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082B1 - 진공 차단기 - Google Patents

진공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082B1
KR102674082B1 KR1020210042101A KR20210042101A KR102674082B1 KR 102674082 B1 KR102674082 B1 KR 102674082B1 KR 1020210042101 A KR1020210042101 A KR 1020210042101A KR 20210042101 A KR20210042101 A KR 20210042101A KR 102674082 B1 KR102674082 B1 KR 10267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lip
power supply
sensor
contact
vacuum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864A (ko
Inventor
황승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1004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082B1/ko
Priority to PCT/KR2022/000677 priority patent/WO2022211231A1/ko
Publication of KR2022013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튤립 접촉자의 온도를 측정하고 감시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에 있어서, 튤립 접촉자가 구비되는 통전주 및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튤립 접촉자를 향하는 일 면에 센싱 접점이 형성되는 센서 본체; 및 상기 센서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튤립 접촉자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접점은, 상기 튤립 접촉자의 특정 지점에 접촉되어 상기 특정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진공 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튤립 접촉자의 온도를 측정하고 감시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는 특고압 또는 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 사고 등의 이상 전류가 발생될 경우, 회로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장치이다.
진공 차단기는 투입 상태 또는 트립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투입 상태에서, 진공 차단기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된다. 트립 상태에서, 진공 차단기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의 통전이 차단된다.
진공 차단기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진동 차단기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구성 요소가 작동되며 열이 발생된다. 또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이상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차단기의 각 구성 요소에서 과다한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발생된 열이 진공 차단기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체류될 경우, 진공 차단기의 각 구성 요소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진공 차단기에는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공 차단기의 발열량은 부위마다 차이가 존재한다. 이때, 발열에 의한 손상은 발열량이 높은 부위에서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차단기는 특정 지점에 대한 온도 감지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진공 차단기의 발열 사고 방지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는 진공 차단기의 온도 감지에 불필요한 비용 및 시간 증대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차단기의 특정 지점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감시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튤립 접촉자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감시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3306호는 배전반의 무선 온도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배전반 내부에 구비된 차단기의 튤립컨택, 주모선 또는 케이블 단말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무선 온도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온도 감지 장치는 튤립컨택의 하우징부에 부착된다. 즉, 온도 감지 장치가 튤립컨택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온도 측정 정확도가 저감될 수 있다.
중국등록특허공보 제208296994호는 배전반의 온도 센서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저압 배전반 내부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온도 센서 또한, 차단기의 외부에 부착되고, 접촉자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온도 센서의 정확도가 불충분하고, 과도한 온도 측정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3306호 (2017.08.31.) 중국등록특허공보 제208296994호 (2018.12.28.)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각 상의 튤립 접촉자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튤립 접촉자의 설계 변경 없이도 기존의 튤립 접촉자에 부착될 수 있는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 진공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온도 감지를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보다 절감될 수 있는 진공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다수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된 진공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온도 감지 센서가 통전주 외부와 통전되지 않고 절연될 수 있는 진공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튤립 접촉자가 구비되는 통전주; 및 상기 튤립 접촉자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튤립 접촉자를 향하는 일 면에 센싱 접점이 형성되는 센서 본체; 및 상기 센서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튤립 접촉자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접점은, 상기 튤립 접촉자의 특정 지점에 접촉되어, 상기 특정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튤립 접촉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상의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튤립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튤립 핑거의 일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센서 본체에 형성된 본체 밴드 홀을 관통하며 상기 센서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동력원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 본체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센서 본체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튤립 접촉자에서 발생된 자계를 상기 고정 밴드를 통해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전원부에 형성된 전원부 밴드 홀을 관통하며 상기 전원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센서 본체 및 상기 전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본체 및 상기 전원부와 각각 결합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결합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선은, 전도성 고분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센싱 접점으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전달받아 정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정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서 본체 및 상기 전원부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서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는, 그 내경이 상기 튤립 접촉자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 중, 상술한 해결 수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온도 감지 센서가 튤립 접촉자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 센서가 각 상의 튤립 접촉자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각 상의 튤립 접촉자의 온도가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진공 차단기의 서로 다른 발열원이 중첩되어 측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열화상 카메라와 비교하였을 때, 온도 데이터의 정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진공 차단기의 유지 보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상의 튤립 접촉자의 온도가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측정 및 감시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 센서의 고정 밴드가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 밴드는 튤립 접촉자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고정 밴드는 튤립 접촉자의 외주에 부착된다.
따라서, 온도 감지 센서가 튤립 접촉자의 설계 변경 없이 기존의 튤립 접촉자에 부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온도 감지 센서가 부스바와 튤립 접촉부가 결합된 좁은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 센서는 튤립 접촉자의 특정 지점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감시한다. 이에 따라, 진공 차단기 전체에 대한 온도 측정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공 차단기의 온도 감지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보다 절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열화상 카메라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 또한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한 개의 진공 차단기에 복수 개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특정 지점에 대한 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 상의 튤립 접촉자에 대한 온도를 수집하고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차단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감시하기 위한 작업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 센서가 통전주의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 센서가 통전주의 튤립 핑거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온도 감지 센서가 통전주 외부와 통전되지 않고, 절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감지 센서에 과전류 등의 이상 전류가 발생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온도 감지 센서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 차단기에 구비되는 통전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전주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통전주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부, 통전주 터미널(terminal), 결합 부재 및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레이트부, 통전주 터미널, 결합 부재 및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4의 플레이트부, 통전주 터미널, 결합 부재 및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 통전주 터미널, 결합 부재 및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튤립 접촉자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튤립 접촉자에 구비되는 튤립 핑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튤립 핑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진공 차단기에 구비되는 온도 감지 센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온도 감지 센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온도 감지 센서에 구비되는 결합선, 전원부 및 센서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결합선, 전원부 및 센서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결합선, 전원부 및 센서 본체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 센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1)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기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1)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 차단기(1)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 간의 통전 상태를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 차단기(1)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달리 말하면, 외부의 전원 및 부하는 진공 차단기(1)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진공 차단기(1)의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서로 접촉되는 경우, 외부의 전원 및 부하가 진공 차단기(1)를 통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진공 차단기(1)의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서로 이격되는 경우, 외부의 전원 및 부하 간 통전 상태는 차단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1)는 프레임부(10), 메커니즘(mechanism) 조립체(20), 통전주(60) 및 온도 감지 센서(7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1)의 구성을 설명하되, 프레임부(10), 메커니즘 조립체(20), 통전주(60) 및 온도 감지 센서(7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프레임부(10)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프레임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부(10)는 진공 차단기(1)의 외형을 형성한다. 프레임부(10)는 진공 차단기(1)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프레임부(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진공 차단기(1)가 작동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구성 요소는 프레임부(10)에 둘러싸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10)의 내부 공간에는 메커니즘 조립체(20), 통전주(60) 및 온도 감지 센서(70)가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10)는 상부 프레임(110) 및 측면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10)은 프레임부(1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110)은 프레임부(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상측에서 덮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110)의 모서리를 각각 측면 프레임(120)과 연속된다.
상부 프레임(1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110)은 서로 이격된다.
측면 프레임(120)은 프레임부(10)의 측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형성한다. 측면 프레임(120)은 프레임부(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에서 덮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프레임(1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면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의 일 모서리는 상부 프레임(110)과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프레임(120)의 상측 모서리는 상부 프레임(110)과 연속된다.
측면 프레임(1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측면 프레임(120)은 서로 이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세 개의 측면 프레임(120)이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측면 프레임(120)의 외주에는 통전주(60)를 수용할 수 있는 통전주 삽입구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프레임(120)의 전방 측 외주면에는 통전주(60)를 수용할 수 있는 통전주 삽입구가 형성된다.
통전주 삽입구는 통전주(60)가 측면 프레임(120)의 외부 및 내부 공간과 상통되도록 통전주(60)를 수용한다.
통전주 삽입구의 내부에는 통전주(6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즉, 통전주(60)는 통전주 삽입구에 관통 결합된다.
통전주 삽입구는 통전주(6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주 삽입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통전주 삽입구는 통전주(6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즉, 통전주(60)는 통전주 삽입구에 의해 둘러싸인다.
통전주 삽입구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통전주 삽입구의 개수는 측면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통전주(60)의 개수와 동일하다.
(2) 메커니즘(mechanism) 조립체(20)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메커니즘 조립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커니즘 조립체(20)는 진공 차단기(1)가 투입 상태 또는 트립 상태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메커니즘 조립체(20)는 회전 조작되어 진공 차단기(1)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 사이의 통전 상태를 형성하거나, 통전을 차단한다.
메커니즘 조립체(20)는 프레임부(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수용된다. 메커니즘 조립체(20)는 상기 공간에서 회전 작동될 수 있다.
메커니즘 조립체(20)는 링크부 및 스프링부와 연결된다. 메커니즘 조립체(20)는 링크부 및 스프링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함께 회전 작동될 수 있다.
링크부는 메커니즘 조립체(20)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되어, 진공 차단기(1)를 투입 상태 또는 트립 상태로 작동시킨다.
링크부는 메커니즘 조립체(20)와 연결된다. 링크부는 메커니즘 조립체(20)의 구성 요소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링크부는 프레임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부는 메커니즘 조립체(20)와 연결된 메인 샤프트의 수평 방향 직선 운동을 지면에 대한 수직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링크부의 일 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끝단에 연결된다. 또한, 링크부의 타 단은 스프링부에 결합된다.
스프링부는 링크부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 운동되어, VI 고정 접점 및 VI 가동 접점을 접촉 및 이격시킨다.
스프링부는 링크부와 연결된다. 스프링부는 링크부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으로 운동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는 VI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부는 VI 가동 접점과 연결된다. 따라서, 스프링부가 이동됨에 따라, VI 가동 접점이 함께 이동된다.
VI(Vacuum Interrupter)는 프레임부(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전류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VI는 VI 고정 접점 및 VI 가동 접점이 접촉되어 전류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VI 고정 접점 및 VI 가동 접점이 이격되어 전류의 통전을 차단한다.
VI는 스프링부와 결합된다. VI의 구성 요소는 스프링부가 운동됨에 따라,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VI는 VI 고정 접점 및 VI 가동 접점을 포함한다.
VI 고정 접점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VI 고정 접점을 통해, 진공 차단기(1)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VI 고정 접점은 측면 프레임(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즉, VI 고정 접점은 측면 프레임(120)에 둘러싸인다.
VI 고정 접점은 VI 가동 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진공 차단기(1)의 내부와 외부의 통전을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VI 고정 접점은 프레임부(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VI 고정 접점과 VI 가동 접점의 접촉 및 이격은 VI 가동 접점의 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VI 가동 접점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VI 가동 접점은 VI 고정 접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VI 가동 접점은 측면 프레임(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즉, VI 가동 접점은 측면 프레임(120)에 둘러싸인다.
VI 가동 접점은 직선 운동되며 VI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I 가동 접점은 VI 고정 접점을 향하는 방향 또는 VI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될 수 있다.
VI 가동 접점이 VI 고정 접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운동될 때, VI 가동 접점과 VI 고정 접점이 접촉된다. 이때, 외부의 전원 및 부하 간 통전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VI 가동 접점이 VI 고정 접접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될 때, VI 가동 접점과 VI 고정 접점은 서로 분리된다. 이때, 외부의 전원 및 부하 간 통전은 차단된다.
(3) 통전주(60)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통전주(60)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전주(60)는 VI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를 통전시킨다. 이를 위해, 통전주(60)는 VI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전주(60)는 측면 프레임(120)의 일 측에 관통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통전주(60)는 측면 프레임(120)의 통전주 삽입구에 관통 결합된다.
통전주(6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세 쌍의 통전주(60)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통전주(60)의 개수는,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1)가 구비되는 전력 계통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공 차단기(1)는 R상, S상 및 T상의 3상 회로를 이용하는 전력 계통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통전주(60) 또한 3상 회로에 맞추어 세 쌍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주(60)는 하우징부(610), 플레이트부(620), 통전주 터미널(terminal)(630), 결합 부재(640) 및 튤립 접촉자(65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610)는 통전주(6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부(610)는 통전주(6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하우징부(6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6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부(61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에는 통전주 터미널(630) 및 튤립 접촉자(65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통전주 터미널(630) 및 튤립 접촉자(650)의 일부는 하우징부(610)에 의해 둘러싸인다.
하우징부(61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61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전주(60)의 내부와 외부가 임의로 통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620)는 통전주(60)가 VI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부(620)는 VI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레이트부(6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620)는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부(620)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부(620)는 구리(Cu), 은(Ag)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620)에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은 플레이트부(620)와 VI 간 결합을 위한 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공간이다. 상기 결합공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620)의 일 단에는 통전주 터미널(630)이이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620)의 전방 측 일 단에는 통전주 터미널(630)이 결합된다.
통전주 터미널(630)은 플레이트부(620)와 튤립 접촉자(650)를 통전시킨다. 이를 위해, 통전주 터미널(630)은 플레이트부(620) 및 튤립 접촉자(650)에 각각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통전주 터미널(63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주 터미널(63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통전주 터미널(630)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주 터미널(630)은 하우징부(6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 수용된다. 즉, 통전주 터미널(630)은 하우징부(610)에 의해 둘러싸인다.
통전주 터미널(630)의 일 단은 튤립 접촉자(65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주 터미널(630)의 전방 측 일 단은 튤립 접촉자(650)와 결합된다.
통전주 터미널(630)은 결합 부재(640)에 의해 튤립 접촉자(650)와 결합된다.
결합 부재(640)는 통전주 터미널(630) 및 튤립 접촉자(650) 사이에 배치되어, 통전주 터미널(630) 및 튤립 접촉자(650)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통전주 터미널(630) 및 튤립 접촉자(65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결합 부재(640)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640)는 통전주 터미널(630) 및 튤립 접촉자(650)에 볼트 너트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640)는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64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튤립 접촉자(650)는 진공 차단기(1)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의 단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튤립 접촉자(65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의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튤립 접촉자(650)에는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튤립 접촉자(650)에 전류가 통전될 때, 튤립 접촉자(650)에는 자계가 발생된다. 발생된 자계는 후술하는 고정 밴드(710)를 통해 온도 감지 센서(70)에 전달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튤립 접촉자(650)는 고정링(651), 접촉자 플레이트(652), 톱니 링(653) 및 튤립 핑거(654)를 포함한다.
고정링(651)은 튤립 접촉자(650)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의 단자 간 접촉력을 보다 증가시킨다.
고정링(651)은 튤립 핑거(65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링(651)은 튤립 핑거(654)의 고정링 체결홈(654a)에 위치된다.
고정링(651)은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링(651)의 중심과 튤립 핑거(654)의 중심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고정링(651)은 튤립 핑거(654)를 방사상 외측에서 지지하고, 튤립 핑거(654)의 임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링(651)의 지름은 튤립 핑거(654)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튤립 핑거(654)와 외부 단자 간 접촉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고정링(65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네 개의 고정링(651)이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고정링(651) 및 튤립 핑거(654)의 방사상 내측에는 접촉자 플레이트(652) 및 톱니 링(653)이 위치된다.
접촉자 플레이트(652)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의 단자와 맞닿도록 위치된다.
접촉자 플레이트(652)는 통전주 터미널(6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주 터미널(630)은 통전시킨다.
접촉자 플레이트(65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촉자 플레이트(65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접촉자 플레이트(652)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자 플레이트(65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자 플레이트(652)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자 플레이트(652)는 구리(Cu), 은(Ag)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 링(653)은 튤립 핑거(654)의 비틀림이나 유동을 방지한다.
톱니 링(653)은 튤립 핑거(654)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톱니 링(653)은 튤립 핑거(654)의 내주면에 접한다. 이에 따라, 톱니 링(653)은 튤립 핑거(654)를 방사상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톱니 링(653)은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니 링(653)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 링(653)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톱니 링(653)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톱니 링(653)은 외주면에 복수 개의 톱니(653a)가 형성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톱니 링(653)의 내경은 튤립 핑거(65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톱니(653a)는 톱니 링(653)의 방사상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653a) 사이에는 튤립 핑거(654)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튤립 핑거(654)의 톱니 체결홈(654b)이 이웃하는 투 개의 톱니(653a) 사이의 함몰부와 맞물리며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톱니(653a)는 사각형의 단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톱니(653a)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니(653a)는 삼각형의 단면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톱니(653a)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톱니(653a)의 개수는 튤립 핑거(654)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튤립 핑거(654)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의 단자와 진공 차단기(1) 간 접촉력을 증가시킨다.
튤립 핑거(654)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튤립 핑거(654)는 가상의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튤립 핑거(654)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튤립 핑거(654)의 방사상 외측에는 고정링(651)이 결합된다. 또한, 튤립 핑거(654)의 방사상 내측에는 접촉자 플레이트(652) 및 톱니 링(653)이 결합된다. 정리하면, 튤립 핑거(654)의 방사상 외측은 고정링(651)에 의해 지지되고, 방사상 내측은 접촉자 플레이트(652) 및 톱니 링(653)에 의해 지지된다.
튤립 핑거(654)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튤립 핑거(65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튤립 핑거(654)의 상측에는 고정링 체결홈(654a)이 형성되고, 튤립 핑거(654)의 하측에는 톱니 체결홈(654b) 및 단자 접촉부(654c)가 형성된다.
고정링 체결홈(654a)은 고정링(651)이 결합 지점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링 체결홈(654a)은 고정링(651)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링 체결홈(654a)은 고정링(651)의 내주면과 접한다.
고정링 체결홈(654a)은 튤립 핑거(654)의 상측 면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고정링 체결홈(654a)은 고정링(651)의 내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링 체결홈(654a)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링 체결홈(654a)의 개수는 고정링(651)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네 개의 고정링 체결홈(654a)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톱니 체결홈(654b)은 톱니 링(653)과 튤립 핑거(654) 간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한다. 이를 위해, 톱니 체결홈(654b)은 톱니 링(653)과 맞물리며 결합된다.
톱니 체결홈(654b)은 톱니 링(653)의 톱니(653a)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톱니 체결홈(654b)은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653a) 사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접한다.
톱니 체결홈(654b)은 튤립 핑거(654)의 하측 면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톱니 체결홈(654b)은 톱니(653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톱니 체결홈(654b)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톱니 체결홈(654b)의 개수는 톱니 링(653)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톱니 체결홈(654b)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단자 접촉부(654c)는 외부 단자의 외주면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분이다.
단자 접촉부(654c)는 외부 단자의 외주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단자 접촉부(654c)는 외부 단자를 방사상 외측에서 지지한다.
단자 접촉부(654c)는 튤립 핑거(654)의 하측 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접촉부(654c)는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단자 접촉부(654c)는 반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단자 접촉부(654c)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총 두 개의 단자 접촉부(654c)는 튤립 핑거(654)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양 단에 각각 구비된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지 센서(70)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지 센서(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온도 감지 센서(70)는 진공 차단기(1)의 특정 지점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감시한다.
온도 감지 센서(70)는 프레임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온도 감지 센서(70)는 통전주(60)의 하우징부(6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 수용된다.
온도 감지 센서(70)는 통전주(60)와 결합되어, 통전주(60)의 특정 지점에 대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70)는 튤립 접촉자(65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 센서(70)는 튤립 접촉자(65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온도 감지 센서(70)는 고정 밴드(710), 결합선(720),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를 포함한다.
고정 밴드(710)는 센서 본체(740)를 통전주(60)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 밴드(710)는 센서 본체(740)를 튤립 접촉자(650)에 고정시킨다.
고정 밴드(710)는 튤립 접촉자(65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고정 밴드(710)의 내주는 튤립 접촉자(650)의 외주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밴드(710)의 내경은 튤립 접촉자(65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밴드(710)는 전원부(730)의 전원부 밴드 홀(731) 및 센서 본체(740)의 본체 밴드 홀(742a)을 통과할 수 있다. 즉, 고정 밴드(710)는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밴드(710)의 단면적은 전원부 밴드 홀(731) 및 본체 밴드 홀(742a)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밴드(7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고정 밴드(710)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밴드(710)는 튤립 접촉자(650)에 발생된 자계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밴드(710)는 플랙시블(flexible)한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밴드(71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밴드(7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밴드(710)는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결합선(720)은 전원부(730)로부터 센서 본체(740)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한다.
결합선(720)은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와 각각 결합된다. 즉, 결합선(720)의 일 단은 전원부(730)와, 타 단은 센서 본체(740)와 결합된다. 또한, 결합선(720)은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 사이의 거리는 결합선(720)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가 기 설정된 지점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730) 및 제1 센서 본체(740a), 제2 센서 본체(740b)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730)가 중앙에 배치되고, 제1 센서 본체(740a) 및 제2 센서 본체(740b)가 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양 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센서 본체(740a, 740b)로 인하여, 온도 데이터 수집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것과 달리, 전원부(730)가 2 이상으로 배치되고, 센서 본체(740)가 하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 모두 2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갖는 구성이 고정 밴드(710)에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와 함께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밴드(710)를 따라,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 등이 서로 이격되어 분절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부(730), 센서 본체(740) 등이 링 형상에 결합되는 면적이 좁아져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센서 본체(74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센서 본체가 하나로 구비될 때 보다 면적이 더 줄어들 수 있다.
결합선(720)은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선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선(720)은 튤립 접촉자(65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선(720)은 튤립 접촉자(650)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선(720)은 플랙시블(flexible)한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선(720)은 전도성 고분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선(7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결합선(720)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는 서로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선(720)은 두 개 구비된다. 각각의 결합선(72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전원부(730)는 온도 감지 센서(70)가 작동되기 위한 동력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부(730)는 센서 본체(740)와 서로 이격된다. 전원부(730)는 결합선(720)을 사이에 두고 센서 본체(740)와 결합된다. 즉, 전원부(730)는 결합선(720)의 일 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전원부(730)는 결합선(720)에 의해 센서 본체(740)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원부(730)는 센서 본체(7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전원부(730)는 고정 밴드(710)가 관통 결합된다. 이에 따라, 튤립 접촉자(650)에서 발생된 자계가 고정 밴드(710)를 통해 전원부(730)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부(730)는 고정 밴드(710)에서 전달받은 전기 에너지를 온도 감지 센서(70)의 동력원으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730)는 결합선(720)을 통해 센서 본체(74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즉, 전기 에너지는 전원부(730) 및 결합선(7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센서 본체(740)로 전달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원부(7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원부(730)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73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원부(730)의 좌측 및 우측 면에는 전원부 밴드 홀(731)이 형성된다.
전원부 밴드 홀(731)은 고정 밴드(710)가 관통 결합되는 공간이다. 이를 위해, 전원부 밴드 홀(731)의 단면적은 고정 밴드(71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 밴드 홀(731)은 전원부(730)의 일 측 및 상기 일 측에 반대되는 타 측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원부 밴드 홀(731)은 타원형의 단면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전원부 밴드 홀(731)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 밴드 홀(731)은 다각형의 단면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 밴드 홀(73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 밴드 홀(731)의 개수는 고정 밴드(71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센서 본체(740)는 센싱 접점(743a)에서 수집된 온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진공 차단기(1) 외부로 전달한다.
센서 본체(740)는 통전주(60)의 튤립 접촉자(65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본체(740)는 튤립 핑거(654)의 외주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센서 본체(740)는 튤립 접촉자(650)와 결합된다. 이때, 센서 본체(740)는 고정 밴드(710)에 의해 튤립 접촉자(650)와 결합된다. 고정 밴드(710)는 센서 본체(740)를 관통하며 센서 본체(740)와 튤립 접촉자(650)를 밀착 결합시킨다.
센서 본체(740)의 일 측에는 결합선(720)이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 본체(740)의 좌측에는 결합선(720)이 결합된다.
센서 본체(740)의 내부에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전원부(730), 입력부, 데이터 처리부 및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 본체(740)는 본체 정면부(741), 본체 측면부(742) 및 본체 저면부(743)로 구분된다.
본체 정면부(741), 본체 측면부(742) 및 본체 저면부(743)는 각각 센서 본체(740)의 전방 측, 좌우측 및 하측 경계를 형성한다.
본체 측면부(742)는 본체 정면부(741)의 좌측 및 우측의 단부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즉, 본체 측면부(742)는 본체 정면부(741)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와 연속된다.
본체 측면부(742)에는 본체 밴드 홀(742a)이 형성된다.
본체 밴드 홀(742a)은 고정 밴드(710)가 관통 결합되는 공간이다. 이를 위해, 본체 밴드 홀(742a)의 단면적은 고정 밴드(71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밴드 홀(742a)은 센서 본체(740)의 일 측 및 상기 일 측에 반대되는 타 측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본체 밴드 홀(742a)은 타원형의 단면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본체 밴드 홀(742a)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밴드 홀(742a)은 다각형의 단면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밴드 홀(742a)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체 밴드 홀(742a)의 개수는 고정 밴드(71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체 저면부(743)는 본체 정면부(741)의 하측 단부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즉, 본체 저면부(743)는 본체 정면부(741)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본체 저면부(743)에는 센싱 접점(743a)이 형성된다.
센싱 접점(743a)은 온도 감지 센서(70)가 직접적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센싱 접점(743a)은 센서 본체(740) 내부에 구비되는 입력부로 온도 데이터를 전달한다.
센싱 접점(743a)은 튤립 접촉자(650)를 향하는 센서 본체(740)의 일 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센싱 접점(743a)은 튤립 접촉자(650)를 향하는 센서 본체(740)의 일 면에서 튤립 접촉자(65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센싱 접점(743a)은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지점에 접촉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싱 접점(743a)은 튤립 접촉자(650)의 상측에 접촉되어, 튤립 접촉자(65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싱 접점(743a)은 본체 저면부(743)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센싱 접점(743a)은 원형의 단면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센싱 접점(743a)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접점(743a)은 다각형의 단면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센싱 접점(743a)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센싱 접점(743a)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서로 다른 지점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감지 센서(70)는 입력부, 데이터 처리부 및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 데이터 처리부 및 통신부는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입력부, 데이터 처리부 및 통신부는 각각 결합선(720)에 의해 전원부(730) 및 센서 본체(74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입력부, 데이터 처리부 및 통신부는 센서 본체(7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입력부는 센싱 접점(743a)에서 측정한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정리한 뒤, 통신부로 전달한다.
통신부는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진공 차단기(1)의 외부로 송출한다. 사용자는 통신부에서 송출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진공 차단기(1)의 온도를 측정 및 감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진공 차단기
10: 프레임부
110: 상부 프레임
120: 측면 프레임
20: 메커니즘(mechanism) 조립체
60: 통전주
610: 하우징부
620: 플레이트부
630: 통전주 터미널(terminal)
640: 결합 부재
650: 튤립 접촉자
651: 고정링
652: 접촉자 플레이트
653: 톱니 링
653a: 톱니
654: 튤립 핑거
654a: 고정링 체결홈
654b: 톱니 체결홈
654c: 단자 접촉부
70: 온도 감지 센서
710: 고정 밴드
720: 결합선
730: 전원부
731: 전원부 밴드 홀
740: 센서 본체
741: 본체 정면부
742: 본체 측면부
742a: 본체 밴드 홀
743: 본체 저면부
743a: 센싱 접점

Claims (12)

  1.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튤립 접촉자가 구비되는 통전주; 및
    상기 튤립 접촉자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튤립 접촉자를 향하는 일 면에 센싱 접점이 형성되는 센서 본체;
    동력원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 본체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센서 본체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 본체 및 전원부에 각각 관통 결합되고, 상기 튤립 접촉자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밴드는 플렉시블한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 접점은,
    상기 튤립 접촉자의 특정 지점에 접촉되어, 상기 특정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튤립 접촉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상의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튤립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튤립 핑거의 일 부분에 위치되는,
    진공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센서 본체에 형성된 본체 밴드 홀을 관통하며 상기 센서 본체와 결합되는,
    진공 차단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튤립 접촉자에서 발생된 자계를 상기 고정 밴드를 통해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진공 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전원부에 형성된 전원부 밴드 홀을 관통하며 상기 전원부와 결합되는,
    진공 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센서 본체 및 상기 전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본체 및 상기 전원부와 각각 결합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결합선을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선은,
    전도성 고분자 소재로 형성되는,
    진공 차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센싱 접점으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전달받아 정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정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센서 본체 및 상기 전원부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진공 차단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서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장되는,
    진공 차단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그 내경이 상기 튤립 접촉자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진공 차단기.
KR1020210042101A 2021-03-31 2021-03-31 진공 차단기 KR10267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01A KR102674082B1 (ko) 2021-03-31 2021-03-31 진공 차단기
PCT/KR2022/000677 WO2022211231A1 (ko) 2021-03-31 2022-01-13 진공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01A KR102674082B1 (ko) 2021-03-31 2021-03-31 진공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864A KR20220135864A (ko) 2022-10-07
KR102674082B1 true KR102674082B1 (ko) 2024-06-12

Family

ID=8345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101A KR102674082B1 (ko) 2021-03-31 2021-03-31 진공 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74082B1 (ko)
WO (1) WO202221123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306B1 (ko) * 2016-12-19 2017-08-31 신승현 배전반의 무선 온도 감지 장치
CN109036991B (zh) * 2018-07-27 2019-09-10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断路器触头、断路器以及高压开关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42B1 (ko) * 2007-08-20 2009-02-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KR101309040B1 (ko) * 2012-07-26 2013-09-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KR20170003589U (ko) * 2016-04-07 2017-10-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튤립 접촉자 구조
KR101907149B1 (ko) * 2017-07-19 2018-10-12 센서나인(주) 배관설치용 온도센서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306B1 (ko) * 2016-12-19 2017-08-31 신승현 배전반의 무선 온도 감지 장치
CN109036991B (zh) * 2018-07-27 2019-09-10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断路器触头、断路器以及高压开关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1231A1 (ko) 2022-10-06
KR20220135864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90078U (zh) 被封装极单元导体组件和包括该组件的中压电路断续器
US7239490B2 (en) Medium voltage vacuum circuit interrupter
KR101037027B1 (ko) 진공차단기
KR20090107839A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JP2007014086A5 (ko)
US9852851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current sensing unit
CA3232594A1 (en) Portable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and/or arc fault circuity interrup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885802A1 (en) Contact assembly and vacuum switch including the same
KR102674082B1 (ko) 진공 차단기
KR102674083B1 (ko) 진공 차단기
KR102674084B1 (ko) 진공 차단기
CN101615541B (zh) 漏电断路器
CA2390574A1 (en)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parallel current
JP7503716B2 (ja) 真空遮断器
KR101104145B1 (ko) 검전기 및 피뢰기가 일체로 장착된 상간차폐절연형 콤팩트 부하개폐기
US3632915A (en) High-current electrical switching unit enclosed by a housing of spaced conductive bars and removable insulating plates
CN205789811U (zh) 漏电断路器
CN204927171U (zh) 一种带隔离刀闸带ct互感器式真空断路器
KR960030283A (ko) 접지 개폐기부 단로기
KR200473205Y1 (ko) 진공차단기 주회로부의 플렉시블 션트
CN102436981A (zh) 一种断路器
JP7488970B2 (ja) 回路遮断器
WO2009038499A1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вакуум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нагрузки
EP3234975B1 (en) Improved contact for disconnector
RU1786526C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генератор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