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0361B1 -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용 보조 서포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용 보조 서포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0361B1
KR102680361B1 KR1020207016287A KR20207016287A KR102680361B1 KR 102680361 B1 KR102680361 B1 KR 102680361B1 KR 1020207016287 A KR1020207016287 A KR 1020207016287A KR 20207016287 A KR20207016287 A KR 20207016287A KR 102680361 B1 KR102680361 B1 KR 10268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ssembly
support
auxiliary
supporting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231A (ko
Inventor
뤼디거 횔데를레
Original Assignee
페스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7130042.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7130042A1/d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스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9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0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 B23D47/02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of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23D45/04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with the saw blade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23D45/04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with the saw blade carried by a pivoted lever the pivoted lever being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25H1/0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ttachment of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Abstract

본 발명은 반고정 공작 기계 (20), 특히 기계 톱의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용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에 관한 것으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는 공작 기계 (20) 의 공구 (24) 에 의해 가공, 특히 톱질 (SX) 을 위해 가공물 (W1, W2) 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 중 실질적으로 수평인 베이스 서포팅 면 (53) 을 가지고,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보조 서포팅 면 (81) 및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 (61) 을 구비한 서포트 보디 (70) 를 가지고, 보조 서포트 조립체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장착될 때, 보조 서포팅 면 (81) 은 베이스 서포팅 면 (53) 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베이스 서포팅 면 (53) 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서포트 보디 (70) 상에 슬라이딩 베어링 (85A) 및/또는 피봇팅 베어링 (85B) 을 포함하는 서포팅 보디 베어링 (85) 에 의해 장착되는 서포트 보디 (80) 를 포함하고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 (66) 에 의해 상대 위치들에서 서포트 보디 (70) 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서포팅 보디 (80) 는 보조 서포팅 면 (81) 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스톱 보디 고정 수단 (99) 에 의해 서포팅 보디 (80) 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횡방향 스톱 보디 (90) 를 위한 마운팅 베이스를 형성하고 보조 서포팅 면 (81) 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특히 보조 서포팅 면에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 (93, 94) 을 갖는다.

Description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용 보조 서포트 조립체
본 발명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용 보조 서포트 조립체 또는 반고정 공작 기계 (machine tool), 특히 기계 톱의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구성요소에 관한 것으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가공물 서포트 보디는 공작 기계의 공구에 의해 기계가공, 특히 톱질을 위해 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 중 실질적으로 수평인 베이스 서포팅 면을 가지고,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보조 서포팅 면 및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분리가능한 장착을 위한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을 구비한 서포트 보디를 가지고, 보조 서포트 조립체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장착될 때, 보조 서포팅 면은 베이스 서포팅 면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출원인은 이런 유형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어댑터 판, 즉 크로스-컷 마이터 톱 (cross-cut mitre saw) 의 베이스 보디 또는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는 서포트 보디를 갖는다. 보조 서포팅 면으로, 서포트 보디는 예를 들어 마이터 톱의 톱 테이블에 의해 제공된 가공물을 위한 베이스 서포팅 면을 확대한다. 가공물이 보조 서포팅 면 뿐만 아니라 횡방향 스톱 보디의 횡방향 스톱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또한 조절가능한 횡방향 스톱 보디를 갖는다. 따라서, 가공물은 한편으로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들의 횡방향 스톱면과 다른 한편으로는 톱 유닛 또는 공작 기계의 구동부에 더 가까운 수직 돌출 스톱면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지지될 수 있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공간들, 예를 들어 방의 측벽과 천장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프로파일 부분들의 가공에 특히 적합하다.
하지만, 공지된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일부 용도를 위해 충분히 유연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보조 서포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에 관하여,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서포팅 보디를 가지고 상기 서포팅 보디는, 슬라이딩 베어링 및/또는 피봇팅 베어링을 가지는 서포팅 보디 베어링에 의해 베이스 서포팅 면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서포트 보디상에 장착되고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에 의해 서포트 보디 상의 상대 위치들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서포팅 보디는 상기 보조 서포팅 면을 가지고 그리고/또는 스톱 보디 장착 수단에 의해 상기 서포팅 보디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횡방향 스톱 보디를 위한 마운팅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 서포팅 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특히 상기 보조 서포팅 면에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형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는 공작 기계에서 분리가능한 장착을 위해 공작 기계의 공구의 작업 방향에 특히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조립체를 형성한다면 유리하다. 예를 들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는 공작 기계의 베이스 프레임 옆에 또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측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어서 공작 기계의 가공물 서포트 면을 연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뿐만 아니라 보조 서포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작 기계, 예를 들어 기계 톱, 특히 크로스-컷 마이터 기계 톱에 관한 것이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는 공작 기계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예컨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는 베이스 프레임에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또한 공작 기계에 부착가능하고 그리고/또는 공작 기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한 보조 조립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포팅 보디는 서포트 보디에 대해 피봇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것은 보조 서포팅 면이 이후 베이스 서포팅 면에 대해 유리하게 위치결정되는 최적의 위치로 서포팅 보디를 이동시킬 수 있게 허용한다. 따라서,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심지어 횡방향 스톱면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 없이 베이스 서포팅 면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여서, 예를 들어, 판형 및 스트립형 가공물들에 대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횡방향 스톱면이 추가된다면, 예를 들어, 전술한 커버 스트립들이 또한 용이하게 기계가공될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는 서포트 보디의 조절기능으로 인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두 서포팅 면 사이에 개재 공간이 있도록 보조 서포팅 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위치에서 베이스 서포팅 면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가공물은, 예를 들어, 이 개재 공간을 브릿지 연결할 수 있어서, 서포팅 면에서 "간극" 은 중요하지 않다.
보조 서포팅 면 및 베이스 서포팅 면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호 정렬된다. 보조 서포팅 면은 베이스 서포팅 면의 레벨, 예를 들어 수평 레벨 약간 아래 또는 위에 있고, 예컨대 약간 언더-마운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서포팅 면에 놓여있는 가공물은 또한 보조 서포팅 면에 평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놓일 수 있다. 보조 서포팅 면과 베이스 서포팅 면은 바람직하게 평평하거나 반반한 표면들이다. 이와 관련하여, 리브들 또는 리빙 (ribbing) 이 보조 서포팅 면 및/또는 베이스 서포팅 면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보조 서포팅 면 및 베이스 서포팅 면의 서포트 면들 또는 서포트 윤곽부들은 하나의 평면에 놓여있다.
횡방향 스톱면은 서포팅 보디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횡방향 스톱면을 제공하는 융기된 섹션을 갖는다. 보조 서포팅 면 및 이후 보조 서포팅 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예를 들어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을 갖는 서포팅 보디가 제공될 수도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는 서포팅 보디에 분리할 수 없게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절한 베어링에 의해 이동가능할 수 있지만, 또한 서포팅 보디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가 스톱 보디 고정 수단을 사용해 하나 이상의, 예를 들어 적어도 2 개의 위치에서 서포팅 보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스톱 보디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클램핑 디바이스 및/또는 나사고정 디바이스 및/또는 로킹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 보디를 서포트 보디에 나사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닝 나사 또는 클램핑 나사가 유리하다. 하지만, 스톱 보디 고정 수단은 또한 상호 확동 맞물림을 위해 서포트 보디 및 횡방향 스톱 보디에 확동 로킹 윤곽부들을 포함하거나 가질 수 있다.
서포트 보디 그 자체 및/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는 여러 개, 특히 적어도 2 개의 횡방향 스톱면들,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그리고/또는 이격되어 있는 횡방향 스톱면들을 가질 수도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는 유리하게도 횡방향 스톱 베어링에 의해 서포팅 보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여기서 횡방향 스톱 베어링은 피봇팅 베어링 및/또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한다. 조합된 피봇팅 및 슬라이딩 베어링이 또한 쉽게 가능하다. 또한, 횡방향 스톱 보디는 횡방향 스톱 장착 수단을 사용해 서포팅 보디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횡방향 스톱 보디는 서포팅 보디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횡방향 스톱 보디 장착 수단, 예를 들어 클램핑 수단, 로킹 수단, 나사고정 수단 등으로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서포팅 보디에 대한 횡방향 스톱 보디의 이동성은 가공물을 위한 베이스 서포팅 면에 대한 횡방향 스톱면의 복수의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횡방향 스톱 베어링은 유리하게도 서포팅 보디에 배열된 제 1 가이드 구성요소, 및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에 배열된 제 2 가이드 구성요소를 가지고, 이 중 하나는 다른 가이드 구성요소의 가이드 돌출부가 맞물리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착좌부이다. 가이드 착좌부는, 예를 들어, 가이드 슬롯, 가이드 링크, 가이드 윤곽부 등으로 구성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이드 착좌부는, 예를 들어, 종방향 홀더 또는 세장형 가이드 착좌부일 수 있지만, 곡선형 형상을 또한 가질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성요소는 유리하게도 클램핑 보디 또는 클램프 보디, 예를 들어 클램핑 볼트, 스톱 보디 고정 수단을 형성하거나 포함하고, 여기서 횡방향 스톱 보디는 클램핑 보디에 의해 서포트 보디에 클램핑될 수 있다. 클램핑 보디는, 횡방향 스톱 보디가 서포팅 보디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해제 위치와 횡방향 스톱 보디가 서포팅 보디에 고정되는, 예를 들어 나사고정된, 고정 또는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스톱 보디 고정 수단은 횡방향 스톱 보디 또는 서포팅 보디에서 가이드 착좌부에 맞물리거나 관통하고 횡방향 스톱 보디를 서포팅 보디에 클램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보디, 예를 들어 클램핑 볼트, 클램프 볼트 등을 포함하는 대안적 형태가 제공한다.
가이드 착좌부는 유리하게도 종방향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또는 직선형이다. 가이드 돌출부는 유리하게도 가이드 착좌부에서 슬라이딩 축선 또는 종방향 축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 돌출부는, 예를 들어, 전술한 클램핑 보디일 수 있고 또는 클램핑 보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는 가이드 착좌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것은, 가이드 착좌부가 종방향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또는 직선으로 뻗을지라도, 피봇팅 베어링 리셉터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 돌출부, 예를 들어 나사 볼트 등이 종방향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슬롯 또는 가이드 홈을 통과한다.
가이드 착좌부는 횡방향 스톱 보디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에 횡방향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는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여러 개의 횡방향 스톱면들, 예를 들어 적어도 2 개의 횡방향 스톱면들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착좌부를 따라 횡방향 스톱 보디를 조절함으로써, 횡방향 스톱면을, 예컨대, 가이드 착좌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또는 가이드 착좌부의 종방향 축선에 횡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착좌부는 유리하게도 횡방향 스톱 보디의 대향한 횡방향 스톱면들 사이에 연장된다. 횡방향 스톱면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고, 가이드 착좌부는 횡방향 스톱면들에 수직이다. 이런 조치에 의해 서포팅 보디에 대해 가이드 착좌부의 슬라이딩 축선을 따라 횡방향 스톱면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가이드 착좌부가 횡방향 스톱 보디를 구비한 횡방향 스톱면들의 1 개, 바람직하게 2 개의 대향 측면들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제공한다. 이런 가이드 착좌부는 또한 전술한 평행한 횡방향 스톱면들을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스톱면들 사이에 뻗어있다.
가이드 착좌부는 횡방향 스톱 보디에서 중앙에 또는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비대칭 배열이 또한 유리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 착좌부는 횡방향 스톱면들에 평행하게 뻗을 수 있지만, 다른 횡방향 스톱면보다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에 대해 더 작은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서포팅 보디 상의 횡방향 스톱 보디 및 서포트 보디 상의 서포팅 보디의 베어링이 서로 상이한 2 개 이상의 운동 자유도를 제공한다면 유리하다. 횡방향 스톱 베어링 및 서포팅 보디 베어링이, 예를 들어, 슬라이딩 베어링들이고 이 베어링들의 변위 축선들 또는 슬라이딩 축선은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예를 들어 직각을 이룬다면 특히 유리하다.
실시형태는, 상기 서포팅 보디 및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가 서포트 보디에 대해 복합 슬라이드 레스트 (compound slide rest) 방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또는 원형으로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가이드 착좌부가 횡방향 스톱 보디의 대향 측면들에 제공된 횡방향 스톱면들 사이에 연장되고, 여기서 가이드 착좌부는 다른 횡방향 스톱면보다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으로부터 더 이격되도록 제공한다. 가이드 돌출부가 가이드 착좌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다면, 횡방향 스톱 보디는, 예를 들어, 180° 만큼 회전될 수 있어서 횡방향 스톱면은 다른 회전 위치에서보다 하나의 회전 위치에서 가이드 돌출부 앞에 더 전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신축자재식 액슬에 대한 서포팅 보디에 의한 서포트 보디에 대한 횡방향 스톱 보디의 신축자재식 장착은 유리한 실시형태이다. 따라서, 횡방향 스톱 보디 및 서포팅 보디는 이러한 신축자재의 신축자재 부분들이다.
횡방향 스톱 보디가 횡방향 스톱 보디에 의해 서포팅 보디에 대해 변위가능하고 피봇팅 베어링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여기서 이 베어링들은 별개의 베어링들일 수 있고 또는 조합된 피봇팅-슬라이딩 베어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다. 상이한, 특히 상호간에 각도를 이루는, 횡방향 스톱면들은 피봇팅 베어링에 의해 공구에 대해 위치결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유리하게도 전술한 신축자재의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 및 스톱 보디 고정 수단은 공통의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은 스톱 보디 고정 수단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보디 및/또는 스톱 보디 고정 수단의 하나의 가동 요소, 특히 클램프 보디는 유리하게도 서포트 보디에 대해 서포팅 보디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리테이닝 보디의 액슬 요소 또는 액슬 빔은 서포팅 보디를 관통한다. 가동 요소 또는 가동 핸들은 액슬 빔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팅 보디가 서포트 보디와 횡방향 스톱 보디 사이에 샌드위치와 같은 방식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횡방향 스톱 보디가 서포트 보디에 대해 고정된다면, 그것은 동시에 서포팅 보디를 서포트 보디에 클램핑한다.
횡방향 스톱 보디의 폭은 유리하게도 서포팅 보디의 폭보다 작다.
횡방향 스톱 보디의 길이는 또한 유리하게도 서포팅 보디의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횡방향 스톱 보디는 서포팅 보디 앞에 돌출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점에서, 횡방향 스톱 보디가 또한 서포팅 보디와 동일한 원주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팅 보디의 보조 서포팅 면은, 서포트 보디 앞에서 기본 서포팅 면 및 보조 서포팅 면에 의해 형성된 전체 서포팅 면의 확대라는 의미에서, 적어도 일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대향 측면들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해 있도록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서포트 보디는, 말하자면, 서포팅 보디를 위한 기반을 형성하는데, 이는 그 후 서포트 보디 앞에서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하여 특히 큰 베이스 서포팅 면을 제공한다.
또한, 이 점에서, 횡방향 스톱 보디는 또한 서포트 보디 앞에, 예를 들어 서포팅 보디에 대한 횡방향 스톱 보디의 하나 이상의 상대 위치들에서 돌출할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된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가 배열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운반 위치 또는 사용 위치에서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에 의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장착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서포팅 보디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보디의 서포트 섹션은 운반 위치에서보다 사용 위치에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앞에 더 돌출해 있다. 이것은, 보조 서포트 조립체가 운반 위치에서 방해하지 않고, 또는 어떠한 경우에도 방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은 유리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구성요소, 예를 들어 가이드 슬롯 및/또는 운반 베어링의 베어링 착좌부를 가지고, 이것에 의해 서포트 보디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대해 운반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운반 베어링은, 예를 들어, 슬라이딩 베어링 및/또는 피봇팅 베어링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운반 위치 또는 사용 위치에 도달하도록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특히 가공물 서포트 보디에 대해 피봇되고 그리고/또는 변위될 수 있다. 이 점에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서포트 보디의 분리가능한 장착은 또한 적어도 2 개의 조립 위치들, 즉 운반 위치에 할당된 하나의 조립 위치와 사용 위치에 할당된 하나의 조립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언급되어야 한다. 이것은 운반 베어링이 반드시 제공될 필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횡방향 스톱 베어링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대로, 베어링, 예를 들어 운반 베어링의 베어링 구성요소들은 클램핑 기능, 리테이닝 기능 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베어링은 마운팅 볼트 또는 클램핑 보디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 착좌부 또는 가이드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마운팅 볼트 또는 마운팅 보디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예컨대 나사고정, 클램핑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나사는 동시에 운반 베어링의 가이드 착좌부에 맞물리는 캠 종동부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운반 베어링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그것에 나사고정되는 피봇팅 베어링 보디에 의해 관통되는 보어 또는 다른 피봇팅 베어링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 보디는 유리하게도 가공물 서포트 보디에서 운반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따라서, 보조 서포트 조립체,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 보디, 서포팅 보디 등은, 가공물 서포트 보디에 대해 구성요소 또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구성요소를 고정하도록 홀더 또는 리테이닝 구성요소를 부가적으로 형성한다. 이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 보디에 의해 가공물 서포트 보디에 놓이는 위치에 고정되거나 고정가능한, 가공물 서포트 보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특히 신축자재식 지지부, 피봇팅 지지부, 서포트 풋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가공물 서포트 보디를 향해 피봇될 수 있고, 이 위치에서 그 후 보조 서포트 조립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서포팅 보디 베어링은 유리하게도 서포팅 보디의 슬라이딩 축선에 평행하게 뻗어있고 슬라이딩 축선에 횡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가이드 착좌부들, 예를 들어 가이드 홈들, 도브테일 홈들 등을 가지고, 여기에 가이드 돌출부들이 슬라이딩 축선에 평행하게 가이드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포팅 보디에 두 가이드 착좌부들을 가질 수 있고 횡방향 스톱 보디에 두 가이드 돌출부들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가이드 착좌부들이 서포팅 보디에 위치하고 가이드 돌출부들이 서포트 보디에 위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더욱이, 서포팅 보디가 단 하나의 가이드 착좌부와 단 하나의 가이드 돌출부만 가지고, 이들은 서포트 보디의 가이드 돌출부 또는 가이드 착좌부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착좌부 및 가이드 돌출부 쌍들은 유리하게도 대향한 종방향 측면 영역들, 특히 서포트 보디의 더 긴 측면 영역들 및/또는 가장자리 영역들에 배열된다. 따라서, 서포트 보디는 서포팅 보디를 지지하거나 가능한 한 멀리 가이드한다.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은 유리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보디를 가지고, 이는 가이드 착좌부들 중 하나로 클램핑될 수 있다. 클램프 보디는, 예를 들어, 캠 종동부 또는 가이드 돌출부로서 가이드 착좌부에 배열된다.
또한,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은 상기 가이드 착좌부들 중 하나와 후방 맞물림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맞물림 윤곽부, 예를 들어 후크 윤곽부 등을 가져서, 상기 서포팅 보디가 상기 슬라이딩 축선에 횡방향으로 모든 측면들에서 상기 가이드 착좌부에 유지된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서포팅 보디는 가이드 착좌부 또는 선형 축선을 따라 움직일 수 있지만, 더 이상 가이드 착좌부로부터 직각으로 제거될 수 없다.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은 유리하게도 클램프 보디 및/또는 각각의 가이드 착좌부들을 위한 후방 맞물림 윤곽부를 갖는다.
이 점에서, 클램프 보디는 일체형 후방 맞물림 윤곽부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클램프 보디는 양 가이드 착좌부들에 맞물리는 유일한 클램프 보디일 수 있고, 더욱이 클램프 보디는 후방 맞물림 윤곽부로서 양 가이드 착좌부들에 맞물릴 수 있다.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은 유리하게도 서로 이격되게 그리고/또는 벌어지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착좌부는, 후방에서부터 후방 맞물림 보디 또는 후방 맞물림 윤곽부에 의해 맞물리는, 후방 맞물림 윤곽부로서 홈 또는 슬롯으로 돌출한 섹션을 가질 수도 있다.
가이드 착좌부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출부 또는 여러 가이드 돌출부들이 서포팅 보디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출부들은 가이드 착좌부의 종방향 축선 또는 슬라이딩 축선에 대해 거리를 갖는다. 서포트 보디의 대향 측면들 상의 가이드 돌출부들이 바람직하다.
서포트 보디 및/또는 가공물 서포트 보디는 유리하게도 프로파일 보디 또는 압출 프로파일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보디 또는 압출 프로파일로서 설계될 때, 다음 조치가 유리하게도 실행될 수 있다:
서포트 보디 및/또는 가공물 서포트 보디는 유리하게도 리테이닝 윤곽부를 구비한 가이드 착좌부, 예컨대 후방 맞물림 윤곽부에 의한 후방 맞물림을 위한 돌출 섹션 및/또는 슬라이딩 블록을 갖는다. 따라서, 가이드 착좌부는 또한 리테이닝 리셉터클이다. 가이드 착좌부는 동시에 클램핑 리셉터클을 형성할 수 있고 이 리셉터클로 클램프 보디가 클램핑될 수 있다.
서포팅 보디, 서포트 보디 및 횡방향 스톱 보디는 예를 들어 판형일 수 있다. 서포팅 보디 및 횡방향 스톱 보디는 유리하게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한편, 서포트 보디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유리하게도,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종방향 측면, 예를 들어 종방향 협측면 또는 장측면에 조립하기 위해 제공 및/또는 설계된다. 종방향 협측면은 예를 들어 가공물 서포트 보디에 제공된다. 종방향 측면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뻗어있고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횡방향 측면, 예를 들어 종방향 단부 측보다 길다.
서포트 보디 및/또는 서포팅 보디 및/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는, 유리하게도, 서포팅 보디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를 통하여 가공물로 나사고정될 수 있는, 나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과 개구를 갖는다. 나사를 위한 개구 출구는, 예를 들어, 서포트 보디의 보조 서포팅 면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의 횡방향 스톱면에 제공된다. 개구는, 예를 들어, 각각의 서포트 면 또는 스톱 면으로부터 서포트 면 또는 스톱 면에 대향한 서포트 보디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 측까지 연장된다. 선택적 실시형태는 서포팅 보디가 나사들을 위한 적어도 2 개의 개구들을 가지도록 제공하고, 여기서 서포팅 보디 베어링은 유리하게도 이 개구들 사이에 위치된다.
서포트 보디 및/또는 서포팅 보디 및/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는 유리하게도 가공물로 나사고정되는 리테이닝 보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리셉터클 또는 가공물을 위한, 특히 나사 헤드를 위한 지지부를 갖는다.
서포팅 보디 및/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는 바람직하게 서포트 보디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성요소들이다.
스톱 보디 고정 수단 및/또는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은 유리하게도 클램핑 디바이스, 로킹 디바이스, 나사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수단이 분리된다면, 서포팅 보디 및/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는 서포트 보디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보디는, 예를 들어, 전술한 리테이닝 리셉터클 및/또는 개구가 적합한,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 보디 및/또는 서포팅 보디에 연결되고, 특히 나사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서포트 보디는 예를 들어 소위 스포일 보드 또는 다른 목재 요소이고, 이는 필요하다면 또한 톱질될 수 있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또한 유리하게도 공작 기계의 외주 윤곽부, 예를 들어 측면 윤곽부 또는 전방 윤곽부에 맞추어진 원주 윤곽부를 가지는, 횡방향 스톱 보디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를 제조하기 위한 템플릿을 가질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의 외주 윤곽부는, 예를 들어, 리세스, 곡선부 등을 가져서, 횡방향 스톱 보디는 공작 기계의 전방 측 앞으로 돌출하지 않거나 단지 약간만 돌출한다.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 보디는 공작 기계의 톱 테이블 또는 기계가공 테이블의 원주 윤곽부에 맞추어진다. 횡방향 스톱 보디는 특히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횡방향 스톱 보디는 하나 이상의 횡방향 스톱면들을 가지고, 이들은 사용 위치에서 베이스 서포팅 면 및/또는 보조 서포팅 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특히 직각을 이룬다. 공작 기계 및 횡방향 스톱면에 맞추어진 원주 윤곽부가 횡방향 스톱 보디의 대향 측면들, 특히 종방향 측면들에 맞추어진다면 유리하다.
횡방향 스톱 보디는, 예를 들어 보조 서포트 조립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추가 보조 서포트 조립체에 보조 서포트 조립체를 연결하기 위해, 맞추어진 원주 윤곽부의 형상부와 함께 또는 또한 맞추어진 원주 윤곽부 없이, 예를 들어 직선, 비원호형 원주 윤곽부 등을 가지고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횡방향 스톱 보디는, 예를 들어, 하나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로부터 다른 보조 서포트 조립체까지 연장된다.
공작 기계 및/또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는 유리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 또는 횡방향 스톱 면을 갖는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은 유리하게도 공작 기계 또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횡방향 스톱면에 대향한 위치로 조절가능할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 및/또는 서포팅 보디가 서포트 보디로부터 제거가능한 2 개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들이 제공된 구성이 바람직하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 예를 들어 목재 스트립 또는 다른 세장형 목재 요소는 횡방향 스톱 보디 및/또는 서포트 보디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나사고정, 후킹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세장형 서포트 보디, 예를 들어 전술한 목재 스트립은, 말하자면, 2 개의 서포팅 보디들 및/또는 2 개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들의 2 개의 횡방향 스톱 보디들 사이에 연결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서포팅 보디들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들은 서포트 보디에 연결될 때 서포트 보디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서포트 보디에 다시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밑면은 유리하게도 서포트 보디의 장착에 사용된다. 물론,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전체 밑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거나 평평한 표면일 수 있다. 하지만, 또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는 예를 들어 단차형이거나 임의의 경우에 전체적으로 밑면이 평평하지 않고, 그것의 가장자리는 서포트 보디의 장착을 위해 제공된 밑면인 것도 가능하다.
서포트 보디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장착되고, 예를 들어 나사고정되거나 클램핑될 때, 서포트 보디의 장착을 위해 제공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밑면과 같은 높이이고 그리고/또는 이 밑면에 대해 평평하게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놓인 서포팅 보디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면을 서포트 보디가 갖는다면 유리하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밑면 및 서포팅 보디를 위한 서포트 보디의 서포팅 면은 유리하게도 공통 평면에 놓여있다.
예를 들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에 장착될 때, 서포트 보디가 트레이 또는 측방향으로 돌출한 지지부의 방식으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앞에 돌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서포팅 보디를 위한 서포트 보디의 서포트 면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밑면과 정렬되거나 하나의 평면에 놓이지만, 또한 서포트 보디의 서포팅 면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밑면의 평면 위 또는 아래에 놓이는 것이 가능하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및 서포팅 보디는 편의상 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 상부측과 그것에 대향한 하부측 사이에서 동일한 거리 및/또는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적어도 여기에서 서포팅 보디는 조립된 상태에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옆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가장자리 영역은 서포팅 보디와 동일한 높이이다.
유리하게도, 보조 서포팅 면과 서포팅 보디의 밑면 사이 거리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베이스 서포팅 면과 서포트 보디의 장착을 위해 제공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밑면, 예를 들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가장자리 영역 사이 거리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면을 기반으로 후술된다.
도 1 은 프레임에 배열된 부착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및 보조 서포트 조립체를 구비한 반고정 공작 기계의 경사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확대도로 도 1 의 세부 (D1) 를 도시한다.
도 3 은 프레임이 없는 도 1 에 나타낸 배열체 (arrangement) 를 도시한다.
도 3b 는 도 3 에 나타낸 배열체와 함께 사용되거나 사용가능한 횡방향 스톱 보디를 도시한다.
도 3c 는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횡방향 스톱 보디의 제조를 위한 템플릿을 도시한다.
도 4 는 단 하나의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만 구비한 도 1 에 나타낸 배열체를 도시한다.
도 5 는 도 4 의 세부 (D2) 를 도시한다.
도 6 은 보조 서포트 조립체를 구비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경사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 은 대략 도 6 의 단면 선 A-A 를 따라,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열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가공물이 보조 서포트 조립체에 평평하게 배치된, 도 3 과 유사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9 는 대략 도 6 의 단면 (D3) 에 대응하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본원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그로부터 다음이 도시된다.
도 11 은 도 10 의 단면 선 B-B 를 따라서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 는 도 10 의 단면 선 C-C 를 따라서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 은 운반 위치로 변위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뿐만 아니라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의 하부도를 도시한다.
도 14 는 대략 도 9 의 단면에 대응하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및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하부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반고정 공작 기계 (20) 는 기계 톱으로 설계된다. 공작 기계 (20) 는 기계 베이스 (22) 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톱 유닛 (21) 을 갖는다. 톱 유닛 (21) 은 기계 베이스 (22) 에 대해 하나 이상의 피봇 축선들 중심으로, 예를 들어 피봇 축선들 (S1 및/또는 S2 및/또는 S3)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톱 유닛 (21) 은 구동 모터 (23), 특히 전기 구동 모터를 가지고, 상기 모터로 공구 홀더 및 따라서 공구 (24), 예를 들어 톱날이 구동될 수 있다.
공구 (24), 바람직하게 톱 유닛 (21) 은 바람직하게 선형 축선 (L) 을 따라 변위가능한 기계 베이스 (22) 에 대해 장착되어서, 기계 톱 또는 공작 기계 (20) 는 풀 톱 (pull saw) 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방향 가이드들 (26) 은, 선형 축선 (L) 을 따라 변위될 수 있도록 톱 유닛 (21) 이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세장형 서포트 보디들, 파이프들 등에서, 톱 유닛 (21) 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공구 (24), 즉, 톱날은 피봇 축선 (S1) 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이는 따라서 가공물 서포트 면 (31) 에 놓인 가공물 (W1 또는 W2) 을 관통하여 절삭하도록, 기계 베이스 (22) 에 제공된 기계가공 테이블 (30) 의 가공물 서포트 면 (31) 의 방향으로 깊이 조절 축선 (S1) 을 형성한다.
더욱이, 톱 유닛 (21) 은 경사 베어링 (27) 에 의해 피봇 축선 (S2) 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이는 이 경우에 경사 축선 (S2) 을 형성한다. 틸트 축선 (S2) 과 선형 축선 (L) 은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예를 들어, 틸트 베어링 (27) 은 기계 베이스 (22) 상에, 특히 그 앞에 돌출한 타워 또는 빔 상에 배열된다. 기계가공 테이블 (30) 은, 예를 들어, 베이스 (예를 들어 도 3 참조) 상에 또는 프레임 (40; 도 1)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기계 베이스 (22) 의 베이스 지지부 (28) 상에 마이터 축선 (S3) 을 형성하는 피봇 축선 (S3) 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마이터 축선 (S3), 틸트 축선 (S2), 및 깊이 조절 축선 (S1) 은 서로 직각으로 뻗어있다. 톱 유닛 (21) 을 깊이 조절 축선 (S2) 을 중심으로 피봇함으로써, 소위 촙 절삭 (chop cut) 이 가공물 (W1, W2) 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서, 기계 톱 (20) 은 마이터 톱으로도 불릴 수 있다. 선형 축선 (L) 을 따라 톱 유닛 (21) 의 부가적 조절기능 때문에, 그것은 또한 풀 톱이다. 따라서, 조합된 풀 및 마이터 기계 톱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공작 기계 (20) 가 사용될 때, 마이터 축선 (S3) 은 수직이거나 본질적으로 수직이고, 깊이 조절 축선 (S1) 및 틸트 축선 (S2) 은 수평 또는 본질적으로 수평 축선이다.
휠들 (42) 은 프레임 (40) 의 프레임 베이스 (41) 에 배열되어서, 그것은 베이스 상에서 롤링될 수 있다. 지지부들 (43) 뿐만 아니라 정지 돌기 (44) 는 지면에 주차하기 위한 프레임 베이스 (41) 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서포트 프레임 (45) 은 또한 베어링 (47) 에 의해 정지 돌기 (44) 상에 지지된다. 베어링 (47) 은 정지 돌기 (44) 상에 서포트 프레임 (45) 의 고정 지지와 또한 분리가능한 장착을 제공할 수 있다. 정지 돌기 (44) 및 지지부들 (43) 은 서로 대략 직각을 이룬다. 프레임 (40) 은 베이스 상의 정지 돌기 (44) 뿐만 아니라 휠들 (42) 상에 정지될 수 있다. 장착 수단 (46) 은 공작 기계 (20) 를 장착하기 위해 지지부들 (43) 및 서포트 프레임 (45) 의 자유 단부 영역들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나사들, 클램프들 또는 기타 유사한 마운팅들일 수 있는 장착 수단 (46) 은 기계 베이스 (22), 특히 베이스 지지부 (28) 의 측방향 지지부들 (29) 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프레임 (40) 에 배치된 공작 기계 (20) 는 편안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가공물 서포트 면 (31) 은 대략 조작자의 힙 높이에 있다.
측면 서포트 면들 (32) 은 측면 지지부들 (29) 상에 제공되고, 측면 지지부들은 주 가공물 서포트 면을 형성하는 기계가공 테이블 (30) 의 가공물 서포트 면 (31) 과 정렬되거나, 최대 약간의 높이 오프셋을 갖는다. 따라서, 가공물들 (W1, W2) 은 가공물 서포트 면 (31) 상에 그리고 동시에 측면 서포트 면들 (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가공 테이블 (30) 은 4 개의 측면 지지부들 (29) 사이에서 대략 중심에 배열된다.
기계가공 테이블 (30) 은 베이스 지지부 (28) 에 대해 마이터 축선 (S3) 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기계가공 테이블 (30) 앞쪽에 돌출한 작동 아암 또는 작동 돌기 (33) 는 가공물 (30) 을 취급하기 위해, 특히 피봇하기 위해 제공된다. 작동 돌기 (33) 는 전체로서 기계가공 테이블 (30) 과 따라서 기계가공 테이블 (30) 상에 배열된 톱 유닛 (21) 을 마이터 축선 (S2) 을 중심으로 피봇시키도록 조작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설정된 마이터 위치는 리테이닝 디바이스 (34), 예를 들어 클램핑 디바이스 및/또는 로킹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작동 돌기 (33) 상에서 리테이닝 디바이스 (34) 의 단 하나의 가동 요소만 도면에서 도면부호 34 로 표시된다.
결과적으로, 공작 기계 (20) 는 가공물들 (W1, W2) 또는 다른 미지정 가공물들을 기계가공, 특히 톱질하기 위해서 가공물 서포트 면 (31) 에 대한 공구 (24) 또는 톱날의 각각의 위치의 매우 유연한 조절을 허용한다.
이 점에서, 공작 기계 (20) 의 조절기능은 물론 기타 기계가공 방법들, 예를 들어 밀링, 드릴링 등에 또한 적합한 예로서 단지 언급되어야 한다. 어떤 경우에도, 공작 기계 (20) 는 시공 현장으로 가져가서 거기에서 현장에 설치될 수 있는 반고정 공작 기계이고, 즉 공작 기계는 프레임 (40) 을 사용해 지면에 직접 또는 인체공학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두 작동 모드에서, 즉 프레임 (40) 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모드에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 예를 들어 도 1 에 따른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A, 50B) 또는 두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A 또는 50B) 중 단 하나만 (도 7) 가공물들 (W1, W2) 을 기계가공하기 위해 유리하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A, 50B) 은 선형 축선 (L) 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선 (Q) 에 대해 기계가공 테이블 (30) 의 가공물 서포트 면 (31) 을 연장한다. 종방향 축선 (Q) 은 또한 구동 모터 (23) 에 의해 구동된 공구 (24) 또는 공구 홀더의 회전 축선에 평행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공물이 선형 축선 (L) 을 따라 이동되고/이동되거나 가공물 (W1 또는 W2) 에서 톱 절삭 (SX) 이 이루어진다면, 종방향 축선 (Q) 은 가공물 (W1, W2) 의 기계가공 중 공구 (24) 의 작업 방향에 가로질러 뻗어있다. 더욱이, 종방향 축선 (Q) 은 깊이 조절 축선 (S1) 에 평행하다.
종방향 축선 (Q) 에 대해 측면 서포트 면들 (32) 뿐만 아니라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의해 가공물 서포트 면 (31) 의 연장 또는 확대에 의해, 세장형 가공물들 (W1, W2) 은 가공물 서포트 면 (31) 뿐만 아니라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배치될 수 있고 공작 기계 (50) 및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 중 하나 또는 양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에 의해 편리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기계가공될 수 있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A, 50B) 각각은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를 가지고, 그 상부측에 베이스 서포팅 면 (53) 이 제공되어 가공물들 (W1, W2) 을 지지한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 이 공작 기계 (20), 특히 베이스 지지부 (28) 에 부착될 때 베이스 서포팅 면 (53) 은 기계가공 테이블 (30) 의 가공물 서포트 면 (31) 및 측면 서포트 면들 (32) 과 정렬된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는 또한 지지부들 (52) 을 가지고, 지지부들은 도 1 에 도시된 위치에서 전체적으로 기계 베이스 (22) 또는 공작 기계 (20) 로부터 멀리 떨어진 종방향 단부들 영역에서 가공물 서포트 보디들 (51) 을 지지한다. 지지부들 (52) 의 길이는 대략 지지부들 (43) 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지지부들 (52) 은 신축자재식일 수 있다. 지지부들 (52) 은 베어링들 (54), 특히 피봇팅 베어링들에서 가공물 서포트 보디들 (51) 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지지부들은 도 1 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부터 가공물 서포트 보디들 (51) 의 밑면 (55) 에 접하게 놓이는 운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들 (52) 은 예를 들어 각각의 베어링 (54) 의 피봇 축선 (SX) 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공작 기계 (20) 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은 공작 기계 (20) 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가공물 서포트 보디들 (51) 의 종방향 단부 영역들, 예를 들어 확동 로킹 윤곽부부들, 클램핑 수단 등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리테이닝 윤곽부부들 (56), 특히 서로 각도를 이루는 리테이닝 윤곽부부들 (56) 은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특히 그 밑면에 제공되고, 이는 기계 베이스 (22) 의 리테이닝 윤곽부부들 (37) 과 맞물릴 수 있다. 리테이닝 윤곽부부들 (56) 은 리테이닝 윤곽부부들 (37) 에 확동 상보적이다. 리테이닝 윤곽부부들 (56) 은 리테이닝 윤곽부부들 (37) 에 확동 상보적이다. 리테이닝 보디 (56A) 는, 예를 들어, 클램핑 나사 (57) 를 사용해 해제 위치와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해제 위치에서, 리테이닝 윤곽부부들 (37, 56) 은 맞물림해제될 수 있는 한편, 클램핑된 위치에서 리테이닝 윤곽부들은 함께 클램핑되어 서로 확동 맞물린다.
따라서, 임의의 경우에,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A, 50B) 은 공작 기계 (20), 특히 기계 베이스 (22) 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어서, 베이스 서포팅 면 (53) 은 가공물 서포트 면 (31) 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는 종방향 축선 (Q) 을 따라 연장되는 비교적 좁은 베이스 서포팅 면 (53) 을 가지고, 이는 깊이 방향 (T) 으로 종방향 축선 (Q) 에 단지 약간 가로질러 연장되고, 즉 종방향 축선 (Q) 을 따라 좁게 뻗어있다. 따라서, 가공물 (W1) 유형의 가공물이, 예를 들어, 베이스 서포팅 면 (53) 에 배치된다면, 그것은, 예를 들어, 공작 기계 (20) 의 수직 스톱 또는 횡방향 스톱 (35) 에 대하여 돌출할 것이고 횡방향 스톱 (35), 특히 그것의 횡방향 스톱면 (36) 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면에서, 즉 종방향 또는 선형 축선 (L) 에 대해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의 앞쪽에 돌출할 것이다. 따라서, 가공물 (W1) 은 기계가공 테이블 (30) 의 작동 돌기 (33) 영역에서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되지만, 가공물은 단지 기계가공 테이블 (30) 에 의해 지지된다. 공구 (24) 는 기계가공 테이블 (30) 및 작동 돌기 (33) 에 대향하여서, 가공물 (W1, W2) 에 대해 충분히 지지된다. 하지만, 선형 축선 (L) 에 대해 충분히 지지되지 않는다면,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대로 깊이 방향 (T) 으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들 (50A, 50B) 앞쪽에 돌출해 있다면 가공물 (W1, W2) 은 휘어질 수 있다.
이것은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의 다음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해결된다 (여러 보조 서포트 조립체들 (60) 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는 측방향으로 공작 기계 (20) 옆의 그리고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이외에 측방향으로 기계가공 테이블 (30) 옆의 가공물 (W1, W2) 을 지지한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는,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 (61) 에 의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5) 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서포트 보디 (70), 및 서포트 보디 (70) 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서포트 보디 (70) 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보조 서포팅 면 (81) 과 종방향 축선 (Q) 에 가로질러 그리고/또는 깊이 방향 (T) 으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베이스 서포팅 면 (53) 을 증가시키는 서포팅 보디 (80) 를 포함한다.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서포팅 보디 (80) 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의 구성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하고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포트 보디 (70) 는 운반 베어링 (75) 을 사용해 도 14 에 도시된 사용 위치 (G) 와 도 13 에 도시된 운반 위치 (TS)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서포팅 보디 (80) 는 서포팅 보디 베어링 (85) 에 의해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조절될 수 있어서, 서포팅 보디와 따라서 보조 서포팅 면 (81) 은 베이스 서포팅 면에 대해 상이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횡방향 스톱 (95) 에 의해 서포팅 보디 (80) 에 대해 조절될 수 있어서, 횡방향 스톱 보디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위치들과 횡방향 스톱 (95) 의 베어링 개념으로부터 기인한 다른 위치들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서포트 보디 (70) 는 프로파일 보디로서 구성된다. 서포트 보디 (70) 는 서포팅 보디 (80) 를 위한 서포트 면 (71) 을 갖는다. 서포트 보디 (70) 의 서포트 면 (71) 과 바닥면 (72) 은 서포트 보디 (70) 의 대향 측면들에 제공된다. 서포트 면 (71) 및 바닥면 (72) 은, 예를 들어, 서포트 보디 (70) 의 벽체 또는 벽 섹션 (76) 에 제공된다.
서포트 보디 (70) 의 가이드 섹션들 (73) 사이에 벽체 (76) 가 배열된다. 가이드 섹션들 (73) 각각은 서포팅 보디 베어링 (85) 의 가이드 착좌부 (77) 를 갖는다. 가이드 착좌부들 (77) 은 서포트 보디 (70) 의 종방향 단부 영역들 (74) 사이에, 유리하게도 그것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연장된다.
서포팅 보디 (80) 는 실질적으로 판형이다. 도 1 및 도 2 에서 서포팅 보디의 상부면 또는 상부측은 예를 들어 보조 서포팅 면 (81) 을 갖는다. 보조 서포팅 면 (81) 은 리브형 구조체 (81A) 를 가질 수 있어서, 가공물 (W1, W2) 은 서포팅 보디 (80) 에 평평하게 놓이지 않고, 선형 또는 점형으로 놓인다. 서포팅 면 (81) 에 대향하여 서포트 측면 (82) 이 있고, 이는 서포트 보디 (70) 의 서포팅 면 (71) 에서 지지하도록 의도된다.
보조 서포팅 면 (81) 의 평면도에서, 서포팅 보디 (80) 는 긴 협측면들 (83) 및 긴 협측면들 (83) 사이에 연장되는 짧은 협측면들 (84) 을 구비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윤곽부를 갖는다.
서포팅 보디 (80) 의 높이 (H8), 즉 보조 서포팅 면 (81) 과 서포트 측면 (82) 사이 거리 및/또는 서포트 보디 (70) 의 보조 서포팅 면 (81) 과 서포트 면 (71) 사이 거리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가 조립될 때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상의 보조 서포팅 면 (81) 이 베이스 서포팅 면 (53) 과 정렬되거나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도 6 및 도 7).
원칙적으로,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또한 서포트 측면 (91) 을 제공함으로써 가공물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서포트 측면 (91) 에 대향하여 서포트 측면 (92) 이 있는데, 이는 서포팅 보디 (80), 특히 그것의 보조 서포팅 면 (81) 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판형이다.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또한 긴 횡방향 스톱면들 (93) 과 더 짧은 횡방향 스톱면들 (94) 을 구비한 서포트 측면 (91) 의 평면도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횡방향 스톱면들 (93, 94) 은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협측면들에 제공된다.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횡방향 스톱 베어링 (95) 의 보조로 서포팅 보디 (80) 에 대해 여러 위치들에서 조절될 수 있어서, 횡방향 스톱면들 (93, 94) 은 가공물들 (W1, W2) 을 위한 횡방향 스톱면들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특히 서포트 보디 (70) 는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 (61) 에 의하여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서포트 보디 (70) 를 관통하는, 예를 들어 클램핑 보디들 또는 커넥터들 (62A, 62B) 유형의 나사들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상의 대응하는 나사 홀더들 (262; 도 13) 로 나사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지점들에서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를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분리가능하게 부착하고 예를 들어 커넥터들 (62A, 62B) 를 풀어줌으로써 보조 서포트 조립체를 다시 제거할 수 있다. 추가 나사 홀더들 (262) 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다른 지점들에 제공될 수 있어서,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는 다른 위치들에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부착될 수 있다.
클램프 보디들 또는 커넥터들 (62A, 62B) 은 각각 작동 핸들 (162), 예를 들어 회전식 노브 또는 작동 노브, 액슬 보디 (161) 를 갖는다.
하지만,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대한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의 조절기능을 위해 다음 개념이 제공되고, 여기에서 커넥터들 (62A, 62B) 은 커넥터들 (62A, 62B) 의 해제 위치에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운터-베어링 보디 (160) 를 갖는다. 액슬 빔 (161) 은 작동 핸들 (162) 을 사용해 카운터-베어링 보디 (160) 로 나사고정될 수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 (62A, 62B) 의 클램핑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각각의 작동 핸들 (162) 의 나사 가동에 의해, 작동 핸들 (162) 과 카운터-베어링 보디 (160) 사이 거리는 잼 (jam) 의 해제에 따라 증가되거나 잼의 발생에 따라 감소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카운터-베어링 보디 (160) 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종방향 홈들 (59A, 59B) 에 맞물린다. 종방향 홈들 (59A, 59B) 은 베이스 서포팅 면 (53) 에 대향한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측, 예컨대 밑면 (55) 에 제공된다. 종방향 홈들 (59A, 59B) 은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의 종방향 협측면 또는 종방향 측면 (58) 에 평행한 종방향 축선 (Q) 을 따라 뻗어있다. 종방향 홈들 (59A, 59B) 은 조절가능한 베어링 (65) 의 베어링 홈들을 형성하고, 이들에 의해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는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사용 위치들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고, 각각의 위치에서 보조 서포팅 면 (81) 은 가공물 (W) 을 지지하는 데 이용가능하다. 위치결정 베어링 (65) 은 전체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가 종방향 축선 (Q) 방향으로 또는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의 종방향 연장부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카운터-베어링 보디들 (160) 은 종방향 홈들 (59A, 59B) 에서 슬라이딩한다.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 (61) 은 또한 운반 위치 (TS) 와 사용 위치 (G) 사이에서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의 조절을 위해 운반 베어링 (75) 의 베어링 구성요소들 (75A, 75B) 을 포함한다. 커넥터들 또는 리테이닝 나사들 (62A, 62B), 특히 그것의 액슬 빔들 (161) 은, 예를 들어, 베어링 구성요소들 (75A) 을 형성한다.
커넥터 (62A) 는 베어링 착좌부 (64) 를 통과하고, 커넥터 (62B) 는 서포트 보디 (70) 의 가이드 링크 (63) 를 통과한다. 가이드 링크 (63) 및 베어링 착좌부 (64) 는 운반 베어링 (75) 의 베어링 구성요소들 (75B) 을 형성한다. 가이드 슬롯 (63) 은 베어링 착좌부 (64) 둘레에 원호형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서포트 보디 (70) 는 전체적으로 베어링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축선은 클램프 보디 (62A) 의 액슬 빔 (161) 에 의해 결정되거나 베어링 착좌부 (64) 를 수직으로 통과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베어링 착좌부 (64) 및 가이드 링크 (63) 는 원칙적으로 피봇팅 베어링의 구성요소임을 알 수 있다.
가이드 링크 (63) 가 도면에 도시된 대로 직선을 갖는다면, 선형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예로서, 도 14 는 클램핑 보디들 또는 커넥터들 (62A, 62B) 에 의해 관통될 수 있고 서포트 보디 (70) 에 배열될 수 있어서, 선형 축선 (LT) 을 중심으로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에 대한 서포트 보디 (70) 의 선형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링크들 (64B, 63B)을 도시한다.
두 시나리오에서, 즉 운반 베어링 (75) 이, 예를 들어, 가이드 링크 (63) 를 구비한 피봇팅 베어링으로서 또는, 예를 들어, 가이드 지지부들 또는 가이드 링크들 (63B, 64B) 을 구비한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구성된다면, 운반 위치 (TS) 와 사용 위치 (G) 사이에서 서포트 보디 (70) 와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 위치 (G) 에서, 서포팅 보디 (80) 가 지지될 수 있도록 서포트 면 (71) 의 서포트 섹션 (71A) 은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앞에 돌출한다. 하지만, 이와 관련하여, 서포팅 보디 (80) 는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단지 단일 위치에 고정되거나 배열되지 않고, 선형 축선 (LA) 을 따라 여러 위치에 고정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서포팅 보디 (60) 를 고정하기 위한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 (66) 뿐만 아니라 서포트 보디 (70) 및/또는 서포팅 보디 (80) 에 대해 횡방향 스톱 보디 (90) 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 보디 고정 수단 (99) 은 부분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리테이닝 보디 (67), 특히 리테이닝 나사는 두 고정 수단 (66, 99) 의 구성요소이다. 리테이닝 보디 (67) 는 액슬 빔 (67) 을 포함하고, 그것의 자유 단부 영역에 작동 핸들 (69), 예를 들어 작동 노브가 제공된다. 리테이닝 보디 (67) 는 작동 핸들 (69) 에서 회전될 수 있다.
리테이닝 보디 (67) 는 작동 핸들 (69) 에 대향한 단부 영역에 나사 섹션을 가져서, 그것은 예를 들어 클램프 보디 (140) 로 나사고정될 수 있고 이 클램프 보디로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고, 서포팅 보디 (80) 는 샌드위치처럼 서포트 보디 (70) 와 횡방향 스톱 보디 (90) 사이에 클램핑된다.
클램프 보디 (140) 는 서포팅 보디 (80) 의 밑면 또는 서포트 측면 (82) 상에서 클램프 보디 리셉터클 (88) 에 수용된다. 클램프 보디 (140) 는, 리테이닝 보디 (66) 의 액슬 빔 (68) 상의 나사 섹션이 나사고정될 수 있는 나사 마운팅 (141) 을 포함한다. 나사 마운팅 (141) 은 예를 들어 세장형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섹션 (142) 에 위치된다. 클램프 보디 (140) 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베이스 섹션 (142) 은 그것의 종방향 측면들을 따라 뻗어있는 측방향 보강 레그들 (142) 에 의해 보강된다.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은 베이스 섹션 (142) 의 종방향 단부 영역들 (144) 에, 즉 측면 레그들 (146) 에 제공된다. 측면 레그들 (146) 및 보강 레그들 (143) 은 실질적으로 입방체 모양의 수용 공간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클램프 보디 (140) 는 스탬핑되어 절곡된 부분이다.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은 종방향 단부 영역 (144) 의 앞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서포트 보디 (70) 의 가이드 착좌부들 (77) 에 맞물린다. 따라서, 클램프 보디 (140) 는 서포팅 보디 베어링 (85) 의 선형 축선 (LA) 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서포트 보디 (70) 에 장착된다. 따라서, 서포팅 보디 베어링 (85) 은 슬라이딩 베어링 (85A) 을 포함한다.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78) 은,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에 의해 뒤에서 맞물리는 가이드 착좌부들 (77) 상에 제공된다.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78) 은, 예를 들어, 안쪽으로 그리고/또는 벽체 (76) 의 방향으로 돌출한 가이드 착좌부들 (77) 의 측면 레그들이다. 서포팅 보디 (80) 로부터 돌출한 가이드 돌출부들 (89) 이 맞물리는 가이드 착좌부들 (77) 의 종방향 슬롯들 (79) 은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78) 과 벽체 (76)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서포팅 보디 (80) 는 가이드 돌출부들 (89) 에 의해 가이드 착좌부들 (77) 로 직접 가이드된다. 예를 들어, 2 개의 가이드 돌출부들 (89) 은 협측면들 (88) 가까이에, 즉 서포팅 보디 (80) 의 대향한 측면들에 제공되어서, 2 개의 가이드 착좌부들 (77) 또는 종방향 슬롯들 (79) 에 맞물린다.
클램프 보디 (140) 는 유리하게도 스프링 (147) 에 의해 해제 위치에 로딩되고, 여기에서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은 가이드 착좌부들 (77) 의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78) 까지 거리를 갖는다. 리테이닝 보디 (67) 를 클램프 보디 (140) 로부터 풀어줄 때, 즉 나사풀림할 때, 스프링 (147) 은 해제 위치 방향으로 클램프 보디 (140) 를 로딩한다. 하지만, 클램프 보디 (140) 는 작동 핸들 (69) 의 가동에 의해 제거될 수 있거나, 리테이닝 보디 (67) 는,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이 서포팅 보디 (80) 의 서포트 레그들 (82) 의 방향으로 가동되는 클램핑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서, 서포트 보디 (70) 의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78) 은 서포팅 보디 (80) 와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또는 클램프 보디 (140)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와 관련하여, 리테이닝 보디 (67) 는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가이드 착좌부 (97) 를 관통한다. 가이드 착좌부 (97) 는, 리테이닝 보디 (67), 특히 그것의 액슬 빔 (68) 이 가이드 돌출부 (67B) 의 방식으로 맞물려 다른 가이드 구성요소로서 가이드되는 가이드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리테이닝 보디 (67) 가 해제 위치를 취할 때, 한편으로는 서포트 보디 (70) 와 클램프 보디 (140) 의 로킹이 해제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서포팅 보디 (80) 에 대해, 즉 가이드 착좌부 (97) 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변위될 수 있다.
더욱이, 즉 서포트 측면 (92) 에서, 가이드 돌출부들 (96) 은 상부측 또는 보조 서포팅 면 (81) 에서 서포팅 보디 (80) 의 가이드 착좌부들 (86) 에 맞물리는 횡방향 스톱 보디 (90) 에 제공된다. 가이드 돌출부들 (96) 및 가이드 착좌부들 (86) 은 세장형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또는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떨어져 리셉터클 리세스들 또는 돌출부들을 가져서, 가이드 착좌부 (97) 의 코스와 평행한 종방향 가이드를 형성한다.
리테이닝 보디 (67) 와 가이드 착좌부 (97) 는 횡방향 스톱 베어링 (95) 의 선형 베어링 또는 슬라이딩 베어링 (95A) 의 구성요소들을 형성하고, 이는 횡방향 스톱 보디 (90) 가 선형 축선 (LB) 을 따라 서포팅 보디 (80) 및 따라서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리테이닝 보디 (67) 는 또한 작동 핸들 (69) 이 클램프 헤드 또는 클램프 윤곽부를 형성하는 클램프 보디 또는 클램핑 보디로서 지칭될 수 있다.
작동 핸들 (69) 이 클램프 보디 (140) 로부터 충분히 떨어지도록 리테이닝 보디 (67) 가 해제 위치로 충분히 멀리 이동된다면,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서포팅 보디 (80) 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어서 가이드 돌출부들 (96) 은 가이드 착좌부들 (86) 과 맞물림 해제되고 따라서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후에 베어링 축선을 형성하는 액슬 빔 (86) 의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따라서, 피봇팅 베어링 (95B) 이 실현되고, 이는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따라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대해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슬롯이라고도 하는 가이드 착좌부 (97) 는 유리하게도 종방향의 횡방향 스톱면들 (93) 사이에, 특히 대략 중간에서 횡방향으로 뻗어있다. 가이드 착좌부 (97) 는 짧은 횡방향 스톱면 (94B) 에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다른 횡방향 스톱면 (94A) 의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횡방향 스톱면 (94B) 보다 횡방향 스톱면 (94A) 에 대해 더 긴 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축선 빔 (68) 에 의해 정의된 피봇팅 베어링 (95B) 의 피봇 축선 (S) 을 중심으로 횡방향 스톱 보디 (90) 를 회전함으로써, 횡방향 스톱면 (94A 또는 94B) 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특히 베이스 서포팅 면 (53) 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텔레스코픽 아암처럼 베이스 서포팅 면 (53) 을 향해 돌출해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심지어 베이스 서포팅 면 (53) 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 (93 및/또는 94) 이 베이스 서포팅 면 (53) 위의 영역에서 조절될 수 있는 유리한 특징을 유발하는 것을 도면에서 알 수 있다.
도 5 는, 예를 들어, 가공물 (W1) 의 종방향 단부 영역의 하나의 협측면이 또한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횡방향 스톱면 (94) 에 접한 상태에서, 나사 클램프 (Z) 가 가공물 (W1) 을 서포팅 보디 (80) 에 클램핑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상부측, 즉 베이스 서포팅 면 (53) 에서 서포트 돌출부들 (98) 에 의해 지지된다.
서포트 돌출부들 (93) 은,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밑면 또는 서포트 측면 (91) 과 그것에 대향한 표면, 예를 들어 베이스 서포팅 면 (53) 사이에 칩을 위한 수용 또는 통과 공간이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클램핑 나사 또는 리테이닝 보디 (67) 를 가동함으로써, 서포팅 보디 베어링 (85) 및 횡방향 스톱 베어링 (95) 양자의 마운팅을 풀거나 설정할 수 있어서, 간단한 작동을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의 다양한 베어링 표면들 및 스톱면들은 단일 작동 핸들 (69) 을 가동함으로써 해제 위치와 따라서 상대 조절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간단한 작동을 유발한다.
하지만, 또한, 개별 구성요소들, 즉 서포팅 보디 (80) 및 횡방향 스톱 보디 (90) 를 서로 분리하여 그것들을 다른 위치들에서 다시 함께 연결하거나 나사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 보디 (90) 는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90) 에서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를 운반하기 위해 마운팅 착좌부들 (150, 151) 의 배열체를 구비한다. 운반 위치 (TS) 로 이동된 서포트 보디 (70) 는 서포팅 보디 (80) 를 위한 마운팅 베이스를 형성한다. 리테이닝 보디 (67) 는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을 마운팅 브라켓들 (150) 과 후방 맞물림되게, 즉 마운팅 브라켓들의 클램핑 섹션들 (153) 과 후방 맞물림되게 클램핑/로킹하도록 가이드 착좌부 (97) 를 관통함으로써 클램프 보디 (140) 로 나사고정될 수 있다.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은 삽입 거리들 (152) 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들 (150) 로 삽입된 후 후방 맞물림 윤곽부들 (145) 중 적어도 하나가 마운팅 브라켓들 (150, 151) 중 하나의 종방향 스톱 (154) 에 대해 정지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클램프 보디 (140) 는 클램핑 위치로 가동된다.
횡방향 스톱 보디 (90) 및 서포팅 보디 (80) 의 추가 대안적인 고정은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리테이닝 보디 (67) 는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가이드 착좌부/가이드 슬롯 (97) 을 통하여 서포팅 보디 (80) 의 서포트 측면 또는 밑면 (82) 상의 나사 리셉터클 (87) 로 나사고정되고, 여기서 서포팅 보디 (80) 및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서포트 보디 (70) 의 대향 측면들에, 예를 들어 서포트 면 (71) 또는 베이스 표면 (72) 에 배열된다. 액슬 빔 (86) 은, 예를 들어, 베어링 착좌부 (64) 를 관통한다.
가이드 돌출부들 (89) 사이에 연장되는 서포팅 보디 (80) 의 서포트 측면 (82) 의 중앙 섹션은 서포트 보디 (70) 의 벽체 (76) 에서 지지된다. 타 측면으로부터, 즉 도 7 에서 하부로부터,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부가적 지지 및 브레이싱으로서 역할을 한다. 이것은 서포트 측면 (92) 이 벽체 (76) 에 대해 평평한 상태로 놓여 있다. 이것은 무거운 가공물들 (W1 또는 W2) 의 배치를 또한 허용하는 매우 탄력적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베어링 착좌부 (64) 는 바람직하게 세장형 홀로서 설계되어서, 예를 들어, 도 7 에 따른 전술한 구성은 선형 축선 (LA) 을 따라 베어링 착좌부 (64) 의 세장형 홀에서 조절될 수 있다.
서포팅 보디 (80) 가 양 가이드 착좌부들 (77) 에서 가이드되고 클램프 보디 (140) 를 사용해 클램핑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최적의 지지가 제공된다.
횡방향 스톱면들 (93, 94) 은, 예를 들어, 가공물 (W1) 의 종방향 스톱들 (도 5) 또는 측면 스톱들 (도 1 또는 도 2) 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스톱면들은 또한 높은 위치에 있는 가공물들, 예를 들어 가공물 (W2), 특히 천장 프로파일을 기계가공하기 위한 스톱면들로서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도 1 에서, 예를 들어, 단 하나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만 선형 축선 (L) 의 우측에 도시된다. 추가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는 또한 그것의 좌측에, 즉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A) 에 용이하게 배열될 수 있어서, 가공물 (W2) 은 공구 (24) 의 양 측면에서 또는 대향 측면에서 최적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소위 희생 스트립들 또는 스포일 보드들과 같은 보조물들은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구성요소, 예를 들어 서포트 보디 (70), 서포팅 보디 (80)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 (90) 에서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구성요소들 각각은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및/또는 각각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것에 다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개구들 (170, 180, 190) 은 서포트 보디 (70), 서포팅 보디 (80) 및 횡방향 스톱 보디 (90) 에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나사들은 가공물 (W1 또는 W2) 로 또는 또한 도면에 도시 생략된 서포트 보디, 예를 들어 목재 스트립으로 나사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보디가 2 개의 서포팅 보디들 (80) 및/또는, 예를 들어, 공구 (24) 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한 2 개의 독립 보조 서포트 조립체들 (60, 60B) 에 속하는 횡방향 스톱 보디들 (90) 에 연결된다면 (도 3), 이런 전체 구성은 말하자면 나사고정되고 공작 기계 (20) 로부터 제거되거나 필요하다면 재부착된 상태로 둘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리테이닝 보디의 후킹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면들 (93 또는 94) 중 하나,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면 (94A) 은 나사 헤드를 위한 리테이닝 고정 도구 (191) 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말하자면, 리테이닝 고정 도구 (191) 에 후킹될 수 있다 (도 2).
도 3 에 도시된 서포트 보디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들 (60) 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는 판형이다.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는 가공물 서포트 면 (31), 즉 기계가공 테이블 (30) 에 놓여지도록 된 중앙 섹션 (291) 을 갖는다. 중간 섹션 (291) 은 마운팅 섹션들 (294, 295) 사이에 위치된다. 커프들 (kerfs) 은 중간 섹션 (291) 에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공구 (24) 가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로 절삭되거나 관통되면 커프들은 또한 횡방향 스톱 보디 (92) 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마운팅 섹션 (295) 은 바람직하게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B) 에 위치되는, 도 3 에 도시된, 예를 들어,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에 장착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마운팅 섹션 (294) 은 측면 지지부들 (29) 중 하나, 특히 거기에 제공된 측면 서포팅 면들 (32), 또는 대안적으로 또한, 특히 공작 기계 (20) 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면,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A) 에 배열된 추가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B) 에서 지지될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로 나사고정되거나 나사고정될, 서포팅 보디 (80) 의 개구 (180) 를 관통하는 나사 (SB) 를 구비한 나사 연결부는 예를 들어 보조 서포트 조립체들 (60, 60B) 로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를 연결하는 데 적합하다.
마운팅 섹션 (295) 은 또한, 예를 들어, 나사 클램프 (Z) 의 리테이닝 레그에 의해 관통될 수 있는 개구 (296) 를 가져서, 마운팅 섹션은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의 서포팅 보디 (80) 로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를 클램핑할 수 있다.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는 세장형 횡방향 스톱면 (293) 을 가지고, 이 스톱면에 대해, 예를 들어, 가공물 (W2) 이 지지될 수 있다. 횡방향 스톱면 (293) 에 대향한 종방향 측면에서, 최단 경로에 의해 마운팅 섹션들 (294, 295) 을 연결하는 동일한 직선 종방향 측면은 공작 기계 (20) 의 작동을 방해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횡방향 스톱 보디 (290) 의 외주 윤곽부 (297) 는 가공물 서포트 면 (31) 의 영역에서 공작 기계 (20) 의 원주 윤곽부에 맞추어진다. 예를 들어, 마운팅 섹션들 (294, 295) 로부터 시작해서, 평면도에서 라운드형인 기계가공 테이블 (30) 과 측면 지지부들 (29) 사이 리세스들에 대략 대응하는 리세스들 (292) 이 제공된다. 라운드 섹션 (298) 은, 기계가공 테이블 (30) 의 외주 윤곽부에 대략 대응하는 외주 윤곽부 (297) 의 리세스들 (292) 사이에 연장된다.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는, 횡방향 스톱 보디 및 보조 서포트 조립체들 (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는, 예를 들어 밀링 및/또는 톱질될 수 있는 목재 또는 다른 재료로 필요시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원주 윤곽부 (297) 에 대응하는 원주 윤곽부 (397), 예컨대 리세스들 (292) 에 대한 리세스들 (392), 섹션 (291) 에 대응하는 중앙 섹션 (391), 및 개구 (296) 유형의 홀 또는 개구를 위한 마킹 (396) 을 가지는 템플릿 (390) 은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를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원주 윤곽부 (397) 를 추종하거나 예를 들어 실톱으로 원주 윤곽부 (397) 에 따라 템플릿 (390) 을 따라 직접 톱질하도록, 템플릿 (390) 은 판형 가공물, 특히 목재 가공물, 예를 들어 목재 패널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팅 보디 (80) 는 하나 이상의 일체형 횡방향 스톱면들 (193, 194) 을 가질 수 있다. 횡방향 스톱면들 (193, 194) 은 보조 서포팅 면 (81) 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특히 직각을 이룬다. 횡방향 스톱면들 (193, 194) 은 또한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룬다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횡방향 스톱면들 (193, 194) 은 보조 서포팅 면 (81) 앞에 돌출한 서포팅 보디 (80) 의 횡방향 스톱 섹션 (190) 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커넥터 (67) 는 서포트 보디 (70), 예를 들어 그것의 벽체 (76) 에서 베어링 착좌부 (240) 를 관통하고, 너트 (241) 로 나사고정된다면, 서포팅 보디 베어링 (85) 이 피봇팅 베어링 (85B) 을 포함하도록 서포팅 보디 (80) 는 피봇 축선 (SB) 을 중심으로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Claims (40)

  1. 반고정 공작 기계 (machine tool; 20) 의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용 보조 서포트 조립체로서,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는 상기 공작 기계 (20) 의 공구 (24) 에 의한 기계가공을 위해 가공물 (W1, W2) 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 중 실질적으로 수평인 베이스 서포팅 면 (53) 을 가지고,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는 보조 서포팅 면 (81), 및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분리가능한 장착을 위한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 (61) 을 구비한 서포트 보디 (70) 를 가지고,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가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장착될 때, 상기 보조 서포팅 면 (81) 은 상기 베이스 서포팅 면 (53) 과 정렬되고,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서포팅 면 (53) 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서포트 보디 (70) 상에 슬라이딩 지지부 (85A) 및/또는 피봇팅 지지부 (85B) 을 포함하는 서포팅 보디 지지부 (85) 에 의해 장착되며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 (66) 에 의해 상대 위치들에서 상기 서포트 보디 (70) 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서포팅 보디 (80) 를 가지고,
    상기 서포팅 보디 (80) 는 상기 보조 서포팅 면 (81) 을 포함하고, 횡방향 스톱 보디 (90) 를 위한 마운팅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스톱 보디 고정 수단 (99) 에 의해 상기 서포팅 보디 (80) 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보조 서포팅 면 (81) 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또는 상기 보조 서포팅 면에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 (93, 94)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는, 상기 서포팅 보디 (80) 에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보조 서포팅 면 (81) 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또는 상기 보조 서포팅 면에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 (193, 194)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피봇팅 지지부 (95B) 및/또는 슬라이딩 지지부 (95A) 를 포함하는 횡방향 스톱 지지부 (95) 에 의해 상기 서포팅 보디 (80) 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스톱 지지부 (95) 는 상기 서포팅 보디 (80) 에 배열된 제 1 가이드 구성요소, 및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에 배열된 제 2 가이드 구성요소를 가지고, 이 중 하나의 가이드 구성요소는 가이드 착좌부 (97), 또는 가이드 링크 또는 가이드 슬롯이고, 여기에 다른 가이드 구성요소의 가이드 돌출부 (67B) 가 맞물리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 (67B) 가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톱 보디 고정 수단 (99) 을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클램핑 보디 또는 클램핑 볼트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상기 클램핑 보디에 의해 상기 서포팅 보디 (80) 에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착좌부 (97) 는 종방향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 (67B) 는 슬라이딩 축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착좌부 (97) 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 (67B) 는 상기 가이드 착좌부 (97)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착좌부 (97) 는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 (93, 94) 에 횡방향으로 또는 평행하게 또는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대향한 횡방향 스톱면들 (93, 94) 사이에 연장되어서, 상기 횡방향 스톱면 (93, 94) 은 상기 서포팅 보디 (80) 에 대해 상기 가이드 착좌부 (97) 의 슬라이딩 축선을 따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착좌부 (97) 는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의 대향 측면들에 제공된 횡방향 스톱면들 (94A, 94B)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착좌부 (97) 는 다른 횡방향 스톱면 (94B) 보다 하나의 횡방향 스톱면 (94A) 에 대해 더 긴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스톱 지지부 (95) 및 상기 서포팅 보디 지지부 (85) 는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운동 자유도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및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상기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복합 슬라이드 레스트 (compound slide rest)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스톱 지지부 (95) 는 상기 서포팅 보디 지지부 (85) 의 가이드 착좌부들 (77)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축선에 대해 신축자재식이도록 상기 서포팅 보디 (80) 에 의해 상기 서포트 보디 (70) 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 (66) 은 상기 스톱 보디 고정 수단 (99)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보디 (67) 및/또는 상기 스톱 보디 고정 수단 (99) 의 가동 보디는 상기 서포트 보디 (70) 에 대해 상기 서포팅 보디 (80) 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 및/또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는 상기 서포트 보디 (70) 와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사이에 샌드위치와 같은 방식으로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의 보조 서포팅 면 (81) 은, 상기 베이스 서포팅 면 (53) 및 상기 보조 서포팅 면 (81) 에 의해 형성된 전체 서포팅 면의 확대라는 의미에서, 서포팅 보디 (80) 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상기 서포트 보디 (70) 앞에 측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상기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 (61) 에 의해 운반 위치 (TS) 와 사용 위치 (G) 에서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배열 또는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 보디 (70) 의 서포트 섹션 (71A) 은 상기 서포팅 보디 (80) 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운반 위치 (TS) 에서보다 상기 사용 위치 (G) 에서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앞으로 더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 (61) 은 운반 지지부 (75) 의 지지부 구성요소 (75A, 75B) 및 지지부 착좌부 (6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서포트 보디 (70) 는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대해 상기 운반 위치 (TS) 와 상기 사용 위치 (G)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상기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에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운반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에 접하게 놓인 위치에서, 또는 상기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를 향하여 피봇된 위치에서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의 구성요소에 의해 고정되거나 고정가능한, 상기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지지부 (85) 는, 상기 서포팅 보디 지지부 (85) 의 슬라이딩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 축선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가이드 돌출부들이 상기 슬라이딩 축선에 평행하게 가이드되는 2 개의 가이드 착좌부들 (77)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착좌부 (77) 및 가이드 돌출부의 쌍은 상기 서포트 보디 (70) 의 대향한 종방향 측면 영역들 또는 가장자리 영역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 (66) 은 가이드 착좌부들 (77) 중 하나와 클램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보디 및 가이드 착좌부들 (77) 중 하나와 후방 맞물림될 수 있는 후방 맞물림 윤곽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져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는 상기 슬라이딩 축선에 횡방향으로 가이드 착좌부 (77) 의 모든 측면들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 (66) 은 상기 서포트 보디 (70) 의 대향 측면들에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를 고정하기 위해 설계 및/또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보디 (70) 및 상기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파일 보디 또는 압출 프로파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보디 (70) 및 상기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중 적어도 하나는 후방 맞물림 윤곽부 및 슬라이딩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후방 맞물림을 위해 리테이닝 윤곽부를 구비한 가이드 착좌부 (77)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상기 서포트 보디 (70) 및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중 적어도 하나는 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상기 서포트 보디 (70) 및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서포팅 보디 (80) 또는 상기 서포트 보디 (70) 또는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에 구비된 나사 (SB) 로 보디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개구 (170, 180, 190) 및 상기 가공물 또는 상기 가공물을 위한 지지부로 나사고정되는 리테이닝 보디 (HK) 를 위한 리테이닝 리셉터클 (191)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또는 횡방향 스톱 보디 (290) 를 제조하기 위한 템플릿 (390) 을 가지고, 이는 라운딩 (298) 및 리세스 (29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공작 기계 (20) 의 외주 윤곽부에 맞추어진 원주 윤곽부 (297) 를 가지고,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를 추가의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B) 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는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종방향 측면 (58) 에 장착하기 위해 제공 및/또는 설계되고, 상기 종방향 측면 (58) 은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뻗어있고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횡방향 측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보디 장착 수단 (61) 은 조절 지지부 (65) 의 지지부 구성요소들 (75A, 75B) 을 형성하고 이것으로 상기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는 가공물 (W) 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 서포팅 면 (81) 이 이용가능한 각각에서,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한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사용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가공물 서포트 보디 (51) 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는 상기 베이스 서포팅 면 (53) 상의 영역 및 상기 베이스 서포팅 면 (53) 상에 지지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및 상기 횡방향 스톱 보디 (90) 를 장착하기 위한 상기 서포팅 보디 고정 수단 (66) 및 상기 스톱 보디 고정 수단 (99)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서포트 보디 (70) 의 대향 측면들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보디 (70) 는 상기 서포팅 보디 (80) 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팅 면 (71) 을 가지고, 상기 서포팅 면은, 상기 서포트 보디 (70) 가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장착될 때, 상기 서포트 보디 (70) 의 장착을 위해 제공된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밑면 (51) 과 정렬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서포트 보디 (70) 의 장착을 위해 제공된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밑면 (51) 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보디 (70) 가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에 장착될 때, 상기 서포트 보디 (70) 는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앞에서 선반형 방식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보디 (80) 의 보조 서포팅 면 (81) 과 밑면 (82) 사이 거리는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베이스 서포팅 면 (53) 과 상기 서포트 보디 (70) 를 체결하기 위해 제공된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의 밑면 (51)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를 구비한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 (50) 는 공작 기계 (20) 에서 분리가능한 장착을 위해 공작 기계 (20) 의 공구 (24) 의 작업 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조립체.
  40.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조 서포트 조립체 (60) 를 구비한 공작 기계 (20).
KR1020207016287A 2017-12-14 2018-12-12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용 보조 서포트 조립체 KR102680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30042.2A DE102017130042A1 (de) 2017-12-14 2017-12-14 Stützzusatzeinrichtung für eine Werkstückauflageeinrichtung
DE102017130042.2 2017-12-14
PCT/EP2018/084523 WO2019115602A1 (de) 2017-12-14 2018-12-12 Stützzusatzeinrichtung für eine werkstückauflage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231A KR20200096231A (ko) 2020-08-11
KR102680361B1 true KR102680361B1 (ko) 2024-07-0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1785B2 (en) Supplementary support assembly for a workpiece support assembly
US7621206B2 (en) Multi-function woodworking guide
US5890524A (en) Router table sled
US7930960B2 (en) Universal machinery fence system
US6880442B2 (en) Woodworking machinery jig and fixture system
US8621970B2 (en) Miter saw with adjustable fence
US20030233926A1 (en) Multi-function woodworking system
AU703416B2 (en) Work bench
WO2005105369A1 (en) Adjustable router guide template assembly
US4378716A (en) Ripper attachment for multi-purpose woodworking power tool guide table
US5816300A (en) Woodworking jig
CA2755601A1 (en) Universal fence assemblies for power tool tables having multi-position stop assemblies
EP3022000B1 (en) Multifunction cutting tool guide
US20050061128A1 (en) Saw guide apparatus
US6530302B1 (en) Cabinetmaking system
US20110132167A1 (en) Circular and miter box saw
US20030233925A1 (en) Multi-function woodworking adapter
US20210178627A1 (en) Power tool guide with positive alignment
KR102680361B1 (ko) 가공물 서포트 조립체용 보조 서포트 조립체
US9707695B2 (en) Joint making jig
US20040050451A1 (en) Machine tool jig
JP2002520197A (ja) ルーター付属品
US11529690B2 (en) Miter bar pocket hole jig systems and methods
US20220184719A1 (en) Machine tool comprising a lateral contact body and an abutment body
US20120118117A1 (en) Multi-functional guide table and workpiece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