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475A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vector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v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475A
KR19990042475A KR1019970063308A KR19970063308A KR19990042475A KR 19990042475 A KR19990042475 A KR 19990042475A KR 1019970063308 A KR1019970063308 A KR 1019970063308A KR 19970063308 A KR19970063308 A KR 19970063308A KR 19990042475 A KR19990042475 A KR 19990042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information
file
data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창우
Original Assignee
남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창우 filed Critical 남창우
Priority to KR101997006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475A/en
Publication of KR1999004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475A/en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의나 세미나 등을 할 때 강사가 컴퓨터 상에서 마우스 등의 입력 도구를 사용하여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함께 표기 등을 하면서 강의한 내용을 음성 데이터와 같은 스칼라 데이터와 필기 동작과 같은 벡터 데이터 등으로 각각 파일로 저장시키고, 그 외 필요한 부수적인 정보 등을 파일로 저장시켜 멀티미디어 교재로 만듬으로써,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멀티미디어 교재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a vector. When a lecture or seminar is performed, a lecturer write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while using the input tool such as a mouse on the computer with the presentation data. Save as scalar data and vector data such as handwriting, respectively, and save it as a file, and save the necessary additional information as a file to make it as a multimedia textboo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by applying a vecto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은, 강의에 필요한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준비하고 강의 자료의 재생 순서 등을 결정하는 제 1 단계와, 강사가 컴퓨터 스크린상에 상기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출력한 후 그 위에서 마우스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표기하면서 강의 한 내용을 벡터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고 강사의 목소리나 음향을 동시 녹음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진행순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 위에 하이퍼 링크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하이퍼 정보 파일을 만드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계에서 만들어진 파일들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의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로 만드는 제 5 단계와, 상기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하는 제 6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applying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comprises the first step of preparing presentation materials required for lectures and determining the playback order of lecture materials, and the instructor giving the presentation on a computer screen. The second step of outputting the material and using the equipment such as a mouse on it, sav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s a vector data file, and simultaneously recording the voice or sound of the instructor, and the procedure of the presentation data. A third step of storing information, a fourth step of creating a hyper-information file so as to have hyperlink information on each presentation material, and a vector of files created in the first to fourth steps using a program The fifth step of creat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and using the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And a sixth step of reproducing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Description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vector

본 발명은 벡터(Vector)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의나 세미나 등에서 이루어지는 강의 내용을 파일로 저장시켜 멀티미디어 교재로 만듬으로써,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멀티미디어 교재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using a vector, and in particular, by storing the contents of lectures in lectures, seminars, etc. as files and making them into multimedia textbooks,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multimedia textbook produ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using a vector capable of improving expressive power.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교재, 각종 프로그램 제작 및 통신상의 원격 강의 프로그램 제작 등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various programs, and remote lecture programs in communication.

종래에는 벡터(Vector)를 압축 기술로 활용한 예는 있으나, 벡터를 멀티미디어 교재 등을 구현하는 데이터로써 복합화하여 사용하지는 않았다.Conventionally, there is an example in which a vector is used as a compression technique, but the vector is not used as a data for implementing a multimedia textbook.

종래의 멀티미디어를 구현하는 방식은 스칼라(Scalar) 형식의 데이터 중심이었으므로 용량이 크고, 개발 기간이 길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행 순서(Navigation), 하이퍼 링크(Hyper Link)등 멀티미디어 교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구조를 별도로 구현해야 하므로 생산성 증대를 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way of implementing multimedia has been a data-centered scalar format, which has a large capacity, a long development period, and a high cos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increase productivity because a structure necessary to implement multimedia textbooks such as navigation and hyperlinks must be separately implemen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의나 세미나 등을 할 때 강사가 컴퓨터 상에서 마우스 등의 입력 도구를 사용하여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함께 표기 등을 하면서 강의한 내용을 음성 데이터와 같은 스칼라 데이터와 필기 동작과 같은 벡터 데이터 등으로 각각 파일로 저장시키고, 그 외 필요한 부수적인 정보 등을 파일로 저장시켜 멀티미디어 교재로 만듬으로써,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더불어 멀티미디어 교재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cturer while using the input tool such as a mouse on the computer when the lecture or seminar, etc. It improves the productivity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 production by saving the contents as scalar data such as voice data and vector data such as handwriting motions, and storing other necessary information as files to make into multimedia textbook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by applying a vector that can improve the expressiveness of a multimedia textbook.

도 1 은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를 위한 제1 구조도1 is a first structural diagram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applying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를 위한 제2 구조도2 is a second structural diagram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applying a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by applying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은, 강의에 필요한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준비하고 강의 자료의 재생 순서 등을 결정하는 제 1 단계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mposite multimedia fi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of preparing the presentation material required for the lecture, and determines the order of reproduction of the lecture material, and the like;

강사가 컴퓨터 스크린상에 상기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출력한 후 그 위에서 마우스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표기 하면서 강의 한 내용을 벡터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고 강사의 목소리나 음향을 동시 녹음하는 제 2 단계와,A second step in which the instructor outputs the presentation material on a computer screen and then writes the information using a device such as a mouse on the computer screen, stor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s a vector data file, and simultaneously recording the instructor's voice or sound;

상기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진행순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와,A third step of storing information on the order of progress of each presentation material;

상기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 위에 하이퍼 링크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하이퍼 정보 파일을 만드는 제 4 단계와,A fourth step of creating a hyper information file to have hyperlink information on each of the presentation materials;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계에서 만들어진 파일들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의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로 만드는 제 5 단계와,A fifth step of making the files created in the first to fourth steps into a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using a program;

상기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하는 제 6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ixth step of playing the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에서 강사가 표시한 벡터 정보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 하기 위하여 시간정보를 함께 저장하며, 또한 강사가 강의중 필기도구의 종류와 색상, 두께 등을 바꿀 경우 그 시점과 특성 및 정보를 함께 저장하며, 또한 강사가 강의중 프리젠테이션 자료가 바뀔 때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ime information together to synchronize the voice information and the vector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instructor in the second step, and when the instructor changes the type, color, thickness, etc. of writing instruments during the lecture, It is also a good idea to store the information together, and the instructor to store information that indicates when the presentation material changes during the le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6 단계에서 파일 재생 방법은 먼저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출력한 다음, 그 위에 벡터 표기 정보를 음성 데이터와 함께 재생 및 진행순서 정보에 따라 재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ixth step, the file reproducing method first outputs the presentation material, and then reproduces the vector representation information along with the reproducing and processing sequence information along with the voice data.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의 제1 구조도로서, 모든 데이터 파일(Data File)을 하나의 파일로 그룹지어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first structural diagram of a composite multimedia file to which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all data files are grouped and used.

먼저, 블록 110은 그림, 사운드, 동화상, 텍스트 파일 등 강의에 필요한 프리젠테이션 자료 파일이다.First, block 110 is a presentation material file for lectures such as pictures, sounds, moving pictures, and text files.

블록 120은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로서, 강사가 강의중 필기하는 필기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필기구의 특성과 변경시 변경시간 등을 저장하며, 강사의 목소리나 음향을 동시 녹음하는 파일이다. 또한,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120)은 강사가 강의중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변경할 때 그 변경을 알수 있도록 변경 정보와 변경 시간을 저장하는 파일이다.Block 120 is a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 which stores handwriting data information that the instructor writes during lectures, sa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changes time when changing, and simultaneously records the voice or sound of the instructor. In addition, the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 120 is a file that stores the change information and the change time so that the instructor knows the change when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changed during the lecture.

블록 130은 진행순서(Navigation) 정보 파일로서, 프리젠테이션 자료가 바뀔 때 순서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곳이며, 블록 140은 하이퍼 링크(Hyper Link) 정보 파일로서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가 가지는 하이퍼 링크 정보이다.(참고로, 하이퍼 링크라 함은 연속된 자료에서 관련된 다른 참조(reference)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부분을 말함.)Block 130 is a navigation information file that stores the order and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presentation material changes, and block 140 is a hyper link information file that contains hyperlink information of each presentation material. (For reference, hyperlinks are linked parts of a series of material that can be moved to other related reference parts.)

블록 150은 상기 블록 110 내지 140 의 각 데이터 파일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것으로, 이때 만들어진 파일이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160)이다. 블록 170은 사용자(180)의 요구에 따라 상기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160)을 재생하는 재생기이다.Block 150 is to make each data file of the blocks 110 to 140 into a single file using a program, and the created file is a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160. Block 170 is a player that plays the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160 at the request of a user 180.

상기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120)은 본 발명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파일로 벡터 응용이 그 중심이 된다. 여기서, 순서정보의 색인(Index) 값을 기준으로 그림·사운드·동화상·텍스트 파일(110),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120), 진행순서 정보파일(130), 하이퍼 링크 정보파일(14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재생시 표기화는 시간 정보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정보 파일간의 연결은 순서 정보에 의하여 결정된다.The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 120 is the core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ctor application is the center thereof. Here, the picture, sound, video, text file 110, the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 120, the progress order information file 130, and the hyperlink information file 140 are based on the index value of the order information.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notation at the time of reproduction is made by time inform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information files is determined by order informa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의 제2 구조도로서 각 데이터 파일을 별개로 각각 존재시켜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second structural diagram of a composite multimedia file to which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n example of using each data file separately.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의 구성은 그림·사운드·동화상·텍스트 파일(210),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220), 진행순서 정보파일(230), 하이퍼 링크 정보파일(240), 재생기(250) 등으로 구성되며, 각 모듈에 대한 동작은 도 1과 동일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 includes a picture, a sound, a video, a text file 210, a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 220, a process order information file 230, a hyperlink information file 240, and a player 250. ), And the operation of each module is the same as that of FIG.

단지, 도 1과 다른 점은 그림·사운드·동화상·텍스트 파일(210),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220), 진행순서 정보파일(230), 하이퍼 링크 정보파일(240)의 각 데이터 파일들을 별개로 각각 존재시켜 하나의 파일로 합하지 않고 재생기(250)에 연결하여 재생하도록 구현한 것이다.1 differs from each other in the picture, sound, video, text file 210,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 220, progress order information file 230, and hyperlink information file 240 separately. Each of them is implemented to be connected to the player 250 and played without being combined into a single file.

도 3 은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to which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먼저 기본 준비과정(310)에서는, 강의에 필요한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준비하고 강의 자료의 재생 순서 등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그림·사운드·동화상·텍스트 파일(110, 210)이 여기에 해당된다.First, in the basic preparation process 310, as a process of preparing presentation materials required for lectures and determining the reproduction order of lecture materials, the picture, sound, video, and text files 110 and 210 correspond to this.

강의내용 녹화과정(320)에서는, 강사가 컴퓨터 스크린상에 프리젠테이션 자료(그림, 문서)를 출력한 후 그 위에서 마우스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표기를 하면서 강의를 한 내용을 저장하는 과정이다. 이때, 강의중 강사가 필기하는 필기데이터는 벡터 형태로 좌표와 시간(1/1000 초 단위)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필기도구의 특성 또한 필기도구를 바꿀 때 저장하며, 필기구 특성과 변경시의 변경시간까지 저장한다. 또한, 강사의 목소리 또는 음향 등을 동시에 녹음하며, 강사가 강의중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변경할 때 그 변경을 알수 있도록 변경 정보와 변경 시간을 저장하게 된다. 이 강의내용 녹화과정(320)은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120, 220)에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lecture content recording process 320, the instructor outputs the presentation data (pictures, documents) on the computer screen and store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while marking using a device such as a mouse thereon. At this time, the handwritten data written by the instructor during the lecture is stored in a vector form including coordinates and time (1/1000 second unit) information. Also,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struments are also saved when the writing instruments are chang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struments and the time of change when the writing instruments are changed are also stored. In addition, the voice or sound of the instructor is recorded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instructor changes the presentation material during the lecture, the change information and the change time are stored so that the instructor can know the change. This lecture recording process 320 is performed in the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s 120 and 220.

부수적인 정보파일 제작과정(330)에서는,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 위에 하이퍼 링크 정보를 가질 수 있으므로 편집기를 사용해 하이퍼 정보 파일(140, 240)을 만든다. 그리고,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는 보여지는 순서가 다르므로 그 순서에 관한 정보를 진행순서 정보파일(130, 230)에서 저장한다.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file production process 330, since hyperlink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 each presentation material, hyper information files 140 and 240 are created using an editor. Since each presentation material is shown in a different order, information about the order is stored in the process order information files 130 and 230.

녹화 정보의 복합파일 제작과정(340)에서는, 프리젠테이션 정보 및 강사의 음성 파일과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과 진행순서 정보파일과, 하이퍼 링크 정보파일 등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의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로 만드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각 데이터 파일 조합(150)과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160)이 이에 해당한다.In the composite file production process 340 of the recording information, the presentation information, the voice file of the instructor, the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 the process order information file, the hyperlink information file, etc., are converted into one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using a program. For example, the data file combination 150 and the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160 shown in FIG.

복합파일 재생과정(350)은, 위에서 만들어진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160)을 프로그램에서 재생한다. 재생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되감기, 재생, 원하는 부분 이동 등을 지원한다.In the compound file playing process 350, the vector compound multimedia file 160 made above is reproduced in a program. The playback program supports rewinding, playing, and moving parts as desired by the user.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도는 데이터 파일을 그룹 짓는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그 원리는 동일하다.1 and 2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 of grouping data files, but the principle is the same.

즉, 도 1에서는 모든 데이터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그룹지어 사용하는데 반해, 도 2에서는 각각의 데이터 파일을 하나로 그룹을 짓지않고 재생기 프로그램에서 서로를 연결하여 재생한다. 이 경우 각 파일이 독립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각 파일별로 접근이 필요한 경우 이를 허용하여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That is, in Fig. 1, all data files are grouped and used as one file. In Fig. 2, each data file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layer program without being grouped together. In this case, each file is independent, so if it is necessary to access each file from the outside, it is allowed to be flexible.

그러면,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applying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강사의 필기, 표기 등의 벡터 요소(움직임)를 강사가 마우스나, 태블릿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한다. 또한, 표기 벡터 정보와 함께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Synchronization) 하기 위하여 시간 정보(1/1000 초 단위)를 함께 저장한다. 이 움직임(필기 동작)의 정보 구조는 필기 동작임을 나타내는 헤더(header)부 + 좌표 + 저장 시간의 조각 데이터로써 저장한다.First, the instructor inputs a vector element (movement) of the instructor's handwriting and notation using a mouse or a pointing device such as a tablet and stores the input information in a file. In addition, time information (in milliseconds) is stored together with the notation vector information in order to synchronize voice data.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is movement (writing operation) is stored as fragment data of a header part + coordinates + storage time indicating that it is a writing operation.

강의중 강사가 일반 펜, 형광 펜, 반전 펜, 지우개 등 필기도구의 종류와 색상, 두께 등을 바꿀 경우 그 시점과 특성 및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이때 정보 구조는 헤더(header) + 필기도구 종류 + 특성(두께, 색상) + 변환 시간이다. 또한, 강의 중 프리젠테이션 자료가 바뀔 수 있으므로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구조는 헤더 + 다음 보여질 프리젠테이션의 인덱스(Index) 값 +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조각의 연속으로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 파일이 구성된다.During the lecture, if the instructor changes the type, color, and thickness of writing instruments such as a general pen, a highlighter pen, an inverting pen, and an eraser, the time,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are stored together.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structure is a header + writing implement type + characteristics (thickness and color) + conversion time.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material may change during the lecture, so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is. The information structure consists of the header + Index value of the next presentation + time. The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file is composed of such pieces of information.

그 후, 강의나 세미나에서 사용되는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재생하는 순서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진행순서 정보파일(130)과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 서로간의 연결 관계를 저장하는 하이퍼 링크 정보파일(140)을 만든다.Thereafter, a progress order information file 130 for storing the presentation data used in lectures or seminars and related information is created, and a hyperlink information file 140 for storing the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the presentation materials. .

프리젠테이션 자료는 강의 진행과 동기화를 하기 위해, 즉 강의 중에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바꿀 경우를 대비한 정보가 벡터 복합 필기 데이터(120, 220)에 저장되어 있으나, 바꾸는 방법을 강사의 의지대로 바꾸는가 아니면 학습자가 원할 때 바꾸는가에 대한 정보(Navigation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이것을 별도의 파일{진행순서 정보화일(130, 230)}로 저장한다. 또한, 프리젠테이션 자료상 하이퍼 링크(Hyper Link) 정보가 있을 경우 이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140, 240)과 연결되어 학습자가 마우스 등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사용하여 하이퍼 링크(Hyper Link)를 클릭 또는 더블 클릭 등의 사건을 발생하여 선택한 경우 그 위치와 연결된 그림, 사운드, 동화상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시하거나 재생하도록 하는 정보까지 포함한다.The presentation material is stored in the vector composite handwriting data (120, 220) in order to synchronize the course progress, that is, in case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changed during the lecture. It should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when desired. This is stored as a separate file (progression order information files 130 and 230). In addition, if there is hyper link information in the presentation material, the file is connected to the files 140 and 240 containing the information, and the learner uses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to display the hyper link. If an event such as a click or double click occurs and is selected, it includes information for presenting or playing multimedia data such as pictures, sounds, and moving pictures connected to the location.

그리고, 상기 과정에서 만들어진 개별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그룹 짓는다. 즉, 하나의 파일로 합치거나 관련된 것끼리 모아 그룹을 짓는다. 그룹 짓기는 방법에 따라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구조도처럼 방식의 차이가 나타난다. 즉, 벡터를 이용한 필기(표기) 동작의 저장은 같지만, 주변 정보를 연결하는 방식은 차이가 난다. 예를 들면, 음성 파일의 경우 그 자체에 시간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그룹에서 뺄 수 있으며, 데이터 파일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룹에서 뺄 수 있다.(예, 강의에 사용한 그림을 다른 곳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면 그룹 짓는데서 뺀다.)The individual data created in the above process is then grouped as necessary. That is, they are combined into a single file or grouped together related things. According to the grouping method, the difference in method appears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at is, the storage of the writing (notation) operation using the vector is the same, but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peripheral information is different. For example, a voice file has time information on its own, so by default it can be subtracted from the group, or if the data file needs to be used individually, it can be subtracted from the group (e.g. a picture used in a lecture can If you need to use it somewhere, subtract it from grouping.)

이상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파일을 벡터 응용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160) 이라 한다.The file cre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referred to as a vector application composite multimedia file 160.

상기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을 활용하기 위해 재생기(player) 프로그램을 제작한다.A player program is produced to utilize the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상기 재생기(170)는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출력하고 그 위에 벡터 표기 정보를 음성 데이터와 함께 동시에 출력한다. 또한, 재생 및 진행 순서 정보에 따라 재생하며, 학습자(사용자)가 원하면, 반복하고 또한 원하는 곳부터 재생, 부분 재생 등을 한다. 만일, 하이퍼 링크(Hyper Link) 정보가 있다면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에 의한 입력(사건)에 반응한다.The player 170 outputs presentation data and simultaneously outputs vector notation information along with voice data. In addition, playback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layback and progress order information, and if desired by the learner (user), playback is repeated from the desired place and partial playback is performed. If there is hyper link information, it responds to an input (event) by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데이터 파일을 그룹 짓는 방법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도의 차이가 있으나, 재생기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그 구현 방법은 다음과 같다.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diagrams shown in FIGS. 1 and 2 according to the method of grouping the data files, the player is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as follows.

1) 재생기가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윈도우(Windows) 95, 3.1, OS/2와 같이 메시지를 사용하는 오퍼레이팅(Operating) 시스템이라면 메시지를 받고 윈도우로 전달(message Pumping)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연속하여 재생하는 재생 루프를 구현한다.1) If the program in which the player operates is an operating system using a message such as Windows 95, 3.1, or OS / 2, the message is played continuously using the part that receives the message and delivers it to the window. Implement a playback loop.

2) 재생 루프에서 연속하여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 만큼 나누어 읽는다. 각 데이터 덩어리(chunk)의 헤더 부분(데이터가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가진 부분)이 나타내는 정보는 현재 읽은 데이터가 벡터 표기 정보인가, 필기도구의 상태 정보인가, 프리젠테이션 정보인가, 하이퍼 링크(Hyper Link) 인가를 알려 주므로, 이 정보에 따라 재생의 방법을 달리 하여 출력한다. 이때 정확한 재생을 위하여 각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한다.2) Read data by a certain amount in succession in a playback loop. The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header part of each chunk of data (the part that contains information about how the data is organized and what characteristics) indicates whether the currently read data is vector notation or the state of the writing implement. Since information is informed of whether it is information or hyper link, it is outputted according to this information in a different reproduction method. At this time, the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each data for accurate reproduction.

3) 필기 벡터 데이터는 필기도구(붓, 스프레이와 같은 분사형 표기 도구, 지우개 포함)의 표기를 진행 시간(real time)에 만들 수 있는 좌표, 방향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메모리상의 가상 윈도우(Screen) 버퍼 2개를 설정하여 표기를 한다.(여기서 메모리상의 가상 윈도우는 보통 윈도우즈 프로그래밍에서는 메모리 디바이스 컨텍트(Memory Device Context)(Off Screen Buffer)라 한다. 즉, 컴퓨터 화면에 출력해야 할 것을 메모리 상에 표기한 뒤에 이를 다시 컴퓨터 스크린 상에 표기한다.3) The handwritten vector data contains information on the coordinates and directions that can be written in real time for writing tools (including brushstrokes, jetting tools such as sprays, and erasers). (Screen) Set up two buffers and mark them (where virtual windows in memory are commonly referred to as Memory Device Context (Off Screen Buffer) in Windows programming, ie memory that needs to be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After marking on it, write it again on the computer screen.

가상 윈도우 버퍼 하나에는 표기 이미지(image)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의 가상 윈도우 버퍼에는 마스크 이미지(Mask image)로 표기를 출력한 다음, 이를 비트 연산하여 프리젠테이션 자료가 표시 되어있는 컴퓨터 스크린에 출력하여 진행 시간에 표기한다.One virtual window buffer outputs a notation image and the other virtual window buffer outputs a notation as a mask image, which is then bit-calculated to output the presentation data on the computer screen. Write in time.

이 방법은 게임(Game)이나 에니메이션(Animation)에서 물체를 표시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연산은 다음과 같다. 마스크 이미지는 물체가 표시될 위치를 검은 색(RGB(0,0,0) 값으로 채워진 그림이고, 표기 이미지는 검은 색 배경에 표기를 출력한 그림으로, 두 그림을 배경 화면에 마스크 이미지를 AND 연산하고 이미지를 XOR 연산하여 표시한다.This is a common way to represent objects in a game or animation. The mask image is a figure filled with black (RGB (0,0,0) values where the object is to be displayed.The notation image is a figure that prints the notation on a black background. And XOR the image and display it.

4) 지우개는 배경 프리젠테이션 자료는 삭제하지 않고 표기들을 지운다. 이것은 해당 위치의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부분적으로 다시 출력하므로 구현한다.4) The eraser deletes the markings without deleting the background presentation material. This is implemented by partially reprinting the presentation information for that location.

5) 재생기(170, 250)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부터 백(BACK), 리프레이(REPLAY), 리와인드(REWIND), 원하는 지점으로부터 재생 등을 할 수 있다. 즉 1/1000 초 단위로 저장된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그러나 표기 정보는 벡터 정보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로부터 표기 정보를 재생할 경우 상당량의 시간을 소비하면서 처음부터 해당 위치까지 표기(필기)를 작성한 후, 다음 표기(필기)를 표기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를 기다리게 하여야 한다.5) The players 170 and 250 may play back, reproduce, and rewind from a desired point, and the like. That is, the location may be searched using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tored in 1/1000 second units. However, since the notation information is vector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write the notation (writing) from the beginn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ile spending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when playing the notation information from an arbitrary position. You must wait.

이를 해결하고 속도 향상을 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데이터 블록 단위로 미리 벡터를 표기로 만든 후(도 1의 150 부분) 복합 파일에 저장하고, 필요 시에 희망 재생 위지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미리 준비된 벡터 그림(키 프레임)부터 표기를 만들어 나간다.(즉 속도를 위하여 미리 준비된 스칼라 형식의 키 프레임 그림을 사용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improve the speed, the vector is written in advance in units of data blocks of a certain size (150 parts in FIG. 1), and then stored in a compound file and, if necessary, the pre-prepared place in the nearest position of the desired playback site. Start with the notation of a vector picture (key frame) (i.e. use a scalar keyframe picture ready for speed).

6) 재생기는 현재 재시된 (스크린상에 보여지고 있는)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연관된 하이퍼 링크(Hyper Link) 정보를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로부터 읽고,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 이벤트(마우스 클릭 등)에 대하여 관련된 부가 기능을 행한다. 부가 기능에는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이 있다. 참고적으로, AVI, WAV, MIDI, FLC, FLI, MOV 등을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파일 종류라 할 수 있다.6) The player reads Hyper Link information from the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associated with the presentation material (shown on the screen) that is currently replayed, and refers to this additional function related to the user event (mouse click, etc.). Is done. Additional features include general multimedia file playback. For reference, AVI, WAV, MIDI, FLC, FLI, and MOV can be referred to as general multimedia file typ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에 의하면, 강의나 세미나 등을 할 때 강사가 컴퓨터 상에서 마우스 등의 입력 도구를 사용하여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함께 표기 등을 하면서 강의한 내용을 음성 데이터와 같은 스칼라 데이터와 필기 동작과 같은 벡터 데이터 등으로 각각 파일로 저장시키고, 그 외 필요한 부수적인 정보 등을 파일로 저장시켜 멀티미디어 교재로 만듬으로써,멀티미디어 교재 제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더불어 멀티미디어 교재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간단한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강의록의 제작이 가능하며, 적은 크기의 데이터로 멀티미디어 교재의 제작이 가능한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applying the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ecturer or a seminar is performed, a lecturer uses a computer, such as a mouse, to write a presentation while using the input tool such as a mouse. Improve the productivity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by saving the contents as scalar data such as voice data and vector data such as handwriting, etc., and storing other necessary information as files to make into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expressiveness of multimedia textbooks,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multimedia lecturebooks in a simple manner,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multimedia textbooks with a small amount of data.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seen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something to do.

Claims (5)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ultimedia file using a vector, 강의에 필요한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준비하고 강의 자료의 재생 순서 등을 결정하는 제 1 단계와,The first step in preparing presentation materials for the lecture and determining the order in which the lecture materials are played; 강사가 컴퓨터 스크린상에 상기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출력한 후 그 위에서 마우스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표기 하면서 강의 한 내용을 벡터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고 강사의 목소리나 음향을 동시 녹음하는 제 2 단계와,A second step in which the instructor outputs the presentation material on a computer screen and then writes the information using a device such as a mouse on the computer screen, stor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s a vector data file, and simultaneously recording the instructor's voice or sound; 상기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진행순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와,A third step of storing information on the order of progress of each presentation material; 상기 각 프리젠테이션 자료 위에 하이퍼 링크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하이퍼 정보 파일을 만드는 제 4 단계와,A fourth step of creating a hyper information file to have hyperlink information on each of the presentation materials;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계에서 만들어진 파일들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의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로 만드는 제 5 단계와,A fifth step of making the files created in the first to fourth steps into a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using a program; 상기 벡터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하는 제 6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And a sixth step of playing the vector composite multimedia fil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강사가 표시한 벡터 정보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 하기 위하여 시간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ector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to synchronize the vector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instructor in the second step and the voice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강사가 강의중 필기도구의 종류와 색상, 두께 등을 바꿀 경우 그 시점과 특성 및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instructor changes the type, color, and thickness of the writing implement during the lecture, the viewpoint,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are stored togeth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강사가 강의중 프리젠테이션 자료가 바뀔 때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tructor stores information indicating when the presentation data changes during the le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파일 재생 방법은 먼저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출력한 다음, 그 위에 벡터 표기 정보를 음성 데이터와 함께 재생 및 진행순서 정보에 따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를 응용한 복합 멀티미디어 파일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ixth step, the file reproduction method first outputs the presentation data, and then reproduces the vector represen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and progress ord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audio data. A composite multimedia file production method.
KR1019970063308A 1997-11-27 1997-11-27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vector KR199900424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308A KR19990042475A (en) 1997-11-27 1997-11-27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v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308A KR19990042475A (en) 1997-11-27 1997-11-27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v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475A true KR19990042475A (en) 1999-06-15

Family

ID=6609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308A KR19990042475A (en) 1997-11-27 1997-11-27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v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47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31B1 (en) * 2005-01-12 2007-09-12 리이프프로그 엔터프라이시스, 인코포레이티드 Interactive apparatus with recording and playback capability usable with encoded writing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31B1 (en) * 2005-01-12 2007-09-12 리이프프로그 엔터프라이시스, 인코포레이티드 Interactive apparatus with recording and playback capability usable with encoded writ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7707A1 (en) Synchronous digital annotations of media data stream
KR100375441B1 (en) Lecture record/play method using a computer
Mackay et al. Video Mosaic: Laying out time in a physical space
Brotherton et al. Automated capture, integration, and visualization of multiple media streams
KR200400833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multimedia contents
CN109782986A (en) A kind of production method of teaching courseware, storage medium and application system
JP2895064B2 (en) Still image file method, still image reproducing device, still image file storage medium system, and still image file device
KR100850046B1 (en) Electronic lecture apparatus
KR100226946B1 (en) Data disk and method for retrieving data stored thereon
JP2736070B2 (en) Still image file editing device
KR1999004247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multimedia file using vector
JP2006053696A (en) Contents creating device, method, contents providing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688387B1 (en) method for providing animation lecture for PDA
JPH04125773A (en) Picture filing system
JP2005167822A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JPS60218155A (en) Electronic publication
KR100459668B1 (en) Index-based authoring and editing system for video contents
KR19990064823A (en) Method and storing media for controlling caption function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subscript included in moving picture
JP2001045428A (en) Moving picture processing unit, moving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402398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the cyber teaching data having multi-layer and recording medium
Hardman et al. Authoring Interactive Multimedia: Problems and Prospects
CN117692726A (en) Video and recording method and system for deck
JP2007249887A (en) Web browsing operation and annotation record reproduction system
KR100442417B1 (en)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s divided by concept unit and a processing method via the contents
JP2005236621A (en) Moving picture data prov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