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74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745B1
KR102668745B1 KR1020160181564A KR20160181564A KR102668745B1 KR 102668745 B1 KR102668745 B1 KR 102668745B1 KR 1020160181564 A KR1020160181564 A KR 1020160181564A KR 20160181564 A KR20160181564 A KR 20160181564A KR 102668745 B1 KR102668745 B1 KR 10266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abinet
treatment device
buffer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901A (ko
Inventor
김근주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7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제1투입구와 상부의 제2투입구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와 연통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와 연통하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터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하에서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하고,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괸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의류처리장치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이너터브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그리고,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 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
속옷류나 아기 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 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종래 대형 의류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의류처리장치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탑로터 타입의 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에 상부에 구비되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으면서 공간활용도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었다.
다만, 전술한 의류처리장치는 공간활용도를 도모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 상부에 구비된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강한 진동 또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부에 구비된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심하게 진동되거나, 설치위치가 변경되어 내부 구성들끼리 충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하부에 구비된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와 충돌하여 파손을 일으키거나, 외부 캐비닛에 충돌하여 외관을 변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구동부가 돌출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가 구비되고, 하부에 프론트 타입 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를 의류처리장치에 고정시켜,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중에 상기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를 의류처리장치에 최소한의 부품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탑로트 타입 처리장치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상기 탑로트 타입 처리장치 고정시키는 방지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에 제1투입구와 상부의 제2투입구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와 연통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와 연통하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터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방지부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터브와 상기 제1처리장치와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터브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제1처리장치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구동부의 두께와 같거나 더 두껍게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격벽에 안착되고 타면이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구동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완충부는 본체를 이루는 완충바디와, 상기 완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구동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배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완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터브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투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완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인출되거나 투입될 때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수용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구동바디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출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출입구는 상기 구동수용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완충부에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완충부는 상기 배면패널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터브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방지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을 결합하여 상기 터브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측면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터브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터브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터브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체결부는 상기 터브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측면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고정결합부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 또는 상기 터브지지부에서 상기 고정결합부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고정결합부를 지지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관통홀이 구비되는 배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지지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브지지부는 상기 패널관통홀과 마주하는 곳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패널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의 상부와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터브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바디와, 상기 터브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투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2도어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면에서 상기 터브커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단차면은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안착되는 단차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단차관통홀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단차면보다 두께가 낮도록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단차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투입구는 상기 상부단차면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커버는 상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차관통홀은 상기 제2투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단차관통홀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완충부는 고무 또는 다공성물질(porous material)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가 구비되고, 하부에 프론트 타입 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를 의류처리장치에 고정시켜,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중에 상기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를 의류처리장치에 최소한의 부품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탑로트 타입 처리장치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상기 탑로트 타입 처리장치 고정시키는 방지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방지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방지부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도 1 참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처리장치(2, 3, 도 3 참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처리장치(4, 6, 도 3 참고)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1), 상기 베이스패널(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제1처리장치(2, 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측면패널(13),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처리장치(4, 6)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4),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13)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131), 의류처리장치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133), 의류처리장치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3측면(135)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측면(131), 제2측면(133) 및 제3측면(135)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11)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이 고정되는 제1전방프레임(15), 상기 측면패널(13)이 고정되는 제1후방프레임(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프레임(15)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전방모서리 두 곳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후방프레임(16)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후방모서리 두 곳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방프레임(15)과 제1후방프레임(16)은 의류처리장치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지지프레임(16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전방모서리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1전방프레임(15)은 제3지지프레임(19)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론트패널(15)은 상기 제1전방프레임(15)과 상기 제3지지프레임(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61)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4)을 지지하는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은 제2지지프레임(18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방프레임(17)은 상기 하우징(14)의 전방모서리 두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후방프레임(18)은 상기 하우징(14)의 후방모서리 두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은 상기 캐비닛(1)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은 상기 캐비닛(1)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12)에는 제1처리장치(2, 3)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처리장치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하는 제1투입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21)는 프론트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도어(12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패널(12)에는 제1처리장치(2, 3)와 제2처리장치(4, 6)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25)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25)에는 각 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25)에 구비된 입력부와 표시부는 제어부가 구비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PCB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19)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은 제2처리장치(4, 6)를 수용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하우징(14)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4)은 상기 측면패널(13)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디(141), 상기 하우징 바디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바디 상부면(141a), 상기 바디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2처리장치(4, 6)에 연통하는 제2투입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투입구(143)는 상기 하우징 바디(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도어(14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4)의 배면은 상기 제3측면(135)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4)의 배면과 상기 제3측면(135)는 본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부의 프론트 타입으로 구비된 제1처리장치(2,3)과 상기 프론트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탑로드 타입으로 구비된 제2처리장치(4,6)를 포함한다.
이때,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의미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일체로 구비될 수 도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00)의 상기 캐비닛(1)과 상기 하우징(14)은 서로 결합되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과 상기 하우징(14)은 일체로 구비되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처리장치(2,3)의 상부에 제2처리장치(4,6)가 결합되거나,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제2처리장치(4,6)가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상기 제2처리장치(4,6)의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2,3)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2,3)은 상기 제1투입구(121)와 연통하는 제1터브투입구(23)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2)와, 상기 제1터브(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2,3)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2,3)는 상기 제1캐비닛(1)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3)을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상기 제1처리장치(2,3)가 세탁장치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1처리장치(2,3)가 건조장치로 구비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의류를 세제와 물로 세탁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열풍 등에 의해 건조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투입구(143)와 연통하는 제2터브투입구(43)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4)와, 상기 제2터브(4)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4)의 일측에는 상기 제2터브(4)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4)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터브(4)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의류수용부(4,6)는 상기 하우징(14)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6)을 포함할 수 있다.
도3는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세탁장치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건조장치로 구비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2,3)는 상기 제1터브(2)에 물을 급수하는 제1급수부(211,213)와, 상기 제1터브(2)의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215,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211,213)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상기 제1터브(2)에 공급하는 제1급수관(211)과, 상기 제1급수관(211)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밸브(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부(215,217)는 상기 제1터브(2)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관(215)과, 상기 제1배수관(215)의 물을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21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2,3)는 상기 제1터브(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1터브(2)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감쇄하는 지지감쇄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감쇄부(225)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댐퍼와 스프링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도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감쇄부(225)는 상기 제1터브(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2,3)는 상기 제1드럼(3)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제1터브(2) 배면에 구비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스테이터(371)와, 상기 제1스테이터(371)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373), 일단이 상기 제1로터(37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터브(2)를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3)에 연결되는 회전축(3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75)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지면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제1드럼(3)은 내주면에 상기 제1터브(2)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3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제1처리장치(2,3)의 상부에 구비되므로 그 높이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즉, 상기 제2처리장치(4,6)의 높이가 높게 구비되면 구비될수록 상기 제2처리장치(4,6)의 세탁용적은 증가하지만, 상기 제2개구부(211)에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터브(4)의 높이도 상대적으로 낮게 구비될 수 밖에 없고, 상기 제2터브(4)에 수용된 물이나 의류가 상기 제2터브(4) 외부로 토출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제2터브(4)는 제2터브투입구(43)를 개폐하는 터브도어(4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브도어(46)는 상기 제2터브투입구(43)를 폐쇄하여 상기 제2터브(4)에 수용된 물이나 의류가 상기 제2터브(4)의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브도어(46)는 상기 제2터브(46)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도어(46)는 도어힌지(463)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461)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윈도우(462), 상기 프레임(461)을 상기 제2터브(4)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462)는 사용자가 상기 제2터브(4)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도어(46)는 상기 제2터브투입구(43)을 통해 상기 제2터브(4)의 물이 제2터브(4)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461)과 상기 제2터브투입구(43)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터브도어(46)가 상기 제2터브투입구(43)를 폐쇄한 때 상기 프레임(461)과 상기 제2터브투입구(43)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터브(4)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411,413)와 상기 제2터브(4)의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부(415,4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부(411,413)는 외부급수원에서 상기 제2터브(4)로 물을 급수하는 제2급수관(411)과, 상기 제2급수관(411)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부(415,417)는 상기 제2터브(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의 물이 배출되는 제2배수관(415)과, 상기 제2배수관(417)과 연통하여 상기 제2배수관(415)의 물을 상기 캐비닛(1) 또는 상기 하우징(14)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펌프(4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급수부(411,413)와 상기 제2배수부(415,417)는 상기 제1급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급수부(411,413)와 상기 제2배수부(415,417)는 상기 제1급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급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에서 분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상기 제1처리장치(2,3)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가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드럼(6)은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바디(61)와, 상기 제2터브투입구(43)와 연통하는 드럼투입구(63)를 구비할 수 있고, 내주면에 상기 제2터브(4)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6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드럼(6)을 상기 제2터브(4)에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67)는 상기 제2터브(4)의 하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스테이터(671)와, 상기 제2스테이터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673), 일단이 상기 제2로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터브(4)를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6)에 연결되는 회전축(67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2터브(4)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터브(4) 또는 상기 제2드럼(6)에 수용되어 있는 의류를 건조할 수 있는 열풍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터브(4)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 수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터브(4)을 상기 하우징(14)에 지지하는 지지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과, 상기 제2터브(4)에 구비되는 제2터브지지부(71)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와 상기 제2터브지지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은 상기 제2터브(4) 보다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715)는 일단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를 지지할 수 있다.(도2 참조)
이로써, 상기 지지부(7)는 상기 제2터브(4)를 상기 캐비닛(1) 또는 상기 하우징(14)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7)는 상기 캐비닛(1) 또는 상기 하우징(14)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2터브지지부(282)보다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부(72)를 포함할 수 있다.(도3참조)
즉,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에 상기 연결부(715)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캐비닛지지부(7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15)는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부(72)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를 지지하여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72)는 상기 캐비닛(1)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제1브라켓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제2브라켓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715)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되 지면과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715)를 포함한 지지부(7)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 함으로써 상기 제2터브(4)의 세탁용적을 더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15)는 상기 상부지지부(72)를 관통하여 안착되는 제1연결부(715a)와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제2연결부(715b)와 상기 제1연결부(715a)와 상기 제2연결부(715b)을 연결하는 연결바(71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715a)와 상기 제2연결부(715b)는 상기 연결바(715c)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원판, 반구 및 구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715)가 상기 상부지지부(72) 및 상기 제2터브지지부(71)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과 상기 제2터브(4)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1)과 상기 제2터브(2)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제2터브(2)가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닛(1)이 위치가 변경된다는 의미는 상기 캐비닛(1)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배치가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캐비닛(1)이 운송 또는 이동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닛(1)의 위치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에 일체로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제1터브(1)에 충돌하거나, 상기 캐비닛(1)의 내벽에 충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터브(4)가 심하게 진동하거나, 설치 위치가 급변하게 되면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을 연결하는 연결부(715)가 파손될 수 있거나, 상기 제2터브(4) 하부에 구비된 제2구동부(67)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제2터브(4)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의미는 상기 캐비닛(1)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지부(8)는 상기 캐비닛(1)과 상기 제2터브(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의 위치가 변할 시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과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제2터브(4)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완충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의 위치가 변할 때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제1터브(2)와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제1터브(2)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제2터브(4)가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격벽(131)의 하부에는 프론트로드(front load) 타입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격벽(131)의 상부에는 탑로드(top load) 타입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81)는 고무 또는 다공성물질(porous material)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충부(81)는 스티로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의 하부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가 하부로 위치가 이동하여도,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격벽(131)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의 내주면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가 좌우로 위치가 이동하여도,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지부(8)는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을 결합하여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하는 체결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변화를 일정부분 허용하되, 그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상기 체결부(85)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의 상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의 측면을 결합시켜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지부(8)로 인해 상기 캐비닛(1)이 운송될 경우,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구성들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고, 일정길이 위치가 가변 되더라도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방지부(8)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상기 완충부(8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완충부(81)는 제2구동부(67)의 두께와 같거나, 더 두껍게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격벽(131)에 안착되고, 타면이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구동완충부(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본체를 이루는 완충바디(811)와, 상기 완충바디(811)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부(67)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구동수용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수용부(812)에 상기 제2구동부(67)의 모든 구성이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구동부(67)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67)가 상기 제2스테이터(671)과 상기 제2로터(67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스테이터(671)와 상기 제2로터(673)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수용부(812)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수용부(812)는 상기 제2로터(673)와, 상기 제2스테이터(671)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완충바디(81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용부(812)가 상기 완충바디(81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홀로 구비될 경우, 상기 구동수용부(812) 및 상기 완충바디(811)는 상기 제2로터(673)와 상기 제2스테이터(671)가 홀 밖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충분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도5는 상기 구동수용부(812)가 상기 완충바디(811)를 관통하여 구비된 홀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구동수용부(812)는 상기 제2로터(673)와, 상기 제2스테이터(671)의 외주면 전체 또는 외주면 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완충바디(811)의 일면에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구동수용부(812)는 상기 제2구동부(812)를 수용하고,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이 상기 캐비닛(1) 또는 격벽(136)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캐비닛(1)이 운송의 완료되거나, 상기 캐비닛(1)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제거될 필요가 있다.
다시말해,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투입되어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서 제거되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제2터브(2)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147)와, 상기 관통부(147)를 개폐하는 배면패널(8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4)의 배면이 상기 캐비닛(1)의 배면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상기 하우징(14)의 배면에 상기 관통부(147)와 패면패널(855)이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투입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배면패널(855)은 상기 관통부(14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관통부(147)는 체결부재(853c)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855)는 상기 체결부재(853c)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패널관통홀(855b)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147)는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853c)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체결바디(147a)와, 상기 체결바디(147a)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853c)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홀(14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853c)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홀(147b)과 패널관통홀(855b)는 내주면에 상기 볼트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855)을 상기 관통부(147)에 결합할 때, 상기 배면패널(855)을 상기 관통부(147)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체결부재(853c)를 상기 패널관통홀(855b) 및 상기 체결홀(147b)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855)을 상기 관통부(147)에서 분리할 때 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인출되므로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2구동부(67)와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인출되거나 투입될 때 상기 제2구동부(6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수용부(812)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수용부(812)의 외주면에서 상기 구동바디(811)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출입구(8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출입구(813)는 상기 구동수용부(812)의 외주면 중 일부가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완충부(810)가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구동출입구(813)으로 상기 제2구동부(67)가 상기 구동수용부(81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완충부(810)가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될 때 상기 구동출입구(813)으로 상기 제2구동부(67)가 상기 구동수용부(812)에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출입구(813)은 상기 구동수용부(812)의 최대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부(6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완충부(810)에 억지끼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완충부(810)가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투입되어 상기 제2구동부(67)를 수용하면, 상기 제2구동부(67)가 상기 구동출입구(813)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제2구동부(67)에 끼워져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5은 상기 완충부(81)의 다른 실시예와, 상기 체결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터브완충부(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완충부(820)는 상기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타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면패널(855)이 상기 관통부(147)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터브완충부(820)는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 모두에 접촉될 수 있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로써, 터브완충부(820)로 인해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배면패널(855)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완충부(820)는 후술할 체결부가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터브(4)가 체결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855)은 내주면이 함몰되어 구비되어 상기 터브완충부(82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수용부(85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5 참조)
한편,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85)의 체결부재는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관통부(147)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853c)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부(85)의 체결부재는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관통부(147)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853c)외에 별도의 체결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체결부재(853c)를 통해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배면패널(855)까지 결합시킬 수 있다면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재(853c)는 상기 체결부(85)의 체결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체결부재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결합되므로 측면체결부재(853c)로 명명한다.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측면체결부(8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체결부(853)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와 결합하는 고정결합부(85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가 볼트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고정결합부(853a)는 상기 볼트를 수용하고 내주면에 나사선이 구비되는 볼트수용기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체결부(853)은 상기 고정결합부(853a)의 외주면과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을 연결하여 상기 고정결합부(853a)를 지지하는 고정리브(8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853b)는 상기 고정결합부(853a)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면체결부(853)는 상기 배면패널(855)을 상기 관통부(147)에 결합할 때 사용되는 체결부재(853c)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2터브(4)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체결부(853)는 상기 배면패널(855)의 양단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배면패널(855)의 결합력 및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가 상기 배면패널(855)의 패널관통홀(855a)를 관통하여 상기 측면체결부(853)의 고정결합부(853a)에 고정되어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이 운송 중일 때,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터브(4)를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지지하는 제2터브지지부(71)를 포함한다.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는 공간활용도를 위해 상기 캐비닛(1) 또는 하우징(14)의 네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터브지지부(71)는 상기 배면패널(855)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2개의 상기 제2터브지지부(71)가 상기 배면패널(855)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지지부(71)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체결부(853)는 상기 터브지지부(71)에 구비되거나, 상기 터브지지부(71)의 인근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고정결합부(853a)가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상기 터브지지부(71)와 같은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결합부(853a)는 상기 제2터브지지부 중 상기 배면패널(855) 인근에 구비된 상기 제2터브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853a)는 상기 배면패널(855)의 인근에 구비된 상기 제2터브지지부(71)의 일측에서 상기 배면패널(855)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853b)는 상기 제2터브지지부(71)에서 상기 고정결합부(853a)의 외주면 까지 연장되어 상기 고정결합부(853a)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터브지지부(7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터브지지부(71)는 상기 패널관통홀(855b)과 마주하는 곳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는 상기 패널관통홀(855b)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결합부(853a)에 결합되어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결합부(853a)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채결부재(853c)가 회전하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배면패널(855)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4)가 무리하게 상기 배면패널(855)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715)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상기 터브완충부(85)는 일정한 두께를 구비하고 일면이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타면이 상기 배면패널(855)에 접촉하여,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가 상기 고정결합부(853a)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배면패널(855)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바(715c)는 제2터브(4)가 운송중에 진동하면 비틀림응력이 존재하여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715c)의 충격을 완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715c)를 수용하는 터브브라켓(72)과, 상기 터브브라켓(72)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715c)의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바홀더(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브라켓(72)은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서 상기 연결바(715c)가 구비된 부분 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브라켓바디(721)와, 상기 브라켓바디(721)를 관통하여 상기 바홀더(73)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수용홀(7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홀더(73)는 상기 수용홀(722)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홀더바디(731)와, 상기 홀더바디(731)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바(715c)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바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터브(4에 진동이 발생하고, 상기 지지바(715c)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바(715c)가 상기 바홀더(73)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홀더(7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715c)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홀더(73)는 상기 지지바(715c)에 진동, 위치변화, 비틀림응력 등을 발생시키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지지바(715c)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화시켜 상기 지지바(715c)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바홀더(73)는 상기 지지바(715c)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고, 상기 지지바(715c)를 원위치로 복원하여 상기 제2터브(4)의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체결부(8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제2터브(4)의 상부와 결합하는 체결부재(85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체결부재(851d)를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와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체결부재(851d)로 명명한다.
상기 제2터브(4)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바디(41)와, 상기 터브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커버(42)는 상기 제2투입구(143)과 연통하는 상기 제2터브 투입구(4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제2투입구(143)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면(14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51b)는 상기 상부면(141a)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42)에 결합하여, 상기 제2터브(4)를 상기 캐비닛(1) 또는 하우징(14) 내부에 고정하여 상기 캐비닛(1)가 운송중일 때 상기 제2터브(4)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도어(145)는 상기 제2투입구(143)을 폐쇄할 때 상기 상부면(141a)과 면접촉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투입구(143)를 완전히 폐쇄하여 상기 제2투입구(143)에서 의류나 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캐비닛(1)이 운송중일 경우에 상기 제2도어(145)가 상기 상부면(141a)과 면접촉되지 않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제2도어(145)와 상기 상부면(141a)이 외력에 의해 충돌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체결부재(851b)가 상기 상부면(141a)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42)에 결합할 때, 상기 체결부재(851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면(141a)에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2도어(145)가 상기 상부면(141a)에 접촉되는 것이 방해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체결부재(851b)가 상기 상부면(141a)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42)에 결합하더라도 상기 상부체결부(851b)는 상기 상부면(141a)에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제2도어(145)가 상기 제2투입구(143)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2도어(145)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면(141a)에서 상기 터브커버(42)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단차면(85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단차면(851a)은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관통하여 안착되는 단차관통홀(851b)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부단차면(851a)는 상부면(141a)보다 낮은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단차면(851a)에 안착되어도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상부면(141a)의 상부에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단차면(851a)은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제2도어(145)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단차관통홀(851b)에 삽입되어 상기 터브커버(42)의 상부에 결합되어도, 상기 제2도어(145)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제2투입구(143)을 폐쇄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단차관통홀(851b)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단차면(851a)보다 두께가 작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안착되는 단차안착부(85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안착부(851c) 상기 단차관통홀(851b)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단차면(851a)과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차안착부(851c)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단차관통홀(851d)의 삽입되는 것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단차면(851a)이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는 단차 또는 두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안착부(851c)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상부면(141a)에 결합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고,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와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볼트 등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단차안착부(851c)는 단차진 높이만큼 볼트 헤드가 상기 상부면(141a)에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안착부(851c)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모든 부분이 상기 상부면(141a)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투입구(143)는 상기 상부단차면(851a)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터브커버(42)에 구비된 상기 제2터브투입구(43)는 상기 제2투입구(143)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브커버(42)는 상기 터브바디(41)와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브커버(42)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와 결합되어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캐비닛(1)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터브커버(42)를 관통하여 결합되면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와 상기 제2터브(4)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는 상기 캐비닛(1)의 운송이 완료되면 제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터브커버(42)에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 작동중에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커버(42)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고정되는 고정홈(4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42a)는 내주면에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단차관통홀(851b)은 상기 제2투입구(143)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홈(42a)은 상기 단차관통홀(851d)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상부면(141a)을 관통하여 상기 제2터브(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캐비닛(1)의 운송 중에 상기 제2터브(4)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베이스 패널
12: 프론트패널 121: 제1투입구 123: 제1도어
125: 컨트롤패널 13: 측면패널 131 격벽
14: 하우징 141 : 하우징 바디 141a: 상부면
143: 제2투입구 145: 제2도어 15: 제1전방프레임
16: 제1후방프레임 161: 제1지지프레임17: 제2전방프레임
18: 제2후방프레임 181: 제2지지프레임
19: 제3지지프레임 2: 제1터브 21: 제1터브 바디
23: 제1터브 투입구 231: 제1터브 실링부(가스켓)
211: 제1급수관/213: 제1밸브
215: 제1배수관/217: 제1펌프
255지지감쇄부 3: 제1드럼 31: 제1드럼 바디
33: 제1드럼 투입구35: 제1관통홀 371: 제1스테이터
373: 제1로터/375: 제1회전축 4: 제2터브
41: 제2터브 바디 42 : 제2터브커버 42a 고정홀
43: 제2터브투입구 45: 제2터브 실링부(가스켓)
46 : 터브도어 461 프레임 462 힌지 463
411: 제2급수관/413: 제2밸브
415: 제2배수관/417: 제2펌프
7 지지부 181: 제2지지프레임
71: 제2터브 지지부 715: 연결부 715a 제1연결부
715b 제2연결부 715c 지지바
6: 제2드럼 61: 제2드럼 바디 63: 제2드럼 투입구
65: 제2관통홀 67: 제2구동부 671: 제2스테이터
673: 제2로터/675: 제2회전축
8 방지부 81 완충부 810 구동완충부
820 터브완충부 85 체결부 851 상부체결부
851a 상부단차면 851b단차관통홀
851c 단차안착부 851d 상부체결부재
853 측면체결부 853a 고정결합부 853b 고정리브
853c 측면체결부재 855 : 배면패널 855a 완충수용부
855b 패널관통홀 147 : 하우징관통부
147a 체결바디 147b 체결홀

Claims (21)

  1. 전방에 제1투입구와 상부의 제2투입구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와 연통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와 연통하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터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
    상기 방지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을 결합하여 상기 터브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측면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터브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터브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체결부는 상기 터브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터브와 상기 제1처리장치와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터브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제1처리장치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구동부의 두께와 같거나 더 두껍게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격벽에 안착되고 타면이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구동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완충부는
    본체를 이루는 완충바디와, 상기 완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구동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배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완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터브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투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완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인출되거나 투입될 때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수용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완충바디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출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출입구는 상기 구동수용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완충부에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배면패널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터브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고정결합부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 또는 상기 터브지지부에서 상기 고정결합부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고정결합부를 지지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관통홀이 구비되는 배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지지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브지지부는 상기 패널관통홀과 마주하는 곳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패널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의 상부와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바디와
    상기 터브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투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2도어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면에서 상기 터브커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단차면은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안착되는 단차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단차관통홀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단차면보다 두께가 낮도록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단차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입구는 상기 상부단차면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커버는 상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단차관통홀은 상기 제2투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단차관통홀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고무 또는 다공성물질(porous material)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81564A 2016-12-28 2016-12-28 의류처리장치 KR10266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64A KR102668745B1 (ko) 2016-12-28 2016-12-2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64A KR102668745B1 (ko) 2016-12-28 2016-12-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901A KR20180076901A (ko) 2018-07-06
KR102668745B1 true KR102668745B1 (ko) 2024-05-23

Family

ID=6292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564A KR102668745B1 (ko) 2016-12-28 2016-12-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7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884B1 (ko) * 1997-04-28 1999-06-15 윤종용 세탁기의 포장 완충재
KR101414628B1 (ko) * 2007-12-0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229977B1 (ko) * 2014-08-25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901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55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2700B1 (ko)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KR10258349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8673B1 (ko) 의류처리장치
US8234889B2 (en) Laundry machine
US1096855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487900B2 (en) Washing machine
KR102014786B1 (ko)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KR102668745B1 (ko) 의류처리장치
US10704185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202301839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2701B1 (ko)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US20190382938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10105443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28710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0667B1 (ko) 세탁기
KR10245574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6895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3410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03958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