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395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395B1
KR102671395B1 KR1020200061219A KR20200061219A KR102671395B1 KR 102671395 B1 KR102671395 B1 KR 102671395B1 KR 1020200061219 A KR1020200061219 A KR 1020200061219A KR 20200061219 A KR20200061219 A KR 20200061219A KR 102671395 B1 KR102671395 B1 KR 10267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late
guard ring
frame
contact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214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0006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395B1/ko
Priority to JP2022600131U priority patent/JP3241804U/ja
Priority to US17/799,853 priority patent/US20230085820A1/en
Priority to CN202180000167.6A priority patent/CN113973493A/zh
Priority to PCT/KR2021/000311 priority patent/WO2021235644A1/ko
Priority to TW110110474A priority patent/TW202143886A/zh
Publication of KR2021014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214A/ko
Priority to KR1020240069293A priority patent/KR2024008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을 수용하고, 외측에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는 승강부;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결합되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가드링; 및 상기 가드링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단테두리와, 상기 몸체와 상기 하단테두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드링의 하단을 안착시키는 플랜지판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하강을 위해 상기 프레임의 회전으로 상기 가드링을 회전할 때 상기 가드링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랜지판이 형성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가드링의 하단을 받쳐주는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A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강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화장을 통해 자신을 아름답게 가꾸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피부를 포함하여 머리, 손톱, 입술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장함으로써 만족도를 느낀다.
특히 입술의 경우, 붉은색 계통으로 화장하여 얼굴에서 입술이 도드라져 보이도록 하는 화장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사람들은 립스틱, 립글로즈, 립밤, 립틴트 등을 이용하여 입술을 화장하게 된다. 이때 립스틱 등은 입술에 색상을 입혀 입술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면서도 입술이 건조해져서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립스틱은 기본적으로 통 형태로 제작되는데, 화장품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승강부, 승강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돌기가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가이드홀을 관통한 돌기가 위치하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가드링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프레임의 손잡이를 돌려 승강부를 승강시킴에 의해 화장품이 용기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 사용하는 원리로서, 최근에는 립스틱 이외에도 아이섀도우나 블러셔, 컨실러, 스틱형 선블럭 등 다른 화장료 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됨으로써 그 활용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가드링의 하단과 가드링을 안착시키는 프레임의 플랜지판과의 사이에 적당한 유격(공차)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불량 발생률이 높았다.
즉, 가드링의 하단과 플랜지판 사이의 유격이 넓으면 프레임의 회전은 원활한 반면, 가드링 및 승강부가 흔들려 승강부의 승하강이 불안정해지고, 화장 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섬세한 화장을 할 수 없거나, 미세 소음 발생으로 사용자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거나, 심할 경우 승강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면에, 가드링의 하단과 플랜지판 사이의 유격이 좁으면 가드링 하단과 플랜지판 사이에 성형 치수 편차에 따라 간섭이 발생하여 승하강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가드링의 하단과 플랜지판 사이의 유격(공차)을 너무 넓지도 좁지도 않게 하는 것이 필요한데, 사출 성형으로 제작해야 하는 특성 상 사출 성형 편차로 인하여 일관된 적정 유격을 갖도록 하는 것이 어려워,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드링의 하단과 플랜지판 사이의 유격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는 안티롤링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승하강 품질을 제공하고, 화장품의 승하강 시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고, 외측에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는 승강부;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결합되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가드링; 및 상기 가드링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단테두리와, 상기 몸체와 상기 하단테두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드링의 하단을 안착시키는 플랜지판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하강을 위해 상기 프레임의 회전으로 상기 가드링을 회전할 때 상기 가드링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랜지판이 형성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가드링의 하단을 받쳐주는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판 일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상기 프레임의 내외부가 관통되고, 상면이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며, 상면이 상기 몸체 하단면에 고정되는 완충플랫폼; 및 상기 완충플랫폼의 상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판 일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상기 프레임의 내외부가 관통되고, 상면이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원통형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몸체 하단면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에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점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주름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판 일부분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된 부분의 상기 플랜지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는 완충브릿지; 및 상기 완충브릿지의 상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판은,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변형된 플랜지판이고,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변형된 플랜지판의 상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는 접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판 일부분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홈; 및 상기 절개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가지는 부분이 상기 몸체 하부 측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절개홈에 위치되는 부분이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분이 사각형이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랜지판이 생략되고, 상기 하단테두리가 상기 생략된 플랜지판의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 일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상기 프레임의 내외부가 관통되고, 상면이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바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의 상면보다 높게 연장되고, 탄성력을 갖는 유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가드링의 하단과 플랜지판 사이의 유격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는 안티롤링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가드링 하단이 플랜지판과는 일정 유격을 갖되 접촉 면적이 작은 안티롤링부재와는 맞닿게 되어 가드링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고, 간섭으로 인한 승하감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8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가드링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승강부(110), 가드링(120), 프레임(130), 안티롤링부재(140)를 포함한다.
승강부(110)는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장품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틴트 등의 립제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형의 아이섀도우, 블러셔, 컨실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납홈 형태의 승강부(110)는 화장품이 안착되는 접시와, 접시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11)와, 몸체(1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1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1) 측벽의 내주면에는 고형의 화장품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돌기는 고형 화장품이 승강부(1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되는 형태를 가지면서도, 고형 화장품이 승강부(110)의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승강부(110)는 화장품 용기(100) 내를 스크류 이동함으로써,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승강부(110)가 승강 이동함에 따라, 승강부(110)에 수납된 화장품이 화장품 용기(10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화장품 용기(1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승강부(110)의 외측에는 가드링(120) 및 프레임(130)이 결합될 수 있다.
가드링(120)은 프레임(130)의 외측에 결합된다. 가드링(120)은 프레임(130)의 손잡이(135)의 연결부에 마련되는 플랜지판(136) 상에 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레임(130)의 손잡이(135)는 가드링(120)이 외부로 노출된다.
가드링(120)의 몸체(121)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나선홈(122)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나선홈(122)에는 프레임(130)의 가이드홀(134)을 관통하여 돌출된 승강부(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112)가 위치한다. 복수 개의 나선홈(122)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교차될 수 있다.
가드링(120)에 마련되는 나선홈(122)의 경사값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나선홈(122)과 가이드홀(134)의 경사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여 승강부(110)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프레임(130)에 마련되는 가이드홀(134)의 경사값과 90도 또는 90도에 가까운 각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경우 승강부(110)의 승하강 속도는 느려질 수 있다. 반면에 경사값의 각도를 줄일 경우 승강부(110)의 승하강 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손잡이(135)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130)이 회전하면, 프레임(130)의 가이드홀(134)을 관통한 가이드돌기(112)가 나선홈(122)을 따라 이동하면서, 프레임(130)의 가이드홀(13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가드링(120)은 프레임(130)의 플랜지판(136)에 안착되는 하단부에 계단형 단부링(123)이 마련되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링(123)을 삭제하고, 몸체(121)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가드링(120)의 내측에 결합되고, 승강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체 형상의 몸체(131)를 가지며, 몸체(131)에는 승강부(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112)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134)이 형성된다.
관체 형상의 몸체(131)의 상부에는 상단테두리(132)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하단테두리(133)가 마련될 수 있다. 상단테두리(132)와 하단테두리(133)는 몸체(1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져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드링(120)의 하단부를 안착할 수 있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이 구비될 수 있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판(136)은 일정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에는, 후술할 안티롤링부재(14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홀(134)은 몸체(131)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태 또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프레임(13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경사값을 갖는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가이드홀(134)은 서로 교차되지 않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134)에는 하단고정부(1341) 및 상단고정부(134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홀(134)에 하단고정부(1341) 및 상단고정부(1342)가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단고정부(1341) 및 상단고정부(1342)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단고정부(1341) 및 상단고정부(1342)는 승강부(110)의 가이드돌기(112)가 가이드홀(134)을 관통하여 승강 이동할 때,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하단고정부(1341)에 승강부(110)의 가이드돌기(112)가 위치하게 되면 가이드돌기(112)가 가이드홀(134)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승강부(110)에 결합된 화장품이 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상단고정부(1342)에 승강부(110)의 가이드돌기(112)가 위치하게 되면 가이드돌기(112)가 가이드홀(134)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승강부(110)에 결합된 화장품이 프레임(13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프레임(130)의 일단에는 손잡이(135)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35)는 프레임(13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주조되거나 프레임(130)의 일단을 이루는 하단테두리(133)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35)는 프레임(130)의 외측에 결합되는 가드링(120)의 외부로 노출되고, 가드링(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가드링(1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135) 및 그에 연결된 프레임(1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100)는 승강부(110), 가드링(120), 프레임(130)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 구성요소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화장품 용기(100)는 프레임(130)의 회전에 의해 가드링(120)이 회전하면서 승강부(110)가 승하강되는데, 이때 프레임(130)과 가드링(120) 사이의 유격(공차)이 넓은지 좁은지에 따라 화장품 용기(100)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이 넓으면 프레임(130)의 회전은 원활한 반면, 가드링(120) 및 승강부(110)가 흔들려 승강부(110)의 승하강이 불안정해지고, 화장 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이 좁으면 가드링(120)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에 성형 치수 편차에 따라 간섭이 발생하여 승하강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00)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공차)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프레임(130)의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가드링(120)의 하단을 받쳐줄 수 있으며,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이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보다 사출 성형 편차 값만큼 높게 되어 승강부(110)의 승하강 시 가드링(1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안티롤링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티롤링부재(14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안티롤링부재(14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프레임(130)의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 구비되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41), 완충플랫폼(142), 접촉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41)은,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 일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프레임(130)의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1)은, 완충플랫폼(142)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면이 플랜지판(136)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1)의 상면은 프레임(130)의 몸체(131) 하단일 수 있다.
완충플랫폼(142)은, 관통홀(14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완충플랫폼(142)은,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육면체일 수 있다. 상면이 프레임(130)의 몸체(131) 하단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143)는, 완충플랫폼(14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43)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재로서 플랜지판(136)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편차 값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접촉부(143)는, 프레임(130)의 회전 시 가드링(120)의 하단과의 면 접촉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곡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는 접촉부(143)와, 접촉부(143)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완충플랫폼(142)에 의해,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공차)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어, 승강부(110)의 승하강을 위해 프레임(130)을 회전할 때 가드링(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프레임(130)의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 구비되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41), 완충돌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41)은,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 일부분을 일정 간격을 두고 프레임(130)의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1)은, 완충돌기(144)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면이 플랜지판(136)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1)의 상면은 프레임(130)의 몸체(131) 하단일 수 있다.
완충돌기(144)는, 관통홀(14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완충돌기(144)는, 일부가 프레임(130)의 몸체(131) 하단면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플랜지판(136)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편차 값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완충돌기(144)는, 프레임(130)의 회전 시 가드링(120)의 하단과의 면 접촉 부분을 최소화하면서 외력에 이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름이 작은 원통형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완충돌기(144)에 의해,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공차)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어, 승강부(110)의 승하강을 위해 프레임(130)을 회전할 때 가드링(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프레임(130)의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 구비되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의 상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주름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주름돌기(145)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플랜지판(136)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편차 값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주름돌기(145)는, 탄성력을 가지지는 않지만 프레임(130)의 회전 시 가드링(120)의 하단과 점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점접촉되는 주름돌기(145)에 의해,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공차)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어, 승강부(110)의 승하강을 위해 프레임(130)을 회전할 때 가드링(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프레임(130)의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 구비되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부(143), 완충브릿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브릿지(146)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 일부분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된 부분의 플랜지판(136)을 연결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플랜지판(136)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얇은 박막 형태일 수 있다. 완충브릿지(146)는, 상면이 플랜지판(136)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43)는, 완충브릿지(146)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43)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재로서 플랜지판(136)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편차 값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접촉부(143)는, 프레임(130)의 회전 시 가드링(120)의 하단과의 면 접촉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곡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는 접촉부(143)와, 접촉부(143)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완충브릿지(146)에 의해,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공차)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어, 승강부(110)의 승하강을 위해 프레임(130)을 회전할 때 가드링(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프레임(130)의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변형된 플랜지판(136a)과, 이러한 변형된 플랜지판(136a)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접촉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플랜지판(136)이 두께를 두껍게 하여 경직성을 가진다면, 본 실시예의 변형된 플랜지판(136a)은 두께를 얇게하여 유연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를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변형된 플랜지판(136a)은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경직성을 갖도록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접촉부(143)는, 변형된 플랜지판(136a)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43)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재로서 변형된 플랜지판(136a)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편차 값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접촉부(143)는, 프레임(130)의 회전 시 가드링(120)의 하단과의 면 접촉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곡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는 접촉부(143)와, 접촉부(143)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변형된 플랜지판(136a)에 의해,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공차)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어, 승강부(110)의 승하강을 위해 프레임(130)을 회전할 때 가드링(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프레임(130)의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 구비되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홈(147), 완충돌기(148)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홈(147)은,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 일부분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41)은, 완충돌기(148)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돌기(148)는, 절개홈(147)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완충돌기(148)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플랜지판(136)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 예를 들어, 사출 성형 편차 값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부분이 프레임(130)의 몸체(131) 하부 측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절개홈(147)에 위치되는 부분이 직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완충돌기(148)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분이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완충돌기(148)에 의해, 가드링(120)의 하단과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공차)을 제로(zero)화 하면서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어, 승강부(110)의 승하강을 위해 프레임(130)을 회전할 때 가드링(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프레임(130)의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 가드링(120)을 안착시키는 다른 실시예들에 구비되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가 생략되고, 생략되는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까지 하단테두리(133)가 연장되도록 하고, 연장된 하단테두리(133) 부분 즉, 다른 실시예들의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41), 완충바(14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30)의 하단테두리(1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의 몸체(131)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연장되는 하단테두리(133) 부분 역시 몸체(1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1)은, 하단테두리(133)가 연장되는 다른 실시예들의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 일부분을 일정 간격을 두고 프레임(130)의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1)은, 완충바(149)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면이 연장되는 하단테두리(133)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1)의 상면은 프레임(130)의 몸체(131) 하단일 수 있다.
완충바(149)는, 관통홀(14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완충(149)는, 프레임(130)의 회전 시 가드링(120)의 하단과의 면 접촉 부분을 최소화하면서 외력에 이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바(149a0, 유연바(149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바(149a)는, 관통홀(141)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바(149a)는, 관통홀(141)의 일측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바(149a)가 상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는 것은 유연바(149a)의 단부가 연장되는 하단테두리(133)의 상면보다 윗쪽으로 용이하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연바(149b)는, 고정바(149a)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유연바(149b)는, 관통홀(141)의 내측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단부에 가드링(120)의 하단이 접촉되면서 다른 실시예에 구비되는 플랜지판(136)의 사출 성형 편차 값을 고려하여, 하단테두리(133)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사출 성형 편차 값만큼의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유연바(149b)는 단부가 하단테두리(133)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하단테두리(133)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완충바(149는, 고정바(149a)와 유연바(149b)에 의해 관통홀(141)에서'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는, 가드링(120)의 하단과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완충바(144)에 의해, 가드링(120)의 하단과 가상의 플랜지판(136) 사이의 유격(공차)을 제로(zero)화 하면서 예상되는 사출 성형 편차를 흡수할 수 있어, 승강부(110)의 승하강을 위해 프레임(130)을 회전할 때 가드링(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안티롤링부재의 제8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 140a)는, 프레임(130)의 몸체(131)와 하단테두리(133) 사이에 구비되는 환상 형태의 플랜지판(136)이 형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41), 절개홈(147), 완충플랫폼(142), 접촉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140, 140a)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관통홀(141), 완충플랫폼(142), 접촉부(143)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로 이루어지고, 나머지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절개홈(147)에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완충플랫폼(142) 상면에 접촉부(143)가 형성되는 변형된 안티롤링부재(14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안티롤링부재(140)는 제1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된 안티롤링부재(140a)는, 제1실시예의 안티롤링부재(140)와 대비하여 절개홈(147)에 형성되는 것이 다를 뿐 다른 구성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8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140)는 등간격의 각도로 배치되거나, 각도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등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티롤링부재(140)가 3개일 경우, 120도의 등간격의 각도로 배치되거나, 140도, 120도, 100도 순으로 각도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안티롤링부재(140)의 제1 내지 제8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승강부
111: 몸체 112: 가이드돌기
120: 가드링 121: 몸체
122: 나선홈 123: 단부링
130: 프레임 131: 몸체
132: 상단테두리 133: 하단테두리
134: 가이드홀 1341: 하단고정부
1342: 상단고정부 135: 손잡이
136, 136a: 플랜지판 140: 안티롤링부재
141: 관통홀 142: 완충플랫폼
143: 접촉부 144, 148: 완충돌기
145: 주름돌기 146: 완충브릿지
147: 절개홈 149: 완충바
149a: 고정바 149b: 유연바

Claims (9)

  1. 화장품을 수용하고, 외측에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는 승강부;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결합되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가드링; 및
    상기 가드링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단테두리와, 상기 몸체와 상기 하단테두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드링의 하단을 안착시키는 플랜지판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하강을 위해 상기 프레임의 회전으로 상기 가드링을 회전할 때 상기 가드링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랜지판이 형성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가드링의 하단을 받쳐주는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판의 일부 영역을 절개한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에서 상면이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플랜지판의 일부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상기 프레임의 내외부가 관통되고, 상면이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며, 상면이 상기 몸체 하단면에 고정되는 완충플랫폼; 및
    상기 완충플랫폼의 상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플랜지판의 일부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상기 프레임의 내외부가 관통되고, 상면이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원통형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몸체 하단면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에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점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주름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플랜지판의 일부 영역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된 부분의 상기 플랜지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는 완충브릿지; 및
    상기 완충브릿지의 상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판은,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변형된 플랜지판이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변형된 플랜지판의 상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는 접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플랜지판의 일부 영역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절개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플랜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가지는 부분이 상기 몸체 하부 측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절개홈에 위치되는 부분이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분이 사각형이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랜지판이 생략되고,
    상기 하단테두리가 상기 생략된 플랜지판의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안티롤링부재는,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 일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상기 프레임의 내외부가 관통되고, 상면이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바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가드링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연장된 하단테두리의 상면보다 높게 연장되고, 탄성력을 갖는 유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00061219A 2020-05-21 2020-05-21 화장품 용기 KR10267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19A KR102671395B1 (ko) 2020-05-21 2020-05-21 화장품 용기
JP2022600131U JP3241804U (ja) 2020-05-21 2021-01-11 化粧品容器
US17/799,853 US20230085820A1 (en) 2020-05-21 2021-01-11 Cosmetic container
CN202180000167.6A CN113973493A (zh) 2020-05-21 2021-01-11 化妆品容器
PCT/KR2021/000311 WO2021235644A1 (ko) 2020-05-21 2021-01-11 화장품 용기
TW110110474A TW202143886A (zh) 2020-05-21 2021-03-23 化妝品容器
KR1020240069293A KR20240082313A (ko) 2020-05-21 2024-05-28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19A KR102671395B1 (ko) 2020-05-21 2020-05-21 화장품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9293A Division KR20240082313A (ko) 2020-05-21 2024-05-28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14A KR20210144214A (ko) 2021-11-30
KR102671395B1 true KR102671395B1 (ko) 2024-06-03

Family

ID=787087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219A KR102671395B1 (ko) 2020-05-21 2020-05-21 화장품 용기
KR1020240069293A KR20240082313A (ko) 2020-05-21 2024-05-28 화장품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9293A KR20240082313A (ko) 2020-05-21 2024-05-28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5820A1 (ko)
JP (1) JP3241804U (ko)
KR (2) KR102671395B1 (ko)
CN (1) CN113973493A (ko)
TW (1) TW202143886A (ko)
WO (1) WO202123564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60B1 (ko) 2019-06-24 2019-12-18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립스틱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0229A (en) * 1955-06-30 1958-06-24 Eyelet Specialty Co Cosmetic container
FR1501043A (fr) * 1966-09-22 1967-11-10 Ejectoret Sa étui pour bâton de produit pâteux
FR2574640B1 (fr) * 1984-12-18 1987-02-13 Oreal Dispositif pour appliquer un produit pateux, notamment un produit cosmetique tel que du rouge a levres, et element tubulaire pour un tel dispositif
KR910014077A (ko) * 1990-01-19 1991-08-31 쉬지니 끌로드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2개의 회전부재사이의 회전마찰장치
FR2713455B1 (fr) * 1993-12-14 1996-02-02 Oreal Dispositif pour appliquer un produit pâteux, en particulier un produit cosmétique tel que du rouge à lèvres.
FR2737647B1 (fr) * 1995-08-10 1998-04-10 Reboul Smt Etui de rouge a levres et analogues rotatif a rattrapage de jeu axial
US5842803A (en) * 1996-09-24 1998-12-01 Rexam Cosmetic Packaging, Inc. Cosmetic container for braking and centering coaxial, tubular members
FR2823957B1 (fr) * 2001-04-27 2003-06-27 Rexam Reboul Mecanisme de rouge a levre ou analogue a freinage par patins
JP2006239277A (ja) * 2005-03-07 2006-09-14 Takeuchi Kogyo Kk 口紅等の収納容器
US20070059088A1 (en) * 2005-09-14 2007-03-15 Shya Hsin Plastic Works Co., Ltd. Lipstick mechanism
KR200470899Y1 (ko) * 2012-05-09 2014-01-15 리-춘 찬 개량된 립스틱 중간 관 조립 구조물
KR101794508B1 (ko) * 2015-08-31 2017-11-08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홀더의 유동을 방지한 립스틱 케이스
KR20200000957U (ko) * 2018-10-31 2020-05-14 조정석 듀얼 타입 립스틱 용기의 립스틱 홀더 승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60B1 (ko) 2019-06-24 2019-12-18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립스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14A (ko) 2021-11-30
JP3241804U (ja) 2023-05-08
CN113973493A (zh) 2022-01-25
WO2021235644A1 (ko) 2021-11-25
US20230085820A1 (en) 2023-03-23
TW202143886A (zh) 2021-12-01
KR20240082313A (ko) 202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419B1 (ko) 보호관이 흔들림 없이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KR20090099483A (ko) 제품, 특히 화장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보호 장치
US20180116368A1 (en) Compact container
WO2016007838A1 (en) Multiple level container
KR102671395B1 (ko) 화장품 용기
KR20190113365A (ko) 화장품 용기
KR101923187B1 (ko) 높낮이 조절형 도포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20026341A (ko) 스틱형 용기
KR102038420B1 (ko) 보호관이 탄력적으로 승하강되는 동시에 손쉽게 고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KR20200000957U (ko) 듀얼 타입 립스틱 용기의 립스틱 홀더 승강구조
KR102038418B1 (ko) 보호관이 흔들림 없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EP3718433B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handling portion
KR102522454B1 (ko) 간섭방지형 립스틱 용기
KR20200029882A (ko) 어플리케이터 및 내용기 탈부착 형식의 스틱형 화장품
KR200466895Y1 (ko) 화장품 도포기
JP7299605B2 (ja) 化粧料容器
KR20200140121A (ko) 한 손으로 스틱형 고형 화장품의 출몰 조작이 가능한 스틱형 고형 화장품 용기
KR102076650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고형 내용물 승강장치
KR200487975Y1 (ko) 화장품 용기
US7350525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substance such as a cosmetic or another care product
KR102078478B1 (ko) 화장품 용기
KR102676365B1 (ko)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635516B1 (ko) 화장품 용기
KR20190021084A (ko) 스펀지 타입의 토출부를 구비한 화장품
CN108909309B (zh) 一种组合旋转式笔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