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1326B1 -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1326B1
KR102681326B1 KR1020210176427A KR20210176427A KR102681326B1 KR 102681326 B1 KR102681326 B1 KR 102681326B1 KR 1020210176427 A KR1020210176427 A KR 1020210176427A KR 20210176427 A KR20210176427 A KR 20210176427A KR 102681326 B1 KR102681326 B1 KR 10268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bric
main body
cloth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544A (ko
Inventor
이재호
진준태
조아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버써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버써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버써먼
Priority to KR102021017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13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inflatable structure, e.g. non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성 의류가 제공된다. 상기 기능성 의류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내측에 공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공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의복; 및 상기 공기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수용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수용부의 둘레에는, 상기 제 1 원단과 상기 제 2 원단이 상호 접합되어 상기 공기 수용부를 인접하는 다른 공기 수용부와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원단과 상기 제 2 원단이 비-접합되어 상기 공기 수용부를 인접하는 다른 공기 수용부와 공기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 장치를 통해 상기 의복에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제 2 영역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부에 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의류{FUNCTIONAL CLOTHES}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공기 주입 장치를 통하여 의복의 복수의 공기 수용부로 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무릎 보호대, 몸매 교정 패드, 복대, 구명조끼, 고무 튜브 및 손목 보호대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의류의 일 영역에 공기를 유입 및 배출함으로써 쿠션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능성 의류는, 공기의 주입에 따라 팽창될 수 있는 별도의 공기 튜브를 의류에 내장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하나의 튜브로 의류의 전체 또는 넓은 영역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 의류에 다수의 공기 튜브를 내장할 경우, 사용자가 각 공기 튜브마다 별도로 공기를 유입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별도의 공기 튜브를 의류에 내장하는 방식은, 제조 과정이 번거로웠으며, 의류와 공기 튜브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전달하고, 착용감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기능성 의류에 공기를 유입하고 쿠션감을 형성하기 위하여 의류의 일 영역에 공기 주입 장치가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주입 장치는, 사용자가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어, 공기 튜브를 최대로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큰 힘과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기 주입을 위한 별도의 펌프 등의 장치가 요구되어 사용자의 휴대가 불편하고 옷 등에 장착 시 무거운 착용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편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주입 장치를 통하여 의복의 복수의 공기 수용부로 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성 의류가 제공된다. 상기 기능성 의류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내측에 공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공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의복; 및 상기 공기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수용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수용부의 둘레에는, 상기 제 1 원단과 상기 제 2 원단이 상호 접합되어 상기 공기 수용부를 인접하는 다른 공기 수용부와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원단과 상기 제 2 원단이 비-접합되어 상기 공기 수용부를 인접하는 다른 공기 수용부와 공기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 장치를 통해 상기 의복에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제 2 영역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부에 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원단 및 상기 제 2 원단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에는 폴리머 필름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폴리머 필름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를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필름 코팅층에 의해 상기 공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원단과 상기 제 2 원단 부분은 공기 비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복은, 내측에 상기 공기 주입 장치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포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의복에 수용된 공기를 상기 의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를 개방하면, 상기 제 2 영역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주입 장치는, 상기 의복의 일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의복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연결부; 일 단이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적어도 일시적으로 공기를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 단이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를 가압하면, 상기 본체부의 체적이 감소하면서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공기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상기 타 단을 파지하여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결부를 향해 권취함에 따라 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할수록 내부 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수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 3 원단과 제 4 원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원단 및 상기 제 4 원단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에는 공기 비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머 필름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타 단의 적어도 일 영역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 3 원단과 상기 제 4 원단을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유입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 3 원단에 구비되는 제 1 파지부 및 상기 제 4 원단에 구비되는 제 2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파지부와 상기 제 2 파지부는 서로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의 반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복에 서로 공기 연통되는 다수의 공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공기 주입 장치를 통하여 하나의 공기 수용부에 공기를 주입하더라도, 각각의 공기 수용부에 모두 공기가 전달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복을 구성하는 원단의 내면에 폴리머 필름 코팅층을 형성하고 원단을 열융착하는 방식으로 공기 연통하는 복수의 공기 수용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 필름 코팅층이 일체로 합지된 기능성 원단을 적용하여 발수 및 방수뿐만 아니라 방풍 기능까지 가지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공기 튜브를 의복에 내장시킬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의류와 상이한 재질의 공기 튜브가 내장됨에 따른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단을 통해 공기 주입 장치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원단 내측에 공기를 불어넣고 이를 말아 압축하는 간이한 방식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공기 주입 장치에 적은 힘과 적은 횟수로 공기를 불어넣어도 보다 빠르게 의복을 최대로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주입 장치를 의복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작은 부피로 편리하게 포켓 내측에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과 공기 주입 장치의 원단에 형성되는 폴리머 필름 코팅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 장치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성 의류(1000)는, 의복(100), 공기 주입 장치(200) 및 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복(100)은, 복수의 원단을 통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상의 또는 하의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단을 통해 구성되는 모든 형태의 의류 또는 악세서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복(100)은, 내측에 공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100)은 적어도 일 영역에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을 포함하며, 공기 수용부(110)는 이러한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수용부(110)는 공기 주입 장치(200)를 통해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여 의복(100)의 일 영역에 쿠션감을 형성할 수 있고, 보온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공기 수용부(110)는, 의복(100)의 모든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관절 부위나 충격 흡수, 자세 지지 또는 보온을 위해 필요한 일부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원단 및/또는 제 2 원단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공기 비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은 공기 수용부(110)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외부의 습기, 물기 또는 바람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후술하기로 한다.
공기 수용부(110)의 둘레에는,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이 상호 접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111)과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이 비-접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영역(111)은, 공기 수용부(110)를 다른 공기 수용부(110)와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의 서로 대면하는 일 면에 각각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이 형성되고, 제 1 영역(111)은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의 적어도 일 영역을 서로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을 가열 및 가압하면,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이 용융되면서,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이 상호 접합되며, 이를 통해, 제 1 영역(1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원단과 제 2 원단 중 하나의 일 면에만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이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영역(111)은 각각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간격 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영역(112)은, 공기 수용부(110)를 인접하는 다른 공기 수용부(110)와 공기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영역(112)은 복수의 제 1 영역(111) 중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주입 장치(200)를 통해 의복(100)에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가 제 2 영역(112)을 통하여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에 순차 또는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주입 장치(200)로부터 제 1 공기 수용부에 주입된 공기가 제 2 영역(112)을 통하여 공기 연통하도록 제 1 공기 수용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공기 수용부로 전달되고, 이후 그 다음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공기 수용부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로 순차 또는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의복(100)은, 내측으로 공기 주입 장치(200)가 장착되는 포켓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100)의 일 면에 덧댄 별도의 원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시킴으로써 내측에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포켓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포켓부(120)의 상단은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되는 공기 주입 장치(200)를 개방된 영역의 상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주입 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공기 주입 장치(200)를 접힌 상태로 포켓부(120)의 내측에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포켓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의복(10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의복(10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면과 내측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포켓부(120)는, 의복(100)의 몸통 영역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의복(100)의 몸통, 어깨 또는 팔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주입 장치(200)는,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의복(100)의 공기 수용부(110)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기 주입 장치(200)는, 연결부(210), 본체부(220) 및 공기 유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10)는, 의복(100)(특히, 공기 수용부(110))의 일 영역에 결합되어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됨으로써 의복(10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10)는 의복(100)의 일부와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의복(100)과 착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20)는, 복수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210)를 통해 의복(100)에 공기가 주입되기 전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220)의 일 단이 연결부(210)와 연결될 수 있고, 공기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부피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체부(220)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 3 원단과 제 4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제 3 원단과 제 4 원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하여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합 방법으로 열융착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모든 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3 원단 및 제 4 원단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에는, 공기 비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부(2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부(22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본체부(220)를 가압하면, 본체부(220)의 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본체부(220)의 일 단을 파지하여 본체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부(210)를 향해 권취하는 방법으로 본체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 본체부(220)의 체적이 감소하면서, 본체부(220)에 수용된 공기가 연결부(210)를 통하여 공기 수용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수용부(110)로 전달된 공기는 제 2 영역(112)을 통하여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100)에 장착된 공기 주입 장치(200)(즉, 본체부(220))를 권취하여, 체적을 감소시킨 상태로 의복(100)(특히, 포켓부(120))에 보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기 주입 장치(200)를 의복(10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작은 부피와 크기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장소와 시간과 무관하게 이용할 수 있어, 휴대성과 함께 사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체부(220)의 일 영역에는, 본체부(220)에 수용된 공기가 연결부(21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수렴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렴부(221)는 공기 유입부(230)로부터 연결부(210)를 향할수록 내부 면적 또는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부(220)에 수용된 공기가 공기 유입부(230)로부터 연결부(210)를 향할수록 더욱 밀집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210)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의복(100)으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본체부(220)의 일 단(특히, 공기 주입부(230)가 형성된 일 단)에는, 적어도 일 영역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222)를 파지하여 제 3 원단과 제 4 원단을 이격시킴으로써 공기 유입부(230)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222)는 제 3 원단과 제 4 원단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 3 원단 및 제 4 원단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파지부(222)는, 본체부(220)의 일 단의 일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220) 일 단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파지부(222)는, 제 3 원단에 구비되는 제 1 파지부(222') 및 제 4 원단에 구비되는 제 2 파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파지부(222')와 제 2 파지부(222”)는 서로 대응하도록 본체부(220)의 폭 방향의 반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파지부(222')와 제 2 파지부(222”)를 각각 파지하여 제 3 원단과 제 4 원단을 보다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체부(220)의 제 3 원단의 일 단의 일 영역에는, 제 1 파지부(222')가 형성되되, 상기 일 단의 타 영역에는 제 1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본체부(220)의 제 4 원단에서 일 단의 일 영역에는, 제 2 파지부(222”)가 형성되되, 상기 일 단의 타 영역에는 제 2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개방부와 제 2 개방부는 제 3 원단과 제 4 원단의 각각의 일 단이 제 1 파지부(222')와 제 2 파지부(222”)보다 상측으로 덜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파지부(222')는 제 2 개방부에 의해 제 4 원단 측에서 노출되고, 제 2 파지부(222”는 제 1 개방부에 의해 제 3 원단 측에서 노출되어, 사용자는 제 1 파지부(222')와 제 2 파지부(222”)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여 공기 유입부(230)를 개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체부(220)의 일 영역에는, 공기 유입부(230)를 개방 시, 외부의 공기가 본체부(220)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장부는 연결부(210)로부터 공기 유입부(230)를 향할수록 내부 면적 또는 폭이 확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230)를 개방하기 이전에는 본체부(220)의 내측에 공기가 수용되어 있지 않아,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 공기 유입부(230)를 개방 시, 외부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갖는 본체부(220)의 내측으로 순간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확장부에 의하여 더 많은 양의 외부의 공기가 본체부(220)의 증가하는 개방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공기 유입부(230)를 통하여 본체부(220)로 공기를 불어넣을 때에도, 사용자가 불어 놓은 공기와 함께 외부의 공기가 본체부(220)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사용자가 적은 힘과 적은 횟수로 공기를 불어넣어도 본체부(220)의 체적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다.
공기 유입부(230)는, 본체부(220)의 타 단(연결부(210)의 반대측 일 단)이 개방됨으로써 형성되어, 본체부(220)의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부(230)는, 본체부(220)의 타 단이 전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220)의 타 단의 일 영역만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의복(100)의 공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출부(300)는, 배출구와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는, 의복(100)(특히, 공기 수용부(110))의 일 영역에 연결되어, 의복(100)에 수용된 공기를 의복(100)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마개는,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가 배출구를 차폐하면, 공기 주입 장치(200)를 통하여 의복(100)에 공기를 주입하는 동안 외부로 누출되는 공기를 최소화하여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주입한 이후에도 의복(100)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마개를 열여 배출구를 개방하면, 의복(100)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배출구를 개방하고, 의복(10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가압하면,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공기는 제 2 영역(112)을 통해 순차 또는 동시에 전달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과 공기 주입 장치의 원단에 형성되는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원단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원단 내지 제 4 원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은, 베이스 원단(410)의 일 면에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을 합지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베이스 원단(410),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 및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원단과 제 2 원단(또는, 제 3 원단과 제 4 원단) 모두에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이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을 서로 합지함으로써, 내측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거나, 기능성 소재를 외부의 습기 또는 물기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베이스 원단(410)은, 의류의 원자재가 되는 천(fabric)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천연섬유 및/또는 인조섬유를 직조하여 만든 직물일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은, 가열에 의해 녹거나 형태가 변형 가능한 열가소성 성질을 가지는 폴리머로 구성된 필름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에 의해 수분 및 공기 투과가 가능한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폴리머 필름 코팅층(400)은 방수 및 방풍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린(LLDPE),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 수지 및 폴리스티렌(PS)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은 20um 내지 200u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um 내지 100um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의 두께가 20um 미만 경우, 방풍 또는 방수 기능이 떨어지거나, 폴리머 필름 코팅층 간의 합지 등의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의 두께가 200um를 초과할 경우, 의류의 제작 시 활동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은 Shore 80A 내지 95A 범위의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hore 85A 내지 Shore 90A의 경도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은 140℃ 내지 200℃의 열변형 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80℃의 열변형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접착제(430)는,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의 일 면에 코팅되어, 베이스 원단(410)과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을 합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착제(430)는 일정한 온도 범위(예를 들어, 80℃내지 90℃에서 경화되는 열경화성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430)는 예를 들어, 솔벤트 타입, 핫멜트 타입, 우레탄 타입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원단(410)과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 사이의 접착제(430)를 열경화시킴으로써, 베이스 원단(410)과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을 합지시킬 수 있다. 이때, 열경화 공정은 라미네이팅(Laminating) 또는 핫프레스(hot press)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라미네이팅은 복수의 히팅 롤러 사이로 대상물을 통과시키면서 대상체를 가열, 압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열된 복수의 히팅 롤러 사이로 적층된 베이스 원단(410) 및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을 통과시켜 가열 및 가압하면, 접착제(430)가 열경화됨으로써 베이스 원단(410)과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420)이 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먼저 도 6의 (a)는 의복(100) 내에 공기가 배출된 상태의 기능성 의류(1000)를 도시한다. 의복(100)에 공기를 유입하고자 할 경우, 의복(100)의 포켓부(120)의 내측에 보관되어 있던 공기 주입 장치(200)를 외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는 의복(100) 내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의 기능성 의류(1000)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공기 주입 장치(200)의 파지부(222)를 파지하여 제 3 원단과 제 4 원단을 이격시켜 공기 유입부(230)를 개방하고, 본체부(220)로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본체부(220)에 공기가 수용되어 체적이 최대로 증가하면, 사용자는 본체부(220)의 일 단을 파지하여 연결부(210)를 향하여 본체부(220)를 권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220)의 체적이 감소하면서, 수용된 공기가 연결부(210)를 통하여 공기 수용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공기 수용부(110)로 전달된 공기는 제 2 영역(112)을 통하여 의복(10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수용부(110)로 순차 또는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성 의류(1000)의 사용 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의복 110: 공기 수용부
111: 제 1 영역 112: 제 2 영역
120: 포켓부 200: 공기 주입 장치
210: 연결부 220: 본체부
221: 수렴부 222: 파지부
222': 제 1 파지부 222”: 제 2 파지부
230: 공기 유입부 300: 배출부
400: 폴리머 필름 코팅층 410: 베이스 원단
420: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 430: 접착제
1000: 기능성 의류

Claims (12)

  1. 기능성 의류로서,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내측에 공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공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의복; 및
    상기 공기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수용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수용부의 둘레에는,
    상기 제 1 원단과 상기 제 2 원단이 상호 접합되어 상기 공기 수용부를 인접하는 다른 공기 수용부와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원단과 상기 제 2 원단이 비-접합되어 상기 공기 수용부를 인접하는 다른 공기 수용부와 공기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 장치를 통해 상기 의복에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제 2 영역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부에 공기가 전달되며,
    상기 공기 주입 장치는,
    상기 의복의 일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의복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연결부;
    일 단이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적어도 일시적으로 공기를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 단이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를 가압하면, 상기 본체부의 체적이 감소하면서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공기 수용부로 전달되는, 기능성 의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단 및 상기 제 2 원단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에는 폴리머 필름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폴리머 필름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를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기능성 의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 코팅층에 의해 상기 공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원단과 상기 제 2 원단 부분은 공기 비투과성을 가지는, 기능성 의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내측에 상기 공기 주입 장치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의복에 수용된 공기를 상기 의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를 개방하면, 상기 제 2 영역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에 전달되는, 기능성 의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상기 타 단을 파지하여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결부를 향해 권취함에 따라 체적이 감소하는, 기능성 의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할수록 내부 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수렴부가 형성되는, 기능성 의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 3 원단과 제 4 원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기능성 의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원단 및 상기 제 4 원단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에는 공기 비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머 필름 코팅층이 형성되는, 기능성 의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타 단의 적어도 일 영역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 3 원단과 상기 제 4 원단을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유입부를 개방하는, 기능성 의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 3 원단에 구비되는 제 1 파지부 및 상기 제 4 원단에 구비되는 제 2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파지부와 상기 제 2 파지부는 서로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의 반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기능성 의류.
KR1020210176427A 2021-12-10 2021-12-10 기능성 의류 KR102681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27A KR102681326B1 (ko) 2021-12-10 2021-12-10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27A KR102681326B1 (ko) 2021-12-10 2021-12-10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544A KR20230088544A (ko) 2023-06-20
KR102681326B1 true KR102681326B1 (ko) 2024-07-04

Family

ID=8699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427A KR102681326B1 (ko) 2021-12-10 2021-12-10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13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525B2 (ja) * 1994-09-14 2000-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挙動制御装置
KR200454066Y1 (ko) * 2011-01-03 2011-06-15 (주) 민성정밀 통기공을 갖는 에어자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525U (ja) * 2005-05-12 2005-10-27 施峻堅 空圧式の袖構造
KR101207337B1 (ko) * 2005-12-30 2012-12-04 벤텍스 주식회사 보온 및 충격방호 소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525B2 (ja) * 1994-09-14 2000-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挙動制御装置
KR200454066Y1 (ko) * 2011-01-03 2011-06-15 (주) 민성정밀 통기공을 갖는 에어자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544A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8526B2 (ja) 調整可能断熱構造体
JP6525883B2 (ja) 可撓性複合材料の3次元物品
US5693412A (en) Gas impermeable, elastically deformable laminate and inflatable 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0677999B1 (ko) 압력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팽창성 기구
US10800132B2 (en) Cloth having gas sheet
US20100144470A1 (en) Sporting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70113148A (ko) 테이프-부재 솔기를 갖는 방수 통기성 의복
KR20190120307A (ko) 기능성 멤브레인을 갖는 층상 제품, 상기 층상 제품을 포함하는 신발류 및 제조 방법
WO2015139649A1 (zh) 充气装备及其制造方法
WO2013032180A2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CN101500445B (zh) 用于使鞋子、手套和衣服及其附件的半制成品防水的方法和装置、以及由该方法或装置获得的产品
KR102681326B1 (ko) 기능성 의류
WO2010076299A1 (en) Inflatable multilayer textile structure for realizing protective body garments
CN113598461B (zh) 一种服装加工用充绒工艺
KR20230088546A (ko) 공기 주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TWI592531B (zh) 透氣複合纖維織物
EP3482926B1 (en) Composite cloth
KR101854025B1 (ko) 미용 장갑
US12005688B2 (en) Composite cloth
KR102444644B1 (ko) 밀폐용 evoh층을 갖는 에어깔창 제조방법 및 에어깔창
KR101867926B1 (ko) 장화 일체형 방수복
US20080233321A1 (en) Inflatable structure
KR102384858B1 (ko) 공기 주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CN218635348U (zh) 一种热胀冷缩复合式通道布及羽绒服
IT202100031829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son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