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8140B1 -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8140B1
KR102678140B1 KR1020220028903A KR20220028903A KR102678140B1 KR 102678140 B1 KR102678140 B1 KR 102678140B1 KR 1020220028903 A KR1020220028903 A KR 1020220028903A KR 20220028903 A KR20220028903 A KR 20220028903A KR 102678140 B1 KR102678140 B1 KR 10267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ssembly
gear
planetary gear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1691A (ko
Inventor
부상필
이연준
신충식
박일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140B1/ko
Priority to US17/867,035 priority patent/US20230279914A1/en
Priority to EP22185421.9A priority patent/EP4242486B1/en
Priority to CN202211011491.0A priority patent/CN116771829A/zh
Publication of KR2023013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36Helical cams, Ball-rotating r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48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stationary axes, e.g. spur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2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non-parallel stationary axes, e.g. worm or beve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캘리퍼바디와, 캘리퍼바디에 고정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과, 캘리퍼바디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브레이크패드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피스톤유닛과, 구동유닛과 연결되고, 구동유닛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달기어유닛 및 캘리퍼바디에 고정되고, 전달기어유닛의 회전에 연동되어 피스톤유닛을 진퇴 이동시키는 유성기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구동력에 의해 피스톤을 밀어 패드와 디스크를 밀착시키고, 패드와 디스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제동시키는 장치이다.
EMB(Electro mechanical Brake)는 유압을 사용하지 않고 캘리퍼에 모터 구동 액츄에이터가 직접 장착하여 기어, 스크류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피스톤을 가압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EMB는 능동 제동 및 휠별 독립 제동이 가능하여 일반 주제동 뿐만 아니라 ABS, ESC, TCS, AEB 등 각 부가기능 구현이 가능하며 유압 전달 딜레이가 없어 보다 높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EMB는 볼스크류를 통해 피스톤의 빠른 응답성과 높은 효율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볼스크류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자체적인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셀프 락킹이 불가능함에 따라, 모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패드와 피스톤의 반발력에 의해 제동력이 임의로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제동 장치에 의한 제동력 제공 후 주차 제동 장치로 제동 상태를 홀드하는 EPB 구조를 추가로 마련하고 있으나, EPB 구조를 EMB에 적용시키게 되면 주제동에 사용하기 위한 모터의 용량이 커지게되고, 기어의 감속비도 높아진다. 또한, 모터와 기어를 포함한 액츄에이터와 ECU까지 캘리퍼에 장착하게 되면 중량 증가로 인해 캘리퍼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며, 중량 쏠림으로 인하여 진동에도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8846호(2010.09.10 공개, 발명의 명칭: 주차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의 전반적인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며, 하중 쏠림 및 진동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캘리퍼바디; 상기 캘리퍼바디에 고정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캘리퍼바디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브레이크패드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피스톤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달기어유닛; 및 상기 캘리퍼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전달기어유닛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피스톤유닛을 진퇴 이동시키는 유성기어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캘리퍼바디는,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핑거부; 상기 브릿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핑거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유성기어유닛을 지지하는 조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반경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조립바디; 상기 조립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하는 제1조립부; 및 상기 조립바디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성기어유닛을 지지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조립부는, 상기 조립바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출력축이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조립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홀은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마주보게 배치되
또한, 상기 제1조립부는, 상기 구동유닛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기 안착홈과 상기 구동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조립부는 상기 조립바디로부터 상기 피스톤유닛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2조립부는 상기 피스톤유닛과 동축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유닛은, 상기 제2조립부에 고정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전달기어유닛에 맞물려 결합되는 선기어; 상기 링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선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전 및 공전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피스톤유닛으로 전달하는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기어는 내주면이 상기 제2조립부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링기어는 상기 제2조립부에 볼팅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립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달기어유닛 및 상기 유성기어유닛을 덮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구동유닛, 전달기어유닛 및 유성기어유닛이 조립부에 의해 캘리퍼바디에 직접 고정됨에 따라 기존 액추에이터 하우징 등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의 삭제가 가능하여 부품수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고,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캘리퍼바디의 중앙 영역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하중 쏠림 및 진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링기어가 제2조립부에 고정되어 유성기어유닛 전체적인 감속비를 상승시킴에 따라, 구동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의 크기를 배력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달기어유닛의 길이 또는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액추에이터의 전체적인 전장 축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구성을 도 4와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립부와 구동유닛의 결합 구조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1)는 캘리퍼바디(100), 구동유닛(200) 피스톤유닛(300), 전달기어유닛(400), 유성기어유닛(500), 파킹기어유닛(600), 구속유닛(700), 케이스(800)를 포함한다.
캘리퍼바디(100)는 토크 멤버(10)를 매개로 차체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구동유닛(200), 피스톤유닛(300), 전달기어유닛(400), 유성기어유닛(500), 구속유닛(700)을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캘리퍼바디(100)는 양측이 가이드핀(20)을 매개로 토크 멤버(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캘리퍼바디(100)는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캘리퍼바디(100)는 후술하는 피스톤유닛(300)가 브레이크패드(30)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퍼바디(100)는 브릿지부(110), 핑거부(120), 실린더부(130), 조립부(140)를 포함한다.
브릿지부(110)는 캘리퍼바디(100)의 상측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부(110)는 내측면이 브레이크 디스크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110)의 구체적인 형상 및 면적은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핑거부(120)는 브릿지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캘리퍼바디(10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부(120)는 브릿지부(110)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핑거부(120)는 내측면이 한 쌍의 브레이크패드(30) 중 브레이크 디스크를 기준으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브레이크패드(3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핑거부(120)는 캘리퍼바디(1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되어 브레이크패드(3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한다.
실린더부(130)는 브릿지부(1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캘리퍼바디(10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한다. 실린더부(130)는 후술하는 피스톤유닛(3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130)는 브릿지부(110)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실린더부(13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실린더부(130)는 개구된 측이 한 쌍의 브레이크패드(30) 중 브레이크 디스크를 기준으로 차량의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브레이크패드(3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조립부(140)는 실린더부(130)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하는 구동유닛(200), 전달기어유닛(400) 및 유성기어유닛(500)을 지지한다. 즉, 조립부(140)는 캘리퍼바디(100)에 대한 구동유닛(200), 전달기어유닛(400) 및 유성기어유닛(500)의 기계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조립부(140)에 의해, 구동유닛(200), 전달기어유닛(400) 및 유성기어유닛(500)은 기존 액추에이터 하우징 등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직접 캘리퍼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캘리퍼바디(100)의 중앙 영역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하중 쏠림 및 진동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구성을 도 4와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140)는 조립바디(150), 제1조립부(160), 제2조립부(170)를 포함한다.
조립바디(150)는 조립부(14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바디(150)는 실린더부(130)의 타측면, 즉 실린더부(130)가 브레이크패드(3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으로부터 실린더부(130)의 반경 방향 일측(도 4 기준 좌측)으로 연장되는 평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립바디(150)는 캘리퍼바디(100)의 제작 시 주물 성형에 의해 실린더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바디(150)의 구체적인 단면 형상은 도 4, 도 5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구동유닛(200), 전달기어유닛(400) 및 유성기어유닛(500)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1조립부(160)는 조립바디(150)의 일측에 구비되고, 구동유닛(200)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립부(160)는 안착홈(161), 삽입홀(162), 체결홀(163), 실링부재(164)를 포함한다.
안착홈(161)은 실린더부(130)와 마주보는 조립바디(150)의 내측면으로부터 조립바디(15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안착홈(161)은 도 4를 기준으로 조립바디(150)의 좌측에 배치된다. 안착홈(161)은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심축이 실린더부(13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안착홈(16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구동유닛(200)이 삽입되고, 바닥면에 구동유닛(200)의 전면부가 안착된다. 안착홈(161)의 직경 및 깊이는 후술하는 구동유닛(2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삽입홀(162)은 안착홈(16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삽입홀(162)은 중심축이 안착홈(161)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삽입홀(162)은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62)에는 후술하는 구동유닛(200)의 전면부로부터 연장되는 출력축(201)이 삽입된다. 삽입홀(162)의 직경은 출력축(201)의 직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체결홀(163)은 삽입홀(162)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조립바디(15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체결홀(163)은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61)을 직접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홀(163)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홀(163)은 삽입홀(162)로부터 삽입홀(162)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삽입홀(16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체결홀(163)에는 구동유닛(200)과 체결되어 구동유닛(200)을 안착홈(161)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65)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6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된 볼트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65)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체결홀(163)에 개별적으로 삽입된다. 체결홀(163)의 직경은 체결부재(165)의 직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실링부재(164)는 안착홈(161)과 구동유닛(200) 사이에 구비되고, 구동유닛(2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64)는 대략 링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안착홈(161)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실링부재(164)는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164)는 안착홈(161) 내부로 삽입된 구동유닛(200)의 전면부 둘레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구동유닛(200)과 안착홈(161)의 틈새를 밀폐하여 구동유닛(200)의 내부로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자체적인 탄성 변형에 의해 구동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다.
제2조립부(170)는 조립바디(150)의 타측에 구비되고, 유성기어유닛(500)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립부(170)는 조립바디(150)의 외측면로부터 후술하는 피스톤유닛(30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조립부(170)는 중심축이 피스톤유닛(30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조립부(170)와 후술하는 유성기어유닛(500)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유닛(200)은 캘리퍼바디(100)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200)은 차량의 배터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스테이터와 로터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원통형의 전동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의 전면부에는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되며 구동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201)이 돌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5를 참조하여 구동유닛(200)과 제1조립부(160)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구동유닛(200)은 출력축(201)이 안착홈(161)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전면부가 안착홈(161)의 내부로 삽입된다.
구동유닛(200)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출력축(201)은 삽입홀(162)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단부가 조립바디(15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안착홈(161)의 내부로 삽입된 구동유닛(200)은 전면부 가장자리가 실링부재(164)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된다.
체결부재(165)는 체결홀(163) 및 구동유닛(200)의 전면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구동유닛(200)의 전면부에 볼팅 결합된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립부와 구동유닛의 결합 구조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도 7을 참조하여 구동유닛(200)과 제1조립부(160)의 결합 구조의 변형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도 5에 도시된 구동유닛(200)과 제1조립부(160)의 결합 구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 구동유닛(200)에는 복수개의 플랜지부(2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210)는 구동유닛(200)의 외주면으로부터 구동유닛(20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플랜지부(210)는 구동유닛(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플랜지부(210)의 개수는 도 6, 도 7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체결홀(16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61)의 외곽 영역에서 조립바디(150)를 직접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플랜지부(2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체결홀(163)은 각각의 플랜지부(210)와 개별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구동유닛(200)의 전면부가 안착홈(161)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플랜지부(210)는 안착홈(161)의 외곽 영역을 따라 형성된 조립바디(15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체결부재(165)는 체결홀(163) 및 플랜지부(2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플랜지부(210)에 볼팅 결합된다.
피스톤유닛(300)은 캘리퍼바디(100),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130)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유닛(300)은 구동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실린더부(130)의 내부에서 진퇴 이동된다. 피스톤유닛(300)은 진퇴 이동 방향에 따라 브레이크 디스크로 향해 브레이크패드(3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며 차량에 제동력을 인가하거나 해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유닛(300)은 볼스크류(310), 볼너트(320), 전동체(330), 피스톤(340)을 포함한다.
볼스크류(310)는 구동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후술하는 유성기어유닛(500)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크류(310)는 대략 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실린더부(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볼스크류(310)는 길이 방향이 실린더부(1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볼스크류(3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전동체(330)의 일측 둘레가 안착되는 그루브가 형성된다. 이러한 그루브는 볼스크류(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연장되어 전동체(330)의 순환 경로를 마련한다. 볼스크류(310)는 후단부가 제2조립부(17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제2조립부(17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볼스크류(310)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유성기어유닛(500)의 캐리어(54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볼스크류(31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스플라인 치형이 형성되어 캐리어(540)의 내주면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스크류(310)는 캐리어(540)의 회전 시, 캐리어(540)와 함께 중심축을 축으로 축회전될 수 있다.
볼너트(320)는 볼스크류(310)의 회전에 연동되어 볼스크류(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너트(320)는 볼스크류(3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너트(320)는 내주면이 볼스크류(31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볼너트(320)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전동체(330)의 타측 둘레가 안착되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는 볼너트(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연장되어 전동체(330)의 순환 경로를 마련한다. 볼너트(320)는 볼스크류(310)의 회전 시, 전동체(330)의 순환 이동에 의해 볼스크류(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한다.
전동체(330)는 볼스크류(310)와 볼너트(320)의 사이에 구비되고, 양측이 각각 볼스크류(310)와 볼너트(320)에 구름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체(330)는 대략 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볼스크류(310)와 볼너트(320)의 사이에 설치된다. 전동체(330)는 양측 둘레가 각각 볼스크류(310)의 외주면과 볼너트(320)의 내주면에 형성된 그루브에 구름 접촉된다. 전동체(330)는 볼스크류(310)의 회전 시 그루브를 따라 순환 이동되며 볼스크류(310)의 회전 운동을 볼너트(320)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한다.
피스톤(340)은 볼너트(320)와 함께 직선 왕복 이동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브레이크패드(30)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340)은 실린더부(130)의 내부에서 실린더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340)은 후단부가 볼너트(320)의 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볼너트(320)와 함께 실린더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340)는 볼너트(320)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단부가 브레이크패드(30)와 접촉되고, 브레이크패드(30)를 브레이크 디스크로 향해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340)는 볼너트(320)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브레이크패드(30)로부터 분리되고, 브레이크패드(30)를 가압 해제하여 제동력을 해제한다.
전달기어유닛(400)은 구동유닛(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구동유닛(20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후술하는 유성기어유닛(50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기어유닛(400)은 제1전달기어(410), 제2전달기어(420)를 포함한다.
제1전달기어(410)는 구동유닛(200)의 출력축(201)에 연결되고, 구동유닛(200)의 출력축(201)과 함께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달기어(410)는 외주면에 치형이 구비되는 중공형의 헬리컬 기어, 스퍼 기어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달기어(410)는 중심축이 구동유닛(200)의 출력축(201)과 동축상에 배치된다. 출력축(201)은 제1전달기어(41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제1전달기어(410)는 구동유닛(200)의 동작 시, 구동유닛(200)의 출력축(201)과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된다.
제2전달기어(420)는 제1전달기어(410)와 맞물려 결합되고, 제1전달기어(41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달기어(420)는 외주면에 치형이 구비되는 중공형의 헬리컬 기어, 스퍼 기어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달기어(420)는 제1전달기어(410)와 후술하는 유성기어유닛(500)의 선기어(520)의 사이에 맞물려 결합된다. 제2전달기어(420)는 중심축이 제1전달기어(41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전달기어(420)는 별도의 회전축(미도시)를 매개로 조립바디(1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전달기어(420)는 제1전달기어(41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전달기어(420)는 제1전달기어(410)로부터 유성기어유닛(50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의 크기를 배력시킬 수 있다.
유성기어유닛(500)은 캘리퍼바디(100)에 고정되고, 전달기어유닛(4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피스톤유닛(300)을 진퇴 이동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500)은 링기어(510), 선기어(520), 유성기어(530), 캐리어(540)를 포함한다.
링기어(510)는 제2조립부(170)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선기어(520), 유성기어(530), 캐리어(54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링기어(510)는 기존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선기어(520), 유성기어(530), 캐리어(540)를 캘리퍼바디(100)에 대해 직접 지지할 수 있어 중량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링기어(510)는 제2조립부(170)에 고정되어 유성기어유닛(500)의 전체적인 감속비를 상승시킴에 따라, 구동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의 크기를 배력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달기어유닛(400)의 길이 또는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부(140)의 전장 축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기어(510)는 고정부(511), 감속부(512), 지지부(513)를 포함한다.
고정부(511)는 링기어(51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제2조립부(17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511)는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11)는 내부로 제2조립부(170)가 삽입된 상태에서 내주면이 제2조립부(170)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감속부(512)는 링기어(51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유성기어(530)과 맞물려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512)는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감속부(512)는 후술하는 유성기어(530)의 외주면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다. 감속부(512)는 중심축이 고정부(511)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고정부(511)와 감속부(512)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볼스크류(31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13)는 고정부(511)와 감속부(512) 사이에 구비되고, 후술하는 캐리어(54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13)는 고정부(511)와 감속부(512)의 경계선으로부터 링기어(5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원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13)의 중앙부에는 제2조립부(17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스크류(310)의 후단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514)이 형성된다.
선기어(520)는 링기어(5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달기어유닛(400)에 맞물려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기어(520)는 제1선기어(521), 제2선기어(522)를 포함한다.
제1선기어(521)는 제2전달기어(420)와 맞물려 결합되고, 제2전달기어(42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선기어(521)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선기어(521)는 개구된 측이 링기어(51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선기어(521)는 내부로 링기어(510), 보다 구체적으로 감속부(512)가 삽입되고, 내주면이 감속부(51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제1선기어(521)는 외주면에 기어치가 돌출 형성되어 제2전달기어(420)의 외주면에 맞물려 결합된다.
제2선기어(522)는 제1선기어(521)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하는 유성기어(530)와 맞물려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선기어(522)는 제1선기어(521)의 중앙부로부터 제1선기어(521)의 개구된 측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선기어(522)의 직경은 제1선기어(5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선기어(522)는 중심축이 제1선기어(521)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선기어(522)는 외주면에 기어치가 돌출 형성되어 유성기어(530)의 외주면에 맞물려 결합된다.
유성기어(530)는 링기어(510)와 선기어(520)에 맞물려 결합되고, 선기어(5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전 및 공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530)는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성기어(530)는 감속부(5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성기어(530)는 중심축이 감속부(512)의 중심축과 감속부(512)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감속부(512)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유성기어(530)는 일측 둘레가 감속부(512)의 내주면에 맞물려 결합되고, 타측 둘레가 제2선기어(522)의 외주면에 맞물려 결합된다. 유성기어(530)는 제2선기어(5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중심축을 축으로 자전함과 동시에 감속부(512)의 중심축을 축으로 공전한다. 유성기어(53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성기어(530)는 감속부(5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8에서는 유성기어(530)가 4개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유성기어(5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캐리어(540)는 유성기어(530)와 연결되고, 유성기어(530)의 회전력을 피스톤유닛(30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540)는 대략 원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부(513)와 유성기어(5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캐리어(540)에는 유성기어(530)와 연결되는 연결축(54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축(541)은 유성기어(530)와 마주보는 캐리어(54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541)은 중심축이 캐리어(54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연결축(541)은 유성기어(530)의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유성기어(530)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결축(541)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유성기어(530)를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결축(541)은 유성기어(530)의 공전 운동에 따른 회전력을 캐리어(54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540)는 유성기어(530)의 공전 시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캐리어(540)에는 볼스크류(310)와 연결되는 커플링부(54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부(542)는 캐리어(54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부(542)는 스플라인 치형이 형성된 볼스크류(310)의 후단부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플링부(542)는 내부로 볼스크류(310)의 후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스크류(310)의 후단부 외주면과 맞물려 결합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540)는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되며 볼스크류(31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500)의 변형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도 9에 도시된 유성기어유닛(50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변형예에서, 링기어(510)는 제2조립부(170)에 고정볼트(516)를 매개로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조립부(170)에는 제2조립부(170)의 외주면을 제2조립부(170)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홀(171)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1결합홀(171)은 제2조립부(17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결합홀(17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부(511)에는 고정부(511)의 외주면을 고정부(511)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홀(515)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2결합홀(515)은 고정부(5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제2결합홀(515)은 각각의 제1결합홀(171)과 동축상으로 정렬된다. 제2결합홀(515)의 직경은 제1결합홀(17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516)는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큰 볼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516)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볼트(516)의 타단부는 제2결합홀(515)과 제1결합홀(17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결합홀(17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볼트(516)의 타단부가 제1결합홀(171)과 완전히 결합됨에 따라 고정볼트(516)의 일단부는 제2결합홀(515)의 내부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고정볼트(516)는 링기어(510)를 제2조립부(170)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선기어(52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파킹기어유닛(600)은 구동유닛(20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달기어유닛(400)과 함께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기어유닛(600)은 제1전달기어(410)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구동유닛(200)의 출력축(201)의 단부에 끼워진다. 파킹기어유닛(600)은 출력축(201)의 회전 시, 중심축을 축으로 제1전달기어(410)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기어유닛(600)은 기어비에 의해 회전력이 배력된 제2전달기어(420) 또는 유성기어유닛(500)과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후술하는 구속유닛(700)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파킹기어유닛(600)의 외주면에는 파킹기어유닛(60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파킹돌기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파킹돌기는 파킹기어유닛(6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속유닛(700)은 파킹기어유닛(60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파킹기어유닛(600)과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파킹기어유닛(60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속유닛(700)은 주차 제동 시, 피스톤유닛(300)이 브레이크패드(30)를 가압한 상태에서 파킹기어유닛(600)과 체결되어 파킹기어유닛(600), 전달기어유닛(400) 및 유성기어유닛(500)의 회전을 제한한다. 또한, 구속유닛(700)은 주차 제동 해제 시, 파킹기어유닛(600)과 분리되어 파킹기어유닛(600), 전달기어유닛(400) 및 유성기어유닛(5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구속유닛(700)은 주차 제동 시, 구동유닛(200)으로부터 회전력의 발생이 중지되더라도 피스톤유닛(300)과 브레이크패드(30)의 반력에 의해 전달기어유닛(400) 및 유성기어유닛(500)이 임의로 회전되며 제동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유닛(700)은 파킹구동유닛(710), 구속로드(720), 구속부재(730)를 포함한다.
파킹구동유닛(710)은 캘리퍼바디(100), 보다 구체적으로 조립부(14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구동유닛(710)은 차량의 배터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스테이터와 로터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구속로드(720)는 파킹구동유닛(71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진퇴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로드(7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파킹기어유닛(600)과 파킹구동유닛(710)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속로드(720)는 파킹기어유닛(600)과 마주보는 일측이 파킹구동유닛(710)의 출력축과 나사 결합되어 파킹구동유닛(71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속로드(720)는 길이 방향이 파킹기어유닛(600)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구속부재(730)는 구속로드(720)로부터 연장되고, 구속로드(7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파킹기어유닛(600)과 체결 또는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재(730)는 파킹기어유닛(600)과 마주보는 구속로드(72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파킹기어유닛(600)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다. 구속부재(73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구속부재(730)는 구속로드(7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구속부재(730)는 주차 제동 시 구속로드(720)가 파킹기어유닛(600)을 향해 전진 이동됨에 따라 파킹기어유닛(6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킹돌기와 걸림 결합되어 파킹기어유닛(600)의 회전을 제한한다. 또한, 한 쌍의 구속부재(730)는 주차 제동의 해제시 구속로드(720)가 파킹기어유닛(6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됨에 따라 파킹돌기와 분리되어 파킹기어유닛(600)의 회전을 허용한다. 구속부재(73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도 2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파킹기어유닛(600)과 걸림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케이스(800)는 조립부(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달기어유닛(400), 유성기어유닛(500) 및 구속유닛(700)을 커버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800)는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 전달기어유닛(400), 유성기어유닛(500) 및 구속유닛(7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800)는 내부가 비어있고, 일측이 개구된 덮개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800)의 단면은 조립바디(15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케이스(800)는 개구된 측이 조립바디(15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나사 등에 의해 조립바디(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조립바디(150)와 케이스(800)의 접촉 영역 사이에는 오링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 케이스(800)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10 : 토크 멤버
20 : 가이드핀 30 : 브레이크패드
100 : 캘리퍼바디 110 : 브릿지부
120 : 핑거부 130 : 실린더부
140 : 조립부 150 : 조립바디
160 : 제1조립부 161 : 안착홈
162 : 삽입홀 163 : 체결홀
164 : 실링부재 165 : 체결부재
170 : 제2조립부 171 : 제1결합홀
200 : 구동유닛 201 : 제1출력축
210 : 플랜지부 300 : 피스톤유닛
310 : 볼스크류 320 : 볼너트
330 : 전동체 340 : 피스톤
400 : 전달기어유닛 410 : 제1전달기어
420 : 제2전달기어 500 : 유성기어유닛
510 : 링기어 511 : 고정부
512 : 감속부 513 : 지지부
514 : 관통홀 515 : 제2결합홀
516 : 고정볼트 520 : 선기어
521 : 제1선기어 522 : 제2선기어
530 : 유성기어 540 : 캐리어
541 : 연결축 542 : 커플링부
600 : 파킹기어유닛
700 : 구속유닛 710 : 파킹구동유닛
720 : 구속로드 740 : 구속부재
800 : 케이스

Claims (13)

  1. 차체에 고정되는 캘리퍼바디;
    상기 캘리퍼바디에 고정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캘리퍼바디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브레이크패드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피스톤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달기어유닛; 및
    상기 캘리퍼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전달기어유닛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피스톤유닛을 진퇴 이동시키는 유성기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퍼바디는,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핑거부;
    상기 브릿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핑거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유성기어유닛을 지지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반경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조립바디;
    상기 조립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하는 제1조립부; 및
    상기 조립바디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성기어유닛을 지지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기어유닛은,
    상기 제2조립부에 고정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전달기어유닛에 맞물려 결합되는 선기어;
    상기 링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선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전 및 공전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피스톤유닛으로 전달하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링기어는,
    내부로 상기 제2조립부가 삽입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내주면이 상기 유성기어와 맞물려 결합되는 감속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감속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링기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부는,
    상기 조립바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출력축이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조립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부는,
    상기 구동유닛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기 안착홈과 상기 구동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부는 상기 조립바디로부터 상기 피스톤유닛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부는 상기 피스톤유닛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내주면이 상기 제2조립부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제2조립부에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달기어유닛 및 상기 유성기어유닛을 덮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20220028903A 2022-03-07 2022-03-07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2678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03A KR102678140B1 (ko) 2022-03-07 2022-03-07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US17/867,035 US20230279914A1 (en) 2022-03-07 2022-07-18 Brake apparatus for vehicle
EP22185421.9A EP4242486B1 (en) 2022-03-07 2022-07-18 Brake apparatus for vehicle
CN202211011491.0A CN116771829A (zh) 2022-03-07 2022-08-23 车辆制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03A KR102678140B1 (ko) 2022-03-07 2022-03-07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691A KR20230131691A (ko) 2023-09-14
KR102678140B1 true KR102678140B1 (ko) 2024-06-26

Family

ID=8265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903A KR102678140B1 (ko) 2022-03-07 2022-03-07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9914A1 (ko)
EP (1) EP4242486B1 (ko)
KR (1) KR102678140B1 (ko)
CN (1) CN1167718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774A (ja)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電動ブレーキ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846A (ko) * 2009-03-02 2010-09-10 주식회사 만도 주차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KR101240894B1 (ko) * 2010-09-30 2013-03-1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디스크브레이크
KR20120125679A (ko) * 2011-05-09 2012-11-1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20150068566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2228030B1 (ko) * 2014-07-31 2021-03-1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브레이크
DE112018005504T5 (de) * 2017-10-13 2020-07-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 Bremseinrichtung
KR20210002011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만도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시스템
KR20210083671A (ko) * 2019-12-27 2021-07-07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774A (ja)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電動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691A (ko) 2023-09-14
US20230279914A1 (en) 2023-09-07
EP4242486B1 (en) 2024-07-03
EP4242486A1 (en) 2023-09-13
CN116771829A (zh)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4033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10865842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9835214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10024375B2 (en) Electronic disc brake
KR100819087B1 (ko)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US20220297660A1 (en) Electric parking brake
KR102678140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2672342B1 (ko)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1407469B1 (ko)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US20230286484A1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20220008858A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캘리퍼
KR20200094379A (ko) 전기기계식 브레이크용 엑츄에이터
KR100885813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2004308695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266304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2401768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2609023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US20230082813A1 (en) Electric parking brak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4308697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2588379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JP2024078366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20220008857A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캘리퍼
KR101071087B1 (ko) 전동식 디스크브레이크
KR101221057B1 (ko) 전동식 디스크브레이크
KR20240088273A (ko)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