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7420A - 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 Google Patents

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7420A
KR19980077420A KR1019970014526A KR19970014526A KR19980077420A KR 19980077420 A KR19980077420 A KR 19980077420A KR 1019970014526 A KR1019970014526 A KR 1019970014526A KR 19970014526 A KR19970014526 A KR 19970014526A KR 19980077420 A KR19980077420 A KR 1998007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ser
video
vo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연승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4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7420A/en
Publication of KR1998007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420A/en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주문형 비디오의 메뉴 표시 방법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VOD의 사용자가 원하는 VOD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VOD의 메뉴 선택 방법을 제공하고, VOD 회사와 사용자간의 메뉴 선택에 필요한 데이터 통신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VOD menu selection method that allows users of VOD to quickly and easily select the desired VOD service, and a method of reducing data communication time required for menu selection between the VOD company and the user.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The gis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의 저장 용량을 크게하고 여러 메뉴 창들을 저장하여 한 화면에 여러 메뉴 창들이 같이 표시되게 한다.Incre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and save several menu windows so that several menu windows are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주문형 비디오의 메뉴 선택 방법에 사용된다.It is used for menu selection method of video on demand.

Description

주문형 비디오의 메뉴 표시 방법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본 발명은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함)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VOD 사용자가 비디오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On Demand (VOD)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 VOD user to select a video menu.

VOD 시스템은 VOD 사용자에게 영화나 비디오 게임, 교육용 비디오 등과 같은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VOD system provides VOD users with video services such as movies, video games and educational videos.

이러한 VOD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VOD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OD 시스템에는 크게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 회사 8과, VOD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18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VOD 회사 8은 비디오 저장장치 12와, 메뉴 저장장치 14와, 중앙국 10으로 구성된다. VOD 회사 8내의 비디오 저장장치 12는 통상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비디오물을 저장한다. 메뉴 저장장치 14는 비디오 저장장치 12에 저장된 비디오물의 메뉴 즉, 색인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색인 정보란 비디오물의 종류(예: 영화, 비디오 게임등), 비디오물의 제목, 비디오물 내용의 간단한 요약 등으로서 사용자 18이 원하는 VOD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사용자 18에게로 표시되는 정보를 말한다. 중앙국 10은 이러한 비디오물과 메뉴를 각각의 원하는 사용자 18에게로 전송한다. 비디오 저장장치 12와 메뉴 저장장치 14는 기능적으로 구별되지만 단일 물리적 메모리 시스템의 한 부분이 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구별된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This VOD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of a VOD system. Referring to FIG. 1, a VOD system includes a VOD company 8 that provides a VOD service and a user 18 that receives a VOD service. More specifically, VOD Company 8 is comprised of video storage 12, menu storage 14, and central station 10. Video storage 12 in VOD Company 8 typically stores video in the form of compressed digital data. The menu storage device 14 stores a menu of the video material stored in the video storage device 12, that is, index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ndex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user 18 so that the user 18 can select a desired VOD service as a type of the video material (eg, a movie, a video game, etc.), a title of the video material, and a brief summary of the video content. Central station 10 sends these video items and menus to each desired user 18. Video storage 12 and menu storage 14 are functionally distinct, but may be part of a single physical memory system, or may consist of physically distinct memory.

각각의 사용자 18에는 제어부 20, 사용자 비디오 저장장치 22,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 입력장치 28, 디스플레이장치 26이 구비된다. 사용자 비디오 저장장치 22는 중앙국 10에서 전송된 비디오물을 저장하고,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는 중앙국 10에서 전송된 메뉴를 저장한다. 이러한 사용자 비디오 저장장치 22와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는 기능적으로 구별되지만 단일 디지털 메모리에 물리적으로 같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 20은 사용자 비디오 저장장치 22와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의 메모리에 중앙국 10에서 전송되는 비디오물과 메뉴를 구별하여 저장하고, 각각의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 20은 사용자 18이 VOD 서비스중 원하는 서비스를 주문할 때 그 주문 정보를 중앙국 10으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비디오물과 메뉴는 통상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전송되고 저장되므로 제어부 20은 압축된 데이터의 복원 기능 수행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26은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나 액정 장치(LCD: Liquid Crystal Device)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장치 28은 사용자 18이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출력되는 메뉴 중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입력장치 28은 키모드나 리모콘, 마우스 등이 될 수 있다.Each user 18 includes a control unit 20, a user video storage device 22, a user menu storage device 24, an input device 28, and a display device 26. The user video storage 22 stores video item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tation 10, and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24 stores menu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tation 10. The user video storage 22 and the user menu storage 24 are functionally distinct but may exist physically together in a single digital memory. The controller 20 distinguishes and stores the video item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tation 10 and the menus in the memory of the user video storage device 22 and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24, and outputs the contents stored in each memory to the display device 26.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central station 10 when the user 18 orders a desired service among the VOD services. Since video objects and menus are usually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form of compressed digital data, the controller 20 includes software and hardwar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restoring the compressed data. The display device 26 may be configured of a cathode ray tube (CRT) or a liquid crystal device (LCD). The input device 28 is a means for allowing the user 18 to select a desired menu from among menu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26. The input device 28 may be a key mode, a remote controller, or a mouse.

VOD 회사 8과 다수의 사용자 18을 연결하는 링크(link) 16은 전화 통신에 사용되는 동선이거나, 라디오 주파수 무선 통신 링크이거나, 광섬유 케이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VOD 회사 8과 사용자 18이 원거리로 떨어져 있을 경우, 중계 역할을 위해 통상 전화국이 이용된다. 중앙국 10은 링크 16의 통신 대역폭에 따른 데이터 통신 비를 최적화하고 전송 시간을 최소화하는 전송비에 따른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stream)으로 VOD 데이터 즉, 비디오물과 메뉴를 사용자 18로 전송한다.Link 16, which connects VOD Company 8 and multiple users 18, may be a copper wire, radio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link, fiber optic cable, or the like used for telephony. Also, if the VOD company 8 and user 18 are remote, the telephone station is usually used for the relay role. The central station 10 transmits the VOD data, ie, video and menus, to the user 18 in a compressed digital data stream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ate, which optimizes the data communication ratio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bandwidth of the link 16 and minimizes the transmission time.

이하 이러한 VOD 시스템에서 사용자 18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중앙국 10은 사용자 18이 선택한 메뉴에 따른 VOD 데이터를 사용자 18에게로 전송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VOD의 메뉴 표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26의 기본 메뉴 디스플레이 화면 30에 기본 메뉴(MENU 1, MENU 2, MENU m, MENU n, ...)들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기본 메뉴들은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에 저장되었다가 사용자 18이 VOD 서비스를 주문하려고 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제어부 20에 의해 출력된다. 기본 메뉴들은 VOD 서비스의 비디오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메뉴로서 예를 들어, 공포영화, 애정영화, 만화영화 등의 영화의 종류가 기본 메뉴 일 수 있다. 사용자 18은 이러한 기본 메뉴 중에서 원하는 기본 메뉴를 리모콘과 같은 입력장치 28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m번째 기본 메뉴가 선택되었음이 예시된다. 기본 메뉴가 선택되면, 기본 메뉴 선택 정보는 제어부 20에 의해 링크 16을 통하여 중앙국 10으로 전송된다. 중앙국 10은 전송된 기본 메뉴 선택 정보에 따라 메뉴 저장장치 14에 저장된 부 메뉴를 다시 사용자 18의 제어부 20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부 메뉴는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출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부 메뉴 디스플레이 화면 32에 부 메뉴(Sub_MENU 1, Sub_MENU 2, Sub_MENU m, Sub-MENU n, ...)들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기본 메뉴에 따른 부 메뉴들은 비디오물의 제목같은 것으로 예를 들면, 기본 메뉴로 만화영화가 선택되었다면, 부 메뉴들은 만화영화의 제목들이 될 수 있다. 사용자 18은 부 메뉴 중에서 원하는 부 메뉴를 선택해서 서비스 받을 수도 있고, 혹은 다시 기본 메뉴로 돌아가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고, 부 메뉴에 따른 하위 메뉴를 볼 수도 있다. 부 메뉴에 따른 하위 메뉴란 예를 들어, 부 메뉴가 특정 영화 제목이라면 그것에 따른 영화 내용의 요약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18이 부 메뉴 중에서 원하는 부 메뉴를 입력장치 28을 통해 선택하면, 부 메뉴 선택 정보는 제어부 20에 의해 링크 16을 통하여 중앙국 10으로 전송된다. 중앙국 10은 전송된 부 메뉴 선택 정보에 따라 비디오 저장장치 12에 저장된 비디오물을 사용자 18의 제어부 20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비디오물은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출력된다. 이후 사용자 18은 디스플레이 장치 26을 통해서 원했던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사용자 18이 부 메뉴에 따른 하위 메뉴의 표시를 선택했다면, 상기 하위 메뉴 표시의 선택 정보는 중앙국 10으로 전송되고, 중앙국 10에 의해 하위 메뉴 표시 선택 정보에 따른 하위 메뉴 데이터가 사용자 18에게로 전송된다. 사용자 18이 표시된 하위 메뉴 디스플레이 화면(도시되지 않음)에서 다시 이전 화면(디스플레이 화면 32)으로 돌아가려면 예를 들어, 이전 화면이라는 항목을 선택함으로 돌아갈 수 있다.In the following VOD system, the user 18 selects a desired menu, and the central station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ocess of transmitting VOD data according to the menu selected by the user 18 to the user 18.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menu display of a general VOD.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menus MENU 1, MENU 2, MENU m, MENU n,... Are displayed on the basic menu display screen 30 of the display device 26. The basic menus are stored in the user menu storage 24 and are output by the control unit 20 to the display device 26 when the user 18 tries to order the VOD service. The basic menus are menus representing types of video materials of a VOD service. For example, basic menus may be types of movies such as horror movies, love movies, and cartoon films. The user 18 selects a desired basic menu from these basic menus by using the input device 28 such as a remote controller. 2, it is illustrated that the m th basic menu is selected. When the basic menu is selected, the basic menu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20 to the central station 10 via the link 16. The central station 10 transmits the submenu stored in the menu storage device 14 to the control unit 20 of the user 18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basic menu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mitted submenu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26.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sub-menus (Sub_MENU 1, Sub_MENU 2, Sub_MENU m, Sub-MENU n, ...) appear on the sub menu display screen 32. The sub-menus according to the basic menu are the titles of the video material. For example, if a cartoon movie is selected as the basic menu, the sub-menus may be the titles of the cartoon movie. The user 18 may select the desired submenu from among the submenus to receive service, or may select to return to the main menu again, or view a submenu according to the submenu. The submenu according to the submenu may be, for example, a summary of movie contents according to the submenu when the submenu is a specific movie title. When the user 18 selects a desired submenu from the submenus through the input device 28, the submenu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tation 10 through the link 16 by the controller 20. The central station 10 transmits the video material stored in the video storage device 12 to the control unit 20 of the user 18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ub-menu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mitted video material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26. Thereafter, the user 18 receives the desired video service through the display device 26. If the user 18 selects the display of the submenu according to the submenu,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submenu display is sent to the central station 10, and the submenu data according to the submenu display selection information is sent to the user 18 by the central station 10. Is sent. In order to return from the sub-menu display screen (not shown) on which the user 18 is displayed again to the previous screen (display screen 32), for example, the user may return to selecting the item called the previous screen.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VOD의 메뉴 선택 방법은 가입자 18이 디스플레이 장치 26에 출력되는 메뉴 화면을 보며, 입력장치 28을 사용하여 어떤 한 메뉴를 선택하면, 화면 전체가 다음 화면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가입자 18은 다음 화면에 나타날 메뉴를 예상할 수 없고,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해 여러 화면 전이를 거치는 동안 메뉴 선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입자 18과 중앙국 10과의 통신에 화면 전이를 위한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nu selec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VOD, the subscriber 18 sees a menu screen output on the display device 26, and when a menu is selected using the input device 28, the entire screen is changed to the next screen. Accordingly, the subscriber 18 cannot predict a menu to be displayed on the next screen,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a menu while going through several screen transitions to select a desired serv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screen transition in communication between subscriber 18 and central station 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VOD의 사용자가 원하는 VOD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VOD의 메뉴 선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nu selection method of a VOD that allows a user of the VOD to quickly and easily select a desired VOD ser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OD 회사와 사용자간의 메뉴 선택에 필요한 데이터 통신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ducing data communication time required for menu selection between a VOD company and a us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의 저장 용량을 크게하여 여러 메뉴 디스플레이 창들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화면에 여러 메뉴 디스플레이 창들이 같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toring a plurality of menu display windows by increas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and displaying several menu display windows together on on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도 1은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on-demand video system

도 2는 일반적인 주문형 비디오의 메뉴 표시의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nu display of a general video on deman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형 비디오의 메뉴 표시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menu display of video on dem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 및 4c는 도 3에 따른 메뉴 표시의 일 예시도4A, 4B and 4C are exemplary views of menu display according to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VOD 사용자 18의 메뉴 선택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OD의 메뉴 표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26의 기본 메뉴 디스플레이 창 34에 기본 메뉴(MENU 1, MENU 2, MENU m, MENU n, ...)들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기본 메뉴들은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에 저장되었다가 사용자 18이 VOD 서비스를 주문하려고 할 때에 제어부 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는 상기 기본 메뉴만 아니라 부 메뉴, 하위 메뉴 등, 사용자 18이 디스플레이 26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대부분의 메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는 종래의 VOD의 메뉴 저장때보다 큰 저장 용량이 필요하지만, 메뉴의 데이터 양은 비디오물 데이터 양보다 상당히 적은 양이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저장 용량의 증가로도 가능하다. 이러한 모든 종류의 메뉴의 모든 데이터들은 중앙국 10에서 제어부 20으로 미리 전송되어져서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에 저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기본 메뉴가 출력되면, 사용자 18은 이러한 기본 메뉴 중에서 원하는 기본 메뉴를 입력장치 28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도 3을 참조하면, m번째 메뉴가 선택되었음이 예시된다. 기본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기본 메뉴 선택 정보는 제어부 20으로 인가되고, 제어부 20은 인가된 기본 메뉴 선택 정보에 따라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에 저장된 부 메뉴를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출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부 메뉴 디스플레이 창 34에 부 메뉴(Sub_MENU 1, Sub_MENU 2, Sub_MENU m, Sub-MENU n, ...)들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 메뉴의 표시는 종래의 VOD 메뉴 표시시 화면이 전이되는 방법과는 달리, 도 3을 참조하면, 풀다운(pull_down) 형식으로 상기 기본 메뉴 디스플레이 창 34의 어느 한 부분에 부 메뉴 디스플레이 창 36이 겹쳐져서 표시된다. 이러한 부 메뉴에서 사용자 18이 다시 하위 메뉴의 표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 20은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 24에 저장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 장치 26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하위 메뉴 디스플레이 창(도시되지 않음)도 상기 기본 메뉴 디스플레이 창 34와 부 메뉴 디스플레이 창 36의 어느 한 부분에 겹쳐서 표시된다.Hereinafter, a menu selection process of the VOD user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menu display of the V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menus MENU 1, MENU 2, MENU m, MENU n,... Are displayed on the basic menu display window 34 of the display device 26. The basic menus are stored in the user menu storage 24 and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26 by the controller 20 when the user 18 tries to order the VOD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24 should store not only the basic menu but also most of the menus that the user 18 can select through the display 26, such as a sub-menu and a sub-menu. To this end,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24 requires a larger storage capacity than the conventional VOD menu storage, but the amount of data in the menu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amount of video data. All data of this kind of menu are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tation 10 to the control unit 20 and stored in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24. When a basic menu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26, the user 18 selects a desired basic menu from the basic menus using the input device 28. Referring to FIG. 3, it is illustrated that the m th menu is selected. When the basic menu is selected, the basic menu selection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20, and the controller 20 outputs the submenu stored in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24 to the display device 26 according to the applied basic menu selection information.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sub-menus (Sub_MENU 1, Sub_MENU 2, Sub_MENU m, Sub-MENU n, ...) appear on the sub menu display window 34.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transitioning the screen when the VOD menu is displayed, the display of the sub menu is shown in FIG. 3, in which a sub menu display window 36 is formed in any part of the main menu display window 34 in a pull_down format. Overlapping When the user 18 selects the display of the submenu again in the submenu, the controller 20 outputs the submenu stored in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24 to the display device 26. This sub-menu display window (not shown) is also superimposed on either part of the main menu display window 34 and the sub-menu display window 36.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메뉴 표시의 일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4b, 및 4c는 도 3에 따른 메뉴 표시의 일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기본 메뉴 디스플레이 창 40에 비디오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본 메뉴 즉, 애정영화, 공포영화, 만화영과, 오락영화 등이 예시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의 기본 메뉴중 만화영화가 선택되어지고 거기에 따른 부 메뉴 디스플레이 창 42가 기본 메뉴 디스플레이 창 40에 겹쳐서 표시되었음이 예시된다. 부 메뉴로는 톰소여의 모험, 인어공주 등이 예시되었다. 도 4c는 도 4b의 부 메뉴 중 톰소여의 모험이 선택되어지고 거기에 따른 요약된 줄거리를 표시하는 하위 메뉴 디스플레이 창 44가 기본 메뉴 디스플레이 창 40과 부 메뉴 디스플레이 창 42에 겹쳐서 표시되었음이 예시된다.An example of such a menu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4A, 4B and 4C are exemplary views of menu display according to FIG. 3. First, referring to FIG. 4A, the basic menu display window 40 illustrates basic menus representing types of video objects, that is, love movies, horror movies, cartoon movies, and entertainment movies. 4B illustrates that a cartoon movie is selected from the basic menu of FIG. 4A and the sub-menu display window 42 is overlaid on the basic menu display window 40. The menu includes Tom Sawyer's adventures and the Little Mermaid. 4C illustrates that Tom Sawyer's adventure is selected from the sub-menu of FIG. 4B and a sub-menu display window 44 overlaid on the main menu display window 40 and the sub-menu display window 42 displaying a summary plot accordingly.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에서, 사용자 18내의 제어부 20과 VOD 회사 8내의 중앙국 10과의 메뉴 선택에 따른 통신은 사용자 18이 원하는 비디오물의 제목을 최종적으로 선택했을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이때의 비디오물의 제목 정보는 제어부 20에서 중앙국 10으로 전송되고, 중앙국 10은 전송된 정보에 따라 비디오 저장장치 12에 저장된 비디오물을 제어부 20으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국 10은 메뉴의 추가, 변경, 삭제 등의 경우에만 제어부 20으로 메뉴 데이터를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nu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menu sel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20 in the user 18 and the central station 10 in the VOD company 8 is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18 finally selects the title of the desired video object. At this time, the title information of the video materi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20 to the central station 10, and the central station 10 transmits the video material stored in the video storage device 12 to the controller 20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entral station 10 transmits the menu data to the controller 20 only when the menu is added, changed, or dele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의 저장 용량을 크게하여 여러 메뉴들을 모두 저장하고 여러 메뉴 디스플레이 창들을 한 화면에 같이 표시되게 하므로 사용자의 메뉴 선택이 쉽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메뉴 저장장치에 여러 메뉴들이 모두 저장되어 있으므로 VOD 회사와 사용자간의 메뉴 선택에 필요한 데이터 통신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menu selection is easy and fast becau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is increased to store all the menus and to display the various menu display windows on one screen.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everal menus are all stored in the user menu storage device, the data communication time required for menu selection between the VOD company and the user is short.

Claims (2)

주문형 비디오의 메뉴 표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nu display method of the video on demand, 상기 주문형 비디오의 비디오물의 사용자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류되어 표시되는 모든 메뉴 디스플레이 창들의 데이터들을 주문형 비디오 회사에서부터 사용자의 메뉴 저장 장치 내에 미리 저장하는 과정과,Pre-storing data of all menu display windows classified and displayed in order to facilitate user selection of the video material of the on-demand video from the on-demand video company to the user's menu storage device; 상기 매뉴 저장 장치내에 저장된 분류되어 표시되는 메뉴 디스플레이 창들중 사용자의 메뉴 선택 정보에 따른 메뉴 데이터의 메뉴 디스플레이 창들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화면에 풀다운 방식으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And displaying the menu display windows of menu data according to the user's menu selection information among the classified and displayed menu display windows stored in the menu storage device in a pull-down manner on on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류는 상기 주문형 비디오물의 내용에 따른 종류와, 상기 각 종류에 따른 비디오물의 제목과, 상기 비디오물의 제목에 따른 해당 비디오물의 요약된 내용으로 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assification for facilitating the user's selection includes a kin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video-on-demand, a title of the video according to each kind, and a summary of the corresponding video according to the title of the video. A menu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by being classified.
KR1019970014526A 1997-04-18 1997-04-18 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KR199800774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526A KR19980077420A (en) 1997-04-18 1997-04-18 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526A KR19980077420A (en) 1997-04-18 1997-04-18 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420A true KR19980077420A (en) 1998-11-16

Family

ID=6595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526A KR19980077420A (en) 1997-04-18 1997-04-18 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742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21B1 (en) * 1999-03-10 2002-03-23 조정남 Method for information service on demand through user menu editting
KR100492093B1 (en) * 2001-07-13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mmary video information of video data
KR100851124B1 (en) * 2005-09-29 2008-08-08 하나로미디어(주) Simple and efficient method for selecting video in video to be ordered on demand service using set top box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21B1 (en) * 1999-03-10 2002-03-23 조정남 Method for information service on demand through user menu editting
KR100492093B1 (en) * 2001-07-13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mmary video information of video data
KR100851124B1 (en) * 2005-09-29 2008-08-08 하나로미디어(주) Simple and efficient method for selecting video in video to be ordered on demand service using set top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0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tructure for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5877755A (en) Interactive broadband multimedia system
US5530754A (en) Video on demand
US71174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tructure for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6578201B1 (en) Multimedia stream incorporating interactive support for multiple types of subscriber terminals
CA2169139C (en) Motion picture retrieval system
EP0851681B1 (en) Image and data display apparatus
US5790115A (en) System for character entry on a display screen
US5677708A (en) System for displaying a list on a display screen
US5724492A (en) System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rol objects including a plurality of panels
EP1525743B1 (en) Receiver with concurrent multi-user electronic program guide
US6754907B1 (en) Remote control of video-on-demand system
WO1995034170A9 (en) Interactive broadband multimedia system
US20040233239A1 (en) User interface display for set-top box device
US20040078814A1 (en) Module-based interactive television ticker
US200201962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dynamically controllable user interface that embraces a variety of media
US6393496B1 (en) Operating system and network independent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for use in an intelligent communication device
US6757907B1 (en) Display selection in a video-on-demand system
JP2002521874A (en) Interactive TV program guide using remote access
WO2008130788A2 (en) Interactive ticker
KR1006591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video on demand service
CN105892977A (en) Multi-screen system interaction method, multi-screen system interaction device and smart television
CA24686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editorial content through television navigation controls and electronic program guides
KR19980077420A (en) How to display menus on demand video
WO2003084218A2 (en) Module-based interactive television ti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1224

Effective date: 2001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