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8245B1 -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8245B1
KR102678245B1 KR1020230023097A KR20230023097A KR102678245B1 KR 102678245 B1 KR102678245 B1 KR 102678245B1 KR 1020230023097 A KR1020230023097 A KR 1020230023097A KR 20230023097 A KR20230023097 A KR 20230023097A KR 102678245 B1 KR102678245 B1 KR 102678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erminal
wallet address
user terminal
digit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민
Original Assignee
최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민 filed Critical 최현민
Priority to KR102023002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블록체인 지갑주소를 입력하고,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입력하여 저작물을 조회하고, 사용자 단말의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저작물을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경우 기 구축된 비밀 저장소에 저작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작물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Hash)를 생성하고, 해시, 저장물이 저장된 비밀 저장소의 저장소 주소, 라이센스 타입 및 사용자 정보를 블록체인에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블록생성부, 구매자 단말에서 저작물을 조회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로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조회부, 구매자 단말에서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구매하는 경우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거래중개부를 포함하는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PYRIGHT PROTECTION SERVICE FOR DIGITAL CONTENTS}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무단복제 및 유포를 막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방향성과 지향성을 지니고 그 정신을 백서에 반영한 다양한 후속 비즈니스모델이 등장하고 있고, 콘텐츠 유통 분야에서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신뢰와 가치 공유의 철학적 기반을 갖는 플랫폼 기술로, 거래 상대방에 대한 불신과 불투명성으로 인하여 제도, 장치, 보험과 같이 지불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해 준다. 이러한 신뢰와 보상을 토대로 저작권비즈니스 환경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저작권산업 종사자들 간 저작권료 분배의 불균형 문제를 보완해 줄 수 있다. 블록체인의 기술은 아티스트와 콘텐츠 제작자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자신의 작품에 대한 통제력을 재확인하고 어려운 기록 보관 프로세스를 쉽게 진행할 수 있어 저작권 등록을 대체할 수도 있다. 또, 블록체인은 이전 블록의 정보인 해시값, 현재의 거래정보 및 해시값이 포함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참여자의 컴퓨팅 파워 제공과 원장의 공유로, 조작이 어렵고 거래정보가 공개되어 투명한 관리 가능하며 거래의 추적이 가능한 기술이다. 이처럼 불법 콘텐츠 복제 및 유통, 저작권 관리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고 있다.
이때, 저작물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하거나 수익을 분배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2394092호(2022년05월03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938878호(2019년01월15일 공고)에는 창작자 고유식별코드인 DID로 창작자를 인증한 후, 창작자의 콘텐츠 및 인증정보로 트랜잭션을 생성하며, 생성된 트랜잭션의 위변조 여부를 검사한 후 원장(Ledger)을 생성 및 등록하는 구성과, 저작물을 거래할 때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하도록 하고, 거래의 목적물인 저작물 및 가상화폐를 각 당사자에게 전달한 후, 수익금을 분배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창작자의 DID 및 트랜잭션을 인증하거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뿐, 복제 및 유포가 쉬운 특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 및 유포를 막는 구성이 아니다. 후자의 경우에도 저작물을 거래할 때 가상화폐를 이용하고 정산을 수행한다는 구성만을 개시할 뿐, 불법복제 및 유포를 막는 구성이 아니다. 디지털 콘텐츠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콘텐츠 산업이 성장할수록 이와 비례하여 불법복제로 인한 저작권 침해도 심각한 상황이다. 정부도 불법 콘텐츠 유통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외 불법 사이트를 집중단속 및 폐쇄하는 등 후속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여전히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 및 유포로 인하여 정당권리자의 이익이 침해당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에, 저작권 침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기술적보호조치를 제공하고,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 및 유포되었을 때 신속하게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갑주소를 입력받고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경우, 기 구축된 비밀 저장소에 저장한 후 블록체인에 저작물 정보를 등록하며, 구매자 단말에서 조회를 요청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저작물에 삽입한 후 조회를 허용함으로써, 구매자 단말에서 유포를 하더라도 유포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 단말에서 구매를 하는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 판매이력 및 정당권리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작물이 불법복제 및 유포되는 경우 찬반투표를 통하여 복제 및 유포물의 삭제나 저작권자 변경으로 정당권리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지갑주소를 입력하고,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입력하여 저작물을 조회하고, 사용자 단말의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저작물을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경우 기 구축된 비밀 저장소에 저작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작물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Hash)를 생성하고, 해시, 저장물이 저장된 비밀 저장소의 저장소 주소, 라이센스 타입 및 사용자 정보를 블록체인에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블록생성부, 구매자 단말에서 저작물을 조회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로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조회부, 구매자 단말에서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구매하는 경우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거래중개부를 포함하는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갑주소를 입력받고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경우, 기 구축된 비밀 저장소에 저장한 후 블록체인에 저작물 정보를 등록하며, 구매자 단말에서 조회를 요청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저작물에 삽입한 후 조회를 허용함으로써, 구매자 단말에서 유포를 하더라도 유포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 단말에서 구매를 하는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 판매이력 및 정당권리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작물이 불법복제 및 유포되는 경우 찬반투표를 통하여 복제 및 유포물의 삭제나 저작권자 변경으로 정당권리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작물을 업로드하고 지갑주소를 등록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단유포 등의 알람을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투표를 요청하면서 투표 진행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고, 결과에 따라 손해배상을 받는 정당권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밀 저장소를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으면 비밀 저장소에 저작물을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지갑주소, 해시(Hash), 라이센스 타입,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블록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400)에서 저작물을 조회할 경우, 구매자 단말(400)의 지갑주소를 저작물에 시각적으로 삽입함으로써 구매자가 유포할 경우를 대비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무단유포에 대한 신고가 접수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알림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투표 진행 수수료를 지급하며 투표를 요청하는 경우 투표자 단말(500)로부터 투표를 받고 결과에 따라 유포자나 무권리자에게 손해배상을 지급하도록 하고, 투표결과에 대응하는 투표를 진행한 투표자 단말(500)로 수수료를 배분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작물을 조회하거나 구매하는 조회자, 구매예정자 또는 구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구매자 단말(400)은 조회를 하기 위해서 지갑주소를 등록한 후 엑세스권을 획득할 수 있고, 구매를 하는 경우 가상화폐를 지급하여 거래목적물인 저작물을 인도받는 구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투표 참가 수수료를 지불하고 투표에 참가하는 투표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투표자 단말(500)은 투표결과와 일치하는 투표를 한 경우 지불한 수수료를 환급받는 것에 더하여, 투표결과에 일치하지 않는 투표를 진행한 투표자의 수수료까지 배분받는 투표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블록생성부(320), 조회부(330), 거래중개부(340), 유포방지부(350), 삽입부(360), 무단유포알림부(370), 배상투표부(380), 변경투표부(390), 정당분배부(391), 차단부(393) 및 복제방지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경우 기 구축된 비밀 저장소에 저작물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블록체인 지갑주소를 입력하고, 저작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지갑주소만으로는 사용자 특정이 불가하고 비트코인 지갑주소의 경우 1 명의 사용자가 여러 개를 만들 수 있는 다중생성이 쉬우므로, 지갑주소를 입력받을 때, 최초 한 번은 주민등록번호 인증이나 휴대폰번호 인증을 통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인증을 거친 후, 저작물을 업로드하거나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100) 외에도 구매자 단말(40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저작권이란 창작물에 대해 복제라는 이용행위를 허락하거나 금지할 배타적 권리를 창작자에게 부여하는 법적 권리이다. 저작권은 무방식주의에 따라 특허권과는 달리 창작하는 순간 발생하고 별도의 등록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제로-워터마크(Zero-Watermark)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제로-워터마크란 원본 이미지 내부에 다른 정보를 삽입하는 대신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워터마크 방식을 의미한다. 또는, 지각 해시(Perceptual Hash)의 값이 유사한 경우 이미지의 재업로드를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지각 해시란 멀티미디어 파일의 지문과 같은 것으로 콘텐츠 인증, 이미지 위조, 유사도 판별 등에 이용된다. 블록체인에 지각 해시와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 해시값을 함께 업로드하는 경우, 블록체인에 업로드된 지각 해시를 비교하며 이미지 유사도를 판별해 원본성을 파악한 후 업로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원본검증을 위하여 저작물을 업로드받을 때, 사용자의 지갑주소도 함께 수신하므로, 이 지갑주소를 소유자의 기준으로 삼아 원저작자와 원본 여부를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업로드한 저작물인데, 저작물 내 타인의 지갑주소가 삽입되어 있다면 타인의 저작물로 판단할 수 있다.
블록생성부(320)는, 저작물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Hash)를 생성하고, 해시, 저장물이 저장된 비밀 저장소의 저장소 주소, 라이센스 타입 및 사용자 정보를 블록체인에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해시 알고리즘은 해시함수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인데, 해시 알고리즘은 결정론적 알고리즘으로 원본 데이터가 조금이라도 다를 경우 결괏값도 달라진다. 단, 원본 메시지를 알고 있는 경우 암호문을 생성하는 것은 빠르고 쉽게 처리된다. 해시함수의 필수적 요소로는 역상 저항성, 제 2 역상 저항성, 충돌 저항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해시는 입력값을 수정하는 공격이나 해시만으로 원본을 찾기 어렵거나 다른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입력값을 찾는 것이 어렵도록 보장된다. 단 해시 알고리즘의 형태에 따라 각 요소 간 차이가 발생할 수는 있다.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은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일방향 해시함수(One Way Hash Function)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해시함수는 디지털 서명, 메시지 인증 코드 등 정보보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무결성을 검증하는 과정은 이하 표 1과 같을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 →전송→ 디지털 콘텐츠
해시함수 해시함수
해시코드 해시코드
└→ 비교 ←┘
<해시함수 반복>
해시함수의 반복원리는 MD(Merkle-Damgard) 혹은 도메인 확장이나 운영 모드라고도 한다. 고정된 입출력 크기를 갖는 함수를 이용하여 임의의 입력을 다루는 해시함수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고정된 입출력 크기를 갖는 함수를 압축함수라 한다. 압축함수가 충돌 저항성을 가질 경우 MD 방식으로 구성된 해시함수도 적절한 패딩(Padding)을 사용함을 전제로 충돌 저항성을 동일하게 가져갈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짧은 메시지 블록으로 분해되며, 이 후 한번에 하나씩 설계된 압축함수를 직렬로 연결하여 메시지 블록을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패딩의 경우 주어진 메시지에 일정 패딩 블록을 추가하는 형태로 MD-Strengthening 라고 불리며, SHA-1의 경우 이를 적용하면, 일반적으로 메시지의 맨 끝에 반드시 1을 붙인 후 0을 연접하여 전체 블록이 압축함수의 메시지 블록길이의 배수가 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나머지 64비트는 메시지의 길이로 채우는데, 출력 직전에 메시지의 길이가 추가된다. 이 같은 원리를 통해 해시는 고정된 출력 값을 가지면서 다른 입력값에 같은 출력값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SHA>
SHA(Secure Hash Algorithm)는, TLS, SSL, PGP, SSH, IPSec 등 많은 보안 프로토콜과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었는데, 취약점이 발견된 이후 SHA-256으로 교체되었다. 현재 표준인 SHA-256은 다른 SHA-2 패밀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64 라운드의 해시연산을 수행하며 연산결과로 출력되는 값은 256비트의 고정된 값을 출력하며, 이를 메시지 다이제스트라 한다. SHA-1 및 SHA-2까지는 블록이나 반복의 차이가 있을 뿐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SHA-256은 압축을 기반으로 8 개의 32비트를 업데이트 하며 그에 따른 상태변수가 존재하고, 업데이트를 총 64번 반복하는 형태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완성한다. 단계 변환을 위한 비트 불리언 함수인 fmaj와 fIF, 두 개의 선형 함수(Σ)가 등장하며 이를 통해 값을 변경하고 압축을 수행한다. 여기서, ROTR은 x를 n 위치만큼 오른쪽으로 비트회전 하는 것이다.
Figure 112023020380620-pat00001
전체적으로, i 번째 단계는 고정된 상수 Ki와 Wi를 사용하며, Wi는 이전에 생성된 메시지로 값을 취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어떤 길이의 입력값이 들어와도 동일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조회부(330)는, 구매자 단말(400)에서 저작물을 조회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400)로 엑세스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조회부(330)는, 구매자가 스크린캡쳐 등을 한 후 무단배포 또는 이용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부(360)에서 후술하겠지만 구매자 단말(400)의 지갑주소를 시각적으로 저작물에 삽입한 후 구매자 단말(400)로 조회를 허용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워터마킹 외에도 데이터 은닉(Data Hiding)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 은닉>
일반적으로 정보은닉기법은 이미지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등을 기반으로 비밀자료를 송수신할 때 이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는 시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므로, 이미지 콘텐츠를 기반으로 설명하고, 구매자가 구매 전 열람만 한 상태로 복제한 후 무단배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지갑주소를 이용하므로 비밀자료는 지갑주소로 대체하기로 한다. 이미지 콘텐츠를 사용하여 비밀자료를 송수신하는 이미지 기반의 정보은닉 기법에서는 지갑주소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원본 이미지를 커버 이미지(Cover Image)로 정의하고 지갑주소가 삽입된 이미지를 스테고 이미지(Stego Image)로 정의한다. 이러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은닉 기법에는 대표적으로 ① LSB 기법과 ② PVD(Pixel Value Differencing) 기법이 있다. ① LSB 기법은 픽셀의 최소 유효 비트(Least Significant Bits)에 비밀자료를 삽입하는 기법으로써 사람의 시각체계가 MSB(Most Significant Bits) 영역의 변화에는 민감하지만 LSB 영역의 변화에는 민감하지 않다는 것을 이용하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LSB 영역의 하위 3비트까지는 사람의 육안으로 이미지의 왜곡을 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② PVD 기법은 인접한 두 픽셀의 차이 값을 이용하여 비밀자료를 삽입하는 기법으로써 차이 값이 클수록 더 많은 비밀자료를 삽입할 수 있다.
LSB 기법과 PVD 기법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은닉 기법들이 존재하지만, 정보은닉 기법에서는 비밀자료의 삽입 및 추출 이후에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원본 이미지의 왜곡에 민감한 예술 영역 등에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비밀자료의 삽입 및 추출 이후에도 이미지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는 가역 정보은닉(Reversible Data Hiding)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가역 정보은닉 기법은 대표적으로 ① HS(Histogram Shifting)기법과 ② PVO(Pixel Value Ordering)기법으로 분류되는데, ① HS 기법은 히스토그램을 이용해서 지갑주소를 삽입하는 기법으로써 이미지 픽셀에 대한 빈도수를 계산해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피크 포인트(Peak-Point)에 지갑주소를 삽입하는 기법이다. ② PVO 기법은 픽셀의 값들을 기준으로 정렬을 수행하고 예측되는 오차 값이 1과 -1인 경우에 지갑주소를 삽입하는 기법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창작물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에 지갑주소를 삽입한 후 무단배포 및 불법복제되는 경우 유포자나 복제자를 찾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래중개부(340)는, 구매자 단말(400)에서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구매하는 경우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지갑주소를 입력하여 저작물을 조회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저작물을 구매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경우 거래 발생시 거래 데이터가 네트워크 참여자의 컴퓨터에 저장되고, 각 참여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수시로 검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킹이 어렵다. 특히, 하나의 거래 데이터를 수정하게 되면, 그 거래가 포함된 블록을 수정해야 하고, 블록을 수정하게 되면, 블록과 연결된 블록체인 전체를 수정해야 하므로, 거래 기록을 조작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때, 구매자 단말(40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가상화폐를 송금하면, 거래 데이터가 담긴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을 네트워크 내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하며, 모든 참여자가 거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블록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고, 검증을 통과한 블록이 이미 구축된 블록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로 가상화폐가 송금완료된다. 이때, 블록의 구조나 트랜잭션에 대한 설명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블록 내 헤더(Header)에 이전 블록(Previous Block) 크기 필드(Field)에는 현재 블록 이전의 블록 헤더 부분을 해시한 값이 저장되는데, 이는 상술한 이미지를 해시함수로 해싱한 결과인 해시와 명칭은 같지만 다른 값이므로, 이 둘은 같지 않음을 분명히 한다.
유포방지부(350)는, 구매자 단말(400)에서 저작물을 조회할 때, 저작물에 구매자 단말(400)의 지갑주소를 삽입하여 구매자 단말(400)로 엑세스권을 부여할 수 있다.
삽입부(360)는, 저작물에 구매자 단말(400)의 지갑주소를 삽입할 때, 기 구축된 에지(Edge)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작물의 에지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에지에 픽셀(Pixel) 단위로 구매자 단말(400)의 지갑주소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저작물은 이미지,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일 수 있다. 검출된 에지는, 저작물이 그레이스케일(GrayScale)로 변환된 모든 픽셀에 대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미분한 결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표시되는 에지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의 사진이 에지검출 이전, 우측의 사진이 에지검출 이후이다. 우측의 사진 상에 에지인 흰색 라인에 픽셀 단위로 지갑주소를 삽입할 수 있다. 에지 검출 알고리즘은 다양한 알고리즘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1차 미분을 이용한 소벨 필터(Sobel Edge Detection Filter), 로버츠 필터(Roberts Edge Detection Filter), 프리윗 필터(Prewitt Edge Detection Filter)나, 2차 미분을 이용한 LoG (Laplacian of Gaussia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방법들은 전체 영상 영역에 대해 고정된 가중치 마스크를 적용하기 때문에 에지 검출의 처리 결과가 다소 미흡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 내의 중심화소를 고려한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에지 검출>
우선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인 저작물에 3×3 크기의 필터링 마스크를 수학식 2와 같이 설정한다.
Figure 112023020380620-pat00002
그 다음, 마스크 내의 중심화소를 고려하기 위해 수학식 2의 중심화소값인m5를 포함하여 8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학식 3으로 정의한다.
Figure 112023020380620-pat00003
그리고 나서, 화소의 분포를 고려하기 위해 수학식 2에서 설정한 필터링 마스크 내의 표준편차 값과, 수학식 3의 각 영역에 대한 평균값을 각각 구한다. 각 영역에 대한 평균값을 방향에 맞게 4 개의 쌍으로 묶어 편차를 절댓값을 포함하여 각각 구한 후, 그 중 Max 값을 선택한다. 만약, Max 값이 0인 경우에는, 중심화소를 포함한 새로운 영역을 설정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평균값과 중심화소의 값에 대한 편차를 절댓값을 포함하여 구한다. 그리고 나서, 최종 출력은 Max 값과, 설정한 필터링 마스크 내의 표준편차 값의 곱 연산을 하여 구한다. 만약, Max 값이 0이라면, 중심화소를 포함한 새로운 영역을 설정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이렇게 처리를 하는 경우, 불분명하고 흐릿했던 에지 검출 부분들이, 전처리 후 영상에 대해 비교적 또렷하고 선명할 뿐 아니라, 잡음도 많이 제거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무단유포알림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저작물에 대한 무단유포 신고가 접수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무단유포 신고를 전달할 수 있다. 신고 외에도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인공지능 또는 딥러닝을 이용하거나, 삽입된 지갑주소와 게시자의 지갑주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모니터링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배상투표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무단유포에 대한 유포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부터 투표를 받아 결과를 집계하고, 투표의 결과가 사용자 단말(100)의 손해배상 청구 인용인 경우, 유포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때, 투표를 요청하거나 참여하는 사람에게는 수수료를 요청하는데, 그 이유는 무분별한 투표의 진행 또는 참여를 막기 위해서다. 이렇게 모인 수수료는 민사재판에서 이긴 자에게 변호사비까지 부담하게 하는 것과 같이, 투표결과에 대응하는 투표를 한 투표자에게 수수료를 배분하도록 함으로써, 투표자도 허위투표가 아닌, 진실한 것으로 믿는 쪽에 투표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 A 게시물이 B 사용자의 것이라는 것을 아는 경우, 자신의 수수료를 회수하고 이에 더하여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A 게시물이 B 사용자라는 것에 투표를 해야 한다. 이렇게 각 투표자 및 사용자가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 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권리의 귀속이나 손해배상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변경투표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저작물에 무권리자 단말의 지갑주소가 삽입되어 재배포되고, 재배포된 저작물에 대하여 저작권자 변경 청구의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부터 투표를 받아 결과를 집계하고, 투표의 결과가 사용자 단말(100)의 변경 청구 인용인 경우, 재배포된 저작물에 사용자 단말(100)의 지갑주소를 삽입하며, 무권리자 단말에서 지급받은 대금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변경투표부(390)는 무권리자가 재배포로 얻은 수익이 있다면 손해배상의 법리를 그대로 적용하여 배상투표부(380)처럼 손해배상액을 산정하고 청구를 할 수도 있다. 이때, 지식재산권 침해에 의한 손해액을 산정하는 경우에는 법적인 최소한의 로열티 금액으로 실시료상당액(Reasonable Royalty)을 사용하는데, 실시료 상당액은 침해가 발생한 시점에서 침해자가 침해를 하지 않고 로열티 계약을 하였다고 가정할 때의 가상 협상(hypothetical Negotiation)에서의 로열티율일 수 있다. 다만, 기준 법리를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플랫폼의 약관에서 별도로 정한 손해배상액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기준 법리보다 낮은 금액으로 산정할 수는 없다.
정당분배부(391)는, 투표를 개시하는 사용자 단말(100)과, 투표에 참여하는 투표자 단말로부터 수수료를 결제받고, 투표의 결과와 일치하는 투표를 한 투표자 단말로 투표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투표를 한 투표자 단말의 수수료를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와 B 간 분쟁에서, A에 투표를 한 100 명의 투표자와, B에 투표를 한 50 명의 투표자가 존재하는데, A의 청구가 인용된 경우라면, 총 합인 150 명의 수수료를 A에 투표를 한 100 명의 투표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A에 투표를 한 100 명의 투표자의 수수료를 그대로 반환해준 후, B에 투표를 한 50 명의 수수료를 100 명의 투표자에게 배분할 수도 있다. 이는 플랫폼의 약관이나 규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차단부(393)는, 손해배상 청구 인용이 나온 이후에, 유포자의 손해배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유포자의 유포자 단말에서 저작물을 조회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거나, 유포자 단말에서 유포한 저작물을 삭제처리할 수 있다.
복제방지부(395)는, 구매자 단말(400)에서 구매를 하기 전 조회에 대한 엑세스권만을 획득한 상태에서 저작물을 저장 또는 복사하려는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저장을 차단하거나 복사할 때 구매자 단말(400)의 지갑주소를 확대하여 삽입된 상태로 복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로트러스트모델(Zero-Trust Model)에 따르면 그 누구도 믿지 말라는 보안모델을 주창하는데, 예를 들어, 화면 자체를 사진을 찍거나, 인쇄를 하거나, 프린트스크립트로 화면 자체를 캡쳐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자체를 막을 수 있도록 [PrtSc] 키가 눌린 후 [Ctrl+V] 키가 눌리기 이전 클립보드에 로딩만 된 상태에서 PrtSc된 화면 내 지갑주소를 강제로 확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막상 붙여넣기를 할 때에는 지갑주소가 너무 크게 확대되어 이미지나 사진을 가리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 수 없도록 훼손시킬 수 있다. 물론, PrcSc 키를 비활성화시키거나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복사, 저장, 붙여넣기 등의 키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본적인 설정을 디폴트로 구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키가 활성화되었다면 캡쳐된 화면 자체를 훼손시킴으로써 유포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을 때 지갑주소도 함께 입력받고, 이를 비밀 저장소에 저장한 후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정보인 비밀 저장소 주소, 해시, 라이센스 타입, 사용자 정보, 지갑주소를 블록체인에 블록을 생성하여 등록한다. (b) 그리고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400)에서 조회를 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400)의 지갑주소를 (c)와 같이 저작물의 에지에 삽입한 후 제공함으로써 혹시모를 구매자의 유포를 막고, 유포를 하더라도 최초 유포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지갑주소가 에지에 픽셀단위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추출 및 추적하는 경우 구매자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d)와 같이 무단유포에 대한 신고가 접수되면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를 하고, 무단유포된 경우에는 도 3b의 (a)와 같이 손해배상에 대한 투표를, (b)와 같이 무권리자가 권리자인 것처럼 자신의 지갑주소를 넣어 재배포한 경우에는 저작권자 변경 투표를 진행하고, (c) 투표 결과에 따라 투표 수수료를 이긴 측에 제공함으로써 각 투표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도 사실인 쪽에 투표를 하도록 유도한다. 또,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d)와 같이 조회를 하는 조회자의 키스트로크 또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복제하려는 이벤트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무단복제 및 유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경우 기 구축된 비밀 저장소에 저작물을 저장한다(S5100).
그리고,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저작물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Hash)를 생성하고, 해시, 저장물이 저장된 비밀 저장소의 저장소 주소, 라이센스 타입 및 사용자 정보를 블록체인에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5200).
또,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매자 단말에서 저작물을 조회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로 엑세스권을 부여하고(S5300), 구매자 단말에서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구매하는 경우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여 기록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블록체인 지갑주소를 입력하고,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입력하여 상기 저작물을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상기 저작물을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경우 기 구축된 비밀 저장소에 상기 저작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작물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Hash)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 상기 저작물이 저장된 비밀 저장소의 저장소 주소, 라이센스 타입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블록생성부,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저작물을 조회하는 경우 상기 구매자 단말로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조회부,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지갑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하여 구매하는 경우 거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거래중개부, 기 구축된 에지(Edge)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작물의 에지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에지에 픽셀(Pixel) 단위로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저작물에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삽입하는 삽입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무단유포에 대한 유포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부터 투표를 받아 결과를 집계하고, 상기 투표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손해배상 청구 인용인 경우, 상기 유포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배상투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저작물에 무권리자 단말의 지갑주소가 삽입되어 재배포되고, 재배포된 저작물에 대하여 저작권자 변경 청구의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부터 투표를 받아 결과를 집계하고, 상기 투표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변경 청구 인용인 경우, 상기 재배포된 저작물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삽입하며, 상기 무권리자 단말에서 지급받은 대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변경투표부를 포함하는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물은 이미지,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구매자 단말 각각은,
    지갑주소만으로는 사용자 특정이 불가하고 비트코인 지갑주소의 경우 1 명의 사용자가 여러 개를 만들 수 있는 다중 생성이 쉬우므로, 지갑주소를 입력받을 때, 최초 한 번은 주민등록번호 인증이나 휴대폰번호 인증을 통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인증을 거친 후, 저작물을 업로드하거나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회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저작물을 조회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를 통해 저작물을 조회하는 구매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상기 저작물의 에지에 삽입한 이후에 구매자 단말로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갑주소가 삽입된 저작물에 대한 조회를 허용함으로써, 구매자가 상기 저작물을 스크린캡쳐 한 후 무단배포 또는 이용하는 경우가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에지에 포함된 지갑주소의 추적을 통해 구매자를 추적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저작물의 에지에 지갑주소를 삽입할 때에, 정보은닉 기법의 경우 지갑주소의 삽입 및 추출 이후에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지갑주소의 삽입 및 추출 이후에도 이미지의 복원이 가능한 가역 정보은닉 기법으로서, 히스토그램을 이용해서 지갑주소를 삽입하되, 이미지 픽셀에 대한 빈도수를 계산해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피크 포인트(Peak-Point)에 지갑주소를 삽입하는 기법인 HS(Histogram Shifting)기법을 이용하거나, 픽셀의 값들을 기준으로 정렬을 수행하고 예측되는 오차 값이 1과 -1인 경우에 지갑주소를 삽입하는 PVO(Pixel Value Ordering)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검출된 에지는, 상기 저작물이 그레이스케일(GrayScale)로 변환된 모든 픽셀에 대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미분한 결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표시되는 에지이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에지의 검출시 잡음이 제거되고 선명한 에지 검출의 처리 결과를 얻기 위해 마스크 내의 중심화소를 고려한 필터를 이용하되,
    디지털 콘텐츠인 저작물에 3×3 크기의 필터링 마스크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설정하고, 그 다음 마스크 내의 중심화소를 고려하기 위해 수학식 1의 중심화소값인 m5를 포함하는 8 개의 영역을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정의하고,
    이후, 화소의 분포를 고려하기 위해 수학식 1에서 설정한 필터링 마스크 내의 표준편차 값과, 수학식 2의 각 영역에 대한 평균값을 각각 구하고, 각 영역에 대한 평균값을 방향에 맞게 4 개의 쌍으로 묶어 편차를 절댓값을 포함하여 각각 구한 후, 그 중 Max 값을 선택하고, 만약 Max 값이 0인 경우에는, 중심화소를 포함한 새로운 영역을 설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이후 평균값과 중심화소의 값에 대한 편차를 절댓값을 포함하여 구하고, 이후 Max 값과, 설정한 필터링 마스크 내의 표준편차 값의 곱 연산을 함으로써 최종 출력을 구하며,
    [수학식 1]

    [수학식 2]

    상기 배상투표부는,
    무분별한 투표의 진행 또는 참여를 막기 위해 투표를 요청하거나 참여하는 사람에게 수수료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의해 모인 수수료의 경우 투표결과에서 이긴 측에 대응하는 투표를 한 투표자에게 배분되도록 하고, 상기 배분을 통해서 투표자에게 허위투표가 아닌 진실로 믿는 쪽으로 투표를 하도록 유도하고 각 투표자가 자신의 이익을 고려해 권리의 귀속이나 손해배상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 변경투표부는,
    무권리자가 재배포로 얻은 수익이 있는 경우, 손해배상의 기준 법리를 그대로 적용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해 청구를 하거나, 또는 상기 기준 법리보다 낮은 금액으로 산정할 수 없다고 플랫폼의 약관에 정해진 손해배상액을 이용해 청구를 하는 것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저작물에 대한 무단유포 신고가 접수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무단유포 신고를 전달하는 무단유포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투표를 개시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투표에 참여하는 투표자 단말로부터 수수료를 결제받고, 상기 투표의 결과와 일치하는 투표를 한 투표자 단말로 상기 투표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투표를 한 투표자 단말의 수수료를 분배하는 정당분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손해배상 청구 인용이 나온 이후에, 상기 유포자의 손해배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유포자의 유포자 단말에서 상기 저작물을 조회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거나, 상기 유포자 단말에서 유포한 저작물을 삭제처리하는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구매를 하기 전 조회에 대한 엑세스권만을 획득한 상태에서 상기 저작물을 저장 또는 복사하려는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저장을 차단하거나 복사할 때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갑주소를 확대하여 삽입된 상태로 복사되도록 하는 복제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30023097A 2023-02-21 2023-02-21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7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097A KR102678245B1 (ko) 2023-02-21 2023-02-21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097A KR102678245B1 (ko) 2023-02-21 2023-02-21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8245B1 true KR102678245B1 (ko) 2024-06-26

Family

ID=9168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097A KR102678245B1 (ko) 2023-02-21 2023-02-21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82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742A (ko) * 2013-05-21 2014-12-01 한동관 이동통신 스크래치 선불 카드용 ussd 충전 코드 자동 생성/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983529B1 (ko) * 2019-01-08 2019-05-29 김보언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
KR20210032136A (ko) * 2019-09-16 2021-03-24 유건우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37274A (ko) * 2019-09-27 2021-04-06 구대근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37510A (ko) *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크리스피웨일즈 저작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55728A (ko) * 2021-05-17 2022-11-2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742A (ko) * 2013-05-21 2014-12-01 한동관 이동통신 스크래치 선불 카드용 ussd 충전 코드 자동 생성/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983529B1 (ko) * 2019-01-08 2019-05-29 김보언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
KR20210032136A (ko) * 2019-09-16 2021-03-24 유건우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37274A (ko) * 2019-09-27 2021-04-06 구대근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37510A (ko) *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크리스피웨일즈 저작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55728A (ko) * 2021-05-17 2022-11-2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1740B2 (en) Blockchain-based paperless documentation
US11250528B2 (en) Blockchain-based trusted platform
US11256820B2 (en) Blockchain-based service of process
US20180294957A1 (en) System for Recording Ownership of Digital Works and Providing Backup Copies
US11238549B2 (en) Blockchain-based judgment execution
US11900493B2 (en) Blockchain-based dispute resolution
CN110795753B (zh) 文件安全保护***、文件安全分享方法及安全阅读方法
CN105701367A (zh) 互联网原创商业作品保全***
WO2020087877A1 (zh) 一种隐私信息溯源取证方法、装置及***
CN108881230B (zh) 一种政务大数据的安全传输方法及装置
Chander et al. Cyber laws and IT protection
CN114303129A (zh) 文档认证方法和***
KR20200018159A (ko) 사진 위변조 및 도용 방지 방법
Gupta et al. An insight review on multimedia forensics technology
Dong A method of image privacy protection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CN113077264A (zh) 一种基于区块链与时间戳技术的版权保护方法及***
CN110750576A (zh) 基于区块链的纸电合一凭证的查询方法、***及存储介质
KR102678245B1 (ko)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Chenli et al. Provnet: Networked blockchain for decentralized secure provenance
KR101327530B1 (ko) 중계서버에서의 불법 업로드 차단 장치 및 방법
Ramani et al. Blockchain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Wei Enhancing Copyright Protection of Online Literature using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Blockchain Technology
KR101302609B1 (ko) 불법 업로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678002B1 (ko) Nft 기반 영상 및 동영상 저작물 매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il An Approch for Management of Digital Crime Sc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