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966A - 금권류 수입장치 - Google Patents

금권류 수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966A
KR19980701966A KR1019970705363A KR19970705363A KR19980701966A KR 19980701966 A KR19980701966 A KR 19980701966A KR 1019970705363 A KR1019970705363 A KR 1019970705363A KR 19970705363 A KR19970705363 A KR 19970705363A KR 19980701966 A KR19980701966 A KR 19980701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type
counterfeit
kumwons
class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195B1 (ko
Inventor
마사노리 무카이
Original Assignee
세키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1998070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0Tracking or tracing valuable papers or casset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위조권이 사용된 것을 관리자측 사람에게 즉석으로 통지할 수 있는 금권류 수입 장치. 받아 들일 만한 것으로서 투입된 금권류가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높은 제 1 종 금권류와,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금권류와, 제 1 종 금권류보다도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낮고, 또한, 제 2 종 금권류보다도 위조권일 개연성이 낮은 제 3 종 금권류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며, 투입된 금권류 중에, 제 2 금권류가 소정 매수 포함되어 있을 때에, 위조권이 투입된 것을 의미하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금권류 수입 장치가 구성된다.

Description

금권류 수입 장치
근래, 각종 분야에서 자동화가 진행되어 지폐, 유가증권, 납세증서, 도서권, 맥주권, 각종의 차표, 입장권 등이라는 금권류가 관계하는 거래도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가고 있다.
그와 같은 장치(이하, 금권류 수입 장치라고 표기한다)의 구체적인 구성은 장치가 처리 대상으로 하는 금권류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ATM 등의 지폐를 대상으로 하는 금권류 수입 장치는 통상, 투입·배출부, 감별부, 저장부, 반송 기구, 조작부, 제어부를 구비한다.
투입·배출부는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에 의해, 감별부 및 저장부와 접속되어 있고, 지폐의 투입구 및 배출구로서 기능한다. 조작부는 이용자와 제어부의 사이에서 정보를 수수하기 위한 부이고,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는 조작부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른 제어를 각부에 대하여 행한다. 예컨대, 조작부에 대하여 입금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제어부는 지폐를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투입·배출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지폐의 투입 완료가 검지되었을 때에 투입·배출부내의 지폐를 1장씩 감별부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 또, 상기 제어는 주로 투입·배출부와 감별부 사이에 설치되는 반송 기구에 대하여 행해진다.
감별부는 반송 기구에 의해서 투입부에서 반송되어 온 1장의 지폐의 액면 가격의 감별을 행한다. 또한, 감별부는 반송되어 온 지폐(금권류)가 금권류 수입 장치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폐(이하, 적격인 지폐라고 표기한다)인지 아닌지의 감별도 행한다. 또, 금권류 수입 장치에는 적격인 지폐처럼 보이게 한 위조 지폐가 투입될 때가 있기 때문에, 감별부에는 위조 지폐를 받아 들여 버리는 일이 없도록, 또한, 더러움이나 부분적 결함이 있는 적격의 지폐가 배출되는 일이 없도록, 경험적으로 정해진 감별 조건이 부여된다.
그 후, 제어부는 감별부에 의한 감별이 끝난 지폐가 감별 결과에 따른 부로 반송되도록 반송 기구를 제어한다. 즉, 적격인 지폐라고 감별된 지폐는 저장부내에 액면 가격별로 저장되도록 잘못 투입된 이종의 금권류나 위조 지폐등 적격이 아닌 지폐는 투입·배출부에 되돌려지도록 반송 기구를 제어한다.
또한, 조작부에 대하여 출금을 지시하는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는 지시된 금액의 지폐가 저장부로부터 취출되고, 투입·배출부에 반송되도록 각부를 제어한다.
한편, 위조권의 사용은 범죄이므로, 금권류 수입 장치는 위조권이 사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감별부에 의해서 부적격이라고 감별된 금권류를 위조권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금권류 수입 장치에는 감별부에 의한 감별 결과로부터 위조권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은 설치되지 않았다. 다만, 종래의 금권류 수입 장치는 장치 내부에 거래 내용에 관한 데이타가 보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감별부에 의한 감별이 실패하고, 위조권을 받아들여 버린 것이 판명된 경우에는 그 데이타로부터 위조권의 사용 시각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는 있다. 그러나, 위조권이 투입되어도, 감별부에 의한 감별이 성공했을 경우에는 장치 내부에 위조권이 저장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경우, 거래 내용의 기록으로부터는 위조권이 투입되었을지도 모르는 거래가 이루어진 시각 즉, 범죄 행위의 입증에 사용할 수 없는 정보가 얻어질 뿐이다.
또한, 감시용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금권류 수입 장치의 이용자의 자세를 녹화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지만, 그 녹화 내용이 의미를 갖는 것은 역시, 위조권을 받아 들이게 될 때 뿐이었다.
본 발명은 지폐등의 금권류를 받아 들이는 금권류 수입(受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ATM(Automatic Te11er's Machine)을 실현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금권류 수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조권이 사용된 것을 관리자측 사람에게 즉석으로 통지할 수 있는 금권류 수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는 투입된 여러장의 금권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이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여러장의 금권류를 1장씩 취출하는 취출 수단과, 이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1장의 금권류에 관한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를 출력하는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과, 이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와, 미리 정해진 조건 데이타에 기초하여,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금권류를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높은 제 1 종 금권류와,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금권류와, 제 1 종 금권류보다도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낮고, 또한, 제 2 종 금권류보다도 위조권일 개연성이 낮은 제 3 종 금권류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이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1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던 여러장의 금권류가 모두 취출 수단에 의해 취출될 때까지의 동안에,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의 매수를 계수하는 계수 수단과, 이 계수 수단에 의한 계수치가 소정치를 상회했을 때에, 위조권이 투입된 것을 의미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금권류 수입 장치를 구성한다.
즉, 제 1 양태에 따른 금권류 수입 장치에서는 유지 수단내에 투입된 금권류중에,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금권류(제 2 종 금권류)가 소정 매수 포함되어 있을 때에 위조권이 투입된 것을 의미하는 정보(소위, 경보)가 출력된다. 이 때문에, 본 금권류 수입 장치에 위조 지폐가 투입되었을 경우, 관리자측의 사람이 그 행위에 즉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조 지폐일 개연성이 높은 지폐가 1장 발견된 단계가 아니라, 소정 매수 발견된 단계에서, 경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금권류 수입 장치는 경보가 잘못 출력되는 일이 극히 적은 장치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는 투입된 여러장의 금권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이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여러장의 금권류를 1장씩 취출하는 취출 수단과, 이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1장의 금권류에 관한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를 출력하는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과, 이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와, 미리 정해진 조건 데이타에 기초하여,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금권류를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높은 제 1 종 금권류와,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금권류와, 제 1 종 금권류보다도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낮고, 또한, 제 2 종 금권류보다도 위조권일 개연성이 낮은 제 3 종 금권류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이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1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던 여러장의 금권류중에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이 판별 수단에 의해서, 소정 회수, 연속하여,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에, 위조권이 투입된 것을 의미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금권류 수입 장치를 구성한다.
즉, 제 2 양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는 유지 수단내에 투입된 금권류중에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금권류(제 2 종 금권류)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 현상이 소정 회수, 연속해서 생겼을 때에 경보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위조권의 사용자는 수입이 거부되더라도, 몇번이나 위조권의 사용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금권류 수입 장치에 의하면, 적은 매수의 위조권의 사용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의 양태에서는 참조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참조 데이타 기억 수단과, 투입된 여러장의 금권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이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여러장의 금권류를 1장씩 취출하는 취출 수단과, 이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1장의 금권류에 관한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를 출력하는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과, 이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와, 미리 정해진 조건 데이타에 기초하여,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금권류를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높은 제 1 종 금권류와,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금권류와, 제 1 종 금권류보다도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낮고, 또한, 제 2 종 금권류보다도 위조권일 개연성이 낮은 제 3 종 금권류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이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1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의 특징 데이타와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참조 데이타가 참조 데이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을 때에, 위조권이 투입된 것을 의미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수단과,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의 특징 데이타와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참조 데이타가 참조 데이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 그 특징 데이타를 참조 데이타 기억 수단내에 참조 데이타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이용하여 금권류 수입 장치를 구성한다.
즉, 제 3 의 양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에서는 투입된 금권류중에,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특징 데이타가 극히 유사한 2매의 금권류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 경보가 출력된다. 이 때문에, 이 금권류 수입 장치에 의하면, 통상, 동일 순서로 만들어지는 여러장의 위조 지폐의 사용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1 내지 제 3 양태에 의한 금권류 수입 장치에, 분류 수단이 조건 데이타를 이용하여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금권류를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했을 때에, 조건 데이타보다도, 제 1 종 금권류로 분류되기 위한 특징 데이타의 범위가 좁은 제 2 조건 데이타를 사용하여 그 후의 분류가 행해지도록, 분류 수단을 제어하는 분류 제어 수단을 부가할 수도 있다.
분류 제어 수단을 부가한 금권류 수입 장치에서는 위조권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인지된 단계에서, 그때까지의 상태에서는 받아 들여지고 있던 금권류중,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낮은 금권류는 받아 들일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분류 제어 수단을 부가하면, 위조 지폐를 적격인 것으로 오인하여 받아 들여 버리는 것이 적은 금권류 수입 장치를 수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양태에 의한 금권류 수입 장치에, 금권류를 유지 수단에 투입하는 인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과, 계수 수단에 의한 계수치가 소정치를 상회했을 때에, 촬영 수단을 기능시키는 촬영 제어 수단을 부가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 2 양태에 의한 금권류 수입 장치에, 유지 수단에 금권류를 투입하는 인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과, 판별 수단에 의해서 소정 회수, 연속하여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판별되었을 때, 촬영 수단을 기능시키는 촬영 제어 수단을 부가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ic teller's machine)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금권류 수입 장치의 케이스에는 조작부(19)와 카드 삽입/배출구(20)와 통장 삽입/배출구(21)와 지폐 투입/배출구(22)가 설치되어 있다. 각 부는 통상의 ATM 과 동일하게 기능한다. 즉, 조작부(19)는 조작 순서등에 관한 메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와, 각종의 정보(암증 번호, 금액, 구좌 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 이루어지고, 표시 장치는 금권류 수입 장치내에 설치되는 프로세서(상세한 내용은 후술)로부터 부여되는 데이타에 따른 메세지(화상 데이타)를 표시하며, 입력 장치는 이용자의 조작 내용에 따른 데이타를 프로세서에 대하여 출력한다.
카드 삽입/배출구(20)에는 구좌 정보가 기록된 카드가 삽입된다. 카드 삽입/배출구(20)의 후방에는 카드에 기억된 자기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기기나, 카드의 표면에 쓰여진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기기, 삽입된 카드를 그들 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반송 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반송 기구,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카드 삽입/배출구(20)에 삽입된 카드를 내부로 끌어 넣고, 그 카드가 유지하는 정보를 독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독출한 정보를 기초로,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중앙 컴퓨터와 정보 교환을 행하여 실행가능한 처리를 인식한다.
또한, 카드 삽입/배출구(20)는 처리한 거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전표의 배출구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카드 삽입/배출구(20)의 후방에는 전표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구도 설치되어 있고, 프로세서는 상기 기구의 제어도 행한다.
통장 삽입/배출구(21)에는 통장이 삽입된다. 통장 삽입/배출구(21)의 후방에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되는 삽입된 통장에 거래 내용을 인자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지폐 투입/배출구(22)는 지폐의 투입구 및 배출구로서 기능한다. 지폐 투입/배출구(22)의 후방에는 실제로, 지폐를 처리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치는 상기 기구로서, 부적격이라고 감별된 지폐를 단순히, 지폐 투입/배출구(22)로 되돌리는 것을 구비하고 있지만,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는 위조 지폐가 투입된 것을 검출하여, 경비원 등, 관리자측 사람에게 통지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내에 설치되는 상기 기구의 구성,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 삽입/배출구와 통장 삽입/배출구에 관계하는 기구는 통상의 ATM 내에 설치되어 있는 대응하는 기구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이므로, 도 2에서는 이들 표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중앙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행하기 위한 회로의 도시도 생략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는 투입부(11)(도 1의 지폐 투입/배출구(22)에 상당)와 센서부(12)와 반송 전환부(13)와 저장부(14)와 프로세서(15)와 메모리부(16)와 인터페이스 회로(I/F)(17)와 촬상부(18)와 조작부(19)를 구비한다. 투입부(11)와, 센서부(12), 반송 전환부(13), 저장부(14) 사이에는 지폐 M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투입부(11)와 센서부(12) 사이에는 투입부(11)에 투입된 지폐를 센서부(12)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부(12)의 후단에는 센서부(12)를 통과한 지폐를 반송 전환부(13)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전환부(13)의 후단에는 지폐를 저장부(14)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와, 지폐를 투입부(11)로 되돌리기 위한 반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부(12)와, 반송 전환부(13), 프로세서(15), 메모리부(16), I/F(17), 촬상부(18)는 디지탈 데이타를 교환하기 위한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금권류 수입 장치(10)는 I/F(17)를 통해 경보부(40)에 접속되어 있다. 또, 경보부(40)는 경비원등, 장치의 관리자측 사람이 상주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기기로서, 금권류 수입 장치(10)의 제어하에, 소리와 빛에 의해, 이상이 발생한 것(위조 지폐가 사용된 것)을 관리자측 사람에게 통지한다.
투입부(11)는 입금을 위해 이용자가 투입한 여러장의 지폐 M을 유지하는 공간과, 부적격인 것으로 된 지폐가 되돌려지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 전자의 공간에는 지폐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와 프로세서(15)는 센서의 출력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센서부(12)는 지폐 M의 특징을 나타내는 각종 특징 데이타를 수득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31)와, 그들 센서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특징 데이타를 디지탈 신호 형태의 특징 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 회로(32)를 구비한다. 또, 센서부(12)내에는 센서(31)로서 외형이나 인쇄되어 있는 문자등에 관한 정보를 수득하기 위한 광학 센서, 자기 잉크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두께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 전환부(13)는 센서부(12)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폐를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어느 한쪽 반송 기구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저장부(14)는 지폐를 액면 가격별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상부(18)는 소위, 비디오 카메라로서, 본 장치의 사용자의 모습(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부(16)는 ROM, RAM, 자기 디스크 기억 장치로 이루어진다. ROM에는 프로세서(15)의 동작 순서를 정의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고, 자기 디스크 기억 장치에는 사전 데이타와 조건 데이타(상세한 내용은 후술)가 격납되어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금권류 수입 장치의 입금 의뢰에 대한 동작(프로세서(15)의 제어 순서)을 설명한다.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혹은, 리셋 버튼이 눌려졌을 때), 프로세서(15)는 우선, 알람을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변수 K를 0으로 초기화한다(단계 S101). 이어서, 프로세서(15)는 조작부(19)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는 상태로 이행하고, 감별 개시 조건이 성립하는 것을 대기한다(단계 S102). 프로세서(15)는 이 단계에 있어서, 조작부(19)에 대하여 입금을 지시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며, 투입부(11)로의 지폐의 투입이 완료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지폐의 투입부(11)로의 투입이 완료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프로세서(15)는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지폐의 매수를 기억하기 위한 변수 J를 0으로 초기화(단계 S103)하여, 투입부(11)내의 지폐를 1장 보내기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단계 S104).
이어서, 프로세서(15)는 투입부(11)로부터 보내진 1장의 지폐에 관한 각종 특징 데이타를 센서부(1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특징 데이타와, 메모리부(16)에 기억되어 있는 사전 데이타, 조건 데이타를 이용하여, 센서부(12)로 반송된 지폐를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높은 지폐인 제 1 종 지폐,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지폐, 그 이외의 제 3 종 지폐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단계 S105). 또한, 이 단계에 있어서, 제 1 종 지폐로 분류되는 지폐에 관해서는 그 액면 가격도 특정된다.
단계 S105에서 사용되는 사전 데이타는 금권류 수입 장치(10)가 수입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폐를 더러움등이 없는 상태로, 센서부(12)로 반송했을 때에, 센서부(12)로부터 출력되는 특징 데이타로 되어 있다. 또한, 조건 데이타는 센서부(12)가 출력하는 특징 데이타와 메모리부(16)내의 사전 데이타의 차이와, 상술한 3종의 분류와의 대응 관계를 정한 데이타로 되어 있고, 메모리부(16)에는 조건 데이타로서, 최초에 단계 S105가 실행될 때에 사용되는 제 1 조건 데이타와, 제 1 조건 데이타보다도, 제 1 종 지폐로 분류되는 특징 데이타의 범위가 좁은(조건이 엄한) 제 2 조건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다.
지폐가 제 1 종 지폐로 분류되는 것인 경우(단계 S106; 제 1 종), 프로세서(15)는 센서부(12)에서 검사된 지폐가 저장부(14)에 반송되도록, 센서부(12)의 후단의 반송 기구, 경로 전환부(13)등을 제어한다(단계 S107). 또, 이 단계에 있어서, 프로세서(15)는 상기 지폐가 저장부(14)내의, 액면 가격에 따른 장소에 저장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5)는 투입부(11)내에 설치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투입된 모든 지폐의 처리(감별)가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2). 그리고, 모든 지폐에 대한 처리가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단계 S112; N), 프로세서(15)는 단계 S104로부터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즉, 프로세서(15)는 투입부(11)내의 다음 지폐에 대한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지폐가 제 2 종 지폐로 분류되는 것인 경우(단계 S106; 제 2 종), 즉, 위조 지폐일 개연성이 높은 것이었던 경우, 프로세서(15)는 변수 J의 값을 1 증분한다(단계 S108). 그리고, 단계 S105에서 사용하는 조건 데이타를 제 2 조건 데이타로 변경한다(단계 S109). 또, 이 단계는 분류에 사용된 조건 데이타가 제 1 조건 데이타였을 때에만 실행된다.
조건 데이타의 변경후(혹은, J값의 변경후), 프로세서(15)는 J≥LJ가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 여기서, LJ는 관리자에 의해서, 금권류 수입 장치(10)의 운용에 앞장서서 설정되는 값이다.
J≥LJ가 성립되지 않았을 경우(단계 S110; N), 프로세서(15)는 센서부(12)에 의해서 검사된 지폐가 투입부(11)로 되돌려지도록, 센서부(12) 후단의 반송 기구, 경로 전환부(13)등을 제어한다(단계 S111). 그리고, 단계 S112로 진행하여, 투입부(11)내에 감정하지 않은 지폐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증분한 J에 대하여, J≥LJ가 성립하고 있을 경우(단계 S110; Y), 프로세서(15)는 촬상부(18)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동시에, 경보부(40)에, I/F(17)를 통해 소정의 제어 신호를 통지함으로써, 경보부(40)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처리인 알람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17). 그리고, 도시한 처리를 중단한다.
즉, 프로세서(15)는 지폐가 받아들일 만한 지폐인지 아닌지(제 1 종 지폐인 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는 동시에, 지폐가 위조 지폐일 개연성이 높은 지폐인지 아닌지(제 2 종 지폐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투입부(11)내에 투입된 지폐중에, 제 2 종 지폐로 분류되는 지폐가 LJ이상 포함되어 있을 때에, 경보가 출력되도록 경보부(40)를 제어한다. 또, 그 시점에서의 조작자의 모습이 기록되도록, 촬상부(18)의 동작을 개시시켜 처리를 중단한다.
또한, 지폐가 제 3 종 지폐로 분류되는 것인 경우(단계 S106; 제 3 종), 즉, 센서부(12)에서 검사된 지폐가 제 2 종 지폐보다도 위조 지폐일 개연성이 낮고, 제 1 종 지폐보다도 수입 대상인 지폐일 개연성이 낮은 지폐였을 경우, 프로세서(15)는 J의 값을 변경하지 않고, 단계 S111로 진행하여 그 지폐를 투입부(11)로 되돌린다. 그리고, 단계 S112의 판단을 행하고, 모든 지폐의 감별이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Sl04로부터의 처리를 실행한다.
모든 지폐의 처리가 완료되었음이 검지되는 경우(단계 S112; Y), 프로세서(15)는 J>0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3). 그리고, J>0이 성립하지 않았을 경우(단계 S113; N), 프로세서(15)는 K에 0을 세트(단계 S114)하고, 단계 S102로 되돌아간다. 한편, J>0이 성립하고 있을 경우(단계 S113; Y), 프로세서(15)는 K의 값을 1 증분한다(단계 S115). 이어서, 프로세서(15)는 중분한 K에 대하여, K≥LK가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6). 또, LK도, LJ와 동일하게, 관리자에 의해서, 금권류 수입 장치(10)의 운용에 앞장서서 설정되는 값이다.
K≥LK가 성립하고 있을 경우(단계 S116; Y), 프로세서(15)는 J≥LJ가 성립하고 있을 때와 동일하게, 알람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17). 즉, 프로세서(15)는 제 2 종 지폐를 포함하는 지폐의 투입이, 연속해서, LK회 반복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도 알람 처리를 실행한다. 또, 단계 S114에 있어서, K를 0으로 초기화하고 있는 것은 변수 K에 연속하여 제 2 종 지폐가 검출된 회수를 기억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K≥LK가 성립하지 않았을 경우(단계 S116: N), 프로세서(15)는 단계 S102로 되돌아가고, 다음 거래에 관한 감별 개시 조건이 충족되는 것을 대기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는 투입부(11)내에 투입된 지폐중에, 위조 지폐일 개연성이 높은 지폐(제 2 종 지폐)가 LJ장 이상 포함되어 있을 때에, 경보가 출력되도록 경보부(40)를 제어하여 조작자의 촬영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본 금권류 수입 장치(10)에 위조 지폐가 투입되었을 경우, 관리자측 사람이 그 행위에 즉석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조 지폐일 개연성이 높은 지폐가 1장 발견된 단계가 아니라, LJ장 발견된 단계에서,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보가 잘못 출력되는 일도 극히 적어지고 있다.
또한, LJ장 미만의 위조 지폐가 투입되었을 경우, 금권류 수입 장치(10)는 경보를 출력하지 않지만, 그와 같은 지폐의 투입이 LK회 반복되었을 경우에는 경보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위조 지폐의 사용자는 수입이 거부되어도 몇번이고 위조 지폐의 사용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금권류 수입 장치(10)에 따르면, 적은 장수의 위조 지폐의 사용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금권류 수입 장치(10)는 제 2 종 지폐가 검출되었을 때에, 제 1 종 지폐에 관한 판정 조건이 엄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위조 지폐가 사용된 가능성이 인지된 단계에서, 보다 사전 데이타에 가까운 조건 데이타를 갖는 지폐만을 받아 들이도록 판정 조건이 변경된다. 이 때문에, 본 금권류 수입 장치(10)는 위조 지폐를 적격인 것으로 오인하여 받아 들이게 될 때가 적은 장치로도 되어 있다. 또한, 촬상부(18)에 의해서, 사용자의 모습이 기록되므로, 경비원등이 곧 대응할 수 없는 경우에도, 범죄 행위에 관한 유력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 형태〉
도 4에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는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와 같이, ATM 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금권류 수입 장치(10')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요소는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금권류 수입 장치(10')에는 센서부(12) 대신에, 센서(31)와 A/D 변환 회로(32)와 프로세서(33)로 이루어지는 감별부(12')가 설치되어 있다.
감별부(12')내의 프로세서(33)는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가 단계 S105에서 행하는 처리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즉, 프로세서(33)는 A/D 변환 회로(32)를 통해 센서(31)에 의해서 검출된 특징 데이타를 취득한다. 이어서, 그 특징 데이타와, 메모리부(16)내의 사전 데이타, 조건 데이타에 기초하여 투입부(11)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폐를 제 1 종 내지 제 3 종 지폐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3)는 그 분류를 프로세서(15)에 통지한다.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는 투입부(11)에 투입된 모든 지폐의 처리가 끝날 때까지는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와 유사한(본질적으로는 같은) 처리를 행한다. 다만,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는 조건 데이타의 변경(판정 조건의 변경)을 행하지 않고, 또한, 모든 지폐의 처리가 완료했을 때에는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에 의한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부(11)에 투입된 모든 지폐의 감별이 완료할 때까지의 단계 S201 내지 S208, S210 내지 S212, S217에 있어서 행해지는 처리는 단계 S201에 있어서, 변수 JOLD에 0이 설정되어 있고, 단계 S205에 있어서, 감별부(12')로부터, 감별부(12')가 결정한 분류를 수득할 수 있는 점을 제외하면, 각각, 단계 S101 내지 S108, S110 내지 S112, S117에 있어서 행해지는 처리와 같은 처리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단계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는 모든 지폐의 감별이 완료했을 때에, 제 2 종 지폐로 분류된 지폐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J가 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에 대하여,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는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지폐의 감별이 완료했을 때(단계 S212; Y), J≠0, 또한, J=JOLD가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20). 그리고, J≠0, 또한, J=JOLD가 성립하지 않았을 경우(단계 S220; N), 프로세서(15)는 JOLD에 J의 값을 세트하고(단계 S221) 단계 S202로 되돌아간다. 한편, J≠0, 또한, J=JOLD가 성립하고 있는 경우(단계 S220; Y), 프로세서(15)는 단계 S117로 진행하여, 알람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에서는 변수 JOLD에, 전회, 투입부(11)에 투입된 지폐(전회, 감별된 지폐)에 포함되어 있던 제 2 종 지폐의 장수가 기억된다. 그리고, 그 전회의 제 2 종 지폐의 장수(JOLD)와, 이번 투입부(11)에 투입된 지폐에 포함되어 있던 제 2 종 지폐의 장수(J)가 0이 아닌 장수로, 일치하고 있었을 때에도 알람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에서는 LJ매 미만의 제 2 종 지폐(위조 지폐)의 사용에 대하여 알람 처리가 실행되는 조건이 LK가 2로 설정된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보다도, 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에 의하면, 적은 장수의 위조 지폐 사용을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 형태〉
제 3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는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다만, 제 3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내의 프로세서는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의 프로세서(15)와는 다른 순서로 각 부를 제어한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제 3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의 입금 의뢰에 대한 동작(프로세서에 의한 제어 순서)을 설명한다.
전원이 투입되면, 프로세서는 조작부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는 상태로 이행하고, 감별 개시 조건이 성립하는 것을 대기한다(단계 S301). 즉, 조작부에 대하여 입금을 지시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며, 투입부로의 지폐의 투입이 완료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지폐의 투입부로의 투입이 완료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프로세서는 투입부내의 지폐를 1장 계속 보내기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단계 S302).
이어서, 프로세서는 투입부로부터 계속 보내어진 1장의 지폐에 관한 각종의 특징 데이타를 센서부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특징 데이타와 메모리부에 기억되어 있는 사전 데이타, 조건 데이타를 이용하여, 센서부에 반송된 지폐를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높은 지폐인 제 1 종 지폐,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지폐, 그 이외의 제 3 종 지폐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단계 S304). 또, 사전 데이타는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에 유지되어 있는 사전 데이타와같은 데이타로 되어 있고, 조건 데이타는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10)내에 유지되어 있는 제 1 조건 데이타와 같은 데이타로 되어 있다.
지폐가 제 1 종 지폐로 분류되는 것이었을 경우(단계 S304; 제 1 종), 프로세서는 센서부에서 검사된 지폐가 저장부로 반송되도록, 센서부의 후단의 반송 기구, 경로 전환부 등을 제어한다(단계 S305). 그리고, 모든 지폐의 처리(감별)가 완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단계 S311)하여,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N)에는 단계 S302로 되돌아가고, 다음 지폐에 관한 처리를 개시한다.
지폐가 제 3 종 지폐로 분류되는 것인 경우(단계 S304; 제 3 종), 프로세서는 센서부에서 검사된 지폐가 투입부로 되돌려지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단계 S306). 그 후, 모든 지폐의 처리(감별)가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단계 S311; N)에는 단계 S302로 되돌아가서 다음 지폐에 관한 처리를 개시한다.
지폐가 제 2 종 지폐로 분류되는 것인 경우(단계 S307; 제 2 종), 프로세서는 센서부에서 검출된 특징 데이타와 유사한 참조 데이타, 즉, 특징 데이타와의 차이가 규정치 이내인 참조 데이타가 메모리부내에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단계 S307). 여기서, 참조 데이타는 과거에 제 2 종 지폐로 분류된 지폐의 특징 데이타이며, 후술하는 단계 S309에서 메모리부내에 기억된다.
단계 S307에 있어서의 검색 결과, 유사한 참조 데이타가 존재하지 않은 것을 알았을 경우(단계 S308; N), 프로세서는 그 특징 데이타를 참조 데이타로서, 메모리부내에 기억한다(단계 S309). 또, 이 단계에 있어서의 기억은 이미 기억되고 있는 참조 데이타에 새로운 참조 데이타를 추가하는 형태로 행해진다. 그 후, 프로세서는 그 제 2 종 지폐로 분류된 지폐를 투입부로 되돌리고(단계 S306), 모든 지폐의 처리(감별)가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단계 S311; N)에는 투입부에서 다음 지폐를 계속 보낸다(단계 S302).
한편, 단계 S307에 있어서의 검색 결과, 유사한 참조 데이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았을 경우(단계 S308; Y), 프로세서는 이미 설명한 알람 처리를 실행하여(단계 S310) 처리를 중단한다.
그리고, 처리가 중단되지 않고, 모든 지폐의 처리가 완료했을 경우(단계 S311; Y), 프로세서는 메모리부내에 기억한 참조 데이타를 소거(단계 S312)하고, 단계 S301로 되돌아가서 다음 입금 의뢰가 이루어지는 것을 대기한다.
즉, 제 3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에서는 투입된 지폐중에, 제 2 종 지폐로 분류되는 특징 데이타가 극히 유사한 2장의 지폐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 알람 처리가 실행된다. 이 때문에, 제 3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에 따르면, 통상, 동일 순서로 만들어지는 여러장의 위조 지폐의 사용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변형예〉
제 1 내지 제 3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는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 1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를 변형하고, 조건 데이타의 변경을 행하지 않고서,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금권류 수입 장치를 구성하여도 좋다. 반대로, 조건 데이타의 변경이 행해지도록, 제 2, 제 3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의 금권류 수입 장치에 기초하여, 검출된 제 2 종 지폐의 장수가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도, 알람 처리가 실행되는 금권류 수입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종 지폐의 모든 지폐수에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한 형태로 알람 처리가 실행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6)

  1. 투입된 여러장의 금권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이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여러장의 금권류를 1장씩 취출하는 취출 수단과;
    이 취출 수단에 의해 취출된 1장의 금권류에 관한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를 출력하는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과;
    이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와, 미리 정해진 조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취출 수단에 의해 취출된 금권류를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높은 제 1 종 금권류와,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금권류와, 제 1 종 금권류보다도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낮고, 또한, 제 2 종 금권류보다도 위조권일 개연성이 낮은 제 3 종 금권류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이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1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던 여러장의 금권류가 모두 상기 취출 수단에 의해 취출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의 장수를 계수하는 계수 수단과;
    이 계수 수단에 의한 계수치가 소정치를 상회했을 때에, 위조권이 투입된 것을 의미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권류 수입 장치.
  2. 투입된 여러장의 금권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이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여러장의 금권류를 1 장씩 취출하는 취출 수단과;
    이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1장의 금권류에 관한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를 출력하는 특징 데이타출력 수단과;
    이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와, 미리 정해진 조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금권류를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높은 제 1 종 금권류와,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금권류와, 제 1 종 금권류보다도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낮고, 또한, 제 2 종 금권류보다도 위조권일 개연성이 낮은 제 3 종 금권류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이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1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던 여러장의 금권류중에,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이 판별 수단에 의해서, 소정 회수, 연속하여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 위조권이 투입된 것을 의미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권류 수입 장치.
  3. 참조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참조 데이타 기억 수단과;
    투입된 여러장의 금권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이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여러장의 금권류를 1매씩 취출하는 취출 수단과;
    이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1장의 금권류에 관한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를 출력하는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과;
    이 특징 데이타 출력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소정 종류의 특징 데이타와, 미리 정해진 조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금권류를 수입 대상일개연성이 높은 제 1 종 금권류와, 위조권일 개연성이 높은 제 2 종 금권류와, 제 1 종 금권류보다도 수입 대상일 개연성이 낮고, 또한, 제 2 종 금권류보다도 위조권일 개연성이 낮은 제 3 종 금권류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이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1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의 특징 데이타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참조 데이타가 상기 참조 데이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었을 때에, 위조권이 투입된 것을 의미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수단과;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서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의 특징 데이타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참조 데이타가 상기 참조 데이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 그 특징 데이타를 상기 참조 데이타 기억 수단내에 참조 데이타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권류 수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수단이 상기 조건 데이타를 이용하여 상기 취출 수단에 의해서 취출된 금권류를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했을 때에, 상기 조건 데이타보다도 제 1 종 금권류로 분류되기 위한 특징 데이타의 범위가 좁은 제 2 조건 데이타를 사용하여 그 후의 분류가 행해지도록, 상기분류 수단을 제어하는 분류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권류 수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에 금권류를 투입하는 인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과;
    상기 계수 수단에 의한 계수치가 소정치를 상회했을 때에, 상기 촬영 수단을 기능시키는 촬영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권류 수입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에 금권류를 투입하는 인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서, 소정 회수, 연속하여 제 2 종 금권류로 분류된 금권류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 상기 촬영 수단을 기능시키는 촬영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권류 수입 장치.
KR1019970705363A 1995-12-08 1996-12-06 금권류수입장치 KR100309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20242 1995-12-08
JP32024295 1995-12-08
PCT/JP1996/003589 WO1997022090A1 (fr) 1995-12-08 1996-12-06 Dispositif de manipulation de cartes ou de billets de ban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966A true KR19980701966A (ko) 1998-06-25
KR100309195B1 KR100309195B1 (ko) 2001-11-15

Family

ID=1811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363A KR100309195B1 (ko) 1995-12-08 1996-12-06 금권류수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39246A (ko)
EP (1) EP0809218B1 (ko)
JP (1) JP3368906B2 (ko)
KR (1) KR100309195B1 (ko)
CN (1) CN1163854C (ko)
WO (1) WO1997022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4536A1 (de) * 1999-02-04 2000-08-17 Siemens Nixdorf Banking Sys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earbeitung von Wertscheinen
US6516078B1 (en) * 1999-07-29 2003-02-04 Hewlett-Packard Company Multi-level detection and deterrence of counterfeiting of documents with reduced false detection
US6554185B1 (en) * 1999-11-30 2003-04-29 Diebold, Incorporated Deposit accep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JP2004310594A (ja) 2003-04-09 2004-11-04 Glory Ltd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2007011843A (ja) * 2005-07-01 2007-01-1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処理装置
CN101609453B (zh) * 2009-07-09 2016-02-24 交通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分隔页、以及利用该分隔页的文件分类的方法和装置
RU2438182C1 (ru) * 2010-04-08 2011-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Дорс" (Ооо "Кб "Дорс")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варианты)
CN103035034B (zh) * 2012-11-30 2015-06-10 北京航天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票卡回收设备
CN104777820B (zh) * 2015-04-23 2018-05-29 盐城哈力动力传动及智能装备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票据归档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1761A (en) * 1981-01-22 1982-07-29 Toshiba Corp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of currency
EP0081433A3 (en) * 1981-12-08 1986-02-12 Paul Poisson Apparatus for recording identifying data concerning the use of a credit card, cheque or the like
JPS5996667A (ja) * 1982-11-25 1984-06-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チウム電池用電解液
JPS5996667U (ja) * 1982-12-20 1984-06-30 オムロン株式会社 紙幣の損券識別装置
JPS59184989A (ja) * 1983-04-04 1984-10-20 株式会社東芝 区分集積装置
JP2728425B2 (ja) * 1988-03-18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取扱装置
JP2699449B2 (ja) * 1988-09-19 1998-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現金回収方法
JPH0756117B2 (ja) * 1990-07-06 1995-06-14 鐘紡株式会社 意匠効果の優れたシート状物
JPH0473279U (ko) * 1990-11-01 1992-06-26
US5247159A (en) * 1990-11-22 1993-09-21 Kabushiki Kaisha Toshiba Bill depositing/withdrawing system of the circulation type
JPH0520174A (ja) * 1991-07-10 1993-01-29 Nec Eng Ltd メモリアドレスデコーダ
JP2534648Y2 (ja) * 1991-08-22 1997-05-07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葉類識別装置
JP3796270B2 (ja) * 1994-05-25 2006-07-12 富士通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9218A1 (en) 1997-11-26
CN1163854C (zh) 2004-08-25
CN1178020A (zh) 1998-04-01
US6039246A (en) 2000-03-21
JP3368906B2 (ja) 2003-01-20
EP0809218B1 (en) 2002-07-10
WO1997022090A1 (fr) 1997-06-19
KR100309195B1 (ko) 2001-11-15
EP0809218A4 (en)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99449B (zh) 纸币类交易设备
KR940008125B1 (ko) 지폐의 관리장치 및 방법과 현금 자동거래 장치 및 그 관리방법
EP2071528B1 (en) Papers discriminating device, and papers discriminating method
JP4012423B2 (ja) 紙幣取扱装置
US8251197B2 (en) Banknote deposit machin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5584028B2 (ja) 紙幣処理装置、紙幣処理システム、紙幣情報管理サーバ、紙幣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紙幣処理方法
JP509604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539112B2 (ja) 有価媒体処理装置および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
TWI333634B (ko)
JP4200047B2 (ja) 紙幣及び有価証券の自動取扱装置
KR101237220B1 (ko) 지폐 인식 장치, 지폐 인식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0309195B1 (ko) 금권류수입장치
KR20070042698A (ko) 불량지폐입금 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방법
JP2010181987A (ja) 紙幣取引装置および紙幣取引システム
JP2010102647A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プログラム
JP3874207B2 (ja) 入出金システム
JPH08249524A (ja) 紙幣鑑別および複数枚検知方法
JP5463744B2 (ja) 券類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4220001A (ja) 紙幣処理装置
JP4298348B2 (ja) 貨幣取引装置及び紙幣情報の管理システム
WO2019111657A1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2001143120A (ja) 自動取引装置
JP2020024501A (ja) 取引装置
JP2017134509A (ja) 取引装置
JP2735495B2 (ja) 旧様式紙幣回収機能付き紙葉類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