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422A - Regulating Blade Contaminant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 Google Patents

Regulating Blade Contaminant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422A
KR19980057422A KR1019960076712A KR19960076712A KR19980057422A KR 19980057422 A KR19980057422 A KR 19980057422A KR 1019960076712 A KR1019960076712 A KR 1019960076712A KR 19960076712 A KR19960076712 A KR 19960076712A KR 19980057422 A KR19980057422 A KR 1998005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oller
image forming
regulating blade
develo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문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422A/en
Publication of KR1998005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422A/en

Link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of a regulated bla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규제 블레이드에 부착된 현상제를 제거한다.Remove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regulating blade.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규제 블레이드가 설치된 현상롤러를 인자시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현상제가 붙어 있는 규제 블레이드의 면과 현상롤러가 마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eloping roller provided with the regulating blade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when printing, so that the surface of the regulating blade having the developer adheres to the developing roller.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된다.It is us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Description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Regulating Blade Contaminant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의 오염물질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in a develop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은 복사기, 레이저 빔 프린터, LPH (LED Print Head) 프린터, 일반용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사진 현상방식에 따른 프로세스는 공지된 바와 같이 대전 ⇒ 노광 ⇒ 현상 ⇒ 전사 ⇒ 정착과정등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is widely used in image forming apparatuses such as copiers, laser beam printers, LPH (LED Print Head) printers, and general paper fax machines.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is composed of charging ⇒ exposure ⇒ development ⇒ transfer ⇒ fixing process as known.

도 1은 상기와 같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엔진 메커니즘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접촉 대전방식을 채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접촉 대전방식은 대전으로 인한 오존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대전방식으로 접촉 대전기로서 사용되는 도전성 롤러나 브러시를 감광드럼(18)과 접촉시켜 감광드럼(18)상에 일정한 표면 전위를 형성시키는 방식이다. 특히 도 1에서는 접촉 대전방식중 도전성 롤러(14)를 사용하는 예를 보였다. 또한 도 1에서 참조부호 S는 기록용지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ngine mechanism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ontact charging method is adopted. The contact charging method is a charging method widely used to minimize ozone generation due to charging. The contact charging method uses a conductive roller or a brush, which is used as a contact charger, to contact the photosensitive drum 18 to produce a constant surface potential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It is a way of forming. In particular, FIG. 1 shows an example of using the conductive roller 14 in the contact charging method. In addi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S denotes a conveyance path of the recording paper.

이제 도 1의 엔진 메커니즘 구성도를 참조하여 전자사진 현상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도 1의 감광드럼(18)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사진 현상 프로세스의 각 과정의 진행에 대응되게 엔진부의 주 모터인 엔진구동모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process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ngine mechanism diagram of FIG. 1. First, the photosensitive drum 18 of FIG. 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by an engine driving motor (not shown), which is the main motor of the engine unit,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of each process of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첫 번째로 대전과정에서는 감광체인 감광드럼(18)을 접촉 대전기인 도전성 롤러(14)에 의하여 대전시킴으로써 감광드럼(18)상에 균일한 전하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전성 롤러(14)는 음(-)의 대전 전압(VTH)에 의하여 음의 전위를 갖게 된다. 상기 감광드럼 (18)은 도전성 롤러(14)와 접촉에 의하여 대전되어 음의 표면전위를 갖게 된다. 이때 감광드럼(18)의 표면전위는 통상적으로 약 500[V]이다.First, in the charging process, the photosensitive drum 18, which is a photosensitive member, is charged by the conductive roller 14, which is a contact charger, to form a uniform charge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At this time, the conductive roller 14 has a negative potential by the negative charging voltage V TH . The photosensitive drum 18 is charged by contact with the conductive roller 14 to have a negative surface potential. At this time,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18 is typically about 500 [V].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송롤러(10)는 급지 카세트(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급지된 기록용지를 레지스터 롤러(12)로 이송시킨다. 상기 레지스터 롤러(12)는 이송롤러(10)에 의하여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 기록용지의 선단을 정렬한다. 이와 같이 기록용지의 선단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한 노광과정이 시작됨과 동시에 기록용지가 전사롤러(24)로 이송되기 시작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state, the feed roller 10 transfers the recording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 cassette (not shown) to the register roller 12. The register roller 12 aligns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path by the conveying roller 10. As described above, the exposure process starts with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aligned, and at the same time, the recording paper starts to b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roller 24.

두 번째로 노광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대전된 감광드럼(18)을 원고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노광시킴으로써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이때 노광장치(16)를 사용하여 프린트하고자 하는 화상영역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노광시킴으로써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이때 노광이 안된 부분은 대전에 따른 표면전위가 그대로 유지되고, 노광된 부분은 전위가 변하게 됨으로써 비노광부분과 노광부분간에 전위차를 가지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노광장치(16)는 레이저 빔 프린터인 경우에는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가 되고, 복사기인 경우에는 원고 스캐너가 된다.Secondly, in the exposure proces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by exposing the charged photosensitive drum 18 to correspond to originals or image data. At this time,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by exposing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rea to be printed using the exposure apparatus 16. In this case,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unexposed portion is maintained as it is, and the exposed portion is changed in potential so that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hav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non-exposed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is formed. The exposure apparatus 16 becomes a laser scanner unit in the case of a laser beam printer and an original scanner in the case of a copying machine.

세 번째로 현상과정은 상기 감광드럼(18)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전달하여 부착하는 과정이다. 상기 현상은 감광드럼(18)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에 의하여 가시상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때 현상롤러(22)는 통상적으로 약 -450[V]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VD)을 인가받아 음의 전위를 띠고, 현상제는 현상롤러(22)에 부착된다. 상기 현상롤러(22)에 부착된 현상제는 규제 블레이드(20)에 의하여 그 양이 조절되어 현상롤러(22)상에 일정한 양으로 도포된다. 이후 현상영역으로 이동된 음전위의 현상제는 전위차에 의하여 감광드럼(18)상의 노광된 영역으로 일부가 이동하여 부착됨으로서 현상이 이루어진다.Thirdly, the developing process is a process of transferring and attaching a developer to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The development is to convert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into a visible image by a developer. At this time, the developing roller 22 is generally applied with a developing bias voltage V D of about −450 [V] to have a negative potential, and the developer is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22. The amount of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22 is controlled by the regulating blade 20, and a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22 in a predetermined amount. Then, the developer of the negative potential moved to the developing region is developed by being partially attached to the exposed region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네 번째로 전사과정은 상기 감광드럼(18)에 부착된 현상제가 전사롤러(24)에 의해 기록용지로 전사되는 과정이다. 상기 전사롤러(24)는 통상적으로 약 800∼1500[V]의 전사전압(VT)을 제공받아 감광드럼(18)상의 현상제를 기록용지쪽으로 당겨 기록용지로 이송시킨다.Fourth, the transfer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18 is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paper by the transfer roller 24. The transfer roller 24 is typically supplied with a transfer voltage V T of about 800 to 1500 [V] to pull the developer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toward the recording paper and transfer it to the recording paper.

다섯 번째로 정착과정은 정착기, 즉 가압롤러(26)와 히트롤러(28)가 각각 압력 및 열을 상기 기록용지로 전사된 현상제에 인가하여 기록용지에 정착시키는 과정이다. 이후 정착이 완료된 기록용지가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기록용지 1매에 대한 복사 또는 프린트가 완료된다.Fifth, the fixing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fixing machine, that is, the pressure roller 26 and the heat roller 28, respectively apply pressure and heat to the developer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paper to fix it on the recording paper. After that, the fixing of the recording paper, which has been comple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by completing copying or printing of one recording paper.

여기서 상기 현상롤러(22)상에 현상제가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 a process of attaching the developer on the developing roller 22 will be described.

상기 현상제는 현상제를 내장하고 있는 토너 호퍼(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롤러(도시하지 않았음)등의 구동에 의하여 현상롤러(22)로 이송되어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때 현상롤러(22)에 부착되는 현상제는 박막으로 고르게 부착되어야 한다.The developer is discharged from the toner hopper (not shown) containing the developer and transferred to the developing roller 22 by driving a feed roller (not shown)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22. Attached. At this time,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22 should be evenly attached in a thin film.

왜냐하면 상기 현상롤러(22)의 표면에 현상제가 두껍게 부착될 경우에는 현상시 감광드럼(18)상에 너무 많은 현상제가 이송되어 미전사된 현상제가 남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미전사 현상제는 다음 인쇄시 고스트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If the developer is thick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22, too much developer may be transferred onto the photosensitive drum 18 during development, thereby leaving the untransferred developer. Such a non-transfer developer may cause a ghost phenomenon in the next printing.

그리고, 상기 현상롤러(22)의 표면에 현상제가 고르게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자시 화상이 얼룩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veloper is not even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2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may be stained during printing.

이에따라 종래에는 상기 현상롤러(22)의 일측에 규제 블레이드(20)를 설치하여 일정량 이상의 현상제가 현상롤러(2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고르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the regulation blade 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22 to prevent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the developer from being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22, and to be evenly attached.

즉, 상기 규제 블레이드(20)는 현상롤러(22)가 회전할 경우에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 중 일정량 이상의 현상제는 제거하여 현상롤러(22)에 부착되는 현상제의 양과 층을 일정하게 하였다.That is, when the developing roller 22 rotates, the regulating blade 20 removes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22 to remove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22. Amounts and layers were made constant.

그런데, 현상롤러(22)의 연속회전으로 인하여 현상롤러(22)와 규제 블레이드(22)간에 마찰열등이 발생하여 상기 규제 블레이드(20)와 현상롤러(22)가 맞닿는 부분에 현상제가 부착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However, when the developer is attached to a portion where the regulating blade 20 and the developing roller 22 abut due to frictional heat, etc.,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22 and the regulating blade 22 due to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22. Occurred.

상기 현상롤러(22)와 규제 블레이드(20)를 상세히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현상롤러(22)가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규제 블레이드(20)의 A부분에 현상제가 쌓이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현상제가 규제 블레이드(20)의 A부분에 쌓이게 됨에 따라 규제 블레이드(20)는 현상롤러(22)에 부착된 현상제를 정상적으로 규제하지 못했다.Referring to FIG. 4, which shows the developing roller 22 and the regulating blade 20 in detail, as the developing roller 22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olid arrow, the developer is accumulated in the A portion of the regulating blade 20. As the developer is accumulated in the A portion of the regulation blade 20 as described above, the regulation blade 20 did not normally regulate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22.

이에따라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량이 어느 부분에서는 너무 많고, 어느 부분에서는 너무 적게 되었다. 이에따라 현상과정에서 감광드럼(18)상에 부착되는 현상제가 어느 부분에서는 많고 어느 부분에서는 적어서 화상이 수직으로 얼룩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As a result, the amount of tone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22 was too high in some parts and too small in some parts. As a result, the developer adher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8 in the developing process was large in some portions and small in some portions, causing the image to be vertically stained.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인자를 수행하면 규제 블레이드(20)상에 부착되는 현상제의 량이 증가하여 화상의 질이 악화됨은 물론 현상기 자체의 수명이 짧아지는 원인이 되었다.In addition, if the print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above state, the amount of the developer deposited on the regulating blade 20 increases, which causes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and shortening the life of the developer itself.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롤러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제의 양을 일정하고 얇게 조절하는 규제 블레이드에 현상제가 부착되면 화상이 수직으로 얼룩지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인자할 경우 화상이 얼룩지는 현상은 더욱 더 악화되며, 현상기 자체의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이 되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veloper is attached to a regulating blade that uniformly and thinly adjusts the amount of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the image is vertically stained. If the printing continues, the smearing of the image becomes worse, and the life of the developing device itself is shorten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규제 블레이드에 부착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 blade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of removing a developer attached to a regulating blade.

도 1은 통상의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엔진 매카니즘,1 is a schematic engine mechanism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 conventional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도 2는 통상의 프린터의 블럭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printer;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 blade contamin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현상롤러와 규제 블레이드의 상세구성도.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regulating blade of FI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규제 블레이드가 설치된 현상롤러를 인자시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현상제가 붙어있는 규제 블레이드의 면과 현상롤러가 마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eloping roller is provided with a regulating blade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when printing, so that the surface of the regulating blade to which the developer is attached and the developing roller fri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상기 도 4에서 규제 블레이드(20)는 현상롤러(22)가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A부분에 현상제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현상롤러(22)를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현상제가 부착되어 있는 규제 블레이드(20)의 A부분과 현상롤러(22)가 마찰하면서 A부분에 부착되어 있던 현상제가 떨어지게 된다.In FIG. 4, the regulating blade 20 has a developer attached to the portion A as the developing roller 22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olid arrow. At this time, when the developing roller 2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the dotted line,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A portion falls while the A portion of the regulating blade 20 to which the developer is attached and the developing roller 22 are rubb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쇄후마다 현상롤러(22)를 인쇄시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규제 블레이드(20)의 A부분에 부착된 현상제를 제거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eloper roller 22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at the time of printing to remove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A portion of the regulation blade 20 after printing.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나인 레이저 빔 프린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상기 레이저 빔 프린터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 도 2이다. 상기 레이저 빔 프린터는 크게 비디오 콘트롤러(30)와 프린트 엔진부(40)와, OPE(38)로 구성된다. 비디오 콘트롤러(30)는 컴퓨터 인터페이스(32)와, 비디오 제어부(34)와, 엔진 인터페이스(36)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32)는 호스트 컴퓨터와 비디오 제어부(34)사이에 연결되어 호스트 컴퓨터와 비디오 제어부(34)간의 송수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비디오 제어부(34)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한 롬(ROM)과 각종 데이타를 임시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제어부(34)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32)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인쇄데이타를 프린트 엔진부(40)가 처리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타로 변환하여 프린트 엔진부(40)로 전송한다. 엔진 인터페이스(36)는 상기 비디오 제어부(34)와 프린트 엔진부(40)간의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aser beam printer which is one of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image forming apparatuses will be described. 2 is a block diagram of the laser beam printer. The laser beam printer is largely composed of a video controller 30, a print engine unit 40, and an OPE 38. The video controller 30 includes a computer interface 32, a video control unit 34, and an engine interface 36. The computer interface 32 is connected between the host computer and the video control unit 34 to interfac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host computer and the video control unit 34. The video controller 34 includes a ROM having a control program and a RAM temporarily storing various data. Also, the video controller 34 converts the print data received from the host computer through the computer interface 32 into image data that the print engine 40 can process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print engine 40. The engine interface 36 interfaces the input / output signals between the video control unit 34 and the print engine unit 40.

OPE(Operating Panel Equipment)(38)는 비디오 제어부(34)에 의해 제어되며,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과, 레이저 빔 프린터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프린트 엔진부(40)는 비디오 인터페이스(42)와 엔진 제어부(44)와 I/O(Input/ Output)인터페이스(46)와 센서회로(48)와 기구구동부(50)와 전자사진 현상부(52)로 구성되며, 비디오 콘트롤러(30)에 연결된다. 비디오 인터페이스(42)는 비디오 콘트롤러(30)와 엔진 제어부(44)간 입,출력 신호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엔진 제어부(44)는 비디오 콘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기구구동부(50)와 전자사진 현상부(52)를 제어하며 비디오 콘트롤러(3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용지에 형성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44)는 센서회로(48)를 통해 프린트 엔진부(40)의 각 부분의 동작상태를 감지한다. I/O인터페이스(46)는 엔진 제어부(44)와 센서회로(48), 기구구동부(50), 전자사진 현상부(52)사이에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44)의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센서회로(48)는 프린트 엔진부(40)의 각부분의 동작상태, 용지의 급지 및 이송상태, 현상제량등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구동하며 각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엔진 제어부(44)에 제공한다. 기구구동부(50)는 엔진 제어부(44)의 제어에 따라 용지의 급지 및 이송과 인쇄를 위한 각종 기구를 구동하고, 전자사진 현상부(52)는 엔진 제어부(44)의 제어하에 이미지 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전자사진 현상방식에 의해 화상을 용지에 형성한다.The operating panel equipment (OPE) 38 is controlled by the video control unit 34, and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various commands,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aser beam printer. In addition, the print engine unit 40 includes a video interface 42, an engine controller 44, an input / output (I / O) interface 46, a sensor circuit 48, an instrument driver 50, and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unit ( 52, which is connected to the video controller 30. The video interface 42 provides an interface for input and output signals between the video controller 30 and the engine controller 44. The engine controller 44 controls the mechanical drive unit 50 and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unit 52 under the control of the video controller 30, and forms an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video controller 30 on the paper. In addition, the engine control unit 44 detects an operation state of each part of the print engine unit 40 through the sensor circuit 48. The I / O interface 46 is connected between the engine control unit 44, the sensor circuit 48, the mechanical drive unit 50, and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unit 52 to interface the input / output signals of the engine control unit 44. The sensor circuit 48 drives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part of the print engine unit 40, the paper feeding and conveying state, the developer amount, and the like, and the detection signal of each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engine control unit 44. to provide. The mechanism driving unit 50 drives various mechanisms for feeding, conveying and printing paper sheets under the control of the engine control unit 44, and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unit 52 according to the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engine control unit 44. Images are formed on paper by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 빔 프린터에 적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which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moving a contaminant blade contamina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laser beam prin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엔진 제어부(44)는 (54)단계에서 인쇄가 종료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엔진 제어부(44)는 인쇄가 종료되었으면 (56)단계를 수행하고, 인쇄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다시 (5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6)단계에서 엔진 제어부(44)는 기구 구동부(50)의 현상롤러(22)를 인쇄시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메인 모터(도시하지 않았음)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상기 메인 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현상롤러(2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따라 현상롤러(22)와 규제 블레이드(20)의 A부분이 마찰되어 A부분에 부착되어 있던 현상제가 떨어져 나간다.The engine control section 44 searches for the end of printing in step 54. At this time, if the printing is finished, the engine controller 44 performs step 56, and if printing is not finished, performs the step 54 again. In the step 56, the engine control unit 44 drives the main motor (not show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otate the developing roller 22 of the mechanism driving unit 50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during printing. Due to the driving of the main motor, the developing roller 22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developer A, which is attached to the portion A, rubs off part A of the developing roller 22 and the regulating blade 20.

여기서 현상롤러(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길이는 2mm에서 5mm로 한다. 이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길이가 5mm이상이 될 경우에는 각 부분의 필르밍(Filming)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length of the developing roller 20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is 2mm to 5mm. This is because if the length of rot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is 5mm or more, it may adversely affect the filming of each par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규제 블레이드에 부착되었던 현상제를 제거함으로서 규제 블레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즉 규제 블레이드가 현상롤러에 현상제가 고르고 얇게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매 인쇄시마다 규제 블레이드에 부착되었던 현상제를 제거하므로서 현상제가 계속 규제 블레이드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gulating blade to operate normally by removing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regulating blade. That is, the regulating blade allows the developer to be evenly and thinly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It also removes the developer that has adhered to the regulating blade at every print, preventing the developer from accumulating on the regulating bla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규제 블레이드에 부착된 현상제를 매 인쇄시마다 제거한다. 이에따라 규제 블레이드에 현상제가 부착되어 발생되었던 화상이 세로로 얼룩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regulating blade every print.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mage generated by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regulating blade can be prevented from vertically staining.

Claims (4)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 blades of a regulated bla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규제 블레이드가 설치된 현상롤러를 인자시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현상제가 붙어있는 규제 블레이드의 면과 현상롤러가 마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Regulating blade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characterized by rotating the developing roller in which the regulating blade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when printing, so that the surface of the regulating blade to which the developer adheres is rubbed. Material remova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veloping roller, 5mm이하로 역방향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in a regulated bla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characterized by a reverse rotation of less than 5 mm.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 blades of a regulated bla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매 인쇄시마다 인쇄가 종료되었는지를 검색하는 인쇄종료 검색단계와,A print end search step of searching whether printing has ended at each printing; 인쇄가 종료되었으면 규제 블레이드가 설치된 현상롤러를 인자시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동하여 현상제가 붙어있는 규제 블레이드의 면과 현상롤러가 마찰하도록 하는 모터구동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After the printing is finished, the motor driving step of driving the motor for rotating the developing roller so that the developing roller with the regulating blade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when printing, causes the surface of the regulating blade to which the developer adheres and the developing roller to friction.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in a regulated bla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veloping roller, 5mm이하로 역방향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규제 블레이드 오염물질 제거방법.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in a regulated bla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characterized by a reverse rotation of less than 5 mm.
KR1019960076712A 1996-12-30 1996-12-30 Regulating Blade Contaminant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KR199800574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712A KR19980057422A (en) 1996-12-30 1996-12-30 Regulating Blade Contaminant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712A KR19980057422A (en) 1996-12-30 1996-12-30 Regulating Blade Contaminant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422A true KR19980057422A (en) 1998-09-25

Family

ID=6639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712A KR19980057422A (en) 1996-12-30 1996-12-30 Regulating Blade Contaminant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4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801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839026A (en) Method of controlling charge voltage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process
US5852756A (en) Method of adjusting image forming condition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KR100196572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cneasing opposite transcription for electrophotogra phic tmage forming apparatus
EP1045295B1 (en) Double-sided printing apparatus
US5805962A (e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electrophotography printing apparatus
KR100202410B1 (en) Agitator driving method
JPH1097139A (en) Develop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00199474B1 (en) Method for preventing the back paper from being polluted for a laser printer's manual feeding
JP200321599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3703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employing the same
KR19980057422A (en) Regulating Blade Contaminant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US5960235A (en) Method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photosensitive drum
KR0169455B1 (en) Compensation method of image density
KR0177094B1 (en) Charge voltage control metho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contact charger
KR100258335B1 (en) Method for control laser scanning unit and transfer voltage when image data is larger than paper
KR0160558B1 (en)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pollution of contact charge
JP37429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4212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cribing voltage
JP34504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3167496A (en) Image forming device
JP3597273B2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0221800A (en) Image forming device
US595655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formation of background image i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9980057481A (en) Charging voltage control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