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335A - 광계측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계측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335A
KR19980018335A KR1019970037141A KR19970037141A KR19980018335A KR 19980018335 A KR19980018335 A KR 19980018335A KR 1019970037141 A KR1019970037141 A KR 1019970037141A KR 19970037141 A KR19970037141 A KR 19970037141A KR 19980018335 A KR19980018335 A KR 19980018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linearly polarized
measuring device
polariz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까에 이꾸타
마사오 타까하시
끼요히사 테라이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다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1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modulating devices
    • G01R15/245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modulating devices using magneto-optical modulators, e.g. based on the Faraday or Cotton-Mouton effect
    • G01R15/24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modulating devices using magneto-optical modulators, e.g. based on the Faraday or Cotton-Mouton effect based on the Faraday, i.e. linear magneto-optic,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 온도변화에 대하여 정밀도를 해치지 않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한 광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광원을부터의 입사광을 직선평관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편광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4)는, 세개의 동일부재(41,42,43)로 바깥 상자를 구성하고, 상호 부재 간은 박판 형태로 형성한 편과자(34), 검광자(35) 및 반사경(36)을 개재하여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광계측장치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패러데이 효과의 원리를 응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광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광학계 취부박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계측장치의 하나로서 전력용 GIS 시스템에 이용되는 GIS용 광변류기를 나타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체(8)는, 내부를 수 기압의 절연 가스로 봉입한 GIS 탱크(10) 내에 설치되고, 이를 둘러싸도록 가공조립한, 석영이나 납 글래스 등으로 된 센서(2)로 덮여 있다. 광원을 떠난 광은, 송신 화이버(71)를 경유하여 광학계 취부박스(31)로 입사되고, 여기서 소정의 직선편광으로 변환된 후, GIS 탱크(10)내의 가스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압력실링창(11)을 투과하여 센서(2)에 도달한다. 센서(2) 내에서 반사를 반복함으로써 도체(8) 근방을 통과한 직선편광은, 재차 압력실링창(11)을 투과하여 광학계 취부박스(31)에 입사된다. 패러데이 효과의 원리에 의하면, 도체(8)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서 주위에 생기는 자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편광면은 회전하므로, 재차 광학계 취부박스(31)에 입사된 직선편광은, 도체(8)의 전류량에 따라서 선회하고 있다. 이들을 광학계 취부박스(31)에서 상호 직교한 XY성분으로 벡터분해하고, 각각 X성분을 수신 화이버(72) 및 Y성분용 수신 화이버(73)로 출사한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수광기에 도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 회로에서 구해진 전류치가 도출된다.
또한, 광학계 취부박스(31) 내부의 구조를 상술하면, 수신 화이버(71)로부터 입사한 광은 렌즈(33)에 의하여 평행한 공강비임으로 변화된 후, 방해석의 글랜-톰슨 프리즘(Glan-Thomson prism) 등으로 된 편광자(34)에 의하여 직선평관으로 변환되어, 상술한 압력실링창(11)으로 출사된다. 한편, 선회한 후, 재차 광학계 취부 박스(31)로 입사한 직선편광은, 방해석의 규회석 프리즘(Wollaston prism)이나 편광비임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 등으로 된 검광자(35)에 입사하여, 상호 직각 방향으로 분리된다. 이들 X성분광 및 Y성분광을 각각 렌즈(33)에서 집광한 후, 상술한 X성분용 수신화이버(72) 및 Y성분용 수신화이버(73)로 출사한다.
여기서, 이들 각 광학부품 간의 광축을 일치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광학부품 취부구(32)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근본적으로 이하의 제반 문제를 포함한다.
제1의 문제점으로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높은 정밀도를 유지함에는 가스 중을 광다발이 전파하는 거리가 지나치게 길다는 점이다. 예를들어, 어떤 광학부품에서 광화이버로 광다발을 입사하는 경우, 양자 간의 거리가 5mm에 달하면, 광화이버의 코아부는 직경이 수 미크론이기 때문에, 그것만으로 일만배 전후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한편, 주위온도의 변화에 의해 가스의 굴절율이 변동하기 때문에 비임의 방향이 변동하여, 광학부품간을 통과하는 광량이 변동하게 된다.
제2의 문제점으로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높은 정밀도를 유지함에는 광학계 취부박스(31)내의 각 구성부품 간의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다. 요컨대, 주위의 온도변화에 의한 열비틀림에 의하여 부품 상호간의 광축의 어긋남이 생기는 동시에, 진동이나 충격에 대하여도 불안정하게 된다.
제3의 문제점으로서, 제1 및 제2의 문제점이 결과로서, 광변류기 전체가 대형화하는 점이다. 특히 이는 GIS 전체의 소형화의 요청에 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제 문제을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이고, 그 목적은, 주위 온도변화에 대하여 정도를 해침이 없이 소형경량화가 가능한 광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광화이버형의 센서에 적용한 경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광학계 수납상자의 상세 단면을 나타낸 전체 구조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광학계 수납상자 중, 도체측에 취부한 광학부품 취부구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광학계 수납상자 중, 광학측에 취부한 광학부품 취부구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광학게 수납상자의 상세 단면을 나타낸 전체 구조도.
도 6은 종래의 GIS용 광변류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광원4…광학계 수납상자
8…도체13…글래스형태 투명매질
33…볼록 렌즈34…편광자
35…검광자36…반사경
37…굴절율분포형로드렌즈 41,42,42…취부부재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으로서,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여, 통전도체 근방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회한 상기 직선 편광을, 직교 성분으로 벡터 분해하여 선회각을 구함으로써 통전전류치를 구하는 광계측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편광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는, 복수로 된 동일부재로 바깥 상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계측장치에서는, 광학계 수납상자가 동일 부재로서 바깥 상자를 구성하기 때문에, 바깥 기온의 변화시에, 열팽창 계수의 상위에 의한 열비틀림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으로서,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여, 통전도체 근방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회한 상기 직선 편광을, 직교 성분으로 벡터 분해하여 선회각을 구함으로써 통전 전류치를 구하는 광계측장치에 있어서, 광학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편광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는, 세 개의 동일부재로 바깥 상자를 구성하고, 상호의 부재간은 박판 형태로 형성한 편광자, 검광자 및 반사경을 재재하여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계측장치에서는, 광로를 복수회 반사시키므로 광학계 수납상자의 광로 길이를 단축할 수 있음에 더하여 복수의 광화이버를 상호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광계측장치의 단순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으로서, 상기 편광자는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수광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도체측의 면이 하프 미러(half mirror)로서 구성되고, 상기 편광자에서 편광방위가 45도로 설정됨과 동시에 도체측의 면이 하프 미러로서 구성된 제1검광자와, 상기 편광자에서 편광방위가 45도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1검광자에서 편광방위가 90도로 설정된 제2검광자를 상기 반사경을 개재하여 광로가 연통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광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계측장치에서는,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광로를 반사함이 가능함과 동시에, 도체 근방을 통과하여 편광한 직선편광을, 효과적으로 벡터분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으로서, 상기 편광자 및 검광자보다 광원측의 렌즈로는 굴절울 분포형의 로드(rod) 형상 렌즈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광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계측장치에서는, 광원측이 광학부품 취부구로의 취부를 용이하게 하여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으로서, 상기 편광자 및 검광자 보다도 도체측의 렌즈로는 비틀림을 제거한 블록렌즈를 고무 접착제로 고착한 것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광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계측장치에서는, 통과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주위에서 응력이 가해진 경우는 이를 고무 접착제에서 흡수함으로써 측정정밀도를 일측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으로서, 상기 편광자 및 검광자는 글래스 중에 금속미립자를 다수의 평행선 상으로 배열한 와이어 그리드 형 편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광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계측장치에서는, 고분자형 편광소자와 다른 광변류기로 최저 한도로 필요한 정밀도를 만족함에 더하여, 열팽창에 의해 정밀도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으로서,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여 통전도체 근방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회한 상기 직선 편광을, 직교 성분으로 벡터 분해하여 선히각을 구함으로써 통전 전류치를 구하는 광계측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편광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에는,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수광하는 위치 및 제1수신화이버로 통하는 위치의 도체측의 면이 하프 미러로서 형성되고, 그의 다른 반사면에는 거울면 가공이 시행된 글래스 상매질이 봉입된 광로가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광학계 수납상자의 내면에는 반사착란방지용 표면처리가 시행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계측장치에서는, 반사경 등을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광로를 구성할 필요는 없고, 여러가지 표면처리를 시행한 글래스상 매질을 사용하면 좋기 때문에, 광학계 수납상자를 단일이 바깥 상자로서 구성할 수 있는 등, 부품수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하 8의 발명으로서,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여, 통전도체 근방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회한 상기 직선 편광을, 직교 성분으로 벡터 분해하여 선회각을 구함으로써 통전 전류치를 구하는 광계측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편광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에 광 파이버를 고착할 때에, 광축을 일치시킨 후 고착할 광학부품 취부구를 용접에 의하여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용접 고착에 의하여 제조된 광계측장치에서는, 나사나 접착제 등의 이종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동종 부재만으로 고착하기 때문에, 주위의 온도변화시에 열팽창계수의 상위에 의한 열비틀림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9의 발명으로서, 상기 광학부품 취부구 중, 도체측의 것은, 광축방향 및 광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광축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한 광계측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법을 채용하면, 광축 합침을 점동에 의하여 행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광계측장치 전체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고 다른 입체적인 광축의 일치시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10의 발명으로서, 상기 광학부품 취부구 중, 광원측의 것은, 광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한 광계측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법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항과 마찬가지로, 광축 합침을 접동으로 행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등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을 광변류기에 사용한 경우의 전체 구성도이고, 특시 광화이버형의 센서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광원(1)을 떠난 광은, 송신 화이버(71)을 거쳐, 광학계 수납상자(4)에 입사한다. 이 광은 여기서 소정의 직선편광으로 변환된 후, 센서(2) 내에서 편광면이 선회하여, 재차 광학계 수납상자(4)로 입사한다. 이 다음에는 여기서 상호 직각인 X성분 및 Y성분으로 분해된 후, X성분용 수신화이버(72) 및 Y성분용 수신화이버(73)를 거쳐 수광기(5)에서 검출되고 최종적으로는 신호처리회로(6)에서 광데이터가 처리된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광학계 수납상자(4) 내의 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이하, 광학계 수납상자(4)의 단면구조를 나타낸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광학계 수납상자(4)는 열팽창계수가 작은 동일 부재로 구성된 세개의 취부부재(41,42,43)로 되고, 그 양단에는 후에 상술할 광학부품 취부구(321,322)가 고착되어 있다. 33은 광학게 수납상자(4)로부터 도체(8)측의 센서로 직선편광을 입사하기 위한 렌즈이고, 소둔 등에 의해 광학적 비틀림 제거처리를 시행한 후, 고무 접착제로 고착한다. 34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직선편광으로 변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박판 형태로 형성한 편광자이다. 35는, 도체측의 센서를 경유한 직선편광으로부터 X성분만 또는 Y성분만을 골라내기 위하여 박판 형태로 형성한 검광자이다. 두개의 검광자(35)는 각각의 직교성분을 검출하도록 편광방위가 상호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또한, 원래의 직선편광의 초기조건도 공평하도록 편광자(34)의 편광방위도 두 개의 검광가(35)에 대하여 각각 45도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편광자(35), 검광자(35)는, 글래스 중에 금속 미립자를 평행선상으로 다수 배치하여 된 와이어 그리드형(wire-grid type) 편광소자이다. 또한, 편광자(34)의 도체(8)측 면은, 투과광과 반사광의 강도비가 대략 1:1로 되도록 하프 미러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X성분용 수신화이버(72)측에 설치된 검광자(35)도 마찬가지로 도체(8)측 면이 하프 미러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36은, 광로를 절곡하기 위한 반사경이고, 송신화이버(71), X성분용 수신화이버(72), Y성분용 수신화이버(73)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광로를 절곡한 것이다. 37은, 송신화이버(71), 수신화이버(72,73)를 광학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굴절율 분포형 로드 렌즈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학계 수납상자(4)는, 세개의 취부부재(41,42,43)로 구성되지만, 어느 것도 동일부재여서 열팽창계수도 동일하기 때문에, 온도변화에 의한 광축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34) 및 검광자(35)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카메라 편광필터 등에 사용하는 고분자형 편광소자와 다른 광변류기에 최저한도 필요한 정밀도를 만족함에 더하여, 열팽창에 의한 정밀도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을 제거한 볼록 렌즈(33)를 고무 접착제로 고착함은, 통과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주위로부터 응력이 가해진 경우는 이들을 고무 접착제에서 흡수하기 위함이다. 또한, 반사경(36) 등을 이용하여, 광로를 반사시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광학계 수납상자(4) 내의 광로 단축에 의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함 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화이버(71), X성분용 수신화이버(72), Y성분용 수신화이버(73)가 서로 평행을 이룸으로서 장치의 소형화도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세개의 취부부재(41,42,43)의 설치와 더불어, 복잡한 광축 조정작업 없이 편광자(34), 검광자(35), 반사경(36)을 취부함이 가능하게 된다. 또, 광학부품 취부구(321)로의 취부를 용이하게 하여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굴절율 분포형 로드렌즈(37)를 도시와 같이 사용하고 있지만, 편광자(34)를 통과한 후 도체(8) 근방의 센서(2)를 통과하는 사이는, 특히 정확한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도체(8)측으로 광을 입사하는 부분에서는, 도시와 같이 통상의 볼록 렌즈를 사용한다.
다음에, 광학계 수납상자(4)로 광이 입사 또는 출사할때에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광학부품 취부구에 대해서, 특히 도체(8)측의 광학부품 취부구(322)이 상세한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페룰 홀더(ferrule holder)(B)는, 페룰(A)과 끼워 일치시켜 취부됨과 동시에, 슬리브(C)에도 끼워 일치시키고 있다. 또한, 페룰(A)의 선단은, 반사광이 광학계 수납상자(4)에 입사하지 않도록 도시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광학계 수납상자(4)와 센서(2)의 광축을 합치시키기 위해서는, 페룰 홀더(B)와 슬리브(C)를 접동하여 광축방향의 조정을 행하고, 취부부재(42)와 슬리브(C)를 접동하여 광축과 직교방향의 조정을 행한다. 그 후, 페룰(A), 페룰 홀더(B), 슬리브(C), 취부부재(42)를 용접에 의해 고착한다.
나사에 의해 고착한 경우에는, 이종부재이기 때문에, 열팽창에 의하여 비틀림이 발생하거나 어긋남이 생기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를 유지함이 곤란하게 된다.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도 결국 이종부재이기 때문에, 열팽창에 의해 높은 정밀도의 유지가 곤란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용접 고착은 동종부재이기 때문에, 온도변화에 의한 정밀도 저하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광원측의 광학부품 취부구(321), 즉, X성분용 수신화이버(72), Y성분용 수신화이버(73)의 취부부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다. 로드 홀더(D)는, 페룰(A)과 굴절율 분포형 로드 렌즈(37)를 광축이 합치된 상태에서 조합하고, 취부부재(43)로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착시킨다. 단 취부부재(43)에 형성된 홈의 직경은 로드 홀더(D)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로드 홀더(D)를 광축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접동시킴으로써, 직교방향의 광축을 합치할 수 있다. 또한, 용접 고착함은, 열비틀림에 의해 정밀도 저하의 영향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그 외에, 광학부품 취구부(321,322)에 공통의 효과로서, 광축 합침을 접동에 의하여 행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광계측장치 전체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13은, 대향하는 두 개의 면을 상호 평행이 되게 하는 마름모골로 형성한 글래스상 매질이다. 또한, 글래스상 매질(13) 위의 면 중, 송신화이버(71)로 통하는 면 및 X성분용 수신화이버(72)로 통하는 면에는, 반사광 강도와 투과광 강도의 비율이 1:1인 부분 반사면(131)이, 센서(2)로 통하는 면 및 Y성분용 수신화이버(72)로 통하는 면에는 반사방지면(132)이, 그 외의 광로반사면에는 전반사면(1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학계 수납상자(4)는 내면을 흑색이나 무광택 도장 등의 반사 산란 방지용의 표면처리를 시행하였고, 또, 전체 접합부를 기밀 또는 수밀 구조로서 밀폐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1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반사경(36) 두개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반사면을 형성한 글래스상 매질(13)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 및 접착 장소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결국 광변류기의 소형화, 정밀도 향상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광학계 수납상자(4)의 내면을 흑색이나 무광택 도장의 반사산란 방지용 표면처리를 행함으로써, 미광에 의한 측정 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판상으로 형성한 반사경 등을 개별적으로 개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학계 수납상자(4)는, 단일의 취부부재(44)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는, 주위 온도의변화에 대하여도 정밀도를 해채지 않으면서 소형경량화가 가능한 광계측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여, 통전도체 근방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회한 상기 직선 편광을, 직교 성분으로 벡터 분해하여 선회각을 구함으로써 통전 전류치를 구하는 광계측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편광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는, 복수로 된 동일부재로 바깥 상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
  2.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여, 통전도체 근방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회한 상기 직선 편광을, 직교 성분으로 벡터 분해하여 선회각을 구함으로써 통전 전류치를 구하는 광계측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광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는, 세 개의 동일부재로 바깥 상자를 구성하고, 상호의 부재간은 박판 형태로 형성한 편광자, 검광자 및 반사경을 개재하여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수광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도체측의 면이 하프 미러로서 구성되고, 상기 편광자에서 편광방위가 45도로 설정됨과 동시에 도체측의 면이 하프 미러로서 구성된 제1검광자와, 상기 편광자에서 편광방위가 45도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1검광자에서 편관방위가 90도로 설정된 제2검광자를 상기 반사경을 개재하여 광로가 연통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및 검광자보다 광원측의 렌즈로는 굴절율 분포형의 로드 형상 렌즈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및 검광자보다도 도체측의 렌즈로는 비틀림을 제거한 볼록렌즈를 고무 접착제로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및 검광자는 글래스 중에 금속 미립자를 다수의 평행선 상으로 배열한 와이어 그리드 형 편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
  7.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여, 통전도체 근방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회한 상기 직선 편광을, 직교 성분으로 벡터 분해하여 선회각을 구함으로써 통전 전류치를 구하는 광계측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편광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에는, 광원으로부터 반사한 광을 수광하는 위치 및 제1수신화입로 통하는 위치의 도체측의 면이 하프 미러로서 형성되고, 그의 다른 반사면에는 거울면 가공이 시행된 글래스 상 매질이 봉입된 광로가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광학계 수납상자의 내면에는 반사산란 방지용 표면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
  8.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여, 통전도체 근방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회한 상기 직선 편광을, 직교 성분으로 벡터 분해하여 선회각을 구함으로써 통전 전류치를 구하는 광계측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와, 선회한 직선편공을 직교성분으로 분해하는 검광부를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상자에 광 파이버를 고착할때에, 광축을 일치시킨 후 고착하는 광학부품 취부구를 용접에 의하여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 취부구 중, 도체측의 것은, 광축방향 및 광축에 직각이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광축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 취부구 중, 광원측의 것은, 광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광축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계측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70037141A 1996-08-05 1997-08-02 광계측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18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573196A JP3544069B2 (ja) 1996-08-05 1996-08-05 光計測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96-205731 1996-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335A true KR19980018335A (ko) 1998-06-05

Family

ID=1651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141A KR19980018335A (ko) 1996-08-05 1997-08-02 광계측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33238A (ko)
EP (1) EP0823638B1 (ko)
JP (1) JP3544069B2 (ko)
KR (1) KR19980018335A (ko)
CN (1) CN1082665C (ko)
DE (1) DE6973878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576B2 (ja) * 1996-08-30 2004-01-19 株式会社東芝 光変流器
FR2820593B1 (fr) * 2001-02-02 2003-05-23 Schlumberger Services Petrol Chemin optique
JP4889885B2 (ja) * 2001-07-23 2012-03-07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集積回路
US8488244B1 (en) * 2010-07-12 2013-07-16 Alliance Fiber Optic Products, Inc. Ultra compact optical multiplexer or demultiplexer
CN102650823A (zh) * 2011-05-13 2012-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具有偏振能力的彩色滤光片及其制作方法
US10852482B1 (en) * 2019-05-31 2020-12-01 Alliance Fiber Optic Products, Inc. Precision TFF POSA and WDM systems using parallel fiber interface devices
CN113252961A (zh) * 2021-04-27 2021-08-13 哈尔滨工业大学 抑制线性双折射的全光纤电流互感器传感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8419B1 (en) * 1982-03-08 1986-06-25 Hitachi, Ltd. Apparatus for optically measuring a current
FR2613839B1 (fr) * 1987-04-10 1990-11-16 Alsthom Procede de mise a jour du facteur d'echelle d'un appareil de mesure d'intensite d'un courant electrique alternatif par effet faraday
DK108691D0 (da) * 1991-06-07 1991-06-07 Allan Goettsche Maaling af induceret dobbeltbrydning
FR2686423B1 (fr) * 1992-01-22 1996-12-13 Balteau France Boitier polarimetrique de mesure de l'angle de faraday.
DE4312183A1 (de) * 1993-04-14 1994-10-20 Siemens Ag Optisches Meßverfahren zum Messen eines elektrischen Wechselstromes mit Temperaturkompensatio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0843450A (ja) * 1994-07-29 1996-02-16 Toshiba Corp 光変流器
JPH0980266A (ja) * 1995-09-07 1997-03-28 Fujitsu Ltd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JP3488565B2 (ja) * 1996-01-22 2004-01-19 株式会社東芝 光応用測定装置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3638A2 (en) 1998-02-11
CN1082665C (zh) 2002-04-10
JP3544069B2 (ja) 2004-07-21
US5933238A (en) 1999-08-03
EP0823638B1 (en) 2008-06-25
EP0823638A3 (en) 1998-08-12
JPH1048263A (ja) 1998-02-20
CN1174325A (zh) 1998-02-25
DE69738789D1 (de)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4470A (en) Single-polarization fiber optics magnetic sensor
CN100334454C (zh) 电流测量装置
JP3488565B2 (ja) 光応用測定装置とその製造方法
CN110161295B (zh) 一种反射式光纤电场传感器的探头及其装调方法
KR19980018335A (ko) 광계측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1498690B1 (en) Thickness measuring device
US20150116708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light scattering
KR102593815B1 (ko) 농도 측정 장치
EP0774669A1 (en) Optical fiber magnetic-field sensor
CN113551874A (zh) 光整合器件及光时域反射仪
GB2117132A (en) Interferometer
JP2001033492A (ja) 光応用測定装置
US5184010A (en) Spectrum modulation encoding sensor system for remotely detecting a physical magnitude, and operating by reflection
US6404503B1 (en) Apparatus with a retracing optical circuit for the measurement of physical quantities having high rejection of environmental noise
KR200445231Y1 (ko) 광학기기 보호용 하우징
JPH09274056A (ja) 光ファイバ電流計測装置
JPH07333256A (ja) 光変流器
JPS6394167A (ja) 光変流器
CN111982849A (zh) 一种氨逃逸分析仪表在线校准***及方法
JPS6254170A (ja) 光計測装置
Mignani et al. Micro-optic probes for gas absorption measurements: design study and demonstrators
JPS60244865A (ja) 電界・磁界検出装置
JPH09281153A (ja) 光ファイバ電流計測装置
JPS59122973A (ja) 偏波面保存光フアイバ形磁界センサ
JPH0259674A (ja) 電流、電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1214

Effective date: 2001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