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161U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161U
KR19990014161U KR2019980017107U KR19980017107U KR19990014161U KR 19990014161 U KR19990014161 U KR 19990014161U KR 2019980017107 U KR2019980017107 U KR 2019980017107U KR 19980017107 U KR19980017107 U KR 19980017107U KR 19990014161 U KR19990014161 U KR 199900141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ylinder
outer cylinder
inclined surface
cylinde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5740Y1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윤휘정
Publication of KR19990014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안내원통(14)과 외통(32)사이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봉상물조출기능을 갖도록 된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내면에 나선홈(12a)이 형성된 원통체(12)와, 이 원통체(12)에 축방향이동은 할 수 없고 상대회전은 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는 안내원통(14)과, 이 안내원통(14)에 상대회전할 수 없게 끼워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나선홈(12a)에 끼워맞춰지는 돌기(16a)를 측면에 갖추어 봉상물(20)을 보유지지하게 되는 홀더(16)와, 내부에 필기축체(34)가 수납설치되는 외통(32)을 구비하고서,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이 외통(32)의 후방부 내면까지 연장되고, 외통(32)의 후방부 내면에 복수의 홈(32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에는 상기 홈(32a)에 끼워맞춰지는 리브(14e)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32)의 홈(32a)의 후단부에는 경사면(32a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리브(14e)의 선단부의 외면에 경사면(14e1)이 형성되면서, 상기 리브(14e)의 경사면(14e1)의 경사각도(θ1)가 상기 홈(32a)의 경사면(32a1)의 경사각도(θ2) 이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필기구
본 고안은 외통에 대해 원통체를 상대회전시킴으로써 봉상물을 조출(繰出 )하도록 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 필기구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 3-39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는 바, 이 필기구는 축방향의 슬릿(slit)을 가진 안내원통을 캡의 내부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해서 이 안내원통의 내부에 상기 슬릿에 외면돌기가 끼워넣어지는 지우개고무받침을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조립하고, 또 안내원통의 외주부로 지우개고무받침의 외면돌기의 끝이 끼워지는 나선홈을 가진 2쪽으로 분할된 부재로 구성된 나선원통을 캡과 회전방향으로 일체화시킨 상태로 조립한 다음, 안내원통의 앞끝부분에다 이음부재의 후단부외면을 끼워넣어 회전방향으로 일체화시켜, 이음부재의 앞끝부분을 필기축체가 수납되는 외통의 후단부 내면에 끼워넣어 회전방향으로 일체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안내원통과 이음부재 및 이 이음부재와 외통과의 사이에서 회전방향을 일체화하도록 하는 것은, 리브와 홈이 끼워맞춰짐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리브와 홈이 끼워맞춰지는 것은 그 원주방향의 위치가 서로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내원통을 이음부재에다 끼워넣을 때나 이음부재와 앞쪽축체를 끼워넣을 때 위치를 일치시키는데 품이 많이 들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 다른 문제로는, 리브와 홈을 끼워맞출 경우에도 완전히 양쪽의 형상을 일치시켜 흔들림이 없도록 제조하기가 어렵고, 한편으로는 양쪽의 형상을 완전히 일치되도록 하면 양부품의 조립이 곤란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안내원통과 외통의 사이에 흔들림현상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간단히 안내원통과 외통의 사이에 상대회전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조립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상기 목적에 더하여 안내원통과 외통의 사이에 흔들림현상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로 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함에도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필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필기구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본 뒷부분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 는 각각 도 1 에서의 안내원통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 는 각각 도 3a 및 도 3b 의 종단면도,
도 5 는 도 1 의 원통체의 종단면도,
도 6 은 도 1 의 외통의 종단면도,
도 7 은 도 3b 의 7-7선을 따른 단면도,
도 8a 는 안내원통의 리브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3 에서 8로 지시된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확대 평면도이고, 도 8b 는 도 8a 의 측면도,
도 9a 는 안내원통의 리브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3 에서 8로 지시 된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확대 평면도이고, 도 9b 는 도 9a 의 측면 도,
도 10a 및 도 10b 는 본 고안의 리브와 홈의 경사면의 각 경사각도의 관계를 나타낸 전개도,
도 11a 및 도 11b 는 안내원통의 리브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3 에 서 8로 지시된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확대도이다.
12 - 원통체, 12a - 나선홈,
14 - 안내원통, 14A - 전방부분,
14B - 후방부분, 14e - 리브,
14e1 - 경사면, 14e2 - 경사면,
14e3 - 경사면, 14g - 플렌지부,
14h - 개구부, 14i - 돌출부,
16 - 홀더, 16a - 돌기,
20 - 봉상물, 30 - 필기구,
32 - 외통, 32a - 홈,
32a1 - 경사면, 34 - 필기축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원통체와, 이 원통체에 축방향이동할 수는 없지만 상대회전은 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는 안내원통과, 상기 안내원통에 상대회전할 수 없게 걸어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나선홈에 끼워맞춰지는 돌기를 측면에 갖춰 봉상물을 보유지지하게 되는 홀더와, 내부에 필기축체가 수납설치되는 외통을 구비하고서, 상기 안내원통의 전방부분이 외통의 후방부분 내면까지 연장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후방부 내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원통의 전방부분에 상기 홈에 끼워맞춰지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의 홈의 후단부에 뒷쪽을 향해 이어져 홈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축선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리브의 선단부 외면에 앞쪽을 향해 이어져 리브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축선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서, 상기 리브의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홈의 경사면의 경사각도 이상이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안내원통의 전방부분을 외통의 후방부 내면으로 끼워넣을 때, 외통의 홈 및 리브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양 부품이 정확히 원주방향의 위치관계가 되도록 유도되게 된다. 또, 리브의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홈의 경사면의 경사각도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의 뾰족한 앞끝이 홈의 경사면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피할 수가 있어서, 항상 리브의 경사면과 홈의 경사면의 면끼리 접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안내원통이 외통에 대해 원활하게 전진할 수 가 있게 된다.
또, 내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원통체와, 이 원통체에 축방향이동은 할 수 없지만 상대회전은 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는 안내원통과, 상기 안내원통에 상대회전 할 수 없게 걸어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나선홈으로 끼워맞춰지는 돌기를 측면에 가진 봉상물을 보유지지하는 홀더와, 내부에 필기축체가 수납설치되는 외통을 구비하고서, 상기 안내원통의 전방부분이 외통의 후방부 내면까지 연장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후방부 내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원통의 전방부분에 상기 홈에 끼워맞춰지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의 홈의 후단부에는 뒷쪽으로 향해 이어져 홈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축선방향에 대해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리브의 선단부 외면에 앞쪽을 향해 이어져 리브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축선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서, 외통의 경사면 또는 리브의 경사면중 어느 한쪽이 계단형상 경사면을 이루는 한편 다른 쪽이 연속적인 경사면을 이루되, 계단형상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연속적인 경사면의 경사각도 이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외통의 경사면 또는 리브의 경사면 중 어느 한쪽이 계단형상 경사면으로 된 경우에도, 안내원통의 전방부분을 외통의 후방부 내면에 끼워넣을 때, 외통의 홈 및 리브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양 부품이 정확한 원주방향의 위치관계를 이루도록 유도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계단형상 경사면의 경사각도를 연속적인 경사면의 경사각도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계단형상 경사면의 계단부에 다른쪽 부재가 걸려지더라도 안내원통을 조금만 회전시키면 걸림이 벗겨지기 때문에 안내원통이 외통에 대해 원활히 전진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안내원통의 리브 대신 안내원통의 선단부에 플렌지부를 형성시켜, 이 플렌지부의 외주면이 외통의 내면에 접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안내원통의 후방부분을 상기 전방부분보다도 직경이 넓어지게 해서, 상기 안내원통의 후방부분의 앞끝부분의 외주면이 외통의 후단부 내면에 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안내원통의 플렌지부의 외주면이 외통의 내면에 접하고, 또 안내원통의 후방부분의 앞끝부분의 외주면이 외통의 후단부 내면에 접하기 때문에, 이들 2곳에서 접하게 됨으로써 안내원통이 외통에 대해 흔들리지 않는 상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리브와 홈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흔들림이 있어도 허용될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안내원통의 전방부의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가 형성된 안내원통의 내면에 필기축체가 후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점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 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 필기구는 샤프펜슬(30)로서, 외통(32) 뒷쪽에서 봉상물을 조출하도록 된 것이다.
이 샤프펜슬(30)은, 내면에 나선홈(12a)이 형성된 원통체(12)와, 이 원통체(12)에 축방향이동은 할 수 없지만 상대회전은 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는 안내원통(14)과, 이 안내원통(14)에 상대회전할 수 없게 걸어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나선홈(12a)에 끼워맞춰지는 돌기(16a)를 측면에 갖춰 봉상물(20)을 보유지지하게 되는 홀더(16)와, 내부에 필기축체(34)가 수납설치되는 외통(32)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안내원통(14)은, 후방부분(14B)에 축방향으로 뻗은 2개의 슬릿(14a)이 형성되고서, 그 후단부에는 플렌지형 스토퍼(stopper ; 14b)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슬릿(14a)의 앞끝부분에 상기 슬릿(14a)과 연통하는 절결부(14c)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돌출편(14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형 스토퍼(14b)가 원통체(12)의 후단부에 접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돌출편(14d)이 원통체(12)의 내면에 형성된 환형상 계단부(12b)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안내원통(14)이 원통체(12)에 대해 축방향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상대회전은 할 수 있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은, 외통(32)의 후방부 내면까지 뻗어 상대회전할 수 없게 수용되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의 외면에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리브(14e)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도 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통(32)의 후방내면에는 축방향으로 뻗은 복수(본 예에서는 6개)의 홈(32a)이 형성되어, 이들 복수의 홈(32a)중 어느 홈(32a)내에 리브(14e)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리브(14e)의 선단부 외면에는, 앞쪽을 향해 이어져 리브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외통(32)의 축선방향, 즉 필기구의 축선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경사진 경사면(14e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외통(32)의 홈(32a)의 후단부에도 뒷쪽을 향해 이어져 홈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외통(32)의 축선방향, 즉 필기구의 축선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경사진 경사면(32a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0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리브(14e)의 경사면(14e1)의 축선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1)는 전개도에서 30도, 홈(32a)의 경사면(32a1)의 축선방향으로부터의 경사각도(θ2)는 27.5도로 되어, 리브(14e)의 경사면(14e1)의 경사각도가 홈(32a)의 경사면(32a1)의 경사각도 이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안내원통(14)을 외통(32)으로 끼워넣을 때에, 각각의 경사면(14e1, 32a1)을 따라 양 부품이 정확히 원주방향의 위치관계를 이루도록 유도되게 된다. 더욱이, 도 10b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브(14e)의 앞끝과, 홈(32a)과 홈(32a) 사이의 돌조부분의 뒷끝(32c)이 일치하는 각도로 안내원통(14)이 외통(32)내로 끼워넣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안내원통(14)을 조금 회전시키기만 하면 리브(14e)의 앞끝이 홈(32a)의 경사면(32a1)에서 떨어져 홈(32a)의 경사면(32a1)과 리브(14e)의 경사면(14e1)의 면끼리 접촉하게 되어(가상선으로 도시됨) 안내원통(14)이 외통(32)에 대해 원활히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리브(14e)의 경사각도가 작으면, 안내원통(14)을 조금 회전시키면 리브(14e)의 앞끝이 홈(32a)의 경사면(32a1)에 따라 전진해 가기 때문에, 경사면(32a1)으로부터의 저항을 크게 받아 안내원통(14)이 외통(32)에 대해 원활히 전진할 수가 없게 되는 결점이 있게 된다.
또, 안내원통(14)의 리브(14e)보다 더 앞끝부분에는 직경방향 외부로 부풀려진 플렌지부(14g)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플렌지부(14g)의 외경은 외통(32)의 홈(32a)이 아닌 돌조부분에서의 내경과 거의 같도록 되어 있고, 플렌지부(14g)는 외통(32)의 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앞쪽의 내면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안내원통(14)의 후방부분(14B)은 전방부분(14A)에 비해 직경이 넓게 되어 있고, 후방부분(14B)의 앞끝부분 외주면은 외통(32)의 뒷끝내면의 내경(도면에서는 외통(32)의 홈(32a)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의 내경)과 거의 같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을 외통(32)의 후방부 내면으로 끼워넣으면, 플렌지부(14g)가 외통(32)의 내면에 접하게 되고, 안내원통(14)의 후방부분(14B)이 외통(32)의 뒷끝내면에 접하게 된다. 이들 2점은 리브(14e)와 홈(32a)이 끼워맞춰지는 부분과 달라, 리브(14e)와 홈(32a) 사이에 흔들림이 있다하더라도, 이 2점에서의 접촉으로 안내원통(14)과 외통(32)이 흔들림 없는 상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렌지부(14g)의 가장 앞쪽끝은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을 향해 이어져 점차 직경이 작아진 테이퍼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고, 그에 따라 외통(32) 내로 끼워넣기가 훨씬 쉬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32)내에는 필기축체(34)인 필심송출기구가 수납설치되고서, 이 필심송출기구를 구성하는 필심탱크(36)의 일부가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의 내부에 끼워넣어져 있다. 또,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의 측면에는 개구부(14h)가 형성되어 있는 바, 도 7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내원통(14)의 개구부(14h)가 형성된 안내원통(14)의 내면의 단면형상은 원형의 일부가 눌려져 찌그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눌려져 찌그러진 부분은 개구부(14h)에 의해 탄성을 가진 필심탱크(36)의 후단부에 탄성접촉하게 되는 돌출부(14i)로 기능하게 된다. 이 돌출부(14i)는 필심탱크(36)가 안내원통(14)내에 끼워넣어질 때 개구부(14h)가 변형되게 함으로써 필심탱크(36)를 쉽게 받아들이게 되고, 한편으로는 일단 필심탱크(36)가 끼워진 다음에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필심탱크(36)를 누르고 있게 된다. 필심탱크(36)의 후단부(36a)는 안내원통(14)의 내부에 형성된 칸막이벽(14f)에 닿을 때까지 끼워넣어지게 된다. 또, 개구부(14h)의 형상은 도 7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로 갈라지는 분리형 몰드와 비슷하게 되어 있다.
도 5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체(12)의 나선홈(12a)은 그 단면형상에 있어, 원통체(12)의 축방향중 한쪽 방향, 본 실시예에서는 봉상물이 조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쪽을 향해 점차 홈의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면(12a1)과, 홈깊이가 일정한 평탄면(12a2) 및, 상기 테이퍼면(12a1)의 가장 깊은쪽에 형성되어 원통체(12)의 축방향에 수직인 수직면(12a3)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테이펴면(12a1)을 갖게 됨으로써 원통체(12)의 성형이 끝나 나선홈(12a)에 대응하는 숫나사를 가진 코어핀을 원통체(12)로부터 뽑아낼 때, 코어핀을 직선적으로 움직여 무리하게 뽑아내더라도 쉽게 빠지게 됨으로써 나선홈(12a)을 손상시키지 않고 성형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코어핀을 나선홈(12a)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뽑아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홀더(16)는 봉상물(20)을 물어잡음과 더불어 슬릿(14a)에 끼워넣어지는 한쌍의 협지편(16b)과, 봉상물(20)의 후퇴를 방지하는 바닥면(16c)을 갖추고서, 상기 나선홈(12a)에 끼워맞춰지는 돌기(16a)가 협지편(16b)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필기구(30)에서 봉상물(20)을 조출할려면, 원통체(12)를 외통(32)에 대해 상대회전시키게 되는 바, 그에 따라 안내원통(14)의 슬릿(14a)에 걸어맞춰져 있는 홀더(16)가 원통체(12)에 대해 상대회전하여 원통체(12)의 나선홈(12a)에 끼워맞춰진 돌기(16a)가 나선홈(12a)을 따라 이동해서 홀더(16)가 자전하면서 원통체(12)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봉상물(20)이 원통체(12)의 뒷끝으로부터 조출되게 된다. 또, 원통체(12)를 외통(32)에 대해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상대회전시켜 봉상물(20)이 원통체(12)내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필심을 조출하는 경우에는, 안내원통(14)을 원통체(12)와 함께 외통(32)에 대해 전진하도록 녹크하게 되면 필심탱크(36)가 칸막이벽(14f)에 의해 전진하게 되어 공지의 필심송출기구의 작용에 따라 필심이 조출되게 된다.
또, 필심을 보충하는 경우에는,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을 외통(32)의 후방부로부터 뽑아내게 되면, 필심탱크(36)에다 필심을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필심의 보충이 끝난 후 다시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을 외통(32) 내에다 끼워넣을 때에는, 상기 리브(14e)와 홈(32a)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14e1, 32a1)을 따라 상호간의 원주방향의 위치관계가 정확히 위치하도록 유도되게 된다. 이때에도, 경사면(14e1)의 경사각도가 경사면(32a1)의 경사각도 이상(바람직하기로는 경사면(32a1)의 경사각도보다 크게)이 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을 외통(32)에다 원할히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리브(14e) 또는 홈(32a)의 경사면(14e1, 32a1)은 도 3 또는 도 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적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8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단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면(14e2)이어도 좋다. 또, 도 9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촘촘한 계단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면(14e3)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계단형상 경사면으로 된 경우에는, 그 축선방향에 대한 전체적인 경사각도(θ3)가 홈(32a)의 경사면(32a1)의 경사각도 이하로 되는 것이 좋은데, 본 실시예에서는 22.5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안내원통(14)을 외통(32)에다 끼워넣을 때 리브(14e)의 계단형상 경사면의 계단부에 홈(32a)과 홈(32a) 사이의 돌조부의 뒷끝(32c)이 걸리더라도 안내원통(14)을 조금만 회전시키면 걸림이 벗겨지기 때문에 안내원통(14)이 외통(32)에 대해 원활히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리브(14e) 또는 홈(32a)의 각 경사면과 인접한 경사면과의 경계가 뾰족한 각도로 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면과 인접하는 경사면과의 경계(A)를 도 11a 에서와 같이 곡선형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 도 11b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사면과 경사면이 아닌 축선방향과 평행한 부분과의 경계(B)도 곡선형상으로 접속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각을 없앰으로써 리브(14e)와 홈(32a) 사이에서 걸리는 것을 막아, 보다 원활히 안내원통(14)을 외통(32)에다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원통의 전방부분을 외통의 후방부 내면에다 끼워넣을 때, 외통의 홈 및 리브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양 부품이 정확한 원주방향 위치관계를 이루도록 유도될 수가 있게 된다. 더구나, 리브의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홈의 경사면의 경사각도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의 뾰족한 앞끝이 홈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피할 수가 있어서, 항상 리브의 경사면과 홈의 경사면이 면끼리 접해지기 때문에 원활히 안내원통을 외통에 대해 전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외통의 경사면 또는 리브의 경사면 중 어느 한쪽이 계단형상 경사면으로 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안내원통의 전방부분을 외통의 후방부 내면에다 끼워넣을 때 외통의 홈 및 리브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양 부품이 정확한 원주방향 위치관계를 이루도록 유도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계단형상 경사면의 경사각도를 연속적인 경사면의 경사각도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계단형상 경사면의 계단부에 다른쪽 부재가 걸리더라도 안내원통을 조금만 회전시키면 걸림이 벗겨지기 때문에 원활히 안내원통을 외통에 대해 전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안내원통의 플렌지부의 외주면이 외통의 내면에 접하는 한편, 안내원통의 후방부분의 앞끝부분 외주면이 외통의 뒷끝내면에 접하기 때문에, 이들 2점에서 접하게 됨으로써 안내원통이 외통에 대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조립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리브와 홈 사이에 어느 정도의 흔들림이 있더라도 허용될 수가 있게 된다.
또, 돌출부가 탄성적으로 접하는 필기축체가, 안내원통 내로 끼워넣어질 때 개구부가 변형되게 됨으로써 필심탱크가 수용되기가 쉬워지는 한편, 필기축체가 삽입된 후에는 쉽게 뽑아지지 않도록 필기축체를 압압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4)

  1. 내면에 나선홈(12a)이 형성된 원통체(12)와, 이 원통체(12)에 축방향이동은 할 수 없지만 상대회전은 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는 안내원통(14)과, 이 안내원통(14)에 상대회전할 수 없게 걸어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나선홈(12a)에 끼워맞춰지는 돌기(16a)를 측면에 갖춰 봉상물(20)을 보유지지하게 되는 홀더(16)와, 내부에 필기축체(34)가 수납설치되는 외통(32)을 구비하고서,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이 외통(32)의 후방부 내면까지 연장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32)의 후방부 내면에 복수의 홈(32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에 상기 홈(32a)에 끼워맞춰지는 리브(14e)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32)의 홈(32a)의 후단부에는 뒷쪽을 향해 이어져 홈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축선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경사진 경사면(32a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리브(14e)의 선단부 외면에 앞쪽을 향해 이어져 리브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축선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경사진 경사면(14e1)이 형성되고서, 상기 리브(14e)의 경사면(14e1)의 경사각도(θ1)가 상기 홈(32a)의 경사면(32a1)의 경사각도(θ2) 이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원통(14)의 리브(14e)보다 앞쪽의 단부에 플렌지부(14g)가 형성되어, 이 플렌지부(14g)의 외주면이 외통(32)의 내면과 접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원통(14)의 후방부분(14B)이 상기 전방부분(14A)보다 직경이 넓혀져 상기 안내원통(14)의 후방부분(14A)의 앞끝 외주면이 외통(32)의 뒷끝내면에 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의 측면에 개구부(14h)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4h)가 형성된 안내원통(14)의 내면에는 필기축체가 후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돌출부(14i)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내면에 나선홈(12a)이 형성된 원통체(12)와, 이 원통체(12)에 축방향이동은 할 수 없지만 상대회전은 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는 안내원통(14)과, 이 안내원통(14)에 상대회전할 수 없게 걸어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나선홈(12a)에 끼워맞춰지는 돌기(16a)를 측면에 갖춰 봉상물(20)을 보유지지하게 되는 홀더(16)와, 내부에 필기축제(34)가 수납설치되는 외통(32)을 구비하고서,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이 외통(32)의 후방부 내면까지 연장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32)의 후방부 내면에 복수의 홈(32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원통(14)의 전방부분(14A)에 상기 홈(32a)에 끼워맞춰지는 리브(14e)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32)의 홈(32a)의 후단부에는 뒷쪽을 향해 이어져 홈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축선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32a1)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리브(14e)의 선단부 외면에는 앞쪽을 향해 이어져 리브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축선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14e1)이 형성되고서, 외통(32)의 경사면(32a1) 또는 리브(14e)의 경사면(14e1) 중 어느 한쪽이 계단형상 경사면으로 되는 한편, 다른쪽은 연속적인 경사면으로 되어, 계단형상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연속적인 경사면의 경사각도 이하가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19980017107U 1997-09-12 1998-09-09 필기구 KR2002157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249085 1997-09-12
JP97-249085 199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61U true KR19990014161U (ko) 1999-04-26
KR200215740Y1 KR200215740Y1 (ko) 2001-03-15

Family

ID=6951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107U KR200215740Y1 (ko) 1997-09-12 1998-09-09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7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740Y1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620B1 (ko) 필기구및필기구제조방법
KR970003359Y1 (ko) 봉상물조출용기
JP3877844B2 (ja) 筆記具
US20060291947A1 (en) Writing instrument including stick-shaped material propelling mechanism
US4598478A (en) Sharpener press-button
KR19990014161U (ko) 필기구
KR940006144B1 (ko) 봉상물조출용기
JP2013052633A (ja) 押圧操作部と尾栓と軸筒との取り付け構造
JP6436679B2 (ja) ノック式筆記具
CN111067229B (zh) 涂布容器
US4943817A (en) Adaptor for universal X-Y plotter pen
JP2014205242A (ja) 筆記具
JP3953152B2 (ja) 棒状物繰り出し装置
JPH11139470A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5501569B2 (ja) 筆記具
KR0118610Y1 (ko) 필기구
JPH08187123A (ja) 棒状化粧料容器
JPH07285291A (ja) 芯体繰り出し具
JP2587441Y2 (ja) 繰り出し式の消しゴム装置
JP3770044B2 (ja) 筆記具
JP4620496B2 (ja) 棒状化粧料容器及び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2607092Y2 (ja) 繰り出し式の消しゴム装置
KR100320757B1 (ko) 녹크식 필기구
JP3665089B2 (ja) 繰り出し式の消しゴ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