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673B1 -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 Google Patents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673B1
KR102670673B1 KR1020210083077A KR20210083077A KR102670673B1 KR 102670673 B1 KR102670673 B1 KR 102670673B1 KR 1020210083077 A KR1020210083077 A KR 1020210083077A KR 20210083077 A KR20210083077 A KR 20210083077A KR 102670673 B1 KR102670673 B1 KR 10267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member
plates
pip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672A (ko
Inventor
한인호
Original Assignee
(주)미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성이앤씨 filed Critical (주)미성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8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6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마주하는 제1 판 및 제2 판,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연결되는 제3 판 및 제4 판을 갖는 제1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3 및 제4 판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입구에 제1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1 조립식 파이프; 마주하는 제5 판 및 제6 판, 상기 제5 및 제6 판들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판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7 판 및 제8 판을 갖고 상기 제3 판에 단부가 접촉되는 제2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7 및 제8 판들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입구에 제2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조립식 파이프;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3 판에 접촉되며 단부로부터 오목한 홈이 형성된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제5 판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6 판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보강부와 이격되는 제2 보강부를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파이프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부에 걸리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홈을 통과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제3 판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NON-WELDED PREFABRICATED TRUSS}
본 발명은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는 다양한 종류의 패널 또는 석재로 마감된다.
패널 또는 석재로 건물의 외벽을 마감하기 위해서는 외벽에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격자 형태로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물을 형성하고, 트러스 구조물을 외벽에 고정한 후 트러스 구조물에 단열재 및 패널 또는 석재로 외벽을 마감한다.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트러스 구조물은 패널 또는 석재를 고정하는 뼈대로서 역할 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트러스 구조물을 이루는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는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하여 용접된다.
작업자가 트러스 구조물을 이루는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용접하여 상호 결합할 경우, 용접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될 수 있고, 용접 도중 작업자의 신체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트러스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트러스 구조물을 용접하지 않고 나사 체결 방식 등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하는 무용접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7971호,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등록일 : 2020년 04월 29일)
본 발명은 현장에서 조립식 트러스를 이루는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용접하는 대신 브라켓을 매개로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화재 발생 방지, 작업자의 낙상 방지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킨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 부재의 단부에 브라켓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브라켓을 세로 부재에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각각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방식 대비 체결 공정수를 절반으로 감소시켜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마주하는 제1 판 및 제2 판,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연결되는 제3 판 및 제4 판을 갖는 제1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3 및 제4 판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입구에 제1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1 조립식 파이프; 마주하는 제5 판 및 제6 판, 상기 제5 및 제6 판들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판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7 판 및 제8 판을 갖고 상기 제3 판에 단부가 접촉되는 제2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7 및 제8 판들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입구에 제2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조립식 파이프;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3 판에 접촉되며 단부로부터 오목한 홈이 형성된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제5 판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6 판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보강부와 이격되는 제2 보강부를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파이프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부에 걸리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홈을 통과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제3 판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는 적어도 1개의 리벳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며, 상기 결합 부재에 형성된 상기 홈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 부재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제1 보강부 중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톱니 형상을 갖는 제1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 중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톱니 형상을 갖는 제2 톱니부가 형성된다.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상기 제3 판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결합 부재를 지지하는 스톱퍼 몸체 및 상기 스톱퍼 몸체를 상기 제3 판에 고정 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스톱퍼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상호 마주하는 제1 판 및 제2 판,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연결되는 제3 판 및 제4 판을 갖는 제1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3 및 제4 판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입구에 제1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1 조립식 파이프; 상호 마주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판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5 판 및 제6 판, 상기 제5 및 제6 판들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7 판 및 제8 판을 갖고 상기 제3 판에 단부가 접촉되는 제2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7 및 제8 판들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입구에 제2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조립식 파이프;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3 판에 접촉되며 단부로부터 오목한 홈이 형성된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제5 판 사이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6 판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보강부와 이격된 제2 보강부를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파이프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부에 걸리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홈을 통과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제3 판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상기 제3 판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결합 부재를 지지하는 스톱퍼 몸체 및 상기 스톱퍼 몸체를 상기 제3 판에 고정 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스톱퍼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용접하는 대신 브라켓으로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화재 발생 방지, 작업자의 낙상 방지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가로 부재의 단부에 브라켓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브라켓을 세로 부재에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각각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방식 대비 체결 공정수를 절반으로 감소시켜 조립에 소용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파이프 결합 부재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톱퍼 유닛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특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특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특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1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 제2 조립식 파이프(200), 파이프 결합 부재(300) 및 체결 부재(4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해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10)는 스톱퍼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립식 파이프(100)는 제1 파이프 몸체(150) 및 제1 가이드부(160)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 몸체(150)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제1 파이프 몸체(150)는 속이 빈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이프 몸체(150)는 중공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파이프 몸체(150)는 제1 판(110), 제2 판(120), 제3 판(130) 및 제4 판(140)을 포함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판(110) 및 제2 판(120)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3 판(130) 및 제4 판(140)도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1 내지 제4 판(110, 120, 130, 140)들은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제1 가이드부(160)는, 예를 들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제3 판(130) 및 제4 판(140)에 각각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160)는 제3 판(130) 및 제4 판(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160)에는 후술될 체결 부재(400)의 헤드부(410)가 삽입되며, 헤드부(410)는 제1 가이드부(160)를 따라 이동된다.
제1 가이드부(160)는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 측면판(161), 각각의 제1 측면판(161)과 연결되는 제1 바닥판(162) 및 제1 이탈방지부(1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측면판(161)들은 제3 및 제4 판(130, 140)들로부터 제1 파이프 몸체(15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1 파이프 몸체(150)의 내부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측면판(161)들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바닥판(162)은 한 쌍의 제1 측면판(161)들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 바닥판(162)은 제1 측면판(161)에 대하여 둔각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바닥판(162)은 하부로 꺾어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바닥판(162)을 이와 같이 하부를 향해 꺾어진 "V"자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체결 부재(400)의 헤드부(410) 및 제1 바닥판(162)이 상호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 부재(400)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제1 가이드부(160)의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160)를 이루는 제1 측면판(161) 및 제1 바닥판(162)은 프레스 설비 등에 의하여 오목한 홈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부(163)는 제1 가이드부(160)의 제3 판(130) 및 한 쌍의 제1 측면판(161)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제3 판(130)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 및 제4 판(140) 및 한 쌍의 제1 측면판(161)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제4 판(140)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이탈방지부(163)는 후술될 체결 부재(400)의 헤드부(410)가 제1 가이드부(160)에 삽입된 후 헤드부(410)가 제1 가이드부(160)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조립식 파이프(200)는 제2 파이프 몸체(250) 및 제2 가이드부(260)를 포함한다.
제2 파이프 몸체(250)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제2 파이프 몸체(250)는 속이 빈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이프 몸체(250)는 중공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조립식 파이프(200)는 제1 조립식 파이프(20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파이프 몸체(250)의 일측 단부는, 예를 들어, 제1 파이프 몸체(150)의 제3 판(130)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몸체(250)는 제5 판(210), 제6 판(220), 제7 판(230) 및 제8 판(240)을 포함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5 판(210) 및 제6 판(220)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7 판(230) 및 제8 판(240)도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7 판(230) 및 제8 판(240)은 제5 및 제6 판(210, 220)들에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며, 제5 내지 제8 판(210, 220, 230, 240)들은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7 판(230) 및 제8 판(240)은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1 및 제2 판(110, 120)들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가이드부(260)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제7 판(230) 및 제8 판(240)에 각각 형성되며, 제2 가이드부(260)는 제7 판(230) 및 제8 판(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부(260)의 내부로는 후술될 체결 부재(400)의 헤드부(410)가 삽입되며, 헤드부(410)는 제2 가이드부(26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60)는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2 측면판(261), 제2 측면판(261)과 연결된 제2 바닥판(262) 및 제2 이탈방지부(2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측면판(261)들은 제7 판 및 제8 판(230, 240)들로부터 제2 파이프 몸체(25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2 파이프 몸체(250)의 내부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측면판(261)들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바닥판(262)은 한 쌍의 제2 측면판(261)들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제2 바닥판(262)은 제2 측면판(261)에 대하여 둔각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바닥판(262)은 하부로 꺾어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바닥판(262)을 이와 같이 하부를 향해 꺾어진 "V"자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체결 부재(400)의 헤드부(410)와 제2 바닥판(262)이 상호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 부재(400)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제2 가이드부(260)의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부(260)를 이루는 제2 측면판(261) 및 제2 바닥판(262)은 프레스 설비 등에 의하여 오목한 홈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제2 이탈방지부(263)는 제2 가이드부(260)의 제7 판(230) 및 한 쌍의 제2 측면판(261)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제7 판(230)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 및 제8 판(240) 및 한 쌍의 제2 측면판(261)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제8 판(240)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이탈방지부(263)는 후술될 체결 부재(400)가 제2 가이드부(260)에 삽입된 후 헤드부(410)가 제2 가이드부(260)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제1 조립식 파이프(100)는,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제2 조립식 파이프(200)는,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하여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립식 파이프(200)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260)는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 가이드부(26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600)이 결합되고, 브라켓(600)에는 패널(미도시)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단부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3 판(130)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 200)들은 파이프 결합 부재(300)를 매개로 상호 무용접 방식으로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파이프 결합 부재(300)에 제2 조립식 파이프(200)가 단순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 결합 부재(300)가 제1 조립식 파이프(100)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 200)들을 견고하게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체결 부재의 수량 및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기존 대비 절반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파이프 결합 부재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 결합 부재(300)는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 200)들이 무용접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파이프 결합 부재(300)는 강도가 높은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파이프 결합 부재(300)는 결합 부재(310) 및 보강판(33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파이프 결합 부재(300)는 결합 부재(310) 및 보강판(33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리벳(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3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 부재(31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3 판(130)에 배치된다.
결합 부재(310)에는 단부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홈(31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홈(315)은 제1 가이드부(16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결합 부재(3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310)에 형성된 홈(315) 및 후술될 체결 부재(400)를 이용해 결합 부재(310)는 제3 판(13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결합 부재(310) 중 제1 가이드부(160)와 대응하는 중앙 부분에는 적어도 2개의 관통홀(317)들이 형성된다.
보강판(330)은 결합 부재(310) 중 제3 판(130)과 접촉되는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에 배치되며, 보강판(330)은 결합 부재(310)에 결합된다. 보강판(330)은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 200)들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판(330)은 베이스부(350), 제1 보강부(370) 및 제2 보강부(39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5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350)는 결합 부재(310) 중 제3 판(130)과 접촉되는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에 배치된다.
베이스부(350)에는 결합 부재(310)에 형성된 관통홀(317)과 대응하는 관통홀(355)이 형성된다.
리벳(5)은 베이스부(350)의 관통홀(355) 및 결합 부재(310)에 형성된 관통홀(317)에 삽입된 후 리벳팅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부(350) 및 결합 부재(310)는 결합된다.
베이스부(350) 및 결합 부재(310)를 상호 결합하는 리벳(5)의 헤드부는 제1 가이드부(16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70)는 베이스부(350)의 일측단을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5 판(210)과 평행하게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70)는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제5 판(210) 및 제2 가이드부(26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삽입된다.
제1 보강부(370)는 상판(371) 및 절곡판(373)을 포함한다.
상판(371)은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5 판(210)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상판(371)의 양측 테두리는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한 쌍의 절곡판(37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절곡판(373)은 상판(371)에 인가되는 과도한 하중을 분산시켜 상판(371)의 형상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절곡판(373)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제1 톱니부(375)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톱니부(375)들은 각각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톱니부(375)는 제2 가이드부(260)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절곡판(373)이 보다 부드럽게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보강부(390)는 베이스부(350)의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을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6 판(220)과 평행하고 제1 보강부(370)와 마주하게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90)는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제6 판(220) 및 제2 가이드부(260) 사이의 형성된 빈 공간으로 삽입된다.
제2 보강부(390)는 하판(391) 및 절곡판(393)을 포함한다.
하판(391)은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6 판(220)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하판(391)의 양측 테두리는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한 쌍의 절곡판(39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절곡판(393)은 하판(391)에 인가되는 과도한 하중을 분산시켜 하판(391)의 형상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절곡판(393)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제2 톱니부(395)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톱니부(395)들은 각각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톱니부(395)는 제2 가이드부(260)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절곡판(393)이 보다 부드럽게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부(350)가 결합 부재(310)를 통해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3 판(130)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보강부(370, 390)들이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각각 제5 판(210) 및 제6 판(220)의 내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제2 조립식 파이프(200)와 제1 조립식 파이프(100)는 견고하게 연결 및 접촉 면적을 감소하여 원활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체결 부재(400)는 앞서 설명한 파이프 결합 부재(300)를 제1 조립식 파이프(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결 부재(400)는 헤드부(410), 나사부(430) 및 너트(450)를 포함한다.
헤드부(410)는 제1 가이드부(160)에 삽입되며, 헤드부(410)는 제1 가이드부(16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헤드부(410)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헤드부(410)의 사이즈가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판(161)들과 접촉되는 사이즈로 형성됨으로써 나사부(430)에 너트(450)가 결합될 때 너트(450)와 함께 나사부(4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160)에 삽입된 헤드부(410)는 제1 가이드부(160)의 입구에 형성된 제1 이탈방지부(163)에 걸려 제1 가이드부(16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나사부(430)는 헤드부(410)로부터 제1 가이드부(160)의 입구 및 결합 부재(310)의 홈(315)을 통과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나사부(430)의 표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된다.
너트(450)는 중앙부에 나사부(430)의 숫나사부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너트(450)는 나사부(430)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파이프 결합 부재(30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에 체결 부재(40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고, 제2 조립식 파이프(200)는 파이프 결합 부재(300)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만 결합될 뿐 제2 조립식 파이프(200) 및 파이프 결합 부재(300)를 별도의 체결 부재(400)를 이용하여 체결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방식으로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 200)들을 상호 결합할 경우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 200)들을 상호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톱퍼 유닛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톱퍼 유닛(500)은 파이프 결합 부재(300)가 임의로 제1 조립식 파이프(100)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톱퍼 유닛(500)은 스톱퍼 몸체(510) 및 고정 부재(530)를 포함한다.
스톱퍼 몸체(51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톱퍼 몸체(510)는 파이프 결합 부재(300)가 결합되는 제3 판(130)에 배치된다. 스톱퍼 몸체(510)는, 예를 들어, 제3 판(130)에 제1 가이드부(16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 판(130) 중 제1 가이드부(160)를 기준으로 양쪽에는 각각 스톱퍼 몸체(510)에 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스톱퍼 몸체(510) 중 체결홀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고정 부재(530)는 체결홀 및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제3 판(130) 및 스톱퍼 몸체(510)는 상호 결합된다.
스톱퍼 몸체(510)의 상면은 제3 판(130)에 결합된 결합 부재(310)의 하단과 접촉되어 파이프 결합 부재(300)는 스톱퍼 몸체(510)에 지지된다.
고정 부재(530)는 스톱퍼 몸체(510)의 체결홀 및 제3 판(13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며, 고정 부재(530)는 스톱퍼 몸체(510)를 제3 판(130)에 고정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20)는 파이프 결합 부재(800)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 및 설명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2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 제2 조립식 파이프(200), 파이프 결합 부재(800) 및 체결 부재(4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20)는 스톱퍼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조립식 파이프(100) 및 제2 조립식 파이프(200)는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며,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1 가이드부(160)는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2 가이드부(260)와 상호 만나게 배치된다.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1 및 제2 판(110, 120)들은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5 판(210) 및 제6 판(22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파이프 결합 부재(800)는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 200)들을 무용접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파이프 결합 부재(800)는 강도가 높은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파이프 결합 부재(800)는 결합 부재(810) 및 보강판(83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파이프 결합 부재(800)는 결합 부재(810) 및 보강판(83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리벳(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8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 부재(81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3 판(130)에 배치된다.
결합 부재(810)의 일측에는 보강판(830)이 결합되며, 보강판(830)이 결합되는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는 타측 단부로부터 오목한 홈(815)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파이프 결합 부재(800)를 더욱 컴팩트하게 형성됨으로써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체결 부재의 수량 및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810)에 형성된 홈(815) 및 체결 부재(400)를 이용해 결합 부재(810)는 제3 판(13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결합 부재(810) 중 보강판(830)이 결합되는 일측에는 적어도 2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된다.
보강판(830)은 결합 부재(810) 중 제3 판(130)과 접촉되는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에 배치되며, 보강판(830)은 결합 부재(810)에 결합된다. 보강판(830)은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 200)들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판(830)은 베이스부(850), 제1 보강부(870) 및 제2 보강부(89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85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850)는 결합 부재(810)의 일측 상면에 배치된다.
베이스부(850)에는 결합 부재(810)에 형성된 관통홀과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베이스부(850)의 관통홀 및 결합 부재(810)에 형성된 관통홀을 이용하여 베이스부(850) 및 결합 부재(810)는 리벳(5)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베이스부(850) 및 결합 부재(810)를 상호 결합하는 리벳(5)의 헤드부는 제1 가이드부(16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부(870)는 베이스부(850)의 일측단을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5 판(2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다.
제1 보강부(870)는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제5 판(210) 및 제2 가이드부(26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삽입된다.
제1 보강부(870)는 제1 측판(871) 및 절곡판(873)을 포함한다.
제1 측판(871)은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1 측판(871)은 제5 판(210)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측판(871)의 상단 및 하단은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도록 각각 절곡되어 한 쌍의 절곡판(87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절곡판(873)은 제1 측판(871)에 인가되는 과도한 하중을 분산시켜 제1 측판(871)의 형상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절곡판(873)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제1 톱니부(875)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톱니부(875)들은 각각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톱니부(875)는 제2 가이드부(260)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절곡판(873)이 보다 부드럽게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보강부(890)는 베이스부(850)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을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6 판(220)과 평행하게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강부(890)는 제1 보강부(870)와 마주 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부(890)는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제6 판(220) 및 제2 가이드부(260) 사이의 형성된 빈 공간으로 삽입된다.
제2 보강부(890)는 제2 측판(891) 및 절곡판(893)을 포함한다.
제2 측판(891)은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6 판(220)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측판(891)의 상단 및 하단은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도록 각각 절곡되어 한 쌍의 절곡판(89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절곡판(893)은 제2 측판(891)에 인가되는 과도한 하중을 분산시켜 제2 측판(891)의 형상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절곡판(893)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제2 톱니부(89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톱니부(895)들은 각각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톱니부(895)는 제2 가이드부(260)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절곡판(893)이 보다 부드럽게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부(850)가 결합 부재(810)를 통해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3 판(130)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보강부(870, 890)들이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각각 제5 판(210) 및 제6 판(220)의 내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제2 조립식 파이프(200)와 제1 조립식 파이프(100)는 견고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부(260)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1 및 제2 톱니부(875, 895)들을 형성하여 제2 가이드부(260)와 제1 및 제2 보강부(870, 890)들이 점 또는 선접촉됨으로써 마찰저항을 줄여 파이프 결합 부재(800)와 제2 조립식 파이프(200)를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용접를 용접하는 대신 브라켓으로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화재 발생 방지, 작업자의 낙상 방지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는 가로 부재의 단부에 브라켓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브라켓을 세로 부재에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를 각각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방식 대비 체결 공정수를 절반으로 감소시켜 조립에 소용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제1 조립식 파이프 200...제2 조립식 파이프
300...파이프 결합 부재 400...체결 부재
500...스톱퍼 유닛

Claims (6)

  1. 마주하는 제1 판 및 제2 판,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연결되는 제3 판 및 제4 판을 갖는 제1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3 및 제4 판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입구에 제1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1 조립식 파이프;
    마주하는 제5 판 및 제6 판, 상기 제5 및 제6 판들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판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7 판 및 제8 판을 갖고 상기 제3 판에 단부가 접촉되는 제2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7 및 제8 판들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입구에 제2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조립식 파이프;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3 판에 접촉되며 단부로부터 오목한 홈이 형성된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제5 판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6 판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보강부와 이격되는 제2 보강부를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파이프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부에 걸리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홈을 통과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제3 판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된 한 쌍의 제1 절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판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톱니 형상을 갖는 제1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상판과 마주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된 한 쌍의 제2 절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판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톱니 형상을 갖는 제2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톱니부들은 상기 제2 가이드부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들이 상기 제2 조립식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는 적어도 1개의 리벳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며,
    상기 결합 부재에 형성된 상기 홈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 부재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된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결합 부재를 지지하는 스톱퍼 몸체 및 상기 스톱퍼 몸체를 상기 제3 판에 고정 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스톱퍼 유닛을 더 포함하는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5. 삭제
  6. 삭제
KR1020210083077A 2021-06-25 2021-06-25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KR10267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077A KR102670673B1 (ko) 2021-06-25 2021-06-25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077A KR102670673B1 (ko) 2021-06-25 2021-06-25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72A KR20230000672A (ko) 2023-01-03
KR102670673B1 true KR102670673B1 (ko) 2024-05-30

Family

ID=8492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077A KR102670673B1 (ko) 2021-06-25 2021-06-25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6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3103A1 (en) * 2002-07-01 2004-02-19 Peter Ludwig Connection of streamlined-section stru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724A (ko) * 2016-01-11 2017-07-19 구명화 가구용 선반 고정시스템
KR102188023B1 (ko) * 2019-02-13 2020-12-07 조아란 카본 커튼월
KR102107971B1 (ko) 2019-08-01 2020-05-07 (주)삼우에이피엔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3103A1 (en) * 2002-07-01 2004-02-19 Peter Ludwig Connection of streamlined-section str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72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220B2 (en) Concrete weldment
KR101384706B1 (ko) 철골보 접합부
JP4931490B2 (ja) 構面補強構造及び構面の補強方法
KR101625136B1 (ko) 프리캐스트 src기둥과 프리캐스트 src보의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US9765520B2 (en) Tubular joist structures and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JP4710067B2 (ja) 柱梁接合構造
KR102670673B1 (ko)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KR101625137B1 (ko) 프리캐스트 src기둥과 프리캐스트 src보의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KR102122889B1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181525B1 (ko) 다층식 탑형 퓨젼한옥 골조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KR101736594B1 (ko)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KR101583338B1 (ko) 프리캐스트 src기둥과 프리캐스트 src보의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JP2008138493A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
JP4260736B2 (ja) スチールハウスの耐力壁構造
KR101754936B1 (ko) 선조립 기둥 설치용 주각부
KR20200145183A (ko) 구조 보강 및 내진성 향상을 위한 철골 기둥구조
JP6667273B2 (ja) テンション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635730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方立壁
KR102575921B1 (ko) 건축물의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KR102401560B1 (ko) 장스팬 구조 및 낮은 층고 구현을 위한 빔
JP5271738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JP7164393B2 (ja) 建物の補強構造
KR102641227B1 (ko) H형강 및 절곡강판을 이용한 선조립 src기둥용 조립체
KR102512134B1 (ko) 조립식 트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