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671B1 -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671B1
KR102670671B1 KR1020230138033A KR20230138033A KR102670671B1 KR 102670671 B1 KR102670671 B1 KR 102670671B1 KR 1020230138033 A KR1020230138033 A KR 1020230138033A KR 20230138033 A KR20230138033 A KR 20230138033A KR 102670671 B1 KR102670671 B1 KR 10267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t
ownership
token
security
security t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뱅크웨어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뱅크웨어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뱅크웨어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이 창출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소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거래자 단말; 및 상기 거래자 단말과 연결되며,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 배분이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하여 소유권을 이전하고, 증권토큰 소유권 이전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하며, 증권토큰의 소유 기간에 따라 증권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분배하는 증권토큰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VIDING PROFITS OF SECURITY TOKEN}
본 발명은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이 창출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소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이하, 증권토큰이라 함)은 실물 자산이나 금융 자산의 지분을 작게 나눈 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큰 형태로 발행한 증권이다. 주식·채권·부동산 등의 자산에 대한 가치를 디지털 토큰과 연계한 가상자산으로, 이자·배당 등 미래의 수익, 실물 자산 등에 대한 지분 권리가 인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경우 금융위원회가 2023년 2월 5일 발표한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에 따르면 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한 것으로 실물증권·전자증권에 이은 새로운 발행 형태의 증권이다. 그리고 이러한 증권형 토큰을 발행·유통하는 것을 STO(Security Token Offering)라고 한다.
증권형 토큰은 기존 전자증권과는 전자화된 방식으로 증권을 기재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금융회사가 중앙집권적으로 등록·관리하지 않고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 밖에 증권형 토큰은 정형화된 증권 외에도 비정형적인 증권(수익증권, 투자계약증권) 발행에 용이한데, 부동산·미술품·음원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 이는 자산의 지분을 쪼개 팔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에 자금을 조달하는 주체는 유동성을 쉽게 창출할 수 있고 투자자는 소액으로 다양한 자산에 대한 투자 접근이 가능해진다.
이 같은 국내 STO 가이드 라인이 발표되면서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기초 자산들을 토큰화하려는 시도와 아이디어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들 중 음악 저작권료, 오피스텔 월세 등과 같이 자산 자체의 가치가 오르는 것 외에 수익을 창출해내는 기초 자산들이 있다. 이러한 기초 자산들이 토큰화되어 오프체인에서 온체인으로 옮겨질 경우 창출된 수익을 증권형 토큰 소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배분해야 하는 과제가 대두된다.
기존 주식 증권 사례를 살펴보면,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식의 경우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소유하고 있던 주주들에게 지분율 만큼의 배당금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수익의 배분이 이루어지고 있다. 블록체인 상의 토큰 에어드랍 또한 비슷한 배분 형태를 가져왔다.
이러한 방법이 가지는 장점도 있겠지만 온전히 자산의 소유 기간을 정확히 판단하여 배분할 수 없기 때문에 증권형 토큰 생태계에 그대로 적용했을 때 투명성과 공정성이 퇴색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토큰 특성상 스테이킹을 통한 한시적인 소유권 이전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유가 증권의 수익 배분 방식을 그대로 채용할 수 없으며 스테이킹에 따른 소유권 보전에 대해서도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이 창출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소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거래자 단말; 및 상기 거래자 단말과 연결되며,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 배분이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하여 소유권을 이전하고, 증권토큰 소유권 이전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하며, 증권토큰의 소유 기간에 따라 증권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분배하는 증권토큰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는, 증권토큰을 발행하는 증권토큰 발행부; 상기 증권토큰 발행부에서 발행된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을 관리하여,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 후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도록 하는 토큰이전 관리부; 증권토큰의 수익배분을 위한 수익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소유자가 정한 수익 배분 룰을 접수하고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를 통해 수익토큰의 이전을 실행시킨 후 수익 배분 룰을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 기록하고 설정하는 수익배분 접수부; 상기 수익배분 접수부의 수익 배분 룰 설정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수익 지급 요청을 접수하여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 절차를 개시하는 수익지급 접수부; 상기 수익지급 접수부의 수익 지급 접수에 따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증권토큰 소유기간을 증명하는 소유기간 증명부; 및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된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간에 따라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배분수익량에 따른 수익토큰을 수익 지급 요청자에게 이전 처리하는 수익 분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에서 생성되는 소유권 변동 정보는 소유자의 지갑 주소, 블록 높이, 증권토큰 잔액 그리고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익배분 접수부가 설정하는 수익 배분 룰은 지급수익 유형, 수익배분 블록구간, 총 수익토큰 지급량 및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유기간 증명부는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면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며,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소유기간 증명이 실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 배분이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b)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발행된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 후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수익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을 위한 수익 배분 룰이 접수되면, 수익토큰의 소유권을 이전받고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 수익 배분 룰을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하여 수익 배분 룰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증권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증권토큰의 수익을 지급받기 위한 수익 지급 요청이 접수되면,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증권토큰 소유기간을 증명하는 단계; 및 (e) 증권토큰의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면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간에 따라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배분수익량에 따른 수익토큰을 수익 지급 요청자에게 이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되는 소유권 변동 정보는 소유자의 지갑 주소, 블록 높이, 증권토큰 잔액 그리고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에서 접수되어 설정되는 수익 배분 룰은 지급수익 유형, 수익배분 블록구간, 총 수익토큰 지급량 및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면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며,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소유기간 증명이 실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이 창출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소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 같은 공정한 수익 분배를 통해 현실 세계에 이미 존재하고 가치 평가되는 기초 자산들이 온체인으로 활발히 이전되면서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토큰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토큰 관리 서버의 증권토큰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은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이 창출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소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한다.
토큰화될 수 있는 수많은 자산 중에 자산 가치를 제하고,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이 창출되는 것들이 있다. 일 예로, 음악 저작권료, 오피스텔 월세 등 자산 자체의 가치가 오르는 것 외에 수익을 창출해 내는 기초 자산들이 있다. 이러한 자산이 토큰화되면 소유권이 분산됨에 따라 소유 기간에 따른 공정한 수익 분배가 필요하다.
기존의 주식 증권 사례를 보자면, 배당을 지급하는 주식의 경우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소유하고 있던 주주들에게 지분율 만큼의 배당금을 나눠준다. 이러한 배당 방식이 가지는 장점도 있겠지만 이는 온전히 자산의 소유 기간을 정확히 판단하여 배분할 수 있는 방식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소유권의 이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증권형 토큰에 대해 투자자들의 소유 시기를 정확히 기록하고 이 기록에 따라 투자자들의 소유 기간을 공정하게 산출하여 소유 기간에 따라 투자자들이 자신의 수익을 보전받을 수 있도록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이하, 증권토큰이라 함)은 블록체인 원장을 이용해 정보를 기록하는 수익형 증권토큰이다.
기존 주식 증권과 달리 블록체인 생태계에서는 시간이 블록 단위로 흐르기 때문에 증권토큰의 소유 기간을 완벽하게 증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토큰 이전이 일어날 때 소유자의 잔액 상태를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하는 방법으로 이를 증명할 수 있으며, 증권토큰의 수익을 다른 수익토큰으로 지급하여 소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배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은 거래자 단말(110, 120, 130)들과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와,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1에 도시된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거래자 단말(110, 120, 130),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 및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의 거래자 단말(110, 120, 130)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 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역시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와,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 1 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거래자 단말(110, 120, 130)들과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와,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integrate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성된 P2P 구조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또한 블록체인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상기 블록체인 노드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상 머신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일 컴퓨팅 장치에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스왑 시스템에서 상술한 거래자 단말(110, 120, 130)들과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와,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는 블록체인 노드일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소유 기간에 따른 수익 배분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하고 이전을 관리한다. 그리고 동작 실행 후 결과를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는 특정 합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분산 서버 집합이며 암호화된 블록 연결로 정보를 영구히 기록한다. 여기에서 각 블록은 고유의 블록 높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는 ERC20 표준 혹은 파생 프로토콜을 따르는 수익토큰을 발행하고 이전 관리한다. 동작 실행 후 결과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한다.
그리고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증권토큰을 스테이킹하여 거래 유동성을 제공하는 서비스(예컨데, AMM DEX) 서버이다. ERC20 표준 혹은 파생 프로토콜을 따르는 토큰을 스테이킹할 수 있으며 토큰 스테이킹 시 지분율에 따르는 유동성 토큰을 발행하여 스테이커에게 지급한다. 스테이커는 이 유동성 토큰을 이용해 원하는 시점에 스테이킹한 토큰을 청산하여 되돌려받을 수 있다. 청산 시점에서 스테이커는 유동성을 공급한 대가로 서비스 이용자들이 지급한 수수료를 지분율만큼 추가로 지급 받게 된다.
그리고 거래자 단말(110, 120, 130)들은 증권토큰을 소유한 소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증권토큰 소유자 단말은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서 발행된 수익형 증권토큰을 소유할 수 있는 계정이자 지갑 어플리케이션 단말이다.
또한 거래자 단말(110, 120, 130)들은 수익토큰을 소유한 소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수익토큰 소유자 단말은 수익 토큰 관리 서버(300)에서 발행된 수익 토큰을 소유할 수 있는 계정이자 지갑 어플리케이션 단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토큰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토큰 관리 서버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20), 제어부(210) 및 증권토큰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증권토큰을 발행하고 이전을 관리한다.
상기 통신부(220)는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른 거래자 단말(110, 120, 130)들과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와 증권토큰의 발행, 소유권 이전, 소유기간 증명 및 수익 분배를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모듈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의 제반사항을 처리하기 위해 마련되며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증권토큰 처리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다른 거래자 단말(110, 120, 130)들과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연결되며, 증권토큰을 발행하여 소유권을 이전하고 해당 증권토큰의 소유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하며 해당 증권토큰의 소유 기간에 따라 증권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소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분배하게 된다.
즉 상기 증권토큰 처리부(230)는 증권토큰의 발행 및 소유권 이전을 관리하게 되며, 증권토큰의 소유 기간 증명이 가능하도록 증권토큰의 이전이 이루어질 때마다 소유자의 잔액 상태를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함으로써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을 정확하게 관리하고 증권토큰의 소유 기간에 따른 공정한 투자자들의 수익 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증권토큰 처리부(23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토큰 관리 서버의 증권토큰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의 증권토큰 처리부(230)는, 증권토큰 발행부(231), 토큰이전 관리부(232), 수익배분 접수부(233), 수익지급 접수부(234), 소유기간 증명부(235) 및 수익 분배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권토큰 발행부(231)는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 배분이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한다.
상기 증권토큰은 실물 자산이나 금융 자산의 지분을 작게 나눈 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큰 형태로 발행한 증권이다. 주식·채권·부동산 등의 자산에 대한 가치를 디지털 토큰과 연계한 가상자산으로, 이자·배당 등 미래의 수익, 실물 자산 등에 대한 지분 권리가 인정되며, 자신 자체의 가치가 오르는 것 외에 수익을 창출하내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발행된 증권토큰을 소유한 거래자 단말(110, 120, 130)은 다른 거래자 단말과 증권토큰의 소유권을 자유롭게 이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는 발행된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을 관리한다. 또한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 후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블록 높이는 블록체인의 정보 기록 기준이며,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이 일어날 때마다 소유자의 잔액 상태를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함으로써 소유자의 정확한 소유 기간 증명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는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시, 소유권 이전 실행에 따라 분산원장에 기록할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소유권 변동 정보는 소유자의 지갑 주소, 블록 높이, 증권토큰 잔액 그리고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한다.
예컨데, 증권토큰을 1,000개 발행(Minting)하여 블록 높이 58번째에 A에게 500개의 소유권을 이전할 경우,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에서 생성되는 소유권 변동 정보는 소유자인 A의 지갑 주소 정보와 이전시의 블록 높이 정보(58) 그리고 A의 토큰 잔액 정보(A : 500)가 되며, 이 소유권 변동 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된다.
상기 수익배분 접수부(233)는 수익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소유자가 정한 수익 배분 룰을 접수하고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를 통해 수익토큰의 이전을 실행시킨 후 수익 배분 룰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수익 배분 룰은 지급수익 유형, 수익배분 블록구간, 총 수익토큰 지급량 및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수익토큰은 증권토큰이 아닌 다른 토큰이며, ERC20 표준 혹은 파생 프로토콜을 따르는 스테이블 코인일 수 있다.
예컨데, 수익토큰 관리서버(300)에서 발행된 수익토큰 ET를 소유한 소유자 C가 특정 수익배분 블록구간(58~97블록) 동안 증권토큰을 가지고 있었던 소유자들에게 수익토큰 ET 100,000개를 배분하려 할 경우, 배분용 수익토큰은 먼저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를 통해 소유권이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동시에 수익 배분 룰이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기록되게 된다.
이때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기록되는 수익 배분 룰에는 지급수익 유형 정보(ET), 수익배분 블록구간 정보(시작 블록 높이 : 58, 종료 블록 높이 : 97), 총 수익토큰 지급량 정보(100,000) 그리고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 정보(2,500)가 되며, 이 수익 배분 룰 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정될 수 있다.
상기 수익지급 접수부(234)는 증권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수익 지급 요청을 접수하여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 절차를 개시한다.
상기 수익 지급 요청에는 수익 지급을 요청한 증권토큰 소유자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 예컨데 토큰 지갑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유기간 증명부(235)는 상기 수익지급 접수부(234)의 수익 지급 접수에 따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증권토큰 소유기간을 증명하게 된다.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면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며,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소유기간 증명이 실패하게 될 것이다.
상기 수익 분배부(236)는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된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간(소유 블록)에 따라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배분수익량에 따른 수익토큰을 수익 지급 요청자에게 이전 처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는 배분수익량만큼의 수익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된다. 이 같은 배분수익 지급 결과의 분산원장 기록을 통해 배분수익의 중복 지급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것이다.
상기 수익 분배부(236)의 블록당 배분수익량 산정은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정될 수 있다.
이 블록당 배분수익량을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간에 곱해 총 배분수익이 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수익배분 블록구간(58~97블록)에 대해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이 2,500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증권토큰의 소유자 A가 수익 지급을 요청한 경우, 상기 수익 분배부(236)는 수익 지급 요청자인 A의 증권토큰 소유 기간(58~77블록)에는 500개의 증권토큰을 소유했고 소유 기간(78~97블록)에는 250개의 증권토큰을 소유했음이 증명됨에 따라 소유 기간(58~77블록)에는 블록당 배분 수익량을 1,250으로 산정하고 소유 기간(78~97블록)에는 블록당 배분 수익량을 625로 산정하여, 총 배분수익을 18,750으로 산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포함해 이루어진다.
먼저,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 배분이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한다(S110).
이후,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발행된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 후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도록 한다(S120).
여기에서 블록 높이는 블록체인의 정보 기록 기준이며,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이 일어날 때마다 소유자의 잔액 상태를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함으로써 소유자의 정확한 소유 기간 증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소유권 변동 정보는 소유자의 지갑 주소, 블록 높이, 증권토큰 잔액 그리고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한다.
이 같은 증권토큰은 그 거래 특성상 발행 후 제한없이 소유권 이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소유권 이전이 확인되면(S130), 상기 S120 단계로 절차를 이전하여 소유권 변동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이후,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수익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을 위한 수익 배분 룰이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40).
상기 수익 배분 룰은 수익토큰의 소유자가 정한 지급수익 유형, 수익배분 블록구간, 총 수익토큰 지급량 및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을 포함한다.
상기 제 S140 단계의 판단결과, 수익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수익 배분 룰이 접수된 경우,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먼저 수익토큰의 소유권을 이전받고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수익 배분 룰을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하여 수익 배분 룰을 설정하게 된다(S150).
이 같은 수익 배분 룰의 설정에 따라 증권토큰 소유자들은 자신의 증권토큰 소유 기간에 따라 해당 증권토큰에서 창출된 수익을 공정하게 분배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증권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증권토큰의 수익을 지급받기 위한 수익 지급 요청이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60).
상기 수익 지급 요청에는 수익 지급을 요청한 증권토큰 소유자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 예컨데 토큰 지갑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은 증권토큰의 소유자의 수익 지급 요청에 따라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증권토큰 소유기간을 증명하게 된다(S170).
이때,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면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며,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소유기간 증명이 실패하게 될 것이다.
증권토큰의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된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간(소유 블록)에 따라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배분수익량에 따른 수익토큰을 수익 지급 요청자에게 이전 처리하게 된다(S180).
여기에서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배분수익량만큼의 수익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함으로써 배분수익의 중복 지급을 방지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증권토큰의 거래자간 소유권 이전에 따른 수익 배분 과정을 일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58번째 블록 :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가 수익형 증권토큰을 1,000개 발행(Minting)하여 누군가에게 소유권을 이전했고 이 기록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의 58번째 블록에 기록되었다.
2) 73번째 블록 : 누군가 거래자 A 에게 수익형 증권토큰 이전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하여 A 는 증권토큰을 1,000개 소유하게 되었다. 이때 소유기간 증명을 위해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하는 정보는 아래와 같다.
- 블록 높이 => 73
- 토큰 잔액 => A : 1000
- 토큰 총 발행량 => 1000
3) 83번째 블록 : A 는 자신이 소유한 증권토큰 1,000개 중 500개를 다른 거래자 B 에게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하여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이전 수행 후 결과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하였다.
- 블록 높이 => 83
- 토큰 잔액 => A : 500, B : 500
- 토큰 총 발행량 => 1000
4) 90번째 블록 : B는 자신이 소유한 증권토큰 500개 전부를 A 에게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하여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이전 수행 결과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하였다.
- 블록 높이 => 90
- 토큰 잔액 => A : 1000, B : 0
- 토큰 총 발행량 => 1000
5) 116번째 블록 : 수익토큰 소유자인 C는 특정 기간(58~98블록) 동안 증권토큰을 가지고 있었던 소유자들에게 수익을 배분하려 한다.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에서 발행한 수익토큰으로 수익(수익토큰 100,000개)을 지급하며 배분을 위해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수익토큰을 이전한다. 이제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수익토큰 100,000개를 소유한 것으로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되었다. 수익토큰을 받은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아래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한다.
- 지급 대상 블록 구간 => 시작 블록 높이 : 58, 종료 블록 높이 : 98
- 지급 수익 유형 => 수익토큰 관리 서버에서 발행한 수익토큰
- 총 수익 지급량 => 100,000
- 블록 당 지급량 => 2500 [ 100,000 / (98 - 58) ]
6) 200번째 블록 : A 는 자신의 58~98번째 블록 구간의 소유 기간에 대한 수익을 청구하려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지급 요청을 한다.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A 의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한 수익 배분 계산을 아래와 같이 시작한다(계산식을 단순화하기 위해 증권토큰 총 발행량이 지급 구간에서 동일하게 1000이다).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계산된 수량만큼의 수익토큰을 A에게 이전하고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이를 기록한다. 해당 구간에 대해 A에게 지급이 완료되면 완료 기록이 남아 수익 중복 지급은 불가능하다.
- 58 ~ 72 : 0
- 73 ~ 82 : (1,000 / 1,000 * 2,500) * ( 82 - 72 + 1) = 25,000
- 83 ~ 89 : (500 / 1,000 * 2,500) * ( 89 - 83 + 1) = 8,750
- 90 ~ 98 : (1,000 / 1,000 * 2500) * (98 - 90 + 1) = 22,500
- 총 수익금 : 25,000 + 8,750 + 22,500 = 56,250
7) 500번째 블록 : B 는 자신의 58~98번째 블록 구간의 소유 기간에 대한 수익을 청구하려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지급 요청을 한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 58 ~ 82 : 0
- 83 ~ 89 : (500 / 1,000 * 2500) * (89 - 83 + 1) = 8,750
- 90 ~ 98 : 0
- 총 수익금 : 8,750
도 3과 도 4를 통해 상술한 증권토큰 관리 서버의 증권토큰 처리부와 이를 통한 수익 배분 방법은 일반적인 증권토큰의 이전 거래 케이스를 상정하여 설명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증권토큰의 소유자가 증권토큰을 AMM과 같은 토큰 페어에 스테이킹한 케이스의 수익 배분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실제 증권토큰은 스테이킹을 통해 그 소유권을 잠시 다른 계정에 위임할 수 있다. 이 같이 스테이킹을 통한 한시적인 소유권 이전 상태에서는 수익 배분시 소유 기간 증명이 더욱 까다롭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AMM 같은 토큰 페어에 스테이킹을 했을 경우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스테이커는 증권토큰의 소유권을 토큰 페어 컨트랙터에 넘기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방식대로라면 수익형 증권토큰에서 수익이 발생했을 경우 이 수익의 소유권은 토큰 페어 컨트랙트에 귀속되며, 스테이커는 수익을 포기하면서까지 유동성을 공급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토큰 페어 컨트랙트가 유동성 공급시 발행한 유동성 토큰의 잔액기록(블록 높이와 함께)을 통해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스테이커에게 수익을 돌려줄 수 있게 된다.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유동성 토큰에 의해 수익 지분율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미 지급된 수익 배분에는 문제가 없다. AMM을 예시로 들었지만 다른 스테이킹 모델에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AMM의 토큰 페어 중 최소 1개가 수익형 증권토큰일 것이다.
여기에서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증권토큰을 스테이킹하여 거래 유동성을 제공하는 서비스(예컨데, AMM DEX) 서버이다. ERC20 표준 혹은 파생 프로토콜을 따르는 토큰을 스테이킹할 수 있으며 토큰 스테이킹 시 지분율에 따르는 유동성 토큰을 발행하여 스테이커에게 지급한다. 스테이커는 이 유동성 토큰을 이용해 원하는 시점에 스테이킹한 토큰을 청산하여 되돌려받을 수 있다. 청산 시점에서 스테이커는 유동성을 공급한 대가로 서비스 이용자들이 지급한 수수료를 지분율만큼 추가로 지급 받게 된다.
증권토큰의 소유자가 증권토큰을 토큰 페어에 스테이킹한 케이스에서도 도 3과 같이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의 증권토큰 처리부(230)는, 증권토큰 발행부(231), 토큰이전 관리부(232), 수익배분 접수부(233), 수익지급 접수부(234), 소유기간 증명부(235) 및 수익 분배부(236)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증권토큰 발행부(231)는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 배분이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한다.
여기에서 발행된 증권토큰을 소유한 거래자 단말(110, 120, 130)은 유동성 공급의 대가로 수수료 수익을 얻기 위해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로 증권토큰을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는 발행된 증권토큰의 스테이킹 이전을 관리한다. 특히 스테이킹 이전시에는 증권토큰을 소유한 거래자 단말(110, 120, 130)의 스테이킹 이전 요청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권을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로 이전 실행 후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는 증권토큰의 스테이킹 이전 실행시, 소유권 이전 실행에 따라 분산원장에 기록할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 소유권 변동 정보는 원소유자 및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지갑 주소, 블록 높이, 원소유자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증권토큰 잔액, 원소유자의 유동성토큰 잔액 그리고 증권토큰과 유동성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한다.
예컨데, 증권토큰을 2,000개 발행(Minting)하여 블록 높이 50번째에 A에게 1,000개의 소유권을 이전한 후, 블록 높이 58번째에 A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에 1,000개의 증권토큰을 스테이킹 이전하면 증권토큰을 이전받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전체 스테이킹된 증권토큰 수량 중에서 A의 지분율만큼 유동성토큰을 발행하여 A에게 이전하게 된다.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에서 생성되는 소유권 변동 정보는 소유자인 A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지갑 주소 정보와, 스테이킹 이전시의 블록 높이(58)와, 원소유자인 A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증권토큰 잔액 정보(A : 0,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 : 1,000)와, 원소유자의 유동성토큰 잔액 정보(A : 1,000)와,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 정보(2,000)와 유동성토큰의 총 발행량 정보(1,000)가 되며, 이 소유권 변동 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된다.
또한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는 증권토큰의 스테이킹 후 발생한 유동성 서비스 이용 수수료의 이전에 따라 분산원장에 기록할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즉 제3자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유동성을 이용한 대가로 수수료가 발생되면 이 수수료 역시 원소유자에게 이전되어 증권토큰의 지분이 변경되는 형태이다.
이 경우 소유권 변동 정보는 블록 높이, 원소유자 및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지갑 주소, 유동성 서비스 이용 수수료를 포함한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증권토큰 잔액,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한다.
예컨데, 블록 높이 83번째에 누군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의 유동성을 이용한 서비스를 이용한 대가로 증권토큰 10개의 수수료를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로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큰이전 관리부(232)에서 생성되는 소유권 변동 정보는 수수료 발생시의 블록 높이(83)와, 소유자인 A의 지갑 주소 정보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증권토큰 잔액 정보(스테이킹 서비스 서버 : 1,010)와,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 정보(2,000)가 되며, 이 소유권 변동 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된다.
또한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는 증권토큰의 스테이킹 후 발생한 유동성토큰의 청산에 따라 분산원장에 기록할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즉 원소유자가 자신에게 이전된 유동성 토큰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청산 요청해 증권토큰의 지분이 변경되는 형태이다.
이 경우 소유권 변동 정보는 원소유자 및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지갑 주소, 블록 높이, 원소유자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증권토큰 잔액, 원소유자의 유동성토큰 잔액 그리고 증권토큰과 유동성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한다.
예컨데, 블록 높이 98번째에 증권토큰의 원소유자 A가 자신이 보유한 유동성토큰 1,000개 중 500개(50%)를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에 청산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이전된 500개의 유동성 토큰을 소각(Burn)하고 그 대가로 스테이킹된 증권토큰 1,010개 중 A의 지분율 50% 만큼인 505개를 A에게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로 요청하게 된다. 이 거래를 통해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에서 생성되는 소유권 변동 정보는 블록 높이(98)와, 원소유자인 A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지갑 주소 정보와, 유동성토큰의 청산시의 블록 높이(98)와, 원소유자인 A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증권토큰 잔액 정보(A : 505,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 : 505)와, 원소유자의 유동성토큰 잔액 정보(A : 500)와,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 정보(2,000)와 유동성토큰의 총 발행량 정보(500)가 되며, 이 소유권 변동 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익배분 접수부(233)는 수익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소유자가 정한 수익 배분 룰을 접수하고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를 통해 수익토큰의 이전을 실행시킨 후 수익 배분 룰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수익 배분 룰은 지급수익 유형, 수익배분 블록구간, 총 수익토큰 지급량 및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수익토큰은 증권토큰이 아닌 다른 토큰이며, ERC20 표준 혹은 파생 프로토콜을 따르는 스테이블 코인일 수 있다.
예컨데, 수익토큰 관리서버(300)에서 발행된 수익토큰 ET를 소유한 소유자 C가 특정 수익배분 블록구간(58~97블록) 동안 증권토큰을 가지고 있었던 소유자들에게 수익토큰 ET 100,000개를 배분하려 할 경우, 배분용 수익토큰은 먼저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를 통해 소유권이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동시에 수익 배분 룰이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기록되게 된다.
이때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기록되는 수익 배분 룰에는 지급수익 유형 정보(ET), 수익배분 블록구간 정보(시작 블록 높이 : 58, 종료 블록 높이 : 97), 총 수익토큰 지급량 정보(100,000) 그리고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 정보(2,500)가 되며, 이 수익 배분 룰 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되어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은 상술한 수학식 1을 통해 산정될 수 있다.
이 같은 증권토큰의 소유자의 수익 지급 요청은 상기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증권토큰을 스테이킹한 소유자로부터 수익 지급 요청을 접수하여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 절차를 개시한다.
상기 수익 지급 요청에는 수익 지급을 요청한 증권토큰 소유자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 예컨데 토큰 지갑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수익 배분의 개시에 따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서 해당 수익 지급 요청자가 스테이킹한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가 스테이킹한 증권토큰 소유 기간을 증명하게 된다.
스테이킹된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면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며, 스테이킹된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소유기간 증명이 실패하게 될 것이다.
상기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된 수익 지급 요청자의 수익토큰 배분을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로 요청한다.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의 수익 분배부(236)는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에 의해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된 수익 지급 요청자의 스테이킹 기간(소유 블록)에 따라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배분수익량에 따른 수익토큰을 수익 지급 요청자에게 이전 처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232)는 배분수익량만큼의 수익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된다. 이 같은 배분수익 지급 결과의 분산원장 기록을 통해 배분수익의 중복 지급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것이다.
상기 수익 분배부(236)의 스테이킹 기간별 배분수익량 산정은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산정될 수 있다.
이 스테이킹 기간별 배분수익량을 스테이킹 기간별로 산정해 총 배분수익이 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수익배분 블록구간(58~97블록)에 대해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이 2,500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증권토큰의 소유자 A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에 수익 지급을 요청한 경우, 상기 수익 분배부(236)는 수익 지급 요청자인 A가 스테이킹한 증권토큰의 스테이킹 기간(58~82블록)에는 1,000개의 증권토큰이 스테이킹되어 있었고, 스테이킹 기간(83~97블록)에는 1,010개의 증권토큰이 스테이킹되어 있었고, 스테이킹 기간(98블록)에는 505개의 증권토큰이 스테이킹되어 있었음이 증명됨에 따라 스테이킹 기간(58~82블록)에는 31,250의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스테이킹 기간(83~97블록)에는 18,937.5의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스테이킹 기간(98블록)에는 631.25의 배분수익량을 산정하여, 총 배분수익을 50,818.75로 산정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증권토큰의 스테이킹 이전에 따른 수익 배분 과정을 일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50번째 블록 :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가 수익형 증권토큰을 2,000개 발행(Minting)하여 그 중 1,000개의 토큰을 거래자 A에게 소유권 이전했고 이 기록은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의 50번째 블록에 기록되었다.
2) 58번째 블록 : A가 유동성 공급의 대가로 수수료 수익을 얻기 위해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에 1,000 개의 증권토큰을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하였다.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토큰 이전을 완료하고 블록 높이와 거래자 A 그리고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의 잔액 정보 그리고 총 발행량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하였다. 증권토큰을 이전받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전체 스테이킹된 증권토큰 수량 중에서 A의 지분율 만큼 유동성토큰을 발행하여 A에게 이전했다. 이때 블록 높이와 A의 유동성토큰 잔액 정보 및 총 발행량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했다. 58번째 블록에서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된 정보는 아래와 같다
- 블록 높이 => 58
- 증권 토큰 잔액 => A : 0,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 : 1,000
- 증권토큰 총 발행량 => 2,000
- 유동성토큰 잔액 => A : 1,000
- 유동성토큰 총 발행량 => 1,000
3) 83번째 블록 : 누군가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의 유동성을 이용한 서비스를 이용한 대가로 증권토큰 10개의 수수료를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에게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했다.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아래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했다.
- 블록높이 => 83
- 증권토큰 잔액 =>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 : 1,010
- 증권토큰 총 발행량 => 2,000
4) 98번째 블록 : A 는 자신의 유동성 토큰 1,000개 중 500개(50%)를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에게 청산 요청했다.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400)는 이전된 500개의 유동성토큰을 소각(Burn)하고 그 대가로 스테이킹된 증권토큰 1,010개 중 A의 지분율 50% 만큼인 505개를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했다. 이 거래를 통해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된 정보는 아래와 같다.
- 블록 높이 => 98
- 증권 토큰 잔액 => A : 505 ,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 : 505
- 증권토큰 총 발행량 => 2,000
- 유동성토큰 잔액 => A : 500
- 유동성토큰 총 발행량 => 500
5) 116번째 블록 : 수익토큰 소유자인 C는 특정 기간(58~98블록)동안 증권토큰을 가지고 있었던 소유자들에게 수익을 배분하려 한다. 수익토큰 관리 서버(300)에서 발행한 수익토큰으로 수익(수익토큰 100,000개)을 지급하며 배분을 위해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수익토큰을 이전한다. 이제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수익토큰 100,000개를 소유한 것으로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되었다. 수익토큰을 받은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는 아래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기록한다.
- 지급 대상 블록 구간 => 시작 블록 높이 : 58, 종료 블록 높이 : 98
- 지급 수익 유형 => 수익토큰 관리 서버에서 발행한 수익토큰
- 총 수익 지급량 => 100,000
- 블록 당 지급량 => 2500 [ 100,000 / (98 - 58) ]
6) 200번째 블록 : A 는 증권토큰을 스테이킹해 소유권을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300)에게 넘겼던 58 ~ 98 블록 동안에 대한 수익 청구를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300)에게 요청했다(계산식을 단순화하기 위해 증권토큰 발행량은 2,000개가 유지되었다고 가정한다).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300)는 자신에게 할당된 수익토큰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서 이전 받고 A에게 지급할 수익토큰을 계산식을 통해 산출하여 이전할 것을 증권토큰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하고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500)에 수익토큰 잔액 정보가 갱신되었다.
- 58 ~ 82 : 1000 * (1000 / 1000) / 2000 * 2500 * (82 - 58 + 1) = 31250
- 83 ~ 97 : 1010 * (1000 / 1000) / 2000 * 2500 * (97 - 83 + 1) = 18937.5
- 98 : 505 * ( 500 / 500 ) / 2000 * 2500 = 631.25
- 총 수익금 : 50818.75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120, 130 : 거래자 단말 200 : 증권토큰 관리 서버
300 : 수익토큰 관리 서버 400 : 스테이킹 서비스 서버
500 :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

Claims (9)

  1. 복수의 거래자 단말; 및
    상기 거래자 단말과 연결되며,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 배분이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하여 소유권을 이전하고, 증권토큰 소유권 이전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하며, 증권토큰의 소유 기간에 따라 증권토큰의 수익을 소유 기간 증명을 통해 분배하는 증권토큰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는,
    증권토큰을 발행하는 증권토큰 발행부;
    상기 증권토큰 발행부에서 발행된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을 관리하여,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 후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도록 하는 토큰이전 관리부;
    증권토큰의 수익배분을 위한 수익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소유자가 정한 수익 배분 룰을 접수하고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를 통해 수익토큰의 이전을 실행시킨 후 수익 배분 룰을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 기록하고 설정하는 수익배분 접수부;
    상기 수익배분 접수부의 수익 배분 룰 설정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수익 지급 요청을 접수하여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 절차를 개시하는 수익지급 접수부;
    상기 수익지급 접수부의 수익 지급 접수에 따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증권토큰 소유기간을 증명하는 소유기간 증명부; 및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된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간에 따라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배분수익량에 따른 수익토큰을 수익 지급 요청자에게 이전 처리하는 수익 분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이전 관리부에서 생성되는 소유권 변동 정보는 소유자의 지갑 주소, 블록 높이, 증권토큰 잔액 그리고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배분 접수부가 설정하는 수익 배분 룰은 지급수익 유형, 수익배분 블록구간, 총 수익토큰 지급량 및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유기간 증명부는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면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며,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소유기간 증명이 실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6. (a)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소유 기간에 따라 수익 배분이 가능한 증권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b)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발행된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따라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 후 증권토큰의 소유권 이전에 의한 소유권 변동 정보를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수익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증권토큰의 수익 배분을 위한 수익 배분 룰이 접수되면, 수익토큰의 소유권을 이전받고 상기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 수익 배분 룰을 전달하여 해당 증권토큰의 블록 높이와 함께 기록되게 하여 수익 배분 룰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증권토큰의 소유자로부터 증권토큰의 수익을 지급받기 위한 수익 지급 요청이 접수되면,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증권토큰 소유기간을 증명하는 단계; 및
    (e) 증권토큰의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면 상기 증권토큰 관리 서버가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간에 따라 배분수익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배분수익량에 따른 수익토큰을 수익 지급 요청자에게 이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되는 소유권 변동 정보는 소유자의 지갑 주소, 블록 높이, 증권토큰 잔액 그리고 증권토큰의 총 발행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접수되어 설정되는 수익 배분 룰은 지급수익 유형, 수익배분 블록구간, 총 수익토큰 지급량 및 블록당 수익토큰 지급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분산원장 저장소 서버에서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면 소유기간 증명이 완료되며, 해당 증권토큰의 수익배분 블록구간 내 블록에 저장된 기록을 조회하여 수익 지급 요청자의 소유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소유기간 증명이 실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방법.
KR1020230138033A 2023-10-16 2023-10-16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 KR10267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033A KR102670671B1 (ko) 2023-10-16 2023-10-16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033A KR102670671B1 (ko) 2023-10-16 2023-10-16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0671B1 true KR102670671B1 (ko) 2024-05-31

Family

ID=9133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8033A KR102670671B1 (ko) 2023-10-16 2023-10-16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6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828A (ko) * 2009-03-02 2010-09-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탄소배출권 예치 계정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30040735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펀블 블록체인 기반의 소유권 증명에 기초하여 기대 이익을 분배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828A (ko) * 2009-03-02 2010-09-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탄소배출권 예치 계정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30040735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펀블 블록체인 기반의 소유권 증명에 기초하여 기대 이익을 분배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1604B (zh) 基於區塊鏈的商品購置方法和裝置
US20190333051A1 (en) Global liquidity and settlement system
US20190066206A1 (en) Peer-to-peer trading with blockchain technology
CN11274995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权利管理***及其方法
KR102157171B1 (ko) 소유권자 불특정 공동자산에 대한 블록체인기반 지분 실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151853A (zh) 用于区块链上的安全点对点通信的方法
CN110827023A (zh) 根据资产标记化的当事人之间的资产交易***及方法
TW202029103A (zh) 根據區塊鏈發行與交易數位資產擔保證券之方法及執行該方法之裝置
CN110221919B (zh) 基于区块链的虚拟资源分配方法和装置
KR20200094531A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201935299A (zh) 用於處理金融資產之策略模型腳本之區塊鏈系統、節點伺服器及其方法
KR2020010676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식재산권거래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EP4189554A1 (en) Cryptographic token with separate circulation groups
US20220292469A1 (en) Electronic payment agency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currency with limit granted based on cryptocurrency provided as collateral
KR102670671B1 (ko) 증권형 토큰의 수익 배분 시스템 및 방법
KR102365823B1 (ko) 기축 코인 예치를 통한 가상화폐 수수료 거래 시스템
KR20220136026A (ko) 창작물 권리에 대한 거래 요청 처리 방법
KR20220122416A (ko)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및 관리 시스템
KR20220066786A (ko) 실물자산 투자방법
KR20210060982A (ko)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61001A (ko) 블록 체인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365824B1 (ko) 코인 교환 비율 설정을 통한 디앱 사용자 수수료 거래 시스템
KR102387204B1 (ko) 코인 익스체인징을 통한 블록체인 사용자 수수료 거래 시스템
JP7054288B1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625053B1 (ko) 탈중앙 거래소에 상장된 토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