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751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751B1
KR102668751B1 KR1020190046098A KR20190046098A KR102668751B1 KR 102668751 B1 KR102668751 B1 KR 102668751B1 KR 1020190046098 A KR1020190046098 A KR 1020190046098A KR 20190046098 A KR20190046098 A KR 20190046098A KR 102668751 B1 KR102668751 B1 KR 10266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cabinet
tub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033A (ko
Inventor
권용우
이현식
장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779,03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08114B2/en
Priority to AU2020200745A priority patent/AU2020200745B2/en
Priority to EP20154759.3A priority patent/EP3690119B1/en
Priority to CN202010078520.XA priority patent/CN111519402B/zh
Publication of KR2020009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투입구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1고정바디, 상기 터브 투입구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고정바디를 연결하되 상기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고정바디 사이에 액체가 저장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는 유입관을 구비한 절연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세제가 배출되는 저장부 연결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된 절연부 연결관; 상기 저장부 연결관과 상기 절연부 연결관 사이에 P트랩, U트랩, 및 S트랩 중 어느 하나의 트랩(trap)을 형성하는 트랩 형성관; 및 상기 절연부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트랩 형성관에서 상기 절연부 연결관으로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감속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 중에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세제유로를 구비한 것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상기 세제유로는 일단은 상기 세제저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에 구비된 세제공급구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상기 세제유로의 일단은 클램프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세제저장부의 배출구에 고정되고, 타단 역시 클램프를 통해 세제공급구에 고정되었다. 그러나, 클램프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세제저장부와 터브에 고정되는 세제유로의 조립 시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세제유로 중에는 물이 저장되면 상기 터브와 세제저장부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트랩(trap)이 구비된 것이 있다. 상기 세제유로에 구비된 트랩은 세탁 중 터브 내부의 거품이 세제저장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도어가 캐비닛에 구비된 투입구를 개방할 때 터브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세제유로의 트랩에 저장된 물이 터브로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세제저장부의 파손이나 세제유로의 파손을 의심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세제를 터브로 안내하는 세제유로의 조립이 간단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유로의 누수방지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유로에 형성된 트랩에 저장된 물이 터브 내부의 압력변화로 인해 터브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 내부의 압력변화로 인해 트랩에서 터브로 이동하는 물을 캐비닛 투입구와 터브 투입구를 연결하는 절연부로 안내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할 때, 세제공급부와 터브 사이에 형성된 워터 트랩(water trap)에서 절연부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이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워터 트랩(water trap)이 구비된 세제유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때 발생하는 터브 내부의 압력변화 때문에 워터 트랩에 저장된 물이 터브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제유로 내부에 액체의 유속을 감속하는 벽(wall)들이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그 일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투입구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1고정바디, 상기 터브 투입구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고정바디를 연결하되 상기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고정바디 사이에 액체가 저장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는 유입관을 구비한 절연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세제가 배출되는 저장부 연결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된 절연부 연결관; 상기 저장부 연결관과 상기 절연부 연결관 사이에 P트랩, U트랩, 및 S트랩 중 어느 하나의 트랩(trap)을 형성하는 트랩 형성관; 및 상기 절연부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트랩 형성관에서 상기 절연부 연결관으로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감속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유로는 액체에 제공하는 저항을 높여 워터 트랩에서 배출되는 액체의 이동속도를 낮추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트랩 형성관과 상기 절연부 연결관은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투입구가 구비되며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을 연결하는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 연결관은 상기 전방패널의 너비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트랩 형성관은 상기 제1측면패널의 너비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 연결관은 상기 트랩 형성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제1측면패널이 결합된 모서리에 위치하는 곡면부;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전방패널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며,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감속부는 상기 곡면부 내부에 구비되어 지그재그 유로를 형성하는 제1감속벽 및 제2감속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큰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큰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벽은 상기 곡면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수평부보다 상기 트랩 형성부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벽은 상기 곡면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트랩 형성부보다 상기 수평부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3감속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경사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4감속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벽의 상단은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감속벽의 하단은 상기 곡변부의 하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벽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감속벽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절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에서 연결된 상부벽; 및 상기 곡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벽의 너비와 다른 너비를 가지도록 구비된 하부벽;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에서 연결된 제2상부벽; 및 상기 곡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상부벽의 너비와 다른 너비를 가지도록 구비된 제2하부벽;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터브로 안내하는 세제유로의 조립이 간단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유로의 누수방지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유로에 형성된 트랩에 저장된 물이 터브 내부의 압력변화로 인해 터브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 내부의 압력변화로 인해 트랩에서 터브로 이동하는 물을 캐비닛 투입구와 터브 투입구를 연결하는 절연부로 안내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할 때, 세제공급부와 터브 사이에 형성된 워터 트랩(water trap)에서 절연부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이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절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배출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배출관 내부에 구비된 제1감속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감속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3감속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커넥터 스토퍼 및 실링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트랩 형성관에서 배출된 물을 연결바디로 안내하는 연결유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3), 의류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15), 의류처리장치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16)과 제2측면패널(미도시), 및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과 상기 후방패널(15)은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측면패널(16)과 제2측면패널은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전방패널과 후방패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에는 캐비닛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13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31)는 전방패널(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3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에는 터브 투입구(23)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절연부(4)를 통해 상기 투입구(131)에 연결되는데, 상기 절연부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지지부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에 고정하는 스프링(25),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상기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에 고정하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V)의 좌측에 위치된 제1댐퍼(26), 상기 수직선(V)의 우측에 위치된 제2댐퍼(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전방면에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전방 하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하중부는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수직선(V)의 좌측에 위치하는 공간에 고정된 제1웨이트 밸런서(28),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수직선(V)의 우측에 고정된 제2웨이트 밸런서(2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하중부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의 무게를 증가시키면, 상기 터브 바디(21)가 보다 큰 진동을 흡수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 드럼(3)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3)은 터브 바디(2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 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상기 드럼 바디 내부를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면(드럼의 전방면)에는 드럼 투입구(3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드럼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 구동부는 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5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된 로터(353),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353)와 드럼 바디(31)를 연결하는 회전축(3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31)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연결하는 절연부(4)는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이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캐비닛(1)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수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4)는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31)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연결하는 절연바디(4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절연바디(41)는 일단이 상기 투입구(131)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1고정바디(411), 타단이 상기 터브 투입구(23)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2고정바디(413), 상기 제1고정바디의 자유단과 제2고정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디(41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바디(413)의 자유단의 지름(R2)은 상기 제1고정바디(411)의 자유단의 지름(R1)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고정바디(411)의 길이는 상기 제1고정바디(411)의 자유단이 상기 제2고정바디(413)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자유단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바디(41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곡점(변곡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연결바디의 상부공간(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과 상기 연결바디의 하부공간 각각에 두 개의 변곡점(P1, P2)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바디(415)에 하나 이상의 변곡점이 구비되면,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절연바디(41)에 잔류하는 물을 상기 연결바디(415)의 하부공간에 집중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바디(415)로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연결바디의 하부공간에 집중될 것이므로, 상기 연결바디의 하부공간의 부피는 상기 연결바디의 상부공간의 부피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잔수 제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415)로 유입된 물이 터브 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4)에는 상기 연결바디(415) 내부와 상기 터브 바디(21)를 연통시키는 연통관(4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47)의 일단은 상기 연결바디(415)의 최하점에 연결되고, 상기 연통관(47)의 타단은 상기 연결바디(415)의 최하점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의 전방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디(415) 내부의 물이 중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6)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61), 상기 터브 바디(21)의 물을 상기 챔버(6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3), 상기 챔버(61)로 유입된 물을 제2배수관(67)으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6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67)은 상기 배수펌프(65)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2배수관(67)의 최고점은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최하단보다 높은 지점 또는 상기 연결바디의 하부영역에 구비된 제2절곡부(P2)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챔버(6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651),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제1임펠러(655), 상기 제1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1임펠러 모터(657),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배수관(67)이 고정되는 제1배출구(6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탁시간을 단축하거나 세탁력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을 드럼 투입구(33)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7)는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절연바디(41)의 원주면과 상기 전방 하중부(28, 29)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유로바디(71), 상기 유로바디(71)에 물을 안내하는 공급관(72),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을 상기 공급관(72)으로 이동시키는 순환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71)는 상기 절연바디(41)와 상기 제1웨이트 밸런서(28) 사이의 공간, 상기 절연바디(41)와 상기 제2웨이트 밸런서(29) 사이의 공간을 따라 구비된 부채꼴 형상의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73)는 상기 챔버(6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하우징(731),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제2임펠러(735), 상기 제2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임펠러 모터(737), 상기 제2하우징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72)이 고정되는 제2배출구(7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71)에는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부(711), 제2배출부(713), 제3배출부(715) 및 제4배출부(7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부(711) 및 제2배출부(713)는 터브 투입구(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V)의 좌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부(715) 및 제4배출부(717)는 상기 수직선(V)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부(711)는 절연바디(41)에 구비된 제1분사가이드(46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배출부(713)는 절연바디(41)에 구비된 제2분사가이드(463)에 연결되며, 상기 제3배출부(715)는 절연바디(41)에 구비된 제3분사가이드(465)에 연결되며, 상기 제4배출부(717)는 절연바디(41)에 구비된 제4분사가이드(46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들(461, 463, 465, 467)은 각 배출부(711, 713, 715, 717)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투입구(4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2고정바디(413)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5)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51), 상기 케이스(5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수용된 드로워(52)는 전방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로워 인출구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2)는 상부면이 개방된 다면체(육면체 등)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521), 상기 저장부(521)를 상기 케이스(51)와 연통시키는 세제배출구(5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배출구(523)는 상기 저장부(521)의 후방면이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521)의 바닥면에 구비된 벨 트랩(bell trap)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51)에는 상기 저장부(52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가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급수부가 상기 케이스(51)의 상부면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의 물을 상기 저장부(521)에 공급하는 급수관(56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56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56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561)을 통해 세제가 저장된 저장부(521)에 물이 공급되면, 저장부(521) 내부의 세제는 물과 함께 세제배출구(523)를 통해 케이스(51)로 이동한다.
상기 케이스(51)로 배출된 물과 세제는 상기 절연바디(41)를 통해 터브 바디(21)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절연부(4)에는 물과 세제가 유입되는 유입관(42)이 구비되고, 상기 세제공급부(5)에는 세제와 물을 상기 유입관(42)으로 안내하는 배출관(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2)과 상기 배출관(53)은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2) 및 배출관(53)을 통해 터브의 진동이 케이스(51) 및 전방패널(15)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42)은 상기 절연바디(41)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바디(41)의 원주면에는 상기 유입관(4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투입구(3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2)과 배출관(53)은 일체로 성형되어 하나의 세제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절연부(4)의 구조 및 배출관(53)의 구조를 고려할 때 상기 유입관(42)과 배출관(53)을 단일 유로로 성형하기는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상기 유입관(42)과 배출관(53)을 단일 유로로 성형하기가 쉽지 않은 이상,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커넥터(8)를 통해 상기 유입관(42)과 배출관(53)을 연결한다.
상기 유입관(42)과 배출관(53)이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비될 경우, 상기 커넥터(8)는 플라스틱 등의 소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고무와 플라스틱 사이의 마찰력을 통해 유입관(42)과 배출관(53)이 상기 커넥터(8)에서 분리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8)는 일단은 상기 배출관(53)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관(42)에 삽입되는 기둥형상의 커넥터 바디(81), 상기 커넥터 바디(8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53) 내부의 유체를 상기 유입관(42)으로 안내하는 관통홀(8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8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면(811) 및 제2면(812), 상기 제1면(811)의 일단과 상기 제2면(812)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면(813), 및 상기 제1면(811)의 타단과 상기 제2면(812)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4면(814)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면(813)과 제4면(814)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면(813)과 제4면(814)은 서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형성된 모서리에 의해 배출관이나 유입관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접촉면적을 높임(마찰력은 높임)으로써 커넥터 바디가 배출관이나 유입관에서 분리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4개의 면(811, 812, 813, 814) 중 길이가 가장 긴 두 면의 두께는 길이가 가장 짧은 두 면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되어야만 사출성형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다(자세한 설명은 후술함).
상기 커넥터 바디(81)의 양단 중 상기 유입관(42)에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된 일단에는 절곡부(8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815)는 커넥터 바디(81)의 자유단이 터브 투입구(23)를 향해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815)의 경사각은 상기 가이드(43)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곡부(815)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관통홀(82) 내부의 물을 상기 가이드(43)로 안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커넥터 바디(81)가 절연바디(4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커넥터 바디(81)는 체결부(831, 833)를 통해 배출관(53)에 고정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3면(813)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831), 및 상기 제4면(814)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8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831)는 상기 제3면(813)에서 돌출된 제1체결돌기(831a), 상기 제1체결돌기(831a)에서 상기 배출관(53)을 향해 연장되는 제1돌기 제1연장부(831b), 및 상기 제1체결돌기(831a)에서 상기 유입관(42)을 향해 연장되는 제1돌기 제2연장부(831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돌기(831a)는 제3면의 너비방향(제1면에서 제2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 제1연장부(831b)와 제1돌기 제2연장부(831c)는 상기 체결돌기(831a)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833)는 상기 제4면(814)에서 돌출된 제2체결돌기(833a), 상기 제2체결돌기(833a)에서 상기 배출관(53)을 향해 연장되는 제2돌기 제1연장부(833b), 및 상기 제2체결돌기(833a)에서 상기 유입관(42)을 향해 연장되는 제2돌기 제2연장부(833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돌기(833a)는 제4면의 너비방향(제1면에서 제2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돌기 제1연장부(833b)와 제2돌기 제2연장부(833c)는 상기 체결돌기(833a)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53)에는 상기 제1체결돌기(831)가 결합하는 제1체결홀(54), 및 상기 제2체결돌기(833)가 결합하는 제2체결홀(55)이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홀(54)은 상기 배출관(5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돌기(831a)가 삽입되는 제1슬릿(541), 및 상기 제1슬릿(541)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돌기 제1연장부(831b)가 삽입되는 제1슬릿 연장부(5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홀(55)은 상기 배출관(5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돌기(833a)가 삽입되는 제2슬릿(551), 및 상기 제2슬릿(551)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돌기 제1연장부(833b)가 삽입되는 제2슬릿 연장부(5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릿 연장부(543)는 상기 제1슬릿(541)에 직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슬릿 연장부(553)은 상기 제2슬릿(551)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돌기 제1연장부(831b)의 전방면(배출관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슬릿 연장부(543)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돌기 제1연장부(833b)의 전방면에는 상기 제2슬릿 연장부(553)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기 제1연장부(831b) 및 상기 제2돌기 제1연장부(833b)가 상기 제1슬릿 연장부(543)와 상기 제2슬릿 연장부(553) 각각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돌기 제2연장부(831c)의 높이 및 상기 제2돌기 제2연장부(833c)의 높이는 상기 배출관(53)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배출관(53)의 내주면을 상기 커넥터 바디의 제1면(811)과 제2면(812)에 밀착시키는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 바디(81)의 외주면과 배출관(53)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물이 배출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넥터 바디(81)에는 상기 커넥터 바디(81)가 상기 배출관(53)에 삽입되는 깊이, 및 상기 커넥터 바디(81)가 상기 유입관(42)에 삽입되는 깊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배출관(53)과 유입관(42)의 연결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위치설정부(85, 8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제1면(811)에서 돌출된 제1스토퍼(85, 도 4 참고), 및 상기 제2면(812)에서 돌출된 제2스토퍼(87, 도 5 참고)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85)는 제1면(811)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제2스토퍼(87)는 상기 제2면(812)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관(53)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스토퍼(85) 및 제2스토퍼(87)가 각각 수용되는 배출관 제1홈(531) 및 배출관 제2홈(533)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관(42)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스토퍼(85) 및 제2스토퍼(87)가 각각 수용되는 유입관 제1홈(421) 및 유입관 제2홈(423)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관(53)의 내주면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81)의 위치를 고정하는 커넥터 스토퍼(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스토퍼(57)는 상기 배출관(53)의 내주면에서 상기 관통홀(82)의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스토퍼(57)가 상기 배출관(53)의 내주면에서 상기 관통홀(82)의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면, 상기 배출관과 커넥터 바디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될 위험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배출관(53)과 커넥터 바디(81)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53)의 내주면에는 실링부(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58)는 상기 배출관의 내주면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를 향해 돌출된 링 형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811)과 제2면(81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3면(813)과 제4면(814)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되 상기 제1면(811)의 길이보다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면의 두께(t1)가 제3면의 두께(t2)와 동일하면, 상기 제1면(811)과 제2면(812)은 상기 커넥터 바디의 관통홀(82)을 향해 휘어질 가능성이 높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바디(81)가 플라스틱 등의 소성체로 제작될 경우, 상기 커넥터 바디(81)는 플라스틱 수지를 금형에 주입한 뒤 굳힘으로써 물체를 성형하는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사출성형을 통해 커넥터 바디(81)를 제작할 때 상기 제1면과 제2면의 길이가 제3면이나 제4면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면의 두께(t1)가 제3면의 두께(t2)와 동일하면, 제3면(813)과 제4면(814)이 굳어지는 속도와 제1면(811)과 제2면(812)의 굳는 속도가 달라 제1면(811)과 제2면(812)은 상기 관통홀(82)을 향해 휘어질 가능성이 높다.
상기 제1면(811)과 제2면(812)이 상기 관통홀(82)을 향해 휘어지면, 상기 배출관(53)과 커넥터 바디(8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53) 내부를 이동하는 물이 캐비닛(1)으로 누수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면의 두께(t1)는 상기 제3면의 두께(t2)보다 두껍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811)의 두께 방향 단면은 상기 관통홀(8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면(812)의 두께 방향 단면은 상기 관통홀(8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면(811)과 제2면(812)이 도 6(b)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면, 사출성형 과정에서 상기 제1면(811)과 제2면(812)에 변형(도 6(b)의 점선)이 일어나더라도, 상기 배출관(53)과 제1면(811)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배출관(53)과 제2면(812)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면(811)과 제2면(81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3면(813)과 제4면(814)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되 상기 제1면(811)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될 경우, 상기 제3면의 두께(t2)는 상기 제1면의 두께(t1)보다 두껍게 설정되어야만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3면(813)의 두께 방향 단면은 상기 관통홀(8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4면(814)의 두께 방향 단면은 상기 관통홀(8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8)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 배출관(53)과 유입관(42)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누수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배출관(53)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배출관(53)은 상기 케이스(51)에 고정된 저장부 연결관(535), 상기 커넥터(8)를 통해 상기 절연부의 유입관(42)에 연결되는 절연부 연결관(537), 및 상기 저장부 연결관과 상기 절연부 연결관 사이에 워터 트랩((water trap)을 형성하는 트랩 형성관(53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21)에서 배출된 세제는 상기 저장부 연결관(535)을 통해 상기 배출관(53)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트랩 형성관(536)은 P-트랩(P-trap), U-트랩(U-trap), 및 S-트랩(S-trap) 중 어느 하나의 트랩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트랩 형성관(536)을 통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공간과 상기 케이스(51) 내부공간이 연통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터브 바디 내부의 거품 등이 배출관(53)을 통해 케이스(5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로 전용될 경우, 상기 트랩 형성관(536)은 상기 터브 바디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가 배출관(53)을 통해 터브 바디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사용자가 도어(135)를 개방할 때 발생하는 터브 바디(21)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트랩 형성관(536)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절연바디(41)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5)가 투입구(131)를 개방하면, 터브 바디(21) 내부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낮아지고, 이로 인해 트랩 형성관(536)의 물이 유입관(42)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트랩 형성관(536)에 저장된 물은 급수과정이나 세제공급과정의 완료 후 상기 배출관(53) 잔류하는 물, 또는 물과 세제의 혼합액이기 때문에, 위생과 관련한 문제를 야기하지는 않지만,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세제공급부의 파손과 같은 오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53)에는 상기 트랩 형성관(536)에서 상기 절연부 연결관(537)으로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감속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감속부에 의해 상기 트랩 형성관(536)에서 유입관(42)으로 이동하는 물의 속도가 작아지면, 물은 상기 절연부(4)의 표면을 따라 절연바디에 구비된 연결바디(415)로 이동할 것이다. 물이 상기 절연부(4)의 표면을 따라 연결바디(415)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상기 트랩 형성관(536)에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므로, 세제공급부의 파손과 같은 사용자의 오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11, 베이스)에 평행한 평면(X-Z 평면) 상에서 상기 트랩 형성관(536)과 절연부 연결관(537)은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투영된 상기 트랩 형성관(536)과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투영된 상기 절연부 연결관(537)이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트랩 형성관(536)과 상기 유입관(42)을 연결하는 유로에 변곡점(유로변곡점)이 형성될 것이고, 상기 유로변곡점은 상기 트랩 형성관(536)에서 유입관(42)을 향해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유속 저하의 효과는 상기 트랩 형성관(536)과 절연부 연결관(537)이 직교하도록 구비된 경우 가장 크며, 이 경우 상기 절연부 연결관(537)은 캐비닛의 전방패널(13)의 너비방향(X축 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트랩 형성관(536)은 상기 캐비닛의 제1측면패널(16)의 너비방향(Z축 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 연결관(537)은 상기 트랩 형성관(536)에 연결된 곡면부(537a), 상기 곡면부(537a)에서 상기 전방패널(13)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537b), 및 상기 수평부(537b)와 유입관(42)을 연결하는 경사부(537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537a)는 상기 전방패널(13)과 제1측면패널(16)이 결합된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537c)는 상기 수평부(537b)의 일단에서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11)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 연결관(537)의 상부공간에는 간섭방지부(537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부(537d)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부(미도시)가 상기 절연부 연결관(537)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컨트롤부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가 일례가 될 수 있다. PCB는 캐비닛의 전방패널(1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부 영역에 고정되어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간섭방지부(537d)는 상기 PCB의 하부모서리를 수용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 형성관(536)의 폭은 상기 저장부 연결관(535)에서 상기 베이스(15)를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랩 형성관(536)은 상기 터브(2)의 원주면과 상기 제1측면패널(16)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터브(2)와 제1측면패널(16) 사이의 간격은 캐비닛의 상부패널에서 베이스(11)를 향할수록 좁아지기 때문이다. 도 8 (b)는 상기 트랩 형성관(536) 중 상기 터브(2)의 원주면을 향하는 면이 상기 베이스(1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폭이 좁아지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속부는 상기 곡면부(537a) 내부에 구비되어 지그재그 유로를 형성하는 제1감속벽(91) 및 제2감속벽(9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벽(91)은 상기 곡면부(537a)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큰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벽(92)은 상기 곡면부(537a)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감속벽(91)은 상기 곡면부(537a)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벽(92)은 상기 곡면부(537a)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큰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1감속벽(91)과 제2감속벽(92)이 상기 트랩 형성관(536)에서 상기 수평부(537b)를 향해 순차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곡면부(537a)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큰 곡률반경을 가진 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양이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 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양보다 많을 것이므로, 상기 제1감속벽(91)과 제2감속벽(92)은 도 9와 같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감속부는 상기 수평부(537b)의 바닥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3감속벽(93), 상기 경사부(537c)의 바닥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4감속벽(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벽(91)과 제2감속벽(92)의 주된 기능이 트랩 형성관(536)에서 배출되는 물을 트랩 형성관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라면, 상기 제3감속벽(93)과 제4감속벽(미도시)의 주된 기능은 유속을 감소하는 것이다.
상기 제3감속벽(93)과 제4감속벽이 수평부(537b)의 바닥면, 경사부(537c)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된 것은, 물의 속도가 상기 제1감속벽(91)과 제2감속벽(92)를 거치면서 낮아졌기 때문에, 상기 수평부(537b)의 측면이나 경사부(537c)의 측면보다는 수평부(537b)의 바닥면이나 경사부(537c)의 바닥면에 구비된 벽이 유속 감소에 효과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도 10은 상기 제1감속벽(91)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속벽(91)은 상기 곡면부(537a)의 바닥면에서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는 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0(a)와 같은 형상의 제1감속벽(91)은 상기 배출관(53)의 성형 시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즉, 도 10(a)와 같은 형태의 제1감속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곡면부(537a)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제1금형에 상기 제1감속벽(91)을 형성하는 제2금형을 삽입하고, 두 금형 사이로 재료를 주입하며, 재료가 굳은 뒤 제2금형을 제1금형에서 빼내야 한다. 그런데, 제1감속벽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2금형을 제1금형에서 빼내면 상기 1감속벽(91)은 제2금형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감속벽(91)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감속벽(91)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절개부(911, 9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b)는 상기 제1감속벽(91)의 상부영역에는 상부 절개부(9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감속벽의 하부영역에는 하부 절개부(913)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속벽(91)의 상단은 상기 곡면부(537a)의 상부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감속벽(91)의 하단은 상기 곡변부(537a)의 하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b)나 (c)의 구조를 가진 제1감속벽(91)은 제2금형이 제1금형에서 인출될 때 제2금형이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거나 변형될 수 있어, 금형 제거시 제1감속벽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감속벽(91)은 도 11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감속벽(91)의 자유단에는 상기 곡면부의 높이방향(Y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단차(91c)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감속벽(91)은 상기 곡면부(537a)의 상부면에서 연결된 제1상부벽(91a), 및 상기 곡면부(537a)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상부벽의 너비와 다른 너비를 가지는 제1하부벽(9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차(91c)는 상기 제1상부벽의 자유단과 상기 제1하부벽의 자유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제1감속벽(91)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도 11에 도시된 구조는 제2감속벽(92)에도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감속벽(92)은 상기 곡면부(537a)의 상부면에서 연결된 제2상부벽(92a), 상기 곡면부(537a)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상부벽의 너비와 다른 너비를 가지는 제2하부벽(92b), 및 상기 제2상부벽의 자유단과 상기 제2하부벽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제2단차(92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감속벽(93)은 상기 수평부(537b)의 바닥면에서 상기 수평부(537b)의 상부면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감속벽(93)의 길이는 상기 제3감속벽(93)의 상단(자유단)이 상기 수평부(537b)의 상부면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벽의 구조의 구조는 상기 제3감속벽(9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감속벽(93)의 너비방향(Z축 방향)의 양단은 상기 수평부(537b)의 양측면에 고정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3감속벽(93)의 양단이 상기 수평부(537b)의 양측면에 고정되되 상단에 단차가 구비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경사부(537c)에 제4감속벽이 구비될 경우,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벽의 구조는 상기 제4감속벽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감속벽의 너비방향(Z축 방향)의 양단은 상기 경사부(537c)의 양단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4감속벽의 양단이 상기 경사부(537c)의 양측면에 고정되되 상단에 단차가 구비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감속벽(91), 제2감속벽(92), 및 제3감속벽(93)은 상기 배출관(53)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53)이 고무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감속벽(91), 제2감속벽(92), 및 제3감속벽(93) 역시 고무로 구비될 것이다.
상기 도어(135)가 투입구(131)를 개방할 때, 트랩 형성관(536)에서 상기 절연바디(41)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이 외부에서 확인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절연바디의 가이드(43)를 따라 흐르는 물을 연결바디(415)로 안내하는 연결유로(44, 도 3 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절연부(4)의 배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로(44)는 상기 가이드(43) 내부 공간을 상기 연결바디(415)를 연결하는 홈(441)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43)는 상기 제1고정바디(411)가 제공하는 공간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에 구비된다. 따라서, 기준속도(액체가 가이드의 표면에서 분리되는 속도) 이하의 속도로 가이드(43)를 따라 이동하는 액체는 상기 가이드(43)의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 뒤 상기 홈(441)을 통해 연결바디(415)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연결바디(415)로 공급된 액체는 연결바디의 하부공간에 위치된 연통관(47)을 통해 터브 바디(21)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술한 홈(441)을 통해 본 발명은 트랩 형성관(536)에서 배출된 물이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연결유로(44)는 상기 가이드(43)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43) 내부의 액체를 상기 홈(441)으로 안내하는 홈 가이드(4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가이드(443)는 상기 가이드(43)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43)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고정바디(441)를 향해 돌출된 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홈 가이드(443)는 상기 가이드(43)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43)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23)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벽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15(b) 참고).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터브 투입구 3: 드럼
31: 드럼 바디 4: 절연부 41: 절연바디
411: 제1고정바디 413: 제2고정바디 415: 연결바디
42: 유입관 421: 유입관 제1홈 423: 유입관 제2홈
43: 가이드 44: 연결유로 441: 홈
443: 홈 가이드 47: 연통관 5: 세제공급부
51: 케이스 52: 드로워 521: 저장부
523: 세제배출구 53: 배출관 531: 배출관 제1홈
533: 배출관 제2홈 535: 저장부 연결관 536: 트랩 형성관
537: 절연부 연결관 537a: 곡면부 537b: 수평부
537c: 경사부 54 : 제1체결홀 541: 제1슬릿
543: 제1슬릿 연장부 55: 제2체결홀 551: 제2슬릿
553: 제2슬릿 연장부 561: 급수관 563: 급수밸브
57: 커넥터 스토퍼 58: 실링부 6: 배수부
61: 챔버 63: 제1배수관 65: 배수펌프
651: 제1하우징 653: 제1배출구 655: 제1임펠러
657: 제1임펠러 모터 67: 제2배수관 7: 분사부
71: 유로바디 711: 제1배출부 713: 제2배출부
715: 제3배출부 717: 제4배출부 72: 공급관
73: 순환펌프 731: 제2하우징 733: 제2배출구
735: 제2임펠러 737: 제2임펠러 모터 8: 커넥터
81: 커넥터 바디 811: 제1면 812: 제2면
813: 제3면 814: 제4면 815: 절곡부
82: 관통홀 831: 제1체결부 831a: 제1체결돌기
831b: 제1돌기 제1연장부 831c: 제1돌기 제2연장부 833: 제2체결부
833a: 제2체결돌기 833b: 제2돌기 제1연장부 833c: 제2돌기 제2연장부
85: 제1스토퍼 87: 제2스토퍼 91: 제1감속벽
911: 상부 절개부 913: 하부 절개부 91a: 상부벽
91b: 하부벽 92: 제2감속벽 93: 제3감속벽

Claims (12)

  1.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투입구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1고정바디, 상기 터브 투입구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고정바디를 연결하되 상기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고정바디 사이에 액체가 저장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는 유입관을 구비한 절연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세제가 배출되는 저장부 연결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된 절연부 연결관;
    상기 저장부 연결관과 상기 절연부 연결관 사이에 P트랩, U트랩, 및 S트랩 중 어느 하나의 트랩(trap)을 형성하는 트랩 형성관;
    상기 절연부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트랩 형성관에서 상기 절연부 연결관으로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감속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트랩 형성관과 상기 절연부 연결관은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투입구가 구비되며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을 연결하는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 연결관은 상기 전방패널의 너비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트랩 형성관은 상기 제1측면패널의 너비방향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 연결관은 상기 트랩 형성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제1측면패널이 결합된 모서리에 위치하는 곡면부;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전방패널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며,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감속부는 상기 곡면부 내부에 구비되어 지그재그 유로를 형성하는 제1감속벽 및 제2감속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큰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중 큰 곡률반경을 가진 면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벽은 상기 곡면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수평부보다 상기 트랩 형성부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감속벽은 상기 곡면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트랩 형성부보다 상기 수평부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3감속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4감속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벽의 상단은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감속벽의 하단은 상기 곡면부의 하부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벽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감속벽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벽은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에서 연결된 상부벽; 및 상기 곡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벽의 너비와 다른 너비를 가지도록 구비된 하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46098A 2019-02-01 2019-04-19 의류처리장치 KR10266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79,038 US11408114B2 (en) 2019-02-01 2020-01-31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U2020200745A AU2020200745B2 (en) 2019-02-01 2020-01-31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EP20154759.3A EP3690119B1 (en) 2019-02-01 2020-01-31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CN202010078520.XA CN111519402B (zh) 2019-02-01 2020-02-03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84 2019-02-01
KR20190013884 201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33A KR20200096033A (ko) 2020-08-11
KR102668751B1 true KR102668751B1 (ko) 2024-05-24

Family

ID=7204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98A KR102668751B1 (ko) 2019-02-01 2019-04-1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7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318A (ja) * 2003-04-14 2004-11-11 Sharp Corp 洗濯乾燥機
KR101608657B1 (ko) * 2009-10-13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866B1 (ko) * 2015-09-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318A (ja) * 2003-04-14 2004-11-11 Sharp Corp 洗濯乾燥機
KR101608657B1 (ko) * 2009-10-13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33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0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8103B1 (ko) 의류처리장치
JP6522567B2 (ja) 洗濯機
US1119323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9281116B (zh) 衣物处理装置
KR20180054454A (ko) 의류처리장치
JP6936143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66875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3584B1 (ko) 세탁기
JP2018518996A (ja) 衣類処理装置
CN111519402B (zh) 衣物处理装置
KR102486261B1 (ko) 세탁기
KR102557577B1 (ko) 세탁장치
KR1026164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2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7258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296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004856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