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144B1 -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144B1
KR102672144B1 KR1020230020569A KR20230020569A KR102672144B1 KR 102672144 B1 KR102672144 B1 KR 102672144B1 KR 1020230020569 A KR1020230020569 A KR 1020230020569A KR 20230020569 A KR20230020569 A KR 20230020569A KR 102672144 B1 KR102672144 B1 KR 10267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unit
motion
contro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양건
Original Assignee
신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양건 filed Critical 신양건
Priority to KR102023002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발생하는 상황을 분석 및 판단하고, 원격관리부에 상황을 알려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지 않아도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의 발생을 인지하며, 응급상황 또는 문제상황의 정보를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 각각에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에게 신속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하로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감시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감시카메라와,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하로 운행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운행부와, 상기 운행부에 운행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상기 사람의 탑승 및 하차를 감지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카운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원격관제부와,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원격관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알림메시지로 변환하여 소방기관용 단말기 또는 수사기관용 단말기 각각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알림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분석하고, 탑승인원의 수에 따라 각각의 감시모드가 설정되며, 탑승인원의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을 판단하여 소방기관용 단말기로 또는 수사기관용 단말기로 선택적으로 각각 알림메시지를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저층에서 고층 또는 고층에서 저층으로 신속하게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이다. 현대 산업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고층건물들이 생겨나기 시작하고, 엘리베이터 또한 필수적인 이동수단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의 도어 측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카의 호출 스위치를 눌러 엘리베이터카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위치하는 층수로 엘리베이터카를 이동시킨 후 탑승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이동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들이 엘리베이터카의 고장으로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갇히게 될 경우 건물 외부에 구비된 관리부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비상호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람이 질병으로 인해 쓰러지거나 다른 탑승객에 의해 위협받는 경우 비상호출 버튼을 누를 수 없게됨으로 관리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리부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었다. 하지만, 감시카메라의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관리부에 제공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부의 관리자가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하지 않는다면 응급상황을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같은 층 또는 다른 층에서 탑승한 다른 사람에 의해 위협을 받는 경우 위협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때문에 비상호출 버튼을 누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의 경우 관리부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를 모니터링하여 위험상황을 인지한다면 위협을 받는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반대로 관리부의 관리자가 위험상황을 인지 못한 상황이라면 탑승한 사람이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관리자가 위험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탑승한 사람이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탑승한 사람이 직접 위험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야 되는데 이때, 엘리베이터카는 선택한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현재 이동하는 층의 다음 층을 눌러 엘리베이터카를 멈춘 다음 엘리베이터카가 멈춰 도어가 열리게 되면 엘리베이터카를 하차함으로써 위험상황을 벗어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위험상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함과 동시에 얼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부를 누르기 어려움으로 탑승한 사람이 스스로 위험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엘리베이터카가 이동하는 중 질병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쓰러지는 경우 관리자가 관리부의 모니터를 통하여 인지하여도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없음으로 소방기관에 별도로 연락을 취해야된다. 즉, 질병으로 인해 쓰러진 사람에게 신속한 도움을 줄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소방기관의 구조원이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위치에 도착하여도 질병으로 인해 쓰러진 사람이 쓰러지기 전 선택한 층으로 엘리베이터카가 이동된 상태이고, 엘리베이터카가 위치하는 층으로 구조원이 직접 이동하거나 엘리베이터카를 구조원이 대기하는 층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질병으로 인해 쓰러진 사람에게 직접적인 조치를 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발생하는 상황을 분석 및 판단하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원격관리부에 각각의 상황을 알려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지 않아도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의 발생을 인지하며, 응급상황 또는 문제상황의 정보를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 각각에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에게 신속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은,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하로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감시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감시카메라와,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하로 운행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운행부와, 상기 운행부에 운행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상기 사람의 탑승 및 하차를 감지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카운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원격관제부와,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원격관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알림메시지로 변환하여 소방기관용 단말기 또는 수사기관용 단말기 각각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알림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감시영역을 설정하는 감시카메라설정부와,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감시영역의 영상을 복수의 블럭 단위로 나눈 다음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감시카메라가 제공하는 이후의 촬영 영상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블럭을 움직임블럭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블럭의 좌표값 및 이동 벡터값을 산출하여 상기 사람의 움직임정보로 출력하는 움직임검출부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 상기 움직임블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사람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 상기 움직임블럭이 사라지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람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승하차감지부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수신된 상기 움직임블럭을 카운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의 수를 탑승인원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원격관제부에 상기 탑승인원정보를 송신하는 탑승인원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인원감지부에 감지된 인원이 1명인 경우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탑승인원감지부에 감지된 인원이 2명 또는 3명인 경우 방범모드로 설정하며, 4명 이상인 경우 정상운행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를 감시하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행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감시모드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의 움직임정보가 수신된 이후 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시간정보로 송신하는 시간측정부와. 상기 시간측정부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송신된 움직임블럭을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을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블럭의 크기 및 이동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시간측정부에서 수신된 시간정보와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응급상황판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상황판독부는,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의 크기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시간측정부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위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측정부에서 수신된 시간정보가 상기 응급상황판독부에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응급상황판독부에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위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에서 알림메시지를 상기 소방기관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운행시키며, 도어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림송출부의 알림메시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응급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탑승한 사람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방범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사람의 음량정보를 송신받아 데시벨을 판독하여 현재데시벨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와 설정된 위험데시벨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음량측정부와, 상기 음량측정부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각각의 움직임블럭을 수신받고, 상기 움직임블럭 각각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움직임을 판독하는 움직임판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량측정부에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가 상기 위험데시벨정보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움직임판독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움직임판독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검출된 움직임블럭 각각이 비정형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속도벡터가 형성된 움직임블럭이 형성된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에서 알림메시지를 상기 수사기관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위치하는 현재 층 또는 다음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정차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림송출부의 알림메시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위험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격관제부의 관리자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관제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정상 운행하도록 비상정차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은, 감시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블럭 단위로 나누어 이전 영상과 이후 영상을 비교하여 움직임블럭의 좌표값 및 이동 벡터를 산출하여 탑승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검출부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카에 사람의 승하차 사실을 판단하고, 탑승인원을 감지함으로써 별도의 감지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움직임검출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움직임블럭과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크기를 비교하고,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응급상황을 판단하는 응급상황판독부를 통하여 비응급상황에서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움직임검출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움직임블럭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탑승한 사람의 움직이는 방향 및 속도를 분석하여 움직임을 판독하는 움직임판독부를 통하여 비위험상황에서 위험상황으로 또는 위험상황에서 비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판단하여 응급상황감시모드, 방범모드 및 정상운행모드로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감시모드설정부를 통하여 탑승인원 수에 따른 효율적인 감시를 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감시효과를 이루어내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여 탑승한 사람에게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알림메시지를 송출하는 알림송출부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 각각의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해당 정보를 안내하여 각각의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움직임검출부를 통하여 응급상황감시모드, 방범모드 및 정상운행모드 각각이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불럭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탑승인원이 1명인 경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 중 탑승인원이 2명 또는 3명인 경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방범모드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3의 실시예 중 탑승인원이 4명 이상인 경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일반운행모드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 중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1명의 사람이 탑승하여 응급상황감시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 중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움직임검출부에서 움직임블럭을 검출하여 탑승한 사람의 위치 및 움직임 블럭의 크기를 정보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 중 탑승한 사람이 질병 또는 다른 문제로 인해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쓰러진 경우 움직임검출부에서 움직임블럭을 재설정하여 응급상황판독부에서 판독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 중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상황이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를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강제 운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7의 실시예 중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2명의 사람이 탑승하여 방범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 중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움직임검출부에서 움직임블럭을 검출하여 탑승한 사람의 위치 및 움직임블럭의 수를 분석하여 탑승한 인원 수를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실시예 중 탑승한 사람 중 한명이 다른 사람에게 위협을 가하는 동안 움직임검출부에서 실시간으로 움직임블럭의 이동을 분석하고, 음량측정부를 통해 데시벨을 측정하여 움직임판독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6은 도 13의 실시예 중 탑승한 사람이 위협을 가하는 경우 움직임판독부에서 움직임블럭 내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 중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정차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리자가 엘리베이터카를 통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8은 도 7의 실시예 중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4명 이상의 사람이 탑승하여 일반운행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00), 감시카메라(200), 운행부(300), 제어부(400), 원격관제부(500), 알림송출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00)는 도어(110), 마이크로폰(120), 디스플레이(130)가 구비되며, 원격관제부(500)는 모니터(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P)이 탑승 가능하게 개폐되는 도어(110)가 구비되고, 상하로 운행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는 탑승한 사람(P)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수를 선택하는 버튼부(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되고, 버튼부의 입력신호가 후술하는 제어부(400)로 송신되며, 제어부(400)는 후술하는 운행부(2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카(100)를 운행하게 된다.
또한, 탑승한 사람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120)과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마이크로폰(120)을 통하여 탑승한 사람(P)의 소리를 수집하고, 후술하는 원격관제부(500)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여기서 엘리베이터카(100)는 주거용 건물, 상가용 건물 등과 같이 건물의 종류와 무관하게 건물에 설치되어 상하로 운행되는 엘리베이터카(100)을 지칭하고, 종래의 엘리베이터카(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감시카메라(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 감시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게 된다. 여기서 감시영역이란, 감시카메라(200)가 설치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지칭하고, 후술하는 원격관제부(500)에서 원격으로 감시카메라(100)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여 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200)가 설치되는 방향은 엘리베이터카(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때 감시카메라(200)가 바라보는 방향은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를 통해 승차 또는 하차하는 사람(P)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운행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카(100)를 상하로 운행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되는 건물에 설치된다. 이때, 운행부(200)는 엘리베이터카(100)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만드는 동력부(미도시)와 상기 동력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엘리베이터카(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운행부(300)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후술하는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행부(300)에 운행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에 상기 사람(P)의 탑승 및 하차를 감지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카운트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카(1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엘리베이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엘리베이터카(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운행부(3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원격관제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감시카메라(100)의 촬영 영상을 모니터(12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며, 제어부(400)에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관제부(500)에는 후술하는 알림송출부(600)에 즉각적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비상벨(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모니터(510)를 통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를 감시하는 중 응급상황이나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벨을 통해 즉시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 각각에 선택적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알림송출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원격관제부(5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알림메시지(610)로 변환하여 소방기관용 단말기(ET) 또는 수사기관용 단말기(IT) 각각에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근무하는 소방관 또는 수사관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이때, 알림송출부(600)는 원격관제부(500)에 구비된 서버일 수도 있고, 알림메시지(610)를 송신하는 기관 또는 서버와 원격으로 연결된 버튼일 수도 있다.
여기서, 소방기관이란 화재 또는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진압하거나 응급환자를 응급조치한 후 의료기관으로 후송하여 조치하는 기관을 지칭하고, 수사기관이란 범죄가 발생한 경우 범죄행위를 행한 사람을 진압 또는 검거하는 기관을 지칭한다.
즉, 원격관제부(500)를 통하여 송출되는 알림메시지(610)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발생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된다. 예컨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쓰러진 응급상황과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 의해 위협을 받는 위험상황 각각으로 나누어 각각의 상황별로 알림메시지(610)가 송출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판단하고,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발생한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감시카메라설정부(410), 메모리부(420), 움직임검출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감시카메라설정부(410)는 상기 감시카메라(100)의 감시영역을 설정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감시카메라가(100)의 촬영 영상에 촬영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곳이다. 여기서, 감시카메라설정부(410)는 원격관제부(500)에서 원격으로 감시카메라(100)을 설정하는 경우 원격관제부(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감시카메라(100)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메모리부(4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카메라(100)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감시영역의 영상을 복수의 블럭 단위로 나눈 다음 저장하게 된다.
계속하여 움직임검출부(430)는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감시카메라(100)가 제공하는 이후의 촬영 영상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블럭을 움직임블럭(431)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블럭(431)의 좌표값 및 이동 벡터값을 산출하여 상기 사람의 움직임정보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움직임블럭(431)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을 블럭 형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사람(P)의 신장 및 체형에 따라 크기와 형상이 다르게 표시된다.
즉,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하여 감시카메라(100)의 감시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움직임블럭(431)이 검출되어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알게 된다.
이후,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움직임정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사람(P)의 승하차를 감지하여 탑승인원수를 분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승하차감지부(440)와 탑승인원감지부(45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승하차감지부(4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 상기 움직임블럭(431)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사람(P)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 상기 움직임블럭(431)이 사라지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한 사람(P)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승하차감지부(440)는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움직임블럭(431)의 생성 유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카(100)에 사람(P)이 탑승했는지 또는 하차했는지 판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탑승인원감지부(4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수신된 상기 움직임블럭(431)을 카운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의 수를 탑승인원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원격관제부(500)에 상기 탑승인원정보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P)의 수를 알려준다.
즉, 탑승인원감지부(450)는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움직임블럭(431)의 수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의 수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움직임블럭(431)은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가 열린 후 사람(P)이 탑승하여 감시카메라(100)의 감시영역에 들어오게 된 후 검출되는 움직임블럭(431)으로 복수의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하게 되어도 감시카메라(100)의 감시영역에 들어오는 순서 및 시간이 각기 다르고, 움직이는 방향 또한 다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사람(P)의 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의 수를 판단하는 이유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를 상황별로 감시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1명의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한 경우 다른 사람으로부터 위협을 받지 않게 되어 위험상황이 발생하지 않지만, 질병에 의해 쓰러지게 되어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복수의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한 경우 위험상황이 발생할 확률이 낮고,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어도 탑승한 사람들에 의해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400)는 감시모드설정부(460)가 구비된다.
감시모드설정부(46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인원감지부(450)에 감지된 인원이 1명인 경우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탑승인원감지부(450)에 감지된 인원이 2명 또는 3명인 경우 방범모드로 설정하며, 4명 이상인 경우 정상운행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를 감시하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행부(3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00)가 신호를 받아 도어(110)가 열리게 되면 제어부(400)의 움직임검출부(430)가 활성화되어 움직임블럭(431)을 생성하게 되고, 도어(110)가 닫히게 되면 탑승인원감지부(450)에서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의 수를 판단하여 탑승인원정보로 저장하여 감시모드설정부(460)로 송신하게 된다.
이후,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탑승한 사람(P)의 수에 따라 응급상황감시모드, 방범모드, 일반운행모드 각각을 설정하여 엘리베이터카(100)를 운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기 위해 시간측정부(470)와 응급상황판독부(471)를 더 포함하게 된다.
먼저, 시간측정부(470)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의 움직임정보가 수신된 이후 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시간정보로 후술하는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송신하게 된다. 즉, 시간측정부(470)는 엘리베이터카(100)에 사람(P)이 탑승하게 되면 움직임블럭(431)이 생성되고, 엘리베이터카(100)를 조작하거나 다른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면 새로운 움직임블럭(431)이 형성되고, 새로운 움직임블럭(431)이 형성된 이후로 다시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응급상황판독부(471)는 상기 시간측정부(470)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송신된 움직임블럭(431)을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을 저장된 움직임블럭(431)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블럭(431)의 크기 및 이동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시간측정부(470)에서 수신된 시간정보와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는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저장된 시간으로 5초 또는 10초 와 같이 초 단위로 설정되고, 시간측정부(470)에서 측정되는 시간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을 지칭한다.
예컨대, 탑승한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쓰러지게 되는 경우 처음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하여 형성된 움직임블럭(431)과 쓰러진 후 형성되는 움직임블럭(431)은 형상, 크기,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사람(P)이 쓰러진 후 의식을 잃게 되면 움직임이 없어지게 되어 움직임검출부(430)에서 검출되는 움직임블럭(431)의 위치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응급상황판독부(471)는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431)의 크기와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시간측정부(470)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431)과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의 위치를 판독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400)는 상기 시간측정부(470)에서 수신된 시간정보가 상기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저장된 움직임블럭(431)과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의 위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600)에서 알림메시지(610)를 상기 소방기관용 단말기(ET)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00)를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운행시키며, 도어(110)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운행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카(100)를 1층으로 강제 운행시키는 이유는 소방기관에서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한 후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조치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엘리베이터카(100)가 상부층에 멈춘 후 비상 정차되면 소방기관에서 도착한 후 엘리베이터카(100)가 위치한 층으로 계단을 통해 이동해야 된다. 따라서, 응급상황이 발생한 사람(P)에게 도움을 주기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 엘리베이터카(100)를 1층으로 강제 운행시킨 후 비상 정차하게 된다.
또한, 이때 알림송출부(600)에서 송출되는 알림메시지(61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응급상황발생 시간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내용이다.
즉, 응급상황감시모드의 제어과정은 도 4 및 7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사람(P)이 탑승하게 되면 탑승인원감지부(450)에서 탑승인원을 감지하여 탑승인원이 1명일 경우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엘리베이터카(100)를 운행하게 된다. 여기서, 응급상황감시모드가 활성화 됨과 동시에 시간측정부(470)가 활성화되어 움직임블럭(431)이 형성된 이후의 시간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움직임블럭(431)이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저장된 응급상환판단시간을 초과하는 동안 유지되면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400)에서 엘리베이터카(100)를 엘리베이터카(100)가 위치하는 층 또는 다음층에 강제로 멈춘 후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강제 운행시킨게 된다. 또한, 강제 운행시킴과 동시에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응급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게 된다.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응급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한 후 원격관제부(500)의 모니터(510)를 통해 응급상황을 한번 더 확인한 후 알림송출부(600)에 알림메시지(610)가 소방기관용 단말기(ET)에 송출되도록 조치한다. 이후, 응급상황이 해결되면 원격관제부(500)에서 비상정차해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게 되고, 제어부(400)는 운행부(30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엘리베이터카(100)가 다시 정상운행되게 된다.
계속하여,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방범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기 위해 음량측정부(480)와 움직임판독부(481)가 더 구비된다.
음량측정부(480)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방범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마이크로폰(120)에서 수집된 사람(P)의 음량정보를 송신받아 데시벨을 판독하여 현재데시벨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와 설정된 위험데시벨정보를 비교 분석하게 된다.
즉,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P)이 비명을 지르거나 평소보다 크고 높은 음성을 내는 특성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위험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음량정보 즉, 데시벨만으로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 상황을 판단하게 된다면 위험하지 않은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판다하는 오류가 생길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어린 아이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서 뛰거나 소리를 지르며 장난치는 경우 음량측정부(480)에서는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움직임판독부(481)에서 한번 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 상황을 판단하게 된다.
움직임판독부(481)는 상기 음량측정부(480)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각각의 움직임블럭(431)을 수신받고, 상기 움직임블럭(431) 각각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움직임을 판독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위험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음량측정부(480)에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가 상기 위험데시벨정보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움직임판독부(481)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움직임판독부(481)를 활성화시켜 움직임판독부(481)에서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속도벡터는 감시카메라(100)에 촬영된 영상에 움직임검출부(430)에서 검출된 움직임블럭(431)이 생성된 영상을 서서히 명도를 변화시켜 영상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의 방향과 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저장된 움직임블럭(431)과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의 프레임 간 차이에서 발생한 움직임블럭(431)의 이동을 추정하여 움직임이 발생한 블럭과 발생하지 않은 블럭을 구분하여 사람(P)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움직임과 방향을 분석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400)는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검출된 움직임블럭(431) 각각이 비정형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속도벡터가 형성된 움직임블럭(431)이 형성된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600)에서 알림메시지(610)를 상기 수사기관용 단말기(IT)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위치하는 현재 층 또는 다음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카(100)를 정차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운행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출하여 범죄자가 감시되고 있는 상황을 인지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카(100)로부터 도망치게 함으로서 탑승한 사람(P)이 위험상황으로부터 신속하게 벗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림송출부(600)에서 송출되는 알림메시지(61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위험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 뿐만 아니라 감시카메라(100)에 촬영된 범죄자의 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방범모드의 제어과정은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사람(P)이 탑승하게 되면 탑승인원감지부(450)에서 탑승인원을 감지하여 탑승인원이 2명 또는 3명일 경우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방범모드로 엘리베이터카(100)를 운행하게 된다. 여기서, 방범모드가 활성화 됨과 동시에 음량측정부(480)가 활성화되어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발생하는 소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이때, 발생한 음량의 데시벨정보가 위험데시벨정보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움직임판독부(481)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후, 움직임판독부(481)에서 움직임블럭(431)의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움직임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가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에서 엘리베이터카(100)를 엘리베이터카(100)가 위치하는 현재 층 또는 다음 층에 강제로 멈춘 후 운행을 종료시키게 된다. 또한, 위험상황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위험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게 된다.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위험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하고, 원격관제부(500)의 모니터(510)를 통해 위험상황을 한번 더 확인한 후 알림송출부(600)에 알림메시지(610)가 수사기관용 단말기(ET)에 송출되도록 조치한다. 이후, 위험상황이 해결되면 원격관제부(500)에서 비상정차해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게 되고, 제어부(400)는 운행부(30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엘리베이터카(100)가 다시 정상운행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일반운행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도 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한 사람(P)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으로 정상 운행하게 되고, 이때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각종 영상이 송출된다. 이때, 송출되는 영상은 이미지나 움직이는 캐릭터를 통하여 인사를 하고, 이동할 층수를 물어볼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공지사항을 문자로 출력하거나 각종 이벤트정보를 탑승한 사람(P)이 보기 편하도록 문자와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일 수도 있다.
이후, 엘리베이터카(100)가 이동할 층에 도착하여 탑승한 사람(P)이 하차하게 되면 운행이 종료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P : 사람
N : 네트워크
ET : 소방기관용 단말기
IT : 수사기관용 단말기
100 : 엘리베이터카 110 : 도어
120 : 마이크로폰 130 : 디스플레이
200 : 감시카메라
300 : 운행부
400 : 제어부 410 : 감시카메라설정부
420 : 메모리부 430 : 움직임검출부
431 : 움직임블럭 440 : 승하차감지부
450 : 탑승인원감지부 460 : 감시모드설정부
470 : 시간측정부 471 : 응급상황판독부
480 : 음량측정부 481 : 움직임판독부
500 : 원격관제부 510 : 모니터
600 : 알림송출부 610 : 알림메시지

Claims (13)

  1.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하로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감시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감시카메라와,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하로 운행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운행부와, 상기 운행부에 운행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상기 사람의 탑승 및 하차를 감지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카운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원격관제부와,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원격관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알림메시지로 변환하여 소방기관용 단말기 또는 수사기관용 단말기 각각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알림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감시영역을 설정하는 감시카메라설정부와,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감시영역의 영상을 복수의 블럭 단위로 나눈 다음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감시카메라가 제공하는 이후의 촬영 영상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블럭을 움직임블럭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블럭의 좌표값 및 이동 벡터값을 산출하여 상기 사람의 움직임정보로 출력하는 움직임검출부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 상기 움직임블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사람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 상기 움직임블럭이 사라지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람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승하차감지부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수신된 상기 움직임블럭을 카운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의 수를 탑승인원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원격관제부에 상기 탑승인원정보를 송신하는 탑승인원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인원감지부에 감지된 인원이 1명인 경우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탑승인원감지부에 감지된 인원이 2명 또는 3명인 경우 방범모드로 설정하며, 4명 이상인 경우 정상운행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를 감시하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행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감시모드설정부와,
    상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의 움직임정보가 수신된 이후 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시간정보로 송신하는 시간측정부와,
    상기 시간측정부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송신된 움직임블럭을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을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블럭의 크기 및 이동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시간측정부에서 수신된 시간정보와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응급상황판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급상황판독부는,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의 크기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시간측정부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위치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측정부에서 수신된 시간정보가 상기 응급상황판독부에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응급상황판독부에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위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에서 알림메시지를 상기 소방기관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운행시키며, 도어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알림송출부의 알림메시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응급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탑승한 사람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방범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사람의 음량정보를 송신받아 데시벨을 판독하여 현재데시벨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와 설정된 위험데시벨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음량측정부와,
    상기 음량측정부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각각의 움직임블럭을 수신받고, 상기 움직임블럭 각각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움직임을 판독하는 움직임판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량측정부에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가 상기 위험데시벨정보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움직임판독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움직임판독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검출된 움직임블럭 각각이 비정형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속도벡터가 형성된 움직임블럭이 형성된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에서 알림메시지를 상기 수사기관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위치하는 현재 층 또는 다음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정차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송출부의 알림메시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위험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격관제부의 관리자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제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정상 운행하도록 비상정차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KR1020230020569A 2023-02-16 2023-02-16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KR10267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569A KR102672144B1 (ko) 2023-02-16 2023-02-16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569A KR102672144B1 (ko) 2023-02-16 2023-02-16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144B1 true KR102672144B1 (ko) 2024-06-03

Family

ID=9149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569A KR102672144B1 (ko) 2023-02-16 2023-02-16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21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083A (ko) * 2011-08-02 2013-02-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방범시스템 및 방법
WO2017104071A1 (ja) * 2015-12-18 2017-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20190044776A (ko) * 2017-10-23 2019-05-02 서종민 엘리베이터용 이벤트 송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083A (ko) * 2011-08-02 2013-02-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방범시스템 및 방법
WO2017104071A1 (ja) * 2015-12-18 2017-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20190044776A (ko) * 2017-10-23 2019-05-02 서종민 엘리베이터용 이벤트 송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0202B1 (en) Monit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5218415B2 (ja) エレベータ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1236036A (ja) エレベータかご内異常通報システム
JP6845307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JP5709331B2 (ja) エレベータ用案内システム
JP2012184080A (ja) エレベータ
JP2010100370A (ja) エレベーターの操作入力装置及び方法
KR20160150323A (ko) 센서기반 지능형 비상통화장치 자기
KR101063779B1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4959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237259A1 (en) Method for detecting trapped passengers in elevator car
CN114728758A (zh) 电梯控制***和电梯控制方法
JP648321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迷子検出方法
KR101238788B1 (ko) 엘리베이터 방범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1500A (ko) 위험상태 인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시스템
KR102672144B1 (ko)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KR20170133595A (ko) 센서 값을 이용한 승강기 car의 운행 정지층을 학습하여 결정하는 방법
KR20170126821A (ko) 센서기반 지능형 비상통화장치 자기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2000354B1 (ko) 엘리베이터용 이벤트 송출시스템
KR101856206B1 (ko)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JP2014028674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125763A (ko) 엘리베이터용 보안 및 감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09223B1 (ko) 모니터링 자동 포착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처리방법
KR20070111741A (ko) 승강기 승객갇힘 검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