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49A - 쌓임 및 포개짐 용기 - Google Patents

쌓임 및 포개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49A
KR19990037649A KR1019980701126A KR19980701126A KR19990037649A KR 19990037649 A KR19990037649 A KR 19990037649A KR 1019980701126 A KR1019980701126 A KR 1019980701126A KR 19980701126 A KR19980701126 A KR 19980701126A KR 19990037649 A KR19990037649 A KR 19990037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acking
stacking means
stacked
relative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클리브 롭터스
데이비드 존 타운슨
Original Assignee
한라티 데리
멕케츠니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티 데리, 멕케츠니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한라티 데리
Publication of KR1999003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 B65D21/043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 B65D21/045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about 180°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두 개의 용기가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 2 유사 용기가 내부에 포개어지도록 하고, 두 개의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 2 유사 용기가 그 위에 쌓일수 있도록 용기(10)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12)로 표시되는 쌓기수단은 전술한 쌓임 또는 포개어짐이 가능한 집어 넣어진 위치(도면의 좌측) 및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용기가 쌓이도록 상기 쌓기수단(12)이 용기의 포개어짐을 방지하는 위치인 쌓임위치를 가진다.

Description

쌓임 및 포개짐 용기
본 발명은 서로 쌓이거나 포개어지도록 설계되는 유사한 용기(container)에 관한 것이다.
영국 특허 번호 제 1270340호에서 개시되고 있고, 여기에서 쌓기수단/포개짐 용기로 표시되는 종래의 용기 스타일중 하나는 서로 쌓이고 포개어진다. 이러한 스타일에서는, 제 1 상대적 방향에서는 하나의 용기가 아래의 용기내부에 포개어지고, 일반적으로 수직축에 대하여 180°만큼 상대적 방향이 변경되면, 아래의 용기상에 쌓이도록 설계된다. 몇몇 디자인에서는, 용기 모두가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을 때 쌓이고, 교호적으로(alternately) 정렬될 때에는 포개어 진다. 다른 디자인에서는, 정확한 정렬상태에서 포개어지고, 교호적 졍렬상태에서 쌓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용기가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제 2 의 유사한 용기가 내부에 포개어지고, 두 개의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제 2의 유사한 용기가 그 위에 쌓이도록 형성되는 용기가 제공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쌓기와 포개어짐이 가능한 집어 넣어진 위치(stowed position) 및, 제 1 상대적 방향에서 용기가 쌓일수 있도록 쌓기 수단이 포개어짐을 방해하는 위치인 쌓기 위치를 가지는 쌓기 수단(stacking means)이 제공된다.
쌓기 수단에 의하여 주어지는 쌓이는 높이는 쌓기 수단이 채워져 있을 때 가능한 쌓이는 높이와는 다를 것이며, 그 높이는 쌓기수단이 채워져 있을 때 포개지는 높이와 쌓이는 높이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쌓기수단은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쌓이도록 하기 위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상대적 방향은 수직축에 대하여 180°만큼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용기 바닥에 또는 그 내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로부터 쌓기 위치로 힌지 또는 선회수단과 같은 것에 의하여 변환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가 바닥 및 위로 연장되는 벽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쌓기수단은 벽의 기부(基部, bottom)에 장착될 수 있다.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그 쌓기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바닥내에 홈(recess)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바닥 상부면위로 돌출하지 않게, 쌓기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홈은 충분히 깊다. 쌓기수단을 쌓기수단위치 및 집어 넣어진 위치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내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수단(detente means)이 제공될 수 있다.
쌓기수단은 쌓기수단위치에서 아래로부터 유사한 용기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상대적 위치에 있을 때 용기가 쌓일 수 있도록, 용기는 제 2 의 유사한 용기와 맞물리는 쌓기 구조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집어 넣어진 위치와 쌓기수단 위치 사이에서 쌓기수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유사한 용기가 내부에 포개어지도록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포개어짐이 가능한 집어 넣어진 위치 및 포개기 위하여 쌓기수단이 하나의 용기가 다른 용기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함으로써 유사한 용기를 쌓을 수 있는 쌓기수단위치를 가지는 쌓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용기의 바닥 또는 용기바닥내에 위치한다.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용기의 바닥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다.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로부터 쌓기 위치로 힌지 또는 선회수단과 같은 것에 의하여 변환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가 바닥 및 위로 연장되는 벽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쌓기수단은 벽의 기부(基部, bottom)에 장착될 수 있다.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그 쌓기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바닥내에 홈(recess)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바닥 상부면위로 돌출하지 않게, 쌓기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홈은 충분히 깊다. 쌓기수단을 쌓기수단위치 및 집어 넣어진 위치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내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수단(detente means)이 제공될 수 있다.
쌓기수단은 쌓기수단위치에서 아래로부터 유사한 용기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집어 넣어진 위치와 쌓기수단 위치 사이에서 쌓기수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는 두 용기가 제 1 상대적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 의 유사 용기를 내부에 포개고, 두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 2 의 유사 용기를 상기 용기상에 쌓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들이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쌓기수단이 포개어짐을 방지하기 것이 바람직하다.
쌓기 수단에 의하여 주어지는 쌓이는 높이는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가능한 쌓이는 높이와는 다르며, 그 높이는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가능한 포개지는 높이와 쌓이는 높이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쌓기수단은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쌓이도록 하기 위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상대적 방향은 수직축에 대하여 180°만큼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용기가 쌓일 수 있도록 제 2 유사용기와 인게이지하는 쌓기구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하나의 예시로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에 대한 부분적인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2는 쌓기수단이 쌓기위치(오른쪽) 및 포개짐 위치(왼쪽)에 있을 때의 배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중앙평면에서 분할되되어 있고, 용기 내부에서 본 한 쪽 벽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다른 쪽 벽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고하면, 용기 10이 아래에서 더 완전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두 용기가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 2 유사용기가 내부에 포개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사용기는 두 용기가 제 2 상대적 위치에 있을 때에는 용기상에 쌓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12로 표시되는 쌓기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쌓기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은 쌓기수단과 포개짐이 가능한 집어 넣어진 위치(stowed position, 도 1에 도시)와,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용기가 쌓일 수 있도록 쌓기수단이 포개짐을 방지하는 쌓기수단위치(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됨)를 가진다.
더 상세하게는, 용기 10는, 용기가 비슷하게 정렬되면 포개어지고, 용기가 수직(축) 주위로 180°회전함으로써 교호적으로 바뀌는 때에는 쌓이는 쌓기수단/포개짐 용기이다. 용기 10는 바닥(base) 14과, 두 개의 측벽 16 및 두 개의 끝벽 18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벽 16이 비교적 길고, 벽 18이 비교적 짧으나, 이러한 관계는 바뀔 수도 있으며, 모든 벽들이 같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벽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많은 방법에 의하여 구멍이 뚫어져 있다. 림(rim) 20은 벽 16의 상단에서 전체 외주(periphery) 둘레에서 연장한다. 벽 16, 18은 내부로 경사져 있어서, 바닥 14의 평면도가 림(rim) 20 가장자리의 평면도보다 작다. 다양한 노치 구조(notch formation) 22가 용기의 입구 주위에서 림 20 바로 안쪽에 제공된다. 한쪽 끝벽 18A에는 벽 18A의 최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노치 22가 있다. 다른 쪽 끝멱 18B에는 용기 구석의 벽 18B 끝에 두 개의 노치 22가 있다. 세 개의 노치 22가 측벽 16을 따라서 제공되지만, 중앙에 대하여 대칭인 것은 아니다. 하나는 끝벽 18b에 있는 노치와 합쳐지고, 나머지 두 개는 벽 16을 따라서 떨어져 있지만, 끝벽 18A와 만나는 구석에는 노치 22가 존재하지 않는다.
위에서 보았을 때 조치 22의 분포가 비대칭이라는 것은 도 1로부터 명백하다.
10개의 다리(foot)가 벽 16, 18의 하부 가장자리 주위의 외면에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다리 24는 노치 22와 대응된다(따라서, 두 개의 합쳐진 다리가 측벽 16과 끝벽 18B이 만나는 곳에 있는 합쳐진 노치에 대응된다). 각각의 다리(foot) 24는 노치 22에 의하여 지지되는 중량을 대응되는 다리 24로 빠져나오게 하는 경사진 버팀목(strut) 26에 의하여 대응되는 노치 22에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다리 24의 분포는 그 분포가 수직축에 대하여 180°만큼 회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노치 22의 분포와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만일 림(rim) 20이 수직축 주위로 바닥 14에 대해 개념적으로 180°만큼 회전한다면, 다리 24는 각 노치 22의 바로 밑에 있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만일 용기가 제 2 용기에 대하여 수직축 주위로 180°만큼 회전했다면, 하부 용기상에 있는 노치 22와 맞물리도록 상부 용기의 다리 24를 낮춤으로써 두 개의 용기가 쌓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 각각이 쌓일 수 있도록 용기의 방향을 교호적으로 함으로써 완전하고 견고한 쌓기수단이 형성된다. 쌓인 용기의 중량은 지그재그 형태의 일련의 버팀목 26을 통하여 아래로 전달된다.
다리 24와 노치 22가 맞물리는 방법 및 그 결과 생기는 디자인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 범주내에 들며, 그 자체가 본 발명을 형성하지는 않는다. 그 들의 형태는 예측되는 중량, 제작재료 및 제작기술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전술된 비대칭에 의해서도 용기가 포개어질 수 있다. 용기들이 서로 동일한 방향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노치 22가 없기 때문에, 상부 용기의 다리 24와 버팀목 26은 하부 용기 내부로 내려질 수 있다. 용기가 더욱 더 내려지면,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림 20이 서로의 윗쪽에 (그리고 서로의 위에 얹혀진다) 있게되고, 두 용기의 버팀목 16이 서로 (경사져서) 접하고. 다리 24는 다른 다리의 위에 인접하여 (서로의 위에 얹혀지게) 놓이게 되는 완전하게 포개어진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두 용기의 바닥 14이 서로 가까워진다. 이는 빈 용기를 운반할 때 유용한 통상적인 콤팩트 상태가 된다.
전술된 포개어짐 및 쌓임 배치로 인하여, 저장과 복귀운반시에는 콤팩트하게 포개어 지고, 용기가 채워져 있을 때의 쌓일 수 있다. 쌓기 수단 12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용기가 단지 부분적으로만 채워져 있을 때에는 중간 높이로 쌓일 수 있게 한다.
각각의 쌓기수단 12은 용이한 조작을 위한 손잡이로 작용하는 바(bar) 32에 의하여 연결된 두 개의 단부 구조 30를 가진다. 단부 구조 30는 용기 10의 구석부분에 있다. 쌓기수단 12은 도 2와 3의 왼쪽에 도시되어 있는 집어 넣어진 위치로부터 도면의 오른쪽에 도시되어 있는 쌓임위치로 회전하기 위하여, 용기바닥 또는 끝벽 18의 바닥가장자리에 대하여 경첩식으로 움직이거나 선회한다.(집어 넣어진 위치 또는 쌍임 위치에 있을 때, 도 2와 3 각각의 좌우측은 거울상이 됨으로써, 끝벽 18 중간의 수직면에서 도면을 분할하여 집어 넣어진 위치 및 쌓임위치가 같은 도면상에 도시된다.)
쌓기수단 12가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채널 34내에 놓일 수 있도록, 바닥 14은 쌓기수단 12의 외형과 보상적인 채널 홈(channel recess) 34을 구비하고 있다.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쌓기수단 12의 상부표면이 바닥 14의 상부표면 높이와 같거나 더 아래에 있도록 채널 34이 충분히 깊은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에는, 쌓기수단 12을 집어 넣어진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간단한 똑딱단추(snap catcher)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단부구조 30은,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상향 다리 36와 크로스바(cross bar) 38로 이루어진 일반적으로 원호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바 32를 들어올리는 것과 같은 작동에 의하여, 양 구조 30이 함께 상승할 수 있도록 바 32가 구조 30 사이에서 연장한다. 완전한 쌓기수단 12은,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 단일 요소이다. 도 2에 도시된 쌓기수단 12은 손잡이(lug) 40의 위치에 있어서만 도 3의 쌓기수단과 다르다. 도 2의 끝벽 18B에 인접하는 곳에서는, 손잡이 40가 바깥쪽 상승부 36의 상단에서 (들어올려 졌을 때) 크로스바 38을 지나 위로 연장한다. 도 3에 도시된 쌓기수단 12에서는, 끝벽 18B에 인접하여, 손잡이 40가 안쪽 상승부 36의 상단에서 (들어올려 졌을 때) 크로스바 38을 지나 위로 연장한다. 둥근 원호 또는 구명이 뚫려있지 않은 판부재 등을 포함하는 많은 다른 구조 30 디자인이 사용될 수 있다.
중앙선으로부터의 손잡이 40의 거리는 중앙선으로부터 끝벽 18상에 있는 다리(foot) 24 까지의 거리와 동일함을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알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 용기가 동일한 방향을 가지지만, 하부용기의 쌓기수단 12이 들어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제 2 용기가 하부 용기내로 내려졌을 때, 상부 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하게 포개어진 상태로 하향이동할 수 없다. 대신에, 다리 24가 손잡이 40와 접촉하고 더 이상의 하향이동이 제한받기 때문에, 쌓기수단 12이 방해하게 된다. 상부 용기의 중량은 쌓기수단 12에 의하여 지탱되고, 상부 용기는 중간상태의 쌓인위치내에서 지지된다. 이러한 중간 쌓임위치는 전술한 완전하게 포개어진 상태 및 용기가 서로에 대하여 180°만큼 회전하였을 때 가능해지는 쌓임위치 사이의 중간상태이다.
반대로, 쌓기수단이 홈 34내에 놓여져 내려져 있을 때에는 포개어진다.
손잡이 40가 다리 24와 맞물리는 방법 및 노치가 손잡이에 제공되든지 또는 아래로부터 바닥 14의 간단한 접합부(abutment)가 있는지에 대한 여부, 또는 다른 사용 설비는, 특히, 사용되는 노치 22와 다리 24의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쌓기수단 12이 들어올려졌을 때, 하부 용기가 180°만큼 회전하는 경우에는 손잡이 40가 노치 22가 점유하는 위치 바로 아래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손잡이 40가 노치 22를 꼭 닮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술된 용기가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셩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설비 및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일탈하지 아니하고, 전술된 용기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변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용기가 비슷한 방향을 가질 때 쌓여지고, 180° 또는 다른 양만큼 회전했을 때 포개어지도록 분포되어 있는 노치 및 다리(feet)를 가지는 용기에 일반적으로 전술된 형태의 쌓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노치와 다리는 예를 들면 기둥(pillar)과 공백(void)과 같은 많은 다른 대체물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특별하게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본 발명의 특성에 주안점을 두어 기재되었으나, 본 출원인은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든 아니든 간에 도면에 도시되고 그를 참고로 하여 기술된 특허가능한 특징 및 특징들의 조합에 대한 보호를 주장하는 바이다.

Claims (36)

  1. 두 개의 용기가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 2 유사 용기가 내부에 포개어지도록 하고, 두 개의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 2 유사 용기가 그 위에 쌓일수 있도록 형성되고, 쌓기수단을 구비하는 용기로서,
    상기 쌓기수단은 전술한 쌓임 또는 포개어짐이 가능한 집어 넣어진 위치(stowed position) 및 용기가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용기가 쌓이도록 쌓기수단이 용기의 포개어짐을 방지하는 위치인 쌓임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에 의하여 주어지는 쌓임 높이는, 상기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져 있을 때 가능한 쌓임 높이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쌓기수단에 의하여 주어지는 쌓임 높이는,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져 있을 때의 포개어짐 높이와 쌓임 높이의 중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전술한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쌓일 수 있도록 맞물리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전술한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상대적 방향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180°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전술한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용기 바닥 또는 그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전술한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로부터 쌓임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힌지(hinge) 또는 선회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이 바닥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이 용기 바닥으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벽의 기저(bottom)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전술한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쌓기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내에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닥의 상부표면 너머로 돌출하지 않도록 쌓기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충분히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을 집어 넣어진 위치와 쌓임위치중 하나 또는 양 위치 모두에 유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전술한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사용시 용기가 쌓임위치에 있을 때 아래로부터 유사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전술한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용기가 쌓일 수 있도록 제 2 유사 용기와 맞물리는 추가적인 쌓기구조(stacking formation)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전술한 한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집어 넣어진 위치 및 쌓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쌓기수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유사한 용기를 내부에 포갤수 있고, 쌓기수단을 구비하는 용기로서,
    상기 쌓기수단은 포개어짐이 가능한 집어 넣어진 위치(stowed position) 및 상기 쌓기수단이 하나의 용기가 다른 용기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유사 용기가 쌓일 수 있도록 하는 쌓임위치를 가지며,
    상기 쌓임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용기 바닥 또는 그 바닥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용기 바닥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집어 넣어진 위치로부터 쌓임위치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이 힌지 또는 선회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용기의 바닥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는 바닥 및 위로 돌출하는 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 17 항 내지 제 20 항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이 용기 바닥으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벽의 기저(bottom)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이 집어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그 쌓기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바닥내에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쌓기수단이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닥의 상부표면 너머로 돌출하지 않도록 쌓기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충분히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5. 제 17 항 내지 제 24 항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을 집어 넣어진 위치와 쌓임위치중 하나 또는 양 위치 모두에 유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제 17 항 내지 제 25 항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용기가 쌓임위치에 있을 때 아래로부터 유사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 17 항 내지 제 26 항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집어 넣어진 위치 및 쌓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쌓기수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제 17 항 내지 제 27 항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용기가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 2 유사 용기가 내부에 포개어지도록 하고, 두 개의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 2 유사 용기가 그 위에 쌓일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용기가 제 1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상기 쌓기수단은 용기가 포개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에 의하여 주어지는 쌓임 높이는 제 2 상대적 방향에서 가능한 쌓임 높이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에 의하여 주어지는 쌓임높이는,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가능한 포개짐 높이 및 쌓임 높이의 중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2. 제 28 항 내지 제 31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쌓기수단은 용기가 제 2 상대적 방향에 있을 때 쌓일 수 있도록 맞물리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제 2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상대적 방향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180°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4. 제 28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상대적 방향에서 상기 용기가 쌓이도록 제 2 유사 용기와 맞물리는 추가적인 쌓기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5.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용기.
  36. 전술한 항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발명범위 내이거나 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지에 무관하게, 개시된 어떠한 신규한 내용 또는 신규한 내용을 포함하는 조합.
KR1019980701126A 1995-08-16 1996-08-15 쌓임 및 포개짐 용기 KR199900376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516739.1A GB9516739D0 (en) 1995-08-16 1995-08-16 Stacking and nesting containers
GB9516739.1 1995-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49A true KR19990037649A (ko) 1999-05-25

Family

ID=1077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126A KR19990037649A (ko) 1995-08-16 1996-08-15 쌓임 및 포개짐 용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0848684B1 (ko)
JP (1) JPH11511098A (ko)
KR (1) KR19990037649A (ko)
CN (1) CN1198719A (ko)
AT (1) ATE194570T1 (ko)
AU (1) AU713758B2 (ko)
BG (1) BG102327A (ko)
BR (1) BR9610223A (ko)
CA (1) CA2228160A1 (ko)
CZ (1) CZ37298A3 (ko)
DE (1) DE69609335D1 (ko)
GB (1) GB9516739D0 (ko)
HU (1) HUP9802365A3 (ko)
IL (1) IL123292A0 (ko)
IS (1) IS4666A (ko)
NO (1) NO980567L (ko)
NZ (1) NZ315733A (ko)
PL (1) PL324976A1 (ko)
SK (1) SK18098A3 (ko)
TR (1) TR199800234T1 (ko)
WO (1) WO1997007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4702A (en) * 1996-05-03 1999-09-21 Baxter International Inc. Interface geometry for adhesive bonds
US6036676A (en) * 1996-05-03 2000-03-14 Baxter International Inc. Surface modified polymeric material formulation
US6187400B1 (en) 1996-05-03 2001-02-13 Baxter International Inc. Medical tubing and pump performance enhancement by ionizing radiation during sterilization
US5932307A (en) * 1996-05-03 1999-08-03 Baxter International Inc. Oriented medical tubing
US6506333B1 (en) 1996-05-03 2003-01-14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surface modifying a medical tubing
US6328716B1 (en) 1996-05-03 2001-12-11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using medical tubings in fluid administration sets
GB9701076D0 (en) * 1997-01-20 1997-03-12 Mckechnie Uk Ltd Stacking and nesting containers
US6073793A (en) 1998-06-16 2000-06-13 Rehrig Pacific Company Stackable low depth bottle case
US6260706B1 (en) 1999-10-29 2001-07-17 Rehrig Pacific Company Multi-purpose tra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2073A1 (de) * 1970-01-19 1972-03-02 Boettiger & Co Obststeige
US3951265A (en) * 1974-07-29 1976-04-20 Phillips Petroleum Company Three-level stacking container
USRE32223E (en) * 1982-05-24 1986-08-12 Pinckney Molded Plastics, Inc. Multilevel stacking container
US4643310A (en) * 1984-09-20 1987-02-17 Buckhorn Material Handling Group, Inc. One hundred eighty degree stack and nest bakery tray with bails
US4720013A (en) * 1986-08-28 1988-01-19 Bradford Company Nestable and stackable tray
DE8813200U1 (de) * 1988-10-21 1989-06-29 Panick, Hans-Dieter, 33378 Rheda-Wiedenbrück Nestbarer Kasten
DE4228819A1 (de) * 1992-08-29 1994-03-03 Transport & Lagertechnik Stapelbarer Transportkasten
IT1271613B (it) * 1994-10-18 1997-06-04 Pavoni Italia Srl Perfezionamento ai contenitori a doppia modalita' di impilatura, incassata per panini imbottiti mediante alette di appoggio per una terza modalita' ribalta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8684A1 (en) 1998-06-24
HUP9802365A2 (hu) 1999-01-28
IS4666A (is) 1998-02-12
CZ37298A3 (cs) 1999-06-16
PL324976A1 (en) 1998-06-22
WO1997007033A1 (en) 1997-02-27
GB9516739D0 (en) 1995-10-18
ATE194570T1 (de) 2000-07-15
BR9610223A (pt) 1999-12-21
AU6750096A (en) 1997-03-12
IL123292A0 (en) 1998-09-24
MX9800984A (es) 1998-09-30
CA2228160A1 (en) 1997-02-27
TR199800234T1 (xx) 1998-05-21
JPH11511098A (ja) 1999-09-28
BG102327A (en) 1998-11-30
NO980567D0 (no) 1998-02-10
EP0848684B1 (en) 2000-07-12
NO980567L (no) 1998-02-10
CN1198719A (zh) 1998-11-11
NZ315733A (en) 1999-10-28
SK18098A3 (en) 1998-06-03
AU713758B2 (en) 1999-12-09
DE69609335D1 (de) 2000-08-17
HUP9802365A3 (en) 2000-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3813A (en) Multilevel stacking container
USRE32223E (en) Multilevel stacking container
US7823728B2 (en) Storage container with support structure for multiple levels of nesting
US20070246393A1 (en) Portable storage container
JP2004524239A (ja) 積重ね可能な浅型トレー
US8056723B2 (en) Collapsible container
JPH10324337A (ja) 積重ね可能な浅い瓶ケース
CZ296665B6 (cs) Prepravní kontejner
WO2000066440A1 (en) Collapsible container provided with a stacking ledge
JP2005501781A (ja) 積重ね可能な浅底トレー
GB2257422A (en) Stackable collapsible containers
US4304334A (en) Nestable and stackable bottle case
CN101500898B (zh) 具有堆积装置的容器组件
KR19990037649A (ko) 쌓임 및 포개짐 용기
US3700137A (en) Produce shipping container
CA1324355C (en) Crate
JPH11139434A (ja) 積み重ね可能なボトルケース
US6394296B1 (en) Folding bulk container
US6386365B1 (en) Nesting stacking crate
CA2998008A1 (en) Beverage crate
WO1993024380A1 (en) Collapsible crate
JPH02163217A (ja) スペーサ要素
KR20000070328A (ko) 적층 및 안착 컨테이너
JPH0356508Y2 (ko)
MXPA98000984A (en) Stackable containers and encaj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