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7848B1 -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활용한 김치 - Google Patents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활용한 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848B1
KR102677848B1 KR1020210117038A KR20210117038A KR102677848B1 KR 102677848 B1 KR102677848 B1 KR 102677848B1 KR 1020210117038 A KR1020210117038 A KR 1020210117038A KR 20210117038 A KR20210117038 A KR 20210117038A KR 102677848 B1 KR102677848 B1 KR 102677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kimchi
strain
plantarum
paracase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989A (ko
Inventor
엄현주
윤향식
김인재
김영호
한남수
Original Assignee
충청북도(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북도(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청북도(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1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8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3Ferment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막걸리 등에서 내산성, 내담즙성, 항염증 우수 프로바이오틱스 후보 유산균을 선발하고, 상기 유산균을 적용한 김치를 제조하여, 품질이 균일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이 우수한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활용한 김치{Probiotics for fermenting kimchi and kimchi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김치, 막걸리 등에서 내산성, 내담즙성, 항염증 우수 프로바이오틱스 후보 유산균을 선발하여, 상기 유산균을 적용한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인체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살아있는 균으로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를 비롯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11종,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4종, 및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1종, 락토코커스(Lactococcus) 1종,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2종 총 19종이 식약처에 등록되어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상기 19종만을 고시형으로 프로바이오틱스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유산균 및 발효 복합물을 개발하여 현재까지 10종정도가 개별형으로 인증 받았으며 다양한 연구진이 다양한 유산균을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동물에서 유래하여 그것을 사람을 포함한 동물인 숙주에게 공급하여 항암, 항염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물에서 유래한 유산균과 비교하여 식물성에서 유래한 유산균은 많은 연구가 되어있지 않다.
김치는 배추를 기존 재료로 하여 다양한 채소들이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세계적인 식물성 발효식품으로, 풍부한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소비 트렌드와 김장 문화의 변화로 집에서 담궈먹는 김치보다는 상품화 김치 시장이 많이 확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김치 품질의 균일화, 규격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발효유제품처럼 아직까지 종균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초기 균수와 균종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효유제품과 같은 발효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 김치의 상업화를 위해서는 우수한 유산균을 활용하여 종균화가 되어야한다.
이에 김치에 적용 가능한 유산균을 종균화하여, 품질이 균일한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김치에서 잘 자라고, 내산성, 내담즙성을 가지며, 항염증, 항산화 효과가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선정하여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제조하고,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김치 제조 시 이용하여, 품질이 균일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이 우수한 김치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는 단계,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념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소금물에 절여둔 상기 배추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혼합된 상기 양념을 배추에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김치 제조방법은 상기 양념에 버무린 상기 배추를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효는 김치 내 유산균을 제외한 일반 세균 대비 유산균 함량이 100배 이상이 되도록 6주 이내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1℃ 내지 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김치보다 산도가 높은 신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은 신김치 제조 방법은,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는 단계,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념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소금물에 절여둔 상기 배추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혼합된 상기 양념을 배추에 버무리는 단계, 및 상기 양념에 버무린 배추를 2주 내지 8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4주 내지 8주 동안 수행되며, 상기 신김치의 총산도(%)는 0.7%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1℃ 내지 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김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치 또는 상기 신김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김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품질이 균일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이 우수한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김치, 막걸리, 효소액 등을 0.85 중량% NaCl로 희석하고 선택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단일 콜로니를 얻고, 시퀀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발효 기간에 따른 대조구와 10가지 균주의 흡광도(OD)값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LPS(Lipopolysaccharide)의 처리에 따른, LPS(Lipopolysaccharide) 처리구, PC(Positive control), 및 7가지 균주의 NO 생성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LPS(Lipopolysaccharide)의 처리에 따른, 대조구, LPS(Lipopolysaccharide) 처리구, 및 7가지 균주의 COX-2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PC(Positive control) 및 6가지 균주의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기재된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본 발명은 김치, 막걸리 등에서 내산성, 내담즙성, 항염증 우수 프로바이오틱스 후보 유산균을 선발하여, 상기 유산균을 적용한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산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C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MS-C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B3-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C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MCS-D,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ho,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C-A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C3,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J-E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kg,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CS-E,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S-D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B1-A,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B1-D,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B4-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B4-L,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MCS-F,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Ha,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hf,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sf,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De,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d,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Hd,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hc,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hi, 락토바실러스 파라부크네리(Lactobacillus parabuchneri) MS-C2, 락토바실러스 파라부크네리(Lactobacillus parabuchneri) ke, 락토바실러스 파라부크네리(Lactobacillus parabuchneri) kf,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Lactobacillus curvatus) Ya, 및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Lactobacillus curvatus) Y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제공한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산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는 pH 3.0 내지 pH 3.3에서 1시간 경과 후, 79% 내지 80%의 생존률을 나타낼 수 있고, pH 3.0 내지 pH 3.3에서 2시간 경과 후, 79% 내지 86%의 생존률을 나타낼 수 있고, pH 3.0 내지 pH 3.3에서 3시간 경과 후, 79% 내지 85%의 생존률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는 단계,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념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소금물에 절여둔 상기 배추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혼합된 상기 양념을 배추에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념은, 무 10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 쪽파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를 준비하는 단계, 무 15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및 양파 4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물과 찹쌀을 1:9(중량비) 내지 1:11(중량비)로 혼합하여 찹쌀풀을 준비하는 단계, 사과즙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에 고춧가루 8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까나리액젓 4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새우젓 30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매실액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다진 마늘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다진 생강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소금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건새우분말 2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멸치다시육수 140 중량부 내지 180 중량부, 및 상기 찹쌀풀 4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를 상기 무, 상기 쪽파, 분쇄한 상기 무, 분쇄한 상기 양파와 혼합하여 양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앙념을 20분 내지 40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김치 제조방법은 상기 양념에 버무린 상기 배추를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효는 김치 내 유산균을 제외한 일반 세균 대비 유산균 함량이 100배 이상이 되도록 6주 이내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8주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효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1℃ 내지 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균주가 활성을 갖고 발효를 할 수 있는 온도 범위 내라면 1℃ 이하, 10℃ 이상에서 발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김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김치의 경우 상기 균주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 대비 발효 8주차에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우수한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김치의 경우 상기 균주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 대비 발효 6주차 내지 8주차에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는 단계,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념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소금물에 절여둔 상기 배추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혼합된 상기 양념을 배추에 버무리는 단계, 및 상기 양념에 버무린 배추를 2주 내지 8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4주 내지 8주 동안 수행되며, 상기 신김치의 총산도(%)는 0.7%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1℃ 내지 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신김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김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를 포함한 김치의 경우 상기 균주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 대비 산도가 현저히 높으며, 이에 따른 신김치의 제조가 가능하다.
<실험예 1. 발효식품에서 락토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 선발>
<실험예 1-1. 락토바실러스 예상 균주 스크리닝>
시판되는 김치와 충북농업기술원 식품개발팀 연구원 가정에서 제조한 김장김치와 시판 살균하지 않는 막걸리 등 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현재 식약처에 고시되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는 대부분 락토바실러스이므로 락토바실러스 선택배지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자연발효조건에 다양한 균주에서 락토바실러스만 선발하였다.
도 4는 김치, 막걸리, 효소액 등을 0.85 중량% NaCl로 희석하고 선택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단일 콜로니를 얻고, 시퀀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료(김치, 막걸리, 효소액 등)를 스토마커로 분쇄하여 배수별로 희석(0.85 중량% NaCl)하였다. 이후 락토바실러스 선택 배지(LBS-media; Lactobacillus selection media)와 MRS 배지(media)에 아세트산(acetic acid)을 첨가하여 배지를 준비하였다. 첫 배양에는 락토바실러스 선택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계대배양에는 MRS 배지(media)를 사용하였다. 배양은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단일 콜로니를 얻을 때까지 계대배양하였다. 순수한 단일 콜로니를 얻은 후 그람염색 한 후 현미경 통해서 그람양성, 단간균 또는 간균인 콜로니들만 수집하고 아닌 경우 리스트에서 제거하였다. 상기 조건에 따라 수집된 균주는 16S rRNA 시퀀싱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2. 락토바실러스 예상 균주 동정>
실험예 1-1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예상 균주를 OD(optical density)값이 빠르고 현미경으로 본 세포의 모양 등을 통해 선발한 결과, 34가지 균주가 선발되었다. 선발된 분리균은 16S rRNA의 염기서열의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프라이머는 유니버설 PCR 프라이머(Universal PCR primer)인 27F (5-’AGAGTTTGATCMTGGCTCAG-3’) 1492R (5’-TACGGYTACCTTGTTACGACTT-3’)을 사용하였고, PCR은 초기 변성(initial denaturation) 5분, 94℃에서 45초간 변성 (denaturation), 55℃에서 60초간 풀림(annealing) 및 72℃에서 60초간 확장 사이클(extension cycle)을 35회 수행하였다. PCR산물의 염기서열은 ㈜솔젠트 (Daejeon, Korea)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계통도(Phylogenetic tree) 작성은 BLAST 네트워크 서비스(network service)와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서 얻은 다른 균종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RDP(Ribosomal Database Project)의 시퀀스 매치 프로그램(seqMatch program)에서 서열 일치도가 높은 표준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들을 얻었다. 그리고 DDBJ(DNA Data Bank of Japan)를 통해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후, 트리뷰(treeview)를 이용하여 이웃-결합 방법(neighbour-joining method)과 거리 매트릭스 데이터(distance matrix data)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표 1은 선발된 34가지 균주의 시퀀싱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명칭 시퀀싱 결과
C2 Lactobacillus fermentum
HJ-C1 Lactobacillus fermentum
MS-C1 Lactobacillus plantarum
B3-I Lactobacillus plantarum
C6 Lactobacillus plantarum
MCS-D Lactobacillus plantarum
ho Lactobacillus plantarum
HJ-Ki Lactobacillus plantarum
MC-A1 Lactobacillus paracasei
C3 Lactobacillus paracasei
MJ-E1 Lactobacillus paracasei
MO-C1 Lactobacillus paracasei
kg Lactobacillus paracasei
MCS-E Lactobacillus paracasei
MS-D1 Lactobacillus paracasei
B1-A Lactobacillus rhamnosus
B1-D Lactobacillus rhamnosus
B4-M Lactobacillus rhamnosus
B4-L Lactobacillus rhamnosus
MCS-F Lactobacillus brevis
Ha Lactobacillus brevis
hf Lactobacillus brevis
sf Lactobacillus brevis
De Lactobacillus brevis
Kd Lactobacillus sakei
Hd Lactobacillus sakei
hc Lactobacillus sakei
kc Lactobacillus sakei
hi Lactobacillus sakei
MS-C2 Lactobacillus parabuchneri
ke Lactobacillus parabuchneri
kf Lactobacillus parabuchneri
Ya Lactobacillus curvatus
Yb Lactobacillus curvatus
표 1을 참조하면, 모든 균주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퍼멘텀(fermentum) 2종, 플란타럼(plantarum) 7종, 파라카세이(paracasei) 6종, 람노서스(rhamnosus) 4종, 브레비스(brevis) 5종, 사케이(sakei) 5종, 파라부쉬네리(parabuchneri) 3종, 컬바투스(curvatus) 2종 이었다.
<실험예 1-3. 내산성 측정>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소화관을 통과해서 장까지 생존해야 한다. 선택배지와 그람양성 등 현미경 관찰에서 수집한 균주를 소화관 중 위와 같은 환경에서 장까지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산과 유사한 pH의 조건에서 내산성 확인을 하였다. 이를 위해 MRS 배지(broth)에 접종하여 37℃에서 3시간 배양방법으로 테스트하였다. 생존률 확인은 균주를 MRS 배지(broth) 20ml에 37℃ 24hr 배양 후 스프레딩(spreading) 하여 균주 수를 측정하는데, 염산(HCl)을 이용하여 pH 3.0로 보정하여 만든 MRS 배지(broth)에 1 중량% 접종하여 37℃의 온도 조건에서 1시간, 2시간, 3시간 배양 후 각각 스프레딩(spreading) 하여 균주 수를 측정하였다.
생존률(%) = pH 3.0 조건에서 1시간 배양한 균주/ 균주 수 * 100
표 2는 표 1에서 선발한 34가지 균주의 내산성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다.
명칭 시퀀싱 결과 1hr 2hr 3hr
C2 Lactobacillus fermentum 56.82 56.14 65.9
HJ-C1 Lactobacillus fermentum 79.81 79.03 79.31
MS-C1 Lactobacillus plantarum 70.38 72.46 74.85
B3-I Lactobacillus plantarum 53.67 48.89 49.47
C6 Lactobacillus plantarum 67.72 64.73 64.72
MCS-D Lactobacillus plantarum 62.55 60.45 59.82
ho Lactobacillus plantarum 82.32 85.35 84.5
HJ-Ki Lactobacillus plantarum 79.33 82.07 84.5
MC-A1 Lactobacillus paracasei 82.32 85.35 84.5
C3 Lactobacillus paracasei 83.5 87.53 86.33
MJ-E1 Lactobacillus paracasei 79.28 76.49 76.93
MO-C1 Lactobacillus paracasei 79.64 85.09 83.36
kg Lactobacillus paracasei 79.44 82.53 83.29
MCS-E Lactobacillus paracasei 78.82 81.49 85.21
MS-D1 Lactobacillus paracasei 79.36 81 80.72
B1-A Lactobacillus rhamnosus 74.36 72.2 79.64
B1-D Lactobacillus rhamnosus 58.57 6.81 60.27
B4-M Lactobacillus rhamnosus 65.28 65.62 63.87
B4-L Lactobacillus rhamnosus 72.13 69.82 67.77
MCS-F Lactobacillus brevis 78.89 8.9 86.67
Ha Lactobacillus brevis 83.74 86.35 86.35
hf Lactobacillus brevis 75.31 75.88 74.82
sf Lactobacillus brevis 74.51 75.8 74.7
De Lactobacillus brevis 73.71 71.31 71.05
Kd Lactobacillus sakei 85.59 83.9 81.54
Hd Lactobacillus sakei 83.74 85.83 87.09
hc Lactobacillus sakei 71.96 68.76 66.83
kc Lactobacillus sakei 63.34 64.27 57.07
hi Lactobacillus sakei 65.93 62.6 59.63
MS-C2 Lactobacillus parabuchneri 62.46 62.57 60.63
ke Lactobacillus parabuchneri 64.02 62.85 61.62
kf Lactobacillus parabuchneri 61.14 61.13 62.57
Ya Lactobacillus curvatus 72.26 70.53 71.89
Yb Lactobacillus curvatus 63.41 52.54 0
<실험예 1-4. 내담즙성 측정>
표 3은 황소의 담즙이 포함된 배지에 균주를 배양하여 내담즙성 생존률(%)을 측정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다.
명칭 내담즙성 생존률(%)
LGG  Lactobacillus rhamnosus 91.14
HJ-C1 Lactobacillus fermentum 85.05
MC-A1 Lactobacillus plantarum 90.97
Ho Lactobacillus plantarum 88.86
MS-C1 Lactobacillus plantarum 85.09
HJ-Ki Lactobacillus plantarum 96.15
MCS-E Lactobacillus paracasei 80.11
C3 Lactobacillus paracasei 79.36
B1-A Lactobacillus rhamnosus 77.32
Kg Lactobacillus paracasei 83.82
MCS-F Lactobacillus brevis 79.67
Ha Lactobacillus brevis 79.75
Kd Lactobacillus sakei 77.74
Hd Lactobacillus sakei 81.11
Ya Lactobacillus curvatus 94.68
Yb Lactobacillus curvatus 87.73
MO-C1 Lactobacillus paracasei 91.37
De Lactobacillus brevis 93.89
Sf Lactobacillus brevis 91.53
Hf Lactobacillus brevis 92.22
표 3에서 내산성 실험 3시간 뒤에 70% 이상 생육을 보이는 균주 중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의 종류와 내산성을 고려하여 19 균주를 선정하여 내담즙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강을 통해 섭취된 유산균은 위액(내산성 실험)을 통과한 뒤 담즙이 존재하는 십이지장을 거쳐 최종 목적 부위는 장에 도달해야 그 기능적인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내담즙성 테스트는 매우 중요하다. 0.3 중량% 황소의 담즙(Difco사, oxgall)이 포함되어 있는 MRS 배지(broth)에 균주를 1 중량%(OD 값 일정) 접종하여 37℃의 온도조건에서 6시간 배양한 후 스프레딩(spreading) 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생존률(%) = 0.3 중량% 황소의 담즙(oxgall) 조건에서 6시간 배양한 균주/ 균주 수 * 100
표 3을 참조하면, 담즙 조건하에서 대부분의 균주가 생존율이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프로바이오틱스 대조구로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LGG 균주를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LGG 균주는 내담즙 생존률이 91%로 나타났고, 분리균주 중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의 내담즙 생존률이 96%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대부분 80%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1-5. 김치모사배지에서 생육관찰>
내담즙성을 확인한 19가지의 분리균주 중 10개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만을 김치 종균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 실험으로 김치와 같은 유사한 환경에서 배양하여 생장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김치모사배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배추 700g, 무 200g, 부추 50 g, 생강 10g, 마늘 20g, 굵은 소금 60g, 피쉬 펩톤(Fish peptone) 5g 멸균 증류수를 준비하였다. 각각의 채소는 세척하고 적당한 사이즈로 절단하여 준비한 주재료와 굵은 소금을 믹서기에 넣고 5분간 분쇄하였다. 분쇄된 분쇄물은 깔때기를 이용하여 1L 시약병에 채우고 냉장고에서 24시간 동안 절여서 영양성분을 식물조직에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에 피쉬 펩톤(Fish peptone) 5g을 첨가한 뒤 70℃의 진탕 항온 수조(shaking water bath)에서 30분간 저온 살균한 뒤 7000rpm, 10분 조건에서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은 멸균수로 2배 희석하여 적절한 크기의 멸균 용기에 옮겨 보관하면서 실험하였다.
MRS 배지에서 전배양한 대조구(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ATCC8293)와 앞서 분리한 10개 균주는 김치모사배지에 접종하여 8℃인큐베이터에서 5일간 배양하였고 24시간마다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5는 발효 기간에 따른 대조구와 10가지 균주의 흡광도(OD)값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흡광도 측정 결과 대조구는 김치와 유사한 환경에서 급속하게 생육하여 발효 4일차까지 흡광도가 증가하여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가 발효 5일차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분리균주는 중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HJ-Ki 균주가 김치모사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여 김치원재료 및 낮은 온도에서 종균으로 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Ho 및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 균주가 김치와 유사한 조건에서 잘 생육하였으며, 분리균주 중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 균주의 생육은 발효 4일차 까지는 높은 활성을 유지하다가 발효 5일차에는 대조구 및 실험구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내산성, 내담즙성 및 김치모사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HJ-K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Ho,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 rhamnosus) B1-A 다섯균주를 최종 선정하였다.
<실험예 1-6. 세포주 및 배양조건>
쥐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은 한국세포주은행(KCLB; Korean Cell Line Bank,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았으며, 세포주는 10 중량% FBS(fatal bovine serum, Gibco, Waltham, Massachusetts, USA)과 1 중량%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penicillin-streptomycin, GenDEPOT, Katy, TX, USA)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 San Angelo, TX, USA) 배지에 넣고, 세포주는 37℃, 5% CO2 조건이 유지되는 배양기(Sanyo, Sakata, Japan)에서 배양하였다. 계대 배양은 세포가 플레이트에 80~90 중량% 정도 밀집(confluency)되었을 때 실시하였고 3~4번 계대 배양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1-7. 항염증 활성평가>
균주의 항염증 활성 평가는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가열 사멸된 균주의 효과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RAW 264.7 세포(5×105cfu )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고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모두 제거하고 FBS(fatal bovine serum)가 함유되지 않은 세럼-프리(serum-free) DMEM 160 μL와 시료 100 μL를 첨가한 이후 염증 유발 물질로 1 μg/mL의 대장균(Escherichia coli)으로부터 분리된 LPS(lipopolysaccharide from Escherichia coli, Sigma-Aldrich) 20 μL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well)의 배양 상층액을 동량의 그리스(Griess) 시약과 혼합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킨 뒤 540nm에서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농도는 아질산나트륨의 희석액을 표준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도 6은 LPS(Lipopolysaccharide)의 처리에 따른, LPS(Lipopolysaccharide) 처리구, PC(Positive control), 및 7가지 균주의 NO 생성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LPS 처리는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NO 생성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그러나 정조절(PC; positive control)로 NO 합성효소 억제제인 메틸 아르기닌(methyl arginine)을 처리한 경우, LPS군에 비해 NO생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B1-A 균주를 제외한 실험된 모든 균주들은 LPS 그룹에 비해 NO생성에 대한 유의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H0 균주는 LGG 균주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HJ-C1 균주, HJ-Ki 균주, MO-Ci 균주는 WCFS1 균주 보다 더 유의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RAW 247.7 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전구염증매개 효소인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양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를 6개의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이후 LPS(1 μ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트리졸 RNA 분리 시약(Trizol RNA isolation reagent)(Invitrogen, Carlsbad, USA)으로 RNA를 추출하였다. 리젠 익스프레스 제1 스트랜드 cDNA 합성 키트(LeGene Express 1st Strand cDNA Synthesis System Kit)(LeGene Biosciences, San Diego, CA, USA)를 사용하여 적절한 양의 RNA를 cDNA로 역전사 시켰다. COX-2의 발현 정도는 합성된 cDNA, 10pmol의 특정 프라이머 및 SYBR 그린 믹스(SYBR Green Mix)를 포함하는 PCR 마스터 믹스(PCR Master Mix)를 CFX96 실시간 PCR(CFX96 real-time PCR)(Bio-Rad, CA, USA)를 이용하여 실시간 유전자 정량 분석하였다.
도 7은 LPS(Lipopolysaccharide)의 처리에 따른, 대조구, LPS(Lipopolysaccharide) 처리구, 및 7가지 균주의 COX-2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은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를 참조 유전자로 하여 표준화(normalization)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적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수준은 델타-델타 Ct(ΔΔCt)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LPS 처리는 LPS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COX-2의 mRNA 발현 수준을 극적으로 증가시켰다. 실험된 모든 균주는 LPS 그룹에 비해 COX-2의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균주의 처리가 상업적인 프로바이오틱스인 WCFS1 및 LGG와 유사하게 COX-2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PGE2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1-8. 항산화 활성 측정>
앞서 실험한 5가지 분리균주의 프로바이오틱스로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 실험으로 항산화 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MRS 배지에서 키운 유산균들은 600nm 흡광도에서 배양액의 OD값이 1이 되도록 설정한 후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DPPH 활성은 0.4mM DPPH 용액을 흡광도 값이 1.3 내지 1.4가 되도록 배양액(10배로 희석)을 0.2mL에 DPPH(Sigma-Aldrich, USA) 용액 0.8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분광광도계(Cary UV- Vis spectrophotomete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할 때 셀에 분주되는 각 시료에 의한 흡광도의 차이는 증류수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보정해 주었고, 이때 전자공여능은 시료 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구하였다.
또한, ABTS 양이온 탈색 분석(ABTS+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7.4mM의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포닉산)(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Sigma-Aldrich, USA) 와 2.6mM의 포타슘 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Sigma-Aldrich, USA)를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켰다. 이 용액을 735nm에서 흡광도 값이 1.3 내지 1.4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104M-1cm-1)를 이용하여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용액 1mL에 10배로 희석한 배양액 상등액 50㎕를 가하여 735nm 흡광도에서의 변화를 정확히 30분 후에 측정하였으며, ABTS 라디칼의 소거활성은 시료 첨가구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흡광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도 8은 PC(Positive control) 및 6가지 균주의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서 PC(Positive control)로는 1 중량% 비타민C를 사용하였고, 또 다른 대조구로는 김치 스타터로 사용할 수 있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를 사용하였을 때, ABTS 라디컬 소거능의 경우는 대조구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 두 균주가 더 높은 값을 나타나내었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류코노스톡(Leuconostoc) 균주보다 모든 분리균주가 높은 값을 나타내 항산화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프로바이오틱스를 종균으로 첨가한 김치의 품질조사>
실험예 1에서 최종적으로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HJ-C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 균주를 김치에 첨가하여 발효과정에 따라 김치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실험예 2-1. 김치 제조>
최종 우수 유산균 3종(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HJ-C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 균주)과 유산균을 종균으로 첨가하지 않는 일반 김치는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김치용 배추(1,200g)는 적당한 크기로 썰어 소금물(75g/500mL)에 1시간 절이고, 양념재료에 들어갈 찹쌀풀(찹쌀1: 물10)을 쑤어 식혀두었다. 무(138g)는 채를 썰고 쪽파(75g)는 3cm 길이로 썰어 준비하였다. 양념을 만들기 위하여 무(173g), 양파(47g)는 갈고, 사과는 즙(39g)에 고춧가루(100g), 까나리액젓(45g), 새우젓(38g), 매실액(25g), 다진마늘(20g), 다진생강(2g), 소금(8g), 건새우분말(30g), 식혀둔 찹쌀풀(50g), 멸치다시육수(160g)를 섞어 양념을 30분가량 숙성시켰다. 절여둔 배추를 3번 씻어 30분 동안 물을 뺀 배추에 채썬 무, 쪽파, 양념을 넣어 버무렸다.
제조된 김치를 대조구, 실험구로 나누었다. 대조구에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 실험구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HJ-C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 균주를 각각 첨가하였다. 유산균은 김치모사배지에서 배양한 후 600nm 흡광도에서 1에 맞춰서 준비하고 배추 전체 무게 대비 5% 중량비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유산균을 첨가한 뒤 4℃에서 발효하면서 2주 간격으로 실험분석하였다.
<실험예 2-2. pH 및 산도 측정>
김치의 pH 측정은 시료 20g에 증류수 180mL를 넣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1시간 균질화 시키고 현탁액을 감압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pH 미터(pH meter)(Sartorius AG, Gottinge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산도는 AOAC(1995) 방법에 따라 추출액 10 mL에 1 중량%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을 지시약으로 하여 0.1 N NaOH용액으로 중화 적정하여 젖산(lactic acid)으로 나타내었다.
표 4는 제조한 4가지 김치의 pH를 측정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다.
pH 대조구(A) L. plantarum HJ-Ki(B) L. fermentum HJ-C1(C) L. paracasei MO-C1(D)
0주차 6.62 6.45 6.49 6.46
2주차 6.68 6.14 6.55 6.06
4주차 6.16 4.65 6.21 4.77
6주차 5.87 4.18 5.37 4.20
8주차 5.21 4.12 5.08 4.03
표 4를 참조하면, A 내지 D 김치의 0주차 pH는 서로 유사하였으나,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B 및 D 김치는 pH가 급격하게 낮아져 초기 pH 6.45에서 pH 4.12까지 줄어들었고, pH 6.46에서 pH 4.03까지 낮아졌으나 8주가 지나도 대조구와 C 실험구는 pH 5 이상을 유지하였다.표 5는 제조한 4가지 김치의 총산도(%)를 측정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다.
pH 대조구(A) L. plantarum HJ-Ki(B) L. fermentum HJ-C1(C) L. paracasei MO-C1(D)
0주차 0.14 0.17 0.15 0.16
2주차 0.28 0.35 0.28 0.37
4주차 0.46 0.74 0.42 0.72
6주차 0.40 0.76 0.48 0.79
8주차 0.59 0.88 0.54 1.00
표 5를 참조하면, A 내지 D 김치의 0주차 산도는 0.14% 내지 0.17%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주차 이후, B 및 D 김치의 산도는 대조구(A) 대비 현저하게 높은 산도를 유지하였다. 특히, 발효 8주차의 B 및 D 김치는 각각 0.88% 및 1.0%의 총산을 나타냈는 바, 대조구인 A 김치의 총산인 0.59%보다 현저하게 높은 총산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3. 미생물 조사>
유산균을 첨가한 김치의 미생물학적 품질평가를 위해 일반 세균 수와 유산균 수를 분석하였다. 미생물 검사를 위해 김치 시료 1 g을 0.85 중량% 멸균 생리식염수에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제조하였으며, 총 균수는 PCA(plate count agar)(Difco, Sparks, MD, USA)를 사용하고, 유산균 수는 MRS 배지(MRS agar)(Difco, Detroit, MI, USA)를 사용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산하고 그 평균 집락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균수를 산출하였다.
표 6은 발효 기간에 따른 A 내지 D 김치의 세균의 총 수(log CFU/g)와 유산균의 수(log CFU/g)를 나타낸 표이다.
  발효기간 대조구(A) L. plantarum HJ-Ki(B) L. fermentum HJ-C1(C) L. paracasei MO-C1(D)
Total
cell
count
0 주차 6.21 6.04 5.52 6.01
2 주차 5.74 5.93 5.80 5.68
4 주차 7.15 6.31 5.97 5.70
6 주차 7.27 5.69 6.61 5.74
8 주차 5.87 5.71 5.85 4.87
Lactic
acid
bacteria
0 주차 5.45 7.77 7.82 7.59
2 주차 5.72 8.09 8.10 7.54
4 주차 5.57 8.00 7.83 7.40
6 주차 5.79 8.29 7.00 9.06
8 주차 7.97 8.11 7.43 7.57
표 6을 참조하면, A 내지 D 김치의 일반세균과 유산균 수를 측정한 결과 일반세균은 대조구의 경우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지만, 나머지 유산균 첨가 김치는 발효기간별 천천히 감소하였으며, 발효 8주차에는 대조구 및 유산균 첨가구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하지만 유산균 수의 차이는 달랐는데, 첫날에는 대조구의 경우 5.45 log CFU/g 였으나 유산균 첨가 실험구는 7.59 log CFU/g 내지 7.82 log CFU/g로 약 2 log배(100배) 차이가 났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대조구의 유산균 수도 증가하여 발효 8주차에는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경우 6주간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가 8주차에 급격히 유산균이 증가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초기 0주 내지 6주간은 종균으로 첨가한 김치의 경우 100배 이상의 유산균이 더 많이 존재하였다.
<실험예 2-4. 생리활성 조사>
김치시료 10g과 탈이온수(DW) 90ml을 샘플백에 넣어 30분간 스토마커로 추출하였으며, 추출물 50 ㎕에 2 중량% Na2CO3 1 mL를 혼합하여 3분 방치하여 50 중량% 폴린-시오칼투(Folin-Ciocalteu’s) 페놀 시약(Sigma-Aldrich, St. Louis, MO, USA) 50 ㎕를 혼합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750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갈산(gallic acid, Sigma-Aldrich, USA)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추출물 중의 mg 갈산 등가물(gallic acid equivalent)(GAE, dry basis)로 나타내었다.
표 7은 발효 기간에 따른 A 내지 D 김치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표이다.
  발효기간 대조구(A) L. plantarum HJ-Ki(B) L. fermentum HJ-C1(C) L. paracasei MO-C1(D)
Total
polyphenol
(mg%)
0 주차 98.72 113.02 99.12 102.29
2 주차 113.17 113.17 110.38 114.14
4 주차 125.84 111.8 111.8 108.11
6 주차 117.83 121.27 130.61 122.99
8 주차 121.06 131.89 124.23 134.71
Total flavonoid
(㎍/㎕)
0 주차 475.00 562.67 485.89 519.11
2 주차 564.44 517.00 527.22 483.33
4 주차 647.44 590.67 616.22 565.22
6 주차 670.78 619.78 668.00 679.56
8 주차 679.44 750.78 712.33 775.78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0 주차 27.68 30.14 29.04 29.1
2 주차 22.99 23.3 20.61 19.8
4 주차 23.59 24.23 20.85 21.62
6 주차 15.88 27.36 21.4 30.02
8 주차 13.97 31.11 21.24 33.04
표 7을 참조하면, 대조구에 비해 유산균을 첨가한 김치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D) 첨가 김치는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의 값이 높아졌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1로 희석한 김치시료 200 μL에 1 N NaOH 600 μL와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4 mL를 가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420 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는 루틴(rutin)(Sigma-Aldrich Co.)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성을 보였는데 특히 모든 샘플에서 발효가 경과될수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값이 증가하였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D)>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B)>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C)>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8주차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B) 균주를 첨가한 김치에서 750.78(㎍/㎕),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C) 균주를 첨가한 김치에서 712.33(㎍/㎕),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D) 균주를 첨가한 김치에서 775.78(㎍/㎕)을 나타내어 679.44(㎍/㎕)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대조구 대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0.4 mM DPPH 용액을 흡광도 값이 1.3 내지 1.4가 되도록 제조한 김치시료 추출액(20배로 희석)을 0.2 mL에 DPPH(Sigma-Aldrich, USA) 용액 0.8 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분광광도계(Cary UV- Vis spectrophotomete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할 때 셀에 분주되는 각 시료에 의한 흡광도의 차이는 증류수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보정해 주었고, 이때 전자공여능은 시료 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을 참조하면,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이드 함량에 이어 DPPH 라디컬 소거능도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D)>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B)>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C)>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4주차 까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HJ-Ki(B),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C),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D) 균주 첨가구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대조구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의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발효 6주차 내지 8주차에는 대조구 대비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5. 김치 기호도 평가>
제조한 A 내지 D 김치의 기호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색, 향, 신맛, 짠맛, 매운맛, 식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9점 척도법으로 분석하였다.
표 8은 A 내지 D 김치의 기호도 평가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신맛 짠맛 매운맛 식감 전반적인 기호도
A(대조구) 5.43 5.29 4.43 4.43 5.43 4.71 4.43
L. plantarum HJ-Ki(B) 5.86 4.4 3.43 3.14 5.00 6.29 4.57
L. fermentum HJ-C1(C) 4.71 8.00 5.43 6.71 8.00 6.43 7.29
L. paracasei MO-C1(D) 6.57 2.86 3.00 5.00 4.71 5.86 4.43
표 8을 참조하면, 기호도 평가에서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을 첨가한 C 김치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낮은 산도와 종균이 이형 젖산발효 균주로서 당을 발효하여 젖산뿐만 아니라 초산, 탄산 및 다양한 대사산물을 내어 기호도가 좋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국립농업과학원 KACC92322P 20201020 국립농업과학원 KACC92324P 20201020 국립농업과학원 KACC92325P 20201020
<110> REPUBLIC OF KOREA <120> Probiotics for fermenting kimchi and kimchi using the same <130> FP-2107046-KR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13 <212> R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400> 1 gcagtcgaac gaactctggt aatgattggt gcttgcatca tgaattacat ttgagtgagt 60 ggcgaactgg tgagtaacac gtgggaaacc tgcccagaag cgggggataa cacctggaaa 120 cagatgctaa taccgcataa caacttggac cgcatggtcc gagtttgaaa gatggcttcg 180 gctatcactt ttggatggtc ccgcggcgta ttagctagat ggtgaggtaa cggctcacca 240 tggcaatgat acgtagccga cctgagaggg taatcggcca cattgggact gagacacggc 300 ccaaactcct acgggaggca gcagtaggga atcttccaca atggacgaaa gtctgatgga 360 gcaacgccgc gtgagtgaag aagggtttcg gctcgtaaaa ctctgttgtt aaagaagaac 420 atatctgaga gtaactgttc aggtattgac ggtatttaac cagaaagcca cggctaacta 480 cgtgccagca gccgcggtaa tacgtaggtg gcaagcgttg tccggattta ttgggcgtaa 540 agcgagcgca ggcggttttt taagtctgat gtgaaagctt tcggctcaac cgaagaagtg 600 catcggaaac tgggaaactt gagtgcagaa gaggacagtg gaactccatg tgtagcggtg 660 aaatgcgtag atatatggaa gaacaccagt ggcgaaggcg gctgtctggt ctgtaactga 720 cgctgaggct cgaaagtatg ggtagcaaac aggattagat accctggtag tccataccgt 780 aaacgatgaa tgctaagtgt tggagggttt ccgcccttca gtgctgcagc taacgcatta 840 agcattccgc ctggggagta cggccgcaag gctgaaactc aaaggaattg acgggggccc 900 gcacaagcgg tggagcatgt ggtttaattc gaagctacgc gaagaacctt accaggtctt 960 gacatactat gcaaatctaa gagattagac gttcccttcg gggacatgga tacaggtggt 1020 gcatggtt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1080 ccttattatc agttgccagc attaagttgg gcactctggt gagactgccg gtgacaaacc 1140 ggaggaaggt ggggatgacg tcaaatcatc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1200 ctacaatgga tggtacaacg agttgcgaac tcgcgagagt aagctaatct cttaaagcca 1260 ttctcagttc ggattgtagg ctgcaactcg cctacatgaa gtcggaatcg ctagtaatcg 1320 cggatcagca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1380 tgagagtttg taacacccaa agtcggtggg gta 1413 <210> 2 <211> 1466 <212> RNA <213> Lactobacillus fermentum <400> 2 gtgctataca tgcagtcgaa cgcgttggcc caattgattg atggtgcttg cacctgattg 60 attttggtcg ccaacgagtg gcggacgggt gagtaacacg taggtaacct gcccagaagc 120 gggggacaac atttggaaac agatgctaat accgcataac aacgttgttc gcatgaacaa 180 cgcttaaaag atggcttctc gctatcactt ctggatggac ctgcggtgca ttagcttgtt 240 ggtggggtaa tggcctacca aggcgatgat gcatagccga gttgagagac tgatcggcca 300 caatgggact gagacacggc ccatactcct acgggaggca gcagtaggga atcttccaca 360 atgggcgcaa gcctgatgga gcaacaccgc gtgagtgaag aagggtttcg gctcgtaaag 420 ctctgttgtt aaagaagaac acgtatgaga gtaactgttc atacgttgac ggtatttaac 480 cagaaagtca cggctaacta cgtgccagca gccgcggtaa tacgtaggtg gcaagcgtta 540 tccggattta ttgggcgtaa agagagtgca ggcggttttc taagtctgat gtgaaagcct 600 tcggcttaac cggagaagtg catcggaaac tggataactt gagtgcagaa gagggtagtg 660 gaactccatg tgtagcggtg gaatgcgtag atatatggaa gaacaccagt ggcgaaggcg 720 gctacctggt ctgcaactga cgctgagact cgaaagcatg ggtagcgaac aggattagat 780 accctggtag tccatgccgt aaacgatgag tgctaggtgt tggagggttt ccgcccttca 840 gtgccggagc taacgcatta agcactccgc ctggggagta cgaccgcaag gttgaaactc 900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tggagcatgt ggtttaattc gaagctacgc 960 gaagaacctt accaggtctt gacatcttgc gccaacccta gagatagggc gtttccttcg 1020 ggaacgcaat gacaggtggt gcatggtc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1080 agtcccgcaa cgagcgcaac ccttgttact agttgccagc attaagttgg gcactctagt 1140 ga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ggggacgacg tcagatcatc atgcccctta 1200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a cggtacaacg agtcgcgaac tcgcgagggc 1260 aagcaaatct cttaaaaccg ttctcagttc ggactgcagg ctgcaactcg cctgcacgaa 1320 gtc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1380 acacaccgcc cgtcacacca tgagagtttg taacacccaa agtcggtggg gtaacctttt 1440 aggagccagc cgcctaaggt gacaga 1466 <210> 3 <211> 1453 <212> RNA <213> Lactobacillus paracasei <400> 3 atgcaagtcg acgagttctc gttgatgatc ggtgcttgca ccgagattca acatggaacg 60 agtggcggac gggtgagtaa cacgtgggta acctgccctt aagtggggga taacatttgg 120 aaacagatgc taataccgca tagatccaag aaccgcatgg ttcttggctg aaagatggcg 180 taagctatcg cttttggatg gacccgcggc gtattagcta gttggtgagg taatggctca 240 ccaaggcgat gatacgtagc cgaactgaga ggttgatcgg ccacattggg actgagacac 300 ggcccaaact cctacgggag gcagcagtag ggaatcttcc acaatggacg caagtctgat 360 ggagcaacgc cgcgtgagtg aagaaggctt tcgggtcgta aaactctgtt gttggagaag 420 aatggtcggc agagtaactg ttgtcggcgt gacggtatcc aaccagaaag ccacggctaa 480 ctacgtgcca gcagccgcgg taatacgtag gtggcaagcg ttatccggat ttattgggcg 540 taaagcgagc gcaggcggtt ttttaagtct gatgtgaaag ccctcggctt aaccgaggaa 600 gcgcatcgga aactgggaaa cttgagtgca gaagaggaca gtggaactcc atgtgtagcg 660 gtgaaatgcg tagatatatg gaagaacacc agtggcgaag gcggctgtct ggtctgtaac 720 tgacgctgag gctcgaaagc atgggtagcg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tgc 780 cgtaaacgat gaatgctagg tgttggaggg tttccgccct tcagtgccgc agctaacgca 840 ttaagcattc cgcctgggga gtacgaccgc aaggttgaaa ctcaaaggaa ttgacggggg 900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ttcgaagcaa cgcgaagaac cttaccaggt 960 cttgacatct tttgatcacc tgagagatca ggtttcccct tcgggggcaa aatgacaggt 1020 ggtgcatggt tgtcgtcagc tcgtgtcgtg agatgttggg ttaagtcccg caacgagcgc 1080 aacccttatg actagttgcc agcatttagt tgggcactct agtaagactg ccggtgacaa 1140 accggaggaa ggtggggatg acgtcaaatc atcatgcccc ttatgacctg ggctacacac 1200 gtgctacaat ggatggtaca acgagttgcg agaccgcgag gtcaagctaa tctcttaaag 1260 ccattctcag ttcggactgt aggctgcaac tcgcctacac gaagtcggaa tcgctagtaa 1320 tcgcggatca gcacgccgcg gtgaatacgt tcccgggcct tgtacacacc gcccgtcaca 1380 ccatgagagt ttgtaacacc cgaagccggt ggcgtaaccc tttagggagc gagccgtcta 1440 agtggacaaa tta 1453

Claims (10)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3.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는 단계;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념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HJ-C1(기탁번호 : KACC 92322P)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소금물에 절여둔 상기 배추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혼합된 상기 양념을 배추에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 제조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에 버무린 상기 배추를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효는 김치 내 유산균을 제외한 일반 세균 대비 유산균 함량이 100배 이상이 되도록 6주 이내로 수행되는 김치 제조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1℃ 내지 10℃에서 수행되는 김치 제조방법.
  6.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김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치.
  7.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는 단계;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양념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plantarum) HJ-Ki(기탁번호 : KACC 92324P)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 paracasei) MO-C1(기탁번호 : KACC 92325P)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소금물에 절여둔 상기 배추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혼합된 상기 양념을 배추에 버무리는 단계; 및
    상기 양념에 버무린 배추를 2주 내지 8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김치 제조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4주 내지 8주 동안 수행되며, 상기 신김치의 총산도(%)는 0.7% 이상인 신김치 제조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1℃ 내지 10℃에서 수행되는 신김치 제조방법.
  10.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의 신김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김치.
KR1020210117038A 2021-09-02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활용한 김치 KR102677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038A KR102677848B1 (ko) 2021-09-02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활용한 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038A KR102677848B1 (ko) 2021-09-02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활용한 김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989A KR20230033989A (ko) 2023-03-09
KR102677848B1 true KR102677848B1 (ko) 2024-06-24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553B1 (ko) 2019-11-28 2021-03-18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ml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553B1 (ko) 2019-11-28 2021-03-18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ml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879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3 균주를 이용한 면역장애, 호흡기 염증 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31335B1 (ko) 프로바이오틱 기능이 있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efel6800 발효 종균
KR101792780B1 (ko)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다이어트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89212B1 (ko) 복합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 식품의 제조방법
TWI410494B (zh) Il-8抑制劑與其製造方法
JP2009124943A (ja) 新規乳酸菌、乳酸菌組成物及び植物エキス、並びに、植物エキス及び低分子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KR101485182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및 이의 용도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90063795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155849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유산 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36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4231B1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102424594B1 (ko) 항염 활성 및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okbl-l.f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50070933A (ko) 항산화 효능이 있는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JP4183371B2 (ja) 発酵ウコンの製造法
KR20230093214A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
KR102677848B1 (ko)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활용한 김치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6540A (ko) 식물성 배지, 식물성 부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유산균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00174B1 (ko) 내산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308 균주, 상기 균주의 내산 안정성 향상방법, 이를 이용하여 상기 균주가 함유된 과채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2981B1 (ko) 산양유가 함유된 면역증진용 프로바이오틱스 분말의 제조방법
KR102282725B1 (ko) 노화 및 부패 억제활성을 갖는 웨이셀라 사이베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30033989A (ko) 김치 발효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활용한 김치
KR102095246B1 (ko)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79691B1 (ko) 토마토 및 가지 유산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