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935A - Car door lock (latch) - Google Patents

Car door lock (la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935A
KR19990026935A KR1019970049252A KR19970049252A KR19990026935A KR 19990026935 A KR19990026935 A KR 19990026935A KR 1019970049252 A KR1019970049252 A KR 1019970049252A KR 19970049252 A KR19970049252 A KR 19970049252A KR 19990026935 A KR19990026935 A KR 19990026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gear
locking
hou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49478B1 (en
Inventor
조현규
Original Assignee
조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규 filed Critical 조현규
Priority to KR101997004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478B1/en
Priority to PCT/KR1997/000195 priority patent/WO1999000572A1/en
Priority to AU45750/97A priority patent/AU4575097A/en
Publication of KR1999002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9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47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의 도어의 개방에 있어 기계적인 수단을 베제하고,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하여 도어로크의 구성부품들이 정확한 작동을 발생케하여 도어의 개방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remove the mechanical means for opening the doors of various automobiles, by the electric drive means to cause the components of the door lock to generate accurate operation of the door It is about improving the open function.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록에 있어서, 래치기어(20)의 일측에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이 구비되고, 타단에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에 연동되는 걸림돌기(31' )과 연결구(301)이 형성된 특징의 폴기어(30)를 구성하며, 상기 폴기어(30)에는 전기 신호에 의해 당김작동되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가 하우징(10)의 통공(10')에 관통되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와 결합 연계설치하고, 폴(로킹플레이트)기어의 걸림돌기(31' )에 작용되는 수동 언록킹 레버 기어(51a)를 형성하는 록 하우징블록(1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걸림돌기(31')하부에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고, 이에 연결구(302)가 형성되어 블록의 통공(10'')을 관통하여 보호관(301)으로 둘러쌓인 작동기기(312)가 수동조작레버(313)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하우징 블록(10)내부에 배설하여 구동수단(40)이 고장시에 대비하여 비상시에 수동작동으로도 도어를 개방할수 있게 하여 도어의 개방기능과 괘정 및 해정 기능을 향상시켰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lock of a vehicle, a locking projection 31 of a pawl (locking plate) gear 30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2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atch gear 20, and the other end is manually unlocked. A locking gear 30 having a locking projection 31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lever gear 51a and a connector 301 are formed, and the folding gear 30 is driven by an electric signal. The operating device 41 of the 40 is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0 'of the housing 10 to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and the locking projection 31' of the pole (locking plate) gear. A lock housing block 10 is formed to form a manual unlocking lever gear 51a acting on the lock housing. Also, a manual unlocking lever gear 51a is disposed under the locking projection 31 ', and the connector ( 302 is formed and the operating device 312 surrounded by the protective tube 301 through the through hole 10 ″ of the block is coupled with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In addition, the components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block 10 so that the drive means 40 can open the door even by manual oper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thereby improving the door opening function and the locking and unlocking function. I was.

이와 같이 발명된 전동식 도어록은, 기존 기계식 도어록본체의 해정시 각종 도어손잡이 등에 연결되는 행가로드 또는 록킹레버기어 및 도어로크의 하우징 외부에 외접되어있는 복잡한 구조의 조립된 기기들을 완전 제거함으로서 도어록 구조를 간단히하여 설계와 제작 및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을 뿐만아니라, 특히 도어록 구성부품을 밀폐장착시킬 수 있는 하우징 블록(10)을 발명하여 도어록 구성의 주요부품들을 커버케이스(11)로 복개 결합하여 도어록의 주요 구성부품들을 도어록 하우징 블록(10)의 외부에 전혀 노출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차유리 틈사이로 비 정상적인 도구의 침입,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함에 따라 도난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lectric door lock invented as described above completely removes the hanger rod or locking lever gear connected to various door handles when the mechanical door lock main body is released, and the assembled devices of the complicated structure externally circumscribed outside the housing of the door lock. In addition to the economic advantages that can shorten the design,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simply, invented a housing block 10 that can be hermetically mounted door lock components to cov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door lock configuration (11) Since the main components of the door lock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lock housing block 10 at the same time, theft is almost completely prevented by preventing intrusion of abnormal tools and malfunction due to manipulation in advance. It can work.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로크 (래치)Door lock of car (latch)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 및 도어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하고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계적작동 구조의 도어록을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되게 하여 도어의 열림 및 괘정 또는 해정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게 한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로크이며, 전기적 온, 오프 신호전환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door locking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open the door by operating the door lock of the mechanical operation structure that provides the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and unlocking the doors of various vehicles by an electrical signal And an electric door lock of a motor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a ruled or unlocked function, and relates to a system of ruled and unlocked operation by switching electric on and off signals.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도어 록은 도난 방지를 주 목적으로 하는 특수성 때문에 보안 안전성을 고취하는 차원에서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근래에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도어의 록(잠금) 및 언록(잠금해제)의 부분적 기능만 제어하게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공지된 바 있다.In general, door locks installed in automobile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security safety due to the special purpose of preventing theft, and in recent years, the part of lock (lock) and unlock (unlock) of the door by electric signal has been developed. Techniques for controlling only function have been studied and known.

종래 공지된 기술로서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도어로크의 구조로서의 현재 상용되고있는 기계식 도어로크는 운전자의 인력에 의하여 도어핸들을 당겨, 도어 핸들의 기계적 부품인 도어핸들 행가에 연결된 와이어로드 및 스틸로드를 이용하여, 도어록 하우징 외부에 외접되어있는 중간 록킹 레버에 연결된 로킹 플레이트 기어 및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기계적인 작동방법을 이용하여 도어로크를 해정시켰고, 현재도 도어의 개방만큼은 기계식 방법에 의하여 조작되고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6A to 6C as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a mechanical door lock currently used as a structure of an existing door lock pulls the door handle by the driver's manpower, and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hanger which is a mechanical part of the door handle. Using the wire rod and steel rod, the main parts of the locking plate gear and the door lock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locking lever externally outside the door lock housing were unlocked by mechanical operation method. It is being operated by a mechanical method.

즉, 도어 패널(P)안에 록, 언록 푸시풀 노브버튼(B)작동에만 적용 사용하는 전자적 기기 액츄레이터(A) 및 솔레노이드기기의 사우드 및 연결로드 및 조립 조인트등의 부품들이 노출되어 있으며, 기존 자동차의 록, 언록 전자 제어시스템인, 액츄레이터 및 솔레노이드 기기는 운행 중지 후에도 계속해서 전원이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외부 유리사이로 자대(평철)나 갈고리등으로 충격을 가하면 온(ON)작용이 되어 언록(잠금해제)이 되어 오디오 및 차내의 중요 부품들이 도난 당하거나 자동차의 절도가 가능하였던 것이며,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례로서 선출원발명(공개 번호 92-660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문 잠금 기구와 내부 조작장치와 잠금손잡이 및 액츄레이터를 구비한 자동차의 문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손잡이와 내부 손잡이 조작장치의 조작에 의해 도어로크의 해정 및 괘정상태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에 의해 자동잠금 및 해제수단의 전자기기인 액츄레이터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수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식 도어록킹 시스템이 공개된바 있으며, 또한 도 6b, 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자동식 도어로크의 록(잠금) 구조에 있어서도 아무리 고급차라도 도어의 열림작동은 기계식 구조로 제작 조립 되어 있고, 반자동식이라고 할 수 있는 도어 패널 안의 전자 부품들인 액츄레이터 및 솔레노이드등의 전자 기기들이 중간 연결 로드(F)로 록킹 레버기어(H)나 로킹플레이트 기어(G)에 간접적으로 연결시켜 액츄레이터 및 솔레노이드의 전자기기만 온, 오프 스위치로 작동시켜 제어하였을 뿐, 주요 연결되어 있는 부품들은 도어 패널 내부에서 노출시켜 놓고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parts of the electronic device actuator (A) and solenoid devices, including sound, connecting rods and assembly joints, which are applied only to the operation of the lock and unlock push-pull knob buttons (B) are exposed in the door panel (P). The lock and unlock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car, the actuator and the solenoid device, we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even after the vehicle was shut down. Unlocked) and the key parts of the audio and car were stolen or stolen. Also,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the door lock mechanism and the interior are shown a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ublication No. 92-6603). In a door lock structure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control device, a lock handle and an actuator, the lock handle and the inner handle control device. An electronic door locking system has been disclosed, which comprises control means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to an actuator,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of automatic locking and releasing means, by means of judg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unlocking and latching state of the door lock by opera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b, c, even in the high-speed car lock (lock) structure of the semi-automatic door lock,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a mechanical structure, the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door panel that can be called semi-automatic Electronic devices such as actuators and solenoids ar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locking lever gear (H) or the locking plate gear (G) with intermediate connecting rods (F) to operate only the actuator and solenoid's electronics with on and off switches. The main connected parts are exposed inside the door panel.

미설명 부호인 C, D, E, I 는 이미 알려진 도어 패널 및 기계적 구성요소로서 C는 기계식 도어 로크, D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 행가로드, E는 푸시풀 노브·록버턴 로드, I는 키록실린더 및 연결 로드이다.Reference numerals C, D, E and I are known door panels and mechanical components, C is a mechanical door lock, D is an inside door handle hanger rod, E is a push-pull knob / lock button rod, I is a key lock cylinder and Connection loa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어패널 내부에 길게 늘어져 있는 중간로드 및 다수의 연결 조인트등의 정밀 결합 규격을 맞추지 못하여 부정확한 오작동으로 인한 잦은 고장과 복잡한 부품구조로 인하여 조립공정의 비효율적인 요소로 제작 원가를 가중시켰으며, 도어패널안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부품들이 도어 패널과의 접촉으로 인한 잡음등으로 인하여 승차감을 저해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fails to meet the precision coupling specifications such as the intermediate rod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joints that are stretched inside the door panel, resulting in infrequent malfunctions due to incorrect malfunctions and complicated parts structure, resulting in inefficient manufacturing costs. In addition, various parts exposed in the door panel had a problem that the riding comfort was impaired due to noise caused by contact with the door panel.

또한 상기의 기계식 도어로크는 각 주요 부품의 연계 시스템 부품들이 도어패널안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외부 유리틈새를 통해 평철이나 갈고리 등의 비정상적인 도구를 침투 활용하여 도어 패널안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부품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나, 특정기기인 만능 키 등의 활용으로 쉽게 강제 해정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echanical door lock is exposed to the door panel by infiltrating abnormal tools such as flat iron or hook through the glass gap of the door because the system parts of each main part are exposed in the door panel. In case of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forced to be easily released by utilizing a specific device such as a universal key.

그러므로 외부 유리 사이로 자대(평철) 또는 갈고리등을 침투시켜 록킹레버 및 이를 연결하는 로드 및 부품등에 충격을 가하여 도어를 강제 해정시킬수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oor was forced to be released by applying a shock to the locking lever and the rod and parts connecting the same by penetrating the magnetic pole (flat iron) or the hook through the outer glass.

다만 고급차종은 비정상적으로 해정되었을 때, 각종 도난 경보 기능이 작동되게 하였던 것이 있었으나, 일단 도어가 열리고 나면 신속한 동작으로 도난경보기를 제압하거나 귀중품들을 절도하거나 자동차의 절도가 가능하였던 것이다.However, when luxury cars were abnormally unlocked, various burglar alarm functions were activated, but once the door was opened, it was possible to overpower the burglar alarm, steal valuables, or steal the car with rapid opera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중 기계식 도어로크장치의 선출원발명(공개 번호 92-6603)에서는 기존 도어록의 구조적 문제점만 짚어 개론하였지, 문제점 해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이 추상적인 개론만 전개하여 놓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록의 설계함에 외부에 노출된 기기들이나 불필요한 부품들 제거하여, 주요 구성 부품들만 밀폐장착시켜 보안의 향상을 높이는 방법은 개론시키지 못하였으며, 반드시 전자식 방법으로 작동시키는 도어록을 설계하려면 기존 도어록의 내외부에 부착되어있는 각종 부품들을 제거 및 정리하고 전자적기기의 연계구동되는 새로운 부품의 개발을 설계해야함에도 언급이 없고 추상적인개론만 펼쳐 나갔고, 전기적 신호로 작동되는 전자식 도어록이라면 전기에너지의 단전 및 전기적 구동수단의 고장시에 대비하여 비상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기능의 구성시스템을 전개하지도 않았을 뿐만아니라, 전기적 신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도 2중 3중 복잡한 구조의 제어시스템을 설계하여 불필요한 중간 매개체를 만들어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였다.However, in the prior art of the prior art (door No. 92-6603) of the mechanical door lock device of the prior art, only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existing door locks were discussed. In other words, the design of the electronic door lock is removed to remove the devices or unnecessary parts exposed to the outside, and only the main components are hermetically mounted to improve the security. To design, it is necessary to remove and arrange various parts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xisting door lock, and to design the development of new parts that are connected and driven by electronic devices. Energy disconnection and electrical Not only did we develop a system of manual operation functions that can be operated in an emergency in case of failure of the vehicle, but also in the electrical signal control system, we designed a control system with a complex structure of triple triples to make unnecessary intermediate media. It did not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어록의 주요 구성부품 및 주요 부품을 밀폐장착시킬 수 있는 하우징 블록(10)을 발명하여 도어록의 주요 구성부품을 밀폐장착시켜 하우징 블록외부에는 부품들이 절대 노출되지 않게 설계하여 보안을 완벽하게 구상하였고, 본발명자의 전기적 신호 제어수단의 발명에 있어, 메인 전원 에너지를 직렬 연결시스템으로 전기회로를 설계하여 최종적인 기기의 도어록의 전기적 구동수단(40)에 전기에너지를 직렬방법으로 공급하여 구동수단(40)의 당김 운동 에너지로 작동기기(41)를 통하여 도어록의 구성 부품에 직접 전달되어 작동케함으로써 통상의 단순구조와는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고 보아진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venting a housing block 10 capable of hermetically mounting the main components and main components of the door lock to hermetically mount the main components of the door lock By designing the parts to never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lock, the concept of security is perfectly envisioned. In the invention of the electric signal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ors, the main circuit energy is designed by the series connection system to design the electric circuit to the final door lock By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electric drive means 40 in a series method, the kinetic energy of the drive means 40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omponents of the door lock through the operating device 41 to operate and the conventional simple structur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그러므로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도어로크는 도어의 여닫음의 사용이 용이해야하며, 자동차의 도난및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는 보안을 주목적으로 하는 도어 로크로서의 자동차 주요 부품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되었다.Therefore,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easy to us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solves the following problems because it is the main parts of the car as a door lock for the security to prevent theft and intrusion of the vehicle in advance. Invented to

1) 상기 기존의 기계식 도어 로크의 복잡한 구조의 부품들을 도어 패널안에 노출시키지 않아야 하며,1) The components of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existing mechanical door lock should not be exposed in the door panel,

2) 상기의 기존 도어 로크의 복잡한 구조의 외부 노출된 부품들을 완전 제거하여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야 하며,2) The externally exposed parts of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existing door lock should be completely removed to prevent abnormal intrusion of tools.

3) 상기의 각종 노출 연결된 부품들을 제거하고도 정밀하고도 정확한 동작의 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도어로크를 발명하여야 하며,3) The door lock should be invented with the improved function of precise and accurate operation even after removing the various exposed parts.

4) 도어로크의 구성상 주요한 부품들이 도어로크 의부로 노출 연계되지 않고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 내부에 밀폐 장착시킬수 있는 밀폐식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과, 밀폐식 하우징 블록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주요 부품들을 발명하여야 하며,4) Invented the door lock housing block, which can be mounted in the door lock housing block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door lock, and the main parts that can be mounted inside the sealed housing block. Should be

5) 만능키 등의 침입을 막기위하여 도어외부에 부착되는 도어핸들 하우징에 설치된 키록실린더를 없애야 하며, 다양한 주파수 개념의 원격리모콘 온, 오프 센서스위치를 적용시켜야한다.5) Key lock cylinder installed in the door handle housing attached to the outside of door should be removed to prevent invasion of universal key, etc., and remote control on / off sensor switch of various frequency concept should be applied.

6) 상기 기능을 갖춘 도어로크를 통상적으로 작동시킬수있는 전자회로도를 발명하여야 한다.6) Invent the electronic circuit diagram that can normally operate the door lock with the abov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 도어 로크(래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n automobile door lock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어 록(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or lock (lock) state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의 초기 언록(잠금 해제) 해제 작동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itial unlock (unlock) release operation step of the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의 최종 도어 로크의 언록(잠금 해제)의 완료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leted operating state of unlocking (unlocking) of the fin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 2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automobile door lock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a, b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의 작동 시스템의 공통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전기회로도이고,Figure 4a, b is a circuit diagram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도어 핸들의 내부 스위칭에 대한 구성도이고,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the internal switching of the door handl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b, c 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다.6a, b and c are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우징 블록 10' : 통공10: housing block 10 ': through hole

10'' : 통공 11 ,12 : 커버 케이스10 '': Through 11, 12: Cover case

20 : 래치기어 21 : 걸림홈20: latch gear 21: locking groove

22 : 록킹홈 23 : 힌지축22: locking groove 23: hinge shaft

24 : 래치기어 탄성스프링 30 : 폴(로킹플레이트)기어24: Latch Gear Elastic Spring 30: Pole (Locking Plate) Gear

31 : 걸림 돌기 31' : 걸림 돌기31: Jamming projection 31 ': Jamming projection

301 : 연결구 32 : 힌지축301: connector 32: hinge axis

33 : 걸림턱 34 : 탄성스프링33: engaging jaw 34: elastic spring

40 : 구동수단 41 : 작동기기40: drive means 41: operating device

42 : 록킹홈 43 : 스프링42: locking groove 43: spring

46 : 보호 관 51 a : 수동 언록킹 기어46: protective tube 51 a: manual unlocking gear

80' : 도어핸들 손잡이 81' : 도어핸들 접지단자80 ': Door handle handle 81': Door handle ground terminal

82 : 도어핸들 하우징 접점 83 : 도어핸들 하우징82: door handle housing contact 83: door handle housing

100 : 도어록 본체 200 : 키 록실린더 스위치100: door lock body 200: key lock cylinder switch

300 : 도어 핸들 스위치300: Door Handle Switch

400 :중앙제어 원격무선 온,오프 스위치 센서400: Central control remote wireless on / off switch sensor

500 : 외부 전원 소켓500: external power socket

600 : 정격전압 메인 인입 전원600: Rated voltage main inlet pow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개방 및 잠금장치는, 차체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커 핀에 상응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 본체내에 힌지축을 기점으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동되는 래치(포크)기어와 이 래치기어의 록킹홈에 안내되게 구동축에 의해 동작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를 결합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tch (fork rotated by elasticity of a spring starting from a hinge shaft in a door lock body installed in a door corresponding to a striker pin installed in a vehicle body frame). The gear and the pawl (locking plate) gear which are driven by the drive shaft to be guided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latch gear are engaged.

이러한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는 ㄷ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기어와 폴(로킹플레이트)기어가 장착된 하우징 블록의 외측에는 당김작동기기를 결합한 구동수단을 결합하여 이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기기를 구비한 구동수단을 설치하되, 그 작동기기의 선단이 하우징 블록을 관통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기계적 제어수단의 폴(로킹플레이트)기어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구동수단에는 자동차에 사용하는 정격전압의 메인 전원을 중앙 제어시스템의 기능의 원격 무선 온, 오프 스위치 및 키 록실린더의 작동 및 괘정, 해정 신호 출력에 의하여, 도어 핸들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스위치와, 또다른 예시로서 도어로크의 구동수단에 순차적으로 전원이 연결되고, 또한 도어로크가 래치기어 뒤에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 스위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원이 연결됨에 따라 도어로크의 구동수단이 작동됨으로써, 본 발명의 도어로크가 작동되어 도어가 열리게 되는 도어래치와 전기적 신호에 의한 록킹 작동 시스템이 구성되는것이다.The pawl (locking plate) gear has a U-shape, and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block on which the latch gear and pawl (locking plate) gear is mounted is coupled to a driving means combined with a pull-operating device and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thereto. A drive means having an actuator is installed, the leading end of the actuator penetrates the housing block and is connected to and coupled to the pole (locking plate) gear of the mechanical control means, and the drive means has a rated voltage used for an automobile. The main power of the switch is built into the door handle by means of remote wireless on / off switch and key lock cylinder function and function of the central control system. Power is connected sequentially and the door lock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witch installed behind the latch gear. The driving means of the door lock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mary power supply is connected, whereby the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operate the door is opened the door latch with a locking system operating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configurations.

또한 그 타단에는 수동 언록킹 레버와 연동하여 작동되어지도록 수동 언록킹레버 기어가 폴(로킹플레이트)기어에 상응하여 그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어 비상시에만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기계적 구조로 되어 있는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other end, the manual unlocking lever gear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corresponding to the pole (locking plate) gear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anual unlocking lever, and has a mechanical structure that can be operated manually only in an emergency. Consists of.

따라서, 키 실린더에 키를 삽입하거나 원격 리모콘의 온, 오프 스위칭 시스템을 온(ON)으로 작동하여 각 도어핸들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면, 도어핸들을 잡아당기는 순간 도어핸들 내부장치 스위치가 자동 접점되면서 구동수단에 자동으로전원을 공급하고, 구동수단이 동작 되면서 로크의 폴(로킹플레이트)기어가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가 차단되어지더라도 하우징 블록 외부에 설치된 수동 언록킹 레버를 자동차의 실내에서 수동으로 조작 작동시켜 도어록의 잠금해제할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when power is supplied to each door handle switch by inserting a key into the key cylinder or operating the on / off switching system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door handle internal device switch is automatically contacted when the door handle is pulled out. Automatically supply power to the drive means, and as the drive means operates, the lock's pole (locking plate) gear is operated to open the door, and even if such an electrical signal is blocked, the manual unlocking lever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lock can be unlocked by operating manually operating in the interior of the car.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의 도어로크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도어의 개방 및 도어록의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oor lock and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system of the door lock by the door lock and the electric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로크 구조 및 작동에 대한 기본 실시예로서, 솔레노이드 및 액츄레이터 등의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결합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 는 작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upling system of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cting as a cylinder, such as a solenoid and an actuator, as a basic embodiment of the door lock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에 의하여 구속 및 방출되며,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하여 힌지측(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측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As shown, the housing block 10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lock body 100 is restrained and released by the striker pin 75 of the body frame, the latch gear 20 is at least two and the locking groove 22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1 for the locking operation in the step so that the hinge side 23 is pivotally installed, the elastic spring 24 for returning the latch gear 20 is installed on the hinge side. have.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흠(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34)에 의하여 래치기어(20)를 복원되게 결합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latch gear 20, a pole (locking plate) gear 30 having a locking projection 31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flaw 22 is mounted on an elastic spring 34 supported by the hinge shaft 32. By the latch gear 20 is coupled to restore.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하우징(10)은 통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과 구동수단(40)은 분리 설치되며, 구동 수단(40)은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파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다.The outer case 11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lock 10 to be attached to a door panel (not shown), the housing 1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0 '), the drive means 40 in the through hole The protection tube 46 to protect the operating device 41 of the) is coupled to the door lock body 100 is configured, the door lock body 100 and the drive means 40 is installed separately, the drive means 40 is a door It can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oor panel through the glass operating range.

상기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은 작동기기(41)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며,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고,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의 또다른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걸림돌기(31') 타단에는수동 언 록킹 레버기어(51a)가 배설 되어 있으며,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는 수동조작레버(313)와 연결 연계되어 있으며, 하우징(10)에는 통공(10'')이 형성되어있다.The separately installed driving means 4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0 'of the housing block 10 of the door lock body 100 by using the operating device 41, and thus, the connector of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It is connected to the 301 to operate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the inside of the housing block 10, the latching projection 3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which is a main component, latches. It is formed to b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gear 20, to form a locking projection (31 ') which is another component of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31') The manual unlocking lever gear 51a is disposed, the manual unlocking lever gear 51a is connected to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in connection with the housing 10, and a through hole 10 ″ is formed in the housing 10.

상기 통공(10'')에는 수동조작레버(313)의 작동기기(312)를 보호하는 보호관(311)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와 수동조작레버(313)는 분리 설치되며, 수동조작레버(313)는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고, 분리 설치된 수동조작레버(313)는 작동기기(312)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2)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상부 방향으로 작동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hrough hole (10 '')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tube 311 to protect the operating device 312 of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is coupled to the door lock body 100 is configured, the door lock body 100 and the manual operation lever ( 313 is separated and installed,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can be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inside the door panel to avoid the operating range of the door glass,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is installed separately the door lock body using the operating device 312 Through the through hole (10 ″) of the housing block 10 of the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2 of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to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in the upper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work.

상기 수동조작레버(313)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에 구성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상응 작동되어 연계형성되어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When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is manually operated, the locking projection 31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jection 31 ′ formed on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latched gear ( The latch gear 20 which is detached from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20 and the detached latch gear 20 rotates by the elastic spring 24 and releases the strike pin 75 that is restrained, thereby opening the door primarily.

또한,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과 하우징 블록의 하단 내부에는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의 감지센서스위치(80)가 설치되고,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의 작동스위치를 감지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며, 또다른 기능으로서 구동기기에 계속해서 전해지는 전기적 에너지의 과부하를 차단하여주는 2차적 안전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이 수행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atch gear 20 and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block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switch 80 having a function of mainly supplying and shutting off power sent to the driving device 40, the detection sensor switch ( 80) detects the operation switch of the latch gear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driving device 40, and as a second safety system to cut off the overload of electrical energy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driving device. The function is performed.

더구나, 상기 밀폐형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은 각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키고, 커버 케이스(11)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부분 노출된 부품중 작동기기(41)(312)를 보호관(46)(311)으로 감싸고,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는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되는입구 부분이며,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떠한 기기도 침입을 할 수 없으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레버(313)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구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않고, 자동차 실내쪽으로 수동조작레버(313)만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ermetic door lock housing block 10 is a main part of each electric door lock can be assembled and mounted inside, the cover case 11 can be completely closed and coupled, the actuator of the part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41) 312 is wrapped in the protective tube 46 (311), and the exposed parts on the outside is the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latch gear and the striker pin are inserted, the inlet portion can not penetrate any device, On the inner side, a manual operation lever 313, which can be manually operated in the interior of the car, is protruded, and since the protrusion is coupled with the door panel, it is not exposed in the door panel, but only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toward the interior of the car. It protrudes.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 도어의 록, 언록의 시건장치 시스템은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키 록실린더 박스 자체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를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떻한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로크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추구하여 보안의 주 목적을 달성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무선 시건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록에 기본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invention, the lock system of the lock and unlocking device of the door has been invented by eliminating the key lock cylinder box itself from the door handle housing and applying a remote wireless remote control key sensor, thereby preventing the invasion or universality of any abnormal tools. It is a door lock system that can completely prevent intrusion of keys and the lik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purpose of security is achieved by pursuing security perfectly, and the remote wireless key system which does not require the key lock cylinder box is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basically applicable to the invention door lock of the invention.

상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밀폐장착시킬 수 있게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이 통체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도어패널 내부 구조에 맞게, 또는 유리작동범위를 피하여, 하우징 블록(10)과 구동수단(40)이나 수동조작레버(313)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있는 형상으로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구성 형상을 어떠한 도어패널 내부 구조및 도어 유리작동의 법위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designing the shape of the housing block 10 so that the main components can be hermetically mou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housing block 10 be a cylindrical shape, but to suit various types of door panel internal structures, or glass In order to avoid the operating range, the housing block 10 and the drive means 40 or the manual control lever 313 in the shape that can secure the space that can be combined, the shap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block 10, It can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door panel internal structure and the operation of the door glass.

여기서 상술한 구동수단(40)은 솔레노이드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액츄레이터 및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도 가능하다.Here, the driving means 40 is preferably made of a solenoid, but an actuator and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cting as a cylinder are also possible.

또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ㄷ자형상으로 구성되며,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 및 연결구(301)로 구성되어 있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를 구동축(32)에 회동되게하는 탄생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31')하부에 수동 언 록킹 례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고, 이것과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동조작레버(313)가 연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has a U-shape,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is composed of a locking projection 31, the locking projection 31 'and the connector 301 drive shaft ( The birth spring 34 which is rotated at 32 is supported, and a manual unlocking lever gear 51a is disposed under the locking projection 31 'and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housing block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is linked.

도 3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구동수단이 작동고장일 경우에 수동에 의하여 조작가능하도록 한 실시예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riving means is operable by manual operation in case of malfunction.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2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술적 용어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e same terms are used for the same technical terms described in FIGS. 1 and 2.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에 의하여 구속 및 방출되며,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하여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As shown, the housing block 10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lock body 100 is restrained and released by the striker pin 75 of the body frame, the latch gear 20 is at least two and the locking groove 22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1 for the locking operation in a step so that it can be rotated from the hinge shaft 23, the elastic spring 24 for returning the latch gear 20 is installed on the hinge shaft have.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측(32)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34)에 의하여 래치기어(20)를 복원되게 결합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latch gear 20, a pole (locking plate) gear 30 having a locking projection 31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22 is supported by an elastic spring 34 supported by the hinge side 32. By the latch gear 20 is coupled to restore.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하우징(10)은 통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과 구동수단(40)은 분리 설치되며, 구동수단(40)은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다.The outer case 11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lock 10 to be attached to a door panel (not shown), the housing 1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0 '), the drive means 40 in the through hole The protection tube 46 to protect the operating device 41 of the) is coupled to the door lock body 100 is configured, the door lock body 100 and the drive means 40 is installed separately, the drive means 40 is a door It can be mounted separately inside the door panel to avoid the glass operating range.

상기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은 작동기기(41)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폴(로킹 플례이트)기어(30)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1)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며,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separately installed drive means 4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0 'of the housing block 10 of the door lock body 100 by using the operating device 41, and thus, of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Another componen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1 of the engaging projection 311 to operate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the inside of the housing block 10 pole (locking plate) gear 30 as a main component The locking projection 3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latch gear 20.

또한, 상기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의 일측에는 이들 구동수단이 고장날 경우에 작동가능 하도록 수동조작기기(305)에 힌지축(303)을 형성하고, 힌지축의 중앙부분에 수동조작레버(304)를 연결하여 수동조작레버의 타단인 작동부(306)가 구동수단(40)의 받침판(302)을 밀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inge shaft 303 is formed on the manual operating device 305 on one side of the driving means 40 separately installed so as to be operable when these driving means fail, and the manual operation lever 30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inge shaft. By connecting the actuator 306 is the other end of the manual operation lever is formed to push the support plate 302 of the drive means (40).

따라서, 상기 수동조작레버(304)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에 구성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상응 작동되며, 연계형성되어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Therefore, when the manual operation lever 304 is operated by manual operation, the locking projection 31 'formed on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to be linked is operated correspondingly, and the locking projection 31 which is linked is formed. The latch gear 20, which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latch gear 20, is rotated by the elastic spring 24 and releases the strike pin 75, which is restrained, to open the door first.

또한,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과 하우징 블록외 하단 내부에는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의 감지센서스위치(80)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atch gear 20 and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block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switch 80 having a function of mainly supplying and shutting off power sent to the driving device 40.

또한,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과 하우정 블록의 하단 내부에는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의 감지센서스위치(80)가 설치되고,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의 작동스위치를 감지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며, 또다른 기능으로서 구동기기에 계속해서 전해지는 전기적 에너지의 과부하를 차단하여주는 2차적 안전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이 수행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atch gear 20 and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block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switch 80 having a function of mainly supplying and blocking power to the drive device 40, the detection sensor switch 80 is a secondary safety system that detects the operation switch of the latch gear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ent to the drive device 40, and to block the overload of electrical energy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drive device as another function Function as is performed.

더구나, 상기 밀폐형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은 각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키고, 커버 케이스(11)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부분 노출된 부품중 작동기기(41)를 보호관(46)으로 감싸고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는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이며,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뗘한 기기도 침입을 할 수 없으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레버(304)부분이 돌출되어있으며, 돌출구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않고, 자동차 실내쪽으로 수동조작레버(304)만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ermetic door lock housing block 10 is a main part of each electric door lock can be assembled and mounted inside, the cover case 11 can be completely closed and coupled, the actuator of the part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41)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tube 46 and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inlet portion of the latch gear and the striker pin is inserted, and any device can not penetrate into the inlet portion, the inside of the car in an emergency The manual operation lever 304 which can be manually operated indoors is protruded, and since the protrusion is coupled with the door panel, it is not exposed in the door panel, and only the manual operation lever 304 protrudes toward the vehicle interior.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 도어의 록, 언록의 시건장치 시스템은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키 록실린더 박스 자체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를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떻한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로크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추구하여 보안의 주 목적을 달성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무선 시건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록에 기본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invention, the lock system of the lock and unlocking device of the door has been invented by eliminating the key lock cylinder box itself from the door handle housing and applying a remote wireless remote control key sensor, thereby preventing the invasion or universality of any abnormal tools. It is a door lock system that can completely prevent intrusion of keys and the lik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purpose of security is achieved by pursuing security perfectly, and the remote wireless key system which does not require the key lock cylinder box is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basically applicable to the invention door lock of the invention.

상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밀폐장착시킬 수 있게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이 통체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도어패널 내부 구조에 맞게, 또는 유리작동범위를 피하여, 하우징 블록(10)과 구동수단(40)이나 수동조작레버(304)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구성 형상을 어떠한 도어패널 내부 구조및 도어 유리작동의 범위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designing the shape of the housing block 10 so that the main components can be hermetically mou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housing block 10 be a cylindrical shape, but to suit various types of door panel internal structures, or glass In order to avoid the operating range, the housing block 10 and the drive means 40 or the manual control lever 304 in the shape that can secure the space that can be combined, the shap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block 10,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door panel internal structure and the range of door glass operation.

여기서 상술한 구동수단(40)은 솔레노이드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액츄레이터 및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도 가능하다.Here, the driving means 40 is preferably made of a solenoid, but an actuator and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cting as a cylinder are also possible.

도 4는 상기 도어록의 작동을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잠김 장치의 전기회로 시스템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Figure 4 shows the electrical circuit system configuration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도 4 a, b는 본 발명의 도어록킹 시스템의 전기회로도로서, 자동차에 탑재된 축전지의 메인전원이 그 타단 일측에는 밧데리(600)와 비상시 사용되는 건전지연결용 및 예비 밧데리 연결용 외부 소켓(500)이 설치되어 있고, 중앙제어 원격무선 온, 오프 스위치(400)나 운전석과 조수석의 키 록실린더(200)에 연결되고, 각 키 록실린더 및 메인키시스템을 통과한 전원은 자동차의 모든 도어에 부설된 도어핸들(300)스위치에 각각 공급연결되어 있다.Figure 4a, b is an electric circuit diagram of the door loc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ower supply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vehicle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600 and an external socket for the battery connection and the spare battery (500) used in case of emergency ) Is installed, a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emote wireless on / off switch 400 or the key lock cylinder 200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nd the power passing through each key lock cylinder and the main key system is applied to all doors of the vehicle.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oor handle 300 attached to the switch.

또한, 도어핸들(300)스위치와 구동수단(40)외 사이에는 감지센서스위치(80)가 연계되어 있다.In addition, a detection sensor switch 80 is connected between the door handle 300 and the drive means 40 and the like.

그러므로 적어도 두 개의 원격무선 온, 오프스위치센서 및 키 록실린더(200)중 어느 하나의 기 록실린더(200)에 키를 꽂아 록킹을 해제 시키는 온(ON) 작동 순간 도어핸들(300)에 전류를 흘려 보내게 되고, 도 5에서의 도어 핸들(300)을 약간 잡아당기면 메인전원에 연결된 접점과 출력측 접점이 접속되어 전원을 도어로크의 구동수단(40)이 작동된다.Therefore, by inserting a key into any one of the at least two remote wireless on, off-switch sensor and the key lock cylinder 200, the lock (200) to release the lock current (ON) at the moment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300). When the door handle 300 is slightly pulled out in FIG. 5, the contact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and the output side contact are connected to operate the driving means 40 of the door lock.

또한, 상기 전원은 래치기어(20)의 동작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감지센서스위치(80)에 연결되어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감지센서스위치(80)는 힌지축(23)을 지점으로 회동되는 래치기어(20)에 외접된 탄성 접지봉(81)에 의하여 전기적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sensing sensor switch 80, the electrical contact is connected or disconn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latch gear 20 to control the operation, the sensing sensor switch 80 points the hinge shaft (23) It is composed of an electrical on and off switch by the elastic ground rod 81 circumscribed to the latch gear 20 rotated.

도 3에서와 같이 래치기어(20)가 잠금상태이거나 절반쫌 잠긴상태에서는 각 단자가 접속되면서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latch gear 20 is locked or half locked, each terminal is connected to maintain a power supply.

또한, 도 4a에서와 같이 키 록실린더(200)의 해정동작후 도어핸들(300)을 잡아당기는 순간 구동수단(4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도어록본체(100)가 열림상태가 되어 자동차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means 40 at the moment of pulling the door handle 300 afte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key lock cylinder 200, as shown in Figure 4a, the door lock body 100 is opened to open the car door You can.

비상시에 있어서 기존 자동차는 밧데리가 완전 방전되었을 시에는 엔진실 본넷을 열고난 후 차체 밧데리 단자에 비상 밧데리 점프선을 연결하여 시동을하였으나(여기서 공통점으로서 기계식 도어로크나, 반자동식 도어로크는 도어를 열어야 자동차 내부로 들어가서 내부에 설치된 엔진실 본넷 버튼을 작동시킨 후 본넷을 열고 비상 밧데리로 연결 시동하였으나), 본 외부 소켓(500)은 차체 밧데리와 연결되어 있어 본넷을 열지 않고도 비상 밧데리 전원을 외부 소켓에 연결하면 본넷을 열지 않고도 시동을 할 수 있으며, 도어 해정시에도 도어로크로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치 않는다.In case of emergency, the existing car starts the engine compartment bonnet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then connects the emergency battery jump line to the body battery terminal. After entering the vehicle and operating the engine compartment bonnet button installed inside, the bonnet was opened and connected to the emergency battery. If it is connected, it can be started without opening the bonnet, and it does not cause any problem because it supplies power to the door lock even when the door is unlocked.

도 4b는 상기의 메인전원과 키 록실린더(200)을 제거시키고 메인 전원과 원격무선리모콘(400)을 설치하여, 키 록실린더(200)를 대신하는 원격무선 ON/0FF 스위치를 적용하여 해정 또는 괘정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키 조작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만능키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4b is to remove the main power and the key lock cylinder 200 and install the main power and remote wireless remote control 400, by applying a remote wireless ON / 0FF switch in place of the key lock cylinder 200, As it is possible to rul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key operation and to prevent the intrusion of the universal key.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도어 핸들의 스위칭(300)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손잡이(80')를 당길 경우에는 도어 하우징(83)에 설치된 접지단자(81')가 접지판(82)에 접점되어 스위칭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5 is a block diagram of the switching 300 of the door hand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le 80 'is pulled, the ground terminal 81' installed in the door housing 83 is a ground plate 82. FIG. It shows the state which it contacts with and switch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work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a, b, c 는 상기 도어잠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래치기어(20)의 록킹홈(42)에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됨과 아울러 타측의 록킹홈(22)에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가 삽입되면 도 2a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는 잠기게 되고, 전기적인 온(ON)신호에 의해 구동 수단(40)이 동작되면서 그 작동봉(41)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를 끌어당기면 록킹홈(22)으로 부터 걸림돌기(31)가 이탈되어 도 2b에서와 같이 스트라이커 핀이 방출되어 자동차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2A, 2B, and 2C show an operation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wherein a striker pi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42 of the latch gear 20 and a pawl (lock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other side. When the locking protrusion 31 of the gear 30 is inserted, the door lock body 100 is locked as shown in FIG. 2A, and the driving rod 41 is operated while the driving means 40 is operated by an electrical ON signal. When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is pulled, the locking protrusion 31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22 to release the striker pin as shown in FIG. 2B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automobile door.

상기 경우는 구동수단의 전원(600)이 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경우에 한한다.In this case, the power source 600 of the driving means is limited to the normal state.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는 만약, 구동수단(40)이 고장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다른 문을 열고 내부로 들어가 실내 돌출된 수동조작레버(313)를 조작하여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와 걸림돌기(31')를 회동시키면서 동시에 구동축(32)과 이에 결합된 일체적으로 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를 회동시켜 래치트기어(20)를 해정하고 스트라이크핀을 방출케하여 도어를 오픈 시키므로, 구동수단(40)의 동작을 대신하게 되어 비상시에 대처하게 된다.The manual unlocking lever gear 51a is a manual unlocking lever gear 51a by operating another manual operating lever 313 that protrudes indoors by opening another door of the vehicle in case the driving means 40 is broken. And the locking projection 31 'while simultaneously rotating the drive shaft 32 and the integral pole (locking plate) gear 30 coupled thereto to release the latch gear 20 and release the strike pin. Since the door is opened, it replace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40 to cope with an emergency.

여기서, 본 전기 회로도의 작용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해정 및 괘정(언록,록) 작동 시스템으로서, 도 4 a, b의 도면부호 400, 200의 중앙제어 메인키 실린더 및 원격리모콘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해정시에는 온으로 작동시켜 도면부호 300의 각 도어핸들 스위치로 전원을 공급하면, 전원 공급만으로 해정(언록,잠금 해제) 작동이 되는것이며, 괘정 작동으로서 도면부호 200, 400을 오프상태가 되게 조작하면 도면부호 300의 각 도어핸들 스위치로 공급하는 전원이 차단되어 괘정(록, 잠금)시킬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Herei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diagra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the unlocking and locking (unlock and lock) operation system, the central control main key cylinder and the remote control on / off switch of 400 and 200 of FIGS. When the operation is released, if it is turned on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each door handle switch of reference numeral 300, the unlocking (un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by the power supply. When operated, the power supplied to each door handle switch 300 is cut off so that it can be locked (locked or locked).

또한, 감지스위치(8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수단(40)이 구동을 개시하고, 이에 의해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가 작동되면서 걸림돌기(31)가 록킹홈(22)으로부터 이탈되어 래치기어(20)가 열림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sensing switch 80, the driving means 40 starts driving, whereby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is actuated while the locking projection 31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22. The latch gear 20 is opened by being separated.

이어서 상기 래치기어(20)가 열림 상태로 되는 순간 감지센서스위치(80)의 접지봉(81)이 더욱 돌출되면, 각 단자의 접속이 차단됨에 따라 구동수단(40)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기기가 1회 당김작동된 후 멈추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ground rod 81 of the sensing sensor switch 80 further protrudes when the latch gear 20 is opened, power supply is also cut off to the driving means 40 as the connection of each terminal is blocked. Will stop after one pull operation.

또한 여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괘정 및 해정작동은 상기와 같으며, 구동수단(40)의 작동상태의 고장시에는 구동수단의 일측에 수동조작레버(304)가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블록(10)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동조작레버(304)가 힌지축(303)을 통하여 받침판(302)을 밀어줄 수 있고,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동조작레버를 언제나 수동으로 조작하면 연계된 부품들이 작동되어 도어록 본체(100)를 열 수 있게 되어 있다.In the other embodiments,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are the same as above, and in the case of failure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driving means 40, the manual operation lever 30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means, so that the housing block ( 10) The manual control lever 304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n push the support plate 302 through the hinge shaft 303, and is always associated with manual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protruding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parts are operated to open the door lock body 10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로크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시스템은, 종래에 도어록본체의 해정시 각종 도어손잡이 등에 연결되는 로드 또는 레버 기어 및 도어로크의 외접되게 설치된 복잡한 부품 기계를 완전 제거하여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하여 설계와 제작 및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경제적인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도어록 본체의 주요 구성부품과 이에 연결되는 부품을 밀폐결합되게하여 비정상적인 도구의 침입을 막아 오동작을 방지함에 따라 도난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door lock and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removes the complicated parts of the rod or lever gear and the door lock that are connected to various door handles when the door lock body is released. By not using it, there is an economical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design, fabrication and assembly process can be shortened, and in particular, the main components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parts connected thereto are hermetically coupled to prevent abnormal intrusion of the tool. By preventing malfunctions, theft can be almost completely prevented.

또한, 여기서 손쉬운 전자적 전기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록, 언록의 기능을 완벽하게 이룩할 수 있으며, 구동수단이 고장날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본 전동식 도어로크는 기존 도어로크보다 더 정밀한 기능으로 작동되며 록, 언록의 기능을 완벽하게 이룩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it is controlled by an easy electronic signal, the function of lock and unlock can be achieved perfectly, and even if the driving means fails, the manual door lock can be operated more precisely than the existing door lock. It works as a rock and unlock function.

또한 기존 도어로크의 기계식 부품들을 완전 제거하여 제품의 조립공정도를 대폭 줄여서 제품의 제조 원가를 줄였으며, 밀폐식 일체형의 도어로크로 하우징 블록을 형성을 발명하여, 종래에 도어의 의부 유리틈새를 통해 평철이나 갈고리 등의 비정상적인 도구를 침투시켜 충격을 가할 경우에나 만능 키 등의 사용으로 속수무책으로 열리던 단점을 사전에 막을 수 있으며, 본 전동식 도어로크로는 도어유리를 깨지않는 한 상기의 비정상적인 방법에도 절대 열리지 않는 도난방지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completely removing the mechanical parts of the existing door lock,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duct has been great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has been reduced, and the housing block is invented by a sealed integral door lock. It can prevent inadvertent opening of improper tools such as flat iron or hooks, etc. in case of shock or use of universal key.This electric door lock can be used for the above abnormal method as long as the door glass is not broken. There is an anti-theft effect that does not open.

Claims (8)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블록(10)내부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구동축(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블록(10)의 회측에는 도어패널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상측에는 구동 수단(40)을 부설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해 당겨지는 작동기기(41)를 구비한 구동수단(40)을 설치하되, 작동기기(41)는 유리작동범위를 피하는 형상으로 된 하우징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결합되며,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 및 연결구(301)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걸림돌기(31')하부에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고, 이에 연결구(302)가 형성되어 블록의 통공(10'')을 관통하여 보호관(301)으로 둘러쌓인 작동기기(312)가 수동조작레버(313)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하우징 블록(10)내부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A locking groove in which the latch gear 20 which restrains and releases the striker pin 75 of the body frame in the housing block 10 of the door lock main body 100 engages with the locking groove 22 in at least two stages. The latch gear 20 with the 21 is rotatably installed from the hinge shaft 23, and an elastic spring 24 for returning the latch gear 20 is provided on the hinge shaft. On one side of the latch gear 20, a pawl (locking plate) gear 30 having a locking projection 31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22 is rotatably coupled by a drive shaft 32, the housing block An outer case 11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door 10 to be attached to the door panel, and the driving means 40 having an actuator 41 mounted on the upper side by a driving means 40 is pulled by an electrical signal. To install, but the operating device 41 is the barrel of the housing block 10 in the shape to avoid the glass operating range It is coupled to the connector 301 of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installed in the housing block 10 through the ball 10 ',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is a locking projection 31, the engaging projection 31 'and the connector 301, and the manual unlocking lever gear 51a is disposed below the engaging projection 31', and the connector 302 is formed therein. The operating device 312 surrounded by the protective tube 301 through the through hole 10 ″ of the block is coupled with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and the components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block 10. The door lock of the ca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통공(10')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감싸서 삽입 밀폐결합되며, 통공(10'')에는 수동조작레버(313)의 작동기기(312)를 보호하는 보호관(311)이 감싸서 삽입 밀폐결합되며, 도어록 본체(100)와 구동 수단(40) 및 수동조작레버(313)는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10 is a through-hole (10 ') is wrapped around the protective tube 46 for protecting the actuator 41 of the drive means 40 is inserted and hermetically coupled to the through-hole (10 ″) The protective tube 311 which protects the operating device 312 of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is wrapped and inserted and sealed, and the door lock body 100 and the driving means 40 and the manual operation lever 313 have a door glass operating range.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attached to the interior of the door panel to avo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과 하우징 블록의 내부에는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의 감지센서스위치(80)가 설치되고,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의 작동위치를 감지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며, 구동기기에 계속해서 전해지는 전기적 에너지의 과부하를 차단하여주는 2차적 안전시스템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latch gear 2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block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switch 80 of the function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and blocking the power sent to the drive device 40, The sensor switch 80 senses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latch gear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driving device 40, and is formed as a secondary safety system that cuts off the overload of electrical energy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driving device. The door lock of the ca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식 도어로크를 개폐 작동 및 록, 언록시키는 전자회로로서 정격전압(600)을 중앙제어 메인 키 스위치인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는 온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각 도어핸들 스위치(3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여기서 전원을 공급 받은 도어핸들 스위치(300)는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당기면 도어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 신호(300)를 전동식 도어로크의 하우징(10) 내부의 래치기어(20) 타단에 설치된 감지센서스위치(80)를 통하여 구동수단(4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록 본체(100)를 작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로크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The electronic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rated voltage 600 is supplied to a remote control on / off sensor switch 400, which is a central control main key switch, as an electronic circuit for opening, closing, locking, and unlocking the electric door lock. The supplied remote remote control on / off sensor switch 400 supplies power to each door handle switch 300 by outputting an on signal, wherein the powered door handle switch 300 receives a door when the driver pulls the door handle. The door lock main body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drive means 40 through a switch sensor 8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latch gear 20 inside the housing 10 of the electric door lock. Ruled and unlocked operation system by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car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100).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10) 내부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측(32)에 접합되어있고, 힌지측(32)에는 탄성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고 탄성 스프링(34)에 의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래치기어(20)로 복귀 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은 작동기기(41)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며,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게 형성하며 또한, 상기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의 일측에는 수동조작기기(305)에 힌지축(303)을 형성하고, 힌지축의 중앙부분에 수동조작레버(304)를 연결하여 수동조작레버의 타단인 작동부(306)가 구동수단(40)의 받침판(302)을 밀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A latching groove 20 for restraining and releasing the striker pin 75 of the body frame in the housing block 10 configured in the door lock body 100 to engage with the locking groove 22 in at least two stages. The latch gear 20 with the 21 is rotatably installed from the hinge shaft 23, and an elastic spring 24 for returning the latch gear 20 is provided on the hinge shaft. On one side of the latch gear 20, a pawl (locking plate) gear 30 having a locking projection 31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22 is joined to the hinge side 32, the hinge side 32 An elastic spring 34 is held therein, and the pawl (locking plate) gear 30 may be returned to the latch gear 20 by the elastic spring 34.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block 10 may be a door panel. The outer case 11 is coupled to the cover to be attached, the drive means 40 is installed separately is the door lock body using the operating device (41)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1 of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through the through hole (10 ') of the housing block 10 of the (100) to operate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In the housing block 10, a locking protrusion 3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ole (locking plate) gear 30, which is a main part, is formed to b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latch gear 20. On one side of the installed drive means 40, the hinge shaft 303 is formed on the manual operation machine 305, and the operating part 306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manual operation lever by connecting the manual operation lever 304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hinge axis.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ush the support plate 302 of the drive means (4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통공(10')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감싸서 삽입 밀폐결합되며, 도어록 본체(100)와 구동 수단(40)은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According to claim 5, The housing 10 is a through-hole (10 ') is wrapped around the protective tube 46 for protecting the actuator 41 of the drive means 40 is inserted and hermetically coupled, the door lock body 100 and the drive The means (40) is a door lock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parated and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oor panel to avoid the operation range of the door glas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과 하우징 블록의 내부에는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의 감지센서스위치(80)가 설치되고,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의 작동위치를 감지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며, 구동기기에 계속해서 전해지는 전기적 에너지의 과부하를 차단하여주는 2차적 안전시스템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According to claim 5, The other end of the latch gear 2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block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switch 80 having a function of mainly supplying and blocking the power sent to the drive device 40, The sensor switch 80 senses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latch gear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driving device 40, and is formed as a secondary safety system that cuts off the overload of electrical energy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driving device. The door lock of the car, characterized in that. 제 5 항에 있어서, 전동식 도어로크를 개폐 작동 및 록, 언록시키는 전자회로로서 정격전압(600)을 중앙제어 메인 키 스위치인 원격리모콘 온, 오프 센서 스위치(4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원격리모콘 온, 오프 센서 스위치(400)는 온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각 도어핸들 스위치(3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여기서 전원을 공급 받은 도어핸들 스위치(300)는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당기면 도어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 신호(300)를 전동식 도어로크의 하우징(10) 내부의 래치기어(20) 타단에 설치된 감지센서스위치(80)를 통하여 구동수단(4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록 본체(100)를 작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로크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The electric circuit of claim 5, wherein the rated voltage 600 is supplied to a remote control on / off sensor switch 400, which is a central control main key switch, as an electronic circuit for opening, closing, locking, and unlocking the electric door lock. The supplied remote control on / off sensor switch 400 supplies power to each door handle switch 300 by outputting an on signal, wherein the powered door handle switch 300 receives a door when the driver pulls the door handle. The door lock main body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drive means 40 through a switch sensor 8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latch gear 20 inside the housing 10 of the electric door lock. Ruled and unlocked operation system by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car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100).
KR1019970049252A 1997-06-26 1997-09-26 A door lock for a vehicle KR1002494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252A KR100249478B1 (en) 1997-09-26 1997-09-26 A door lock for a vehicle
PCT/KR1997/000195 WO1999000572A1 (en) 1997-06-26 1997-10-15 Electric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of automobiles
AU45750/97A AU4575097A (en) 1997-06-26 1997-10-15 Electric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of automob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252A KR100249478B1 (en) 1997-09-26 1997-09-26 A door lock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35A true KR19990026935A (en) 1999-04-15
KR100249478B1 KR100249478B1 (en) 2000-03-15

Family

ID=1952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252A KR100249478B1 (en) 1997-06-26 1997-09-26 A door lock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47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966B1 (en) * 2001-11-19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xpress bus door open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s damage
KR20130121890A (en) * 2010-11-25 2013-11-06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Lock module for a motor vehicle
KR101470440B1 (en) * 2013-09-17 2014-12-09 평화정공 주식회사 Door ratch for automobile
KR20160013621A (en) *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 우보테크 Latch system for door
WO2021132794A1 (en) * 2019-12-26 2021-07-01 주식회사 우보테크 Emergency-releasable electric door latch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27B1 (en) * 2002-06-01 2004-1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Vehicles's an apparatus for antithef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966B1 (en) * 2001-11-19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xpress bus door open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s damage
KR20130121890A (en) * 2010-11-25 2013-11-06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Lock module for a motor vehicle
KR101470440B1 (en) * 2013-09-17 2014-12-09 평화정공 주식회사 Door ratch for automobile
KR20160013621A (en) *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 우보테크 Latch system for door
WO2021132794A1 (en) * 2019-12-26 2021-07-01 주식회사 우보테크 Emergency-releasable electric door latch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9478B1 (en)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7877B2 (en) Automotive door lock control device
US7642669B2 (en) Electrical circuit arrangement
US20140200774A1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and method
CA1106024A (en) Vehicle security system
CN113692472B (en)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US20030178859A1 (en) Automobile vehicle lock
US20040012468A1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JP2707036B2 (en) Operating device for car door lock
US5666834A (en) Anti-theft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ock device
JPH06307138A (en) Car theft prevention device
KR900002875B1 (en) Method of locking vehicle door and thereof device
KR100249478B1 (en) A door lock for a vehicle
KR100256175B1 (en) Electric door latch of automobiles
WO1999000572A1 (en) Electric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of automobiles
KR100256176B1 (en) Door lock
JP4905123B2 (en) Tailgate door switch mounting structure
KR100303367B1 (en) Door ratch assembly for automobile
CN104141430B (en) A kind of automobile door lock of high reliability
CN115075663A (en) Antitheft through pawl for access door
JP2000054708A (en) Operating device for door lock
KR970062240A (en) Car Door Locking System
JP2556008B2 (en) Anti-theft device for automobile
EP4332332A1 (en) Electronic lock for cargo vehicle doors
JP2556012B2 (en) Engine hood opening / closing device
KR0176348B1 (en) Double lock of ca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