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439B1 -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439B1
KR102672439B1 KR1020230128964A KR20230128964A KR102672439B1 KR 102672439 B1 KR102672439 B1 KR 102672439B1 KR 1020230128964 A KR1020230128964 A KR 1020230128964A KR 20230128964 A KR20230128964 A KR 20230128964A KR 102672439 B1 KR102672439 B1 KR 102672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mass
harvest
ran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우
Original Assignee
에코스트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스트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스트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89Flow sheets for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5Correlation function computation including computation of convolu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gebra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부, 질량측정부, 및 함수율측정부를 통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Compost calculation system for composting multiple harvest residues}
본 발명은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부, 질량측정부, 및 함수율측정부를 통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확잔재물이란, 콩, 고추, 가지, 옥수수 등의 작물을 재배하거나 소, 돼지, 닭 등의 가축을 기른 후 잔재되거나, 채소 또는 과일 등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동식물성 유기성폐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확잔재물은 일반적으로 소각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수확잔재물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질소산화물 등 다량의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기에, 최근에는 수확잔재물을 퇴비화하여 농업에 재사용하는 친환경적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확잔재물은 유기물의 함량이 풍부하고 중금속이나 농약 등의 독성물질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농업용 퇴비나 가축의 사료로 재활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한편,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정수준(약 45 내지 65%)의 함수율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퇴비원료는 50 내지 60%정도의 함수율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때,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혼합하여 퇴비원료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종류가 다른 수확잔재물 각각의 수분량이 상이하고, 퇴비원료를 생산할 때마다 투입되는 수확잔재물의 종류와 무게 또한 상이하기에, 생산되는 퇴비원료의 함수율 및 성분비율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수확잔재물이 함유한 수분량이 적은 경우 호기성균이 신진대사를 유지할 수 없어 퇴비화가 원활히 수행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한 함수율 유지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수확잔재물의 경우 그 종류에 따라 함유하고 있는 성분의 종류가 다르고,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 역시 그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퇴비의 성분함량이 다르다. 이 때문에 양질의 퇴비를 생성하기 위한 따라서 각각의 농작물에 적합한 양질의 퇴비를 생성하기 위해선, 농작물 각각이 요구하는 적정수준의 C:N비율, C:P비율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즉, 이하에서 서술할 제1타겟범위는 복수의 농작물 각각에 따라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수확잔재물을 단순히 파쇄 및 혼합하여 퇴비화하는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상기한 각각의 농작물에 적합한 양질의 퇴비를 생성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에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혼합할 때, 수확잔재물 각각의 성분함량에 기초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퇴비가 적정수준의 C:N비율, C:P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확잔재물 각각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 장치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어, 사용자가 수기로 계산하거나 상기한 과정 없이 단순 혼합을 통해 생성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여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활용해 각각의 농작물에 맞춘 양질의 퇴비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부, 질량측정부, 및 함수율측정부를 통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질량계산부 및 수분량계산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통해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값을 포함하는 수확잔재물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질량에 해당하는 측정질량값을 측정하는 질량측정부;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함수율에 해당하는 측정함수율값을 측정하는 함수율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측정질량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2 이상의 물질의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입력된 제1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질량계산부;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적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 및 측정함수율값에 기초하여,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입력된 제2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수분량계산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퇴비계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퇴비계산시스템은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복수의 수확잔재물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대상수확잔재물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엘리먼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수확잔재물레이어;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 및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타겟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타겟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타겟항목에 대한 엘리먼트, 및 상기 타겟항목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1타겟파라미터 또는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타겟레이어; 상기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에 대한 복수의 산출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산출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대한 엘리먼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해당하는 질량가감량 또는 수분필요량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산출레이어;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성분함량비의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1시각화영역;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함수율값의 기 설정된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2시각화영역;을 포함하는 시각화레이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타겟범위는,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C:N비율범위; 및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C:P비율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타겟범위는,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함수율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포함되는 상기 성분함량율값은, C함량율값, N함량율값, 및 P함량율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질량계산부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상기 측정질량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별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별질량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질량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가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별총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총질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중 기설정된 두 성분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성분에 대한 성분비율값을 산출하는 성분비율값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총질량값 및 상기 성분비율값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성분 각각의 성분필요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필요질량산출단계; 및 상기 성분필요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필요질량값 및 상기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질량가감량산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분량계산부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서,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가감량 및 측정질량값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측정질량값에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가감량을 적용한 산출질량을 산출하는 산출질량산출단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 및 측정함수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산출하는 산출수분량산출단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을 합한 산출총질량 및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합한 산출총수분량을 산출하는 합산단계; 및 상기 합산단계에서 산출한 산출총질량, 및 산출총수분량에 기초하여 산출함수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함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복수의 대상잔재물의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수분필요량산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부, 질량측정부, 및 함수율측정부를 통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질량계산부 및 수분량계산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통해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있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별도의 성분함량율에 대한 분석과정 없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질량측정부 및 함수율측정부를 포함하고 있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질량 및 함수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질량계산부 및 수분량계산부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측정질량값, 측정함수율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퇴비를 생성하기 위해 조합하고자 하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의 측정데이터, 산출데이터, 및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적정수준의 성분함량비 및 함수율값을 가지는 퇴비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가 제어부에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측정부가 질량측정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수율측정부가 함수율측정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계산부가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세부단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량계산부가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세부단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의 구성 및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시각화영역 및 제2시각화영역에 표시되는 엘리먼트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최근 농축산업에서 발생한 수확잔재물을 소각하지 않고 퇴비로 재활용하는 친환경적 방법이 제시되어 수확잔재물을 효과적으로 퇴비화 하기 위한 연구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종래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 파쇄기를 통해 수확잔재물을 파쇄 후 혼합함으로써, 수확잔재물을 퇴비화 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함수율을 포함해야 하며, 각각의 농작물 마다 퇴비에 요구되는 성분함량비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종래에 보고된 파쇄 및 혼합의 방법으로는 상기한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질량, 함수율, 및 성분함량율에 기초하여 복수 대상수확잔재물이 양질의 퇴비를 생성하기 위한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퇴비계산시스템(1)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1)에 대해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1)으로서, 복수의 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값을 포함하는 수확잔재물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100);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질량에 해당하는 측정질량값을 측정하는 질량측정부(200);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함수율에 해당하는 측정함수율값을 측정하는 함수율측정부(300);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측정질량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2 이상의 물질의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입력된 제1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질량계산부(410);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적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 및 측정함수율값에 기초하여,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입력된 제2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수분량계산부(420);를 포함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퇴비계산시스템(1)은 컨트롤패널(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500)은, 상기 복수의 수확잔재물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대상수확잔재물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엘리먼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수확잔재물레이어(L1);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 및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타겟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타겟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타겟항목에 대한 엘리먼트, 및 상기 타겟항목에 해당하는 제1타겟파라미터 또는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타겟레이어(L2); 상기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에 대한 복수의 산출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산출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대한 엘리먼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해당하는 질량가감량 또는 수분필요량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산출레이어(L4);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성분함량비의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1시각화영역(L5);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함수율값의 상기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2시각화영역(L5, L6);을 포함하는 시각화레이어(L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퇴비화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2 이상의 물질의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에 포함되는 값일 수 있고, 제2타겟파라미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퇴비화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제2타겟범위에 포함되는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조합하여 퇴비를 생성할 때 양질의 퇴비를 생성할 수 있는 성분함량비 및 함수율값의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타겟범위는, 복수의 농작물 각각에 따라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상기 복수의 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값이 저장되어 있는 구성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100)에 포함되는 성분함량율값은, C함량율값, N함량율값, 및 P함량율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수확잔재물의 밀도에 대한 밀도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량측정부(200)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에 해당하는 측정질량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량측정부(200)는 전자저울을 포함한다.
상기 함수율측정부(300)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함수율에 해당하는 측정함수율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수율측정부(300)는, 함수율측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 질량측정부(200), 및 함수율측정부(3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계산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질량계산부(410) 및 수분량계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가지고 외부 통신수단을 갖는 컴퓨팅장(11000)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질량계산부(410)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상기 측정질량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별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별질량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질량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가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별총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총질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중 기설정된 두 성분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성분에 대한 성분비율값을 산출하는 성분비율값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총질량값 및 상기 성분비율값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성분 각각의 성분필요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필요질량산출단계; 및 상기 성분필요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필요질량값 및 상기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질량가감량산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분량계산부(420)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서,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가감량 및 측정질량값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측정질량값에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가감량을 적용한 산출질량을 산출하는 산출질량산출단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 및 측정함수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산출하는 산출수분량산출단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을 합한 산출총질량 및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합한 산출총수분량을 산출하는 합산단계; 및 상기 합산단계에서 산출한 산출총질량, 및 산출총수분량에 기초하여 산출함수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함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복수의 대상잔재물의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수분필요량산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500)은, 사용자의 선택 사항, 상기 질량측정부(200) 및 함수율측정부(300)가 측정한 측정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400)가 산출한 산출데이터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측정데이터는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데이터는 상기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패널(500)은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가지고 외부 통신수단을 갖는 컴퓨팅장치(11000)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패널(500)은, 상기 복수의 수확잔재물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대상수확잔재물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엘리먼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수확잔재물레이어(L1);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 및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타겟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타겟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타겟항목에 대한 엘리먼트, 및 상기 타겟항목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1타겟파라미터 또는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타겟레이어(L2); 상기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에 대한 복수의 산출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산출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대한 엘리먼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해당하는 질량가감량 또는 수분필요량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산출레이어(L4);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성분함량비의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1시각화영역(L5);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함수율값의 기 설정된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2시각화영역(L5, L6);을 포함하는 시각화레이어(L4);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퇴비계산시스템(1)은, 수분공급기(600) 및 혼합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기(600)는, 상기 제어부(400)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혼합기(700)와 다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400) 및 혼합기(70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분필요량에 상응하는 양의 물을 상기 혼합기(700)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분공급기(600)는 수분공급펌프, 전자유량계, 및 조정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기(700)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을 수용하는 구성에 해당하며, 상기 수분공급기(600)를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과 혼합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1)은, 데이터베이스부(100), 질량측정부(200), 및 함수율측정부(300)를 통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질량계산부(410) 및 수분량계산부(420)를 포함하는 제어부(400)를 통해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1)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1)의 세부구성요소에 대해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서술한다.
한편, 특정 농작물에 적합한 성분함량비의 퇴비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조합하는 경우, 종래에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성분분석을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수확잔재물 각각의 해당하는 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퇴비계산시스템(1)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100)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100)가 제어부(400)에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는, 복수의 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값을 포함하고, 상기 성분함량율값은, C함량율값, N함량율값, 및 P함량율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제어부(400)를 통해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수확잔재물데이터 요청을 수신받아 기 저장된 복수의 수확잔재물에 대한 수확잔재물데이터 중 요청된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수확잔재물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한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1)은, 데이터베이스부(100)를 포함하고 있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별도의 성분함량율에 대한 분석과정 없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퇴비계산시스템(1)은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 산출을 위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질량 및 함수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통해 해당하는 구성에 대해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측정부(200)가 질량측정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때, 상기 질량측정부(200)는 전자저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측정부(200)가 측정한 측정질량값은, 상기 제어부(400)가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측정부(200)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질량에 해당하는 측정질량값을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수율측정부(300)가 함수율측정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때, 상기 함수율측정부(300)는 거치형 함수율측정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수율측정부(300)가 측정한 측정함수율값은, 상기 제어부(400)가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수율측정부(300)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함수율에 해당하는 측정함수율값을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1)은, 질량측정부(200) 및 함수율측정부(300)를 포함하고 있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질량 및 함수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계산부(410)가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세부단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계산부(410)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상기 측정질량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별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별질량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질량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가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별총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총질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중 기설정된 두 성분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성분에 대한 성분비율값을 산출하는 성분비율값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총질량값 및 상기 성분비율값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성분 각각의 성분필요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필요질량산출단계; 및 상기 성분필요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필요질량값 및 상기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질량가감량산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질량계산부(410)는, 질량측정부(200)에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측정질량값을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수확잔재물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수확잔재물데이터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값을 포함하고, 상기 질량계산부(410)는 상기 측정질량값에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값을 적용하여 성분별질량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성분별질량값을 통해 성분별총질량값을 산출하고, 각 성분의 성분별총질량값을 비교하여 성분비율값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질량계산부(410)는 상기 성분비율값과 목표성분함량비를 비교하여 성분별필요질량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성분별필요질량값에 상기 성분함량율값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산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량계산부(420)가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세부단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량계산부(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서,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가감량 및 측정질량값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측정질량값에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가감량을 적용한 산출질량을 산출하는 산출질량산출단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 및 측정함수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산출하는 산출수분량산출단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을 합한 산출총질량 및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합한 산출총수분량을 산출하는 합산단계; 및 상기 합산단계에서 산출한 산출총질량, 및 산출총수분량에 기초하여 산출함수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함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복수의 대상잔재물의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수분필요량산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량계산부(420)는, 질량측정부(410)에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측정질량값을 수신하고, 질량계산부(200)에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수신하고. 함수율측정부(300)에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함수율값을 수신한다. 상기 수분량계산부(420)는 상기 측정질량값에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적용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산출질량을 통해 산출총질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질량에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측정함수율값을 적용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산출하고, 산출수분량을 통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에 대한 산출총수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총질량 및 산출총수분량을 통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에 대한 산출함수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함수율과 목표함수율값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수분필요량을 산출한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1)은, 질량계산부(410) 및 수분량계산부(420)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측정질량값, 측정함수율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퇴비계산시스템(1)은, 상기 퇴비계산시스템(1)이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통해 획득하거나, 산출한 정보를 컨트롤패널(500)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컨트롤패널(500)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질량계산부(410) 및 수분량계산부(420)에서 산출한 정보를 산출데이터, 상기 질량측정부(200) 및 함수율측정부(300)에서 측정한 정보를 측정데이터라고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패널(500)의 구성 및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컨트롤패널(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수확잔재물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대상수확잔재물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표시정보, 및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에 대한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수확잔재물레이어(L1);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 및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타겟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타겟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타겟항목에 대한 표시정보, 및 상기 타겟항목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1타겟파라미터 또는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타겟레이어(L2); 상기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에 대한 복수의 산출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산출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대한 표시정보,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해당하는 질량가감량 또는 수분필요량에 대한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산출레이어(L4);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성분함량비의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1시각화영역(L5);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함수율값의 기 설정된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2시각화영역(L5, L6);을 포함하는 시각화레이어(L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500)은, 제어부(400)와 연결되고, 제어부(400)와 연결됨으로써, 제어부(400)측으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부(400)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측정데이터 및 산출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표시하거나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명칭표시엘리먼트(E1)는 사용자가 해당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복수의 수확잔재물이 표시되고, 표시된 복수의 수확잔재물 중에서 사용자가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수확잔재물이 표시될 수 있고, 측정값표시엘리먼트(E2)는 명칭표시엘리먼트(E1)에 표시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을 표시하는 엘리먼트에 해당한다.
또한, 타겟표시엘리먼트(E3)는 사용자가 해당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퇴비화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2 이상의 물질의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제1타겟파라미터 및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타겟항목이 표시되고, 표시된 복수의 타겟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목표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타겟항목에 대해 선택하면 해당 타겟항목이 표시될 수 있고, 입력값표시엘리먼트(E4)는 타겟표시엘리먼트(E3)에 표시된 타겟항목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1타겟파라미터 또는 제2타겟파라미터를 표시하는 엘리먼트에 해당한다.
또한, 산출표시엘리먼트(E5)는 사용자가 해당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산출된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에 대한 복수의 산출항목이 표시되고, 표시된 복수의 산출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산출항목에 대해 선택하면 해당 산출항목이 표시될 수 있고, 산출값표시엘리먼트(E6)는 산출표시엘리먼트(E5)에 표시된 산출항목에 해당하는 질량가감량 또는 수분필요량을 표시하는 엘리먼트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시각화레이어(L4)는,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에 대한 성분함량비의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2 이상의 물질의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미터기 형태로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제1시각화영역(L5)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에 대한 함수율값의 상기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미터기 형태로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제2시각화영역(L5, L6)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이 양질의 퇴비를 생성하기에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제1시각화영역(L5) 및 제2시각화영역(L5, L6)은, 3단계의 범위로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충족도를 미터기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시각화영역(L5) 및 제2시각화영역(L5, L6)에 표시되는 표시정보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시각화영역(L5) 및 제2시각화영역(L5, L6)은 3단계의 범위로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를 시각화하고,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을 통해 산출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의 함수율값 및 2 이상의 물질에 대한 성분함량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상기 성분 함량비 및 함수율값의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화 한다.
구체적으로는, 미터엘리먼트(E7, E8, 및 E9)는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를 제1범위, 제2범위, 및 제3범위의 3단계로서 표시하는 엘리먼트에 해당한다. 이때, 미터엘리먼트(E7, E8, 및 E9) 중 하나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제1범위는 도면 상 검은색 영역으로 도시된 E7-1에 해당하고, 제2범위는 도면 상 회색 영역으로 도시된 E7-2에 해당하고, 및 제3범위는 도면 상 흰색 영역으로 도시된 E7-3에 해당한다.
또한 미터기지침엘리먼트(E7-4)는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을 통해 산출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의 함수율값 및 2 이상의 물질에 대한 성분함량비에 기초하여 3단계의 범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곳에 지침의 끝단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상기 성분 함량비 및 함수율값의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화 하는 엘리먼트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범위 및 제3범위는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범위는 상기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겟범위는,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C:N비율범위; 및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C:P비율범위;를 포함하고, 제2타겟범위는,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함수율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C:N비율범위는 15 내지 40의 C:N비율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타겟C:P비율범위는 50 내지 135의 C:P비율범위에 해당하고, 및 타겟함수율범위는 45 내지 65의 함수율범위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C:N비율범위는 20 내지 35의 C:N비율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타겟C:P비율범위는 70 내지 120의 C:P비율범위에 해당하고, 및 타겟함수율범위는 50 내지 60의 함수율범위에 해당한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계산시스템(1)은, 컨트롤패널(500)을 통해 사용자가 퇴비를 생성하기 위해 조합하고자 하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의 측정데이터, 산출데이터, 및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적정수준의 성분함량비 및 함수율값을 가지는 퇴비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110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1에 따른 제어부(400) 및 컨트롤패널(500)은 도 9에서 도시되는 컴퓨팅장치(11000)의 1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는 상기 제어부(400) 및 컨트롤패널(500)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1100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1100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11000)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각각의 농작물에 요구되는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을 가지는 퇴비를 생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필요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퇴비계산시스템(1)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부, 질량측정부, 및 함수율측정부를 통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질량계산부 및 수분량계산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통해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성분함량비 및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있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별도의 성분함량율에 대한 분석과정 없이,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질량측정부 및 함수율측정부를 포함하고 있어,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질량 및 함수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질량계산부 및 수분량계산부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측정질량값, 측정함수율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퇴비를 생성하기 위해 조합하고자 하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의 측정데이터, 산출데이터, 및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 및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적정수준의 성분함량비 및 함수율값을 가지는 퇴비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함량율값을 포함하는 수확잔재물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퇴비로 생성하고자 하는 수확잔재물을 조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질량에 해당하는 측정질량값을 측정하는 질량측정부;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함수율에 해당하는 측정함수율값을 측정하는 함수율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의 측정질량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2 이상의 물질의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입력된 제1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위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질량계산부;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적용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 및 측정함수율값에 기초하여, 퇴비화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입력된 제2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에 대한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수분량계산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퇴비계산시스템은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복수의 수확잔재물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대상수확잔재물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엘리먼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 측정질량값 및 측정함수율값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수확잔재물레이어;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 및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타겟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타겟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타겟항목에 대한 엘리먼트, 및 상기 타겟항목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1타겟파라미터 또는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타겟레이어;
    상기 질량가감량 및 수분필요량에 대한 복수의 산출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산출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대한 엘리먼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산출항목에 해당하는 질량가감량 또는 수분필요량에 대한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산출레이어;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성분함량비의 기 설정된 제1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1시각화영역; 및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함수율값의 기 설정된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제2시각화영역;을 포함하는 시각화레이어;를 표시하고,
    상기 타겟레이어는,
    타겟표시엘리먼트 및 입력값표시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표시엘리먼트는,
    사용자가 해당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퇴비화된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해 기 설정된, 제1타겟파라미터 및 제2타겟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타겟항목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값표시엘리먼트는,
    상기 타겟표시엘리먼트에 표시된 타겟항목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1타겟파라미터 또는 제2타겟파라미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1시각화영역 및 상기 제2시각화영역은,
    제1범위, 제2범위 및 제3범위를 표시하는 미터엘리먼트; 및 상기 제1범위, 상기 제2범위, 및 상기 제3범위 중 어느 한 곳을 가르키는 미터기지침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범위, 상기 제2범위 및 상기 제3범위는 각각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1시각화영역에 대한,
    상기 제2범위 및 상기 제3범위는 상기 제1타겟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미터엘리먼트의 끝단은 상기 제1범위, 상기 제2범위, 및 상기 제3범위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에 대한 성분함량비에 위치하여, 상기 제1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화하고,
    상기 제2시각화영역에 대한,
    상기 제2범위 및 상기 제3범위는 상기 제2타겟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미터엘리먼트의 끝단은 상기 제1범위, 상기 제2범위, 및 상기 제3범위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의 함수율에 위치하여, 상기 제2타겟범위에 대한 충족도를 시각화하는, 퇴비계산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타겟범위는,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C:N비율범위; 및
    목표성분함량비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C:P비율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타겟범위는,
    목표함수율값에 대해 기 설정된 타겟함수율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포함되는 상기 성분함량율값은,
    C함량율값, N함량율값, 및 P함량율값을 포함하는, 퇴비계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량계산부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상기 측정질량값 및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별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별질량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질량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전체가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각각에 대한 성분별총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총질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이 포함하는 복수의 성분 중 기설정된 두 성분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성분에 대한 성분비율값을 산출하는 성분비율값산출단계;
    상기 성분별총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별총질량값 및 상기 성분비율값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성분 각각의 성분필요질량값을 산출하는 성분필요질량산출단계; 및
    상기 성분필요질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성분필요질량값 및 상기 수확잔재물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질량가감량을 산출하는 질량가감량산출단계;를 수행하는, 퇴비계산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량계산부는,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해서,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가감량 및 측정질량값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측정질량값에 해당 대상수확잔재물의 질량가감량을 적용한 산출질량을 산출하는 산출질량산출단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 및 측정함수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산출하는 산출수분량산출단계;
    상기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질량을 합한 산출총질량 및 복수의 대상수확잔재물 각각에 대한 산출수분량을 합한 산출총수분량을 산출하는 합산단계; 및
    상기 합산단계에서 산출한 산출총질량, 및 산출총수분량에 기초하여 산출함수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함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타겟파라미터를 충족하기 위한 복수의 대상잔재물의 수분필요량을 산출하는 수분필요량산출단계;를 수행하는, 퇴비계산시스템.
KR1020230128964A 2023-09-26 2023-09-26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 KR102672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964A KR102672439B1 (ko) 2023-09-26 2023-09-26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964A KR102672439B1 (ko) 2023-09-26 2023-09-26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439B1 true KR102672439B1 (ko) 2024-06-07

Family

ID=9148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8964A KR102672439B1 (ko) 2023-09-26 2023-09-26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24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378A (ko) * 1992-01-21 1993-08-26 김춘식 슬럿지를 원료로하는 비료 제조방법
JPH11171679A (ja) * 1997-12-12 1999-06-29 Sumitomo Chem Co Ltd 配合肥料設計システム、配合肥料設計方法、及び、配合肥料設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145736A (ja) * 2003-11-12 2005-06-09 Yokohama Techno Science Kk 堆肥製造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199981B1 (ko) * 2011-07-06 2012-11-12 대가파우더시스템 주식회사 비료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928763B1 (ko) * 2018-04-16 2018-12-17 대한민국 양분수지 산정 모델의 전·후처리 수행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378A (ko) * 1992-01-21 1993-08-26 김춘식 슬럿지를 원료로하는 비료 제조방법
JPH11171679A (ja) * 1997-12-12 1999-06-29 Sumitomo Chem Co Ltd 配合肥料設計システム、配合肥料設計方法、及び、配合肥料設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145736A (ja) * 2003-11-12 2005-06-09 Yokohama Techno Science Kk 堆肥製造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199981B1 (ko) * 2011-07-06 2012-11-12 대가파우더시스템 주식회사 비료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928763B1 (ko) * 2018-04-16 2018-12-17 대한민국 양분수지 산정 모델의 전·후처리 수행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nes et al. Toward a new generation of agricultural system data, models, and knowledge products: State of agricultural systems science
Camargo et al. Energy us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crop production using the farm energy analysis tool
Hercher-Pasteur et al. Energetic assess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 A review
Han et al. Pedotransfer functions for estimating soil bulk density in China
Su et al. Simulation models of leaf area index and yield for cotton grown with different soil conditioners
Sanderman et al. Redefining the inert organic carbon pool
Delzeit et al. Modelling regional input markets with numerous processing plants: The case of green maize for biogas production in Germany
Smith et al.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was associated with crop diversification in India (1947-2014)
Sinha Influence of technologies on the growth rate of GDP from agriculture: A case study of sustaining economic growth of the agriculture sector in Bihar
Ouyang et al. Impact of crop patterns and cultivation on carbon sequestration and global warming potential in an agricultural freeze zone
Zhang et al. Research on grain production efficiency in China’s main grain producing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financial support
Cagnarini et al. Multi‐objective calibration of RothC using measured carbon stocks and auxiliary data of a long‐term experiment in Switzerland
KR102672439B1 (ko) 복수의 수확잔재물을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퇴비계산시스템
Yuan et al. Optimization of airflow cylinder sieve for threshed rice separation using CFD-DEM
Wang et al. A Bayesian analysis of longitudinal farm surveys in Central Malawi reveals yield determinants and site-specific management strategies
Mao et al. ARIMA model forecasting analysis of the prices of multiple vegetables under the impact of the COVID-19
Avval et al. Energy efficiency analysis in agricultural productions: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pproaches
Shakhov et al. Updating the matrix approach to creating a parametric balance of technological process
Wang et al. Sustainable water and nitrogen optimization to adapt to different temperature variations and rainfall patterns for a trade-off between winter wheat yield and N2O emissions
Dai et al. Can meteorological data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be used to quantify soil pH in grasslands?
Blaustein-Rejto et al. Carbon opportunity cost increases carbon footprint advantage of grain-finished beef
Gasser et al. Transfer of carbon incubation parameters to model the SOC and SON dynamics of a field trial with energy crops applying digestates as organic fertilizers
Voit et al. Modeling forest growth I. Canonical approach
Hawes et al. A whole‐systems approach for assessing measures to improve arable ecosystem sustainability
Zhu Rural area and agricultural region revitalisation mode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