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255U - Display device with safety shutoff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with safety shutoff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255U
KR19990012255U KR2019970025309U KR19970025309U KR19990012255U KR 19990012255 U KR19990012255 U KR 19990012255U KR 2019970025309 U KR2019970025309 U KR 2019970025309U KR 19970025309 U KR19970025309 U KR 19970025309U KR 19990012255 U KR19990012255 U KR 199900122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power
signal
output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3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문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5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255U/en
Publication of KR19990012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255U/en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을 차단하기에 앞서 OSD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전원을 오프시킬 의사를 가진 것인지 확인하므로써 다시 정상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afety shut-off device that can save power used for normal operation again by checking whether the user actually intends to turn off the power by using the OSD screen before turning off the power. will be.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기 신호를 인가 받아 상조정 데이터 및 OSD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데이터를 인가 받아 처리하여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는 OSD-IC와, 상기 OSD-IC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비디오 앰프 회로와, 상기 비디오 앰프회로에 의해 충분히 증폭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CR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 파워 오프시킬 때 상기 OSD-IC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나타내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A microcompute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to output phase adjustment data and OSD data, an OSD-IC receiving the OSD data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to process the OSD signal, and outputting the OSD gain signal;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video amplifier circuit for receiving an OSD gain signal and a video signal to be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a CR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sufficiently amplified by the video amplifier circu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to be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OSD-IC when the power off.

Description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with safety shutoff device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오프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OSD화면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afety shut-off device tha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using the OSD screen when reflecting the user's intention when performing a power off.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화상을 형성하여 나타내는 컴퓨터의 대표적인 주변장치이다.A general display device is a representative peripheral device of a computer that forms and displays an imag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그 내부 회로의 기본 구성을 간략하게 도 1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ircui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컴퓨터(100)는 키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발생하는 CPU(110)와, 상기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로 처리하고 이를 동기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_Sync) 및 수직 동기 신호 (V_Sync)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를 포함한다.The computer 100 receives and processes a keyboard signal, processes the CPU 110 to generate data according to the processed result, and receives the data output from the CPU 110 to process the image signals R, G, and B. And a video card 120 for outputting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_Sync and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V_Sync for synchronizing them.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컴퓨터(100)내의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된다.Meanwhile, the image signals R, G, and B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provided from the video card 120 in the computer 100 ar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uter program.

마이컴(210)은 시그널 케이블을 거쳐 제공되는 수평/수직 신호를 전달받아 후단에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등의 조절 신호를 출력한다.The microcomputer 210 receives a horizontal / vertical signal provided through a signal cabl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such as a phase adjustment signal and a reference oscillation signal at a rear end thereof.

제어 버튼(Button)부(220)는 상기 마이컴(21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화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입력 신호의 선택이 변경될 때 그 신호를 마이컴(210)에 전달한다.The control button unit 220 outputs various screen control signals for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210. At this time, when the selection of the input sig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210.

수평/수직 출력 회로부(230)는 상기 마이컴(210)으로부터 출력되는 화면 제어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아 라스터(Raster)를 동기시키게 된다.The horizontal / vertical output circuit 230 receives the screen control signal and the reference oscil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10 to synchronize the raster.

비디오 회로부(240)에서는 상기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증폭하게 된다.The video circuit unit 240 receives and amplifies the image signals R, G, and B output from the video card 120.

상기 마이컴(210)과 상기 수평/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비디오 회로부(240)에는 전원 회로부(250)를 통해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된다.Power required for driving is supplied to the microcomputer 210, the horizontal / vertical output circuit unit 230, and the video circuit unit 240 through the power circuit unit 25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각 블럭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each block in the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컴(210)은 제어 버튼(Button)부(220)에서 인가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상을 조정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microcomputer 210 receiving the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and the vertical sync signal V-Sync adjusts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a screen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button unit 220. Will output a signal.

마이컴(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1)는 전달된 수평/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톱니파 발생 회로의 온/오프 동작의 스위칭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직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회로(232)로 인가하게 된다.The horizontal / vertical oscillation signal processor 231 receiving the phase adjustment signal and the reference oscil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10 controls the switching speed of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awtooth wave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vertical pulse is applied to the vertical drive circuit 232.

수직 펄스를 인가 받은 수직 드라이브 회로(232)는 일반적으로 1단의 수직 증폭형이 많이 사용되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을 가하고 에미터 단자에서 출력 전압을 꺼내는 에미터 팔로우(Emitter Follower)형을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득보다는 직선성 개선의 동작을 한다.The vertical drive circuit 232 receiving a vertical pulse is generally used with one stage of vertical amplification type. The vertical drive circuit 232 has an emitter follower type that applies an input to a base terminal of a transistor and extracts an output voltage from an emitter terminal. It is used a lot. Therefore, the linearity improvement operation is performed rather than the gain.

이러한 수직 드라이브 회로(23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인가 받은 수직 출력 회로(233)는 수직 편향요크(V-DY)(234)를 통해 흐르는 수직 동기 펄스에 부합된 톱니파 전류를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수직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The vertical output circuit 233 receiving the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vertical drive circuit 232 generates a sawtooth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ynchronizing pulse flowing through the vertical deflection yoke (V-DY) 234. The vertical scan period is determined.

수평/수직 발진신호 처리기(231)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발진 신호는 수평 드라이브 회로(235)에 인가된다. 수평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드라이브 회로(235)는 수평 출력 회로(236)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The horizontal oscil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horizontal / vertical oscillation signal processor 231 is applied to the horizontal drive circuit 235. The horizontal drive circuit 235 applied with the horizontal oscillation signal supplies sufficient current to turn on / off the horizontal output circuit 236.

수평 드라이브 회로(235)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은 수평 출력 회로(236)는 수평 편향요크(H-DY)(237)에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수평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The horizontal output circuit 236 receiving the current output from the horizontal drive circuit 235 generates a sawtooth wave current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yoke (H-DY) 237. This sawtooth current determines the horizontal scanning period.

또한 안정된 직류(DC) 전압을 CRT(244)의 애노드(Anode)에 공급하기 위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이하 FBT라 칭함)(239)가 사용된다.Also, a flyback transfor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BT) 239 is used to supply a stable direct current (DC) voltage to an anode of the CRT 244.

FBT는 누설 인덕턴스와 고압 회로(238)의 분포 용량에 의한 고조파를 이용하여, 콜렉터 펄스가 작아도 큰 고압을 발생시켜 CRT(244)의 애노드(Anode)단자에 인가하게 된다.The FBT uses a harmonic caused by the leakage inductance and the distribution capacity of the high voltage circuit 238 to generate a high voltage even when the collector pulse is small, and apply it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CRT 244.

고압을 인가 받은 애노드(Anode)단자는 비디오 회로부(24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조정하게 된다. OSD부(241)는 마이컴(210)에서 출력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른 OSD데이터를 인가 받아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anode terminal receiving the high voltage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image signals R, G, and B that are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video circuit unit 240. The OSD unit 241 receives OSD data according to the scree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10 to output the OSD gain signal.

비디오 프리 앰프(242)는 OSD부(241)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는다. 비디오 프리 앰프(242)는 저전압 증폭기로 낮은 영상 신호(R,G,B)를 증폭시켜 일정한 전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The video preamplifier 242 receives the OSD gain signal output from the OSD unit 241 and the image signals R, G, and B applied from the video card 120. The video preamplifier 242 amplifies low image signals R, G, and B with a low voltage amplifier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level.

가령 예를 들어, 1VPP미만의 신호를 4 ∼ 6VPP의 신호로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4 ∼ 6VPP의 신호로 증폭 된 것을 비디오 출력 앰프(243)는 40 ∼ 60VPP의 신호로 증폭하여 각 화소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비디오 출력 앰프(243)에서 증폭된 영상 신호는 CRT(244)의 캐소드(Cathode)에 인가되어 화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된다.E.g., for example, it amplifies a signal of less than 1V PP into a signal of 4 ~ 6V PP. In this way four to signal that a video output amplifier 243 is amplified by a 6V PP will supply the energy in each pixel to amplify a signal of 40 ~ 60V PP. The video signal amplified by the video output amplifier 243 is applied to a cathode of the CRT 244 to display an image on the screen.

또한, OSD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비디오 프리 앰프(242)에서 OSD가 선택되어 일정 레벨로 증폭된 후, 비디오 출력 앰프(243)에서 최종 증폭되어 CRT(244)의 화면에 OSD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SD is selected, the OSD is selected by the video preamplifier 242 and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finally amplified by the video output amplifier 243 to display the OSD data on the screen of the CRT 244.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는, 상용 교류를 입력받는 교류(Alternative Current; 이하 AC라 칭함)입력단(251)을 통해 교류를 입력받는다. AC 입력단(251)을 통해 출력되는 교류를 입력받은 디가우징 코일(252)은 화면의 색 순도가 지자계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한다.The power supply circuit unit 250 supplying the driving voltage of the display device receives the alternating current through an alternating curr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 input terminal 251 that receives commercial alternating current. The degaussing coil 252, which receives the alternating current output through the AC input terminal 251, restores the color bleeding state of the screen to the original color due to the geomagnetic field or external conditions.

이 동작은 디가우징 코일(252)에 순간적으로 2-8초 동안 교류를 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에 있는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형성된 자계를 흩트려 색상의 번짐 상태를 회복시키게 된다.In this operation, when an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degaussing coil 252 for 2 to 8 seconds,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shadow mask in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scattered to restore the color bleeding state.

또한 정류기(253)를 통해 정류되어 출력되는 직류는 스위칭 트랜스포머(254)로 인가된다. 직류를 인가 받는 스위칭 트랜스포머(254)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압 출력단(255)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irect current rectified and output through the rectifier 253 is applied to the switching transformer 254. The switching transformer 254 receiving a direct curren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to supply various driving voltages required in the display apparatus 200 through the voltage output terminal 255.

이 때, 만일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인가되지 않으면 마이컴(210)은 서스펜드 모드 신호를 전압 레귤레이터(256)로 인가하여 편향 전압을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V-SYNC is not applied, the microcomputer 210 applies the suspend mode signal to the voltage regulator 256 to block the deflection voltage.

펄스 폭 변조회로(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부(257)의 구형파 펄스는 스위칭 장치의 온/오프 드라이브 동작을 시키며, 펄스 폭의 변화는 도전 시간(Conduction Time)을 증가 감소시켜 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시키게 된다.The square wave pulse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circuit (PWM) unit 257 performs on / off drive oper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the change in the pulse width increases and decreases the conduction time to stabilize the output voltage. Will cause.

그리고 마이컴(21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내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DPMS 모드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210 executes the DPMS mode according to whether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consumed in the display apparatus 200,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ed in the display apparatus 200. .

이러한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완전 차단되므로 후단의 편향단 및 음극선관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When the power of the monitor is cut off,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is completely cut off,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deflection stage and the cathode ray tube of the rear stage is not performed.

일단 전원을 차단하였다가 다시 켜게 되면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된다.Once turned off and on again, power is unnecessarily consumed.

종래의 모니터는 만일 사용자가 무심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였거나, 혹은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스위치가 눌려진 경우라도 무조건 전원을 차단하므로써 다시 전원을 인가할 때 발생되는 전력의 소모를 막을 수는 없었다.Conventional monitors can not prevent power consumption when power is applied again by uninterrupting power supply even if the user inadvertently shuts off the display device or the switch is pressed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부를 통해 후단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기에 앞서 OSD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user to reflect the user's intention by using the OSD screen before shutting off the power provided in the rear through the power suppl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전원을 차단하였다가 다시 온상태로 복귀시킬 때 발생되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waste of power generated when the user inadvertently cuts off the power supply and returns to the on stat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기 신호를 인가 받아 상조정 데이터 및 OSD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데이터를 인가 받아 처리하여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는 OSD-IC와, 상기 OSD-IC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비디오 앰프 회로와, 상기 비디오 앰프회로에 의해 충분히 증폭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CRT와 , 전반적인 회로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 상기 마이컴이 전원 공급부의 동작여부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소프트 스위치가 디스플레이 전면에 구성되어, 파워 오프시킬 때 상기 OSD-IC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receive a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computer to output the phase adjustment data and OSD data, and the OSD- output OSD gain signal by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OSD data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An IC, a video amplifier circuit that receives an OSD gain signal and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OSD-IC and amplifies it to a predetermined level, a CRT displaying a video signal sufficiently amplified by the video amplifier circuit, and an overall circuit In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a; A soft switch configured to perform switching opera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computer is configur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and is displayed to be selected to the user by using the OSD-IC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of a typical display devic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도,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OSD 화면의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an OSD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프 모드 전환 과정의 동작 흐름도이다.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 off-mode switch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210)에 소프트 스위치(SW)가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소프트 스위치(SW)를 이용하여 오프(Off)모드 또는 정상모드(Normal)로 진입될 수 있도록 전원을 컨트롤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soft switch SW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210. The user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to enter the Off mode or the Normal mode by using the soft switch (SW).

또한 상기 마이컴의 출력단에는 출력신호에 따라 각 단에 전원 제공여부를 스위칭하는 메인스위치(300)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is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300 for switching whether to provide power to each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

사용자는 상기 택트 스위치(SW)를 사용하여 전원을 온/오프 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마이컴에는 5V의 전원이 계속 제공되므로 상기 택트 스위치를 항상 인식하고 있다. 스위치(SW)가 눌려지면 마이컴(210)이 이를 인식하고 후단의 스위칭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오프모드→정상모드 또는 정상모드→오프모드를 수행한다.The user turns on / off the power using the tact switch SW. At this time, since the 5V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microcomputer, the tact switch is always recognized. When the switch SW is pressed, the microcomputer 210 recognizes this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rear switching unit to perform off mode → normal mode or normal mode → off mode.

이 소프트 스위치(SW)는 모니터 전면 하단부의 제어버튼부에 구성시킨다. 이와 같이 택트 스위치를 사용하여 종래의 아나로그 전원 스위치를 대신할 수 있다.This soft switch SW is configured in the control button portion of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onitor. Thus, the tact switch can be used to replace the conventional analog power switch.

택트 스위치(SW)를 눌러 전원을 오프시키려 하면 마이컴(210)은 OSD-IC (24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구하는 화면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킨다.When the power is turned off by pressing the tact switch SW, the microcomputer 210 displays the screen requesting confirmation to the user using the OSD-IC 241 as shown in FIG. 3.

이 때 디스플레이되는 OSD 화면에 따라 일정 시간내에 별도의 키 조작이 있으면 마이컴(210)은 메인 스위치(3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오프 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정상모드로 복귀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separate key oper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isplayed OSD screen, the microcomputer 210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in switch 300. That is, it returns to the normal mode without switching to the off mode.

도 4를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모니터 전면에 구성된 소프트 스위치를 누르면(S1 과정) 마이컴은 파워 온 플래그의 세팅 상태를 확인한다. (S2 과정)First, press the soft switch configured on the front of the monitor (step S1) and the microcomputer checks the setting state of the power on flag. (S2 course)

만일 파워 온 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은 상태라면 파워 온 플래그를 세팅시키며(S3 과정) 모니터 온(On)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것이다.(S4 과정)If the power on flag is not set, the power on flag will be set (step S3) and the monitor on signal will be output (step S4).

그렇지않고 파워 온 플래그(Power_flag)가 세팅된 상태 즉 모니터 온(On) 상태에서 소프트 스위치가 눌렸으면 OSD-IC를 이용하여 오프 모드로 전환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S5 과정)Otherwise, if the soft switch is pressed while the power on flag (Power_flag) is set, that is, the monitor on state,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OSD-IC is used to switch to the off mode. (S5 course)

카운트를 초기화시키고(S6 과정) 특정키의 입력을 확인한다.(S7 과정)Initialize the count (step S6) and check the input of a specific key (step S7).

만일 사용자가 특정키를 눌러 오프모드로의 전환을 억제하면 오프모드를 해제하고 정상모드로 복귀한다.(S8 과정)If the user presses a certain key to suppress the transition to the off mode, the user cancels the off mode and returns to the normal mode (step S8).

카운트를 체크하여(S9 과정) 사용자의 응답이 지정된 시간동안 없으면 오프모드로 전환시킨다.(S10 과정)Check the count (step S9) and if the user's response does not exist for a specified time to switch to the off mode (step S10).

한편 오프 모드로 전환될 때의 동작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행된다. 파워 온 플래그를 리셋시키면서(S11 과정) 모니터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S12 과정)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when switching to the off mode proceeds as shown in FIG. Th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monitor is output while the power on flag is reset (step S11). (S12 course)

이 신호는 스위칭부(30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후단의 편향단 및 고압단 등에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된다.Thi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300, and thus the power supplied to the rear end deflection stage and the high voltage stage is cut off.

즉 모니터 오프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 경우에는 후단의 편향회로부와 비디오 회로부 또한 CRT의 애노드에 고압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단 등에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써 파워 오프 모드로 진입한다.(S13과정)That is, when the control signal for the monitor off is output, the deflection circuit part and the video circuit part in the rear stage also enter the power off mode by cutting of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high voltage stage for providing the high voltage to the anode of the CR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워 오프를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OSD 화면을 이용하여 인식하게 하므로써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스위치가 눌려져 다시 전원을 인가할 때 발생되는 전력의 소모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OSD screen before performing the power-off, thereby preventing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when the switch is pressed and the power is applied again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Have

Claims (3)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기 신호를 인가 받아 상조정 데이터 및 OSD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컴과,A microcomputer that outputs phase adjustment data and OSD data by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rom a computer;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데이터를 인가 받아 처리하여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는 OSD-IC와,An OSD-IC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OSD data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to output an OSD gain signal; 상기 OSD-IC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비디오 앰프 회로와,A video amplifier circuit which receives an OSD gain signal and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OSD-IC and amplifies them to a predetermined level; 상기 비디오 앰프회로에 의해 충분히 증폭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CRT와 ,A CRT displaying a video signal sufficiently amplified by the video amplifier circuit; 전반적인 회로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an overall circuit; 상기 마이컴이 전원 공급부의 동작여부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소프트 스위치가 디스플레이 전면에 구성되어, 파워 오프시킬 때 상기 OSD-IC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 soft switch for switching operation is configur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computer, and indicates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user by using the OSD-IC when the power is off. Having a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파워 오프 동작을 수행할 때 OSD 화면과 함께 음성출력으로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a safety shut-off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performing the power off operation can display a message to the audio output with the OSD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파워 오프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은 일정 시간 카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time waiting for a user's response to the power-off operation is counted for a predetermined time.
KR2019970025309U 1997-09-05 1997-09-05 Display device with safety shutoff device KR1999001225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309U KR19990012255U (en) 1997-09-05 1997-09-05 Display device with safety shutoff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309U KR19990012255U (en) 1997-09-05 1997-09-05 Display device with safety shutoff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255U true KR19990012255U (en) 1999-04-06

Family

ID=6968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309U KR19990012255U (en) 1997-09-05 1997-09-05 Display device with safety shutoff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25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572B1 (en) How to Display DPMS on Display Device Using OSD
KR100247393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having pfc function
KR1002385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of display apparatus using a tact switch
US594322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witching power of display monitor with remote controller
KR19980034769A (en) Automatic luminance adjustment circuit and method using distance measuring sensor
US6115033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KR100303079B1 (en) Device and method for power on/off of display monitor through microprocessor reset
KR100288580B1 (en) Display mode representing method using osd
US6275221B1 (en) Low consumption power circuit using an electronic switch in a display monitor
US6424341B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SD in muting video signals
KR19980015197A (en) The monitor's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 monitor
KR1002385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bnc/d-sub signal of display device having dpms function
KR100247391B1 (en) Display apparatus equipped with an image signal pass throuth function
KR19990012255U (en) Display device with safety shutoff device
KR100263090B1 (en) Method and circuit for displaying patttern image control by using osd
KR19990013697U (en) Manual DSP implementation of the display device
KR100247397B1 (en) Display mod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200453Y1 (en) A detection circuit for secession of deflection yoke connector
KR19990016295A (en) How to protect setting state of display device using OSD password
KR19990001803U (en) Display device with OSD function help voice output function
KR19980051598A (en) Duty change circuit
KR100260826B1 (en) Horizontal position control circuit of display device
KR19990042243A (en) How to Redefine Function Keys on Your Display Device
KR19980062778U (en) Display device to set when to perform degaussing
KR19990008997U (en) Power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voice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