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8596B1 - 빗물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빗물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8596B1
KR102678596B1 KR1020210190471A KR20210190471A KR102678596B1 KR 102678596 B1 KR102678596 B1 KR 102678596B1 KR 1020210190471 A KR1020210190471 A KR 1020210190471A KR 20210190471 A KR20210190471 A KR 20210190471A KR 102678596 B1 KR102678596 B1 KR 10267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ase
pipe
filter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845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년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년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년하이
Priority to KR102021019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59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한 후 빗물탱크로 전송할 수 있는, 빗물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는, 빗물이 담겨지는 여과 케이스(110); 상기 여과 케이스(110)의 상단에 장착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거름망(130); 상기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빗물탱크 유입관(140);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월류관(150);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배수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1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빗물여과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본 발명은 빗물을 여과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빗물은 청소 등을 수행할 때 이용될 수 있으며, 변기통 등에 제공되는 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비가올 때 빗물은 빗물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빗물이 그대로 빗물탱크에 저장되고 있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이물질들 및 눈에 보이지 않는 이물질들이 그대로 빗물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이 다양한 설비장치들을 통해 이용될 때, 이물질들에 의해 설비장치들이 고장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보여지는 경우, 빗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한 후 빗물탱크로 전송할 수 있는, 빗물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는, 빗물이 담겨지는 여과 케이스(110); 상기 여과 케이스(110)의 상단에 장착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거름망(130); 상기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빗물탱크 유입관(140);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월류관(150);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배수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들이 제거된 후, 빗물이 빗물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을 이용하는 설비장치들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에 의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보여지지 않기 때문에, 빗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필터들에 의해 정화될 수 있기 때문에, 빗물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량 및 필터링 해야 할 용량에 따라 여과 접촉면적을 조절하여 여과 능력을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에 적용되는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에 적용되는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담겨지는 여과 케이스(110), 상기 여과 케이스(110)의 상단에 장착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거름망(130), 상기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빗물탱크 유입관(140),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수관(190)에 연결되어 있는 월류관(150)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배수밸브(16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관(190)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160)을 포함한다.
우선, 여과 케이스(110)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태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거름망(130)은 상기 여과 케이스(110)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턱(1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거름망(130)은 상기 여과 케이스(110)에 장착되거나 상기 여과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130)은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거름망(130)에는 메쉬형태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들의 크기 및 형태는 빗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들의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은 상기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월류관(15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 및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여과 케이스(110)의 넓이 및 높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은 상기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빗물탱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거름망(130)에 의해 이물질들이 걸러진 빗물은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을 통해 상기 빗물탱크(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의 일측 끝단, 즉, 유입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로터 연장된 연장부는 상기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이 상기 바닥면과 수직하게 상기 바닥면에 장착되면, 상기 여과 케이스(110)에 남아있는 작은 크기의 이물질들이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을 통해 상기 빗물탱크(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의 일측 끝단이 상기 바닥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빗물에 남아있는 작은 크기의 이물질들이 상기 빗물탱태 유입관(140)으로 유입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빗물탱크(300)로 유입되는 이물질들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월류관(150)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수관(190)에 연결되어 있다.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빗물 유입관(800)을 통해 많은 양의 빗물이 한꺼번에 유입되면, 상기 여과 케이스(110)가 넘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 케이스(110)에서 넘치는 빗물은 월류관(150)을 통해 하수관(19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수관(160)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160)에는 배수밸브(16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160)은 상기 하수관(19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여과 케이스(110)를 청소해야 하는 경우, 또는 겨울철과 같이 빗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적은 경우, 상기 여과 케이스(110) 내부는 완전히 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여과 케이스(110) 내부의 빗물이 쉽게 하수관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관(160)에는 상기 배수밸브(1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160)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배수밸브(161)가 잠겨져 잇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빗물이 배출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배수밸그가 열려저, 상기 배수관을 통해 빗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케이스(110)에 담겨져 있는 빗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관(160)은 상기 바닥면으로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배수관(160)은 상기 바닥면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는,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과 빗물탱크(300) 사이에 장착되는 빗물 필터링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여과 케이스(110), 상기 거름망(130),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 상기 월류관(150) 및 상기 배수관(160)은 이물질 제거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100) 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100) 및 빗물 필터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링부 케이스(201) 및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은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을 통해 전송된 빗물을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에는 필터링모듈(210)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은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빗물의 오염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에 장착할 필터링모듈(210)의 종류 및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링모듈(210)들은 동일한 종류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필터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링모듈(210)에는 헤파필터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활성탄 필터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은, 모듈 케이스(211),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217),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관(218)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구비된 필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212)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필터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212)는 상기 모듈 케이스(211)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빗물이 흐르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217) 및 상기 배출관(218)은 상기 필터링모듈(21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입관(217)과 상기 배출관(218)은 모든 필터링모듈(21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는 필터링모듈(210)에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필터링모듈(210)들이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201)에 장착된 경우, 제일 하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유입관(217)은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일 상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배출관(218)은 빗물탱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상단과 하단 및 상기 타측의 상단과 하단에는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하단에 구비된 제1 개폐부(213),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타측의 하단에 구비된 제2 개폐부(214),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상단에 구비된 제3 개폐부(215) 및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타측의 상단에 구비된 제4 개폐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빗물의 흐름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1 개폐부(213) 내지 상기 제4 개폐부(216)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필터링부(200)에 세 개의 필터링모듈(210)들이 장착된 경우, 제일 하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제1 개폐부(213)는 닫히고, 제2 개폐부(214)는 닫히고 제3 개폐부(215)는 닫히고, 제4 개폐부(216)는 열릴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제1 개폐부(213)는 닫히고, 제2 개폐부(214)는 열리고, 제3 개페부(215)는 열리고, 제4 개폐부(216)는 닫힐 수 있다.
또한, 제일 상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제1 개폐부(213)는 열리고, 제2 개폐부(214)는 닫히고, 제3 개폐부(215)는 닫히고, 제4 개폐부(216)는 닫힐 수 있다.
따라서, 제일 하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유입관(217)을 통해 유입된 빗물은 제일 하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에 구비된 필터(212)를 통과하여, 제일 하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제4 개폐부(216)를 통해 중간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로 유입된다.
중간에 장착된 필터링모듈로 유입된 빗물은 중간에 장착된 필터링모듈에 구비된 필터(212)를 통과하여, 중간에 장착된 필터링모듈의 제3 개페부(215)를 통해 제일 상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로 유입된다.
제일 상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로 유입된 빗물은 제일 상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에 구비된 필터(212)를 통과하여, 제일 상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의 배출관(218)을 통해 빗물탱크(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의 모듈 케이스(211)에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자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가 장착될 수 있으며, 모듈 케이스(211) 중 필터링모듈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모듈 케이스(21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케이스(2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LED(219)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LED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상기 모듈 케이스(211)를 통해 필터링모듈의 내부 공간으로 방출될 수 있다.
필터링모듈의 내부 공간을 흐르는 빗물은 자외선 LED(219)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에서 이물질들만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필터(212) 및 자외선 LED(219)에 의해 필터링되거나 살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를 통해 빗물탱크(300)에 저장된 빗물은 종래보다 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는,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과 빗물탱크(300) 사이에 장착되는 빗물 필터링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여과 케이스(110), 상기 거름망(130),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 상기 월류관(150) 및 상기 배수관(160)은 이물질 제거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빗물여과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100) 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100) 및 빗물 필터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링부 케이스(201) 및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은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을 통해 전송된 빗물을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에는 필터링모듈(210)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은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빗물의 오염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에 장착할 필터링모듈(210)의 종류 및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은, 모듈 케이스(211),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217),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관(218)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구비된 필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212)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필터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2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털들이 구비된 여과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212)는 필터링모듈(210)의 모듈 케이스(211)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217) 및 상기 배출관(218)은 상기 필터링모듈(21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입관(217)과 상기 배출관(218)은 모든 필터링모듈(21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는 필터링모듈(210)에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필터링모듈(210)들이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201)에 장착된 경우, 제일 하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유입관(217)은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1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일 상단에 장착된 필터링모듈(210)의 배출관(218)은 빗물탱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상단과 하단 및 상기 타측의 상단과 하단에는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하단에 구비된 제1 개폐부(213),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타측의 하단에 구비된 제2 개폐부(214),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상단에 구비된 제3 개폐부(215) 및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타측의 상단에 구비된 제4 개폐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빗물의 흐름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1 개폐부(213) 내지 상기 제4 개폐부(216)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213) 내지 상기 제4 개폐부(216)의 특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개폐부(213) 내지 상기 제4 개폐부(216)의 특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판과 하판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211a) 및 상기 메인 케이스(211a)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보조 케이스(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212)는 상기 메인 케이스(211a) 및 상기 보조 케이스(211b)의 양쪽 측면들 중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213) 내지 상기 제4 개폐부(216) 각각은 상기 메인 케이스(211a) 또는 상기 보조 케이스(211b)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201)의 상판과 하판 각각은, 메인 프레임(201a) 및 상기 메인 프레임(201a)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보조 프레임(20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케이스(211a) 및 상기 보조 케이스(211b)와, 상기 메인 프레임(201a) 및 상기 보조 프레임(201b)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201) 및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부피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링할 빗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상기 모듈 케이스(211)들의 부피를 조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211) 및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201)의 부피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입관(217) 및 배출관(218)에는 주름관(217a)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217a)에 의해 유입관(217) 및 배출관(218)의 길이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량 및 필터링 해야 할 용량에 따라 여과 접촉면적을 조절하여 여과 능력을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물질 제거부 200: 빗물 필터링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빗물이 담겨지는 여과 케이스(110);
    상기 여과 케이스(110)의 상단에 장착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거름망(130);
    상기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빗물탱크 유입관(140);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월류관(150);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배수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160)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과 빗물탱크 사이에 장착되는 빗물 필터링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링부 케이스(201); 및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은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을 통해 전송된 빗물을 필터링하여 배출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은,
    모듈 케이스(211);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217);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관(218);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구비된 필터(212)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상단과 하단 및 상기 타측의 상단과 하단에는 개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하단에 구비된 제1 개폐부(213);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타측의 하단에 구비된 제2 개폐부(214);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상단에 구비된 제3 개폐부(215); 및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타측의 상단에 구비된 제4 개폐부(216)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케이스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LED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빗물여과장치.
  4. 빗물이 담겨지는 여과 케이스(110);
    상기 여과 케이스(110)의 상단에 장착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거름망(130);
    상기 여과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빗물탱크 유입관(140);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월류관(150);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배수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160)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과 빗물탱크 사이에 장착되는 빗물 필터링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빗물 필터링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링부 케이스(201); 및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은 상기 빗물탱크 유입관을 통해 전송된 빗물을 필터링하여 배출하고,
    상기 필터링부 케이스(201)의 상판과 하판 각각은, 메인 프레임(201a) 및 상기 메인 프레임(201a)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보조 프레임(201b)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필터링모듈(210)들 각각은,
    모듈 케이스(211);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217);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관(218);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구비된 필터(212)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기 일측의 상단과 하단 및 상기 타측의 상단과 하단에는 개폐부가 구비되며,
    상기 모듈 케이스(211)의 상판과 하판 각각은, 메인 케이스(211a) 및 상기 메인 케이스(211a)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보조 케이스(211b)를 포함하는 빗물여과장치.
KR1020210190471A 2021-12-29 2021-12-29 빗물여과장치 KR10267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471A KR102678596B1 (ko) 2021-12-29 2021-12-29 빗물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471A KR102678596B1 (ko) 2021-12-29 2021-12-29 빗물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845A KR20230100845A (ko) 2023-07-06
KR102678596B1 true KR102678596B1 (ko) 2024-06-26

Family

ID=8718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471A KR102678596B1 (ko) 2021-12-29 2021-12-29 빗물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85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1B1 (ko) * 2010-08-25 2011-02-14 (주)수지로드텍 우수 정화구조물
KR102216793B1 (ko) * 2019-05-10 2021-02-17 어스그린코리아(주) 우수관의 비점 오염물을 포함하는 빗물의 오염물을 정화하여 비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저장하는 장치
KR102294885B1 (ko) * 2020-06-22 2021-08-26 권성수 빗물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1B1 (ko) * 2010-08-25 2011-02-14 (주)수지로드텍 우수 정화구조물
KR102216793B1 (ko) * 2019-05-10 2021-02-17 어스그린코리아(주) 우수관의 비점 오염물을 포함하는 빗물의 오염물을 정화하여 비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저장하는 장치
KR102294885B1 (ko) * 2020-06-22 2021-08-26 권성수 빗물 재활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845A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KR100841358B1 (ko)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WO2007032933A2 (en) Canister filter for swimming pool
KR102678596B1 (ko) 빗물여과장치
CN107835881A (zh) 提升盥洗废水回用率的冲水马桶***装置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CN114396108A (zh) 海绵城市雨水收集净化处理***
CN214178709U (zh) 一种鱼缸过滤器
TWI696488B (zh) 可逆洗浮床式反向污水處理系統及其處理方法
CN208777364U (zh) 雨水收集处理***
KR100488613B1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2118557B1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CN207331947U (zh) 一种安全分流沉砂装置
JPH0338883B2 (ko)
CN212971285U (zh) 一种具有分离沉淀功能的鱼缸水循环***
KR102310850B1 (ko) 빗물이용시설
CN108149756A (zh) 一种家庭污水处理重利用装置
CN208667137U (zh) 一种家用式便于清理可二次过滤的污水处理设备
CN208911578U (zh) 一种不易堵塞的过滤装置
CN208377593U (zh) 一种垃圾集装箱的污水排出结构
KR200342686Y1 (ko)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JP2000303508A (ja) 雨水等の貯留槽
KR10255657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CN220990024U (zh) 一种反锥形结构的预沉沉淀池
CN218667811U (zh) 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