4), 고정 접촉자(4)와 고정 접점(4a) 및 가동 접점(5a)을 통해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5), 일단이 가동 접촉자(5)에 접속된 가요성 리드선(6), 리드선(6)의 타단이 접속된 중계 단자(30), 중계 단자(30)에 한쪽 인출선(11a)이 접속된 과전류 트립 장치(10)의 코일(11), 코일(11)의 다른쪽 인출선(11b)이 접속된 부하측 단자(12)의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의 (a), (b)의 누전 차단기에서는, 상기한 중계 단자(30)와 과전류 트립 장치(10) 사이에 고정 도체로 이루어지는 1차 도체(31)를 포함하는 ZCT(13)가 사이에 끼워 접속되어 있고, 또 중계 단자(30)에 누전 검출 회로를 탑재하여 프린트판(14)이 접속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구조는 도 2의 (a), (b)의 배선용 차단기와 같다.
여기서, 가동 접촉자(5)는 핸들(19)의 아암(19a)의 선단에 돌축(突軸)(5b)을 통해 회전 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핸들(19)은 일체의 스핀들(19c)을 통해 케이스(1)의 베어링 홈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5)와 래치(22) 사이에는 인장(引張)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개폐 스프링(33)이 놓여지고, 가동 접촉자(5)는 개폐 스프링(33)의 장력에 의해 돌축(5b)을 지지점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아, 고정 접촉자(4)에 압압되어 있다. 래치(22)는 스핀들(22a)을 통해 케이스(1)의 베어링 홈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커버(2)의 내측에 형성한 베어링 홈에서 상측으로부터 눌러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차단기의 제조, 조립시에는 상기 가동 접촉자(5), 핸들(19), 래치(22) 및 개폐 스프링(33)의 각 부품의 상호간을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 연결하여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을 조립해 두고, 이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을 케이스(1)로 상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소정의 위치에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과전류 트립 장치(10)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10)를 트립 바, 래치 받침 등의 부품과 조합한 후에 공통 유닛 케이스(32)에 일괄 수납하여 도 1에 도시하는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을 구축하고, 이 유닛(60)을 케이스(1)에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또, 누전 차단기에서는,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의 유닛 케이스(32)의 상부측에 도 3에 도시한 ZCT(13)를 탑재하고, 추가로 그 상측에 프린트판(14)을 얹어 놓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의 조립 구조 및 그 조립 순서를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다. 우선, 도 4는 가동 접촉자(5)를 래치(22)에 연결한 조립체와 핸들(19)을 분리하여 나타낸 가조립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가동 접촉자(5)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도체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아암부를 갖는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동 접점(5a)이 코킹 가공에 의해 결합됨과 동시에, 아암부 선단에는 돌축(5b)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래치(22)의 홈에 걸리는 설편(5c)이 상승되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아암부로부터 옆으로 스프링 걸이(5d)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걸이(5d)에 개폐 스프링(33)의 일단을 걸어 둔다. 또, 가동 접점(5a)의 배면에는 도 2에서 기술한 가요 리드선(6)이 스폿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도 4로 되돌아가, 래치(22)는 수지 성형품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그 스핀들(22a)에 직교하여 중앙극 부분에 걸림 아암(22b)이 일체 형성되고, 또한 각 극마다 중앙부에서 잘록해진 축부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걸이(22c)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또 래치(22)의 스핀들(22a)의 하면측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단면 L형으로 잘린 홈(22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핸들(19)은 각 극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레버 아암(19a), 손잡이(19b), 스핀들(19c)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이고, 레버 아암(19a)의 내면에는 가동 접촉자(5)의 돌축(5b)이 꼭 맞는 U자형의 베어링 홈(19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래치(22)의 스프링 걸이(22c)에 일단을 가동 접촉자(5)에 건 개폐 스프링(33)의 타단을 걸어 래치(22)와 가동 접촉자(5)를 연결한다. 이어서, 도 6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스프링(33)을 잡아 당기면서 가동 접촉자(5)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도 6의 (b)와 같이 그 설편(5c)의 선단을 래치(22)의 하면측에 형성한 홈(22d)에 걸어 둔다. 이것에 의해, 개폐 스프링(33)의 장력으로 가동 접촉자(5)가 래치(22)에 걸려 유지되며, 도 4에 도시한 가조립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상기한 래치/가동 접촉자의 가조립체에 핸들(19)을 연결한다. 이 조립 공정에서는 가동 접촉자(5)의 아암을 휘게 하면서 그 선단의 돌축(5b)을 핸들(19)의 레버 아암(19a)에 형성한 베어링 홈(25a)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핸들(19)과 가동 접촉자(5)가 링크형으로 연결되고, 도 1에 도시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앞서 기재한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의 조립 구조 및 그 조립 순서를 도 7 내지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유닛 케이스(32)를 부하측(도 1의 우측)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유닛 케이스(32)는 몰드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부하측으로 개구하도록 3극분의 과전류 트립 장치 수납 공간(39)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공간(39)의 좌우 벽의 상하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 보는 각 한 쌍의 단면 コ자형 홈(40, 41)이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홈(40)에는 과전류 트립 장치(10)의 요크(22)가, 또한 홈(41)에는 오일 대시 폿(26)의 리브부(26a)가 각각 압입 고정된다. 각 공간(39)의 상부에는 오일 대시 폿(26)의 정상부를 수용하는 절연 후드(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절연 후드(42)는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절연 후드(42)의 한쪽 측면 및 그것에 대향하여 설치된 직립벽의 상호 대향면에는 회로 차단기가 배선용 차단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중계 단자(30)를 끼워맞춰 유지하는 각 한 쌍의 홈(43)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닛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중앙극과 우측극의 절연 후드(42)의 사이에, ZCT(13)가 얹혀지는 원호면의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유닛 케이스(32)에 대하여,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극에 대응하는 공간(39)마다 1극분의 과전류 트립 장치(10)를 측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조립한다.
여기서, 도 10, 도 11의 (a), (b)에 과전류 트립 장치(10)의 오일 대시 폿(26)을 유닛 케이스(32)에 장착할 때의 개량형 유지 구조를 도시한다. 즉, 유닛 케이스(32)에 형성한 공간(39)의 상부측의 천장판에는 둘레면 일부가 전방으로 개방한 원형 홈(3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 홈(32a)에 오일 대시 폿(26)의 상단부를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 원형 홈(32a)의 측방에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형의 홈(32b)을 형성해 둔다. 이것에 의해, 오일 대시 폿(26)을 원형 홈(32a)으로 밀어 넣을 때에, 원형 홈(32)에 가장자리가 확대되도록 휘어 오일 대시 폿(26)을 쉽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삽입후에는 복원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유닛 케이스(32)의 하부측에 형성한 홈(41)에 대해서는, 도 11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입구 부분에 이탈 방지 돌기(41a)를 형성하고, 또 홈(41)의 외측에는 슬릿형의 홈(41b)을 형성하여 돌기 부분에 가요성을 갖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앞서 기재한 오일 대시 폿(26)의 정상부와 같이, 하부의 리브부(26a)를 홈(41)으로 쉽게 밀어 넣어 정위치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유닛 케이스(32)의 전원측(도 7에 도시한 케이스의 이면측)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립 바(24) 및 래치 받침(34)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판(45)이 직립하여 형성되고, 그 전단면에는 트립 바(24)를 지지하는 열쇠 구멍형의 베어링 홈(46)이, 또한 상단면에는 래치 받침(34)을 지지하는 U자형의 베어링 홈(47)이 잘려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트립 바(24)는 도 9와 같은 구조로서, 절연 바(24b)에는 각 극별로 트립 아암(24c)이 설치되고, 또한 중앙부에는 일정한 폭으로 대경부(24d)가 설치되며, 또 그 일단측에 유닛 케이스(32)의 지지판(45)(도 8 참조)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극간을 통해 부채형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손톱(24a)이 설치되어 있다. 손톱(24a)상에는 후술하는 작용을 하는 스토퍼부(24e)가 열쇠형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 바(24b)의 일단에 트립 아암(24c)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아암부(24f)는 도시하지 않은 수동 트립 버튼을 부딪치게 하여 트립 바(24)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절연 바(24b)의 중앙극 부분에는 축방향을 따라 열쇠형으로 구부러지는 스프링 걸이부(24g)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복귀 스프링(35)의 일단이 도시한 바와 같이 걸려 있다. 복귀 스프링(35)을 일단에서 유지한 트립 바(24)는 유닛 케이스(32)의 베어링 홈(46)에 삽입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된다. 그 때, 절연 바(24b)의 대경부(24d)는 좌우 지지판(45)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며, 절연 바(24b)를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또한, 대경부(24d)와 손톱(24a) 사이의 극간에 도 8의 좌측 지지판(45)이 들어간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절연 바(24b)의 베어링 홈(46)으로 지지되는 부분(대경부(24d)의 양측 부분)에는 외주의 2면이 평탄히 삭제되어 축경부(縮徑部)가 형성되고, 이 축경부를 통해 입구가 좁은 베어링 홈(46)에 삽입된 트립 바(24)는 삽입후에 90°회전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또, 유닛 케이스(32)의 전원측 상부에는 3개소에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직립벽의 대향면에, 회로 차단기가 누전 차단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중계 단자(30)를 끼워맞춰 유지하는 각 한 쌍의 홈(48)(도 7 참조)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공간(39)의 베이스 플레이트(4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과전류 트립 장치(10)의 전기자(27)의 흡인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강철판으로 제작된 래치 받침(34)은 사각형 걸어맞춤부(34c)의 양측에 지지 아암(34d)을 가지며, 그 선단에 돌축(34a)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한쪽 지지 아암(34d)의 선단에는 스프링 걸이편(34e)이 열쇠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또한 걸어맞춤부(34c)의 전단측에 측방으로 튀어 나오도록, 후크(34b)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치 받침(34)은 돌축(34a)이 베어링 홈(47)에 삽입되어 축받이되고, 그 때에 후크(34b)는 트립 바(24)의 스토퍼편(24e)의 내측에 수납된다. 그리고 일단이 트립 바(24)에 걸린 복귀 스프링(35)의 타단이 스프링 걸이편(34e)에 걸림으로써, 그 장력으로 돌축(34a)이 베어링 홈(47)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유지되고, 동시에 후크(34b)가 트립 바(24)의 스토퍼편(24e)에 닿아서 상기 장력에 의한 회전력에 대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조립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 및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용기의 케이스(1)에 대하여 조립 로봇의 핸들링 조작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소정의 내장 위치에 삽입된다. 또, 전원측 단자(3), 고정 접촉자(4) 등의 부품은 케이스(1)에 미리 내장해 둔다.
여기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은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 위치에 유지된다. 즉, 케이스(1)에는 좌우 한 쌍의 판형 베어링부(1a)가 저부로부터 일체로 기립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단차를 통해 전후 2개소에 반원형의 베어링 홈(36, 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을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를 따라 케이스(1)에 삽입하면, 이 위치에서 래치(22)의 스핀들(22a)이 베어링 홈(36) 위에 지지되고, 핸들(19)의 스핀들(19c)이 베어링 홈(37) 위에 지지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몰드 용기의 커버(2)에도 상기 베어링 홈(36, 37)에 대응한 반원형의 베어링 홈이 설치되어 있고, 조립의 최종 공정에서 커버(2)를 케이스(1)에 씌워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핸들(19), 래치(22)의 축부가 케이스(1)의 베어링 홈(36, 37)과 커버(2)측의 베어링 홈 사이에 끼워져 축받이된다. 이 때에, 내장 위치에서 가동 접촉자(5)가 고정 접촉자(4)에 꽉 눌려짐으로써, 가동 접촉자(5)의 설편(5c)이 래치(22)의 홈(22d)으로부터 빠져 가조립 상태가 해제되고, 개폐 스프링(33)의 장력으로 가동 접점(5a)이 고정 접점(4a)에 압압되게 된다.
한편,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은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후, 조립의 최종 공정에서 케이스(1)에 씌운 커버(2)로 상측으로부터 눌려져 고정된다.
여기서,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에 대한 위치 결정 고정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3항 내지 제5항에 대응하는 개량형의 실시예를 도 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닛 케이스(32)에 대하여, 도 12의 (a) 내지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중앙부에 좌우 한 쌍의 구멍 뚫린 연결편(32c) 및 좌우 양 사이드로부터 측방으로 튀어 나오는 돌기편(32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편(32c)은 유닛 케이스(32)에 내장한 래치 받침(34)(도 8 참조)을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그 상측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편(32c)에는 후술하는 케이스측의 지지핀에 꼭 맞는 걸어맞춤 구멍(32e)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유닛 케이스(32)의 전후 단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리브형의 압입 벽부(32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의 내측에는 도 13의 (a) 내지 (c) 및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멍 뚫린 지지편(32c)을 갖는 지지핀(1b)을 구비한 지지좌면(1c) 및 좌우측 벽에는 전술한 귀형 돌기편(32d)이 끼워 넣어지는 받침 홈(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을 케이스(1)에 내장할 때에, 유닛 케이스(32)의 걸어맞춤 구멍(32e)을 상기한 케이스(1)의 지지핀(1b)에 맞추고, 연결편(32c)이 지지좌면(1c) 위에 겹치도록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1)에 대하여 유닛 케이스(32)가 도 13에 도시하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이 위치에서는, 상기한 압입 벽부(32f)가 케이스(1)의 전후 벽면 사이에 압입되고, 좌우로 튀어 나온 돌기편(32d)이 케이스(1)의 받침 홈(1d)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이 내장 상태에서는 도 1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튀어 나온 돌기편(32d)이 받침 홈(1d)의 저면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상측으로 약간 비어져 나오고, 케이스(1)의 둘레(몰드 성형의 분리 라인)로부터 △H(0.1 ㎜ 정도)만큼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돌기편(32d)의 높이를 설정해 둔다.
그리고 조립의 최종 공정에서 케이스(1)에 커버(2)를 씌워 나사 체결하면, 도 14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해 있는 돌기편(32d)이 커버(2)의 압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휘고, 케이스(1)의 받침 홈(1d)의 저면에 밀착하여 홈 내에 수납된다. 또한, 유닛 케이스(32)는 그 중앙 부위에서 연결편(32c)이 케이스(1)의 지지좌면(1c) 위에 놓여지고, 반대로 좌우 양 사이드의 돌기편(32d)이 커버(2)로 상측으로부터 눌려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유닛 케이스(32)는 몰드 용기의 케이스(1)에 대하여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에서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 결정 고정된다.
이와 같이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을 케이스(1)에 대하여 소정의 내장 위치에 위치 결정 고정하는 것은 회로 차단기의 안정된 트립 동작을 보증하는 데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것이다. 즉, 유닛 케이스(32)에는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의 래치(22)에 대향하는 래치 받침(34) 및 트립 바(24)가 조립되어 있고, 특히 래치 받침(34)은 차단기의 트립 동작시에 기계적인 하중을 받는다. 따라서, 만약 유닛 케이스(32)의 위치 결정 고정이 안정되지 않으면, 기계적인 하중 등의 영향으로 래치(22)와 래치 받침(24)과의 연계 위치가 변위하여 트립 동작이 불안정해 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은 도 12 내지 도 14에서 기술한 유지 구조를 채용하면 안정된 트립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도 1에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50), 트립 장치 조립 유닛(60)을 케이스(1)에 삽입한 상태로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내부 배선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리드선(6)에 스폿 용접된 중계 단자(30)를 유닛 케이스(32)의 홈(48)(도 7 참조)에 상측으로부터 압입 유지시킨다. 여기서, 중계 단자(30)는 장단 2개의 다리부가 전후로 구부러져 형성된 J자형의 도전 금속 이음구이고, 좌우로 약간 튀어 나오는 다리부의 측가장자리가 홈(48) 내에 압입된다. 이어서, 도 3의 누전 차단기 사양의 경우에는 1차 도체(31)를 관통시킨 ZCT(13)를 유닛 케이스(32)의 오목부(44)(도 7 참조)에 얹고, 1차 도체(31)의 일단을 중계 단자(30)의 짧은 다리부에, 또한 타단을 과전류 트립 장치(10)의 코일(11)의 인출선(11a)에 각각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또, 1차 도체(31)는 단선으로 이루어지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극 및 중앙극은 コ자형으로, 우측극은 L자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ZCT(13)의 2차 출력으로부터 누전의 발생을 검출하여 트립 신호를 출력하는 누전 검출 회로를 탑재한 프린트판(14)은 보호 케이스에 수납하여 유닛 케이스(32)의 상면에 놓여진다. 여기서, 프린트판(14)은 회로 차단기의 좌우극에 걸친 사각형 모양이 되고, 유닛 케이스(32)의 지지판(45)에 대응하는 부분은 잘려져 있다. 그리고 직립하는 좌우극의 중계 단자(30)의 긴 다리부가 프린트판(14)을 관통하여, 프린트판(14)의 전원 단자부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프린트판(14)을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즉, 중계 단자(30)는 프린트판(14)에 대한 전원선을 겸하고 있다. 또, 중계 단자(30)의 긴 다리부는 프린트판(14)에 삽입 관통되는 선단 부분이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배선용 차단기 사양에서 리드선(6)에 접속된 중계 단자(30)는 유닛 케이스(32)의 홈(43)에 압입 유지시키고, 그 짧은 다리부를 코일(11)의 인출선(11a)에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 2 및 도 3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의 트립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또는 도 3에 있어서, 커버(2)로부터 돌출하는 핸들(19)의 손잡이(19b)를 점선 위치까지 회전 운동 조작하면, 가동 접촉자(5)에 대한 개폐 스프링(33)의 작용이 반전하고, 가동 접촉자(5)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어 고정 접촉자(4)로부터 개구한다(OFF 동작). 한편, 과전류 상태에서는 과전류 트립 장치(10)의 전기자(27)가 전자극(29)에 흡인되고, 이 전기자(27)는 트립 바(24)의 트립 아암(24c)을 눌러 트립 바(24)를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트립 바(24)의 손톱(24a)이 래치 받침(34)의 후크(34b)에서 빠지고, 걸림이 풀어진 래치 받침(34)은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것에 따라, 래치(22)는 래치 받침(34)에 의한 로킹이 해제되고,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결과, 개폐 스프링(33)의 가동 접촉자(5)에 대한 작용이 반전하여 가동 접촉자(5)는 고정 접촉자(4)로부터 개구한다(트립 동작).
또한, 도 3의 누전 차단기에서는, 누전의 발생에 의해 1차 도체(31)를 흐르는 주회로 전류에 불평형이 생기면, ZCT(13)의 2차 출력의 발생에 의해 프린트판(14)에 탑재된 누전 검출 회로로부터 누전 트립 코일 유닛(도시하지 않았음)에 트립 신호가 송출되고, 누전 트립 코일 유닛의 동작에 의해 트립 바(24)가 구동되어 동일하게 트립 동작이 생긴다. 또, 누전 트립 코일 유닛은 유닛 케이스(32)의 우측극쪽 각부가 L형으로 잘려져 케이스(1) 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트립 바(24)의 우측극 트립 아암(24c)에 작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가동 접촉자, 접촉자 개폐 기구의 래치, 개폐 스프링 및 핸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 및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 상기 트립 장치에 연계한 트립 바, 래치 받침을 일괄해서 공통 유닛 케이스 내에 내장한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을 구축하고, 몰드 용기의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각 유닛을 제각기 상측으로부터 소정의 조립 위치에 삽입하며, 추가로 케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각 유닛을 상측으로부터 눌러서 정위치에 유지하여 조립한 청구범위 제1항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여 행하고 있던 회로 차단기의 조립 작업 대신에, 조립 로봇을 도입한 자동화 라인으로도 대응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생산성의 대폭적인 향상, 제조 비용의 감소화가 가능해지는 것 이외에, 특히,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 상기 트립 장치에 연계한 트립 바, 래치 받침을 일괄해서 공통 유닛 케이스 내에 내장하여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각 부품을 따로따로 차단기 케이스 내에 내장하여 고정하던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공정수도 적고, 또한 높은 조립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어 트립 특성이 안정된다.
(2) 또한, 이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유닛 케이스를 활용하여 그 상부측에 주회로 도체 및 누전 차단기에 적용하는 누전 검출용 ZCT, 프린트판을 배치한 청구범위 제2항의 구성에 의하면, 배선용 회로 차단기를 누전 차단기 사양의 회로 차단기에도 간단하고, 또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3) 더욱이,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위치 결정 고정 수단으로서, 청구범위 제3항 내지 제5항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케이스(회로 차단기의 몰드 용기)에 대하여 유닛 케이스가 트립 동작에 따른 하중등의 영향을 받아 소정의 조립 위치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고, 이것에 의해 유닛 케이스에 내장한 래치 받침과 이것에 대향하는 접촉자 개폐 기구부의 래치와의 상대 위치 관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안정된 트립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5)

  1. 하부 케이스와 상부 커버를 조합한 몰드 용기에 전원측 및 부하측의 접속 단자와, 고정 및 가동 접촉자와, 핸들에 연계한 접촉자 개폐 기구 및 트립 수단으로서 과전류 트립 장치 또는 과전류 트립 장치와 누전 트립 장치를 내장하여 구성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 접촉자 개폐 기구의 래치, 개폐 스프링 및 핸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과,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 상기 트립 장치에 연계한 트립 바, 래치 받침을 일괄해서 공통 유닛 케이스 내에 내장한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각 유닛은 몰드 용기의 케이스에 대하여 각각 상방으로부터 소정의 조립 위치에 삽입되며,
    상기 각 유닛은 케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눌러서 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부에는 주회로 도체 및 누전 차단기에 적용하는 누전 검출용 ZCT와 프린트판이 적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위치 결정 고정 수단으로서, 상기 유닛 케이스에 구멍 뚫린 연결편 및 좌우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팽창한 귀형상의 돌기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몰드 용기의 케이스측에는 상기 구멍 뚫린 연결편을 갖는 돌기가 달린 지지좌면(支持座面) 및 돌기편이 끼워 넣어지는 받침 홈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내장한 유닛 케이스의 상기 돌기편을 케이스에 씌운 커버로 눌러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유닛 케이스에 대하여, 좌우 한 쌍의 상기 구멍 뚫린 연결편을 몰드 용기의 케이스에 내장한 접촉자 개폐 기구 유닛과 마주 보는 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 장치 조립 유닛의 상기 유닛 케이스의 전후 단면에, 이것과 마주 보는 케이스측의 유닛 삽입부의 벽면에 겹치는 압입 벽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1999-0003672A 1998-02-09 1999-02-04 회로 차단기 KR100516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27501 1998-02-09
JP02750198A JP3227670B2 (ja) 1998-02-09 1998-02-09 回路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408A true KR19990072408A (ko) 1999-09-27
KR100516589B1 KR100516589B1 (ko) 2005-09-22

Family

ID=1222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672A KR100516589B1 (ko) 1998-02-09 1999-02-04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7670B2 (ko)
KR (1) KR100516589B1 (ko)
CN (1) CN1178256C (ko)
TW (1) TW4171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83B1 (ko) * 2004-10-21 2007-02-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길이 조정가능한 터미널커버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191B1 (ko) * 2001-12-07 2004-03-30 엘지산전 주식회사 다극결합형 회로차단기의 트립바 구조
JP4674851B2 (ja) * 2005-02-28 2011-04-20 日東工業株式会社 配線用遮断器
CN100423158C (zh) * 2006-09-10 2008-10-01 浙江纪元电气集团有限公司 断路器捆绑式动触头专用安装工具
KR100789448B1 (ko) * 2006-12-29 2007-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용 단자 모듈 조립체 및 상기 단자 모듈조립체를 장착한 배선용 차단기
KR100865288B1 (ko) 2007-04-03 2008-10-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모듈화 단자 및 이를 장착한 배선용차단기
CN101339852B (zh) * 2007-07-03 2010-08-25 浙江加西亚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卡合结构
JP4884327B2 (ja) * 2007-07-20 2012-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の差込み端子装置
KR100919208B1 (ko) * 2007-09-14 2009-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CN102201299A (zh) * 2010-11-26 2011-09-28 江苏西门控电器有限公司 框架断路器触头弹簧装配装置
KR101382005B1 (ko) * 2012-11-23 2014-04-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개폐 기구부를 갖는 상하 조립형 배선용 차단기
CN108155067B (zh) * 2018-02-02 2024-01-26 温州奥来电器有限公司 一种火线和零线都可断开的漏电断路器
CN108899255B (zh) * 2018-08-28 2020-03-27 浙江聚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断路器手柄组件自动装配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225A (ja) * 1996-02-02 1997-10-14 Hitachi Ltd 回路遮断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250650B2 (ja) * 1996-07-09 2002-01-28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83B1 (ko) * 2004-10-21 2007-02-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길이 조정가능한 터미널커버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24583A (ja) 1999-08-17
KR100516589B1 (ko) 2005-09-22
TW417129B (en) 2001-01-01
CN1178256C (zh) 2004-12-01
CN1226736A (zh) 1999-08-25
JP3227670B2 (ja) 200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589B1 (ko) 회로 차단기
US5874877A (en) Circuit breaker
JPH0340329A (ja) 回路遮断器の警報スイッチ操作装置
KR20090091045A (ko) 회로 차단기
JP3210820B2 (ja) 漏電遮断器
KR19980079889A (ko) 누전 차단기
AU686908B2 (en) Support plate for a circuit breaker
KR102482074B1 (ko) 차단기
JP3475598B2 (ja) 回路遮断器の電磁引外し装置
JP3867360B2 (ja) 回路遮断器の電磁引外し装置
KR102567700B1 (ko) 전자식 및 기계식 차단 기능의 차단기
JP3143292B2 (ja) 漏電遮断器の手動引外し機構
JP3017645B2 (ja) 漏電遮断器
KR102552238B1 (ko) 가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JP3328996B2 (ja) 回路遮断器
JP4091012B2 (ja) 回路遮断器
JPS6215959Y2 (ko)
JP3024915B2 (ja) 回路遮断器
JPS6324609Y2 (ko)
JPS6214591Y2 (ko)
JP3299324B2 (ja) リモコンリレーの接点装置
JPS6325648Y2 (ko)
JP3256303B2 (ja) リモコンリレー
JP2001155614A (ja) リモコンリレー
JPH0635352Y2 (ja) 回路遮断器のアークホーン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