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7155B1 - 의복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의복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155B1
KR102677155B1 KR1020230010528A KR20230010528A KR102677155B1 KR 102677155 B1 KR102677155 B1 KR 102677155B1 KR 1020230010528 A KR1020230010528 A KR 1020230010528A KR 20230010528 A KR20230010528 A KR 20230010528A KR 102677155 B1 KR102677155 B1 KR 102677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nd
fastening
auxiliary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하니
Original Assignee
임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하니 filed Critical 임하니
Priority to KR102023001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41B1/18Shirt-fronts
    • A41B1/22False shirt-fronts, e.g. dickeys, with or without attached collars; Means for attaching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41B1/1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착용공간이 상하로 관통되고, 전면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절개부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되는 본체와, 절개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단과, 절개부를 기준으로 제1결합단과 반대되는 일측에 형성되고, 제1결합단의 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제2결합단과, 제1결합단의 전후로 관통되고, 제1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체결홀 및, 제2결합단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2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체결홀의 후방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제2결합단을 기준으로 절개부와 반대되는 방향에 일측이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방향으로 회동시 제1결합단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보조 결합단 및, 체결홀을 통과한 체결부재가 후방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되도록 보조 결합단의 전후로 관통되고, 보조 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보조 체결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복의 개폐구조{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CLOTHES}
본 발명은 의복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복을 입은 착용자의 인체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는 의복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츠나 블라우스 등과 같은 의복은 착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를 갖고, 개방된 전방이 단추와 단추홀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의복은 전방이 수직한 절개부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되는 몸체 및, 절개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된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되는 암 체결부재 및 수 체결부재(단추 등) 등으로 구성되며, 암 체결부재와 수 체결부재를 결합시키는 경우 양단이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어 절개부를 폐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의복은 착용자의 동작이나 인체의 압박 등으로 인해 절개부의 측방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암 체결부재와 수 체결부재가 결합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양측으로 벌어져 착용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노출될 염려가 있었고, 측방으로 작용하는 압력이 수 체결부재와 몸체의 연결 부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므로 수 체결부재가 분리되거나 암 체결부재로부터 쉽게 이탈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3772호(2000년 06월 1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의복을 위한 단추 결합 및 분리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복을 입은 착용자의 인체가 절개부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는 의복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는 내부의 착용공간이 상하로 관통되고, 전면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절개부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되는 본체와,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단과,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단과 반대되는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단의 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제2결합단과, 상기 제1결합단의 전후로 관통되고, 상기 제1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체결홀 및, 상기 제2결합단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체결홀의 후방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단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와 반대되는 방향에 일측이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결합단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보조 결합단 및, 상기 체결홀을 통과한 상기 체결부재가 후방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되도록 상기 보조 결합단의 전후로 관통되고, 상기 보조 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보조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단이 상기 제1결합단에 결합되고, 전단이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후면이 상기 제1결합단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결합단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결합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과 상기 보조 체결홀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홀과 상기 보조 체결홀을 통해 관통 결합시 좌우방향 양측이 상기 보조 체결홀의 좌우방향 폭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단의 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는 내부의 착용공간이 상하로 관통되고, 전면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절개부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되는 본체와,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단과,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단과 반대되는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단의 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제2결합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통과홀이 전후로 관통되는 다수의 제1체결부와, 상기 제2결합단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체결부의 후방에 대응되게 밀착되고, 상기 통과홀의 후방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되도록 전면으로 삽입돌기가 돌출되는 다수의 제2체결부와, 상기 제2결합단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와 반대되는 방향에 일측이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결합단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보조 결합단 및, 상기 보조 결합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체결부의 전방에 대응되게 밀착되고,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상기 삽입돌기가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후면에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3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의복을 입은 착용자의 동작이나 인체의 압박 등으로 인해 절개부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경우 보조 결합단이 개방된 부위를 전방에서 커버하므로, 의복 착용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3중 밀착 구조 및 2중 잠금 구조가 적용되므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홀과 체결부재를 암수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홀과 체결부재를 암수로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재와 보조 체결홀을 암수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재와 보조 체결홀을 암수로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와 체결부재 및 보조 체결홀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재의 후면에 가압돌기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재의 후방 몸체와 전방 몸체 및 연결홀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전방 몸체의 가장자리에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제2체결부의 삽입돌기를 제1체결부의 통과홀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통과홀의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와 제3체결부의 삽입홈을 암수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통과홀의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와 제3체결부의 삽입홈을 암수로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홀과 체결부재를 암수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홀과 체결부재를 암수로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재와 보조 체결홀을 암수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재와 보조 체결홀을 암수로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와 체결부재 및 보조 체결홀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재의 후면에 가압돌기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체결부재의 후방 몸체와 전방 몸체 및 연결홀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전방 몸체의 가장자리에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제2체결부의 삽입돌기를 제1체결부의 통과홀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통과홀의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와 제3체결부의 삽입홈을 암수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서 통과홀의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와 제3체결부의 삽입홈을 암수로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는 본체(110)와, 제1결합단(120)과, 제2결합단(130)과, 다수의 체결홀(140)과, 다수의 체결부재(150)와, 보조 결합단(160) 및, 다수의 보조 체결홀(17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인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내부의 착용공간(111)이 상하로 관통되며, 본체(110)의 양측에는 착용공간(111)과 연통되는 한 쌍의 팔 삽입부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체(110)의 전면을 수직하게 절개시켜 양측으로 분할하는 절개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복을 입거나 벗을 때 절개부(112)를 통해 사용자의 인체가 통과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복을 입은 후 후술될 체결홀(140)과 체결부재(150) 및 보조 체결홀(170)을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절개부(11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1결합단(120)은 후술될 제2결합단(130)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부분으로, 절개부(112)를 기준으로 일측(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고, 제2결합단(130)과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어 절개부(112)를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해 수직하게 길이를 갖는다.
제2결합단(130)은 제1결합단(120)의 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부분으로, 절개부(112)를 기준으로 제1결합단(120)과 반대되는 타측에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1결합단(120)과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어 절개부(112)를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해 수직하게 길이를 갖는다.
다수의 체결홀(140)은 제1결합단(120)과 제2결합단(130)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결합단(120)의 전후로 관통되고, 제1결합단(120)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후술될 체결부재(150)와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 높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홀(140)은 체결부재(150)가 후방을 통해 전방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체결홀(140)의 후방을 통해 체결부재(150)를 통과시키는 경우 체결홀(140)의 폭방향 양측이 반대되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수의 체결부재(150)는 제1결합단(120)과 제2결합단(130)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체결홀(14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단(130)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2결합단(130)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전술한 체결홀(140)과 동일 높이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150)는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2단추(15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후단이 제1결합단(120)에 결합되고, 전단이 체결부재(150)에 결합되며,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끈 형태의 연결부재(끈 등, 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재(150)는 후면이 제1결합단(12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제2결합단(13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결합 간격(G)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결합 간격(G)은 제1결합단(120)과 제2결합단(130)의 전후방향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50)는 체결홀(14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체결홀(140)의 전방에 위치되고, 체결부재(150)의 양측이 체결홀(140)의 폭방향 양측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어 제1결합단(12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된다. 이때 체결부재(150)의 후단이 제1결합단(120)의 전면을 후방으로 지지하므로 제1결합단(120)의 후면과 제2결합단(130)의 전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50)는 도 9에서처럼 후단이 제2결합단(130)의 전면에 밀착되는 후방 몸체(151)와, 후방 몸체(151)의 전단에 연결되고, 후방 몸체(151)를 기준으로 가장자리가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되는 전방 몸체(152) 및, 전술한 연결부재(154)가 통과되도록 후방 몸체(151)와 전방 몸체(152)의 전후로 관통되는 다수의 연결홀(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54)의 길이방향 양측은 연결홀(153)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된 후 제2결합단(130)의 전면에 봉재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체결부재(150)는 후면이 제1결합단(12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제2결합단(13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결합 간격(G)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7에서처럼 체결부재(150)를 체결홀(14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체결홀(140)이 후방 몸체(151)의 외부를 감싸고, 후방 몸체(151)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전방 몸체(152)의 후면이 제1결합단(12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전방 몸체(152)의 후단이 제1결합단(120)의 전면을 후방으로 지지하므로 제1결합단(120)의 후면과 제2결합단(130)의 전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7에서처럼 체결홀(140)의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재(150)를 보조 체결홀(17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보조 체결홀(170)이 체결홀(140)의 전방에서 후방 몸체(151)의 외부를 감싸고, 후방 몸체(151)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전방 몸체(152)의 후면이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전방 몸체(152)의 후단이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을 후방으로 지지하므로 보조 결합단(160)의 후면과 제1결합단(120)의 전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8에서처럼 체결부재(15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체결부재(1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가압돌기(15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돌기(155)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면(15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156)은 후방으로 갈수록 체결부재(150)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가압돌기(155)는 돌출된 단부가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을 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홀(140)의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재(150)를 보조 체결홀(17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체결부재(150)의 후면이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고, 가압돌기(155)의 돌출된 단부가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을 후방으로 지지하므로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과 체결부재(150)의 후면을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경사면(156)에 의해 가압돌기(155)의 돌출된 단부가 좁은 단면적을 가지므로 가압돌기(155)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돌기(155)의 돌출된 단부가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어 체결부재(15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56)은 후방으로 갈수록 체결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체결홀(140)의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재(150)를 보조 체결홀(17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경사면(156)에 의해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과 체결부재(150)의 후면 사이에 경사진 삽입 간격이 형성되므로 보조 체결홀(170)을 체결부재(150)의 후면과 제1결합단(120)의 전면 사이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반면, 도 9에서처럼 체결부재(150)를 후방 몸체(151)와 전방 몸체(152)로 적용하는 경우 전방 몸체(152)의 후면으로부터 가압돌기(155)가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돌기(155)는 전방 몸체(15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전방 몸체(15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압돌기(155)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면(15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156)은 후방으로 갈수록 체결부재(150)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홀(14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몸체(152)를 보조 체결홀(17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전방 몸체(152)의 후면이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고, 가압돌기(155)의 돌출된 단부가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을 후방으로 지지하므로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과 전방 몸체(152)의 후면을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경사면(156)에 의해 가압돌기(155)의 돌출된 단부가 좁은 단면적을 가지므로 가압돌기(155)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면(156)은 후방으로 갈수록 체결부재(150)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체결홀(14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몸체(152)를 보조 체결홀(17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경사면(156)에 의해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과 전방 몸체(152)의 후면 사이에 경사진 삽입 간격이 형성되므로 보조 체결홀(170)을 전방 몸체(152)의 후면과 제1결합단(120)의 전면 사이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는 도 10에서처럼 전방 몸체(152)의 가장자리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180)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180)는 전방 몸체(15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 변형 후 복원이 가능하도록 고무 등의 탄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돌기(155)는 탄성부재(180)의 후면에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가압돌기(155)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면(15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156)은 후방으로 갈수록 체결부재(150)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홀(14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몸체(152)를 보조 체결홀(170)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전방 몸체(152)의 후면이 보조 결합단(16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된다.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180)를 전방으로 벤딩 변형시킬 수 있어 전방 몸체(152)의 후면과 제1결합단(120)의 전면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탄성부재(1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압돌기(155)가 보조 결합단(160)을 전면을 탄성 지지하므로 가압돌기(155)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가압돌기(155)의 마찰력이 향상되므로 체결부재(15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14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 개폐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 개폐구조는 본체(110)와, 제1결합단(120)과, 제2결합단(130)과, 다수의 제1체결부(210)와, 다수의 제2체결부(220)와, 보조 결합단(230) 및, 다수의 제3체결부(2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인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내부의 착용공간(111)이 상하로 관통되며, 본체(110)의 양측에는 착용공간(111)과 연통되는 한 쌍의 팔 삽입부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체(110)의 전면을 수직하게 절개시켜 양측으로 분할하는 절개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복을 입거나 벗을 때 절개부(112)를 통해 사용자의 인체가 통과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복을 입은 후 후술될 체결홀(140)과 체결부재(150) 및 보조 체결홀(170)을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절개부(11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1결합단(120)은 후술될 제2결합단(130)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부분으로, 절개부(112)를 기준으로 일측(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고, 제2결합단(130)과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어 절개부(112)를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해 수직하게 길이를 갖는다.
제2결합단(130)은 제1결합단(120)의 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부분으로, 절개부(112)를 기준으로 제1결합단(120)과 반대되는 타측에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1결합단(120)과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어 절개부(112)를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해 수직하게 길이를 갖는다.
다수의 제1체결부(210)는 제1결합단(120)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후술될 제2체결부(220)의 삽입돌기(221)가 결합되도록 통과홀(211)이 전후로 관통된다.
다수의 제2체결부(220)는 제1결합단(120)과 후술될 보조 결합단(230)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될 제3체결부(240)와 결합되도록 제2결합단(130)의 전면에 결합되어 제1체결부(210)의 후방에 대응되게 밀착되고, 통과홀(211)의 후방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되도록 전면으로 삽입돌기(221)가 돌출된다.
여기서, 제2체결부(220)는 후술될 제3체결부(240)와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스냅 버튼(snap button)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체결부(220)의 전단에는 제3체결부(240)의 삽입홈(241)과 암수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삽입돌기(221)가 돌출될 수 있고, 삽입돌기(221)의 가장자리는 삽입홈(241)의 내주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보조 결합단(230)은 제2결합단(130)의 전면에 밀착된 제1결합단(120)의 전면을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제2결합단(130)을 기준으로 절개부(112)와 반대되는 방향에 일측이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방향으로 회동시 제1결합단(120)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된다.
여기서, 보조 결합단(230)은 제1결합단(120)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해 수직하게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보조 결합단(230)의 폭방향 일측은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본체(110)의 전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보조 결합단(230)의 상하길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다수의 제3체결부(240)는 보조 결합단(230)과 제1결합단(120)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조 결합단(230)에 결합되어 제1체결부(210)의 전방에 대응되게 밀착된다. 여기서 제3체결부(240)는 통과홀(211)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2체결부(220)의 삽입돌기(221)와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스냅 버튼(snap button)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체결부(240)의 후단에는 삽입돌기(221)와 암수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삽입홈(24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241)의 내주면에는 삽입돌기(221)의 측부가 걸림 위치되도록 대응되는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의 내부에는 삽입돌기(221)의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탄성 가압구가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제2결합단(130)과 보조 결합단(230)이 전후방향에서 제1결합단(1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밀착되므로, 제1결합단(120)과 제2결합단(130)의 사이 간격이 좌우방향으로 벌어져 절개부(112)가 전방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보조 결합단(230)이 제1결합단(120)과 제2결합단(130)의 사이 간격을 전방에서 커버하므로 의복을 착용한 착용자의 인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의복을 입은 착용자의 동작이나 인체의 압박 등으로 인해 절개부(112)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경우 보조 결합단(160)(230)이 개방된 부위를 전방에서 커버하므로, 의복 착용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3중 밀착 구조 및 2중 잠금 구조가 적용되므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개폐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 111: 착용공간
112: 절개부 120: 제1결합단
130: 제2결합단 140: 체결홀
150: 체결부재 151: 후방 몸체
152: 전방 몸체 153: 연결홀
154: 연결부재 155: 가압돌기
156: 경사면 160: 보조 결합단
170: 보조 체결홀 180: 탄성부재
210: 제1체결부 211: 통과홀
220: 제2체결부 221: 삽입돌기
230: 보조 결합단 240: 제3체결부
241: 삽입홈 G: 결합 간격

Claims (4)

  1. 내부의 착용공간이 상하로 관통되고, 전면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절개부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되는 본체와,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단과,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단과 반대되는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단의 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제2결합단과, 상기 제1결합단의 전후로 관통되고, 상기 제1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체결홀 및, 상기 제2결합단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체결홀의 후방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단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와 반대되는 방향에 일측이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결합단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되는 보조 결합단; 및
    상기 체결홀을 통과한 상기 체결부재가 후방을 통해 암수로 관통 결합되도록 상기 보조 결합단의 전후로 관통되고, 상기 보조 결합단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보조 체결홀;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가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체결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보조 체결홀의 후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의 후면이 상기 보조 결합단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가압돌기의 돌출된 단부가 상기 보조 결합단의 전면을 후방으로 지지하며,
    후단이 상기 제1결합단에 결합되고, 전단이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후면이 상기 제1결합단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결합단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결합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2결합단의 전면에 밀착되는 후방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의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 몸체를 기준으로 가장자리가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되는 전방 몸체 및, 상기 연결부재가 통과되도록 상기 후방 몸체와 상기 전방 몸체의 전후로 관통되는 다수의 연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몸체의 가장자리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전방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 후 복원이 가능하도록 고무 등의 탄성 소재를 사용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후면에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의 개폐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과 상기 보조 체결홀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홀과 상기 보조 체결홀을 통해 관통 결합시 좌우방향 양측이 상기 보조 체결홀의 좌우방향 폭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단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의 개폐구조.
  4. 삭제
KR1020230010528A 2023-01-27 2023-01-27 의복의 개폐구조 KR102677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528A KR102677155B1 (ko) 2023-01-27 2023-01-27 의복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528A KR102677155B1 (ko) 2023-01-27 2023-01-27 의복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7155B1 true KR102677155B1 (ko) 2024-06-19

Family

ID=9171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528A KR102677155B1 (ko) 2023-01-27 2023-01-27 의복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71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125A (en) * 1902-10-25 1905-02-07 John K Gentry Garment.
JPH01115301A (ja) * 1987-10-24 1989-05-08 Schaeffer Homberg Gmbh 特に衣類用のボタン
US7992222B1 (en) * 2008-10-10 2011-08-09 Rochelle Behrens Garment with interstitial fastener
US20120204308A1 (en) * 2011-02-16 2012-08-16 Pascuzzi Katelyn E Fastener closure for shirts and blouses
US20230014702A1 (en) * 2021-07-19 2023-01-19 Lauren Sahagun Multifunctional snap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125A (en) * 1902-10-25 1905-02-07 John K Gentry Garment.
JPH01115301A (ja) * 1987-10-24 1989-05-08 Schaeffer Homberg Gmbh 特に衣類用のボタン
US7992222B1 (en) * 2008-10-10 2011-08-09 Rochelle Behrens Garment with interstitial fastener
US20120204308A1 (en) * 2011-02-16 2012-08-16 Pascuzzi Katelyn E Fastener closure for shirts and blouses
US20230014702A1 (en) * 2021-07-19 2023-01-19 Lauren Sahagun Multifunctional snap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920A (en) Paul fbanqois patjlme
US4839948A (en) Convertible footwear
KR101647337B1 (ko) 직물 체결을 위한 버튼
US10212992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3435491A (en) Hook and snap garment fastener
GB2284975A (en) Necktie with a knot-forming core
KR102677155B1 (ko) 의복의 개폐구조
CN102740720B (zh) 拉链以及拉链被覆制品
US4998329A (en) Convertible footwear
JP4574668B2 (ja) ジッパー
US6298527B1 (en) Button fastener
US20090144948A1 (en) Zipper with improved fastening stability
KR102677154B1 (ko) 의복의 개폐구조
US2858593A (en) Jewelry clasp
JP2008036337A (ja) ホック具
US2013465A (en) Clasp
US6260242B1 (en) Reversible press button garment closure
CN109480400B (zh) 一种服饰、拉链组件及其自锁式拉头
CN208987888U (zh) 拉链
EP1157624B1 (en) Button fastener
US3047925A (en) Reversible zipper
KR20220069651A (ko) 스냅 단추
CN215603591U (zh) 一种拉头用拉片、拉头、拉链及衣服
CN217851433U (zh) 一种耐磨防污渍的棉服
CN209883088U (zh) 一种格纹拉链结构西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