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612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612B1
KR102668612B1 KR1020220067650A KR20220067650A KR102668612B1 KR 102668612 B1 KR102668612 B1 KR 102668612B1 KR 1020220067650 A KR1020220067650 A KR 1020220067650A KR 20220067650 A KR20220067650 A KR 20220067650A KR 102668612 B1 KR102668612 B1 KR 102668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pillow body
user
airbag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7599A (ko
Inventor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마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마스터
Priority to KR102022006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612B1/ko
Publication of KR2023016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머리의 체압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머리의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베개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 커버와, 상기 베개 커버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단일의 푹신한 소재로 형성된 베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 몸체의 상면 전체에는 복수개의 구획 홈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의 크기는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 중 적어도 두 개가 함께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 커버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베개 몸체가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형성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을 자거나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는 데 쓰는 침구로서, 헝겊으로 만든 둥근 베개와, 긴 네모형 베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베갯속은 솜, 스펀지, 왕겨, 메밀껍질, 깃털, 좁쌀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베개는 사람이 잠을 잘 때 베개의 부적절한 높이로 인하여 머리와 목 및 어깨의 연결자세가 부자연스럽게 되고, 잠자는 사람의 자세를 부자연스럽게 하기 때문에 목덜미나 어깨 또는 허리 등이 결리게 되고, 심하면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등이 발병될 수 있으며, 경추 부분의 혈행이 원활하지 않아 뇌의 산소 공급 부족현상으로 인하여 잠을 자고 난 후에도 머리가 멍해지게 되고, 심하면 뇌혈관의 압력이 높아져 뇌출혈 또는 뇌졸중 등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베개는 사용자가 하늘을 보고 누웠을 때 사용자의 뒷머리와 경추를 지지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갖도록 제작되는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에는 사용자의 머리와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잠버릇이 심한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자주 뒤척이는 경우가 있어 충분히 숙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개의 소재 면에서 일반적인 섬유 재질이나 라텍스, 합성수지, 우레탄 폼, 또는 메밀 등의 식물성 소재의 베개는 체열을 흡수하고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서, 구강건조, 호흡불안정, 불균형 경추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람마다 다른 체중에 의한 체압의 차이를 적절히 완충하지 못하여 근육, 신경, 혈관을 압박함으로써, 기억력 감퇴, 두통, 팔 저림, 어깨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결과, 잘못된 베개의 사용은 불면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결과적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9986호(2020.05.12.)(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기능성 날개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일정 형상과 두께를 갖는 쿠션재로 이루어지며 상면 중앙에 후두부를 안착시키는 후두 안착부가 오목하게 만곡되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받치는 경추 받침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부에 어깨를 삽입할 수 있도록 중공상태로 형성된 어깨 삽입용 중공부가 형성된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두 안착부와 상기 날개부의 사이에는 사용자가 옆으로 비스듬히 누울 때 귀가 안착되는 제 1 귀 안착부가 오목하게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베개를 베었을 때 사용자의 머리에 단일의 면이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머리의 체압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머리의 열도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9986호(2020.05.12.)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머리의 체압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머리의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 커버 및 베개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베개 몸체는 상기 베개 커버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단일의 푹신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베개 몸체의 상면 전체에는 복수개의 구획 홈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의 크기는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 중 적어도 두 개가 함께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베개 몸체는 하부 레이어 및 상부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레이어는 폭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이어는 상기 하부 레이어의 상면 전체를 덮어 상기 하부 레이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이어는 상기 하부 레이어보다 푹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는 상기 상부 레이어의 상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는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구획 홈은 복수개의 제1 직선홈 및 복수개의 제2 직선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직선홈은 상기 베개 몸체의 좌측단에서부터 우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직선홈은 상기 베개 몸체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구획 홈은 상기 베개 몸체의 성형 시 금형 내에 배치되는 코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개 몸체의 중앙부 상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을 받치는 메인 받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받침부는 상기 베개 몸체의 좌측부 상면 및 상기 베개 몸체의 우측부 상면보다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받침부는 상기 베개 몸체의 중앙부 상면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받침부 중 상기 사용자의 목을 받치는 목 받침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 받침부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부는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개 몸체의 좌측부 상면 중앙에는 상기 사용자가 좌측 옆으로 누울 때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가 안착되는 제1 귀 받침부가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개 몸체의 우측부 상면 중앙에는 상기 사용자가 우측 옆으로 누울 때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가 안착되는 제2 귀 받침부가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귀 받침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의 좌측단에서부터 상기 베개 몸체의 좌측부 상면의 좌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귀 받침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의 우측단에서부터 상기 베개 몸체의 우측부 상면의 우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귀 받침부 및 상기 제2 귀 받침부는 서로 동일한 깊이로 함입되고 상기 메인 받침부보다 적게 함입되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개 몸체의 전단 중앙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를 받치는 보조 받침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받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받침부의 전단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받침부의 좌측은 상기 메인 받침부의 좌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받침부의 우측은 상기 메인 받침부의 우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받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측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받침부의 전방측은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개 커버의 하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은 상기 메인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베개 커버는 내측커버 및 외측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내측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는 에어호스, 고무펌프 및 에어배출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호스는 상기 에어백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무펌프는 상기 에어호스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무펌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상기 에어백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배출부는 상기 에어호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배출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에어호스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베개 몸체는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커버의 상측부는 상기 내측커버보다 통기성이 좋은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 몸체의 상면 전체에 복수개의 구획 홈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의 크기는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 중 적어도 두 개가 함께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머리의 체압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머리의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개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개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개 몸체를 사용자가 베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전방부를 좌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백에 공기가 주입되어 메인 받침부 중 목을 받치는 부분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개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개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개 몸체를 사용자가 베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1)는 베개 커버(100) 및 베개 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개 커버(100)는 베개 몸체(200)를 커버할 수 있다. 베개 커버(100)는 베개 몸체(200)를 자신의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베개 커버(100)의 형상은 베개 몸체(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개 커버(100)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개 커버(100)는 늘어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베개(1)을 베었을 때 체압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베개 커버(100)는 메쉬 구조(그물망 구조)로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베개(1)를 베었을 때 머리의 체온으로 인한 열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베개 몸체(200)는 베개 커버(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단일의 푹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개 몸체(200)는,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형성될 수 있으나, 베개 커버(100)의 내부공간을 채울 수 있는 단일의 푹신한 소재라면 상기 메모리폼 또는 상기 라텍스 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베개 몸체(200)는 직육면체 형상에서,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와, 메인 받침부(235)와, 제1 귀 받침부(245)와, 제2 귀 받침부(255)와, 보조 받침부(260)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개 몸체(200)의 상면 전체에는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의 크기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 중 적어도 두 개가 함께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개(1)를 베었을 때, 사용자의 머리 체압은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를 통해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머리 열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베개 몸체(200)는 하부 레이어(210) 및 상부 레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베개 몸체(200)는 반드시 하부 레이어(210) 및 상부 레이어(220)를 포함할 필요는 없고, 단일의 레이어로 형성되거나, 3개 이상의 레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베개 몸체(200)는 하부 레이어(210) 및 상부 레이어(220)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레이어(210)는 폭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레이어(220)는 하부 레이어(210)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상부 레이어(220)는 하부 레이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레이어(210) 및 상부 레이어(220)는 베개 몸체(200)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레이어(220)는 하부 레이어(210)보다 푹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레이어(220)는 하부 레이어(210)보다 하드(hard)하게 형성될 수 있고, 하부 레이어(210)는 상부 레이어(220)보다 소프트(soft)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는 상부 레이어(22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레이어(210)는 상부 레이어(220)보다 하드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베개(1)를 베었을 때 상부 레이어(220)를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다.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는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이 형성되는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의 형상은 격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형, 삼각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2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는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3, 225)은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 및 복수개의 제2 직선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은 베개 몸체(220)의 좌측단에서부터 우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은 상부 레이어(220)의 좌측단에서부터 우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은 3개가 형성되나,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고 4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 중 하나는,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240)에 형성된 제1 귀 받침부(245)와, 베개 몸체(200)의 중앙부(230)에 형성된 머리 받침부(232)와, 베개 몸체(200)의 우측부(250)에 형성된 제2 귀 받침부(255)를 지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 중 다른 하나는,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240) 중 제1 귀 받침부(245)보다 높게 형성된 전방부와, 베개 몸체(200)의 중앙부(230) 중 전방부에 형성된 목 받침부(234)와, 베개 몸체(200)의 우측부(250) 중 제2 귀 받침부(255)보다 높게 형성된 전방부를 지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 중 또 다른 하나는,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240) 중 제1 귀 받침부(245)보다 높게 형성된 후방부와, 베개 몸체(200)의 중앙부(230)에 형성된 머리 받침부(232)와, 베개 몸체(200)의 우측부(250) 중 제2 귀 받침부(255)보다 높게 형성된 후방부를 지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직선홈(223)은 베개 몸체(200)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직선홈(223)은 상부 레이어(220)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직선홈(223)은,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240)에 3개가 형성되고, 베개 몸체(220)의 우측부(250)에도 3개가 형성되며, 베개 몸체(200)의 중앙부(230)에는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직선홈(223)은 8개가 형성되나, 복수개의 제2 직선홈(223)의 개수는 8개로 한정되지 않고 9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은 제1 추가 직선홈(224) 및 제2 추가 직선홈(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은, 제1 추가 직선홈(224) 및 제2 추가 직선홈(225)을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복수개의 제1 직선홈(222) 및 복수개의 제2 직선홈(223)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 직선홈(224)은 머리 받침부(232) 중 2개의 제2 직선홈(223) 사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추가 직선홈(225)은 목 받침부(234)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2개의 제2 직선홈(223)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추가 직선홈(224) 및 제2 추가 직선홈(225)은 각각 하나가 형성되나, 제1 추가 직선홈(224) 및 제2 추가 직선홈(225) 각각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베개 몸체(2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를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이 형성되기 때문에,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240)에 12개의 쿠션 돌기부(221)가 형성될 수 있고, 베개 몸체(200)의 중앙부(230)에 15개의 쿠션 돌기부(2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베개 몸체(200)의 우측부(250)에 12개의 쿠션 돌기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은 베개 몸체(200)의 성형 시 금형 내에 배치되는 코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에 삽입되는 판부를 가지는 상기 코어를 상기 금형 내에 배치된 후, 베개 몸체(200)가 될 용융 상태의 액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한 후 성형하여,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 224, 225)에 의해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가 구획 형성된 베개 몸체(200)가 제조될 수 있다.
베개 몸체(200)는, 중앙부(230)와, 좌측부(240)와, 우측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230)는 베개 몸체(200)의 중앙부를 형성할 수 있고, 좌측부(240)는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우측부(250)는 베개 몸체(200)의 우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중앙부(230)는 좌측부(240) 및 우측부(25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좌측부(240) 및 우측부(250)는 중앙부(230)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부(240) 및 우측부(250)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부(240) 및 우측부(25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베개 몸체(200)의 중앙부(230) 상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을 받치는 메인 받침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받침부(235)는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240) 상면 및 베개 몸체(200)의 우측부(250) 상면보다 함입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받침부(235)는 베개 몸체(200)의 중앙부(230) 상면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받침부(235)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 받침부(232)와, 사용자의 목을 받치는 목 받침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받침부(235) 중 목 받침부(234)는 머리 받침부(232)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받침부(235)는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 받침부(232)는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 받침부(232)가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람의 구형 머리가 베개(1)를 베고 있을 때, 머리 받침부(232)는 머리의 뒤통수의 정점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일 많이 함입되고, 머리의 옆통수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적게 함입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베개의 경우 뒤통수의 정점에만 하중이 집중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1)는 머리 받침부(232)의 양옆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리면서 뒤통수 및 옆통수의 하중이 비슷하고 골고루 배분되므로, 사용자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240) 상면에는 상기 사용자가 좌측 옆으로 누울 때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가 안착되는 제1 귀 받침부(245)가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제1 귀 받침부(245)는 베개 몸체(240)의 좌측부(240) 상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귀 받침부(245)는 메인 받침부(235)의 좌측단에서부터 베개 몸체(200)의 좌측부(240) 상면의 좌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베개 몸체(200)의 우측부(250) 상면에는 상기 사용자가 우측 옆으로 누울 때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가 안착되는 제2 귀 받침부(255)가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제2 귀 받침부(255)는 베개 몸체(250)의 우측부(250) 상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귀 받침부(255)는 메인 받침부(235)의 우측단에서부터 베개 몸체(200)의 우측부(250) 상면의 우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1 귀 받침부(245) 및 제2 귀 받침부(255)는 서로 동일한 깊이로 함입될 수 있다. 제1 귀 받침부(245) 및 제2 귀 받침부(255)는 메인 받침부(235)보다 적게 함입될 수 있다. 제1 귀 받침부(245) 및 제2 귀 받침부(255)는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개 몸체(200)의 전단 중앙부에는 보조 받침부(26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받침부(260)는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를 받칠 수 있다. 보조 받침부(260)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보조 받침부(260)의 전단부는 메인 받침부(235)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받침부(260)의 좌측은 메인 받침부(235)의 좌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보조 받침부(260)의 우측은 메인 받침부(235)의 우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보조 받침부(260)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측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받침부(260)의 전방측은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전방부를 좌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백에 공기가 주입되어 메인 받침부 중 목을 받치는 부분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개 커버(100)는 내측커버(110) 및 외측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커버(110)는 베개 몸체(20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세탁기 내에 투입되어, 세탁 시 베개 몸체(200)를 상하지 않게 보호하는 세탁망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외측커버(120)는 내측커버(110)보다 신축성 및 통풍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커버(120)의 상측부는 내측커버(110)보다 통기성이 좋은 그물망(125)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베개(1)를 베었을 때 사용자의 체온에 의한 열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1)는 에어백(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270)은 베개 커버(100)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270)은 내측커버(110)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커버(110)의 하측부에는 에어백(270)이 수용되는 에어백 포켓(1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270))은 베개 커버(100) 중 내측커버(110)의 하측부에 배치되나, 외측커버(120)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에어백(270)은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270)으로 구비되어 메인 받침부(23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에어백(270)은, 머리 받침부(232)의 높이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270)과, 목 받침부(234)의 높이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270)은 메인 받침부(23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베개 커버(100)의 하측부 중 메인 받침부(235)와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270)은 에어백(270)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270)은 단일로 구비되어 목 받침부(2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에어백(270)은 목 받침부(2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베개 커버(100)의 하측부 중 목 받침부(234)와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개 몸체(200)는 푹신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개 커버(100)의 하측부에 배치된 에어백(270)에 공기가 주입되어 에어백(270)이 팽창되면, 목 받침부(234)는 에어백(270)에 의해 상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어 목 받침부(234)의 높이를 높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에어백(270)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 목 받침부(234)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고,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에어백(270)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목 받침부(234)의 높이는 높아질 수 있다.
목 받침부(234)의 높이는 사용자가 에어백(270)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조절되어서, 사용자 자신이 편안한 자세로 베개(1)를 벨 수 있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1)는, 에어호스(271)와, 고무펌프(272)와, 에어배출부(2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호스(271)는 에어백(270)과 연결될 수 있다. 고무펌프(272)는 에어호스(27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백(270)은 에어호스(27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고무펌프(272)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에어호스(271)를 통해 에어백(27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고무펌프(272)를 복수 번 가압하여 에어호스(271)를 통해 에어백(270)을 주입하여서 에어백(270)을 팽창시킴으로서 베개 몸체(200)의 목 받침부(234)의 높이를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에어배출부(273)는 에어호스(271)에 구비될 수 있다. 에어배출부(273)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에어백(270) 및 에어호스(271)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에어배출부(273)는 버튼방식 또는 밸브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배출부(273)가 버튼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에어배출부(273)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서 에어백(270) 및 에어호스(271)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에어배출부(273)가 밸브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에어배출부(273)에 구비된 밸브를 회전시켜서 에어백(270) 및 에어호스(271)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에어배출부(273)를 조작하여 에어백(270) 및 에어호스(271)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서 베개 몸체(200)의 목 받침부(234)의 높이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1)는, 베개 몸체(200)의 상면 전체에 복수개의 구획 홈(222, 223)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의 크기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221) 중 적어도 두 개가 함께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머리의 체압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머리의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베개 100 : 베개 커버
110 : 내측커버 120 : 외측커버
125 : 그물망 200 : 베개 몸체
210 : 하부 레이어 220 : 상부 레이어
221 : 쿠션 돌기부 222 : 제1 직선홈
223 : 제2 직선홈 230 : 베개 몸체의 중앙부
232 : 머리 받침부 234 : 목 받침부
235 : 메인 받침부 240 : 베개 몸체의 좌측부
245 : 제1 귀 받침부 250 : 베개 몸체의 우측부
255 : 제2 귀 받침부 260 : 보조 받침부
270 : 에어백 271 : 에어호스
272 : 고무펌프 273 : 에어배출부

Claims (13)

  1. 베개 커버;
    상기 베개 커버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인 단일의 푹신한 소재로 형성된 베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 몸체의 상면 전체에는 복수개의 구획 홈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의 크기는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 중 적어도 두 개가 함께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베개 몸체는,
    푹신하게 형성된 하부 레이어와,
    상기 하부 레이어의 상면 전체를 덮어 상기 하부 레이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레이어보다 푹신하게 형성된 상부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는 상기 상부 레이어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레이어 및 상기 상부 레이어는 상기 베개 몸체의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베개 몸체의 중앙부 상면에는, 상기 베개 몸체의 좌측부 상면 및 상기 베개 몸체의 우측부 상면보다 함입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을 받치는 메인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받침부는, 상기 베개 몸체의 중앙부 상면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목을 받치는 목 받침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 받침부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는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개 커버의 하측부 중 상기 목 받침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에어백 포켓에 수용되어, 상기 목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에어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이 팽창되면, 상기 목 받침부는 상기 에어백에 의해 상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목 받침부의 높이가 높게 조절되는 베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쿠션 돌기부는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베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구획 홈은, 상기 베개 몸체의 좌측단에서부터 우측단까지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직선홈과, 상기 베개 몸체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직선홈을 포함하는 베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구획 홈은 상기 베개 몸체의 성형 시 금형 내에 배치되는 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베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 몸체의 좌측부 상면 중앙에는 상기 사용자가 좌측 옆으로 누울 때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가 안착되는 제1 귀 받침부가 함입 형성되고,
    상기 베개 몸체의 우측부 상면 중앙에는 상기 사용자가 우측 옆으로 누울 때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가 안착되는 제2 귀 받침부가 함입 형성되며,
    상기 제1 귀 받침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의 좌측단에서부터 상기 베개 몸체의 좌측부 상면의 좌측단까지 형성되고,
    상기 제2 귀 받침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의 우측단에서부터 상기 베개 몸체의 우측부 상면의 우측단까지 형성되며,
    상기 제1 귀 받침부 및 상기 제2 귀 받침부는, 서로 동일한 깊이로 함입되고 상기 메인 받침부보다 적게 함입되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베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 몸체의 전단 중앙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를 받치는 보조 받침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받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받침부의 전단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받침부의 좌측은 상기 메인 받침부의 좌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보조 받침부의 우측은 상기 메인 받침부의 우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보조 받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측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조 받침부의 전방측은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베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 커버는 내측커버 및 외측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포켓은 상기 내측커버에 형성되는 베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과 연결된 에어호스와,
    상기 에어호스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상기 에어백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고무펌프와,
    상기 에어호스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에어호스의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베개.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의 상측부는 상기 내측커버보다 통기성이 좋은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베개.
KR1020220067650A 2022-06-02 2022-06-02 베개 KR10266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650A KR102668612B1 (ko) 2022-06-02 2022-06-02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650A KR102668612B1 (ko) 2022-06-02 2022-06-02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599A KR20230167599A (ko) 2023-12-11
KR102668612B1 true KR102668612B1 (ko) 2024-05-24

Family

ID=8916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650A KR102668612B1 (ko) 2022-06-02 2022-06-02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6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012B2 (ja) * 1990-12-14 2001-08-06 エシコ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ルド付きトロカール用インサート
KR101312256B1 (ko) * 2010-10-05 2013-09-27 남해현 높이 조절 베개
JP2019042365A (ja) * 2017-09-06 2019-03-22 歐得葆家具有限公司 まく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71836U (zh) * 2013-09-18 2014-02-11 Jian-Hao Hong 全方位透氣涼爽枕
KR102109986B1 (ko) 2013-10-30 2020-05-12 신준식 기능성 날개 베개
KR20150102335A (ko) * 2014-02-28 2015-09-07 서무준 경추 지지 방식의 건강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012B2 (ja) * 1990-12-14 2001-08-06 エシコ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ルド付きトロカール用インサート
KR101312256B1 (ko) * 2010-10-05 2013-09-27 남해현 높이 조절 베개
JP2019042365A (ja) * 2017-09-06 2019-03-22 歐得葆家具有限公司 まく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599A (ko)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967B2 (en) Adjustable thickness travel pillows
US20060096032A1 (en) High comfort mattresses having fiberballs
JP2014501597A (ja) 補強用挿入部材および高密度ステッチ領域を有するマットレス
JP5832367B2 (ja)
US2674752A (en) Latex foam or the like sponge rubber pillow
CN213429456U (zh) 可调节高度枕芯
KR102668612B1 (ko) 베개
KR102415257B1 (ko)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KR101998556B1 (ko) 온도제어가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220106632A (ko) 머리 압박 완화를 위한 베개
CN219125895U (zh) 用于家纺产品的复合片材及家纺产品
CN217959456U (zh) 一种床垫及床
KR200497926Y1 (ko) 베개
CN201153790Y (zh) 枕头
CN214317654U (zh) 组合式枕芯的枕头结构
KR102520310B1 (ko) 경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102646980B1 (ko) 독립 쿠션의 에어셀 분할구조를 갖는 기능성 베개
KR102639636B1 (ko) 경추 베개
KR200437374Y1 (ko) 중앙이 함몰된 숙면베개
KR102606372B1 (ko) 목쿠션 겸용 베개
KR102164510B1 (ko) 탄성복원력이 향상된 친환경 침구용 매트리스
CN218515455U (zh) 一种镂空凝胶腰靠
CN214548463U (zh) 一种护脊分区床垫结构
CN212939184U (zh) 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