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194A - Improved Fiber Identification Method - Google Patents

Improved Fiber Identific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194A
KR19990064194A KR1019980702680A KR19980702680A KR19990064194A KR 19990064194 A KR19990064194 A KR 19990064194A KR 1019980702680 A KR1019980702680 A KR 1019980702680A KR 19980702680 A KR19980702680 A KR 19980702680A KR 19990064194 A KR19990064194 A KR 1999006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porous
filaments
pores
synthet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스마엘 안토니오 헤르난데즈
Original Assignee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filed Critical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5/01279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13895A1/en
Publication of KR1999006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194A/en

Links

Landscapes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파이버필 및(또는) 다공극 섬유를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의 식별 특성인 돌기로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공극에 의해 식별하고(하거나) 구별한다. 이러한 물질은 섬유의 나머지 부분의 물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돌기는 방사 모세관의 적합한 조절에 의해, 즉 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 중에 형성한다.Fiberfill and / or porous microfiber fibers are identified and / or distinguished by one or more pores partially filled with protrusions, which are the identifying properties of the characteristic polymeric material. This material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rest of the fiber.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suitable control of the spin capillary, ie during extrusion to form the fibers.

Description

개선된 섬유 식별 방법Improved Fiber Ident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개선된 섬유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에 의해 후에 구별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다공극 섬유의 신규한 제조 방법, 식별될 수 있도록 표시된 신규한 다공극 섬유 및 이러한 표시된 섬유를 포함하는 제품 및 재료, 특히 배트 (batt), 파이버볼 (fiber ball) 및 이와 같이 표시된 섬유를 함유하는 기타 제품 및 재료를 포함하는 파이버필 (fiberfill) 충전재 (종종 간략하여 "파이버필"이라고 불림) 및 제품, 및 이러한 다공극 섬유 및 이들의 제품 및 재료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method of identifying fibers, whereby a novel method of making porous fibers having characteristics that can be distinguished later, novel marked porous fibers and products comprising such marked fibers and Fiberfill fillers (often referred to simply as “fiberfills”) and products, including materials, in particular batts, fiber balls, and other products and materials containing such labeled fibers; and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uch porous fibers and their products and materials.

섬유 제조업자의 고객들은 제조업자가 제공한 섬유의 일관성 있는 성능을 요구한다. 즉, 상이한 배치의 섬유가 수년에 걸쳐 제조될 때 고객들은 임의의 특정 섬유의 특성이 배치에 따라 상당히 변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섬유 제조업자들은 고객이 요구하는 일관성 및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상이한 제조 배치로부터의 섬유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섬유 식별법은 범죄학에서, 예를 들면 살인자 또는 다른 범죄자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매우 평판이 있었다. 그러나, 제조업자들이 특정 섬유의 제조 배치를 식별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에는 평범하고도 실제적인 이유가 있다. 따라서, 섬유를 식별하기 위한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시스템의 발견이 오랫동안 요구되어 왔다. 이전에는 예를 들면, 화학적 표시 또는 핵 표시를 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 방법은 비용을 추가하고 복잡화시켰으며, 제조 후에 섬유 제조업자 이외의 누군가가 용이하게 동일한 표시를 하여 이러한 식별 시스템을 혼동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The fabric manufacturer's customers require the consistent performance of the fabric provided by the fabric manufacturer. That is, when different batches of fiber are made over the years, customers require that the properties of any particular fiber do not vary significantly from batch to batch. However, fiber manufacturers must be able to distinguish fibers from different manufacturing batches while maintaining the consistency and uniformity required by the customer. Textile identification has been very popular in criminology, for example as a way of judging murderers or other criminals. However, there are plain and practical reasons why manufacturers need to identify a batch of production of a particular fiber. Thus, the discovery of economical and effective systems for identifying fibers has long been desired. Previously, for example, there was a method of chemical labeling or nuclear labeling, but this method added cost and complexity, and after manufacture, someone other than the fabric manufacturer could easily make the same label to confuse this identification system. There was a disadvantage.

특히, 배트, 파이버볼 및 기타의 충전재 및 베개, 누빈 의복, 이불, 쿠션 및 침구 재료 및 가구 재료와 같은 기타의 충전재 및 충전된 물품과 같은 제품의 파이버필로서 권축되어 사용되는 복원성 있는 다공극 섬유 (특히 폴리에스테르 다공극 섬유)를 식별하고 구별하는 경제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오랫동안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식별 시스템도 섬유의 성능 및 특성을 변화시켜서는 안된다는 것은 중요하다.In particular, resilient multi-porous fibers used as crimped fibers used in products such as bats, fiberballs and other fillers and other fillers and filled articles such as pillows, quilted garments, duvets, cushions and bedding materials and furniture materials There has long been a need for an economical method of identifying and distinguishing (especially polyester porous pore fibers). As mentioned above, it is important that no identification system change the fiber's performance and properties.

이러한 권축된 다공극 복원성 충전 섬유의 예로는 챔파네리아 (Champaneria) 등에 의해 미국 특허 제3,745,061호 또한 존스 (Jones) 등에 의해 유럽 특허 공개 제2 0 067 684호에 기재된 속이 찬 종축 코어가 있는 4 개의 공극 (때로는 홀 (hole) 이라고 불려짐)을 갖는 것, 및 브로두스 (Broaddus)에 의해 미국 특허 제5,104,725호에 기재된, 중앙의 공극 및 상기 중앙의 공극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기타의 공극들을 갖도록 배치된 7 개 이상의 공극을 갖는 것이 있다. 4-공극 및 7-공극 폴리에스테르 충전 섬유 모두가 제조되고 시판되며, 파이버필로서 사용되어 왔다. 브로두스는 그의 7-공극 충전 섬유로 이루어진 파이버필의 특성과 이전에 시판되던 4-공극 충전 섬유로 이루어진 파이버필의 특성 및 중공 충전 섬유로 이루어진 파이버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파이버필로서의 용도에 대하여 비교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특성은 벌크 특성 (bulk property)이며, 벌크 특성의 측정 ("총 벌크 범위 측정 (Total Bulk Range Measurement)"인 TBRM으로 불림)은 예를 들면 톨리버 (Tolliver)에 의한 미국 특허 제3,772,137호에 기재되어 있고, 또한 마찰 특성도 기재되어 있다 (브로두스에 의해서도 측정되었으며, 이것은 또한 파이버필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권축된 다공극 충전 섬유 모두가 충전재로서의 성능에서, 특히 이러한 다공극 충전 섬유가 평활하고 둥근 외주면을 가졌을 경우에, 복원성의 권축된 중공 충전 섬유 (예를 들면, 톨리버에 의해 미국 특허 제3,772,137호에 개시되어 있음) 이상의 상당한 장점을 나타내었다. 상기 특허 명세서 각각의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추가로, 평활한 둥근 외주면과 단지 3 개의 종방향의 공극을 갖는 다공극 충전 섬유는 헤르난데즈 (Hernandez)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458,971호 (DP-6320)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개시 내용 또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Examples of such crimped pore-resilient filling fibers include four solid longitudinal cores as described in US Pat. No. 3,745,061 by Champaneria et al. And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2 0 067 684 by Jones et al. Having a void (sometimes called a hole), and having a central void and other voids arranged to surround the central void, as described in US Pat. No. 5,104,725 by Broaddus. There are seven or more voids. Both 4-pore and 7-pore polyester filled fibers have been made and sold commercially and have been used as fiberfills. Brodus compared the properties of the fiberfill consisting of its 7-pore filled fibers with those of commercially available 4-pore filled fibers and those of the hollow filled fibers. The most important property to compare for use as a fiberfill is the bulk property, and the measurement of the bulk property (called TBRM, "Total Bulk Range Measurement") is for example a tolliver ( U.S. Patent No. 3,772,137 to Tolliver, and also describes frictional properties (measured by Brodus, which is also important for fiberfill). All of these crimped porous filling fibers are resilient crimped hollow filling fibers (e.g., by Tolliver, in US Pat. No. 3,772,137, in terms of their performance as filler, especially when such porous filling fibers have a smooth, rounded outer surface. Significant advantages over the above). The disclosure of each of the above patent specifications is included herein. Additionally, porous pore-filled fibers having a smooth roun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only three longitudinal voids are disclosed in US Pat. No. 5,458,971 (DP-6320) to Hernandez et al.,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also disclosed herein. Included for reference.

본 발명은 다공극 섬유의 단면 구조에 시각적인 식별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다공극 섬유를 식별하고 구별하기 위한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한다. 상기 표시는 섬유의 성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공극 섬유를 단지 시각적으로만 식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표시가 있는 섬유는 본 명세서에서 종종 "식별 섬유" (또는 "식별 필라멘트")라고 지칭된다.The present invention addresses this need for identifying and distinguishing porous fibers by providing visual identification marks 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orous fibers. The marking only visually identifies the porous fiber with littl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fiber. Such visually identifying fiber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re often referred to herein as "identifying fibers" (or "identifying filaments").

"섬유" 및 "필라멘트" 라는 용어는 한 가지 용어의 사용이 다른 하나를 제외시킴이 없이 본 명세서에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The terms "fiber" and "filament" are used herein generically without the use of one term excluding the other.

따라서, 본 발명은 분할된 방사 모세관 오리피스를 통하여 합성 중합체를 혼합 후 용융-방사시켜 생성되는 새로 방사된 용융 스트림이 혼합되어 3 개 이상의 공극을 갖는 연속 필라멘트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급냉시켜 응고시키는 단계, 및 필요에 따라, 생성된 고상 필라멘트를 연신하는 단계, 및(또는) 추가로 처리하는 단계, 및(또는) 스테이플 섬유로 전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다공극 필라멘트의 하나 이상의 공극 각각의 내측면 상에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은 돌기를 각기 형성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별도의 작은 오리피스를 통하여 용융 중합체를 소량으로 방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중합체의 다공극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ixing a newly spun melt stream produced by mixing and then melt-spinning a synthetic polymer through a divided spin capillary orifice to form a continuous filament having three or more pores, and quenching the filament. At least one of the multi-porous filaments in a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solidifying and solidifying, and if necessary, stretching the resulting solid filaments, and / or further processing, and / or converting them into staple fibers. Provided is a method of making a porous porous filament of a synthetic polymer characterized in that a small amount of molten polymer is spun through one or more separate small orifices arranged to respectively form one or more small protrusions visually discernible on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pores. do.

또한, 신규한 물품으로서, 3 개 이상의 연속적인 종방향의 공극을 갖는 다공극 합성 중합체 섬유가 제공되며, 상기 섬유의 다공극 단면은 공극(들)의 내측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공극으로 돌출하는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을 나타낸다. 즉, 상기 단면은 이러한 공극 하나 이상이 벽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충전된 공극으로 돌출되는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로 부분적으로 충전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특징적인 돌출성 중합체 물질은 통상적으로 이러한 돌출성 중합체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유사한 다공극 합성 중합체 섬유와 상기 섬유를 식별하지만, 상기 섬유의 성능 특성과 상기 유사한 섬유의 성능 특성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Also provided as a novel article is a porous microporous synthetic polymer fiber having three or more continuous longitudinal voids, the porous pore cross section of the fiber being characterized by protruding into one or more voids from the inner side of the void (s). Polymer material. That is, the cross section indicates that one or more of these pores is partially filled with a characteristic polymeric material that protrudes from the wall into partially filled pores. Thus, the characteristic protruding polymeric materials typically identify the fibers with similar porous microporous synthetic polymeric fibers that do not contain such protruding polymeric materials, but show no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properties of the fibers and the performance properties of the similar fibers. Do not.

또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섬유 길이 전체를 통해 3 개 이상의 연속적인 공극을 갖는 합성 중합체의 복원성 권축 다공극 충전 섬유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수 및 소정 형상의 공극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공극(들)으로 돌출하는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을 나타내는 다공극 단면을 갖는 상기 전체 또는 소정 비율의 상기 섬유에 의하여 식별되는 파이버필 충전재 및 이러한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resilient crimped multi-porous filled fibers of synthetic polymer having three or more continuous pores throughout the fiber length, the voids from the inner side of the predetermined number and of the shaped voids. Provided are fiberfill fillers identified by the entire or a predetermined proportion of the fibers having a porous pore cross-section showing characteristic polymeric material protruding into (s) and articles comprising such material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합성 중합체의 복원성 권축 다공극 충전 섬유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섬유의 10 중량% 이상이 하나 이상의 상기 공극이 특징적인 돌출성 중합체 물질 (내측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충전된 공극으로 돌출함)을 함유함 (즉, 부분적으로 충전됨)을 나타내는 다공극 단면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특징적인 돌출성 중합체 물질은 이러한 특징적인 돌출성 중합체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공극 단면이 유사한 다른 다공극 합성 중합체 섬유의 벌크 특성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다공극 합성 중합체 섬유와 상기 유사한 섬유를 식별하는 다공극 단면을 갖는 파이버필 (및 이것이 충전된 물품을 포함함)이 제공된다. 이러한 다공극 섬유는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3 개 이상의 연속적인 종방향의 (즉, 섬유 길이를 따른) 공극을 함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isclosed herein, the resilient crimped porous pore-filled fiber of a synthetic polymer, for example at least 10% by weight of the fi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void is characterized by a protruding polymeric material (partly from the inner side) Protruding into filled voids) (ie, partially filled), so that the characteristic protruding polymeric material does not contain such characteristic protruding polymeric material Provided are porous fills (and including articles filled with them) having a porous pore synthetic polymer fiber that essentially resembles the bulk properties of other porous pore synthetic polymer fibers having similar pore cross sections and a porous pore cross section that identifies the similar fibers. . Such porous fibers may contain three or more continuous longitudinal pores (ie, along the fiber length), as described below.

합성 물질의 (제1) 다공극 섬유의 내부 공극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중합체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다공극 섬유와, 내부 공극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중합체 물질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다공극 섬유 (식별되고 구별됨)의 벌크 특성과 유사한 벌크 특성 및 유사한 단면을 갖는 기타의 다공극 섬유를 식별하고 구별한다.Except that the polymeric material protrudes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nternal voids of the (first) porous film of the synthetic material, and has no polymeric material protruding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nternal voids. 1 Identify and distinguish between bulk porous properties similar to the bulk properties of polyporous fibers (identified and distinguished) and other multiporous fibers with similar cross sections.

기타의 실시태양으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장치 및 제품이 있다.Other embodiments include the methods, devices, and articles disclosed herein.

다공극 섬유의 합성 중합체 물질로서 및(또는)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둘 다에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둘 다에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사용하고, 본 발명을 당 업계 기술 및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평활하고 둥근 외주를 갖는 4-홀 섬유, 7-홀 섬유 및(또는) 3-홀 섬유에 사용하는 것, 특히 홀 (즉, 공극) 중의 단지 하나가 부분적으로 충전된 이러한 다공극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특징이다.As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and / or as characteristic polymeric materials of porous fibers; Preferably using a polyester polymer for both, preferably the same polyester polymer for both, and the invention is a four-hole with smooth and rounded periphery as described in the art and mentioned above. It is a preferred feature to use in fibers, 7-hole fibers and / or 3-hole fibers, in particular to use such porous fibers that are only partially filled with only one of the holes (ie voids).

대부분의 경우, 본 발명의 파이버필 충전재 및 복원성 권축 다공극 충전 섬유는 통상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당 업계 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바람직한 다공극 충전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제조하며, 편의를 위해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이 본 명세서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당업자들은 기타의 합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이들의 차이점, 예를 들면 용융 점도와 같은 용융 조건 및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 업계 기술에서 이러한 한 가지 문헌은 챔파네리아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3,745,061호이며, 상기 문헌의 도 1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합성 중합체로부터 4 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며 동일 간격으로 평행한 연속적인 공극을 함유하는 다공극 합성 필라멘트 및 그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구 모세관이 개시되어 있다.In most cases, the fiberfill fillers and restorable crimped porous pore-filled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ypically prepared by methods known in the art as mentioned herein. Preferred porosity-filled fibers are made from polyester polymers, in particular poly (ethylene terephthalate), and for convenience these preferred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other synthetic polymers, such as polyamides or polypropylenes, may be suitably modified in view of their differences, eg melting conditions and properties such as melt viscosity. One such document in the art is U.S. Patent No. 3,745,061 to Champagneia et al., Which discloses four substantially the same sized and equidistant parallels from a synthetic polymer, including, for example, polyester. Multiporous synthetic filaments containing continuous pores and spinneret capillaries for spinning them are disclosed.

첨부되는 도면들 중 도 1 및 도 2는 4-공극 필라멘트 단면의 확대 사진이며 (625 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필라멘트인 반면, 도 2는 비교의 목적으로 제공된 종래 기술의 필라멘트로서, 실시예 1에서 논의된다.1 and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nlarged photographs of the cross section of a four-porous filament (625 times), while FIG. 1 is a preferred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IG. 2 is a prior art filament provided for comparison purposes. , Which is discussed in Example 1.

도 3은 도 1,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4-공극 필라멘트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구의 저면에서 바라본 방사구 모세관의 확대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spinneret capillary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spinneret for spinning a preferred four-voided fil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FIGS. 1, 4 and 5.

도 4 내지 도 7은 4-공극 필라멘트 단면의 확대 사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필라멘트인 반면, 도 6 및 도 7은 비교를 위한 종래 기술의 필라멘트이다. 도 4 및 도 7은 500 배 확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1000 배 확대한 것이다. 이들은 실시예 3에서 논의된다.4 to 7 are enlarged photographs of cross-sections of four-pole filaments, while FIGS. 4 and 5 are preferred fil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IGS. 6 and 7 are prior art filaments for comparison. 4 and 7 are enlarged 500 times. 5 and 6 are enlarged 1000 times. These are discussed in Example 3.

도 8은 TBRM 데이터를 높이 (인치) 대 압력 (psi)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며, 또한 실시예 3에서 논의된다.8 is a graph depicting TBRM data in height (inches) versus pressure (psi) and is also discussed in Example 3. FIG.

도 9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3-공극 필라멘트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구의 저면에서 바라본 방사구 모세관의 확대도이다.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spinneret capillary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spinneret for spinning the preferred three-voided fil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FIGS. 10 and 11.

도 10 내지 도 13은 3-공극 필라멘트 단면의 확대 사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식별 필라멘트의 것인 반면, 도 12 및 도 13은 비교하기 위한 식별 표시가 없는 필라멘트의 것이다. 도 10 및 도 12는 500 배 확대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3은 1000 배 확대한 것이다. 이들은 실시예 4에서 논의된다.Figures 10 to 13 are enlarged photographs of the cross-section of a three-pole filament, while Figures 10 and 11 are of the preferred identification fil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igures 12 and 13 are of the filaments without identification marks for comparison. . 10 and 12 are enlarged 500 times. 11 and 13 are enlarged 1000 times. These are discussed in Example 4.

도 14는 TBRM 데이터를 높이 (인치) 대 압력 (psi)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며, 또한 실시예 4에서 논의된다.14 is a graph depicting TBRM data in height (inches) versus pressure (psi) and is also discussed in Example 4. FIG.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섬유의 단면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이후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섬유가 권축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 사진이다.15 and 16 are enlarged photographs showing not only cross sections of preferred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the fibers being crimped as discussed later herein.

본 발명의 4-공극 식별 필라멘트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구 모세관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첨부되는 도면의 도 3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것은 챔파네리아의 도 1과의 유사성이다. 상기 모세관은 만곡되어 불완전한 원호를 형성하는 외주 슬롯(19, 20, 21 및 22)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외향으로 방사된 4 개의 방사상 슬롯(15, 16, 17 및 18)을 갖는 T-형 슬롯의 형태의 4 개의 개별적인 세그먼트 (11, 12, 13 및 14로 표시됨)로 형성된다. 각 외주 슬롯(19, 20, 21 및 22)의 각 단부에는 확대된 "토우 (toe)" (23 및 24, 25 및 26, 27 및 28, 및 29 및 30)가 있으며, 상기 슬롯의 확대된 단부는 생성되는 용융 중합체의 혼합 후에 바람직한 다공극의 속이 찬 필라멘트를 형성하도록 도우며, 이는 톨리버에 의한 미국 특허 제3,772,137호에서와 같이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도 3에서의 중요하고 신규한 차이점 (챔파네리아의 도 1과 구별되는 점)은 오리피스(40)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오리피스(40)를 통하여 압출 성형되는 용융 중합체는 슬롯(11, 12, 13 및 14)을 통과하는 용융 중합체의 혼합 후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필라멘트의 공극들 중 하나의 내측벽 상에서 고화되고 혼합되어 공극들 중 하나를 부분적으로 충전시키는 돌기를 형성한다. 공극 내부에서 돌기의 상대적인 위치는 이해될 바와 같이, 필라멘트의 길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It is to be noted that in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spinneret capillary for spinning the four-pore identification fil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ilarity to that of FIG. The capillary is in the form of a T-shaped slot having four radial slots 15, 16, 17 and 18 radiated outwardly to connect the outer peripheral slots 19, 20, 21 and 22 which are curved to form an incomplete arc. Is formed into four individual segments (denoted 11, 12, 13 and 14). At each end of each circumferential slot 19, 20, 21 and 22 there is an enlarged "toe" (23 and 24, 25 and 26, 27 and 28, and 29 and 30), which are enlarged The ends help to form the preferred filament-filled filaments after mixing of the resulting molten polymer, which is known in the art as in US Pat. No. 3,772,137 by Tolliver. An important new difference (distinguishable from FIG. 1 of the champaneria) in FIG. 3 herein is that an orifice 40 is provided. The molten polymer extruded through the orifice 40 is solidified and mixed on the inner wall of one of the pores of the filament formed by extrusion after mixing of the molten polymer through the slots 11, 12, 13, and 14. To form projections that partially fill one of them.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rotrusions within the voids can vary with the length of the filament, as will be appreciated.

공극들 중 하나가 상기 공극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중합체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4 개의 공극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상기 식별 필라멘트의 확대 단면이 625 배 확대되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종래의 4-공극 필라멘트의 유사하게 확대된 단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서의 단면은 크게 확대되었다. 파이버필 필라멘트는 매우 가늘기 때문에, 확대하지 않으면 단면에서 공극을 볼 수 있는지의 여부, 또는 임의의 공극이 돌출성 중합체로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물론, 상기 필라멘트가 속이 찼는지, 중공인지, 또는 다공극인지의 여부가 의심스럽다.An enlarged cross section of the identification fil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e of the pores contains four pores partially filled with a polymer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pores, is shown 625 times in magnification. In contrast, a similarly enlarged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four-pore filament is shown in FIG. 2. As mentioned, the cross section in FIGS. 1 and 2 is greatly enlarged. Since fiberfill filaments are very thin, whether the filaments are full, as well as whether the voids can be seen in the cross section if not enlarged, or whether any voids are partially filled with the protruding polymer It is doubtful whether it is hollow, or porous.

이후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가지 유형의 필라멘트 모두가 충전재로서의 우수한 성능 및 특성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즉, 한 가지 목적이 이러한 관점에서 달성되었다. 이것은 이후에 더 설명될 것이다.As can be seen in the examples below, both types of filaments can be made to have good performance and properties as fillers. In other words, one object has been achieved in this respect. This will be explained further later.

상기 관점을 요약하면, 크게 확대하여 신중하게 절단한 단면을 제조하고 평가하고 이러한 필라멘트를 비교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 발명의 필라멘트와 종래 기술의 필라멘트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을 판단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라멘트의 외형 또는 그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도 내부적으로는 상이한 단면 구조를 갖는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방사구 모세관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달성되었다. 즉, 상기 차이점은 필라멘트의 신중하게 절단한 단면을 크게 확대하여 평가한 후에, 단지 시각적으로만 결정될 수 있다.Summarizing the above point of view, most people will not be able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l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filaments unless one has manufactured and evaluated a largely cut and carefully cut section and compared these filaments. According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conomically achieved by using different spinneret capillaries to form filaments having internally different cross-sectional structures without affecting the appearance or performance of the filament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can only be determined visually after largely evaluating the carefully cut section of the filament.

쉽게 이해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자체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극과 관련된 돌기의 수 및 형태는 변화될 수 있고, 특히 7-공극과 같은 더 많은 수의 공극을 갖는 필라멘트를 가질 수 있으며, 공극의 존재를 이용하기 위하여 공극 함량을 최대화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겨져 왔음을 명심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돌기는 공극 부피의 약 25 내지 약 50 %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접하는 공극들 사이의 필라멘트의 평균 웹 (web) 두께의 약 25 내지 50 %의 정도까지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바 및 본 발명의 목적이 특히, 동일한 중합체 재료를 사용할 때 시각적으로 감지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특징을 갖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모든 필라멘트에 (즉, 100 %) 식별 표시를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조절된 (즉, 소정의) 비율의 (예를 들면 약 10 중량% 이상) 특정하게 식별되는 필라멘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판매되는 섬유의 배치로 등록될 수 있다. 추가로, 단일 중합체로부터 필라멘트를 방사하는 것, 따라서 돌기에서의 중합체 물질이 필라멘트의 나머지 부분에서와 동일한 것이 비용이 적게 들고, 따라서 통상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지만, 섬유의 혼합 또는 배치를 더 잘 식별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상이한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필 (하나 이상의 배치)은 소정의 비율 (등록될 수 있으며 100 % 미만으로 변화될 수 있음)로 이루어진 충전 섬유에 시각적인 식별 표시 (즉, 기재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상기 공극(들)으로 돌출하는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이며, 이들의 상세한 모든 것이 등록될 수 있음)를 함유하는 소정의 수 및 소정 형상의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As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itself. For exampl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projections associated with the pores may vary, particularly with filaments having a larger number of pores, such as 7-pores, and maximizing the pore content to exploit the presence of the pores.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it has usually been considered desirable. Typically, the protrusions preferably fill about 25 to about 50% of the void volume, and preferably extend to about 25 to 50% of the average web thickness of the filaments between adjacent pores,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the foregoing and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eature of being relatively easy to visually detect, especially when using the same polymeric material.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n identification mark (i.e. 100%) on every filament, but may include a specifically identified filament in a controlled (i.e., predetermined) proportion (e.g., at least about 10% by weight) and is sold It can be registered with a batch of fibers. In addition, spinning the filament from a single polymer, and therefore, the polymeric material at the projections is the same as in the rest of the filament, is less expensive, and therefore usually desirable, to better identify the mixing or placement of the fibers. In order to do this, different polymers can be used as needed. In other words, the fiberfill (one or more batc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lled with a visual identification mark (i.e. partially filled as described) in a fill fiber of a predetermined ratio (which may be registered and may vary by less than 100%). Is a characteristic polymeric material that protrudes into the void (s), all of which can be registered) and can be identifi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number and shaped voids.

상술된 바, 및 실시예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극 충전 섬유의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공극은 파이버필로서 섬유의 벌크 특성 또는 성능을 현저하게 변화시키지 않았다. 또한, 본 출원인은 공극이 채워지는 정도는 벌크 특성 또는 성능을 현저하게 변화시키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모든 공극이 어느 정도까지 유지되는 한, 벌크 특성은 심각하게 영향받지 않았다. 이것은 중공 섬유에 대해서 종래 기술에서 교시되어온 바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것은 신규하고도 놀라울만한 발견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공극 충전 섬유의 부분적으로 충전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은 다공극 충전 섬유의 벌크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진 반면, 종래 기술에서는 중공 필라멘트의 내측면 상에서 혼합되어 압출 성형되는 여분의 중합체가 생성되는 중공 필라멘트의 벌크 특성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교시되어왔다. 중공 섬유와는 달리, 벌크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단면에서 다양한 공극의 상대적인 크기라기보다는, 다공극 섬유의 단면 주변에 대칭적으로 또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특정수의 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 같다.As described above, and as will be explained in the Examples, at least one of the partially filled pores of the porous pore-filled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bulk properties or performance of the fiber as fiberfill. Applicants have also found that the extent to which the voids are filled does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bulk properties or performance. As long as all the voids were maintained to some extent, the bulk properties were not severely affected. This is different from what has been taught in the prior art for hollow fibers. Thus, this was a novel and surprising discovery. That is, it has been found that one or more of the partially filled voids of the porous filler fibe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o not affect the bulk properties of the porous filler fibers, whereas in the prior art they are mix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filament and extruded It has been taught that the excess polymer will change the bulk properties of the resulting hollow filaments. Unlike hollow fibers, it is likely that bulk properties are determined not by the relative size of various pores in the cross section, but by the presence of a certain number of pores arranged symmetrically or regularly around the cross section of the porous fiber.

본 발명은 추가로 하기 실시예에서 예시되며, 모든 부 및 비율은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중량 기준이다. 필라멘트에 도포된 코팅물 (윤활 처리제 및 피니쉬)의 양은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OWF) 하였다. 상대 점도 (RV) (때로는 LRV로 언급됨) 및 공극 함량 (중량 기준, 부유법에 의함)은 미국 특허 제4,712,988호 (브로두스 일동)에 기술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벌크 측정 및 권축률 측정은 상술된 톨리버에 의한 미국 특허 제3,772,137호에 기술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The invention is further illustrat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ll parts and proportions being by weight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amount of coating (lubricant and finish) applied to the filaments was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ber (OWF). Relative viscosity (RV) (sometimes referred to as LRV) and pore content (by weight, by flotation method) wer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 No. 4,712,988 (Brodus Co.). Bulk measurements and crimp rate measurements were determ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 No. 3,772,137 to Tolliver, described above.

파이버필 충전 (스테이플) 섬유에 대한 섬유 대 섬유의 마찰값은 통상적으로 스테이플 패드 마찰 (SPF) 측정법이라고 공지된 측정법에 의하여 얻는다.The friction value of fiber to fiber against fiberfill filled (staple) fibers is typically obtained by a measurement method known as staple pad friction (SPF) measurement.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마찰을 측정할 수 있는 섬유의 스테이플 패드는 스테이플 패드의 상부 상의 추 및 스테이플 패드 아래의 기부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인스트론 1122 (Instron 1122) 기계 (메사추세츠주 캔톤 소재의 인스트론 엔지니어링사 제품)의 하부 크로스헤드 상에 장착된다.As used herein, a staple pad of fibers capable of measuring friction is sandwiched between a weight on the top of the staple pad and a base below the staple pad, and is an Instron 1122 machine (Canton, Mass.). It is mounted on the lower crosshead of Instron Engineering Co., Ltd.).

스테이플 패드는 길이 10.0 ㎝ (4.0 인치) 및 폭 6.3 ㎝ (2.5 인치)로 절단된 배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코-로웰 롤러 탑 카드 (SACO-Lowell roller top card)를 사용하여] 스테이플 섬유들을 카딩 (carding) 함으로써 스테이플 패드를 제조하며, 섬유는 배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다. 충분한 절편들이 쌓이며, 스테이플 패드의 중량은 1.5 g 이다. 스테이플 패드 상부의 추의 길이 (L)는 4.78 ㎝ (1.88 인치), 폭(W)은 3.86 ㎝ (1.52 인치), 및 높이(H)는 3.71 ㎝ (1.46 인치), 및 중량은 496 g이다. 스테이플 패드와 접촉하는 추 및 기부의 표면을 에머리포 (Emery cloth) (모래는 220 내지 240 범위임)로 덮으면, 스테이플 패드의 표면과 접촉되는 것은 에머리포이다. 스테이플 패드는 기부 상에 놓여진다. 추는 패드의 중앙부 상에 놓여진다. 나일론 모노필라멘트 라인이 추의 더 작은 수직면 (WxH) 중 하나에 부착되어 인스트론의 상부 크로스헤드까지 작은 벨트차 둘레를 통과함으로써, 벨트차 둘레에 90°의 랩각 (wrap angle)을 형성한다.The staple pad carded staple fibers (using a SACO-Lowell roller top card) to form a bat cut to a length of 10.0 cm (4.0 inches) and a width of 6.3 cm (2.5 inches). carding) to produce a staple pad, with the fibers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 Sufficient sections are stacked and the weight of the staple pad is 1.5 g. The weight L on the staple pad top is 4.78 cm (1.88 inches), the width W is 3.86 cm (1.52 inches), and the height H is 3.71 cm (1.46 inches) and the weight is 496 g. If the surface of the weight and base in contact with the staple pad is covered with an Emery cloth (sand ranges from 220 to 240), it is the emery cloth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aple pad. The staple pad is placed on the base. The weight is placed on the center of the pad. A line of nylon monofilament is attached to one of the smaller vertical planes (WxH) of the weight and passes around the small belt car to the upper crosshead of the Instron, thereby forming a wrap angle of 90 ° around the belt car.

인스트론에 접속된 컴퓨터가 테스트를 시작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인스트론의 하부 크로스헤드는 31.8 ㎝ (12.5 인치)/분의 속도로 낙하한다. 스테이플 패드, 추 및 벨트차도 하부 크로스헤드상에 장착된 기부와 함께 낙하한다. 나일론 모노필라멘트가 낙하하고 있는 추와 고정되어 남아있는 상부 크로스헤드 사이에서 인장되기 때문에, 나일론 모노필라멘트에서 인장력이 증가한다. 인장력은 스테이플 패드에서 섬유의 배향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추에 인가된다. 처음에는, 스테이플 패드 내부에서의 움직임이 적거나 없다. 인스트론의 상부 크로스헤드에 인가된 힘은 부하 전지에 의하여 측정되며, 패드 중의 섬유가 서로 지나쳐서 움직이기 시작할 때 허용치까지 증가한다. (스테이플 패드와의 경계면에서의 에머리포 때문에, 이러한 계면에서는 상대적인 이동이 없으며, 본질적으로는 임의의 움직임은 서로 지나쳐서 이동하는 스테이플 패드 내부의 섬유로부터 생성된다.) 허용치는 섬유 대 섬유의 정전기적 마찰을 극복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값을 나타내며 이것은 등록되어 있다.A computer connected to Instron generates a signal to start the test. The lower crosshead of the Instron drops at a speed of 12.5 inches (31.8 cm) / minute. Staple pads, weights and belt cars also fall with the base mounted on the lower crosshead. Since the nylon monofilament is tensioned between the falling weight and the remaining upper crosshead, the tension force increases in the nylon monofilament.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we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fibers in the staple pad. Initially, there is little or no movement inside the staple pad. The force applied to the upper crosshead of the Instron is measured by the load cell and increases to an acceptable value when the fibers in the pads begin to move past each other. (Because of the emery at the interface with the staple pad, there is no relative movement at this interface, and essentially any movement is generated from the fibers inside the staple pad moving past each other.) Tolerances allow for electrostatic friction of fiber to fiber It indicates the value required to overcome this and it is registered.

마찰 계수는 측정된 한계 힘을 496 g 중량으로 나누어 결정한다. 평균 SPF를 산출하는 데에는 8 개의 수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8 개의 수치는 두 개의 스테이플 패드 샘플 각각에서 4 회 측정함으로써 얻는다.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determined by dividing the measured limit force by 496 g weight. Eight figures are used to calculate the average SPF. These eight values are obtained by making four measurements on each of the two staple pad samples.

<실시예 1><Example 1>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모세관 오리피스 모형을 사용하여, 모세관 당 0.106 ㎏/시간 (0.234 파운드/시간)의 작업량으로 388 개의 모세관이 있는 방사구를 통하여 1092 mpm (1195 ypm)에서, 291 내지 297 ℃의 중합체 온도에서 상대 점도 (LRV)가 20.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필라멘트를 방사하였다. 방사된 필라멘트를 합연하여 연신 인장된 922,000 데니어의 로프를 형성하였다. 상기 로프를 90 ℃에서 유지한 고온, 습식 분사 인장 영역 내에서 3.39 배의 인장율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장시켰다. 인장된 필라멘트를 3 가지의 상이한 정도로 외팔보 유형 (크기 8.9 ㎝ (3.5 인치))의 종래의 스터퍼 박스 권축기 (stuffer box crimper) 내에서 권축시켜 세 가지의 상이한 권축 정도, 및 상응하는 벌크 특성 (즉, 톨리버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카딩된 웹의 적층물 상에서 측정된 1.5, 2.0 및 2.3 ㎝ (0.6, 0.8 및 0.9 인치) 높이의 서포트 벌크 (Support Bulk) (즉, 0.2 psi에서의 벌크))을 얻었으며, 상기 권축된 로프를 절단하기 전에 180 ℃에서 오븐 내에서 연신시켰다. 약 0.07 중량%의 종래의 정전기 방지용 오버레이 피니쉬를 각 샘플에 도포하였다. 그러나, 제1 (최저 벌크) 섬유도 섬유의 중량 당 약 1 %의 실리콘을 함유하는 피니쉬를 사용하여 연신시키기 전에 윤활 처리되었다. 생성된 필라멘트 모두를 5.4 ㎝ (2 인치) 길이의 스테이플로 절단하였다. 본 발명의 절단된 상기 섬유의 단면이 도 1에 나타나 있고, 상기 단면은 고상의 축방향 코어 및 4 개의 평행한 연속적인 내부 공극을 나타내며, 이들 중 하나는 공극의 내측면 상에서 식별 표시로서 작용하는 돌기를 함유한다. 섬유의 외주면은 둥글고 평활하였다. 상기 섬유는 17.1 %의 평균 공극 함량을 가지며 필라멘트 당 약 5.5 데니어임이 밝혀졌다.Using a capillary orifice model as shown in FIG. 3, at 292 to 297 ° C., at 1092 mpm (1195 ypm) through 388 capillary spinnerets with a workload of 0.106 kg / hour (0.234 lb / hour) per capillary The filaments were spun from poly (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relative viscosity (LRV) of 20.4 at the polymer temperature. The spun filaments were joined to form a rope of stretched 922,000 denier. The rope was tensioned in a conventional manner using a 3.39 times tensile rate in the hot, wet spray tensile zone maintained at 90 ° C. The tensioned filaments are crimped in three different degrees of cantilever type (3.5 inches) of conventional stuffer box crimper to give three different degrees of crimping, and corresponding bulk properties ( That is, Support Bulk (ie, bulk at 0.2 psi) of 1.5, 2.0, and 2.3 cm (0.6, 0.8 and 0.9 inch) height measured on a stack of carded webs, as described by Tolliver ) Was drawn in an oven at 180 ° C. before cutting the crimped rope. About 0.07% by weight of a conventional antistatic overlay finish was applied to each sample. However, the first (lowest bulk) fibers were also lubricated before stretching using a finish containing about 1% silicon per weight of the fiber. All of the resulting filaments were cut into staples of 2 inches long. A cross section of the cut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 which shows a solid axial core and four parallel continuous internal voids, one of which acts as an identification mark on the inner side of the voids. Contains bump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ber was round and smooth. The fiber was found to have an average pore content of 17.1% and about 5.5 denier per filament.

비교를 위하여, 본 발명 섬유의 이러한 샘플들을 본 명세서의 도 3의 모세관과는 유사하지만 식별 표시를 위한 오리피스(40)가 없는 모세관, 즉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은 챔파네리아의 도 1의 것과 유사한 모세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제조되며, 평균 공극 함량이 15.5 %이고,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권축되었으며 (유사한 서포트 벌크 정도를 제공함), 동일한 데니어인 현재 시판되는 4-공극 섬유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종래 섬유의 단면은 4 개의 공극 모두가 뚜렷하다는 것, 즉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식별 표시로서 작용하는 돌기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단면 (도 1)과 유사하였다.For comparison, these samples of the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illary tubes similar to the capillary tube of FIG. 3 herein but without an orifice 40 for identification, ie, capillary tube similar to that of FIG. A similar preparation was made, except that it had an average pore content of 15.5%, crimped to a similar degree of crimping (providing a similar degree of support bulk), and compared to the same commercially available 4-pore fibers that are the same denier. The cross section of this conventional fiber was similar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except that all four voids were distinct, i.e., no protrusions acted as identification marks as shown in FIG. 1.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버필 충전재로서의 상기 섬유 두 세트의 성능 및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본질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이, 즉 섬유의 단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각 쌍의 파이버필 샘플의 벌크 특성이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윤활 처리된 섬유의 마찰 측정은 각기 0.265 및 0.293 이었으며, 본질적으로 유사하였다.As noted above, the performance and properties of the two sets of fibers as fiberfill fillers were compared and essentially similar, i.e. despite the differences in fiber cross-section, the bulk properties of each pair of fiberfill samples were similar. Turned out. Friction measurements of the lubricated fibers were 0.265 and 0.293, respectively, and were essentially similar.

<실시예 2><Example 2>

두 가지 유형의 섬유 모두가 212 개의 모세관을 갖는 방사구를 통하여 방사되며, 밀도가 더 높은 것인 것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두 가지 유형의 섬유 (한 가지는 식별 표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식별 표시가 없는 종래의 단면적을 갖는 섬유임)를 제조하였다. 인장된 것으로서의, 필라멘트의 공극 함량은 각기 약 17.9 % 및 19.8 % 이었으며, (식별 표시를 갖는) 본 발명의 섬유 및 종래의 섬유의 연신 인장된 데니어는 각기 약 14.4 및 14.3 이었다. 두 가지 유형의 섬유 모두의 특성을 다시 비교하였으며, 두 섬유 모두 파이버필로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특성 및 동일한 성능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Both types of fibers are spun through a spinneret with 212 capillaries and are essentially of the two types of fibers (one is labeled with an identification And a fiber having a conventional cross-sectional area without such an identification mark. The pore contents of the filaments, as stretched, were about 17.9% and 19.8%, respectively, and the stretched denier of the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dentification) and conventional fibers were about 14.4 and 14.3, respectively. The properties of both types of fibers were again compared and it was found that both fibers had essentially the same properties and the same performance as fiberfill.

<실시예 3><Example 3>

본 명세서의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모세관 오리피스 모형을 사용하여, 모세관 당 0.126 ㎏/시간 (0.278 파운드/시간)의 작업량으로 363 개의 모세관이 있는 방사구를 통하여 1167 mpm (1277 ypm)에서, 291 내지 297 ℃의 중합체 온도에서 상대 점도 (LRV)가 20.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필라멘트를 방사하였다. 방사된 필라멘트를 합연하여 연신 인장된 65,000 데니어의 로프를 형성하였다. 상기 로프를 95 ℃에서 유지한 고온, 습식 분사 인장 영역 내에서 2.9 배의 인장율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장시켰다. 인장된 필라멘트를 2 가지의 상이한 정도로 외팔보 유형 (크기 2.5 ㎝ (1.0 인치))의 종래의 스터퍼 박스 권축기 내에서 권축시켜, 하기의 표 A에서 샘플 A 및 샘플 C에 대하여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두 개의 권축 정도 (및 상응하는 두 가지의 벌크 특성 정도, 즉, 톨리버에 의해 미국 특허 제3,772,13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카딩된 웹에 대하여 측정한 서포트 벌크)를 얻었으며, 상기 권축된 로프를 절단하기 전에 180 ℃에서 오븐 내에서 연신시켰다. 약 0.15 중량%의 종래의 정전기 방지용 오버레이 피니쉬를 각 샘플에 도포하였다. 생성된 필라멘트를 모두 5.4 ㎝ (2 인치) 길이의 스테이플로 절단하였다.Using a capillary orifice model as shown in FIG. 3 of this specification, 291 at 1167 mpm (1277 ypm) through 363 capillary spinnerets with a workload of 0.126 kg / hour (0.278 lb / hour) per capillary The filaments were spun from poly (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relative viscosity (LRV) of 20.4 at a polymer temperature of from 297 ° C. The spun filaments were joined to form a stretched rope of 65,000 denier. The rope was tensioned in a conventional manner using a 2.9-fold tensile rate in the hot, wet spray tensile zone maintained at 95 ° C. The tensioned filaments were crimped in conventional stuffer box crimpers of cantilever type (size 2.5 cm (1.0 inch)) to two different extents, as shown for sample A and sample C in Table A below. Degree of crimp (and the corresponding two degree of bulk properties, ie, support bulk measured on carded webs as described in US Pat. No. 3,772,137 by Tolliver), and the crimped rope was cut Stretched in oven at 180 ° C. before About 0.15% by weight of a conventional antistatic overlay finish was applied to each sample. The resulting filaments were all cut into staples of 2 inches long.

절단된 식별 표시 섬유의 단면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다. 상기 필라멘트 각각은 고상의 축방향 코어 및 4 개의 평행한 연속적인 공극을 함유하며, 이들 중 하나는 식별 표시로서 작용하는 공극의 내측면의 돌기를 함유한다. 이들 섬유는 약 12.5 %의 공극 함량을 가진다.Sections of the cut identification fibers are shown in FIGS. 4 and 5. Each of the filaments contains a solid axial core and four parallel continuous pores, one of which contains protrusions on the inner side of the pores that serve as identification marks. These fibers have a pore content of about 12.5%.

종래의 모세관 (오리피스(40)가 없음, 즉 상기 서술된 챔파네리아의 도 1의 것과 유사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제조되며, 동일한 데니어인 현재 시판되는 4-공극 섬유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권축되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표 A의 샘플 B 및 샘플 D에 대하여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유사한 정도의 벌크 특성을 제공함)와 상기 섬유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종래 섬유가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단면은 이들이 섬유 식별 표시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 즉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식별 표시로서 작용하는 돌기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단면과 유사하였다.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four-pore fibers (similar crimps) that are similarly manufactured, with the same denier, except that conventional capillaries (orifices 40 are absent, ie similar to those of FIG. 1 of the champagne described above) Crimped to a degree, providing a similar degree of bulk properties as shown for Samples B and D in Table A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bers. Such conventional fibers are shown in FIGS. 6 and 7. This cross section was similar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y did not contain fiber identification marks, i.e., no projections acted as identification marks as shown in FIGS. 4 and 5.

샘플 A (식별 표시 섬유) 및 샘플 B (종래의 섬유)를 인치 당 약 4.5의 권축률 (CPI) 및 약 7의 권축 지수 (CHI)의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권축시켰다. 표 A는 이러한 샘플에 대하여 측정된 TBRM 데이터가 매우 유사하며, 따라서 이 데이터를 그래프 상에 도시할 때, 도 8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곡선 A 및 B가 서로 구별하기 어려움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샘플 C (식별 표시 섬유) 및 샘플 D (종래의 섬유)를 인치 당 약 7 권축률 (CPI) 및 약 11의 유사한 권축 지수 (CHI)의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권축시켰으며, 유사한 TBRM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A 및 도 8 참조). 즉,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섬유를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유사한 CPI 및 CHI) 권축시킬 때, 섬유의 벌크 특성 (TBRM에 의하여 측정될 때)은 이들의 단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하며, 이것은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확대된 사진에서 확인 가능하다.Sample A (identifying fibers) and Sample B (conventional fibers) were crimped to a similar degree of crimp of about 4.5 crimp rate (CPI) and about 7 crimp index (CHI). Table A shows that the TBRM data measured for these samples are very similar, and thus, when this data is plotted on the graph, curves A and B show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from each other. Similarly, Sample C (identifying fibers) and Sample D (conventional fibers) were crimped to about 7 crimp rates per inch (CPI) and a similar crimping degree of about 11 similar crimp index (CHI), with similar TBRM results. (See Table A and FIG. 8). That is, when these two types of fibers are crimped to a similar degree of crimp (similar CPI and CHI), the bulk properties of the fibers (as measured by TBRM) are almost the same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4 to Fig. 7, it can be confirmed in the enlarged picture.

압력 (psi)Pressure (psi) 상기 압력 하에서의 높이Height under the pressure 샘플 ASample A 샘플 BSample B 샘플 CSample C 샘플 DSample D 0.0010.001 15.06 ㎝(5.930 인치)15.06 cm (5.930 in) 15.10 ㎝(5.944 인치)15.10 cm (5.944 in) 13.45 ㎝(5.295 인치)13.45 cm (5.295 in) 13.49 ㎝(5.311 인치)13.49 cm (5.311 in) 0.0050.005 10.96 ㎝(4.316 인치)10.96 cm (4.316 in) 11.14 ㎝(4.387 인치)11.14 cm (4.387 in) 9.693 ㎝(3.816 인치)9.693 cm (3.816 in) 9.792 ㎝(3.855 인치)9.792 cm (3.855 in) 0.0100.010 8.560 ㎝(3.370 인치)8.560 cm (3.370 inches) 8.700 ㎝(3.425 인치)8.700 cm (3.425 in) 7.869 ㎝(3.098 인치)7.869 cm (3.098 inches) 7.955 ㎝(3.132 인치)7.955 cm (3.132 inches) 0.0400.040 4.034 ㎝(1.588 인치)4.034 cm (1.588 in) 4.087 ㎝(1.609 인치)4.087 cm (1.609 in) 4.747 ㎝(1.869 인치)4.747 cm (1.869 in) 4.773 ㎝(1.879 인치)4.773 cm (1.879 in) 0.200.20 1.270 ㎝(0.500 인치)1.270 cm (0.500 in) 1.339 ㎝(0.527 인치)1.339 cm (0.527 in) 2.065 ㎝(0.813 인치)2.065 cm (0.813 in) 2.088 ㎝(0.822 인치)2.088 cm (0.822 in)

상술된 바와 같이, 평활한 둥근 외주면을 갖는 3-공극 충전 섬유가 헤르난데즈 일동에 의하여 미국 특허 제5,458,97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 4를 수행하여 공극 중 하나에 식별 표시가 있는 3-공극 충전 섬유 및 식별 표시가 없는 3-공극 충전 섬유를 제조하였으며, 파이버필로서의 이들의 특성 및 성능을 비교하였다.As described above, 3-pore-filled fibers having a smooth roun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disclosed in US Pat. No. 5,458,971 by Hernández et al., Thus performing Example 4 below and thus having 3- with identification marks in one of the pores. Pore-filled fibers and 3-pore-filled fibers without identification marks were prepared and their properties and performance as fiberfills were compared.

도 9는 3 개의 공극을 갖는 식별 표시 필라멘트를 방사하는 방사구 모세관을 나타낸다. 상기 모세관은 축 또는 중심점 (C)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3 개의 세그먼트(51)로 분할되어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각각의 세그먼트(51)는 두 개의 슬롯, 즉 원주면의 아치형 슬롯(52) 및 방사상 슬롯(5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주면의 아치형 슬롯(52)의 내측 모서리의 중앙은 방사상 슬롯(53)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어서, 각각의 세그먼트가 일종의 "T-형"을 형성하며, T 자의 상부는 볼록하게 휘어져서 원호를 형성한다. 원주면의 아치형 슬롯(52)은 각기 원의 원주 둘레의 약 120°에 이른다. 방사상 슬롯(53)은 각기 그것의 내측 단부에서 끝이 뾰족해진다(54). 첨단(54)은 중심점(C)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원주면의 아치형 슬롯(52)은 각기 "탭 (tab)"이라고 지칭되는 간격에 의하여 이웃하는 슬롯과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탭 양측에서 이웃하는 원주면의 아치형 슬롯(52)의 단면(短面)은 서로 평행하며 이러한 탭을 양분하는 반경에 평행하다. 다양한 관점에서, 도 9에 도시된 모세관 모형은 세그먼트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혼합 후 방사함으로써 중공 필라멘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당 기술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모형이다. 그러나, 필라멘트의 중심에서 중합체의 혼합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즉 3 개의 공극이 연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방사구 모세관 모형에서는 방사상 슬롯(53)의 내측 말단에서 첨단(54)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의 도 9에서의 중요하고도 신규한 차이점 (선행 기술의 오리피스 모형과 구별되는 점)은 오리피스(60)의 형성이다. 오리피스(60)를 통하여 압출 성형되는 용융 중합체는 슬롯(51, 52 및 53)을 통하여 용융 혼합체의 혼합 후 압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필라멘트의 공극들 중 하나의 내측 벽에서 고화되고 혼합되어 이들 공극 중 하나를 부분적으로 충전하며 상기 필라멘트의 단면을 확대하여 관찰할 때 식별 표시로서 작용하는 돌기를 형성한다. 공극 내부의 식별 표시 돌기의 상대적인 위치는 이해될 바와 같이 필라멘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것이다. 또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미 3 개 이상의 공극을 함유하는 다공극 섬유에 대하여 설명되어온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자체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공극은 오리피스(6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상응하게 제공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9 shows a spinneret capillary emitting an identification mark filament having three void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apillary is divided into three segments 51 symmetrically arranged around an axis or center point (C). Each segment 51 consists of two slots, an circumferential arcuate slot 52 and a radial slot 53, the center of the inner edge of the circumferential arcuate slot 52 of the radial slot 53. Connected with the outer end, each segment forms a kind of "T-shap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 is convexly curved to form an arc. The arcuate slots 52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each extend about 120 °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The radial slots 53 are each pointed at their inner ends 54. The tip 54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C. FIG. The arcuate slots 52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neighboring slots by a spacing, each referred to as a "tab." The cross sections of the arcuate slots 52 of neighboring circumferential surfaces on each side of each tab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radius dividing these tabs. In various respects, the capillary model shown in FIG. 9 is a conventional model used in the art to provide hollow filaments by mixing and spinning through orifices of segments.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mixing of the polymer at the center of the filament, i.e. to ensure that the three voids are not connected, the tip 54 forms at the inner end of the radial slot 53 in the spinneret capillary model shown in FIG. do. An important and novel difference (distinct from the orifice model of the prior art) in FIG. 9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he formation of the orifice 60. The molten polymer extruded through the orifice 60 is solidified and mixed at the inner wall of one of the pores of the filament formed by extrusion after mixing of the molten mixture through the slots 51, 52 and 53, and among these pores. Partially filled one forms a projection which acts as an identification mark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filament is enlarged and observe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mark projections within the voids will vary along the length of the filament as will be appreciated. In addition, as can be appreciated and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orous fibers having three or more voids, the present invention can itself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one or more voids may be partially filled by correspondingly providing one or more orifices, such as orifice 60.

<실시예 4><Example 4>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모세관 오리피스 모형을 사용하여, 모세관 당 0.126 ㎏/시간 (0.278 파운드/시간)의 작업량으로 363 개의 모세관을 갖는 방사구를 통하여 1167 mpm (1277 ypm)에서, 291 내지 297 ℃의 중합체 온도에서 상대 점도 (LRV)가 20.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필라멘트를 방사하였다. 방사된 필라멘트를 합연하여 연신 인장된 65,000 데니어의 로프를 형성하였다. 상기 로프를 95 ℃에서 유지한 고온, 습식 분사 인장 영역 내에서 2.9 배의 인장율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장시켰다. 인장된 필라멘트를 2 가지의 상이한 정도로 외팔보 유형 (크기 2.5 ㎝ (1.0 인치))의 종래의 스터퍼 박스 권축기 내에서 권축시켜 두 가지의 권축 정도 (및 상응하는 두 가지의 벌크 특성 정도, 즉, 하기의 표 B에서 샘플 A 및 샘플 C에 대하여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톨리버에 의해 미국 특허 제3,772,13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카딩된 웹에 대하여 측정한 서포트 벌크)를 얻었고, 상기 권축된 로프를 절단하기 전에 180 ℃에서 오븐 내에서 연신시켰다. 약 0.15 중량%의 종래의 정전기 방지용 오버레이 피니쉬를 각 샘플에 도포하였다. 생성된 필라멘트 모두를 5.4 ㎝ (2 인치) 길이의 스테이플로 절단하였다.Using a capillary orifice model as shown in FIG. 9, 291-297 ° C. at 1167 mpm (1277 ypm) through a spinneret with 363 capillaries at a workload of 0.126 kg / hour (0.278 pounds / hour) per capillary The filaments were spun from poly (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relative viscosity (LRV) of 20.4 at the polymer temperature of. The spun filaments were joined to form a stretched rope of 65,000 denier. The rope was tensioned in a conventional manner using a 2.9-fold tensile rate in the hot, wet spray tensile zone maintained at 95 ° C. Tensioned filaments are crimped in two different degrees of cantilever type (1.0 inch) cantilever box crimps in conventional stuffer box crimps to provide two crimping degrees (and corresponding two bulk properties) As shown for Sample A and Sample C in Table B below, tollers obtained support bulk measured on a carded web, as described in US Pat. No. 3,772,137, and the crimped rope was cut Stretched in oven at 180 ° C. before About 0.15% by weight of a conventional antistatic overlay finish was applied to each sample. All of the resulting filaments were cut into staples of 2 inches long.

절단된 식별 표시 섬유의 단면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다. 상기 필라멘트는 각기 고상의 축방향 코어 및 3 개의 평행한 연속적인 공극을 함유하며, 이들 중 하나는 식별 표시로서 작용하는 공극의 내측면의 돌기를 함유한다. 이들 섬유는 약 18 %의 공극 함량을 가진다.Cross sections of the cut identification mark fibers are shown in FIGS. 10 and 11. The filaments each contain a solid axial core and three parallel continuous voids, one of which contains protrusions on the inner side of the void that serve as identification marks. These fibers have a pore content of about 18%.

여분의 오리피스(60)가 없는 모세관, 즉 상술한 미국 특허 제5,458,971호의 도 2에서 서술되고 예시된 바와 같은 모세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제조되며, 동일한 데니어인 3-공극 섬유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권축되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표 B의 샘플 B 및 샘플 D에 대하여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유사한 정도의 벌크 특성을 제공함)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용 섬유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 있으며, 이들의 단면은 이들이 섬유 식별 표시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 즉 도 10 및 도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식별 표시로서 작용하는 돌기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 섬유의 단면과 유사하다.The same denier 3-pore fibers (similar crimps) are made similarly except using a capillary tube with no orifice 60, i.e., a capillary tube a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Figure 2 of U.S. Patent No. 5,458,971 described above. To crimp, to provide a similar degree of bulk properties as shown for Sample B and Sample D in Table B as described above). These comparative fibers are shown in Figs. 12 and 13, and their cross sections show that they do not contain fiber identification marks, i.e. there are no protrusions that act as identification marks as shown in Figs. Is similar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ber.

샘플 A (식별 표시 섬유) 및 샘플 B (종래의 섬유)를 인치 당 약 4.5의 권축률 (CPI) 및 약 7의 권축 지수 (CHI)의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권축시켰다. 표 B는 이러한 샘플에 대하여 측정된 TBRM 데이터가 매우 유사하며, 따라서 이 데이터를 그래프 상에 도시할 때, 도 14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곡선 A 및 B가 서로 매우 유사함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샘플 C (식별 표시 섬유) 및 샘플 D (종래의 섬유)를 인치 당 약 7.5의 권축률 (CPI) 및 약 11의 유사한 권축 지수 (CHI)의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권축시켰으며, 유사한 TBRM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B 및 도 14 참조). 즉,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섬유를 유사한 권축 정도까지 (유사한 CPI 및 CHI) 권축시킬 때, 섬유의 벌크 특성 (TBRM에 의하여 측정될 때)은 이들의 단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없었으며, 이것은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확대된 사진에서 확인 가능하다.Sample A (identifying fibers) and Sample B (conventional fibers) were crimped to a similar degree of crimp of about 4.5 crimp rate (CPI) and about 7 crimp index (CHI). Table B shows that the TBRM data measured for this sample are very similar, so when plotting this data on the graph, curves A and B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4. Similarly, Sample C (identifying fibers) and Sample D (conventional fibers) were crimped to a similar degree of crimp of about 7.5 crimp rate (CPI) and about 11 similar crimp index (CHI) per inch, with similar TBRM The results are shown (see Table B and FIG. 14). That is, when these two types of fibers were crimped to a similar degree of crimp (similar CPI and CHI), the bulk properties of the fibers (as measured by TBRM) were visually indistinguishable,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cross section. This can be seen in the enlarged picture, as shown in FIGS. 10 to 13.

압력 (psi)Pressure (psi) 상기 압력 하에서의 높이 (㎝)Height under the pressure (cm) 샘플 ASample A 샘플 BSample B 샘플 CSample C 샘플 DSample D 0.0010.001 14.92 ㎝(5.873 인치)14.92 cm (5.873 in) 15.05 ㎝(5.925 인치)15.05 cm (5.925 in) 13.87 ㎝(5.46 인치)13.87 cm (5.46 in) 13.76 ㎝(5.419 인치)13.76 cm (5.419 in) 0.0050.005 11.21 ㎝(4.412 인치)11.21 cm (4.412 in) 11.22 ㎝(4.419 인치)11.22 cm (4.419 in) 9.988 ㎝(3.932 인치)9.988 cm (3.932 in) 10.18 ㎝(4.006 인치)10.18 cm (4.006 in) 0.0100.010 8.882 ㎝(3.497 인치)8.882 cm (3.497 in) 8.821 ㎝(3.473 인치)8.821 cm (3.473 in) 8.148 ㎝(3.208 인치)8.148 cm (3.208 in) 8.258 ㎝(3.251 인치)8.258 cm (3.251 in) 0.0400.040 4.303 ㎝(1.694 인치)4.303 cm (1.694 in) 4.173 ㎝(1.643 인치)4.173 cm (1.643 in) 4.958 ㎝(1.952 인치)4.958 cm (1.952 in) 5.009 ㎝(1.972 인치)5.009 cm (1.972 in) 0.200.20 1.359 ㎝(0.535 인치)1.359 cm (0.535 in) 1.397 ㎝(0.550 인치)1.397 cm (0.550 in) 2.187 ㎝(0.861 인치)2.187 cm (0.861 in) 2.187 ㎝(0.861 인치)2.187 cm (0.861 in)

상기 모든 비교용 테스트에서, 본 발명의 식별 표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이버필의 벌크 특성을 모든 공극이 뚜렷하다는 것 (즉, 식별 표시가 없음)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단면의 섬유로 이루어진 파이버필의 벌크 특성과 비교하였으며, 비교된 섬유 세트 각각을 동일한 조건하에서 (동일한 속도, 온도 프로파일 및 압력을 사용하여) 동일한 스터퍼 박스 기계 내에서 권축시켰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권축된 4-공극 섬유의 확대 사진이며, 더 많은 섬유를 관찰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사진이 이들 섬유가 이러한 스터퍼 박스를 사용하여 종래와 같이 권축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4 및 도 5의 (확대된) 사진에서의 단면과 어느 정도 유사한 약간의 4-공극 단면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권축된 3-공극 섬유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5에서의 것과 유사한 (확대) 사진이다.In all of the above comparative tests, the bulk properties of the fiberfill made of the identification mark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bulk properties of the fiberfill made of fibers of similar cross-section except that all voids are distinct (ie no identification mark). And each of the compared fiber sets were crimped in the same stuffer box machine (using the same speed, temperature profile and pressure) under the same conditions. FIG. 15 is an enlarged picture of a four-pore fiber crimp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re more fibers can be observed, thus excluding these pictures indicating that these fibers were conventionally crimped using this stuffer box. 1, 4 and 5 show some 4-porous cross sections somewhat similar to the cross sections in the (enlarged) photographs. Similarly, FIG. 16 is a (magnified) photograph similar to that in FIG. 15 except that it is a 3-pore fiber crimp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공극 섬유는 배트 및 파이버볼 (때로는 클러스터 (cluster)라고 불림)과 같은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된 문헌, 예를 들면 레반 (LeVan)에 의한 미국 특허 제 3,510,888호 및 4,999,232호 및 마르쿠스 (Marcus)에 의한 미국 특허 제4,628,531호, 4,783,364호, 4,794,038호, 4,818,599호, 4,940,502호 및 5,169,580호 및 벨쳐 (Belcher)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088,140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개, 누빈 의복, 이불, 쿠션 및 침구 재료 및 가구 재료로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파이버필이 상기 공개된 바와 같은 절단 섬유로 이루어져 왔었으나, 예를 들면 왓슨 (Watson)에 의한 미국 특허 제3,952,134호 및 동 3,328,85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필로서 등록이 취소된 연속 필라멘트의 토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상업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등록이 취소된 연속 필라멘트의 토우 형태의 파이버필에 적용하는 것도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며, 본 발명은 절단 섬유 또는 이러한 절단 섬유로 이루어지는 파이버필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로, 당업계에서 이해될 바와 같이, 충전재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섬유를 혼합하거나 블렌딩하는 것은 통상적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필이 본질적으로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별 표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식별 표시 섬유가 기타의 섬유와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므로, 파이버필 충전재가 이러한 식별 표시 섬유인 그의 섬유 모두 또는 일부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이것에 관하여 본 발명과 동시에 출원된 본 발명자의 계류중인 출원 제_호 (DP-4711-D)를 참고하고, 이의 공개는 특별히 본 명세서에 참고용으로 포함되며, 이 문헌에서는 중공 충전 섬유 (이들의 섬유 길이 전체를 통해 연속적인 하나의 공극으로 이루어짐) 및 이러한 충전 섬유로 이루어지는 파이버필을 식별하고 구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당 업자들이 잘 이해하는 바와 같이, 파이버필은 파이버필 충전재, 또는 더 짧은 파이버필 재료를 위하여 짧게되며, 베개, 쿠션 및 침낭, 매트리스 패드, 누비 이불 (quilt), 이불, 깃털 이불 (duvet) 등과 같은 기타의 침구 재료를 포함하여 기타의 가구 재료와 같은 물품 및 파카 및 누비거나 또는 누비지 않은 의류의 단열 물품과 같은 의류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피가 큰 섬유 덩어리를 나타낸다. 권축은 중요한 특성이며, 파이버필에 본질적으로 요구되는 부피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섬유는 예를 들면 함 (Halm)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112,684호에 서술된 바와 같이, 통상 스터퍼 박스 권축기 내에서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권축시킨다. 또한, 권축은 비대칭적인 급냉과 같은 기타의 수단에 의하여, 또는 "나선형 권축"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마르쿠스에 의한 미국 특허 제4,618,531호 및 동 제4,794,038호 및 여기에서 언급되는 문헌들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성분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이러한 모든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The porous microporous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cessed into articles such as bats and fiberballs (sometimes called clusters), and US patents 3,510,888 by LeVan, for example, in the documents specifically mentioned herein. And various patents, including US Pat. Nos. 4,628,531, 4,783,364, 4,794,038, 4,818,599, 4,940,502 and 5,169,580 and Belcher et al., US Pat. As can be further processed into pillows, quilted garments, duvets, cushions and bedding materials and furniture materials. Up to now, most fiberfills have been made of chopped fibers as disclosed above, but have been deregistered as fiberfills, as disclosed, for example, in US Pat. Nos. 3,952,134 and 3,328,850 to Watson. There is increasing commercial interest in using tow of continuous filaments. Accordingly, it is also contemplated herein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toe-shaped fiberfill in the form of unregistered continuous fila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hopped fibers or fiberfills made of such chopped fibers. In addition, as will be appreciated in the art, it has been common to mix or blend fibers for use as filler. Thus, it is contemplated that the fiberf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essentially of the identification marking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such identification marking fibers may be mixed with other fibers, so that the fiberfill filler is such an identification marking. It can be identified by all or some of its fibers, which are fibers. With respect to this, reference is made to the pending patent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or, filed simultaneously with the present invention (DP-4711-D), the disclosure of which is specificall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which the hollow filled fibers (these Consisting of one continuous void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iber) and the fiberfill consisting of such filled fiber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fiberfill is shortened for fiberfill fillers, or shorter fiberfill materials, including pillows, cushions and sleeping bags, mattress pads, quilted duvets, duvets, etc. Bulky fiber agglomerates used to fill articles such as other furniture materials and clothing such as parkas and insulation articles of quilted or quilted clothing, including other bedding materials. Crimping is an important property and provides the inherently required volume for the fiberfill. Typically, the fibers are crimped by a mechanical method, usually in a stuffer box crimp, as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5,112,684 to Halm et al. Crimping is also recorded by other means, such as asymmetrical quenching, or in US Pat. It can be formed using a bicomponent filament as show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l understand this well.

Claims (7)

분할된 방사 모세관 오리피스를 통하여 합성 중합체를 혼합 후 용융-방사시켜 생성되는 새로 방사된 용융 스트림이 혼합되어 3 개 이상의 공극을 갖는 연속 필라멘트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급냉시켜 응고시키는 단계, 및 필요에 따라, 생성된 고상 필라멘트를 연신하는 단계, 및(또는) 추가로 처리하는 단계, 및(또는) 스테이플 섬유로 전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합성 중합체의 다공극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공극 필라멘트의 하나 이상의 공극 각각의 내측면 상에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은 돌기를 각기 형성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별도의 작은 오리피스를 통하여 상기 용융 중합체를 또한 소량으로 방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ixing the synthetic polymer through the divided spin capillary orifices and then melt-spinning the resulting newly spun melt stream to mix to form a continuous filament having three or more pores, and quenching the filaments to solidify; And optionally, stretching the resulting solid filament, and / or further treating, and / or converting it into staple fibers, the method of producing a porous porous filament of a synthetic polymer. And sputtering said molten polymer in small quantities through one or more separate small orifices each disposed to form one or more small protrusions visually identifiable on each inner side of each of the one or more voids of the filam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ynthetic polymer is polyes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중합체가 또한 폴리에스테르인 방법.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lten polymer is also polyester. 합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섬유 길이 전체를 통해 3 개 이상의 연속적인 공극 및 공극(들)의 내측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공극으로 돌출하는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을 나타내는 다공극 단면을 갖는 다공극 섬유로 된 물품.An article of multiporous fiber consisting of a synthetic polymer and having a porous pore cross-section representing a characteristic polymeric material protruding into at least three pores and at least one void from the inner side of the void (s) throughout the fiber length. 합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섬유 길이 전체를 통해 3 개 이상의 연속적인 공극을 갖는 합성 중합체의 복원성 권축 다공극 충전 섬유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수 및 소정 형상의 공극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공극(들)으로 돌출하는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을 나타내는 다공극 단면을 갖는 상기 전체 또는 소정의 비율의 섬유에 의하여 식별되는 파이버필 충전재를 포함하는 물품.Composed of synthetic polymers, restoring crimped porous pore-filled fibers of a synthetic polymer having three or more continuous pores throughout the fiber length, and from said inner side of the predetermined number and shape of pores to said void (s) An article comprising a fiberfill filler identified by said total or predetermined proportion of fibers having a porous pore cross-section representing a protruding characteristic polymeric material.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인 물품.6. The article of claim 4, wherein the synthetic polymer is polyester.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이고, 상기 특징적인 중합체 물질이 또한 폴리에스테르인 물품.6. The article of claim 4, wherein the synthetic polymer is polyester and the characteristic polymeric material is also polyester.
KR1019980702680A 1995-10-12 1995-10-12 Improved Fiber Identification Method KR1999006419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5/012799 WO1997013895A1 (en) 1993-02-16 1995-10-12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ber identif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194A true KR19990064194A (en) 1999-07-26

Family

ID=6598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680A KR19990064194A (en) 1995-10-12 1995-10-12 Improved Fiber Identific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419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3811A (en) Pillows and other filled articles and in their filling materials
EP0929700B1 (en) Polyester fiber
KR100785217B1 (en) Fiberfill Products Compris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Staple Fibers
US5230957A (en) Hollow filament cross-sections containing four continuous voids
EP0836655B1 (en) Improvements in polyester filaments and tows
EP0848766B1 (en) Polyester tows
MXPA97002077A (en) Improvements in pillows and other articles with filling and in their rell materials
US5723215A (en) Bicomponent polyester fibers
US5484650A (en) Hollow fiber identification
US5540994A (en) Fiber identification
US5540993A (en) Relating to fiber identification
CA2388867A1 (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tetrachannel cross-section staple fiber
US5882794A (en) Synthetic fiber cross-section
US5527611A (en) Relating to hollow fiber identification
KR19990064194A (en) Improved Fiber Identification Method
KR910008667B1 (en) Polyester fiberfill
JPH11513447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ed to fiber identification
KR19990064195A (en) Improved Hollow Fiber Identification Method
TW300255B (en)
TW294731B (en)
CA2233913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ollow fiber identification
CA2233945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ber identification
MXPA98002820A (en) Improvement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hue fibers
CN1200776A (en) Improvement in and relating to hollow fiber identification
CN1200777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ber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