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553A - 펩티드 유도체 - Google Patents

펩티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553A
KR19990044553A KR1019980701802A KR19980701802A KR19990044553A KR 19990044553 A KR19990044553 A KR 19990044553A KR 1019980701802 A KR1019980701802 A KR 1019980701802A KR 19980701802 A KR19980701802 A KR 19980701802A KR 19990044553 A KR19990044553 A KR 1999004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group
hydrogen atom
arg
sa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노부 사쿠라다
토루 오카야마
에리코 누쿠이
가즈야 혼고
다다시 오가와
도모코 혼고
사토코 다케시마
노부히로 다케
마사하루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요이치로 다케다
후지 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다다시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이치로 다케다, 후지 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다다시,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요이치로 다케다
Publication of KR1999004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55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0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81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romatic or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2Linear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5/02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containing the structure -NH-X-X-C(=0)-, X being an optionally substituted carbon atom or a heteroatom, e.g. beta-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Abstract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Y-L-Tyr-Q-NR1-CH(R2)-CO-X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C1-6알킬기;
R2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벤질기;
Q는 D- 또는 L-Arg;
Y는 L-Tyr의 N-말단 아미노기의 2개의 수소원자 또는 이들이 치환된 치 환기(이 치환기는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기를 가질 수 있는 C1-6알킬기 등);
X는 N-메틸-β-알라닌 등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은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어 암동통등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펩티드 유도체
몰핀 등의 오피오이드가 결합하는 오피오이드 수용체는 1970년대 전반에 그 존재가 증명되었다. 오피오이드 수용체는, 현재 μ, δ 및 κ의 3종류로 대별되어 있다. 몰핀은 주로 μ수용체에 아고니스트로 작용하며 진통, 장관운동억제, 호흡억제 등의 약리학적 효과를 발현한다.
1975년 이후,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결합하는 내인성의 몰핀형 물질이 연달아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이들 물질은 모두 펩티드이며, 오피오이드펩티드로 총칭되고 있다. 오피오이드펩티드의 약리학적 효과는, 기본적으로는 몰핀과 같다고 여겨지며, 원래 생체내에 존재하는 물질이므로 몰핀 이상의 안정성을 가지는 약제가 될 가능성이 예상된다. 그러나, 천연의 오피오이드펩티드로는 체내 동태면에서의 문제도 있어, 아직 의약품으로서 사용은 되고 있지 않다.
1980년대에는 D-체의 알라닌을 함유하는 델몰핀이 개구리의 피부로부터 분리되었다. 델몰핀의 진통효과는 뇌투여에서 몰핀의 약 1000배 강력하며, 체내에서 비교적 안정한 것이 판명되었다. 그 후, D-체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합성 오피오이드펩티드가 만들어졌다. 특히, κ 수용체 선택성이 높은 합성 오피오이드펩티드는 마약성이 없는 진통약으로 기대되어 임상 시험도 실시되고 있으나, 효과, κ효능제(agonist)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부작용, 및 채산성의 면에서 의약품으로서의 가능성은 의문시되고 있다.
또한, 이들의 합성 오피오이드펩티드는 경구제로서의 이용이 곤란하며, 예를 들면, 근래 암 동통 치료약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황산 몰핀의 서방성 경구제인 MS콘틴의 대체약으로는 될 수 없다. 한편, MS콘틴은 하루 투여량이 그램 단위까지 증가하는 일도 있어, 그 복용에 곤란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히스타민 유리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가려움 등의 부작용이 발현하여, 투여를 중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몰핀 이상의 안정성 및 약효를 가지는 대체약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오피오이드 수용체 등에 대한 작용에 개입하여, 진통 등의 약리작용을 발휘하는 펩티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뛰어난 진통효과 및 경구 흡수성을 가지는 오피오이드펩티드 유도체를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L-Tyr-(L또는D)-Arg-Phe를 기본 골격으로 하여, N말단에 아미디노기를 가지는 올리고펩티드 유도체 및 그의 염이 이러한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들의 발명에 대하여 특허 출원하였다(평성 6년 특허원 제40989호 및 평성 7년 특허원 제49894호). 본 발명자들은 더욱 연구를 계속한 결과, N말단의 아미디노 부분을 수식한 상기 올리고펩티드 유도체가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펩티드 유도체는 하기의 일반식 I:
Y-L-Tyr-Q-NR1-CH(CH2C6H5)-CO-X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화합물 또는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의약 및 전기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통성의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의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전기 화합물 또는 염의 용도, 및 전기 화합물 및 그의 염의 유효량을 포유류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통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상기 식 중에서 치환기에 대하여 서술하면,
Q는 D-Arg(D-알기닌잔기) 또는 L-Arg(L-알기닌잔기)를 의미하며;
R1은 수소 원자 또는 C1-6(탄소수1∼6개의)알킬기를 의미한다.
이들 중 Q가 D-Arg이며, R1이 수소 원자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C1-6알킬기는 직쇄 알킬기, 분지쇄 알킬기, 고리형상 알킬기, 또는 고리형상 알킬기가 치환한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용한다. C1-6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시클로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또는 시클로부틸기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R2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벤질기를 나타낸다. 벤질기가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1개 내지 2개 이상의 치환기를 임의의 위치에 가질 수 있다. 2 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 다. 페닐 고리상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면, C1-6알킬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 히드록실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무치환 벤질기가 바람직하다.
Y는 L-Tyr의 N-말단 아미노기의 2개의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이들 2 개의 수소원자중의 1개 또는 2개의 수소원자가 치환된 치환기를 나타낸 다. 이 치환기는, 이하의 군:
아미노기를 가질 수 있는 C1-6알킬기, 카복실기를 가질 수 있 는 C1-6알킬기, 아미노기를 가질 수 있는 C1-6알킬카보닐기, 알킬기를 가질 수 있는 술포닐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피리미딜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이미다졸리닐기, 및 하 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HN=C(R3)-
(상기 식에서,
R3은 수소원자, C1-6알킬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 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히드록시아미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히드라지노기 를 나타낸다)
2개의 수소원자가 상기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경우, 그들의 치환기는 각각 상기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발되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Y가 나타내는 C1-6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등이 적합하다. Y가 나타내는 C1-6알킬기가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기를 가지는 경우의 예로는, H2N-CH2-, H2N-(CH2)2-, HOOC-CH2-, HOOC-(CH2)2-등의 기를 들 수가 있으며, C1-6알킬카보닐기가 아미노기를 가지는 경우의 예로는, 예를 들면, H2N-CH2-CO-, H2N-(CH2)2-CO-등을 들 수가 있다. C1-6알킬을 가지는 술포닐기의 예로는 예를 들면, CH3SO2-등의 기를 들 수가 있다.
Y가 나타내는 피리미딜기 및 이미다졸리닐기로는 각각 2-피리미딜기 및 2-이 미다졸린-2-yl기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피리미딜기 또는 이미다졸리닐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피리미딜기 또는 이미다졸리닐기가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치환기로서 예를 들면, C1-6알킬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기가 2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치환 피리미딜기로는, 예를 들면, 4, 6-디메틸-2-피리미딜기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치환 이미다졸리닐기로는 4-메틸-2-이미다졸린-2-yl기 등을 들 수가 있다.
R3은 수소원자, C1-6알킬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히드록시아미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히드라지노를 나타낸다. R3이 나타내는 C1-6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n-프로 필기등이 적합하며, 메틸기가 특히 적합하다. 페닐기, 히드록시아미노 기(HO-NH-), 또는 히드라지노기(H2N-NH-)는 무치환의 것을 적합하게 이 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1개 또는 2개이상의 C1-6알킬기로부터 치환 된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Y가 2개의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Y중 1개가 수소원자이며 다른 1개가 상기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Y가 2개 모두 상기 치환기, 예를 들면 동일 또는 다른 C1-6알킬기인 경우도 적합하다. Y가 나타내는 2개의 치환기가 모두 메틸기인 화합물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이다.
X는 -OR4, N(R5)(R6), 또는 -NR7-C(R8)(R9)(R10)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R4는 수소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내며, R5는 수소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낸다. R6은 C1-6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술폰산 치환 C1-6알킬기를 나타낸다. 수산기 또는 술폰산기는 알킬기의 어떠한 위치로 치환하여도 좋으나, 말단 치환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R5및 R6은 모두 R5및 R6이 치환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함질소 포화복소환기를 나타낼 수 있고, 이 복소환은 2개이상의 질소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R5)(R6)으로서 1-피페라지닐기, 1-피로리디닐기, 또는 1-피페리디닐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X가 NR7-C(R8)(R9)(R10)을 나타내는 경우, R7은 수소원자, C1-6알킬기, 또는 페닐기 등의 아릴기가 치환한 C1-6알킬기(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르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R8은 수소원자; 카복실기;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등의 C1-6알콕시기가 치환한 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카바모일기; 카복실기가 치환한 C1-6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카바모일기가 치환한 C1-6알킬기; 또는 C1-6알콕시기가 치환한 카보닐기를 가지는 C1-6알킬기를 나타낸다. R9는 수소원자; C1-6알킬기; 아미노C1-6알킬기; 아미디노기가 치환한 C1-6알킬기; 구아니디노기가 치환한 C1-6알킬기; 히드록시C1-6알킬기; 카복실기가 치환한 C1-6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카바모일기가 치환한 C1-6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R7및 R9가 모두 R7이 치환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고리상으로 카복실기를 가지는 5 또는 6원의 함질소 포화복소환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소환으로는, 2-카복시-1-피로리디닐기(-Pro-OH)나 3-카복시-1-피페리디닐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예를 들면, R8이 카복시메틸기 또는 카바모일메틸기이며, R9가 수소원자인 조합이 바람직하다. R10은 수소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의 각 치환기에 있어서,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알카노일기는 직쇄 또는 분지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상기의 일반식 I에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L-티로신 잔기 및 Q가 나타내는 D-Arg 또는 L-Arg잔기에서 유래하는 2개의 부제탄소 외에, Q에 결합하는 페닐알라닌잔기에 유래하는 부제탄소, R8및 R9가 치환하는 부제탄소(단, R8및 R9가 동시에 동일의 치환기를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한다), 및 상기의 각 치환기 및 Y에 임의로 존재하는 1 이상의 부제탄소를 가진다. L-Tyr, D-Arg 및 L-Arg잔기에서 유래하는 것 이외의 부제탄소는 R- 또는 S-의 어느 배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식 I에서 나타내는 화합물에는, 상기의 식으로 나타내는 임의의 광학 활성체 또는 라세미체, 디아스테레오이성체 또는 그들의 임의의 혼합물도 모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염산염, 초산염, 또는 파라톨루엔술폰산 등의 산부가염이나, 암모늄염 또는 유기아민염 등의 염기부가염이 포함된다. 더욱이, 상기의 일반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외에 상기 화합물의 2량체 내지 다량체인 화합물 및 이들 화합물의 C-말단과 N-말단이 결합한 고리형상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몰핀을 능가하는 진통효과를 가진다. 진통작용에 동반하는 히스타민 유리작용이나 심박수의 저하작용이 몰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하고, 몰핀과의 교차내성의 정도도 낮으므로, 암 동통치료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의약이 제공된다. 투여경로로는 정맥내 투여, 피하투여, 경구투여 등을 들 수 있으나, 경비흡수를 포함하는 점막흡수제제 및 경피흡수제제도 유용성이 기대된다. 투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피하 투여의 경우에는 1회 투여량을 0.1∼10mg으로 하고,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1회 투여량을 1∼100mg으로 하여, 하루에 2∼3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 유도체는 펩티드 합성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고상법 및 액상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아미노기 등의 보호기 및 축합반응의 축합제 등은 뛰어난 것이 여러가지 알려져 있으나, 이하의 실시예를 참고로 또는, 예를 들면: 스즈키 유이치편「단백질 공학-기초와 응용」마루제니주식회사(1992) 및 전기 문헌에 인용된 문헌(M. Bondanszky, et al., “Peptide Synthesis”, John Wiley & Sons, N.Y., 1976; 및 J.M. Stewart and D.J. Young,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W.H. Freeman and Co., San Francisco, 1969 등)을 참조하여 적당히 선택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상법으로는 시판의 각종 펩티드 합성장치, 예를 들면, 퍼킨 엘머(Perkin Elmer, Applied Biosystems(구)사, 일본국)의 모델 430A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합성에 사용하는 수지, 시약 등은 시판품 등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그들의 예는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참조하거나, 본 실시예의 방법을 수식·변경함으로써, 일반식 I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목적하는 펩티드 유도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미노산기의 의미는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과 같다. D-체와 L-체가 존재하는 아미노산이 언급되고 있는 경우, 특히 D-라고 표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아미노산은 L-아미노산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약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특별히 나타내지 않은 경우에도 같은 약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Z: 벤질옥시카보닐기
OTce: 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기
Boc: t-부톡시카보닐기
WSC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
TosOH: 파라톨루엔술폰산
OBzl: 벤질옥시기
Me β Ala 또는 βMeAla: N-메틸-β-알라닌
H-β Ala-ol: NH2CH2CH2CH2OH
Fmoc: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
Pmc: 2,2,5,7,8-펜타메틸크로만-6-술포닐
t-Bu: 3급부틸
NMP: N-메틸피롤리돈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술폭시드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EA: 트리에틸아민
DCM: 디클로로메탄
DMAP: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CI: N,N-디이소프로필카복시이미드
HOBt: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EDC: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복시이미드
HBTU: 2-(1H-벤조트리아졸-1-yl)-1,1,3,3-테트라메틸우로니움·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PyBrop: 브로모트리스(피로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Alko수지: p-알콕시벤질알콜수지〔4-히드록시메틸페녹시메틸코폴리스틸렌 1% 디비닐벤젠수지, J. Am. Chem. Soc., 95, 1328(1974)〕와타나베 가가쿠 고교
Fmoc-NH-SAL수지: 4-(2′,4′-디메톡시페닐-9-플루오레닐메톡시카보닐아미노 메틸)페녹시수지, 와타나베 가가쿠 고교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Rfa: n-부탄올: 초산: 정제수=4: 1: 5를 혼합하여, 그 상층을 전개용매로서 이용하였다.
Rfb: n-부탄올: 초산: 정제수: 피리딘=15: 3: 10: 12를 전개용매로서 이용하 였다.
박층판: 실리카겔(Merck F254)
(A) 원료화합물의 제조
(1)H-Tyr-D-Arg-Phe-β-Ala-OH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Applied Biosystems(ABI))사의 모델 430A펩티드 합성장치를 이용하여, 고상법(Original Autoprogram for the Fmoc/NMP method)에 의해 하기와 같이 합성하였다.
Fmoc-β-Ala-Alko수지 0.25mmol/675mg을 NMP로 1회 세척하고, 20% 피페리딘 함유 NMP로 4분간, 다시 같은 방법으로 20% 피페리딘 함유 NMP로 16분간 처리하였다. NMP로 5회 세척한 후, 61분간 Fmoc-Phe-OH와 반응시켰다. 이어서, NMP로 4회 세척하고, 4회째의 세척액으로부터 수지를 회수하여, 미반응의 아미노기는 무수초산과 반응시켰다. 이상의 1사이클을 120분에 행하고, 같은 조작을 2사이클째는 Fmoc-Phe-OH대신 Fmoc-D-Arg(Pmc)-OH를 이용하고, 3사이클째는 Fmoc-Tyr(t-Bu)-OH를 이용하여 반복하였다. 측쇄 보호기는, D-Arg에 대하여 Pmc를, Tyr에 대해서는 t-Bu를 이용하였다.
상기 조작에 의해 수득한 수지 500mg을 페놀(결정)0.75g, 에탄디티올0.25ml, 티오아니솔 0.50ml, 물 0.50ml 및 TFA 10ml의 혼합액 중에서 실온에서 3시간 교반처리하고, 수지로에서 펩티드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3㎛의 필터(ADVANTEC-Polyflon필터)로 여과하고, 여과액에 냉디에틸에테르 200ml를 가하여, 발생한 침전을 3㎛의 필터(ADVANTEC-Polyflon필터)로 여과하여 취하였다. 필터상의 침전은 2N 초산 10∼20ml에 용해하고, 동결건조하여 식:
H-Tyr-D-Arg-Phe-β-Ala-OH의 조펩티드를 얻었다.
(2)H-Tyr-D-Arg-Phe-NHCH2CH2CONH2
합성개시시에 Fmoc-NH-SAL수지 0.25mmol/385mg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1)과 같은 조작에 의해 얻었다.
(3)H-Tyr-D-Arg-Phe-β-MeAla-OH
Fmoc/NMP법에 의한 고상법으로 하기와 같이 합성하였다. 여과에는 유리필터를 이용하였다. Alko수지 0.500g을 DMF 6ml로 팽윤시킨 후, Fmoc-N-메틸-β-알라닌(Fmoc-β-MeAla-OH) 0.228g 및 피리딘 0.093ml를 수지에 가하여, 1분간 진탕하고, 이어서, 염화 2, 6-디클로로벤조일 0.147g을 가하여 24시간 진탕하였다. 생성한 Fmoc-β-MeAla-Alko수지를 6ml의 DMF로 3회, 이어서, 6ml의 메탄올로 3회, 다시 6ml의 DCM으로 3회 세척하고, 미반응의 히드록시메틸기는 DCM 6ml 중에서 염화 벤조일 0.0891ml 및 피리딘 0.0847ml를 가하여, 1시간 진탕하여 벤조일화 하였다. 다시, 아미노산 수지를 6ml의 DCM으로 3회, 6ml의 DMF로 3회, 6ml의 메탄올로 3회 순서대로 세척하고, 수산화칼륨 데시케이터 중에서 진공건조하였다.
Fmoc-β-MeAla-Alko 수지를 12ml의 DMF로 3회, 이어서 20% 피페리딘을 포함하는 DMF 12ml로 3회, 다시, 12ml의 DMF로 6회 처리함으로서 Fmoc기를 제거하여, Fmoc-Phe-OH 0.262g, PyBrop(와타나베 가가쿠고교) 0.315g, NMP 6ml, DIPEA 0.273ml를 가하여, 24시간 진탕하고, Fmoc-Phe-β-MeAla-Alko수지를 생성시켰다. 여과하여, 6ml의 NMP에 의해 세척 후, 미반응의 아미노기는 1-아세틸이미다졸 0.248g, DIPEA 0.0784ml를 포함하는 DMF 6ml 중에서 1시간 처리하고 캡을 하였다. 이어서, 수득한 수지는 6ml의 NMP로 세척하였다.
Fmoc-Phe-β-MeAla-Alko 수지에서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Fmoc기를 제거하고, Fmoc-D-Arg(Pmc)-OH 0.557g, HOBt 0.121g, HBTu 0.299g, DIPEA 0.274ml를 가하여, 1시간 진탕하고 Fmoc-D-Arg(Pmc)-Phe-β-MeAla-Alko 수지를 생성시켰다. 이어서, 전항과 같이 여과, 세척 후, 미반응의 아미노기를 캡하였다.
Fmoc-D-Arg(Pmc)-Phe-β-MeAla-Alko 수지에서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Fmoc기를 제거하고, Fmoc-Tyr(t-Bu)-OH 0.310g, HOBt 0.103g, HBTu 0.256g, DIPEA 0.235ml를 가하여, 1시간 진탕하고 Fmoc-Tyr(t-Bu)-D-Arg(Pmc)-Phe-β-MeAla-Alko 수지를 생성시켰다. 이어서, 전항과 같이 여과, 세척 후, 미반응의 아미노기를 캡하였다. 상기(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지로부터 펩티드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4) H-Tyr-D-Arg-Phe-β-EtAla-OH
Fmoc/NMP법에 의한 고상법으로 하기와 같이 합성하였다. 여과에는 유리필터를 이용하였다. Alko수지 1.000g을 NMP 12ml로 팽윤시킨 후, Fmoc-N-에틸-β-알라닌(Fmoc-β-EtAla-OH) 0.475g 및 DMAP 0.017g을 가하여 1분간 진탕하고, 이어서 DIPCI 0.177g을 첨가하여 24시간 진탕하였다. 생성한 Fmoc-β-EtAla-Alko수지를 NMP 12ml로 3회, 이어서, 12ml의 메탄올로 3회, 다시 DCM 12ml로 3회 세척하고, 미반응의 히드록시메틸기는 DCM 12ml 중에서 염화벤조일 0.178ml 및 피리딘 0.170ml를 가하여, 1시간 진탕하고 벤조일화 하였다. 다시, 아미노산 수지를 12ml의 DCM으로 3회, 12ml의 DMF로 3회, 12ml의 메탄올로 3회 순서대로 세척하고, 수산화칼륨 데시케이터 중에서 진공건조하였다.
Fmoc-β-EtAla-Alko수지를 20ml의 DMF로 3회, 이어서 20% 피페리딘을 포함하는 DMF 12ml로 3회, 다시 12ml의 DMF로 6회 처리함으로서 Fmoc기를 제거하고, Fmoc-Phe-OH 0.387g, PyBrop 0.466g, NMP 12ml 및 DIPEA 0.523ml를 가하여, 24시간 진탕하고, Fmoc-Phe-β-EtAla-Alko수지를 생성시켰다. 여과후, 12ml의 NMP로 세척 후, 미반응의 아미노기는 1-아세틸이미다졸 0.551g, DIPEA 0.174ml를 포함하는 DMF 12ml 중에서 1시간 처리하고 캡을 하였다. 이어서, 수득한 수지를 다시 12ml의 NMP로 세척하였다.
Fmoc-β-EtAla-Alko수지에서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Fmoc기를 제거하였다. 수지에 Fmoc-D-Arg(Pmc)-OH 0.707g, HOBt 0.153g, HBTu 0.379g, DIPEA 0.348ml를 가하여, 1시간 진탕하고 Fmoc-D-Arg(Pmc)-Phe-β-EtAla-Alko수지를 생성시켰다. 전항과 같이 여과, 세척 후, 미반응의 아미노기를 캡하였다.
Fmoc-D-Arg(Pmc)-Phe-β-EtAla-Alko수지에서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Fmoc기를 제거하고, Fmoc-Tyr(t-Bu)-OH 0.460g, HOBt 0.153g, HBTu 0.399g, DIPEA 0.348ml를 가하여, 1시간 진탕하고 Fmoc-Tyr(t-Bu)-D-Arg(Pmc)-Phe-β-EtAla-Alko수지를 생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여과, 세척 후, 미반응의 아미노기를 캡하였다. 상기(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지로부터 펩티드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5)H-Tyr(Bzl)-D-Arg(Z2)-Phe-OTce
출발 원료인 Z-Phe-OTce 245g을 25% 취화수소-초산 900ml로 처리하여 Z기를 제거한 후, 빙욕하에서 CH2Cl2100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Boc-D-Arg(Z2)-OH 288g, HOBt 85g을 가하여, TEA 77ml로 중화한 후, EDC·HCL 121g에 의해 축합하여 Boc-D-Arg(Z2)-Phe-OTce로 하였다 이어서, Boc-D-Arg(Z2)-Phe-OTce 241g을 4N HCl-초산에틸에스테르 1000ml로 처리하고 Boc기를 제거하여, 빙욕하에서 DMF 130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Boc-Tyr(Bzl)-OH 108g, HOBt 46g을 가하여, TEA 42ml로 중화한 후, EDC·HCL 65g에 의해 축합하고, 다음식에서 나타내는 보호 펩티드: Boc-Tyr(Bzl)-D-Arg(Z2)-Phe-OTce를 얻었다. Boc-Tyr(Bzl)-D-Arg(Z2)-Phe-OTce 48g을 4N HCl-초산에틸에스테르 250ml로 처리하고, Boc기를 제거하였다.
(6)H-Tyr(Bzl)-D-Arg(Z2)-MePhe-MeβAla-OBzl
TosOH·MeβAla-OBzl을 출발 원료로 하여, C-말단으로부터 순서대로 액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Boc-MePhe-OH와 TosOH·MeβAla-OBzl을 EDC-HOBt법에 의해 축합하고, Boc-MePhe-MeβAla-OBzl을 얻어, Boc-MePhe-MeβAla-OBzl로부터 4N HCl-초산에틸에스테르를 이용하여 Boc기를 제거 후, Boc-D-Arg(Z2)-OH와 EDC-HOBt법에 의해 축합하여, Boc-D-Arg(Z2)-MePhe-MeβAla-OBzl로 하였다. 이어서, Boc-D-Arg(Z2)-MePhe-MeβAla-OBzl로부터 4N HCl-초산에틸에스테르를 이용하여 Boc기를 제거하고, Boc-Tyr(Bzl)-OH와 EDC-HOBt법에 의해 축합하여, 보호 펩티드: Boc-Tyr(Bzl)-D-Arg(Z2)-MePhe-MeβAla-OBzl를 얻어, 4N HCl-초산에틸에스테르 250ml로 처리하여, Boc기를 제거하였다.
(B)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
N-메틸-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Phe-OH와 TosOH·MeβAla-OBzl을 EDC-HOBt법에 의해 축합하여, Boc-Phe-MeβAla-OBzl을 얻어, Boc-Phe-MeβAla-OBzl에 의해 4N HCl-초산에틸에스테르를 이용하여 Boc기를 제거하고, Boc-D-Arg(Z2)-OH와 EDC-HOBt법에 의해 축합하여, Boc-D-Arg(Z2)-Phe-MeβAla-OBzl로 하였다.
Boc-D-Arg(Z2)-Phe-MeβAla-OBzl(4.76g, 5.50mmol)을 4N HCl-초산에틸용액(20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디메틸포름아미드(10ml)에 용해하고, Boc-N-메틸-Tyr(Bzl)-OH(1.93g, 5.0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743mg, 5.50mmol) 및 트리에틸아민(0.84ml, 6.0mmol)을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10℃로 냉각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1.15g, 6.00mmol)을 가하여, -10℃에서 1시간, 다시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40ml)을 가하여, 1N HCl, 이어사, 포화중조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유상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벤젠: 초산에틸=2: 1(v/v))으로 정제하여, Boc-N-메틸-Tyr(Bzl)-D-Arg(Z2)-Phe-MeβAla-OBzl을 무색 유상물로 하여 5.01g을 얻었다.
이 보호 펩티드(0.84g, 0.74mmol)를 4N-HCl/초산에틸용액(5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초산(5ml)에 용해하고, 융매로서 5% Pd-C(함수율50%) 0.3g을 가하여, 3시간 접촉환원을 하여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촉매를 여과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하여 396mg을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584(M+H)
〔α〕D 23+44.4°(c=1.01, 1N-초산)
Rfb: 0.59
실시예 2:
N,N-디메틸-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D-Arg(Z2)-Phe-MeβAla-OBzl(1.30g, 1.50mmol)을 4N-HCl/초산에틸용액(15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디메틸포름아미드(10ml)에 용해하고, N,N-디메틸-Tyr(Bzl)-OH(419mg, 1.4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189mg, 1.40mmol) 및 트리에틸아민(0.21ml, 1.5mmol)을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10℃로 냉각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349mg, 1.82mmol)을 가하여, -10℃에서 1시간, 다시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40ml)을 가하여, 1N HCl, 이어서, 포화 중조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유상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벤젠: 초산에틸=2: 1(v/v))으로 정제하여, N,N-디메틸-Tyr(Bzl)-D-Arg(Z2)-Phe-MeβAla-OBzl을 무색 무정형 고체로 하여 974mg을 얻었다.
이 보호 펩티드(450mg, 0.43mmol)를 초산(5ml)에 용해하고, 융매로서 5% Pd-C(함수율50%) 0.29g을 가하여, 4시간 접촉환원을 하여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촉매를 여과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하여 193mg을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598(M+H)
〔α〕D 23+44.4°(c=1.08, 1N-초산)
Rfb: 0.37
실시예 3:
N-에틸-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Tyr(Bzl)-D-Arg(Z2)-Phe-MeβAla-OBzl(2.20g, 2.00mmol)을 4N-HCl/초산에틸용액(10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메탄올(10ml)에 용해하고, 빙냉 교반하에 아세트알데히드(134㎕, 2.40mmol)및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132mg, 2.00mmol)을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17시간 교반 후, 동량의 아세트알데히드와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을 추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19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50ml)을 가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클로로포름을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유상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벤젠:초산에틸=1:3(v/v))으로 정제하여, N-에틸-Tyr(Bzl)-D-Arg(Z2)-Phe-MeβAla-OBzl을 무색 유상(油相)물로 하여 1.37g을 얻었다.
이 보호 펩티드(0.84g, 0.74mmol)를 초산(5ml)에 용해하고, 융매로서 5% Pd-C(함수율50%) 0.30g을 가하여, 3시간 접촉환원을 하여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촉매를 여과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하여 396mg을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598(M+H)
〔α〕D 23+42.1°(c=1.02, 1N-초산)
Rfb: 0.53
실시예 4:
N-이소프로필-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Tyr(Bzl)-D-Arg(Z2)-Phe-MeβAla-OBzl(2.00g, 2.00mmol)을 아세톤(147㎕, 2.00mmol) 및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138mg, 2.00mmol)을 이용하여, 예3과 같은 방법으로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하여 754mg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12(M+H)
〔α〕D 23+48.7°(c=1.02, 1N-초산)
Rfb: 0.60
실시예 5:
N-시클로프로필메틸-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1)N-시클로프로필메틸-N-벤질옥시카보닐-Tyr(Bzl)-OH
H-Tyr(Bzl)-OMe염산염(4.83g, 15.0mmol) 및 시클로프로필메틸부로미드(2.43g, 18.0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20ml)에 용해하여,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48ml, 20.0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후 찌꺼기를 초산에틸(100ml)에 용해하고, 10% 구연산 수용액, 포화중조수의 순으로 세척하였다. 초산 에틸을 감압 제거하여, 수득한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50:1(v/v))으로 정제하여, 무색 유상물 1.91g을 얻었다.
이 유상물을 염화메틸렌(20ml)에 용해하고, 10% 탄산나트륨수용액과 벤질옥시카보닐크롤리드(1.03ml, 7.28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22시간 격하게 교반하였다. 염화메틸렌층을 농축하고, 수득한 조생성물을 메탄올(5.7ml)에 용해하고,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5.7ml)을 가하여,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후, 빙냉하에서 교반 후, 1N HCl 을 가하여 pH를 약 2로 조정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무색유상물 2.60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24(M+H)
(2)N-시클로프로필메틸-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D-Arg(Z2)-Phe-MeβAla-OBzl(1.82g, 2.10mmol)을 4N-HCl/초산에틸용액(20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디메틸포름아미드(20ml)에 용해하고, 상기(1)에서 수득한 N-시클로프로필메틸-N-벤질옥시카보닐-Tyr(Bzl)-OH(919mg, 2.0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297mg, 2.20mmol) 및 트리에틸아민(0.32ml, 2.2mmol)을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10℃로 냉각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460mg, 2.4mmol)을 가하여, -10℃에서 1시간, 다시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100ml)을 가하여, 1N HCl, 이어서, 포화 중조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유상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00:1(v/v))으로 정제하여, N-시클로프로필메틸을 무색 유상물로서 2.27g을 얻었다.
상기 보호 펩티드(1.24g, 1.00mmol)를 무수불화수소(5ml) 및 아니솔(1ml)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찌꺼기를 초산에틸, 이어서,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후, 물(5ml)에 용해하여 이온교환수지(다이아이온PA-308 초산염, 100ml)에 부하하여 물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조생성물의 초산염을 ODS컬럼 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50g)에 부하하여 4∼5%의 아세토니트릴/0.1N초산용액으로 단계적으로 농도구배 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서 33mg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24(M+H)
〔α〕D 23+38.3°(c=1.05, 1N-초산)
Rfb: 0.64
실시예 6:
N-(2-아미노에틸)-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1)N-벤질옥시카보닐-N-(2-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Tyr-OH
Tyr(Bzl)-OMe염산염(2.57g, 8.00mmol)을 메탄올(15ml)에 용해하고, 빙냉교반하에 Boc-글리시놀(1.20g, 7.50mmol) 및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0.47g, 7.50mmol)을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17시간 교반후,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50ml)을 가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이 클로로포름 용액에 포화중조수(15ml) 및 벤질옥시카보닐클로리드(0.96ml, 6.00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30분 격하게 교반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농축하여, 수득한 조생성물을 메탄올(20ml)에 용해하여,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1ml)을 가하여 실온에서 11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 후, 빙냉교반하에 1N HCl을 가하여 pH를 약 2로 조정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무색유상물 1.66g을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13(M+H)
(2)N-(2-아미노에틸)-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D-Arg(Z2)-Phe-MeβAla-OBzl(1.73g, 2.00mmol)을 상기(1)에서 수득한 N-벤질옥시카보닐-N-(2-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Tyr-OH(1.10mg, 2.0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270mg, 2.00mmol) 및 트리에틸아민(0.28ml, 2.0mmol)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479mg, 2.5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물을 얻었다. 이것을 ODS컬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50g)에 부하하여 1∼10%아세토니트릴/0.1N초산용액으로 단계적 농도구배 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259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13(M+H)
〔α〕D 23+36.8°(c=0.96, 1N-초산)
Rfb: 0.51
실시예 7:
H-Gly-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Tyr(Bzl)-D-Arg(Z2)-Phe-MeβAla-OBzl(3.35g, 3.00mmol), Boc-Gly-OH (0.52g, 3.0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405mg, 3.00mmol), 트리에틸아민(0.42ml, 3.0mmol),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690mg, 3.6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보호 펩티드 Boc-Gly-Tyr(Bzl)-D-Arg(Z2)-Phe-MeβAla-OBzl(2.92g)을 얻어, 이 중에서 741mg(0.63mmol)을 탈보호하여 목적물을 백색분말로하여 370mg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27(M+H)
〔α〕D 23+31.5°(c=1.00, 1N-초산)
Rfb: 0.58
실시예 8:
N-카복시메틸-Tyr-D-Arg-Phe-MeβAla-OH
(1)N-t-부톡시카보닐메틸-Tyr(Bzl)-OMe
H-Tyr(Bzl)-OMe염산염(1.61g, 50.0mmol) 및 브로모초산t-부틸(19.5g, 100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50ml)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7ml, 155mmol))을 실온에서 20분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17시간 교반 후, 불용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였다. 찌꺼기를 초산에틸(100ml)에 용해하고, 1N HCl, 이어서, 포화중조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하여 백색결정 15.3g을 얻었다. 융점 66-67℃
(2)N-벤질옥시카보닐-N-t-부톡시카보닐메틸-Tyr(Bzl)-OH
상기 (1)에서 수득한 N-t-부톡시카보닐메틸-Tyr(Bzl)-OMe(2.00mg, 5.00mmol)을 염화메틸렌(20ml)에 용해하고, 10%탄산나트륨 수용액(11ml) 및 벤질옥시카보닐크롤리드(0.96ml, 6.00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30분간 격하게 교반하였다. 염화메틸렌층을 농축하고, 수득한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벤젠: 초산에틸=30: 1(v/v))으로 정제하여, 무색유상물을 얻었다. 이 메틸에스테르를 메탄올(40ml)에 용해하고, 2N수산화나트륨수용액(20ml)을 가하여 실온에서 7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 후, 빙냉교반하에 1N HCl을 가하여 pH를 약 2로 조정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무색유상물 2.51g을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520(M+H)
(3)N-카복시메틸-Tyr-D-Arg-Phe-MeβAla-OH
Boc-D-Arg(Z2)-Phe-MeβAla-OBzl(1.04g, 1.20mmol), 상기 (2)에서 수득한 N-벤질옥시카보닐-N-t-부톡시카보닐메틸-Tyr(Bzl)-OH(624mg, 1.2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162mg, 1.20mmol), 트리에틸아민(0.21ml, 1.5mmol),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276mg, 1.4mmol)을 이용하여, 예1과 같은 방법으로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하여 187mg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28(M+H)
〔α〕D 23+32.8°(c=0.98, 1N-초산)
Rfb: 0.54
실시예 9:
N-메탄술포닐-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Tyr(Bzl)-D-Arg(Z2)-Phe-MeβAla-OBzl(2.24g, 2.00mmol)을 4N-HCl/초산에틸용액(15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디메틸포름아미드(5ml)에 용해하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5ml)을 가한 후, 빙냉교반하에, 메탄술포닐클로리드(193㎕, 2.5mmol)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불용액을 여과하여 N-메탄술포닐-Tyr(Bzl)-D-Arg(Z2)-Phe-MeβAla-OBzl 1.13g을 얻었다.
이 보호 펩티드(0.82g, 0.75mmol)를 초산(5ml)에 용해하고, 융매로서 5% Pd-C(함수율50%) 0.7g을 가하여, 24시간 접촉환원을 하여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촉매를 여과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하여 400mg을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48(M+H)
〔α〕D 23+20.4°(c=1.06, 1N-초산)
Rfb: 0.67
실시예 10:
N-포름이미도일-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1)N-포름이미도일-N-벤질옥시카보닐-Tyr(Bzl)-OH
H-Tyr(Bzl)-OMe염산염(6.43g, 20.0mmol) 및 포름이미도산이소프로필염산염(8.24g, 60.0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15ml) 및 염화메틸렌(60ml)혼합액에 용해하고, 트리메틸아민(12ml, 86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7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후, 반응액에 포화중조수(50ml) 및 벤질옥시카보닐크롤리드(4.8ml, 30.0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5분간 격하게 교반하였다. 염화메틸렌층을 농축하고, 수득한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40:1(v/v))으로 정제하여, 무색 유상물 3.45g을 얻었다.
이 메틸에스테르(1.03g, 2.31mmol)을 에탄올(10ml) 및 디메틸포름아미드(5ml) 혼합액에 용해하고,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2ml)을 가하여 2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 후, 빙냉교반하에 1N 염산을 가하여 pH를 약 2로 조정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무색유상물 0.71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433(M+H)
(2)N-포름이미도일-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Boc-D-Arg(Z2)-Phe-MeβAla-OBzl(1.47g, 1.70mmol), 상기 (1)에서 수득한 N-포름이미도일-N-벤질옥시카보닐-Tyr(Bzl)-OH(650mg, 1.5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216mg, 1.60mmol), 트리에틸아민(0.24ml, 1.8mmol),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383mg, 2.0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을 하였다.
수득한 조생성물을 ODS컬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50g)에 부하하여 3∼15%아세토니트릴/0.1N초산용액으로 단계적 농도구배 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177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597(M+H)
〔α〕D 23+34.3°(c=1.00, 1N-초산)
Rfb: 0.64
실시예 11:
N-아세트이미도일-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H-Tyr-D-Arg-Phe-MeβAla-OH(690mg, 1.00mmol) 및 아세트이미도산에틸염산염(161mg, 1.30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2ml)에 용해하여, 트리에틸아민(0.42ml, 3.0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일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100ml)를 가하여, 데칸데이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수득한 조생성물을 ODS컬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50g)에 부하하여 4∼10%아세토니트릴/0.1N초산용액으로 단계적 농도구배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388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11(M+H)
〔α〕D 23+23.1°(c=1.06, 1N-초산)
Rfb: 0.58
실시예 12:
N-프로피온이미도일-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H-Tyr-D-Arg-Phe-MeβAla-OH(690mg, 1.00mmol) 및 프로피온이미도산에틸염산염(303mg, 2.20mmol) 및 트리에틸아민(0.56ml, 4.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1과 같이 반응을 하였다. 조생성물을 ODS컬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25g)으에 부하하여 0∼10%아세토니트릴/0.1N초산용액으로 단계적 농도구배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200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25(M+H)
〔α〕D 23+21.5°(c=1.0, 1N-초산)
Rfb: 0.62
실시예 13:
N-부틸이미도일-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H-Tyr-D-Arg-Phe-MeβAla-OH(510mg, 0.76mmol) 및 부틸이미도산에틸염산염(256mg, 1.66mmol) 및 트리에틸아민(0.44ml, 3.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1과 같이 반응을 하였다. 조생성물을 ODS컬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60g)에 부하하여 6∼8%아세토니트릴/0.1N초산용액으로 단계적 농도구배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173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39(M+H)
〔α〕D 23+17.0°(c=1.01, 1N-초산)
Rfb: 0.63
실시예 14:
N-벤조이미도일-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H-Tyr-D-Arg-Phe-MeβAla-OH(690mg, 1.00mmol) 및 벤조이미도산에틸염산염(378mg, 2.20mmol) 및 트리에틸아민(0.56ml, 4.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1과 같이 반응을 하였다. 조생성물을 ODS컬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25g)에 부하하여 0∼14%아세토니트릴/0.1N초산용액으로 단계적 농도구배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83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73(M+H)
〔α〕D 23+17.2°(c=1.0, 1N-초산)
Rfb: 0.66
실시예 15:
N-[H2NHNC(NH)]-Tyr-D-Arg-Phe-MeβAla-OH·2초산염
(1)NC-Tyr(t-Bu)-D-Arg(Tos)-Phe-MeβAla-O-t-Bu
Z-Phe-OH(29.9g, 100mmol), MeβAla-O-t-Bu(16.0g, 110mmol), 3-히드록시-4-옥시-3,4-디히드로-1,2,3-벤조트리아딘(17.9g, 110mmol)을 염화메틸렌(20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10℃로 냉각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21.1g, 110mmol)을 가하여, -10℃에서 1시간, 다시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 후, 반응액에 초산에틸(100ml)을 가하여, 1N 염산, 이어서, 포화 중조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유상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벤젠:초산에틸=10:1(v/v))으로 정제하여, Z-Phe-MeβAla-O-t-Bu를 무색 유상물로 하여 42.6g 얻었다.
(2)Z-Phe-MeβAla-O-t-Bu(21.0g, 47.6mmol)을 메탄올(200ml)에 용해하고, 촉매로서 5% Pd-C(함수율50%) 21g을 가하여, 4시간 접촉환원을 하여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촉매를 여과후,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10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Z-D-Arg(Tos)-OH(20.0g, 43.2mmol)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6.43g, 47.6mmol)을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10℃로 냉각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9.12g, 47.6mmol)을 가하여, -10℃에서 1시간, 다시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 후, 반응액에 초산에틸(100ml)을 가하여, 1N 염산, 이어서, 포화 중조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Z-D-Arg(Tos)-Phe-MeβAla-O-t-Bu를 무색 유상물로 31.9g 얻었다.
(3)Z-D-Arg(Tos)-Phe-MeβAla-O-t-Bu(31.9g, 41.0mmol)를 메탄올(200ml)에 용해하고, 촉매로서 5% Pd-C(함수율50%) 32g을 가하여, 4시간 접촉환원을 하여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촉매를 여과후, 감압제거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10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Z-Tyr(t-Bu)-OH(13.7g, 36.9mmol)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5.54g, 41.0mmol)을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10℃로 냉각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도염산염(7.86g, 41.0mmol)을 가하여, -10℃에서 1시간, 다시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 후, 반응액에 초산에틸(100ml)을 가하여, 1N 염산, 이어서, 포화 중조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유상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40:1(v/v))으로 정제하여, Z-Tyr(t-Bu)-D-Arg(Tos)-Phe-MeβAla-O-t-Bu를 백색분말로서 27.8g 얻었다.
〔α〕D 23+18.8°(c=1.01, 에탄올)
(4)Z-Tyr(t-Bu)-D-Arg(Tos)-Phe-MeβAla-O-t-Bu(11.6g, 12.0mmol)을 에탄올(60ml)에 용해하고, 촉매로서 5% Pd-C(함수율50%) 6g을 가하여, 3시간 30분 접촉환원을 하여 Z기를 제거하였다. 촉매를 여과후,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다시 벤젠(50ml)을 가하여 감압농축을 2회 반복하여 잔류하는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수득한 무색의 찌꺼기를 건조테트라히드로풀랜(100ml)에 용해하고, 실온교반하에 취화시안(1.69g, 14.4mmol)/염화메틸렌(15ml)용액을 가하여, 다시 트리에틸아민(2.02ml, 14.4mmol)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40분 교반후, 석출한 불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유상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40:1(v/v))으로 정제하여, 무색무정형 고체 5.70g을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862(M+H)
(5)NC-Tyr(t-Bu)-D-Arg(Tos)-Phe-MeβAla-O-t-Bu(1.00g, 1.16mmol)을 에탄올(5ml)에 용해하고, 히드라진염산염(158mg, 2.3mmol)을 가하여, 다시 트리에틸아민(0.42g, 3.0mmol)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교반후,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다시 벤젠(50ml)을 가하여 감압농축을 2회 반복하여 잔류하는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수득한 찌꺼기를 4N HCl/디옥산용액(10ml)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후, 용매를 감압제거하였다. 남은 것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무수불소화수소(10ml) 및 아니솔(1ml)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찌꺼기를 초산에틸, 이어서 디에틸에테르로 세척 후, 물(100ml)에 용해하여 이온교환수지(다이아이온 PA-308초산염, 100ml)에 부하하여 물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용매를 감압농축하고, 수득한 조생성물의 초산염을 ODS컬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25g)에 부하하여 2∼10%아세토니트릴/0.1N 초산용액으로 단계적 농도구배 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하여 48ml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28(M+H)
〔α〕D 20+25.78°(c=0.965, 1N-초산)
Rfa: 0.25
Rfb: 0.65
실시예 16:
N-[HOHNC(NH)]-Tyr-D-Arg-Phe-MeβAla-OH·2초산
NC-Tyr(t-Bu)-D-Arg(Tos)-Phe-MeβAla-O-t-Bu(1.00g, 1.16mmol) 및 히드록실아민염산염(347mg, 5.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288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29(M+H)
〔α〕D 20+20.73°(c=0.965, 1N-초산)
Rfa: 0.38
Rfb: 0.69
실시예 17:
N-(2-이미다졸릴)-Tyr-D-Arg-Phe-MeβAla-OH·1초산
H-Tyr-D-Arg-Phe-MeβAla-OH(400mg, 0.58mmol), 2-메틸티오-2-이미다졸린요오드화수소산염(354mg, 1.45mmol) 및 트리에틸아민(0.28ml, 2.0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20ml)에 용해하여, 6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100ml)를 가하여, 조심하여 용매를 따라 제거하였다. 수득한 유상물을 ODS컬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시리시아 DM1020T, 50g)에 부하하여 3∼13%아세토니트릴/0.1N초산용액으로 단계적 농도구배 용출하였다. 목적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 14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39(M+H)
〔α〕D 20+11.14°(c=0.700, 1N초산)
Rfa: 0.25
Rfb: 0.65
실시예 18:
N-[2-(4,6-디메틸)피리미딜]-Tyr-D-Arg-Phe-MeβAla-OH
(1)Boc-Phe-OH와 TosOH·MeβAla-OBzl을 EDC-HOBt법에 의해 축합하여, Boc-Phe-MeβAla-OBzl을 얻어, Boc-Phe-MeβAla-OBzl에 의해 4N HCl-초산에틸에스테르를 이용하여 Boc기를 제거하고, Boc-D-Arg(Z2)-OH와 EDC-HOBt법에 의해 축합하여, Boc-D-Arg(Z2)-Phe-MeβAla-OBzl로 하였다. 이어서, Boc-D-Arg(Z2)-Phe-MeβAla-OBzl로부터 4N HCl-초산에틸에스테르를 이용하여 Boc기를 제거하고, Boc-Tyr(Bzl)-OH와 EDC-HOBt법에 의해 축합하여, 보호펩티드: Boc-Tyr(Bzl) -D -Arg(Z2)-Phe-MeβAla-OBzl을 얻었다.
Boc-Tyr(Bzl)-D-Arg(Z2)-Phe-MeβAla-OBzl(3.32g, 3.00mmol)을 4N HCl-초산에틸용액(10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디메틸포름아미드(10ml)에 용해하고, 빙냉교반하에 트리메틸아민(1.68ml, 12mmol), N,N-비스t-부톡시카보닐티오요소(229mg, 3.00mmol) 및 염화은(I)(896mg, 3.3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100ml)을 가하여, 석출한 불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세척후,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유상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40:1(v/v))으로 정제하여, Boc-HNC-(N-Boc)-Tyr(Bzl)-D-Arg(Z2)-Phe-MeβAla-OBzl의 무색무정형 고체 2.54g을 얻었다.
(2)상기(1)에서 수득한 Boc-HNC(N-Boc)-D-Arg(Z2)-Phe-MeβAla-OBzl(1.25g, 1.00mmol)을 4N HCl-초산에틸용액(10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이 결정을 디메틸포름아미드(10ml)에 용해하고, 빙냉교반하에 트리에틸아민(0.2ml, 1.4mmol), 2,4-펜탄디온(1.05ml, 10.0mmol) 및 1% 나트륨(6ml)을 가하여, 실온에서 10일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40ml)을 가하여,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여 취하였다. 수득한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00:1(v/v))으로 정제하여, 2-(4,6-디메틸)피리미딜-Tyr(Bzl)-D-Arg(Z2)-Phe-MeβAla-OBzl을 무색무정형 고체로서 0.55g 얻었다.
(3)상기(2)에서 수득한 화합물 477mg(0.43mmol)을 메탄올(20ml)에 용해하고, 융매로서 5% Pd-C(함수율50%) 0.3g을 가하여, 6시간 접촉환원을 하였다. 촉매를 여과하고 감압제거하여, 물(50ml)에 용해하고 동결건조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백색분말로서 259mg 얻었다.
FAB 메스스펙트로스코피 m/z: 663(M+H)
〔α〕D 20+11.84°(c=0.999, 1N 초산)
Rfa: 0.58
Rfb: 0.73
시험예
본 발명의 펩티드 유도체의 진통효과를 압자극법으로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쥐의 꼬리뿌리부분에 10mmHg/초의 비율로 압자극을 가하여, 발버둥거림, 자극 부위로의 달려듬 등의 행동을 나타내는 압력을 측정하고, 이것을 동통반응 역치로 하였다. 실험에는 미리 40∼50mmHg의 압력에 반응하는 쥐를 이용하였다. 또한, 최대 자극압은 100mmHg으로 하였다.
진통 효과는 다음 식:
% of MPE= X 100
(상기 식에서, Po는 약물처리전의 동통반응역치, Pt는 약물처리 t분후의 동통반응역치, Pc는 최대 자극압이다)에 따라 최대가능효과 백분율(percent of maximum possible effect, % of MPE)로서 산출하였다. 용량반응 곡선으로부터 50%의 % of MPE를 부여하는 약물 투여량을 ED50치로서 구하여, 약물의 진통효력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11의 화합물에 대하여 피하투여(등부피하) 및 경구 투여에 의해 시험을 한 결과, ED50(mg/kg)은 각각 0.093mg/kg 및 2.65mg/kg이었다. 대조로서 이용한 몰핀의 ED50(mg/kg)은 피하투여(등부피하) 및 경구 투여의 경우에 있어 각각 4.6mg/kg 및 29.6mg/kg이었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유도체는 암동통등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하기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Y-L-Tyr-Q-NR1-CH(R2)-CO-X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내며;
    R2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Q는 D-Arg 또는 L-Arg를 나타내며;
    Y는 L-Tyr의 N-말단 아미노기의 2개의 수소원자, 또는
    이들이 치환된 치환기를 나타내고, 이 치환기는(2개의 경우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하의 군:
    아미노기를 가질 수 있는 C1-6알킬기, 카복실기를 가질 수 있 는 C1-6알킬기, 아미노기를 가질 수 있는 C1-6알킬카보닐기, 알킬기를 가질 수 있는 술포닐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피리미딜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이미다졸리닐기, 및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HN=C(R3)-
    (상기 식에서,
    R3은 수소원자, C1-6알킬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 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히드록시아미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히드라지노기 를 나타낸다)
    X는 OR4,
    (R4는 수소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내며)
    N(R5)(R6), 또는
    (상기 식에서,
    R5는 수소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내며,
    R6은 C1-6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술폰산 치환C1-6알킬기를 나타내거 나, 또는
    R5및 R6이 모두 그들이 치환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 원 함질소포화복소환을 나타낸다),
    NR7-C(R8)(R9)(R10)
    (상기 식에서,
    R7은 수소원자, C1-6알킬기, 또는 아릴치환 C1-6알킬기를 나타내며, R8은 수소원자, 카복실기, C1-6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카 바모일기, 카복시C1-6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카바모일C1-6알 킬기, 또는 C1-6알콕시카보닐C1-6알킬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원자, C1-6알킬기, 아미노C1-6알킬기, 아미디노C1-6알킬기, 구아니디노C1-6알킬기, 히드록시C1-6알킬기, 카복시C1-6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카바모일C1-6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 는,
    R7및 R9가 모두 R7이 치환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카복 시 치환 함질소포화복소환을 나타내며,
    R10은 수소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Y가 수소원자,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기를 가질 수 있는 C1-6알킬기, 아 미노기를 가지는 C1-6알킬카보닐기; C1-6알킬술포닐기, C1-6알킬기를 가지는 2-피리미딜기, 2-이미다졸린-2-yl기 및 하기의 식으로 나 타내는 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HN=C(R3)-
    상기 식에서,
    R3은 수소원자, C1-6알킬기, 페닐기, 히드록시아미노기, 또는 히드라지노기를 나타낸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Y중 1개의 치환기가 수소원자 또는 C1-6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7 메틸 또는 에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7.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 카복실기 또는 카바모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8. 제 1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 카복시메틸기 또는 카바모일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9. 제 1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Q가 D-Ar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10. 제 9항에 있어서,
    R1 수소원자이고,
    R7 수소원자이며,
    R8 카복시메틸기이며,
    R9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11. 제 9항에 있어서,
    R1 수소원자이며,
    R7 수소원자이고,
    R8 카바모일메틸기이며,
    R9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12. 제 9항에 있어서,
    R1 수소원자이며,
    R7 메틸기이고,
    R8 카복시메틸기이며,
    R9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13. 제 9항에 있어서,
    R1 수소원자이며,
    R7 에틸기이며,
    R8 카복시메틸기이며,
    R9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14. 제 1항 내지 제 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무치환벤질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15. 제 1항에 있어서,
    HN=C(CH3)-L-Tyr-D-Arg-L-Phe-N(CH3)-CH2-CH2-COOH로 표시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16. 제 1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산염 또는 초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의 염.
  17. 제 1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의약.
  18. 제 1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통성 의약조성물.
  19. 제 18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제 1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
  20. 제 1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포유류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통의 예방 및/또는 치료방법.
KR1019980701802A 1995-09-11 1996-09-10 펩티드 유도체 KR19990044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216195 1995-09-11
JP7/232161 1995-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553A true KR19990044553A (ko) 1999-06-25

Family

ID=1693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802A KR19990044553A (ko) 1995-09-11 1996-09-10 펩티드 유도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28841B1 (ko)
EP (1) EP0861849A4 (ko)
KR (1) KR19990044553A (ko)
CN (1) CN1200736A (ko)
AU (1) AU718192B2 (ko)
BR (1) BR9610086A (ko)
CA (1) CA2231174A1 (ko)
EA (1) EA001000B1 (ko)
NO (1) NO981051L (ko)
WO (1) WO1997010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4945B (en) * 1997-12-26 2002-02-01 Daiichi Seiyaku Co Peptide derivatives having analgesic activity and capable of orally admistration
AU5446599A (en) * 1998-08-31 2000-03-21 Fuji Chemical Industries, Ltd. Peptide compounds
AU6730500A (en) * 1999-08-25 2001-03-19 Daiichi Fine Chemical Co., Ltd. Medicinal composition for percutaneous/permucosal absorption
WO2007144979A1 (ja) * 2006-06-12 2007-12-21 Vexon, Inc. ペプチド誘導体
WO2007145208A1 (ja) 2006-06-12 2007-12-21 Vexon, Inc. ペプチド誘導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298A (ja) 1984-07-27 1986-02-20 Kenji Suzuki トリペプチドアミド類
CA2185212A1 (en) 1994-03-11 1995-09-14 Shinobu Sakurada Peptide derivatives
RU2067000C1 (ru) * 1994-06-29 1996-09-27 Владислав Исакович Дейгин Пептид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28841B1 (en) 2001-05-08
EP0861849A1 (en) 1998-09-02
EP0861849A4 (en) 1999-05-26
AU718192B2 (en) 2000-04-06
CA2231174A1 (en) 1997-03-20
AU6890596A (en) 1997-04-01
CN1200736A (zh) 1998-12-02
BR9610086A (pt) 1999-12-21
EA199800287A1 (ru) 1998-08-27
WO1997010261A1 (fr) 1997-03-20
NO981051L (no) 1998-05-11
EA001000B1 (ru) 2000-08-28
NO981051D0 (no) 199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T74731A (en) Novel opioid 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use thereof
SK11242002A3 (sk) Zlúčenina, spôsob prípravy zlúčeniny, farmaceutický prostriedok a spôsob liečenia rakoviny
JPH04500666A (ja) ペプチド化合物
JP2949129B2 (ja) 胃腸運動刺激活性を有するモチリン類似ポリペプチド
JPH1053599A (ja) 胃腸運動刺激活性を示す環状モチリン−様ポリペプチド
US4390527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and medicaments containing the same
EP0333071A2 (en) Polypeptide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and use
KR19990044553A (ko) 펩티드 유도체
US6051685A (en) Peptide derivatives
EP0755942B1 (en) N-amidino dermorphin derivative
AU718320B2 (en) Peptide derivatives
JPH051798B2 (ko)
JPH10330398A (ja) 新規環状ペプチド
JPH0262559B2 (ko)
WO1999033864A1 (fr) Derives peptidiques
US20010007016A1 (en) Peptide derivatives
JP3554399B2 (ja) ペプチド誘導体
Krasnov et al. The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4-[bis (2-chloroethyl) amino]-DL-, L, and D-phenylalanine amides and peptides
WO2000012539A1 (fr) Composes de peptides
TW387896B (en) Novel dipeptide and tripeptide mimic compounds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JP2513440B2 (ja) 新規ペプチド
JP2513439B2 (ja) 新規ペプチド
JPH10330399A (ja) 神経伝達ポリペプチド
JP2007261958A (ja) ペプチド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